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504B1 - Led switch case - Google Patents

Led switch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504B1
KR100953504B1 KR1020090038774A KR20090038774A KR100953504B1 KR 100953504 B1 KR100953504 B1 KR 100953504B1 KR 1020090038774 A KR1020090038774 A KR 1020090038774A KR 20090038774 A KR20090038774 A KR 20090038774A KR 100953504 B1 KR100953504 B1 KR 100953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ublimation
switch case
case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7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희봉
남준호
Original Assignee
(주)대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산업 filed Critical (주)대성산업
Priority to KR1020090038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50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5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PURPOSE: An LED switch case is provided to form various patterns on the surface of the body of a switch case cover using a thermal sublimation transfer process. CONSTITUTION: A switch case covers a switch and includes a body(11), an LED(12), a hollow(13), and a protrusion(14). The body is comprised of a material layer and a sublimation reinforcing layer which is formed on the material layer. The switch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low. An LED is attached on the surface of the body to display the position of the switch.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ody and is fitted to the outer sides of the switch.

Description

열승화전사를 이용한 엘이디 발광 스위치케이스{LED SWITCH CASE}LED light emitting switch case using heat sublimation transfer {LED SWITCH CASE}

본 발명은 어둠속에서는 스스로의 위치를 알리며 주광에서는 미려한 모양을 갖는 스위치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having a beautiful shape in daylight and telling its position in the dark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어둠속에서 스스로의 위치를 알리며 주광에서는 미려한 모양을 갖는 스위치에 이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 형광등, 백열등 등의 실내조명을 켜고 끄기 위해서는 단순히 조명을 켜고 끄는 역할만 하는 스위치를 벽에 부착하여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조명을 켜고 끄도록 하였다. 그런데, 외출을 하였다가 밤에 들어오거나 밤이 되어 아무도 없는 건물이나 창고의 불을 켜려고 하면 이러한 스위치를 찾지 못하여 벽을 더듬거리며 찾는 경우가 많았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witch having a beautiful shape in the daylight and telling its own position in the dark, conventionally, in order to turn on and off the indoor lighting, such as fluorescent lamps, incandescent lamps, the switch merely serves to turn on and off the lights. Attached to the wall to operate the switch to turn the lights on and off. However, when I went out at night or tried to turn on the light of a building or warehouse where no one was at night, I could not find such a switch and groped the walls.

기존에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내의 조명이 소등될때 스위치 부분에 파장이 긴 붉은색 계통의 램프를 하나 두어 소등이 되었을때 스위치가 있는 부분을 알리도록 하였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disadvantages, when the lights in the room are turned off, one red lamp with a long wavelength is placed on the switch part to inform the switch part when the lights are turned off.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스위치와 전원을 같이 사용하게 되어 설치할때부터 복잡한 구조의 스위치를 설치하여야 하며 이미 스위치가 설치된 경우에는 설치된 스위치를 해체하고 다시 설치하여야만 하였다. However, this structure requires the switch and the power to be used together, and a complicated switch must be installed from the installation. If the switch is already installed, the installed switch must be disassembled and reinstalled.

또한, 이러한 스위치는 붉은색 계통의 램프를 스위치의 위치를 알리기 위해서 기능적으로만 사용하기 때문에 그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uch a switch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s appearance is not beautiful because the lamp of the red system is used only to inform the position of the switch.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스위치의 전원과 별도의 전원에 의하여 동작되며 어두운곳에서는 스위치의 위치를 알려 줄 수 있으며 밝은 곳에서는 자체의 입체적인 문양을 느낄 수 있으며 기존의 스위치에도 쉽게 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한 스위치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overcome the drawbacks described above, it is operated by the power of the switch and a separate power source. In the dark place, it can tell the position of the switch. In the bright place, it can feel its own three-dimensional pattern. It is an object to provide this possible switch cas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열승화전사를 이용한 스위치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상기 스위치케이스는 기존의 스위치를 덮어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케이스에 형성된 중공으로 노출되며 상기 스위치케이스에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스위치의 외곽면에 끼워짐으로써 결합되며, 상기 스위치케이스의 표면에는 어둠속에서 상기 스위치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엘이디가 부착된것일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switch case using thermal sublimation transfer. The switch case covers an existing switch, and the switch is exposed to a hollow formed in the switch case, and a protrusion formed in the switch case is formed of the switch case. It is coupled by being fitted to the outer surface, the surface of the switch case may be attached to the LED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switch in the dark.

