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539B1 - 실시간 광케이블 장애 감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광케이블 장애 감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539B1
KR100952539B1 KR1020070097930A KR20070097930A KR100952539B1 KR 100952539 B1 KR100952539 B1 KR 100952539B1 KR 1020070097930 A KR1020070097930 A KR 1020070097930A KR 20070097930 A KR20070097930 A KR 20070097930A KR 100952539 B1 KR100952539 B1 KR 100952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cable
intelligent
time
fail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2572A (ko
Inventor
오규환
이범석
최효열
정광균
현덕화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70097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539B1/ko
Publication of KR20090032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1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 reflected signal, e.g. using 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s [OTD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3Arrangements for fault recovery
    • H04B10/032Arrangements for fault recovery using working and protec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광케이블 장애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초고속정보통신망의 근간을 이루는 광케이블에 대한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N*N 인텔리전트 광스위치 기술을 시간영역 반사광 측정장치(OTDR) 기술과 접목하여 실시간으로 수용된 광코어의 광송수신 레벨을 감시하고 운용서버의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 및 미사용 광케이블의 자동 또는 장애연동 측정을 통한 이상유무를 파악하게 된다. 또한, 장애 발생과 같은 이상시에는 원격지 경보발생과 SMS 연동을 통한 메시지 전달, 장애정보의 데이터 베이스화 및 GIS 연계를 통한 GUI 인터페이스 기능을 구현하여 운용자가 광스위치를 원격으로 조정하여 무순단 절체를 통해 설비의 건전성 및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광케이블, 광스위치, OTDR, 무순단 절체

Description

실시간 광케이블 장애 감시 장치 및 방법{Real-time Monic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bstacle in Optical Cable}
본 발명은 실시간 광케이블 장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간으로 광케이블의 송수신 레벨을 감시하고 광케이블의 특성을 자동 및 장애연동 측정함과 아울러, 사용중인 광케이블을 무순단 절체한 후에 측정하여 광케이블의 장애 징후를 사전에 파악한 후에 단국 장애를 사전에 예방하도록 한 실시간 광케이블 장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자연 재해 및 인위적인 사고 발생으로 인한 광케이블의 장애 발생의 빈도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기존에 설치된 광케이블의 내용연수의 경과로 인한 광케이블의 특성이 열화 및 감쇠됨으로 인해 광케이블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종래의 광케이블의 감시 방법은, 광커플러나 필터, 광써큘레이터 및 스프린터 등의 부가 장치를 광선로의 인입, 인출단에 직접 삽입해야만 광케이블 측정용 광파장을 인입시킬 수 있고 미세 신호의 레벨을 검출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의 광케이블의 감시 방법은, 기존 선로에 접속개소의 추가로 인한 장애가 유발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아울러 광케이블의 광특성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광케이블의 송수신 레벨을 감시하고 광케이블의 특성을 자동 및 장애연동 측정할 수 있는, 실시간 광케이블 장애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를 통하여 사용중인 광케이블을 무순단 절체한 후에 측정할 수 있어 광케이블의 장애 징후를 사전에 파악한 후에 단국 장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실시간 광케이블 장애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간 광케이블 장애 감시 장치는, 제1 및 제2 광선로 분배반에서 인입된 광케이블을 인(IN) 및 아웃(OUT) 단자에 맞게 수용하고 수용된 광케이블의 송수신 광레벨 상태를 실시간 검출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결하여 자동 및 수동 절체 명령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와; 상기 광케이블의 상태를 주기 설정에 따른 자동 및 수동 측정을 실시간 수행하고 선로의 손실값 및 측정거리에 따른 자동 및 수동 측정을 실시간으로 수행하고 선로의 손실값 및 측정거리를 파형으로 표시하고 저장하는 OTDR 모듈과; 상기 광케이블에 대한 상태 및 장애 감시, 원격 측정 및 제어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CPU 모듈과; 상기 제1 및 제2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송수신 레벨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장애 경보를 발령하고, 탑재된 운용 프로그램의 설정상태에 따라 장애경보가 발생한 광단국이 사용하고 있는 송수신 케이블을 자국과 대국의 양단에서 별도의 TCP/IP 제어라인으로 전송된 동기화된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를 통해 무순단 절체를 수행하여 사용 광선로를 변경시킨 후 상기 OTDR 모듈에 의해 계통의 이상 유무를 측정하고 판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 상기 OTDR 모듈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데이터 송수신 및 측정 파형 분석을 통한 장애를 판단하고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감시서버와; 