KR100955053B1 - Assembling/disassembling apparatus for connectors - Google Patents

Assembling/disassembling apparatus for connect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053B1
KR100955053B1 KR1020070141905A KR20070141905A KR100955053B1 KR 100955053 B1 KR100955053 B1 KR 100955053B1 KR 1020070141905 A KR1020070141905 A KR 1020070141905A KR 20070141905 A KR20070141905 A KR 20070141905A KR 100955053 B1 KR100955053 B1 KR 100955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coupling
channel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9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73843A (en
Inventor
정용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1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053B1/en
Publication of KR20090073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8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0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44Pivoting lever comprising gear teet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용 결합/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용 결합/분리장치(10)는 제1 및 제2커넥터(40,50) 사이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넥터용 결합/분리장치(10)에는 제1하우징(42)의 걸이돌기(46)가 걸어지는 걸이채널(14)이 구비되어 상기 제1하우징(42)의 양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분리장치(10)에는 장착채널(13)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채널(13)에는 연동바(17)가 입출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연동바(17)는 제2하우징(52)의 조작돌기(56)를 걸어 제1하우징(42)방향으로 당기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분리장치(10)에는 조작레버(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조작레버(20)는 상기 연동바(17)와 기어방식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조작레버(20)의 회전운동이 상기 연동바(17)의 직선운동으로 바뀌면서 두 커넥터(40,50) 사이가 결합 또는 분리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조립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원가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가 사용되는 제품의 소형화 및 공간활용율을 높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 separation device for a connector. Connector coupling / disconnect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couple or separat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40, 50). The connector coupling / disconnecting device 10 is provided with a hook channel 14 through which the hook protrusion 46 of the first housing 42 is located, and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housing 42. A mounting channel 13 is formed in the coupling / separation device 10, and an interlocking bar 17 is mounted in the mounting channel 13 so as to be accessible. The linkage bar 17 serves to pull the operation protrusion 56 of the second housing 52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42. And, the coupling / separation device 10 is provided with a control lever 20, the control lever 20 is connected to the linkage bar 17 and the gear system. Accordingl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operating lever 20 is changed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linkage bar 17 and the two connectors 40 and 50 are coupled or sepa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of the connector and to reduce the number of assembly operation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ered.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and space utilization of the product in which the connector is used can be increased.

커넥터, 터미널, 삽입력, 결합, 분리 Connector, terminal, insertion force, mating, disconnecting

Description

커넥터용 결합/분리장치{Assembling/disassembling apparatus for connectors}Assembling / disassembling apparatus for connectors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많은 수의 터미널을 사용하여 결합과 분리력이 많이 드는 커넥터의 결합과 분리를 위한 커넥터용 결합/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coupling / disconnecting device for the coupling and separation of a connector with a high coupling and separation force using a large number of terminals.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와이어와 와이어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다. 최근에 하나의 커넥터에 사용되는 터미널의 수가 많아지면서 커넥터 사이의 결합과 분리를 위한 힘이 많이 들게 되었다. 이와 같이 많은 수의 터미널이 사용되는 커넥터의 결합과 분리를 쉽게 하기 위해 레버를 사용하기도 한다.A connector is generally one that makes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wires. Recently, as the number of terminals used in one connector increases, a lot of force for coupling and disengaging between the connectors is increased. Levers are also used to facilitate the mating and disengaging of connectors with a large number of terminals.

도 1에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커넥터(1)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는 터미널공(2')이 다수개 형성된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a lever 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general,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connector 1 are formed by the housing 2. The housing 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plurality of terminal holes 2 'are provided therein in which a terminal (not shown) is installed.

상기 하우징(2)의 일측면에는 상기 터미널공(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스페이서홀(3)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홀(3)에는 상기 터미널공(2')에 설 치된 터미널을 고정시키는 스페이서(5)가 결합된다.On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2 is formed so that the spacer hole 3 penetrate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erminal hole 2 ′. The spacer hole 3 is coupled to the spacer 5 for fixing the terminal installed in the terminal hole (2 ').

