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301B1 - Apparatus for treatment wastewat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eatment wastewa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54301B1 KR100954301B1 KR1020090102798A KR20090102798A KR100954301B1 KR 100954301 B1 KR100954301 B1 KR 100954301B1 KR 1020090102798 A KR1020090102798 A KR 1020090102798A KR 20090102798 A KR20090102798 A KR 20090102798A KR 100954301 B1 KR100954301 B1 KR 1009543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tewater
- evaporator
- heat
- waste water
- discharg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1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using waste heat from other proces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1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by direct contact with a particulate solid or with a fluid, as a heat transfer medium
- C02F1/12—Spray evapor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10—Temperature conditions for biological treatment
- C02F2301/106—Thermophilic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기 가열에너지와 증기압축기 및 순환펌프의 에너지만에 의하여 폐수를 증발시킴으로써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energy costs by evaporating wastewater by only initial heating energy and energy of a steam compressor and a circulation pump.
일반적으로 폐수처리는 공장이나 사업소 등에서 배출되는 폐수 속의 유해물질이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이다.In general, wastewater treatment is a process of removing harmful substances or pollutants in wastewater discharged from factories or establishments.
이러한 폐수처리 과정은 폐수의 종류나 내용에 따라 물리적 처리, 화학적 처리, 생물학적 처리, 열처리, 고도산화법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Such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can be classified into physical treatment, chemical treatment, biological treatment, heat treatment, advanced oxidation method, etc. according to the type or content of the wastewater.
상기 물리적 처리법은 스크린(Screen), 침사지(Grit chamber), 침강분리(Clarifier), 부상분리(Flotation tank), 여과(Filtration) 등으로 구분된다.The physical treatment is classified into a screen, a ritual chamber, a clarifier, a floatation tank, and a filtration.
그리고, 화학적 처리법은 흡착(Adsorption), 응집(Coagulation), 산화 , 환원(Oxidation & reduction), 이온 교환(Ion exchange), 소독(Disinfection), 폭기(Aeration) 등으로 구분된다.Chemical treatments are classified into adsorption, coagulation, oxidation & reduction, ion exchange, disinfection, and aeration.
또한, 생물학적 처리법은 호기성 처리(Aerobic treatment)와, 혐기성 처리(Anaerobic treatment)로 구분된다.In addition, biological treatments are classified into aerobic treatment and anaerobic treatment.
이러한 폐수처리 과정에 있어서, 특히 증발에 의한 폐수처리방법은 증발부에 폐수를 저장하고, 폐수를 가열함으로써, 순수한 물은 증발되어 분리되고, 오염물질은 농축되어 재처리되는 방식이다.In this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in particular,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by evaporation is a method in which the wastewater is stored in the evaporation unit and the wastewater is heated, whereby pure water is separated by evaporation and contaminants are concentrated and reprocessed.
이때, 상기 증발부에는 진공펌프가 구비되어 증발부 내부의 압력을 낮춤으로써 낮은 온도에서도 증발이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evaporator is provided with a vacuum pump to reduce the pressure inside the evaporator can be evaporated even at a low temperatur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증발식 폐수처리는 증발부 내부의 폐수를 가열하기 위하여 화석연료를 태워 열을 얻음으로 막대한 에너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evaporative wastewater treatment has a problem in that enormous energy costs are required by burning fossil fuel to obtain heat in order to heat the wastewater inside the evaporator.