상기한 감시서버와 랜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운영 클라이언트와; 상기한 감시서버와 연결되어 광단국 망감시시스템으로서 장애정보수집(SNMP) 기능을 갖는 광단국 NMS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는 광전송장치의 장애인지 타임 보다 2배 빠른 속도로 무순단 절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간 광케이블 장애 감시 방법은,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송수신 레벨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장애 경보를 발령하는 단계; 장애 경보 발령시에 광전송장치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상태를 OTDR 모듈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측정하는 단계; 장애 경보 발령시에 장애경보가 발생한 광단국이 사용하고 있는 송수신 광케이블을 자국과 대국의 양단에서 별도의 TCP/IP 제어라인으로 전송된 동기화된 명령에 따라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를 통해 무순단 절체를 수행하여 사용 광선로를 변경함으로써 초고속 광통신망이 순단 등의 장애없이 안정하게 운영되도록 하는 단계; OTDR 모듈에 의해 장애여부가 측정되고 처리된 측정 결과 데이터는 CPU 모듈)을 통해 감시서버로 수신되어 분석되는 단계; 광단국의 장애 정보가 광단국 NMS로 전송되고, 광단국 NMS가 SNMP로 감시서버와 연동되어 감시서버에서 장애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는 장애경보 발생시에 광전송장치의 장애인지 타임 보다 2배 빠른 속도로 무순단 절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광케이블의 송수신 레벨을 감시하고 광케이블의 특성을 자동 및 장애연동 측정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를 통하여 사용중인 광케이블을 무순단 절체한 후에 측정할 수 있어 광케이블의 장애 징후를 사전에 파악한 후에 단국 장애를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광케이블 장애 감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따른 실시간 광케이블 장애 감시 장치의 구성은, 제1 및 제2 광선로분배반(OFD:Optical Fiber Distributor)(50)(60)에서 인입된 광케이블(35)을 인(IN) 및 아웃(OUT) 단자에 맞게 수용하고 수용된 광케이블의 송수신 광레벨 상태를 검출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결하여 자동 및 수동 절체 명령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30)(40)와, 상기한 광케이블(35)의 상태를 주기 설정에 따른 자동 및 수동 측정을 실시간 수행하고 선로의 손실값 및 측정거리에 따른 자동 및 수동 측정을 실시간으로 수행하고 선로의 손실값 및 측정거리를 파형으로 표시하고 저장하는 OTDR(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 모듈(70)과, 상기한 광케이블(35)에 대한 상태 및 장애 감시, 원격 측정 및 제어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CPU 모듈(80)과, 상기한 제1 및 제2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30)(40), OTDR 모듈(7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와의 데이터 송수신 및 측정 파형 분석을 통한 장애를 판단하고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감시서버(90)와, 상기한 감시서버(90)와 랜(110)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운영 클라이언트 서버(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구조를 설명하면, 현장에서 인입된 광케이블(35)이 제1 및 제2 광선로분배반(50)(60)에 성단되고, 상기 제1 및 제2 광선로분배반(50)(60)을 통해서 제1 및 제2 광전송장치(10)(20)에 광점퍼 코드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1 및 제2 광전송장치(10)(20)와 상기한 제1 및 제2 광선로분배반(50)(60)의 사이에는 제1 및 제2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30)(40)가 도중에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1 및 제2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30)(40)는 TCP/IP 네트워크를 통하여 감시서버(90)와 연결되고, 상기한 감시서버(90)는 광단국 NMS(100)와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광단국 NMS(100)는 광단국 망감시시스템(Network Monitoring System)으로서 장애정보수집(SNMP) 기능을 갖는다.
상기한 감시서버(90)는 운영 클라이언트 서버(120)와 랜(LAN)(110)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제1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30)는 CPU 모듈(80)과 연결되고, 상기한 CPU 모듈(80)은 감시서버(90)와 연결되며, 상기 CPU 모듈(80)과 상기한 제1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30)의 사이에는 OTDR 모듈(70)이 연결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OTDP 모듈(70)은 광섬유에 광을 입사하고 광펄스의 반사광 및 산란광이 되돌아오는 신호 형태를 시간영역에서 분석하게 된다. 즉, 광섬유 내에서 발생한 후방산란이나 반사광이 입사점으로부터 측정하는 지점까지의 광섬유길이에 대한 시간차로 되돌아오게 되어 광케이블(35)의 장애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광케이블 장애 감시 장치에 의한 광케이블의 장애 감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광케이블 장애 감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광전송장치(10)(20)와 제1 및 제2 광선로분배반(50)(60)의 사이에는 제1 및 제2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30)(40)가 설치되어 있으며, 광케이블(35)의 송수신 레벨 상태가 상기한 제1 및 제2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30)(40)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자동검출된다(S10).