상기 스위치케이스는 광센서를 더 포함하여 주위의 광량에 따라 상기 엘이디를 온오프(on/off) 하는 것일 수 있다. The switch case may further include an optical sensor to turn on / off the L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ambient light.

상기 스위치케이스의 엘이디는 스위치와 연동되어 스위치가 온(on)되는 경우 엘이디는 오프(off) 되며 스위치가 오프(off0 되는 경우 엘이디는 온(on)되는 것일 수 있다. The LED of the switch case is linked with the switch when the switch is on (on) the LED is off (off) and when the switch is off (off0) the LED may be on (on).

상기 스위치케이스는 상기 스위치의 전원과는 별도로 동작하는 내부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The switch case may further include an internal power supply that operates separately from the power of the switch.

상기 스위치케이스는 상기 스위치케이스의 소재 표면을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 소재의 배면에 열승화전사하여 무늬를 넣는 것일 수 있다.  The switch case may be a step of coating the surface of the material of the switch case and the pattern by thermal sublimation transfer on the back of the material.

상기 배면에 열승화전사하기 이전에 상기 배면에 승화보강층을 형성하는데, 상기 승화보강층은 아크릴폴리올 100중량에 대하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60내지80중량부와 광확산 소자 5내지 30중량부를 MEK (methyethylketone), DAA(diacetone alcohol), Texanol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 80내지 100중량부에 용해시키고 도포하고 섭씨 130내지 160도에서 10내지15초간 열풍건조시키는 것일 수 있다. The sublimation reinforcement layer is formed on the back before thermal sublimation on the back, wherein the sublimation reinforcement layer is 60 to 80 parts by weight of polyisocyanate and 5 to 30 parts by weight of light diffusing element based on 100 parts of acrylic polyol, MEK (methyethylketone), DAA (diacetone alcohol), one or more solvents selected from Texanol may be dissolved and applied to 80 to 100 parts by weight and hot air dried at 130 to 160 degrees Celsius for 10 to 15 seconds.

상기한 바와 같은 스위치케이스에 의하여 입체적인 문양의 형성이 가능하면서도 어두운 경우 스위치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고 기존의 스위치에 쉽게 부착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When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can be formed by the switch case as described above, in the dark, the position of the switch can be easily found, and the switch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existing switch.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스위치케이스를 기존의 스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 스위치의 구조를 변경시킴이 없이 간단히 기존의 스위치에 씌움으로써 사용이 가능하다.이를 위해서 엘 이디케이스는 상단과 하단에 기존의 스위치구조와 결합하기위한 돌출부(14)를 가지고 있으며 중앙에는 중공(13)을 가지고 있어 기존의 스위치가 중공을 지나 돌출됨으로써 기존의 스위치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본체(11)의 양단에는 엘이디 램프(12)가 형성되어 어두운곳에서도 빛을 발할 수 있도록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1 shows one embodiment of a switch according to the invention. A switch case as shown in FIG. 1 is attached to an existing switch and used. Therefore, it can be used by simply putting on the existing switch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switch. For this purpose, the LED case has protrusions 14 for coupling with the existing switch structure at the top and bottom, and hollow at the center. (13), so that the existing switch protrudes through the hollow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existing switch. In addition, LED lamps 12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11 to emit light even in a dark place.