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적인 열에너지의 투입없이 초기 열에너지와 발생된 증기의 압축열만에 의하여 폐수를 증발시켜서 폐수로부터 순수한 물을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음으로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있는 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is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eat pure water from wastewater by treating the wastewater by evaporating only the initial heat energy and the compressed heat of generated steam without additional heat energy input. It is to provide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reduce the energy cos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수가 저장/공급되는 폐수 공급부; 상기 폐수 공급부에 제 1관로에 의하여 연결되며, 가열기로부터 공급된 열에 의하여 상기 폐수가 가열됨으로써 증기가 발생되어 폐수와 증기가 각각 분리되어 배출되고, 분리 배출된 상기 증기와 폐수가 승온된 상태로 복귀됨으로써 초기 보다 적은 열을 공급하는 경우에도 증기가 발생 가능하며, 잔류 폐수는 배출되어 농축되는 증발부; 상기 증발부로부터 상기 증기를 흡입하여 압축열을 추가함으로써 포화증기 상태로 만들고, 상기 증발부로터 상기 폐수를 흡입하여 상기 포화증기와 1차적으로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포화증기는 응축수로 배출되고, 상기 폐수는 승온되어 제 2관로를 통하여 상기 증발부로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증발부의 폐수 증발을 가속시키는 제 1증발가속수단; 상기 제 1증발가속수단과 상기 폐수 공급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 1증발가속수단으로 부터 공급된 상기 응축수와, 상기 폐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고 상기 응축수 보다 낮은 온도의 폐수를 2차적으로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응축수는 상온 상태로 배출되고, 상기 폐수는 승온되어 상기 증발부로 공급시킴으로써 상기 증발부의 폐수 증발을 가속시키는 제 2증발가속수단; 그리고 상기 폐수 공급부와, 증발부와, 제 1 및 제 2증발가속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stewater supply unit for storing / supplying wastewater; The wastewater is connected to the wastewater supply unit by a first pipe line, and the wastewater is heated by the heat supplied from the heater to generate steam, and the wastewater and the steam are separated and discharged, respectively. By doing so, even when supplying less heat than the initial steam can be generated, the remaining waste water is evaporated to be discharged and concentrated; By sucking the steam from the evaporator to add compressed heat to make a saturated steam state, by sucking the wastewater from the evaporator to heat exchange with the saturated steam primarily, the saturated steam is discharged to condensed water, the waste water is A first evaporation acceleration means for accelerating evaporation of the wastewater by returning to the evaporator through a second pipe; The condensed water is connected to the first evaporation acceleration means and the wastewater supply unit, and the condensed water is secondarily exchanged with the condensate supplied from the first evaporation acceleration means and the wastewater supplied from the wastewater supply unit and lower than the condensate. A second evaporation accelerating means for discharging the waste water at room temperature and accelerating evaporation of the waste water by supplying the waste water to the evaporator; And it provides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wastewater supply unit, an evaporato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evaporation acceleration means.
또한, 본 발명은 폐수가 저장/공급되는 폐수 공급부; 상기 폐수 공급부와 제 1관로를 통하여 연결되며, 가열기로부터 공급된 열에 의하여 상기 폐수가 가열됨으로써 증기가 발생되어 폐수와 증기가 각각 분리되어 배출되고, 분리 배출된 상기 증기와 폐수가 승온된 상태로 복귀됨으로써 초기 보다 적은 열을 공급하는 경우에도 증기가 발생 가능하며, 잔류 폐수는 배출되어 농축되는 증발부; 상기 증발부에 연결되어 흡입력에 의하여 상기 증기를 흡입하여 압축시킴으로써 압축열에 의하여 포화증기 상태로 토출하는 압축기; 상기 증발부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는 제 2관로상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증발부로부터 폐수를 흡입하여 상기 제 2관로를 통하여 상기 증발부로 복귀시키는 순환펌프; 상기 압축기와 상기 순환펌프에 연결됨으로 써,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상기 포화증기와, 상기 순환펌프로부터 토출되며 상기 포화증기보다 저온인 상기 폐수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열교환에 의하여 상기 포화증기는 응축수로 배출되고, 상기 폐수는 승온된 상태로 상기 증발부로 공급되는 제 1열교환기; 상기 제 1열교환기와 상기 제 1관로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1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응축수와, 상기 제 1관로를 따라 상기 증발부로 공급되며 상기 응축수 보다 저온인 폐수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열교환에 의하여 상기 응축수는 상온 상태로 배출되고, 상기 폐수는 승온되어 상기 증발부로 공급되는 제 2열교환기; 그리고 상기 증발부와, 압축기와, 순환수단과, 제 1 및 제 2열교환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stewater supply unit for storing / supplying