상기 하우징(2)의 양측면에는 소정량 돌출되게 형성되는 회전축(7)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7)에는 상기 커넥터(1)와 상기 커넥터(1)에 결합되는 상대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를 고정시키는 레버(9)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Both sides of the housing 2 are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7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amount. The rotary shaft 7 is rotatably provided with a lever 9 for fixing the connector 1 and a mating connector (not shown) coupled to the connector 1.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레버(7)는 커넥터(1)의 하우징(2) 외관에 별도로 만들어져 장착된다. 따라서, 커넥터(1)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많아지고 조립작업의 공수가 많아져 커넥터의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The lever 7 is made and mounted separately on the exterior of the housing 2 of the connector 1. Therefore,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number of parts constituting the connector 1 increases and the number of labors for assembling work increases, leading to a high manufacturing cost of the connector.

그리고, 상기 레버(7)는 커넥터(1)와 상대 커넥터를 결합 시킨 후에도 상기 커넥터(1)에 그대로 부착되어 있어 커넥터(1)가 차지하는 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한다. 즉, 커넥터(1)가 사용되는 제품의 소형화나 공간활용에 많은 걸림돌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lever 7 is still attached to the connector 1 even after the connector 1 and the mating connector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pace occupied by the connector 1 is required.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obstacles in miniaturization and space utilization of the product in which the connector 1 is us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와 별도로 만들어져 커넥터의 결합과 분리시에만 사용되는 커넥터용 결합/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to provide a coupling / disconnecting device for a connector that is made separately from the connector and used only when the connector is coupled and separat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걸이돌기가 형성된 제1하우징이 외관을 구성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하우징이 삽입되는 수납부가 형성되고 내면에 조작돌기가 형성된 제2하우징이 외관을 구성하는 제2커넥터를 결합하고 분리하는 커넥터용 결합/분리장치에 있어서,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housing is formed with a hook projection and the first connector constituting the appearance and the receiving portion is inserted into which the first housing is formed, the operation projection on the inner surface In the connector housing / coupling device for coupling and disconnecting the second connector constituting the appearance of the second housing,

상기 제1하우징의 걸이돌기가 걸어지는 걸이채널이 구비되어 상기 제1하우징의 양면에 위치되고 장착채널이 형성되는 고정구와, 상기 양단의 고정구의 장착채널에 각각 입출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조작돌기가 걸어지는 안내채널이 형성되며 외면 일측에는 연동기어치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는 연동바와, 상기 고정구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외면에는 상기 연동기어치와 맞물리는 구동기어치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에 대한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연동바를 직선운동시키는 조작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hook channel is provided on which the hook projection of the first housing is hooked, and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housing, and a mounting channel is formed. A guide channel on which a manipulation protrusion of the user is formed is formed, and an interlocking bar having an interlocking gear is elongat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and rotatably provided on the fixture and a driving gear meshing with the interlocking gear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It comprises a control lever for linearly moving the linkage bar through the rotational movement for the fixture.

상기 연동바가 상기 제1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구의 장착채널에 최대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이채널과 안내채널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이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상기 걸이돌기와 조작돌기 사이의 거리 에 대응된다.The distance between the hook channel and the guide channel in the state where the interlocking bar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channel of the fixtur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housing is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hook protrusion and the operating protrus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are completely coupled. Corresponds to the distance.

상기 조작레버는 상기 양단의 고정구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레그부와, 상기 레그부의 선단에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에 형성된 회전돌기에 끼워지는 회전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구동기어치가 형성되는 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operating lever has a handle portion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asteners of both ends, a leg portion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handle portion, and formed in a disc shape at the tip of the leg portion and fitted into the rotating protrusion formed on the fastener. The rotating hole is formed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configured to include a gear unit is formed a drive gear.

상기 양단의 고정구는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의 폭에 대응되는 거리를 두고 서로 연결된다.The fasteners at both en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rst housing by the connecting portion.

상기 걸이채널과 안내채널은 일단부가 각각 고정구와 연동바의 가장자리까지 형성되고, 각각 그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된다.One end of the hook channel and the guide channel is formed to the edge of the fastener and the interlocking bar, respectively, and one side thereof is opened.

상기 안내채널은 상기 연동바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된다.The guide channel is formed by opening one sid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erlocking bar.

