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362B1 -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 - Google Patents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362B1
KR100951362B1 KR1020080064738A KR20080064738A KR100951362B1 KR 100951362 B1 KR100951362 B1 KR 100951362B1 KR 1020080064738 A KR1020080064738 A KR 1020080064738A KR 20080064738 A KR20080064738 A KR 20080064738A KR 100951362 B1 KR100951362 B1 KR 100951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image
mobile communication
object virtual
communication terminal
electronic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523A (ko
Inventor
김칠수
엄한용
Original Assignee
김칠수
엄한용
(주)트론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칠수, 엄한용, (주)트론트 filed Critical 김칠수
Priority to KR1020080064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362B1/ko
Publication of KR20100004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36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제 객체마다 전자태그를 탑재하여, 그 탑재된 전자태그로부터 객체의 특징 정보를 제공받아 객체의 가상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객체에 탑재되어 있는 전자태그에서 객체 아이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 및 객체 특징점 정보를 포함한 RF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과정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비된 태그 리더부를 통해 상기 전자태그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 아이디를 확인하여 상기 전자태그가 탑재된 객체의 가상 이미지 구현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가상 이미지 구현이 가능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전자태그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 및 객체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1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구현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가상 이미지 서버에 접속하고, 접속된 가상 이미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객체 아이디별 객체 상세 표현 정보 중에서 상기 전자태그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된 객체 아이디에 매칭되는 객체 상세 표현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객체 상세 표현 정보를 상기 1차 객체 가상 이미지에 적용하여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구현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객체마다 객체 식별을 위해 일일이 특정 문양을 표시해야 하는 작업의 번거로움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객체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객체의 가상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Object Virtual Image Materialization Method}
본 발명은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객체에 탑재된 전자태그로부터 객체의 특징 정보를 제공받아 객체의 가상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제 객체를 가상 이미지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객체의 표면에 미리 특정 문양을 표시해 두고, 이동통신 단말기 카메라를 통해 객체의 실사 이미지를 획득한 후, 획득된 실사 이미지 내에서 특정 문양을 인지하여 객체를 식별하고, 그 특정 문양의 위치 및 방향 등을 계산하여 가상 이미지의 구현 위치를 예측한 후, 그 예측 결과에 따라 식별된 객체의 가상 이미지를 구현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실사 이미지 내의 특정 문양을 패턴 인식 기법에 적용하여 특정 문양의 위치 및 방향 등을 계산하게 되는데, 패턴 인식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실사 이미지 내의 특정 문양에 대응하는 문양 을 내부 메모리 영역에 미리 저장하고 있어야만 한다. 즉, 여러 객체를 가상 이미지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해당 수만큼의 문양을 메모리 영역에 미리 저장하고 있어야만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객체가 카메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실사 이미지 내에서 객체의 표면에 표시된 특정 문양을 정확히 인지할 수 없기 때문에, 패턴 인식 기법을 적용할 수 없어 해당 객체를 가상 이미지로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가상 이미지로 구현하기 위한 객체마다 일일이 다른 객체와 구분되는 특정 문양을 표기해야만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로운 작업을 수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객체에 탑재된 전자태그로부터 객체의 특징 정보를 제공받아 객체의 가상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 객체에 탑재된 전자태그로부터 제공받은 특징 정보를 객체의 실사 이미지에 정합시켜 객체의 가상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은, 객체에 탑재되어 있는 전자태그에서 객체 아이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 및 객체 특징점 정보를 포함한 RF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과정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비된 태그 리더부를 통해 상기 전자태그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 아이디를 확인하여 상기 전자태그가 탑재된 객체의 가상 이미지 구현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가상 이미지 구현이 가능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전자태그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 및 객체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1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구현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가상 이미지 서버에 접속하고, 접속된 가상 이미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객체 아이디별 객체 상세 표현 정보 중에서 상기 전자태그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된 객체 아이디에 매칭되는 객체 상세 표현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객체 상세 표현 정보를 상기 1차 객체 가상 이미지에 적용하여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구현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은, 객체에 탑재되어 있는 전자태그에서 객체 아이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 및 객체 특징점 정보를 포함한 RF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과정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비된 태그 리더부를 통해 상기 전자태그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 아이디를 확인하여 상기 전자태그가 탑재된 객체의 가상 이미지 구현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가상 이미지 구현이 