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434B1 - 골밀도 측정기 - Google Patents

골밀도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434B1
KR100953434B1 KR1020090128793A KR20090128793A KR100953434B1 KR 100953434 B1 KR100953434 B1 KR 100953434B1 KR 1020090128793 A KR1020090128793 A KR 1020090128793A KR 20090128793 A KR20090128793 A KR 20090128793A KR 100953434 B1 KR100953434 B1 KR 100953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subject
camera
ray
ray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엠텍
Priority to KR1020090128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4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04Bones
    • A61B5/4509Bone density deter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8Diagnostic techniques
    • A61B6/485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fluorescence X-ray ima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밀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골밀도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골밀도를 측정할 피사체가 배치되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X선을 발진시키는 X선 발생기와; 상기 X선 발생기에서의 X선을 수신하여 케이스의 삽입부에 배치되는 피사체 상을 수신하는 X선 검출부와; 상기 X선 검출부에서 수신한 피사체 상의 방향성을 바꾸도록 반사시키는 반사부와;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된 피사체 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와 연동하여 카메라로부터 받은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 및 디스플레이하는 분석수단 및 발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골밀도 측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X선 검출부에서 검출한 피사체 상을 직각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형성하여, X선 검출부와 카메라 사이의 이격 거리를 좁히더라도 X선 검출부의 피사체 상 전체를 촬영할 수 있으며, 특히, X선 검출부와 45°의 각도로 틀어져 피사체 상을 반사하여 피사체 상의 왜곡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골밀도, 거울, 반사, 거리