상기한 제1 및 제2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30)(40)에 의해서 실시간으로 자동검출된 광케이블(35)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는 감시서버(90)로 전송되며, 감시서버(90)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서 그래픽 화면을 통해서 광케이블(35)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게 된다. 이때, 광케이블(35)의 입출력단 레벨 및 접속 손실값이 실시간으로 함께 표시된다(S11).
또한, 감시서버(90)에서 최초 측정값을 기준값으로 임계치로 설정하고(S12), 검출되는 광케이블(35)의 광레벨을 임계 설정값과 비교하여(S13), 광케이블(35)의 광레벨이 임계치를 벗어나게 되면 가시 가청 장애 경보를 발생하게 된다(S14). 따라서 운영자는 감시서버(90)의 이러한 가시 가청 장애 경보에 의해 광케이블(35)의 장애 징후를 사전에 감지하여 대응 조치를 할 수 있게 된다.
감시서버(90)에서는 입력된 데이터를 정리하여 저장하게 된다(S15).
감시서버(9)가 가시 가청 장애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우에, 장애 경보가 발생된 제1 및 제2 광전송장치(10)(20)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상태는 OTDR 모듈(70)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측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한 OTDP 모듈(70)은 광섬유에 광을 입사하고 광섬유 내에서 발생한 후방산란이나 반사광이 입사점으로부터 측정하는 지점까지의 광섬유길이에 대한 시간차를 이용하여 광케이블(35)의 장애여부를 측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OTDR 모듈(70)에 의해 측정된 결과는 감시서버(90)를 통해서 운영자에게 통보된다. 이러한 통보 결과가 광케이블 계통의 단선 등의 이상으로 판단시에는 감시서버(90)는 TCP/IP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1 및 제2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30)(40)를 제어함으로써 무순단 절체를 수행하여 광선로를 변경함으로써 초고속 광통신망이 순단 등의 장애없이 안정하게 운영되도록 한다.
이 과정을 도 2의 순서도를 참조로 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감시서버(90)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제1 및 제2 광전송장치(10)(20)의 상태를 확인하여(S21), 어느 하나에라도 이상이 있는 경우에 광케이블(35)의 미사용 광코어중에서 절체 대상 광코어를 설정하게 된다(S22). 그리고 TCP/IP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1 및 제2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30)(40)의 무순단 절체를 통해 광선로를 변경하게 되며(S23), 이와 같이 절체된 광코어는 OTDR 모듈(70)에 의해 장애여부가 측정되고(S24), 장애측정 결과에 따라 감시서버(90)는 TCP/IP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1 및 제2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30)(40)를 제어함으로써 광선로의 원상복구를 실시하도록 명령하게 된다(S25).