가능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전자태그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 및 객체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1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구현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비된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객체 아이디별 객체 상세 표현 정보 중에서 상기 전자태그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된 객체 아이디에 매칭되는 객체 상세 표현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객체 상세 표현 정보를 상기 1차 객체 가상 이미지에 적용하여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구현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시스템은, 객체에 탑재되어 있는 전자태그에서 객체 아이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 및 객체 특 징점 정보를 포함한 RF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과정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비된 태그 리더부를 통해 상기 전자태그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 아이디를 확인하여 상기 전자태그가 탑재된 객체의 가상 이미지 구현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가상 이미지 구현 가능 여부 확인 결과, 객체의 가상 이미지 구현이 가능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비된 촬영부를 통해 객체의 실사 이미지를 촬영하여 객체의 실사 이미지 내에서 객체의 윤곽선을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의 윤곽선과 상기 전자태그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 특징점 정보를 정합하여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와 상기 RF 신호에 포함된 객체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1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구현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가상 이미지 서버에 접속하고, 접속된 가상 이미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객체 아이디별 객체 상세 표현 정보 중에서 상기 전자태그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된 객체 아이디에 매칭되는 객체 상세 표현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객체 상세 표현 정보를 상기 1차 객체 가상 이미지에 적용하여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구현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은, 객체에 탑재되어 있는 전자태그에서 객체 아이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 및 객체 특징점 정보를 포함한 RF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과정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비된 태그 리더부를 통해 상기 전자태그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 아이디를 확인하여 상기 전자태그가 탑재된 객체의 가상 이미지 구현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가상 이미지 구현이 가능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비된 촬영부를 통해 객체의 실사 이미지를 촬영하여 객체의 실사 이미지 내에서 객체의 윤곽선을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의 윤곽선과 상기 전자태그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 특징점 정보를 정합하여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와 상기 RF 신호에 포함된 객체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1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구현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비된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객체 아이디별 객체 상세 표현 정보 중에서 상기 전자태그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된 객체 아이디에 매칭되는 객체 상세 표현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객체 상세 표현 정보를 상기 1차 객체 가상 이미지에 적용하여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구현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에 의하면, 객체에 탑재된 전자태그로부터 객체의 특징 정보를 제공받아 객체의 가상 이미지를 구현하거나, 실제 객체에 탑재된 전자태그로부터 제공받은 특징 정보를 객체의 실사 이미지에 정합시켜 객체의 가상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객체마다 객체 식별을 위해 일일이 특정 문양을 표시해야 하는 작업의 번거로움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객체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객체의 가상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을 위한 시스템은 전자태그(10), 이동통신 단말기(30), 이동통신망(50) 및 가상 이미지 서버(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자태그(10)는 객체에 탑재되어 객체 아이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 및 객체 특징점 정보(예를 들어, 객체 윤곽선 또는 모서리 좌표 정보 등)를 포함한 RF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30)는 태그 리더부(31), 메모리부(33),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 사운드 출력부(37) 및 제어부(3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태그 리더부(31)는 전자태그(10)로부터 송출되는 RF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39)로 전달한다.
메모리부(33)는 가상 이미지 구현이 가능한 객체 아이디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39)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저장하거나, 저장되어 있는 정보의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33)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내장 메모리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외장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는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에 따른 입력 정보를 제어부(39)로 전달하는 한편, 제어부(39)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운드 출력부(37)는 제어부(39)의 제어에 따라 음향을 출력한다.
제어부(39)는 태그 리더부(31)를 통해 전자태그(10)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 아이디를 이용하여 전자태그(10)를 탑재한 객체의 가상 이미지 구현 가능 여부를 확인한 후, 그 확인 결과, 객체의 가상 이미지 구현이 가능한 경우,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 및 객체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1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구현한다.
또한, 제어부(39)는 태그 리더부(31)를 통해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된 객체 아이디에 매칭되는 객체 상세 표현 정보를 가상 이미지 서버(70)에 저장된 객체 아이디별 객체 상세 표현 정보 중에서 검색한 후, 검색된 객체 상세 표현 정보를 1차 객체 가상 이미지에 적용하여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구현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킨다.