Description

골밀도 측정기{Apparatus of measuring bone mineral density}
본 발명은 골밀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골밀도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X선 검출부에서 검출한 피사체 상을 직각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형성하여, X선 검출부와 카메라 사이의 이격 거리를 좁히더라도 X선 검출부의 피사체 상 전체를 촬영할 수 있으며, 특히, X선 검출부와 45°의 각도로 틀어져 피사체 상을 반사하여 피사체 상의 왜곡이 발생하지 않는 골밀도 측정에 관한 것이다.
골다공증이란 골의 조성(무기질과 유기질의 비율)은 정상인데 골량이 비정상적으로 감소하여 정상적 활동을 하지 못하는 질환으로서, 이러한 골다공증을 검사하기 위해 골밀도 측정기를 통해 뼈의 밀도를 측정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뼈의 밀도를 측정하는 종래의 골밀도 측정기는 X선이나 초음파를 생성시켜, 피사체(인체의 손이나 발 등)에 빛을 투과한 후 이를 이미지화 시켜 소프트웨어가 내장된 분석수단을 통해 골의 밀도를 측정한다.
이 중, X선을 이용한 골밀도 측정기를 살펴보면, 도 1에서와 같이 X선 발생기(110)와,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피사체가 배치되는 삽입부(120)와, X선 발생 기(110)에 의해 방사된 X선이 피사체를 통과하여 형성되는 피사체 상을 수신하는 X선 검출부(130)와, 상기 X선 검출부(130)의 피사체 상을 촬영하는 카메라(CA) 및 카메라(CA)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피사체 상의 골밀도를 분석하는 분석수단(PC)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골밀도 측정기(100)는 카메라(CA)를 통해 X선 검출부(130)의 피사체 상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거리가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X선 검출부(130)와 카메라(CA) 간의 이격 거리가 넓어져, 제품의 크기가 필요 이상으로 커지게 되는 문제점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골밀도 측정기는 골밀도를 측정할 피사체가 배치되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X선을 발진시키는 X선 발생기와; 상기 X선 발생기에서의 X선을 수신하여 케이스의 삽입부에 배치되는 피사체 상을 수신하는 X선 검출부와; 상기 X선 검출부에서 수신한 피사체 상의 방향성을 바꾸도록 반사시키는 반사부와;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된 피사체 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와 연동하여 카메라로부터 받은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 및 디스플레이하는 분석수단 및 발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골밀도 측정기에 형성된 X선 검출부는 형광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골밀도 측정기에 형성된 반사부는, 일측으로는 X선 검출부를 결합하는 제1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카메라를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형성한 반사부 케이스와, 상기 반사부 케이스의 제1, 2 결합부 사이에 반사체를 구성하되, 상기 반사체는 X선 검출부에서 수신한 피사체 상을 직각방향으로 반사하도록 X선 검출부와 45°의 각도로 틀어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골밀도 측정기에 형성된 반사부의 반사체는 평면 거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골밀도 측정기에 형성된 카메라는 X선 검출부와 직각이 되는 위치에서 반사부에 반사된 피사체 상을 촬영하여 왜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골밀도 측정기는 X선 검출부에서 검출한 피사체 상을 직각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형성하여, X선 검출부와 카메라 사이의 이격 거리를 좁히더라도 X선 검출부의 피사체 상 전체를 촬영할 수 있으며, 특히, X선 검출부와 45°의 각도로 틀어져 피사체 상을 반사하여 피사체 상의 왜곡이 발생하지 않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삽입부(I)를 형성한 케이스(C)가 형성된다.
또한, X선 발생기(10)는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X선 제어장치, 고전압발생장치, X선관 하나로 형성되어 직진성을 갖는 X선을 생성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사항이기에 상세한 언급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C)의 삽입부(20)에는 다양한 형태의 피사체(인체의 손이나 발, 등)의 골밀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X선 검출부(30)는 상기 X선 발생기(10)에서의 발생한 X선이 케이스 (C)의 삽입부(I)에 삽입되어 있는 피사체에 빛을 조사하여 맺힌 피사체 상이 맺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X선 검출부(3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형광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반사부(40)는 상기 X선 검출부(30)에 맺힌 피사체 상을 각도를 변화시켜서 방향성을 바꾸도록 반사킬 수 있게 구성된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반사부(40)는 X선 검출부(30)를 결합하는 제1 결합부(41a)와, 카메라(CA)를 결합할 수 있는 제2 결합부(41b)로 이루어진 반사부 케이스(41)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반사부 케이스(41)의 제1, 2 결합부(41a, 41b) 사이에는 반사체(4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체(42)는 제1 결합부(41a)에 결합되어 있는 X선 검출부(30)의 피사체 상을 직각방향으로 반사하도록 X선 검출부(30)와 45°의 각도로 틀어져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반사부(40)에서 반사된 X선 검출부(30)의 피사체 상을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카메라(CA)와 상기 카메라(CA)에서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분석수단(PC) 및 전원을 공급할수 있는 발진부(P)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CA)는 통상의 디지털 카메라 형태로 구성되고, 분석수단(PC)은 카메라(CA)에서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골밀도를 분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내장된 퍼스널 컴퓨터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CA)는 X선 검출부(30)와 직각이 되는 위치에서 반사부(40)에 반사된 피사체 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골밀도 측정기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골밀도 측정기(50)를 이용하여 골밀도를 측정하고자 할 때에는 통상의 전원을 발진부(P)를 통해 인가하고, 분석수단(PC)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분석수단(PC) 내의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뼈의 밀도를 측정하기 위해 케이스(C)의 삽입부(I)에 손이나 발 등을 안착시키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X선 발생기(10)에서는 직진성을 갖는 X선을 발생시켜, 케이스(C)의 삽입부(I)에 안착된 피사체로 X선이 방출되어, X선 검출부(30)에 의해 피사체 상이 맺히게 된다.
한편, 상기 X선 검출부(30)에 맺힌 피사체 상은 반사부(40)의 반사체(42)에 전달되어 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전체적인 크기를 축소하고자 평면 거울로 이루어진 반사체(42)를 X선 검출부(30)와 45° 각도로 틀어서 형성시킴으로써, X선 검출부(30)와 카메라(CA)의 거리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카메라(CA)의 경우 X선 검출부(30)와 직각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X선 검출부(30)에 맺힌 피사체 상을 촬영할 때에 왜곡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거울을 통해 반사되는 피사체는 실제 거리보다 더 멀리에 피사체가 있는 것으로 보이게 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반사부(40)의 반사체(42)를 배치하게 되면, 실제 X선 검출기(30)와 반사부(40)의 반사체(42) 및 카메라(CA)의 거리가 종전보다 짧더라도 카메라(CA)를 통해 X선 검출부(30)의 피사체 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되며, X선 검출기(30) 및 카메라(CA)와 정확하게 45°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반사부(40)의 반사체(42)에 의해 파사체 상의 왜곡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구성의 반사부(40)를 통해 전체 크기를 축소하여 제품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구속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 가능함을 명시한다.
도 1은 종래의 골밀도 측정기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밀도 측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밀도 측정기의 평면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케이스 CA:카메라 P:발진부 PC:분석수단 I:삽입부
10:X선 생성부 30 : X선 검출부
40:반사부 41:반사부 케이스 41a, 41b:제1, 2 결합부 42:반사체
50:골밀도 측정기

Claims (5)