상기 장착채널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안내채널의 타측에 해당하는 상기 연동바의 선단에는 스토퍼가 돌출되어 상기 장착채널의 입구 가장자리에 걸어진다.A stopper protrudes from the end of the interlocking bar protruding from the mounting channel and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guide channel, and hangs at an inlet edge of the mounting channel.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용 결합/분리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connector coupling /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먼저, 본 발명의 결합/분리장치는 많은 수의 터미널을 가져 큰 결합과 분리력이 필요한 커넥터에서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마다 결합/분리를 위한 구성을 두지 않아도 되므로 커넥터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조립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원가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First, since the coupling / sepa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rge number of terminals and can be used in common in a connector requiring a large coupling and separation forc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configuration for coupling / separation for each connector,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of the connector and assembling. The labor cost can be reduced, which reduces the manufacturing cost.

그리고, 본 발명에서 커넥터용 결합/분리장치가 커넥터의 결합과 분리시에만 사용되므로 두개의 커넥터가 결합된 외관에 커넥터의 결합과 분리를 위한 구성이 없어도 되므로 서로 결합된 커넥터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어 커넥터가 사용되는 제품의 소형화 및 공간활용률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nector coupling / separation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only when the connector is coupled and separated, the space required for installation of the connector coupled to each other is not required because the connector does not have a configuration for coupling and disconnecting the connector. Minimization and space utilization of the product in which the connector is used can be minimized.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용 결합/분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for coupling / sepa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예의 결합/분리장치(10)는 한쌍의 고정구(11)가 아래에서 설명될 제1커넥터(40)의 제1하우징(42)의 외면 사이의 폭만큼의 간격을 두고 구비된다. 상기 각각의 고정구(11)에는 걸림부(12)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2)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11)의 외면 양측에 구비되어 그 사이에 장착채널(13)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걸림부(12)는 그 횡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연동바(17)가 상기 장착채널(13) 내부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된다. As shown in the figures, the coupling / separating device 10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idth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42 of the first connector 40 in which a pair of fasteners 11 will be described below. It is provided at intervals of. Each of the fasteners 11 is formed with a locking portion 12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2, the locking portion 12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an outer surface of the fixture 11 to form a mounting channel 13 therebetween. At this time, the engaging portion 12 is a cross-section of the 'b' shape so that the linkage bar 17 to be described below can be stably maintained in the mounting channel (13).

상기 고정구(11)에는 걸이채널(1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채널(14)은 상기 양측 고정구(11)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요입되게 형성되어, 그 내부에 아래에서 설명될 제1하우징(42)의 걸이돌기(46)가 삽입된다. 이를 위해, 상기 걸이채널(14)은 상기 고정구(11)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형성되고, 걸이돌기(46)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그 선단이 개구된다.A hook channel 14 is formed in the fixture 11. The hook channel 14 i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of the two fasteners 11, and the hook protrusion 46 of the first housing 42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therein. To this end, the hook channel 14 is formed to extend to the edge of the fastener 11, the front end is opened so that the hook projection 46 is easily inserted.

상기 고정구(11)는 연결부(15)에 의해 서로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15)는 본 실시예에서 원통형상으로 된다. 하지만, 상기 연결부(15)가 반드시 원통형상일 필요는 없고 상기 고정구(11)를 서로 연결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것도 상관없다. The fasteners 11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portion 15. The connecting portion 15 is cylindrical in this embodiment. However, the connecting portion 15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cylindrical, and any shape may be used as long as the fasteners 11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고정구(11)에는 회전판(16)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판(16)은 아래에서 설명될 조작레버(20)의 기어부(2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으로, 회전돌기(1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회전판(16)은 대략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의 판상으로 될 수 있다. The fixture 11 is provided with a rotating plate (16). The rotating plate 16 is a portion to which the gear part 23 of the operation lever 20 to be described below is rotatably coupled, and the rotating protrusion 16 'is formed to protrude. As shown in FIG. 2, the rotating plate 16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plate shape having various shapes.

상기 고정구(11)에는 연동바(17)가 결합된다. 상기 연동바(17)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상으로, 상기 고정구(11)의 장착채널(13)에 소정 구간만큼 입출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연동바(17)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하우징(52)에 형성된 조작돌기(56)를 걸어 제1하우징(42) 방향으로 당기는 역할을 한다. The fastener 11 is coupled to the interlocking bar 17. The interlocking bar 17 has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s shown in the drawing, and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channel 13 of the fixture 11 so as to be able to enter and exit by a predetermined section. The linkage bar 17 serves to pull the operation protrusion 56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52 to be described below to pull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42.