wastewater; The wastewater is connected to the wastewater supply unit through a first pipe line, and the wastewater is heated by heat supplied from a heater to generate steam, and the wastewater and the steam are separated and discharged, respectively. By doing so, even when supplying less heat than the initial steam can be generated, the remaining waste water is evaporated to be discharged and concentrated; A compressor which is connected to the evaporator and sucks and compresses the steam by suction force, and discharges the saturated steam by compressed heat; A circulation pump disposed on a second conduit connect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evaporator to suck waste water from the evaporator and return to the evaporator through the second conduit; By being connected to the compressor and the circulation pump, heat exchange is performed between the saturated steam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and the waste water discharged from the circulation pump and lower than the saturated steam, and the saturated steam is exchanged by the heat exchange. A first heat exchanger which is discharged to condensate and is supplied to the evaporator in a state where the wastewater is heated up; By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heat exchanger and the first conduit,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heat exchanger and the waste water which is supplied to the evaporator along the first conduit and lower than the condensate is made, A second heat exchanger in which the condensed water is discharged at room temperature by heat exchange, and the waste water is heated to be supplied to the evaporato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vaporator, the compressor, the circulation unit, and the first and second heat exchangers.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는 초기에는 압축기와 순환펌프의 흡입력에 의하여 상기 챔버에 저장된 증기와 폐수가 순간적으로 배출되어 부압상태가 되므로, 낮은 온도에서도 폐수의 증발이 일어날 수 있음으로 초기 열에너지만에 의하여 증발이 일어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발부로부터 배출된 고온의 증기가 제 1 및 제 2열교환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증발부로 공급되는 폐수에 열에너지가 전달됨으로써 승온된 폐수가 증발부에 공급되어 초기 열에너지에 추가되므로, 초기 열에너지 이외의 추가적인 열에너지가 필요하지 않은 상태에서 폐수의 증발이 이루어짐으로써, 폐수처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itially discharges steam and wastewater stored in the chamber by a suction force of the compressor and the circulation pump to be in a negative pressure state, the wastewater may evaporate even at a low temperature. As the evaporation occurs only by the initial heat energy, and as time passes, the hot steam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pass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heat exchangers sequentially and heat energy is transferred to the wastewater supplied to the evaporator, thereby evaporating the wastewater heated up. Since it is supplied to the unit and added to the initial heat energy, the waste water is evaporated in a state where additional heat energy other than the initial heat energy is not required,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waste water treat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장치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 하게 설명된다.Hereinafter,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처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폐수처리장치는 폐수가 저장/공급되는 폐수 공급부(1)와; 상기 폐수 공급부(1)에 제 1관로(L1)에 의하여 연결되며, 가열기(3)로부터 공급된 열에 의하여 상기 폐수가 가열됨으로써 증기가 발생되어 폐수와 증기가 각각 분리되어 배출되고, 분리 배출된 상기 증기와 폐수가 승온된 상태로 복귀됨으로써 초기 보다 적은 열을 공급하는 경우에도 증기가 발생 가능하며, 잔류 폐수는 배출되어 농축되는 증발부(5)를 포함한다.As shown,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stewater supply unit 1 for storing / supplying wastewater; The wastewater is connected to the wastewater supply unit 1 by a first pipe line L1, and the wastewater is heated by the heat supplied from the