그리고, 이와 같이 OTDR 모듈(70)에 의해 장애여부가 측정되고 처리된 측정 결과 데이터는 CPU 모듈(80)을 통해 감시서버(90)로 수신되어 분석된다(S26). 감시서버(90)에서 분석된 장애 정보는 광단국 NMS(100)로 전송되어, 광단국 NMS(100)가 장애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30)(40)는 수용된 광케이블(35)의 광선로 특성을 자동, 수동 및 장애 연동 측정을 기본적으로 구현할 뿐 아니라, 특히 사용중인 광케이블(35)의 선로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사용중인 광코어의 열화나 특성 저하를 우려하지 않고도 감시서버(90)를 통해서 제1 및 제2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30)(40)에 수용된 미사용 광코어를 확인하여 TCP/IP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무순단 절체 명령을 실시할 수가 있게 된다. 즉, 제1 및 제2 광전송장치(10)(20)를 상기 제1 및 제2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30)(40)를 이용하여 동시에 무순단 절체한 후에, 감시서버(90)와 CPU 모듈(80) 및 OTDR 모듈(70)을 통해서 광케이블(35)의 특성을 측정하고 다시 원상으로 회복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30)(40)는 절체 타임이 25ms 이내이므로 제1 및 제2 광전송장치(10)(20)의 장애인지 타임인 약 50ms 보다 2배 가량 빠른 속도 특성을 나타내므로 이를 이용하여 무순단 절체를 수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우리나라 초고속정보통신망의 근간을 이루는 광케이블에 대한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 기술을 시간영역 반사광 측정장치(OTDR) 기술과 접목하여 실시간으로 수용된 광코어의 광송수신 레벨을 감시하고 운용서버의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 및 미사용 광케이블의 자동 또는 장애연동 측정을 통한 이상유무를 파악하게 된다. 또한, 장애 발생과 같은 이상시에는 원격지 경보발생과 SMS 연동을 통한 메시지 전달, 장애정보의 데이터 베이스화 및 GIS 연계를 통한 GUI 인터페이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광케이블 장애 감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광케이블 장애 감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0 ; 제1 및 제2 광전송장치
30,40 ; 제1 및 제2 광스위치
35 ; 광케이블
50,60 ; 제1 및 제2 광선로 분배반
70 ; OTDR 모듈
80 ; CPU 모듈
90 ; 감시서버
100 ; 광단국
110 ; 랜
120 ; 운영 클라이언트

Claims (3)

  1. 제1 및 제2 광선로 분배반에서 인입된 광케이블을 인(IN) 및 아웃(OUT) 단자에 맞게 수용하고 수용된 광케이블의 송수신 광레벨 상태를 실시간 검출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결하여 자동 및 수동 절체 명령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와;
    상기 광케이블의 상태를 주기 설정에 따른 자동 및 수동 측정을 실시간 수행하고 선로의 손실값 및 측정거리에 따른 자동 및 수동 측정을 실시간으로 수행하고 선로의 손실값 및 측정거리를 파형으로 표시하고 저장하는 OTDR 모듈과;
    상기 광케이블에 대한 상태 및 장애 감시, 원격 측정 및 제어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CPU 모듈과;
    상기 제1 및 제2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송수신 레벨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장애 경보를 발령하고, 탑재된 운용 프로그램의 설정상태에 따라 장애경보가 발생한 광단국이 사용하고 있는 송수신 케이블을 자국과 대국의 양단에서 별도의 TCP/IP 제어라인으로 전송된 동기화된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를 통해 무순단 절체를 수행하여 사용 광선로를 변경시킨 후 상기 OTDR 모듈에 의해 계통의 이상 유무를 측정하고 판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 상기 OTDR 모듈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데이터 송수신 및 측정 파형 분석을 통한 장애를 판단하고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감시서버와;
    상기한 감시서버와 랜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운영 클라이언트와;
    상기한 감시서버와 연결되어 광단국 망감시시스템으로서 장애정보수집(SNMP) 기능을 갖는 광단국 NMS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는 장애경보 발생시에 광전송장치의 장애인지 타임 보다 2배 빠른 속도로 무순단 절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광케이블 장애 감시 장치.
  2.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송수신 레벨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장애 경보를 발령하는 단계;
    장애 경보 발령시에 광전송장치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상태를 OTDR 모듈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측정하는 단계;
    장애 경보 발령시에 장애경보가 발생한 광단국이 사용하고 있는 송수신 광케이블을 자국과 대국의 양단에서 별도의 TCP/IP 제어라인으로 전송된 동기화된 명령에 따라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를 통해 무순단 절체를 수행하여 사용 광선로를 변경함으로써 초고속 광통신망이 순단 등의 장애없이 안정하게 운영되도록 하는 단계;
    OTDR 모듈에 의해 장애여부가 측정되고 처리된 측정 결과 데이터는 CPU 모듈)을 통해 감시서버로 수신되어 분석되는 단계;
    광단국의 장애 정보가 광단국 NMS로 전송되고, 광단국 NMS가 SNMP로 감시서버와 연동되어 감시서버에서 장애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인텔리전트 N*N 광스위치는 상기 광전송장치의 장애인지 타임 보다 2배 빠른 속도로 무순단 절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광케이블 장애 감시 방법.