이를 위해, 상기 연동바(17)에는 안내채널(18)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채널(18)은 제2하우징(52)의 조작돌기(56)가 걸어지는 부분으로, 상기 연동바(17)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고 조작돌기(56)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그 선단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To this end, the guide channel 18 is formed in the interlocking bar 17. The guide channel 18 is a portion to which the operation protrusion 56 of the second housing 52 is hooked. The guide channel 18 extends to the edge of the interlocking bar 17 and the tip thereof is opened so that the operation protrusion 56 is easily inserted. It is form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내채널(18)은 상기 연동바(17)의 외면 일부를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제2커넥터(50)의 제2하우징(52)의 내면과 마주보는 면으로만 개구되는 형태로 형성되어도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channel 18 is formed to penetrate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terlocking bar 17, but is not necessarily the surface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52 of the second connector 50.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opening only.

이때, 상기 연동바(17)가 상기 제1하우징(4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구(11)의 장착채널(13)에 최대한 삽입된 상태에서(도 2의 상태), 상기 걸이채널(14)과 안내채널(18) 사이의 거리는 제1 및 제2하우징(42,52)이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걸이돌기(46)와 조작돌기(56) 사이의 거리에 대응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작레버(2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안내채널(18)에 조작돌기(56)가 삽입된 상태로 제2하우징(52)이 제1하우징(42) 방향으로 완전히 당겨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At this time, in the state in which the interlocking bar 17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channel 13 of the fixture 11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housing 42 as much as possible (the state of FIG. 2), the hook channel 14 The distance between the guide channel 18 and the guide channel 18 corresponds to the distance between the hook protrusion 46 and the manipulation protrusion 56 whe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42 and 52 are completely coupled. This is because the second housing 52 is completely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42 while the operating protrusion 56 is inserted into the guide channel 18 while the operation lever 20 to be described below is rotated. To do so.

상기 연동바(17)의 외면에는 연동기어치(17')가 형성된다. 상기 연동기어치(17')는 조작레버(20)의 구동기어치(25)에 맞물려, 조작레버(20)의 회전에 의해 연동바(17)가 직선운동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동기어치(17')는 상기 연동바(17)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길게 형성된다.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terlocking bar 17, an interlocking gear 17 'is formed. The interlocking gear 17 ′ engages with the drive gear 25 of the operating lever 20 so that the interlocking bar 17 moves linearly by the rotation of the operating lever 20. To this end, the interlocking gear 17 'is formed to exten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erlocking bar 17.

이때, 상기 연동기어치(17')는 상기 고정구(11)의 걸림부(12)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조작레버(20)의 연동기어치(17')와 맞물리게 된다. At this time, the interlocking gear 17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portion of the locking portion 12 of the fixture 11, and is engaged with the interlocking gear 17' of the operating lever 20.

상기 연동바(17)에는 스토퍼(19)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9)는 상기 연동바(17)가 상기 고정구(11)의 장착채널(13)로부터 제1하우징(42)을 향해 돌출되는 정도를 규제하기 위한 것으로,상기 안내채널(18)의 타측에 해당하는 상기 연동바(17)의 선단에 형성된다. 즉, 상기 스토퍼(19)가 상기 장착채널(13)의 입구 가장자리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연동바(17)의 돌출되는 정도가 규제되는 것이다. A stopper 19 is formed in the linkage bar 17. The stopper 19 is for regulating the extent to which the linkage bar 17 protrudes from the mounting channel 13 of the fixture 11 toward the first housing 42, a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channel 18. It is formed at the tip of the interlocking bar 17 corresponding to. That is, as the stopper 19 is hooked to the inlet edge of the mounting channel 13, the protruding degree of the linkage bar 17 is restricted.

상기 고정구(11)에는 조작레버(20)가 결합된다. 상기 조작레버(20)는 상기 고정구(11)에 대해 상대회전을 하여, 상기 연동바(17)를 직선운동시키는 역할을 한 다. 이를 위해, 상기 조작레버(20)는 상기 고정구(11)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The operation lever 20 is coupled to the fixture 11. The operation lever 20 performs a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fixture 11, and serves to linearly move the linkage bar 17. To this end, the operation lever 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ture (11).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조작레버(20)에는 핸들부(21)가 형성된다. 상기 핸들부(21)는 상기 양단의 고정구(11)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작업자가 실질적으로 파지하여 조작레버(20)를 회전시키는 부분이다.Looking in more detail, the handle lever 21 is formed on the operation lever (20). The handle portion 21 is a bar shap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asteners 11 at both ends, and is a portion that the operator grips substantially to rotate the operation lever 20.