그리고, 상기 폐수 처리장치는 상기 증발부(5)로부터 상기 증기를 흡입하여 압축열을 추가함으로써 포화증기 상태로 만들고, 상기 증발부(5)로부터 상기 폐수를 흡입하여 상기 포화증기와 1차적으로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포화증기는 응축수로 배출되고, 상기 폐수는 승온되어 제 2관로(L2)를 통하여 상기 증발부(5)로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증발부(5)의 폐수 증발을 가속시키는 제 1증발가속수단(7)과; 상기 제 1증발가속수단(7)과 상기 폐수 공급부(1)에 연결되며, 상기 제 1증발가속수단(7)으로 부터 공급된 상기 응축수와, 상기 폐수 공급부(1)로부터 공급되고 상기 응축수 보다 낮은 온도의 폐수를 2차적으로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응축수는 상온 상태로 배출되고, 상기 폐수는 승온되어 상기 증발부(5)로 공급시킴으로써 상기 증발부(5)의 폐수 증발을 가속시키는 제 2증발가속수단(9)과; 그리고 상기 폐수 공급부(1)와, 증발부(5)와, 제 1 및 제 2증발가속수단(7,9)을 제어하는 제어부(11)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astewater treatment device inhales the steam from the
이러한 구조를 갖는 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수 공급부(1)는 제 1관로(L1)의 일측에 연결되며 폐수가 저장되는 폐수 저장조(13)와, 상기 제 1관로(L1)상에 배치되어 상기 폐수 저장조(13)로부터 상온의 폐수를 흡입하여 후술하는 제 2열교환기(33)로 공급하는 보충수 펌프(15)를 포함한다.In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such a structure, the wastewater supply unit 1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pipe line (L1) and disposed on the wastewater storage tank (13) in which the waste water is stored, and on the first pipe line (L1). A
따라서, 상기 보충수 펌프(15)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폐수 저장조(13)에 저장된 상온의 폐수가 제 1관로(L1)를 따라 제 2열교환기(33)로 공급된 후, 상기 증발부(5)로 공급된다.Therefore, when the
이때, 폐수 처리장치의 초기 작동상태에서는 상기 2열교환기에 고온의 열매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폐수는 상기 제 2열교환기(33)에서 열교환없이 상온상태로 제 1관로(L1)를 따라 상기 증발부(5)로 공급된다.At this time, since the hot fruit is not supplied to the second heat exchanger in the initial operating state of the wastewater treatment device, the wastewater is evaporated along the first pipe line L1 in a room temperature state without heat exchange in the
그리고, 폐수 처리장치의 정상 작동시에는 상기 제 2열교환기(33)에 고온의 유체가 공급된 상태이므로 보충수 펌프(15)에 의하여 펌핑된 상온의 폐수는 상기 제 2열교환기(33)를 통과하면서 고온상태, 바람직하게는 약 90 내지 98도의 온도범위로 가열된 상태로 증발부(5)로 공급될 수 있다.In the normal operatio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device, since the fluid at a high temperature is supplied to the
상기 증발부(5)는 내부에 일정 용적의 공간이 형성되어 폐수가 저장되는 챔버(19)와; 상기 챔버(19)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1관로(L1)에 연결됨으로써 폐수가 분사되는 분사기(21)와; 상기 챔버(19)의 일측에 연결되어 챔버(19)의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기(3)와; 상기 챔버(19)의 내하부에 구비되어 폐수를 비중에 따라 분리하는 비중분리 격벽(23)과; 상기 챔버(19)의 일측에 구비되어 폐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기(25)와; 상기 챔버(19)에 구비되어 챔버(19)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기(27)를 포함한다.The
이러한 구조를 갖는 증발부에 있어서, 상기 분사기(21)는 관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관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홀들이 형성된다. In the evaporator having such a structure, the
따라서, 상기 제 1관로(L1)에 의하여 공급된 폐수는 상기 분사기(21)의 분사홀들을 통하여 챔버(19)의 내부에 분사됨으로써 일정 수위로 저장될 수 있다.Therefore, the wastewater supplied by the first pipe line L1 may be stored at a predetermined level by being injected into the
이때, 챔버(19) 내부에 저장되는 폐수의 수위는 상기 수위 감지기(25)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위 감지기(25)는 감지된 수위신호를 상기 제어부(11)에 전송한다.In this case, the water level of the wastewater stored in the
또한, 상기 온도감지기(27)는 챔버(19)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11)에 전송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가열기(3)는 열선방식, 스팀방식 등 다양한 열 공급방식이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스팀방식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즉, 스팀공급장치(도시안됨)에 의하여 가열된 일정 온도의 스팀을 챔버(19)의 내부에 공급함으로써 챔버(19)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That i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따라서, 상기 챔버(19)의 내부에 저장된 폐수중 순수한 물은 증발되어 증기상태가 됨으로써 폐수로 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refore, the pure water in the wastewater stored in the