또한, 제어부(39)는 태그 리더부(31)를 통해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된 객체 아이디에 매칭되는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가상 이미지 서버(70)에 저 장된 객체 아이디별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관련 프로그램 중에서 검색한 후, 검색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메모리부(33)에 저장시킨다.
이후, 제어부(39)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메모리부(33)에 저장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2차 객체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제어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키는 한편, 객체 가상 이미지의 동작에 관련된 효과음을 사운드 출력부(37)를 통해 출력시킨다.
이동통신망(50)은 가상 이미지 서버(70)와 이동통신 단말기(30) 간의 통신 접속을 연결한다.
가상 이미지 서버(70)는 객체 아이디별 객체 상세 표현 정보(예를 들어, 객체의 색상 및 명암 정보 등) 및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이동통신망(50)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30)의 접속시, 접속된 이동통신 단말기(30)에게 정보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객체에 탑재되어 있는 전자태그(10)에서 객체 아이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 및 객체 특징점 정보를 포함한 RF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면, 이동통신 단말기(30)는 태그 리더부(31)를 통해 객체에 탑재되어 있는 전자태그(10)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고(S210),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 아이디를 확인하여 전자태그(10)가 탑재된 객체의 가상 이미지 구현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S220).
상기한 단계 S22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30)는 상기한 단계 S210을 통해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된 객체 아이디가 메모리부(33)에 기저장되어 있는 아이디 인지를 확인함으로써, 객체의 가상 이미지 구현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단계 S220에서의 확인 결과, 객체의 가상 이미지 구현이 가능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30)는 상기한 단계 S210을 통해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 및 객체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1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구현한다(S230).
예를 들어, 상기한 단계 S230에서의 1차 객체 가상 이미지는 윤곽선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단계 S230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30)는 상기한 단계 S210을 통해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된 객체 아이디에 매칭되는 객체 상세 표현 정보를 가상 이미지 서버(70)에 저장된 객체 아이디별 객체 상세 표현 정보 중에서 검색한 후(S240), 검색된 객체 상세 표현 정보를 1차 객체 가상 이미지에 적용하여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구현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킨다(S250).
예를 들어, 상기한 단계 S250에서의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는 윤곽선, 색상 및 명암 등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상기한 S230을 통해 구현된 1차 객체 가상 이미 지보다 세밀하게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단계 S250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30)는 상기한 단계 S210을 통해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된 객체 아이디에 매칭되는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가상 이미지 서버(70)에 저장된 객체 아이디별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관련 프로그램 중에서 검색한 후, 검색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메모리부(33)에 저장시킨다(S260).
이후,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터치 입력을 하면, 이동통신 단말기(30)는 상기한 단계 S260을 통해 메모리부(33)에 저장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2차 객체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제어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키는 한편, 2차 객체 가상 이미지의 동작에 관련된 효과음을 사운드 출력부(37)를 통해 출력시킨다(S270).