상기 조작레버(20)의 양단에는 레그부(22)가 연장된다. 상기 레그부(22)는 대략 바 형상으로 상기 핸들부(21)와 아래에서 설명될 기어부(23)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그부(22)는 상기 회전돌기(16')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부분이므로, 그 길이에 따라 조작레버(20)의 회전토크가 결정된다. 즉, 상기 레그부(22)의 길이가 길어 질수록 회전토크가 작아지므로 레그부(22)의 길이는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조작레버(20)의 전체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될 수 있다.Leg portions 22 extend at both ends of the operation lever 20. The leg portion 22 serves to connect the handle portion 21 and the gear portion 23 to be described below in an approximately bar shape. Since the leg part 22 is a part rotated about the rotation protrusion 16 ′, the rotation torque of the operation lever 20 is determined according to its length. That is, the longer the length of the leg portion 22, the smaller the rotational torque, so the length of the leg portion 22 is preferably formed longer, but may be appropriately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overall size of the operating lever 20.

상기 레그부(22)의 선단에는 기어부(23)가 형성된다. 상기 기어부(23)는 대략 원판형상으로, 상기 양단의 고정구(11)의 회전판(16) 외면에 결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기어부(23)에는 회전공(24)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공(24)에 상기 회전돌기(16')가 끼워져, 기어부(23)가 상기 고정구(11)에 대해 회전가능한 상태로 된다.A gear portion 23 is formed at the tip of the leg portion 22. The gear portion 23 is substantially disk-shaped, and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16 of the fasteners 11 at both ends. More precisely, the gear part 23 is provided with a rotating hole 24, and the rotating protrusion 16 ′ is fitted into the rotating hole 24, so that the gear part 23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xture 11. It becomes possible state.

상기 기어부(23)의 외주면에는 구동기어치(25)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기어치(25)는 상기 연동바(17)의 연동기어치(17')와 맞물리는 부분으로, 조작레버(20)의 회전력을 연동바(17)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drive gear 25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ear part 23. The drive gear 25 is a portion engaged with the interlocking gear 17 'of the interlocking bar 17 and serves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operation lever 20 to the interlocking bar 17.

다음으로, 본 발명의 커넥터용 결합/분리장치를 사용하여 결합 또는 분리되는 커넥터의 구성을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to be coupled or separated using the connector for coupling / dis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커넥터(40)는 예를 들면, 암커넥터로서, 대략 육면체 형상의 제1하우징(42)이 외관과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42)을 관통하여서는 다수개의 터미널통공(44)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통공(44)에는 각각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어 설치된다.The first connector 40 is, for example, a female connector, and the first housing 42 having a substantially hexahedron shape forms an appearance and a skeleton. A plurality of terminal through holes 44 are formed through the first housing 42. Terminal (44)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terminal through-hole is installed.

상기 제1하우징(42)의 양측 외면에는 걸이돌기(46)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기(46)는 상기 고정구(11)의 걸이채널(14)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돌기(46)는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원기둥형상이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상기 고정구(11)와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사각기둥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Hook protrusions 46 are formed on both outer surfaces of the first housing 42. The hook protrusion 46 is a part which is hooked to the hook channel 14 of the fixture 11. The hook protrusion 46 may be a cylindrical shap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but may not necessarily be, and may have a square pillar shape to prevent relative rotation with the fixture 11.

제2커넥터(50)는 숫커넥터로서, 제2하우징(52)이 외관과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제2하우징(52)의 내부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다. 상기 제2하우징(52)의 내부 선단에는 상기 제1커넥터(40)가 삽입되는 수납부(54)가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54)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는 조작돌기(5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조작돌기(56)는 상기 조작레버(20)의 안내채널(18)을 따라 안내되는 부분이다.The second connector 50 is a male connector, and the second housing 52 forms an appearance and a skeleton. A terminal (not shown) is installed inside the second housing 52. An accommodating part 54 into which the first connector 40 is inserted is formed at an inner end of the second housing 52. The manipulation protrusion 56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s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54 facing each other. The manipulation protrusion 56 is a portion guided along the guide channel 18 of the manipulation lever 20.