이때, 상기 스팀의 온도는 약 90도 내지 98도 온도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챔버(19)의 내부온도는 초기 온도가 약 90도 내지 98도의 온도범위이다.At this time,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is preferably maintained at a temperature range of about 90 degrees to 98 degrees. Therefor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그리고, 상기 비중분리격벽(23)은 상기 챔버(19)의 바닥면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챔버(19)에 저장된 폐수중 비중이 높은 이물질은 이 격벽(23)에 의하여 걸러져서 챔버(19)의 하부에 침전되어 농축조로 배출된다.In addition, the specific
반면에,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이물질은 이 격벽(23)을 넘어서 제 2관로(L2)로 공급된다.On the other hand, the foreign matter having a relatively low specific gravity is supplied to the second pipeline L2 beyond the
한편, 상기 제 1증발가속수단(7)은 상기 증발부(5)에 연결되어 흡입력에 의하여 상기 증기를 흡입하여 압축시킴으로써 압축열에 의하여 포화증기 상태로 토출하는 압축기(29)와; 상기 증발부(5)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는 제 2관로(L2)상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증발부(5)로부터 폐수를 흡입하여 상기 제 2관로(L2)를 통하여 상기 증발부(5)로 복귀시키는 순환펌프(31)와; 그리고 상기 압축기(29)와 상기 순환펌프(31)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압축기(29)로부터 토출된 상기 포화증기와, 상기 순환펌프(31)로부터 토출되며 상기 포화증기보다 저온인 상기 폐수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열교환에 의하여 상기 포화증기는 응축수로 배출되고, 상기 폐수는 승온된 상태로 상기 증발부(5)로 공급되는 판형 제 1열교환기(17)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evaporation acceleration means (7) is connected to the evaporator (5) and the compressor (29) for discharging in the saturated steam state by the heat of compression by sucking and compressing the steam by the suction force; By being disposed on the second pipe line (L2) connect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evaporator (5), the waste water is sucked from the evaporator (5) and the evaporator (5) through the second pipe (L2) A
이러한 제 1증발가속수단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29)는 입측은 제 3관로(L3)를 통하여 상기 증발부(5)에 연결되며 출측은 제 4관로(L4)를 통하여 상기 제 1열교환기(17)에 연결된다.In the first evaporation acceleration means, the
이때, 상기 제 3관로(L3)는 챔버(19)의 상부에 연결됨으로써 스팀만이 유입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hird pipe line (L3)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따라서, 상기 압축기(29)가 구동하는 경우, 압축기(29)의 흡입력에 의하여 상기 챔버(19)의 내부에 증발된 증기가 제 3관로(L3)를 통하여 압축기(29)에 흡입된다.Therefore, when the
그리고, 압축기(29)에 흡입된 증기는 압축기(29)에 의하여 압축되는 과정에서 압축열이 더해짐으로써 약 105도 내지 115도 온도 범위로 가열되어 포화증기 상태가 된다.In addition, the steam sucked in the
예를 들면, 상기 압축기(29)의 출측 압력이 1.5㎏/cm2a에 도달하면 포화증기의 온도가 약 105도 내지 110도에 도달한다.For example, when the outlet pressure of the
결국, 상기 증기는 챔버(19)에서 약 90도 내지 98도의 온도범위에서 상기 압축기(29)를 통과하면서 약 105도 내지 115도의 온도범위로 가열됨으로써 포화증기 혹은 과열증기 상태가 된다.As a result, the steam is heated to a temperature range of about 105 to 115 degrees while passing through the
그리고, 상기 압축기(29)와 후술하는 순환펌프(31)가 구동하는 경우, 상기 챔버(19)의 내부 증기와 폐수가 각각 제 2관로(L2) 및 제 3관로(L3)를 통하여 압축기(29)와 순환펌프(31)로 흡입되므로 상기 챔버(19)의 내부에는 부압상태가 된다.In addition, when the
따라서, 상기 챔버(19)는 내부가 부압상태이므로, 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증발이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 증기가 보다 원활하게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상기 순환펌프(31)는 상기 제 2관로(L2)상에 배치되며, 상기 순환펌프(31)가 구동하는 경우, 상기 챔버(19)에 저장된 폐수가 제 2관로(L2)로 흡입되어, 상기 순환펌프(31)를 통하여 상기 제 1열교환기(17)로 공급된다.The
이때, 상기 제 2관로(L2)를 통하여 흡입되는 폐수는 챔버(19)의 내부에서 증발되지 않은 폐수이며, 상기 순환펌프(31)를 통하여 다시 상기 챔버(19)로 복귀되고 증기로 증발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증기상태로 정화처리된다.At this time, the wastewater sucked through the second pipe line (L2) is the wastewater that has not been evaporated inside the
그리고, 상기 제 1열교환기(17)에서는 상기 압축기(29)로부터 토출된 상대적으로 고온인 포화증기와, 상기 순환펌프(31)로부터 공급된 상대적으로 저온인 순환수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상기 제 1열교환기(17)는 바람직하게는 판형 잠열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판형 잠열 열교환기는 통상적인 구조의 열교환기를 의미한다. 물론, 판형 잠열 열교환기 이외에도 다관형 열교환기도 가능하다.The
이러한 제 1열교환기(17)는 약 105도 내지 115도의 포화증기가 약 90도 내지 98도의 순환수와 열교환을 함으로써 상기 포화증기는 냉각되어 약 101도 내지 105도의 응축수로 되고, 상기 순환수는 약 101도 내지 105도로 가열된다.The