엘이디 램프(12)는 별도의 광센서를 부착하여 광센서를 통하여 센싱되는 광량에 따라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광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광량이 적어지게 되면 자동으로 켜졌다가 밝아지게 되어 광량이 많아지게 되면 자동으로 꺼지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스위치와 스위치 케이스의 램프가 개별적으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설령 조명에 공급되는 전원이 끊겨 정전된다고 하여도 스위치의 위치를 알수 있도록 하며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정전임을 즉시 알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스위치와 램프의 전원을 공유하는 경우 정전임을 알기 위해서는 어둠속에서 벽에 있는 스위치를 찾아 작동을 시킨후에야 알 수 있었다. The LED lamp 12 may be attached to a separate optical sensor to operate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sensed through the optical sensor. That is, when the amount of light sensed through the light sensor decreases, the light is automatically turned on and then brightened, and when the amount of light increases, the light may be turned off automatically. This allows the switch and the lamp of the switch case to be operated separately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witch can be known even if the power supply to the light is cut off and the power is cut off. However, in the case of sharing the power of the switch and the lamp as in the prior art to find out the power outage was found only after operating the switch in the wall in the dark.

또한, 케이스에 공급되는 전원은 스위치에 공급되는 전원가 별도로 하더라도 조명스위치가 온(on)되었을때 케이스의 엘이디램프가 오프(off) 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ower supplied to the case may be such that the LED lamp of the case is turned off when the light switch is turned on, even if the power supplied to the switch is separate.

케이스에 공급되는 전원은 별도의 소형전지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계속적으로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Power supplied to the case may be to use a separate small battery and can be continuously charged using a solar cell.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은 스위치 케이스를 제작함에 있어서, 일반적인 플라스틱재질의 케이스에 엘이디 램프만 결합한 것이라면 그 외관이 기존의 스위치에 붉은색 계통의 램프를 부착한것과 큰 차이가 없게 된다. 그래서, 케이스 자체에 승화인쇄 처리를 함으로써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띠도록 한다. 즉, 조명을 켠상태에서는 주위가 밝아 스위치 케이스의 문양이 눈에 뜨이도록 하고 조명을 켜지 않은 상태에서는 케이스의 엘이디램프가 발광하도록 하여 스위치의 위치를 찾기 쉽도록 한다. In manufacturing the switch case as in the above embodiment, if only the LED lamp is coupled to the case of a general plastic material, the appearance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attaching a red lamp to the existing switch. Therefore, the sublimation printing process is applied to the case itself, so that an elegant image can be obtained. That is, when the lighting is turned on, the surroundings are bright so that the pattern of the switch case is visible, and when the lighting is not turned on, the LED lamp of the case emits ligh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witch can be easily found.

그런데 종래의 인쇄방법에 의할 때 종래의 인쇄방법은 플라스틱소재의 외면에 그대로 인쇄하거나 투명한 시트의 배면에 인쇄를 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인쇄방식은 평면적인 무늬만을 인쇄할 뿐이어서 표현할 수 있는 형상이 매우 단순하여 눈길을 끌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printing method, the conventional printing method is to prin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lastic material as it is or to print on the back of the transparent sheet. However, this printing method only prints a flat pattern, and thus the shape that can be expressed is very simple, and it was often unnoticeable.

본 발명에서는 스위치케이스에 미려한 문양을 넣되 문양이 입체감을 갖도록 하며 평소에는 엘이디램프가 상기 문양에 포함되어 잘 보이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스위치케이스의 표면에 외관코팅을 한다. 외관코팅은 스위치케이스의 소재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코팅하여 열건조 및 UV 건조시키도록 하여 케이스의 표면을 고급스럽게 도장한다. 이러한 도장이전에 스위치케이스의 표면에 문양을 인쇄할 수도 있다. 이때의 문양인쇄도 승화전사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beautiful pattern is put in the switch case so that the pattern has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usually an LED lamp is included in the pattern so that it is not easily seen. For this purpose, external coating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witch case. Exterior coating coats the surface of the case by spray coating the material of the switch case for heat drying and UV drying. The pattern may be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switch case prior to the coating. At this time, the pattern printing may also use a sublimation transcription method.