  1. 골밀도를 측정할 피사체가 배치되는 삽입부(I)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C);
    X선을 발진시키는 X선 발생기(10);
    상기 X선 발생기(10)에서의 X선을 수신하여 케이스(C)의 삽입부(I)에 배치되는 피사체 상을 수신하는 X선 검출부(30);
    상기 X선 검출부(30)에서 수신한 피사체 상의 방향성을 바꾸도록 반사시키도록, 일측으로는 X선 검출부(30)를 결합하는 제1 결합부(41a)와 제2 결합부(41b)를 형성한 반사부 케이스(41)와, 상기 반사부 케이스(41)의 제1, 2 결합부(41a, 41b) 사이에 반사체(42)를 구성하되, 상기 반사체(42)는 X선 검출부(30)에서 수신한 피사체 상을 직각방향으로 반사하도록 X선 검출부(30)와 45°의 각도로 틀어져 구성된 반사부(40);
    상기 반사부(40)에서 반사된 피사체 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제2 결합부(41b)에 결합하는 카메라(CA);
    상기 카메라(CA)와 연동하여 카메라(CA)로부터 받은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 및 디스플레이하는 분석수단(PC) 및 발진부(P)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골밀도 측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X선 검출부(30)는 형광지인 것에 특징이 있는 골밀도 측정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40)의 반사체(42)는 평면 거울인 것에 특징이 있는 골밀도 측정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CA)는 X선 검출부(30)와 직각이 되는 위치에서 반사부(40)에서 반사된 피사체 상을 촬영하여 왜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골밀도 측정기.
KR1020090128793A 2009-12-22 2009-12-22 골밀도 측정기 KR100953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793A KR100953434B1 (ko) 2009-12-22 2009-12-22 골밀도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793A KR100953434B1 (ko) 2009-12-22 2009-12-22 골밀도 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434B1 true KR100953434B1 (ko) 2010-04-20

Family

ID=42220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793A KR100953434B1 (ko) 2009-12-22 2009-12-22 골밀도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4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180B1 (ko) 2012-09-05 2013-05-27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단색광 이중 에너지 엑스선 발생장치를 이용한 골밀도 측정장치
KR101688810B1 (ko) 2015-09-22 2016-12-22 주식회사 메디코어스 선형 디텍터를 이용한 면상 엑스선 촬영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955A (ko) * 2001-03-17 2002-09-28 주식회사 티아이티씨 의료 영상 검출장치 및 방법
KR20050053488A (ko) * 2004-11-03 2005-06-08 윤지현 증감지 비투과방식의 구조를 이용한 골밀도 진단장치
KR200415744Y1 (ko) 2005-12-23 2006-05-08 모성희 골밀도 및 성장판 진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955A (ko) * 2001-03-17 2002-09-28 주식회사 티아이티씨 의료 영상 검출장치 및 방법
KR20050053488A (ko) * 2004-11-03 2005-06-08 윤지현 증감지 비투과방식의 구조를 이용한 골밀도 진단장치
KR200415744Y1 (ko) 2005-12-23 2006-05-08 모성희 골밀도 및 성장판 진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180B1 (ko) 2012-09-05 2013-05-27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단색광 이중 에너지 엑스선 발생장치를 이용한 골밀도 측정장치
KR101688810B1 (ko) 2015-09-22 2016-12-22 주식회사 메디코어스 선형 디텍터를 이용한 면상 엑스선 촬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8667B2 (en) Intraoral scanning apparatus
US10806347B2 (en) Photoacoustic measurement apparatus and probe for photoacoustic measurement
CN103371804B (zh) 对象信息获取装置及其控制方法
US20150234047A1 (en) Foreign-matter 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matter in powder using terahertz pulse wave
EP3441001B1 (en) Position detectors for in-vivo devices and methods of controlling same
CN106793950B (zh) 使用电磁辐射的非侵入式原位葡萄糖水平检测
RU2009101910A (ru) Рентгенограф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изуализации обследуемого объекта
JP2008281399A (ja) 三次元測定装置及び携帯型計測器
CN113375583A (zh) 光路系统、单目三维图像采集系统及三维应变检测系统
JP2009520980A (ja) 光学的な測定デバイス
KR100953434B1 (ko) 골밀도 측정기
TW201606295A (zh) X射線分析用試板及螢光x射線分析裝置
JP2005509483A (ja) 撮像方法および装置
US20220092805A1 (en) Optical caliper for 3-d endoscopic imaging and measurement
CN106441655A (zh) 玻璃表面应力检测装置
WO2019189293A1 (ja) フランジ間計測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JP7004947B2 (ja) 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JP2015533301A (ja) コンピュータx線撮影(CR)位置決め方法およびシステム
TWI652044B (zh) 手持式放射線影像偵測系統以及其操作方法
US6765684B2 (en) Surface shape measurement apparatus
Das et al. A compact structured light based otoscope for three dimensional imaging of the tympanic membrane
JPH01196551A (ja) 骨塩定量分析装置
JP2983421B2 (ja) 骨計測方法及び装置
JP2004340583A (ja) X線測定装置
JP2011180044A (ja) 光束平行度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