이때, 상기 제1하우징(42)과 제2하우징(52)에는 각각 가이드리브(47)와 가이드채널(57)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47)와 가이드채널(57)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제1 및 제2커넥터(40,50) 사이의 결합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In this case, guide ribs 47 and guide channels 57 are formed in the first housing 42 and the second housing 52, respectively. The guide ribs 47 and the guide channels 57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serve to guide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40 and 50.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용 결합/분리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connector coupling / sepa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 실시예의 결합/분리장치를 사용하여 커넥터를 결합하는 과정이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6 and 7 show the process of coupling the connector using the coupling / disengagement devic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40,50)을 결합을 위해서는 상기 고정구(11)가 상기 제1커넥터(40)의 제1하우징(42)에 장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걸이돌기(46)에 상기 고정구(11)의 걸이채널(14)이 걸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양측의 고정구(11)가 상기 제1하우징(42)의 외면과 마주보게 위치된다.In order to coupl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40 and 50, the fastener 11 should be mounted to the first housing 42 of the first connector 40. To this end, the hook channel 14 of the fixture 11 is hooked to the hook protrusion 46. In this case, the two fasteners 11 are positioned to face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42.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커넥터(40)를 상기 제2커넥터(50)의 수납부(54) 입구에 위치시킨다. 상기 제1커넥터(40)를 상기 수납부(54)의 내부로 약간 밀어넣으면 상기 연동바(17)도 상기 제1하우징(42)의 외면과 제2하우징(52)의 내면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하지만, 이 상태에서는 단지 제1하우징(42)이 제2하우징(52)의 수납부(54)에 일부 들어간 것이지 터미널끼리의 결합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In this state, the first connector 40 is positioned at the entrance of the accommodating part 54 of the second connector 50. When the first connector 40 is slightly pushed into the housing 54, the linkage bar 17 is also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4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52. do. However, in this state, only the first housing 42 enters a part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54 of the second housing 52, and the terminals are not coupled to each other.

이 과정에서, 상기 연동바(17)의 안내채널(18) 입구에 상기 제2하우징(52)의 조작돌기(56)가 위치된다. 이때, 상기 안내채널(18)과 걸이채널(14)은 각각 연동바(17)와 고정구(11)의 가장자리까지 형성되고, 그 선단이 개구되어 있으므로, 상기 조작돌기(56)와 걸이돌기(46)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모습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In this process, the operation protrusion 56 of the second housing 52 is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guide channel 18 of the interlocking bar 17. At this time, the guide channel 18 and the hook channel 14 are formed to the edge of the interlocking bar 17 and the fastener 11, respectively, and the front end thereof is open, so that the operation protrusion 56 and the hook protrusion 46 ) Can be easily inserted. This is shown in FIG. 6.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레버(20)의 핸들부(21)를 상기 회전돌기(16')를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즉, 도 6을 기준으로 상기 조작레버(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기어부(23)는 상기 회전돌기(16')를 중심으로 회전된다.In this state, the handle part 21 of the manipulation lever 20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protrusion 16 '. That is, when the operation lever 2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6, the gear part 23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protrusion 16 ′.

이에 따라, 상기 기어부(23)에 형성된 구동기어치(25)는 상기 연동바(17)에 형성된 연동기어치(17')와 맞물리면서 이동하여, 상기 연동바(17)를 직선운동시키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연동바(17)는 도 6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drive gear 25 formed in the gear unit 23 moves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interlock gear 17 'formed in the interlocking bar 17 to linearly move the interlocking bar 17. More precisely, the linkage bar 17 moves upward based on FIG. 6.