이후, 전사지에 전사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를 할 문양을 출력한후 전사지를 스위치케이스의 배면에 부착한다. 이후 열판을 전사지에 대고 승화전사를 시키게 된다. 열승화전사는 섭씨 120도 정도에서 승화전사가 가장 잘 일어나지만 섭씨 100도 이상으로 열판을 가열하는 경우 소재 변형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섭씨 70도에서 100도 사이에서 45초 내지 2분간 가열하여 열 승화전사 처리를 하게 된다. 아대 전사프린팅 용지의 이미지 출력에 사용된 전사잉크가 고온으로 인해 기체상태로 전환되어 기화되면서 엘이디케이스 소재의 표면에 전사된다. 열승화전사는 1회에 그치지 않고 필요한 경우 여러 번 반복할 수 있다. 이러한 열승화전사는 엘이디케 이스 소재에 칼라를 침투시키게 된다. 그런데 엘이디케이스 소재가 투명한 재질이며 표면에 인쇄된 인쇄물은 소재내부를 빛이 통과하면서 굴절되도록 할 수 있다. Then, after printing the pattern to be printed using a transfer ink on the transfer paper and attach the transfer paper to the back of the switch case. Subsequently, the sublimation warrior is placed on the transfer sheet. Thermal sublimation transfer is best performed at 120 degrees Celsius, but if the heating plate is heated to 100 degrees Celsius or higher, material deformation may occur. Therefore, heat sublimation is performed by heating for 45 seconds to 2 minutes between 70 degrees Celsius and 100 degrees Celsius. The transfer process is performed. The transfer ink used to print the image of the transfer printing paper is transferred to the gas state due to the high temperature and vaporized and transferred to the surface of the LED case material. The thermal sublimation transfer is not limited to one but can be repeated as many times as necessary. This thermal sublimation will infiltrate the color into the LED material. By the way, the LED case material is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printed matter printed on the surface can be refracted as light passes through the material.

또한, 표면에는 전사지에 전사한 인쇄물과 같은 그림을 인쇄하고 배면에는 열승화전사처리를 함으로써 승화전사 후에 소재를 통하여 보이는 문양이 입체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배면에 열승화전사를 하기 때문에 엘이디 케이스의 소재는 투명한 재질의 수지, 유리, 강화유리등이 될 수 있다. In addition, by printing a picture such as a printed material transferred to the transfer paper on the surface and the thermal sublimation transfer treatment on the back, the pattern seen through the material after the sublimation transfer can feel a three-dimensional impression. Since the thermal sublimation on the back, the material of the LED case may be transparent resin, glass, tempered glass, and the like.

열전사승화단계 이후에는 인쇄된 그림이나 문양에 맞추어 적당한 위치에 엘이디(12)를 설치하도록 한다. 도면에서는 본체(11)의 양쪽 단에 엘이디를 배치하였으나 문양의 모양에 따라 엘이디의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After the thermal transfer sublimation step to install the LED 12 in a suitable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inted picture or pattern. In the drawing, although the LEDs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11, the positions of the LEDs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pattern.

도2는 이러한 열전사승화 방식을 이용한 스위치케이스의 제작방법을 도시한다. 그런데 통상의 열전사승화는 섭씨 200도 내외에서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합성수지와 같은 경우에는 소재 변형이 일어나기 때문에 섭씨100도 이하의 온도로 열전사승화가 쉽게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열전사승화단계 이전에 소재의 표면에 승화보강층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승화보강층은 낮은 온도에서도 열전사 승화가 보다 더 잘 일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열전사승화가 이루어지는 곳에 소재의 배면에 박막형태로 형성한다. Figure 2 show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witch case using such a thermal transfer sublimation method. However, the general thermal transfer sublimation is performed at about 200 degrees Celsius. In this case, since the material deformation occurs in the case of synthetic resins, in order to make the thermal transfer sublimation easily at a temperature below 100 degrees Celsius, It is possible to form a sublimation reinforcement layer on the surface. The sublimation reinforcement layer is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on the back of the material where the thermal transfer sublimation is performed so that the thermal transfer sublimation even better at low temperatures.