한편, 상기 제 2증발가속수단(9)은 상기 제 1증발가속수단(7)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2증발가속수단(9)으로부터 배출된 응축수의 현열을 상기 제 1관로(L1)를 통하여 증발부(5)로 공급되는 폐수에 전달함으로써 폐수를 승온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evaporation acceleration means (9) is connected to the first evaporation acceleration means (7) to evaporate the sensible heat of condens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evaporation acceleration means (9) through the first pipe line (L1) The wastewater is heated up by transferring it to the wastewater supplied to the
이러한 제 2증발가속수단(9)은 상기 제 1열교환기(17)로부터 배출된 상기 응축수가 공급되어 응축수중의 기체를 분리하는 기액 분리기(35)와; 상기 기액분리기(35)에 연결되어 상기 기액분리기(35)로부터 공급된 응축수와, 상기 제 1관로(L1)를 따라 상기 증발부(5)로 공급되며 상기 응축수 보다 저온인 폐수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열교환에 의하여 상기 응축수는 상온 상태로 배출되는 판형 제 2열교환기(33)를 포함한다.The second evaporation acceleration means (9) includes a gas-liquid separator (35) for supplying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heat exchanger (17) to separate gas in the condensed water; Heat exchange is performed between the condensed water connected to the gas-
상기 기액분리기(35)는 통상적인 구조의 기액분리기(35)를 의미한다. 그리고, 이 기액분리기(35)는 상기 제 5관로(L5)를 통하여 공급된 응축수중 101 도 내지 105도의 온도범위에서도 응축되지 않은 증기를 응축수로부터 분리한다.The gas-
이때, 상기 기액분리기(35)에서는 증기 뿐만 아니라 용제 등의 기체도 배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as-
이와 같이, 상기 기액분리기(35)를 통과한 고온의 응축수는 약 98도 내지 102도의 온도범위로 상기 제 2열교환기(33)로 공급되어, 상대적으로 저온인 폐수와 열교환을 함으로써 상온으로 냉각된 후 배출된다.As such, the high temperature condens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gas-
상기 제 2열교환기(33)는 바람직하게는 판형 현열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물론, 판형 현열 열교환기 이외에도 다관형 열교환기도 가능하다.The
이러한 제 2열교환기(33)는 약 98도 내지 102도의 응축수가 상온의 폐수와 열교환을 함으로써 상기 응축수는 냉각되어 상온 상태가 되고, 상기 폐수는 약 92도 내지 98도로 가열된다.The
그리고, 냉각된 상기 응축수는 상기 처리수 저장조(40)에 저장되며, 가열된 상기 폐수는 제 1관로(L1)를 통하여 상기 챔버(19)로 공급된다.The cooled condensed water is stored in the treated
이와 같이, 초기에는 압축기(29)와 순환펌프(31)의 흡입력에 의하여 상기 챔 버(19)에 저장된 증기와 폐수가 순간적으로 배출되어 부압상태가 되므로, 낮은 온도에서도 폐수의 증발이 일어날 수 있음으로 초기 열에너지만에 의하여 증발이 일어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발부(5)로부터 배출된 고온의 증기가 제 1 및 제 2열교환기(17,33)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증발부(5)로 공급되는 폐수에 열에너지가 전달됨으로써 승온된 폐수가 증발부(5)에 공급되어 초기 열에너지에 추가되므로, 초기 열에너지 이외의 추가적인 열에너지가 필요하지 않은 상태에서 폐수의 증발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steam and wastewater stored in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의 작동과정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폐수를 정화처리하는 경우, 먼저, 증발부(5)의 챔버(19)에 스팀이 공급됨으로써 챔버(19) 내부 온도가 약 93도 내지 98도로 상승한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wastewater is purified using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rst, steam is supplied to the
이 상태에서 보충수 보충수 펌프(15)가 작동함으로써 폐수 저장조(13)에 저장된 폐수가 제 2열교환기(33)로 공급되고, 제 1관로(L1)를 통하여 상기 챔버(19)로 공급된다.In this state, the supplemental water
이때, 제 1열교환기(17)에서는 초기 상태라 고온의 유체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폐수에 대한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는다.At this time, in the
이와 같이, 상기 챔버(19)로 공급된 폐수는 분사기(21)에 의하여 분사됨으로써 챔버(19)의 내부에 일정 수위로 저장된다. 이때, 폐수의 일부는 챔버(19) 내부의 온도에 의하여 증발됨으로써 증기상태가 된다.As such, the wastewater supplied to the
그리고, 압축기(29) 및 순환펌프(31)가 구동함으로써 상기 챔버(19) 내부의 증기와 폐수가 제 2 및 제 3관로(L2,L3)를 통하여 챔버(19)의 외부로 순간적으로 배출된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상기 챔버(19)의 내부는 부압상태가 되므로 낮은 온도에서도 폐수가 증발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즉, 챔버(19)가 초기 상태에서는 약 90도 내지 98도의 온도범위이지만, 이 온도에서도 증발이 가능하다.Therefore, since the inside of the
이와 같이, 상기 압축기(29)에 의하여 제 3관로(L3)를 통하여 흡입된 증기는 압축기(29)를 통과함으로써 압축열이 추가되어 약 105도 내지 115도의 온도범위로 가열됨으로써 포화증기가 된다.As such, the steam sucked by the
이러한 포화증기는 제 4관로(L4)를 통하여 제 1열교환기(17)로 공급되며, 제 1열교환기(17)에서 상기 순환펌프(31)에 의하여 공급된 순환수와 열교환을 하게 된다.The saturated steam is supplied to the
이때, 상기 포화증기는 약 105도 내지 115도의 온도범위이고, 상기 순환수는 약 90 내지 98도의 온도범위이다.At this time, the saturated steam is a temperature range of about 105 degrees to 115 degrees, and the circulating water is a temperature range of about 90 to 98 degrees.
