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527B1 - 귀마개 프레임 - Google Patents

귀마개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527B1
KR100952527B1 KR1020070101561A KR20070101561A KR100952527B1 KR 100952527 B1 KR100952527 B1 KR 100952527B1 KR 1020070101561 A KR1020070101561 A KR 1020070101561A KR 20070101561 A KR20070101561 A KR 20070101561A KR 100952527 B1 KR100952527 B1 KR 100952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il spring
ear
earplu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6393A (ko
Inventor
김명천
Original Assignee
김명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천 filed Critical 김명천
Priority to KR1020070101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527B1/ko
Publication of KR20090036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마개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진 코일스프링에 한쌍의 귀덮개프레임이 체결되고, 상기 귀덮개프레임을 상기 코일스프링으로부터 자유롭게 삽입,분리 가능하여 전체적인 귀마개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후두부 형태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휘어져 형태변형되어 사용자의 후두부 및 귀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하는 귀마개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귀마개, 귀덮개, 프레임, 코일, 스프링

Description

귀마개 프레임{Earplugs frame}
본 발명은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형태변형이 자유로운 귀마개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귀마개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진 코일스프링으로 한조의 귀덮개프레임을 체결하고, 상기 귀덮개프레임을 상기 코일스프링으로부터 자유롭게 삽입, 분리 가능하여 전체적인 귀마개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후두부 형태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휘어져 형태변형되어 사용자의 후두부 및 귀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하는 귀마개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가운 겨울에는 신체를 따뜻하게 유지하기 위한 방한용구로 두꺼운 방한복, 방한화 및 방한장갑 등이 있으며, 이러한 방한장비와 더불어 동절기에 귀를 보온하기 위한 것으로 방한용 귀마개가 사용되며, 상기와 같은 방한용 귀마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를 덮는 한쌍의 귀덮개프레임(1)이 형성되고, 상기 귀마개프레임(1)을 감싸는 보온커버(2)로 형성되어, 상기 귀마개프레임(1)의 중심을 사용자의 후두부에 걸치고 사용자 귀 양측에 상기 귀덮개프레임(1)을 덮어 사용하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상기 한쌍의 귀덮개프레임(1)과 사용자의 후두부에 걸쳐지는 연결프레임이 따로 구비되어, 상기 귀덮개프레임(1)과 연결프레임을 보온커버(2)로 잘 감싼 상태 하에서, 상기 보온커버(2)의 내부에 구비된 연결프레임에 의해 상기 귀마개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귀를 덮어 사용하는 귀마개 등 다양한 기능의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귀마개는 한쌍의 귀덮개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그 부피가 크기 때문에, 미착용 시 귀마개를 휴대 및 보관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일체형 귀마개는 사용자의 두상 크기에 따라 상기 귀마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없어 다양한 사이즈의 귀마개 프레임을 제조하여야 한다는 부담이 있으며, 사용자의 측면에서는 가족이나 친구끼리 호환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두상이 큰 사용자가 장시간 상기 일체형 귀마개를 착용시 사용자 귀에 압박을 가하여 귀의 눌림으로 인한 아픔과 심할 경우 외상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연결프레임이 따로 구비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귀마개의 경우, 상기 연결프레임이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로 제조되어 플라스틱으로 연결프레임을 가공한 귀마개의 경우 상기 연결프레임의 파손 및 절단되는 문제점과, 장시간 사용시 사용자의 후두부에 압박을 가하게 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피로감 및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의 연결프레임을 구비한 귀마개의 경우 상기 연결프레임의 크기가 커져 외관이 둔탁하고, 투박하여 미관상 좋지 못하며, 상품가치가 떨어질 뿐 아니라, 상기 귀마개의 휴대 및 소지시 부피가 커져 휴대 및 관리함에 매우 불편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 프레임은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고 내부가 관통된 소정길이의 코일스프링, 상기 코일스프링에 삽입체결되며 사용자의 귀를 덮도록 고리형으로 형성된 귀덮개프레임을 포함하여 형성된 귀마개 프레임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두상에 따라 귀마개의 길이를 자유로이 조절가능하며, 상기 코일스프링의 양단의 반경을 중앙의 반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귀덮개프레임의 삽탈시 체결강도를 높여주며, 또한 상기 귀덮개프레임에 볼(ball)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탈되는 상기 귀덮개프레임을 잘 빠지지 않으면서 길이조절이 되도록 형성한 귀마개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 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탄성력을 가진 코일스프링으로 한쌍의 귀덮개프레임을 연결하여 귀덮개프레임을 자유로이 삽탈 가능하여 전체적인 귀마개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후두부 모양에 따라 탄성에 의해 휘어져 사용자의 후두부 및 귀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장시간 사용에 따른 피로감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고, 탄성복원력이 강하여 휴대시 최소의 부피로 줄여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의 양단의 반경이 감소하여 귀덮개프레임의 삽입시 체결강도가 높아지며, 상기 귀덮개프레임의 타단에는 볼(ball)이 형성되어 상기 코일스프링 으로부터 상기 귀덮개프레임이 쉽게 빠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귀마개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일스프링; 및 상기 코일스프링에 삽입되며, 일측은 사용자의 귀를 덮도록 고리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귀덮개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스프링에 삽입되는 상기 귀덮개프레임의 타단에는 볼(ball)이 형성되어 상기 코일스프링 내주연에 상기 볼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의 양단은 중앙보다 반경이 감소하여 상기 귀덮개프레임의 체결강도를 높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프레임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 프레임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의 분해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귀마개 프레임은, 사용자의 귀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는 크기의 타원이 형성되고, 상기 타원에는 후술할 코일스프링(30)에 삽입,분리되는 와이어가 연장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고리형으로 형성된 귀덮개프레임(10)이 좌,우측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귀덮개프레임(10)의 삽입,분리가 자유롭도록 내부가 중공되고 휘어진 후 다시 원상태로 회복가능한 탄성복원력을 지닌 코일스프링(30)이 구비된다.
상기 코일스프링(30)은 표면에 산화막이 형성되도록 레이저를 이용하여 가공 처리되며, 녹슬지 않으면서도 강한 탄성력을 갖도록 제조되고, 상기 코일스프링(30)의 좌,우 양단(30a)에는 상기 코일스프링(30)의 중앙부의 반경보다 작은 크기의 반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귀마개프레임(10)의 삽탈시 체결강도를 높이어 상기 귀마개프레임(10)이 상기 코일스프링(30)에서 잘 빠지지 않도록 해준다.
또한 상기 귀덮개프레임(10)의 타단에는 상기 코일스프링(30)의 양단 입구의 반경보다 작거나, 비슷한 반경 크기의 볼(ball,15)이 형성되어, 상기 코일스프링(30)의 내면 상,하부 내주연 사이 사이를 상기 귀덮개프레임(10)의 볼(ball,15)이 걸리면서 순차적으로 진행 또는 이탈된다.
즉, 상기 귀덮개프레임(10)이 상기 코일스프링(30)에 삽입 또는 분리시 자연스럽게 상기 내주연 사이 사이에 상기 볼(ball,15)이 걸려 상기 귀마개프레임(10)이 상기 코일스프링(30) 내에서 한번에 슬라이딩 되어 빠져나오거나, 한번에 너무 많이 삽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스프링(30)에 상기 한 쌍의 귀덮개프레임(10)을 좌,우측으로 각각 삽입하고 ,상기 코일스프링(30)과 귀덮개프레임(10)을 보온이 잘되는 재질의 천이나 면으로 형성된 보온커버(20)로 외피를 형성하여 보온용 귀마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스프링(30)이 내장된 부위를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도록 두르고, 상기 한 쌍의 귀덮개프레임(10) 부위를 사용자의 좌,우 양측 귀에 맞추어 착용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두상의 크기에 따라 상기 귀덮개프레임(10)의 귀덮개부분을 잡고 상기 귀덮개프레임(10)을 상기 코일스프링에 삽입 또는 분리시킴으로써 귀마개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후두부를 지지하게 되는 상기 코일스프링(30)이 남녀노소 어느 사용자가 착용하더라도 다양한 사용자의 후두부형태, 크기에 맞도록 휘어져 사용자의 후두부를 편안하게 감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귀마개프레임(10) 및 코일스프링(30)이 구비된 귀마개를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전혀 피로감을 느낄 수 없고, 가족 또는 친구들이 교대로 사용하여도 상기 귀마개의 길이조정에 전혀 불편함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귀마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 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코일스프링의 내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 프레임이 구비된 귀마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귀마개프레임 2,20 : 보온커버
15 : 볼(ball) 30 : 코일스프링