이때, 상기 연동바(17)의 안내채널(18)에는 조작돌기(56)가 삽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2커넥터(50) 역시 상기 제1커넥터(40)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40,50)에 각각 삽입된 터미널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In this case, since the operation protrusion 56 is inserted into the guide channel 18 of the interlocking bar 17, the second connector 50 also naturally moves toward the first connector 40. In this process, the terminals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40 and 5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제, 서로 결합된 제1 및 제2커넥터(40,50)에서 본 발명의 결합/분리장치(10)를 제거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안내채널(18)로부터 조작돌기(56)가 빠져나오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걸이채널(14)로부터 상기 걸이돌기(46)가 빠져나오도록 하면 결합/분리장치(10)가 제1 및 제2커넥터(40,50)로부터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결합/분리장치(10)를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42,52) 사이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킨다.Now, the coupling / separating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remov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40 and 50 coupled to each other. To this end, when the manipulation protrusion 56 is released from the guide channel 18, and at the same time, the hook protrusion 46 is drawn out of the hook channel 14, the coupling / separating device 10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40 and 50. In this state, the coupling / separation device 10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42 and 52.

한편,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40,50)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본 발명의 결합/분리장치(10)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커넥터(40,50)를 분리하는 것을 설명한다. 물론, 분리과정은 위에서 설명된 결합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it is described that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40 and 5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using the coupling / separation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40 and 50 are coupled to each other. do. Of course, the separation process is the reverse of the combining process described above.

즉, 작업자는 우선 상기 조작레버(20)의 핸들부(21)를 도 7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반시계방향으로 상기 회전돌기(16')을 따라 회전시켜준다. 이렇게 되면, 상기 기어부(23)의 구동기어치(25)가 상기 연동바(17)의 연동기어치(17')와 맞물린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연동바(17)를 직선운동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2커넥터(50)는 상기 제1커넥터(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분리동작이 수행된다. 마지막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분리장치(10)를 상기 제1 및 제2하 우징(42,52)으로부터 분리하여 마무리한다.That is, the operator first rotates the handle 21 of the operating lever 20 along the rotation protrusion 16 ′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n viewed with reference to FIG. 7. In this case, the drive gear 25 of the gear unit 23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linkage gear 17 'of the linkage bar 17 to linearly move the linkage bar 17. In this process, the second connector 50 is moved away from the first connector 40, and the separating operation is performed. Finally,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 separating device 1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42 and 52 to finish.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용 결합/분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for coupling / sepa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와 이에 의해 결합/분리되는 제1 및 제2 커넥터를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re thereby coupled / disconnected.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결합된 제1 및 제2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coupl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제1걸이채널에 제1커넥터의 제1돌기가 삽입된 모습을 보인 요부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proj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ok channel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제1 및 제2 커넥터가 결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업순서도.Figure 6 and Figure 7 is a flow chart showing a sequence of processes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결합분리장치 11: 고정구10: coupling separator 11: fixture

12: 걸림부 13: 장착채널12: Hanging part 13: Mounting channel

14: 걸이채널 16': 회전돌기14: Hanger channel 16 ': Rotating protrusion

17: 연동바 17': 연동기어치17: linkage bar 17 ': linkage gear

18: 안내채널 19: 스토퍼18: guide channel 19: stopper

20: 조작레버 21: 핸들부20: operating lever 21: handle portion

22: 레그부 23: 기어부22: leg portion 23: gear portion

24: 회전공 25: 구동기어치24: rotating hole 25: drive gear

40: 제1커넥터 42: 제1하우징 40: first connector 42: first housing

46: 걸이돌기 50: 제2커넥터46: hanger 50: second connector

52: 제2하우징 54: 수납부52: second housing 54: housing

56: 조작돌기56: operation projection

Claims (6)