예를 들어, 상기한 단계 S270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 상에 디스플레이된 2차 객체 가상 이미지에 원(One) 터치 입력을 하면, 이동통신 단말기(30)는 상기한 단계 S260을 통해 메모리부(33)에 저장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실행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확대하되, 원 터치 입력의 입력 시간 동안 소정의 비율로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 상에 디스플레이된 2차 객체 가상 이미지에 투(Two) 터치 입력을 하면, 이동통신 단말기(30)는 투 터치 입력 사이의 시간 간격이 특정 시간을 초과하는 지를 확인한 후, 특정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는, 상기한 단계 S260을 통해 메모리부(33)에 저장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실행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축소하되, 마지막 터치 입력의 입력 시간 동안 소정의 비율로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축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투 터치 입력 사이의 시간 간격이 특정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30)는 상기한 단계 S260을 통해 메모리부(33)에 저장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실행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특정 동작으로 시뮬레이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 상에 디스플레이된 2차 객체 가상 이미지에 원 터치 후 드래그 입력을 하면, 이동통신 단말기(30)는 상기한 단계 S260을 통해 메모리부(33)에 저장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실행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드래그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 상에 디스플레이된 화면 중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제외한 공간에서 원 터치 후 드래그 입력을 하면, 이동통신 단말기(30)는 상기한 단계 S260을 통해 메모리부(33)에 저장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실행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드래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르게는, 객체 아이디별 객체 상세 표현 정보 및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가상 이미지 서버(70)가 아닌 메모리부(33)에서 저장하고 있는 경우, 이 동통신 단말기(30)는 상기한 단계 S210을 통해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된 객체 아이디에 매칭되는 객체 상세 표현 정보를 자체 구비한 메모리부(33)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객체 상세 표현 정보를 1차 객체 가상 이미지에 적용하여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을 위한 시스템은 전자태그(10), 이동통신 단말기(30), 이동통신망(50), 가상 이미지 서버(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태그(10), 이동통신망(50), 가상 이미지 서버(7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을 위한 시스템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으로 이루어져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30)는 태그 리더부(31), 메모리부(33), 촬영부(45),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 사운드 출력부(37) 및 제어부(3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시스템에 있어서, 태그 리더부(31), 메모리부(33),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 및 사운드 출력부(37)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시스템의 구성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으로 이루어져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촬영부(45)는 객체의 실사 이미지를 촬영하여 제어부(39)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촬영부(45)는 카메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39)는 태그 리더부(31)를 통해 전자태그(10)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 아이디를 이용하여 전자태그(10)를 탑재한 객체의 가상 이미지 구현 가능 여부를 확인한 후, 그 확인 결과, 객체의 가상 이미지 구현이 가능한 경우, 촬영부(45)를 통해 촬영되는 객체의 실사 이미지 내에서 객체의 윤곽선을 추출한 후, 추출된 객체의 윤곽선과 태그 리더부(31)를 통해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 특징점 정보(예를 들어, 객체 윤곽선 또는 모서리 좌표 정보 등)를 정합하여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와 객체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1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구현한다. 한편, 정합 에러 등으로 인해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를 파악하지 못한 경우에는 태그 리더부(31)를 통해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 및 객체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1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39)는 태그 리더부(31)를 통해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된 객체 아이디에 매칭되는 객체 상세 표현 정보(예를 들어, 객체의 색상 및 명암 정보 등)를 가상 이미지 서버(70)에 저장된 객체 아이디별 객체 상세 표현 정보 중에서 검색한 후, 검색된 객체 상세 표현 정보를 1차 객체 가상 이미지에 적용하여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구현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킨다.
또한, 제어부(39)는 태그 리더부(31)를 통해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된 객체 아이디에 매칭되는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가상 이미지 서버(70)에 저장된 객체 아이디별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관련 프로그램 중에서 검색한 후, 검색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메모리부(33)에 저장시킨다.
이후, 제어부(39)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메모리부(33)에 저장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2차 객체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제어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키는 한편, 객체 가상 이미지의 동작에 관련된 효과음을 사운드 출력부(37)를 통해 출력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객체에 탑재되어 있는 전자태그(10)에서 객체 아이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 및 객체 특징점 정보를 포함한 RF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면, 이동통신 단말기(30)는 태그 리더부(31)를 통해 객체에 탑재되어 있는 전자태그(10)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고(S410),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 아이디를 확인하여 전자태그(10)가 탑재된 객체의 가상 이미지 구현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S420).
상기한 단계 S42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30)는 상기한 단계 S410을 통해 수신 된 RF 신호에 포함된 객체 아이디가 메모리부(33)에 기저장되어 있는 아이디 인지를 확인함으로써, 객체의 가상 이미지 구현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단계 S420에서의 확인 결과, 객체의 가상 이미지 구현이 가능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30)는 촬영부(45)를 통해 객체의 실사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객체의 실사 이미지 내에서 객체의 윤곽선을 추출한 후(S430), 추출된 객체의 윤곽선과 상기한 단계 S410을 통해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 특징점 정보를 정합하여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를 파악한 후(S440), 파악된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와 객체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1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구현한다(S450).