따라서, 상기 포화증기와 순환수는 제 1열교환기(17)에 의하여 서로 열교환됨으로써 상기 포화증기는 약 100도 내지 105도의 온도범위로 냉각되어 응축수가 되고, 상기 순환수는 약 101도 내지 105도의 온도범위로 가열됨으로써 상기 챔버(19)로 복귀한다.Accordingly, the saturated steam and the circulating water are exchanged with each other by the
이때, 가열된 순환수가 챔버(19)로 복귀함으로써 상기 챔버(19)의 내부 온도는 90 내지 98도의 온도범위에서 증가하여 100도 이상이 되므로 챔버(19)의 내부에 서는 보다 용이하게 폐수의 증발이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heated circulating water returns to the
한편, 상기 제 1열교환기(17)로부터 배출된 응축수는 기액분리기(35)로 공급되어 응축되지 않은 기체가 분리되고, 약 98도 내지 102도의 온도범위로 냉각되어 배출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d from the
배출된 응축수는 제 2열교환기(33)로 공급되어 제 1관로(L1)를 통하여 공급되는 폐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진다.The discharged condensate is supplied to the
즉, 제 2열교환기(33)에서는 약 98도 내지 102도의 응축수가 상온의 폐수와 열교환을 함으로써 상기 응축수는 냉각되어 상온 상태가 되고, 상기 폐수는 약 92도 내지 98도로 가열된다.That is, in the
그리고, 냉각된 상기 응축수는 상기 처리수 저장조에 저장되며, 가열된 상기 폐수는 제 1관로(L1)를 통하여 상기 챔버(19)로 공급된다.The cooled condensed water is stored in the treated water storage tank, and the heated wastewater is supplied to the
한편, 상기 챔버(19)의 폐수중 증발되지 않고 잔류하는 폐수는 비중차이에 의하여 챔버(19)의 하부에 침전되고, 농축수 저장조(41)에 저장됨으로써 재처리될 수 있다.Meanwhile, the wastewater remaining without evaporation in the wastewater of the
이와 같이, 초기에는 압축기(29)와 순환펌프(31)의 흡입력에 의하여 상기 챔버(19)에 저장된 증기와 폐수가 순간적으로 배출되어 부압상태가 되므로, 낮은 온도에서도 폐수의 증발이 일어날 수 있음으로 초기 열에너지만에 의하여 증발이 일어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발부(5)로부터 배출된 고온의 증기가 제 1 및 제 2열교환기(17,33)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증발부(5)로 공급되는 폐수에 열에너지가 전달됨으로써 승온된 폐수가 증발부(5)에 공급되어 초기 열에너지에 추가되므로, 초기 열에너지 이외의 추가적인 열에너지가 필요하지 않은 상태에서 폐수의 증발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steam and wastewater stored in th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2798A KR100954301B1 (en) | 2009-10-28 | 2009-10-28 | Apparatus for treatment wastewa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2798A KR100954301B1 (en) | 2009-10-28 | 2009-10-28 | Apparatus for treatment wastewa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54301B1 true KR100954301B1 (en) | 2010-04-22 |
Family
ID=42220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02798A KR100954301B1 (en) | 2009-10-28 | 2009-10-28 | Apparatus for treatment wastewa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54301B1 (en)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5812B1 (en) | 2011-12-23 | 2012-07-16 | 주식회사 에이치엔 | A vaporization system for recycling a super heated vapor |
KR101262811B1 (en) | 2011-02-21 | 2013-05-15 | 곽승룡 | MVR(Mechanical Vapor Re-Compressor System) Using Evaporator For Waste WATER |
KR101317757B1 (en) * | 2011-11-28 | 2013-10-18 | 장동현 | Apparatus for treatment wastewater |
WO2016148404A1 (en) * | 2015-03-19 | 2016-09-22 | 선테코 유한회사 | Distillation system using waste heat |
CN108386827A (en) * | 2018-04-06 | 2018-08-10 | 无锡诚尔鑫环保装备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steam generation facility and its application method using waste heat |
CN109095535A (en) * | 2018-10-16 | 2018-12-28 | 江苏必领能源科技有限公司 | Sewage evaporation enrichment facility and its operating method |
CN110645561A (en) * | 2019-10-31 | 2020-01-03 | 大唐郓城发电有限公司 | Waste water recycling system for steam turbine plant and operation method of waste water recycling system |
KR102447069B1 (en) * | 2021-08-09 | 2022-09-23 | 나민수 | Condensed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difference of boiling point |
KR102508335B1 (en) | 2022-08-24 | 2023-03-09 | 주식회사 네오에코 | Wastewater treatment device with circulation and electrolysis structure |
KR102568017B1 (en) | 2023-01-11 | 2023-08-18 | 주식회사 네오에코 | Wastewater treatment device with electrolysis structur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92985B1 (en) | 1998-07-14 | 2001-11-24 | 최운성 | Evaporativ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
KR100781179B1 (en) | 2006-05-22 | 2007-11-30 | 정석희 | Apparatus for concentrating |
KR20090018403A (en) * | 2007-08-17 | 2009-02-20 | 유진환경산업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purifying waste-water using a distillation under reduced pressure |
-
2009
- 2009-10-28 KR KR1020090102798A patent/KR10095430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92985B1 (en) | 1998-07-14 | 2001-11-24 | 최운성 | Evaporativ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