걸이돌기가 형성된 제1하우징이 외관을 구성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하우징이 삽입되는 수납부가 형성되고 내면에 조작돌기가 형성된 제2하우징이 외관을 구성하는 제2커넥터를 결합하고 분리하는 커넥터용 결합/분리장치에 있어서,A connector for joining and separating a first connector having a hook protrusion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nd a receiving portion into which the first housing is inserted, and a second connector having an operating protrusion formed therein, and a second connector forming an outer appearance. In the coupling / separation device for 상기 제1하우징의 걸이돌기가 걸어지는 걸이채널이 구비되어 상기 제1하우징의 양면에 위치되고 장착채널이 형성되는 고정구와,A fastener having a hook channel through which the hook protrusion of the first housing is hooked, which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housing, and a mounting channel is formed; 상기 양단의 고정구의 장착채널에 각각 입출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조작돌기가 걸어지는 안내채널이 형성되며 외면 일측에는 연동기어치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는 연동바와,An interlocking bar having a guide channel through which the operation protrusions of the second housing are formed and mounted on the mounting channels of the fixing devices at both ends, and the interlocking gear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상기 고정구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외면에는 상기 연동기어치와 맞물리는 구동기어치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에 대한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연동바를 직선운동시키는 조작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용 결합/분리장치.And a driving gear which is provided to be rotatable in the fastener and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so as to engage with the interlocking gear and includes a control lever for linearly moving the interlocking bar through a rotational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aste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바가 상기 제1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구의 장착채널에 최대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이채널과 안내채널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이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상기 걸이돌기와 조작돌기 사이의 거리에 대응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결합/분리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hook channel and the guide channel in the state that the interlocking bar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channel of the fixture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housing whe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 is fully coupled Coupling / separating device for a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hook and the operating projec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는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operation lever 상기 양단의 고정구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핸들부와,A handle part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a distance between the fixtures at both ends; 상기 핸들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레그부와,Leg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handle portion, 상기 레그부의 선단에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에 형성된 회전돌기에 끼워지는 회전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구동기어치가 형성되는 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결합/분리장치.The connector coupling / disconn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hape of a disc at the end of the leg portion is formed with a rotary hole fitted to the rotary projection formed in the fixtur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a drive gear is form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의 고정구는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의 폭에 대응되는 거리를 두고 서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결합/분리장치.The connector coupling /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asteners at both en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rst housing by a connection par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채널과 안내채널은 일단부가 각각 고정구와 연동바의 가장자리까지 형성되고, 각각 그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결합/분리장치.The connector / coupling device of claim 4, wherein one end of each of the hook channel and the guide channel is formed to the edge of the fixture and the interlocking bar, and one side thereof is open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채널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안내채널의 타측에 해당하는 상기 연동바의 선단에는 스토퍼가 돌출되어 상기 장착채널의 입구 가장자 리에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결합/분리장치.6. The connector as claimed in claim 5, wherein a stopper protrudes from the end of the interlocking bar, which protrudes from the mounting channel and corresponds to the other side of the guide channel, and hangs at an inlet edge of the mounting channel.
KR1020070141905A 2007-12-31 2007-12-31 Assembling/disassembling apparatus for connectors KR1009550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905A KR100955053B1 (en) 2007-12-31 2007-12-31 Assembling/disassembling apparatus for connect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905A KR100955053B1 (en) 2007-12-31 2007-12-31 Assembling/disassembling apparatus for connec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843A KR20090073843A (en) 2009-07-03
KR100955053B1 true KR100955053B1 (en) 2010-04-28

Family

ID=4133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905A KR100955053B1 (en) 2007-12-31 2007-12-31 Assembling/disassembling apparatus for connecto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05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203B1 (en) * 2006-10-31 2007-12-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Lever type connector assembling structure and method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203B1 (en) * 2006-10-31 2007-12-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Lever type connector assembling structure and method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843A (en) 200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14847B1 (en) Cable connector for vehicle door
US7077698B2 (en) Securing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ors and application thereof
US9812813B1 (en) Lever-type connector
KR102459124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ever
US5192222A (en) Plug connection device for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nection of two electronic units
EP2075880A1 (en) Lever-type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ing method
CA2276770C (en) Connector with lever
EP2701241B1 (en) Connector
CN103718388A (en) Connector
WO2014115349A1 (en) Lever connector
JP2006331991A (en) Lever-type connector
WO2017181349A1 (en) Structure of ceiling fan blades and ceiling fan
JP2739627B2 (en) Connector housing coupling mechanism
US7789682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ever and camming slide
KR100955053B1 (en) Assembling/disassembling apparatus for connectors
JP5711569B2 (en) Connector fitting jig and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KR100965507B1 (en) Lever type connector assembly
KR20090073861A (en) Assembling/disassembling apparatus for connectors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is
US20170141504A1 (en) Meter center, and socket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a socket assembly therefor
KR100956541B1 (en)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apparatus for connectors
KR20150004857A (en) Lever-type connector
KR20130003377U (en) Lever type connector
KR100814936B1 (en) Lever type connector
KR100995279B1 (en)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KR20090073803A (en) Assembling/disassembling method for conne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