상기 승화보강층은 광투과성 수지와 1종류 이상의 광확산소자를 유기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것을 도포한 후에 유기용제를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필요한 경우 경화제를 이용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 광확산소자는 승화보강층의 내에서 빛이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함으로써 승화보강층에 승화전사되는 인쇄물이 보다 잘 보일 수 있도록 한다. The sublimation reinforcing layer is formed by applying an organic solvent dissolved or dispersed in a light-transmissive resin and at least one light diffusing element, followed by drying the organic solvent. If necessary, the curing agent may be used. The light diffusing element allows light to be uniformly diffused in the sublimation reinforcement layer so that the printed matter sublimated onto the sublimation reinforcement layer can be seen more clearly.

광투과성 수지는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수지, 폴리에스테르계수지, 폴리염화비닐계수지 등을 포함한 각종 수지가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아크릴폴리올,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적당량 섞은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물성이 좋다. As the light transmissive resin, various resins including acrylic resins, polyurethane resins, polyester resins, polyvinyl chloride resins, and the like may be used. Preferably, resins containing an appropriate amount of acryl polyol and polyisocyanate are used.

광확산소자는 실리카, 탄산칼슘, 이산화티탄, 수산화알루미늄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As the light diffusing element, at least one of silica, calcium carbonate, titanium dioxide, and aluminum hydroxide may be selected.

상기 광투과성 수지와 광확산 소자를 용해시키는 유기용제는 MEK (methyethylketone), DAA(diacetone alcohol), Texanol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한다. The organic solvent for dissolving the light-transmissive resin and the light diffusing element uses at least one solvent selected from MEK (methyethylketone), DAA (diacetone alcohol), Texanol.

일예로, 아크릴폴리올 100중량에 대하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60내지80중량부와 광확산 소자 5내지 30중량부를 MEK (methyethylketone), DAA(diacetone alcohol), Texanol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 80내지 100중량부에 용해시키고 배면에 도포하게 된다. 도포후에는 섭씨 130내지 160도에서 10내지15초간 열풍 건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승화보강층에 승화전사를 시키는 경우 섭씨 100도 이하의 온도에서 승화전사 시킨다고 하여도 쉽게 승화전사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열풍건조시 섭씨 100도를 넘어가는 온도에 노출되지만 노출시간이 짧기 때문에 소재에 변형이 오지는 않는다 For example, 60 to 80 parts by weight of polyisocyanate and 5 to 30 parts by weight of light diffusing element are dissolved in 80 to 10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solvents selected from MEK (methyethylketone), DAA (diacetone alcohol) and Texanol based on 100 parts of acryl polyol. It is applied to the back side. After application, hot air can be dried for 10 to 15 seconds at 130 to 160 degrees Celsius. When the sublimation transfer to the sublimation reinforcement layer formed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sublimation transfer at a temperature of less than 100 degrees Celsius has the advantage of easy sublimation transfer. During hot air drying, it is exposed to temperatures exceeding 100 degrees Celsius, but the deformation is not caused by the short exposure time.

이러한 승화보강층은 다수개 형성하고 승화전사함으로써 보다 입체적인 문양 을 얻을 수 있다. By forming a plurality of such sublimation reinforcement layer and sublimation transcription can obtain a more three-dimensional pattern.