  3. 삭제
KR1020070097930A 2007-09-28 2007-09-28 실시간 광케이블 장애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0952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930A KR100952539B1 (ko) 2007-09-28 2007-09-28 실시간 광케이블 장애 감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930A KR100952539B1 (ko) 2007-09-28 2007-09-28 실시간 광케이블 장애 감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572A KR20090032572A (ko) 2009-04-01
KR100952539B1 true KR100952539B1 (ko) 2010-04-12

Family

ID=40759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930A KR100952539B1 (ko) 2007-09-28 2007-09-28 실시간 광케이블 장애 감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5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925A (ko) 2014-07-10 2016-01-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채널 광선로 감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680B1 (ko) * 2009-01-19 2011-04-07 주식회사 케이티 광선로 루트 이원화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1257807B1 (ko) * 2011-05-12 2013-04-29 (주)파이버피아 실시간 광케이블 모니터링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WO2013008961A1 (ko) * 2011-07-11 2013-01-17 주식회사 아론네트웍 환형망 구조를 가지는 광 이더넷 전송 시스템에서의 광케이블 연결 자동 확인 시스템
KR101226549B1 (ko) * 2011-08-16 2013-02-06 성창통신 주식회사 광케이블심선 대조기
KR101379446B1 (ko) * 2011-09-28 2014-04-21 주식회사 이스트포토닉스 실시간 동시 파장 특성분석 광통신시스템
CN109357841B (zh) * 2018-10-19 2024-02-13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就地化保护预制光缆校验装置
KR102146295B1 (ko) * 2019-02-28 2020-08-20 에스팩 주식회사 Wdm 네트워크에서의 otdr 방식의 광선로 감시 장치를 이용한 광선로 모니터링 방법
KR102188731B1 (ko) * 2019-10-14 2020-12-09 한국전력공사 광선로 감시 시스템 및 광 분배함 장치
KR102532924B1 (ko) * 2021-07-22 2023-05-17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광케이블 측정기 제어 방법
KR102638906B1 (ko) * 2022-03-04 2024-02-21 코위버(주) 광케이블의 이중화 및 otdr 결합용 이중화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733A (ko) * 2002-09-16 2004-03-22 주식회사 케이티 광셔큘레이터를 이용한 wdm-pon 광선로 감시장치
KR20050119015A (ko) * 2004-06-15 2005-12-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실시간 광케이블 감시시스템
KR20060054506A (ko) * 2004-11-16 2006-05-22 한국과학기술원 파장분할다중방식 수동형 광가입자망의 통신 복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733A (ko) * 2002-09-16 2004-03-22 주식회사 케이티 광셔큘레이터를 이용한 wdm-pon 광선로 감시장치
KR20050119015A (ko) * 2004-06-15 2005-12-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실시간 광케이블 감시시스템
KR20060054506A (ko) * 2004-11-16 2006-05-22 한국과학기술원 파장분할다중방식 수동형 광가입자망의 통신 복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925A (ko) 2014-07-10 2016-01-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채널 광선로 감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572A (ko)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539B1 (ko) 실시간 광케이블 장애 감시 장치 및 방법
CN102946270B (zh) 光频域反射式光纤网络测试方法
US10084539B2 (en) Optical test device and systems
CN1333454A (zh) 光缆实时监测系统
CN106330298A (zh) 一种光缆纤芯实时监测系统
JP2006211639A (ja) 光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光ファイバ状態モニタリングデバイス及び方法
CN104283607A (zh) 光纤通讯网络监测保护系统及方法
CN109510663B (zh) 一种基于智能光纤配线进行光缆监测及大数据分析的系统和方法
CN104320185A (zh) 光纤线路监测系统
CN109818671B (zh) 一种用于智能光配量测的控制方法及系统
KR101171270B1 (ko) 광선로 장애 측정지연이 최소화된 광선로 감시 시스템
US80146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and monitoring data communications in the presence of a coupler in an optical communications network
CN111277324A (zh) 一种光纤链路通道监控系统
US6157443A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porting data for monitoring optical fibers
CN212628190U (zh) 有线电视传输机房主备路信号监测预警装置
CN206595998U (zh) 光纤实时监测远程控制数据传输系统
CN212367274U (zh) 一种铁路通信光缆在线监测系统
KR20050119015A (ko) 실시간 광케이블 감시시스템
JP2008135902A (ja) 光信号伝送システムの回線品質確認装置
CN107888284A (zh) 一种光纤监测系统
CN215010253U (zh) 一种光回损容忍度测试装置
TWI437834B (zh) Optical frequency domain reflective passive optical fiber network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US20040081459A1 (en) Remote test unit within a communications network
KR20120140562A (ko) 지능형 Mini MDF를 이용한 광 운용 감시 시스템
CN110034818B (zh) 一种基于智能光纤配线系统进行光缆监测的装置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