KR100781179B1 (en) | 2006-05-22 | 2007-11-30 | 정석희 | Apparatus for concentrating |
KR20090018403A (en) * | 2007-08-17 | 2009-02-20 | 유진환경산업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purifying waste-water using a distillation under reduced pressure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2811B1 (en) | 2011-02-21 | 2013-05-15 | 곽승룡 | MVR(Mechanical Vapor Re-Compressor System) Using Evaporator For Waste WATER |
KR101317757B1 (en) * | 2011-11-28 | 2013-10-18 | 장동현 | Apparatus for treatment wastewater |
KR101165812B1 (en) | 2011-12-23 | 2012-07-16 | 주식회사 에이치엔 | A vaporization system for recycling a super heated vapor |
WO2016148404A1 (en) * | 2015-03-19 | 2016-09-22 | 선테코 유한회사 | Distillation system using waste heat |
KR101680961B1 (en) | 2015-03-19 | 2016-11-29 | 선테코 유한회사 | Distillation system using waste heat |
CN108386827A (en) * | 2018-04-06 | 2018-08-10 | 无锡诚尔鑫环保装备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steam generation facility and its application method using waste heat |
CN109095535A (en) * | 2018-10-16 | 2018-12-28 | 江苏必领能源科技有限公司 | Sewage evaporation enrichment facility and its operating method |
CN109095535B (en) * | 2018-10-16 | 2024-03-19 | 江苏必领能源科技有限公司 | Sewage evaporation concentration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CN110645561A (en) * | 2019-10-31 | 2020-01-03 | 大唐郓城发电有限公司 | Waste water recycling system for steam turbine plant and operation method of waste water recycling system |
KR102447069B1 (en) * | 2021-08-09 | 2022-09-23 | 나민수 | Condensed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difference of boiling point |
KR102508335B1 (en) | 2022-08-24 | 2023-03-09 | 주식회사 네오에코 | Wastewater treatment device with circulation and electrolysis structure |
KR102568017B1 (en) | 2023-01-11 | 2023-08-18 | 주식회사 네오에코 | Wastewater treatment device with electrolysis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54301B1 (en) | Apparatus for treatment wastewater | |
KR101317757B1 (en) | Apparatus for treatment wastewater | |
JPH07508926A (en) | water distillation equipment | |
KR101852709B1 (en) | Vacuum membrane distillation desalination device for ship | |
RU2015129480A (en) | METHOD AND DEVICE FOR WATER RECIRCULATION | |
CN102631800B (en) | System and method for purifying mother liquor steam of polytetrafluoroethylene dispersing liquid | |
CN102557168A (en) | Heat-pipe low-temperature multi-effect sea water desalinating system and process flow | |
CN103241887A (en) |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and recycling high salinity wastewater | |
KR101769949B1 (en) | Evaporation and concentration system and method having improved energy efficiency | |
CN103910399A (en) | Garbage leachate treatment system | |
CN109292860A (en) | Falling film evaporation couples absorption refrigeration high-salt sewage processing equipment and high-salt sewage processing method | |
JP4264950B2 (en) | Evaporative concentration apparatus for aqueous waste liquid and aqueous clea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CN109095535B (en) | Sewage evaporation concentration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CN201760114U (en) | Vapor compression distilling device employing nonmetallic heat conductive hollow fiber | |
WO2008137982A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impotable water | |
US3468761A (en) | Staged vapor-liquid operated ejector arrangement for multi-stage evaporator system | |
WO2016143848A1 (en) | Fresh water-generating apparatus | |
KR20030074098A (en) |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101587123B1 (en) | Freshwater Apparatus of Seawater of MED and VMD Hybrid Type using Ejector | |
CN207581400U (en) | A kind of high concentration original cutting fluid evaporation concentration equipment | |
JP4155871B2 (en) | Vacuum evaporation concentrator | |
CN104944485A (en) | Distillation method seawater desalination system and method | |
TW201315687A (en) | Desalinization apparatus | |
KR100601350B1 (en) | vacuum evaporator | |
JP6930729B2 (en) | Evaporative heat exchang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