도3의 a는 도1과 같은 형태의 엘이디케이스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3의b는 엘이디 케이스가 아닌 기존의 스위치에 본 발명에서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제작한 스위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기존의 스위치를 승화전사식으로 만드는 경우에는 엘이디를 설치하는 자리를 미리 가공한후에 코팅을 하고 승화인쇄를 하게 된다. Figure 3a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LED case of the form as shown in FIG. Figure 3b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switch manufactured by applying the same metho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isting switch, not the LED case. When the existing switch is made of sublimation transfer type, the seat for installing the LED is pre-processed, then coated and sublimated printing.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엘이디케이스의 단면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으로 엘이디케이스의 일부를 절단하여 확대한 일예이다. 도면에서 코팅층(21)이 소재층(22)에 비해 두껍게 표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상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Figure 4 is a view showing in more detail the cross-section of the LED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ample of the enlarg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LED case. Although the coating layer 21 is thicker than the material layer 22 in the drawing, this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소재층(22)에 다소 소재에 열승화 전사 작업으로 인해 잉크(24)를 침투시켜 문양을 만들어 내며 잉크가 침투한 것을 볼 수 있다. 승화보강층(23)을 만들어 열승화 전사를 시킨경우 도면과 같이 승화보강층과 소재층에 잉크가 침투되거나 승화보강층에만 잉크가 침투될 수 있다. 열승화전사를 한후에는 도면과 같이 그 아래에 다시 코팅층을 하나 더 만들어 인쇄된 문양이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보다 입체적인 문양을 얻기 위해 승화보강층을 여러층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It can be seen that the ink layer penetrates the ink layer 24 due to the heat sublimation transfer operation to the material layer 22 to form a pattern and penetrates the ink. When the sublimation reinforcement layer 23 is made to perform thermal sublimation transfer, ink may penetrate into the sublimation reinforcement layer and the material layer or penetrate only the sublimation reinforcement layer as shown in the drawing. After thermal sublimation transfer, one more coating layer can be formed below to prevent the printed pattern from being damaged, and multiple sublimation reinforcement layers can be formed to obtain a more three-dimensional pattern.

또한 소재층(22)의 표면에는 일정한 문양을 인쇄함으로써 표면과 배면의 문양이 입체감을 느끼도록 할 수도 있다. 소재층의 표면에도 열승화전사 방식을 이요하여 인쇄할 수 있으며 기타 다른 방법에 의한 인쇄도 가능하다. 또한, 소재층의 표면이나 배면에 유사한 문양을 집어넣음으로써 입체적으로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표면과 배면에 여러층의 승화보강층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printing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material layer 22, the surface and the pattern on the back may be felt three-dimensional. Thermal sublimation can be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material layer, and printing by other methods is also possibl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ke it appear three-dimensional by inserting a similar pattern on the surface or the back of the material lay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orm multiple sublimation reinforcement layers on the surface and the back.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커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witch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커버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2 is a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method of a switch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스위치커버와 스위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witch cover and a switch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도1의 스위치커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witch cover of FIG.

Claims (6)