Claims (3)

  1. 코일스프링; 및
    상기 코일스프링에 삽입되며, 일측은 사용자의 귀를 덮도록 고리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귀덮개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스프링에 삽입되는 상기 귀덮개프레임의 타단에는 볼(ball)이 형성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내주연에 상기 볼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양단은 중앙보다 반경이 감소하여 상기 귀덮개프레임의 체결강도를 높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프레임.
  3. 삭제
KR1020070101561A 2007-10-09 2007-10-09 귀마개 프레임 KR100952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561A KR100952527B1 (ko) 2007-10-09 2007-10-09 귀마개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561A KR100952527B1 (ko) 2007-10-09 2007-10-09 귀마개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393A KR20090036393A (ko) 2009-04-14
KR100952527B1 true KR100952527B1 (ko) 2010-04-12

Family

ID=40761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561A KR100952527B1 (ko) 2007-10-09 2007-10-09 귀마개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5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429Y1 (ko) * 2005-07-15 2005-10-04 박찬희 귀마개용 프레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429Y1 (ko) * 2005-07-15 2005-10-04 박찬희 귀마개용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393A (ko) 2009-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6868B2 (en) Hearing protector with curved segments
US10728668B2 (en) Stable neckband connecting left and right headset capsules
US9774943B1 (en) Ear bud stabilizer
US20160287829A1 (en) Cushioned Sleep Apnea Mask
KR100952527B1 (ko) 귀마개 프레임
US9168177B2 (en) Slip-over light blocking sleep mask
EP3193650B1 (en) Flexible headband with self-adaptive functions
US20040172738A1 (en) Ear protector
CN210534438U (zh) 一种绑带以及应用该绑带的头戴设备
KR20170116714A (ko) 머리 착용식 베개
KR200492417Y1 (ko) 마스크
KR200474391Y1 (ko) 실리콘 귀테를 포함하는 안경
KR200474269Y1 (ko) 안대
KR102410279B1 (ko) 조임 조절이 가능한 귀마개
JP6854788B2 (ja) アームガード
JP2024008571A (ja) イヤーウォーマー
KR102287848B1 (ko) 방한용 귀마개
KR101385579B1 (ko) 모자겸용 안면부 및 귀가 동시 커버되는 버프용 원단 및 상기 원단으로 제조된 모자겸용 마스크 및 귀마개 동시 기능형 버프
KR102575829B1 (ko) 머리밴드를 이용하여 착용하는 마스크
KR20080001772U (ko) 방한용 마스크
KR101164504B1 (ko) 방한용 귀마개
KR20210002918U (ko) 머리에 마스크
KR20220000555U (ko) 마스크
US20190231579A1 (en) Wrinkle preventing device
CA3002170A1 (en) Ear bud stabil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