스위치케이스로서, As a switch case, 상기 스위치케이스는 기존의 스위치를 덮어서 사용하여, 기존의 스위치가 상기 스위치케이스에 형성된 중공으로 노출되며 상기 스위치케이스에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스위치의 외곽면에 끼워짐으로써 결합되며, The switch case is used by covering the existing switch, the existing switch is exposed to the hollow formed in the switch case and the protrusion formed in the switch case is coupled by fitt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witch, 상기 스위치케이스의 표면에는 어둠속에서 상기 스위치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엘이디가 부착되며,The surface of the switch case is attached with an LED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switch in the dark, 상기 스위치케이스는 상기 스위치의 전원과는 별도로 동작하는 내부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The switch case further includes an internal power supply that operates separately from the power of the switch, 상기 스위치 케이스는 스위치케이스를 이루는 소재층위에 승화보강층을 더 포함하며 열승화하여 전사된 무늬는 승화보강층과 소재층에 침투되어 무늬를 형성하며The switch case further includes a sublimation reinforcement layer on the material layer constituting the switch case, and the pattern transferred by heat sublimation penetrates into the sublimation reinforcement layer and the material layer to form a pattern. 상기 승화보강층은 아크릴폴리올 100중량에 대하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60내지80중량부와 실리카, 탄산칼슘, 이산화티탄, 수산화알루미늄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 선택되며 승화보강층의 내에서 빛이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함으로써 승화보강층에 승화전사되는 인쇄물이 보다 잘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광확산 소자 5내지 30중량부를 MEK (methyethylketone), DAA(diacetone alcohol), Texanol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 80내지 100중량부에 용해시키고 도포하고 섭씨 130내지 160도에서 10내지15초간 열풍건조시켜서 제작된 스위치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케이스The sublimation reinforcing layer is selected from any one of 60 to 80 parts by weight of polyisocyanate, silica, calcium carbonate, titanium dioxide and aluminum hydroxide with respect to 100 parts of acrylic polyol, and sublimes to the sublimation reinforcing layer by allowing light to be uniformly diffused in the sublimation reinforcing layer. 5 to 30 parts by weight of a light diffusing element for dissolving the printed material is dissolved and applied to 80 to 10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solvents selected from MEK (methyethylketone), DAA (diacetone alcohol) and Texanol Switch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 case manufactured by drying the hot air for 10 to 15 seconds in the fig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038774A 2009-05-02 2009-05-02 Led switch case KR1009535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774A KR100953504B1 (en) 2009-05-02 2009-05-02 Led switch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774A KR100953504B1 (en) 2009-05-02 2009-05-02 Led switch ca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504B1 true KR100953504B1 (en) 2010-04-19

Family

ID=42220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774A KR100953504B1 (en) 2009-05-02 2009-05-02 Led switch c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50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491Y1 (en) * 2000-10-31 2001-04-02 주식회사화진 Switch box cover for interior decoration
JP2003223825A (en) * 2002-01-29 2003-08-08 Yamamoto Co Ltd Switch panel cover with photosensitive sensor
KR200371685Y1 (en) * 2004-10-19 2005-01-03 송정헌 Switch combined with Lam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491Y1 (en) * 2000-10-31 2001-04-02 주식회사화진 Switch box cover for interior decoration
JP2003223825A (en) * 2002-01-29 2003-08-08 Yamamoto Co Ltd Switch panel cover with photosensitive sensor
KR200371685Y1 (en) * 2004-10-19 2005-01-03 송정헌 Switch combined with Lam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315237B2 (en) Surface emitting body and internally illuminated sign having the surface emitting body assembled therein
KR100757016B1 (en) Fabric sheet for decoration or interior and manufacture method of it
CN207644298U (en) Moulded parts, the decoration for vehicle interior compartment and the inside gadget for vehicle interior compartment
US20020157173A1 (en) Integrated helmet illumination system
US9539937B2 (en) Vehicle step lamp
HK1141768A1 (en) Vision control panel assembly with a contrasting colored liner
KR100953504B1 (en) Led switch case
US20110045415A1 (en) Lamp with heat-responsive decoration
BR102015024125A2 (en) photoluminescent lamp for vehicle sill
KR200490473Y1 (en) Channel apparatus for outdoor advertising
CN206618942U (en) A kind of full-color film projecting lamp
JP2009209531A (en) Laminate with light-emitting function
KR102036445B1 (en) LED commemorative plaque and manufacturing method
KR0159054B1 (en) Emitting sticker manufacturing method
JP2004139811A (en) Shade of lighting fixture
CN210662391U (en) Color-changeable lamp
CN202791431U (en) Novel light-emitting diode (LED) lamp
CN207034943U (en) A kind of EL sheet safe marker lamp
KR100303132B1 (en) An advertisement appliance
CN205637417U (en) Wall paper with light emission function
KR200305006Y1 (en) Bulb cover using Zion Ink
KR100593797B1 (en) Multi-display sheet for presenting real image
CN217676234U (en) Elevator car and elevator system
CA2528798C (en) Spa lighting system
KR20060068916A (en) Decoration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