상기한 단계 S440에서 정합 에러 등으로 인해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를 파악하지 못한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30)는 상기한 단계 S410을 통해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와 객체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1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한 단계 S450에서의 1차 객체 가상 이미지는 윤곽선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단계 S450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30)는 상기한 단계 S410을 통해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된 객체 아이디에 매칭되는 객체 상세 표현 정보를 가상 이미지 서버(70)에 저장된 객체 아이디별 객체 상세 표현 정보 중에서 검색한 후(S460), 검색된 객체 상세 표현 정보를 1차 객체 가상 이미지에 적용하여 2차 객 체 가상 이미지를 구현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킨다(S470).
예를 들어, 상기한 단계 S470에서의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는 윤곽선, 색상 및 명암 등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상기한 S450을 통해 구현된 1차 객체 가상 이미지보다 세밀하게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단계 S470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30)는 상기한 단계 S410을 통해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된 객체 아이디에 매칭되는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가상 이미지 서버(70)에 저장된 객체 아이디별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관련 프로그램 중에서 검색한 후, 검색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메모리부(33)에 저장시킨다(S480).
이후,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터치 입력을 하면, 이동통신 단말기(30)는 상기한 단계 S480을 통해 메모리부(33)에 저장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2차 객체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제어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키는 한편, 2차 객체 가상 이미지의 동작에 관련된 효과음을 사운드 출력부(37)를 통해 출력시킨다(S490).
예를 들어, 상기한 단계 S490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 상에 디스플레이된 2차 객체 가상 이미지에 원 터치 입력을 하면, 이동통신 단말기(30)는 상기한 단계 S480을 통해 메모리부(33)에 저장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실행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확대하되, 원 터치 입력의 입력 시간 동안 소정의 비율로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 상에 디스플레이된 2차 객체 가상 이미지에 투 터치 입력을 하면, 이동통신 단말기(30)는 투 터치 입력 사이의 시간 간격이 특정 시간을 초과하는 지를 확인한 후, 특정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단계 S480을 통해 메모리부(33)에 저장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실행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축소하되, 마지막 터치 입력의 입력 시간 동안 소정의 비율로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축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투 터치 입력 사이의 시간 간격이 특정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30)는 상기한 단계 S480을 통해 메모리부(33)에 저장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실행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특정 동작으로 시뮬레이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 상에 디스플레이된 2차 객체 가상 이미지에 원 터치 후 드래그 입력을 하면, 이동통신 단말기(30)는 상기한 단계 S480을 통해 메모리부(33)에 저장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실행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드래그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 상에 디스플레이된 화면 중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제외한 공간에서 원 터치 후 드래그 입력을 하면, 이동통신 단말기(30)는 상기한 단계 S480을 통해 메모리부(33)에 저장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실행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 에 의거하여,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드래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르게는, 객체 아이디별 객체 상세 표현 정보 및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가상 이미지 서버(70)가 아닌 메모리부(33)에서 저장하고 있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30)는 상기한 단계 S410을 통해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된 객체 아이디에 매칭되는 객체 상세 표현 정보를 자체 구비한 메모리부(33)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객체 상세 표현 정보를 1차 객체 가상 이미지에 적용하여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에 의하면, 객체에 탑재된 전자태그로부터 객체의 특징 정보를 제공받아 객체의 가상 이미지를 구현하거나, 실제 객체에 탑재된 전자태그로부터 제공받은 특징 정보를 객체의 실사 이미지에 정합시켜 객체의 가상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객체마다 객체 식별을 위해 일일이 특정 문양을 표시해야 하는 작업의 번거로움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객체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객체의 가상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전자태그 30: 이동통신 단말기
31: 태그 리더부 33: 메모리부
35: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37: 사운드 출력부
39: 제어부 45: 촬영부
50: 이동통신망 70: 가상 이미지 서버

Claims (12)

  1. 객체에 탑재되어 있는 전자태그에서 객체 아이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 및 객체 특징점 정보를 포함한 RF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과정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비된 태그 리더부를 통해 상기 전자태그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 아이디를 확인하여 상기 전자태그가 탑재된 객체의 가상 이미지 구현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가상 이미지 구현이 가능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전자태그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 및 객체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1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구현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가상 이미지 서버에 접속하고, 접속된 가상 이미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객체 아이디별 객체 상세 표현 정보 중에서 상기 전자태그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된 객체 아이디에 매칭되는 객체 상세 표현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객체 상세 표현 정보를 상기 1차 객체 가상 이미지에 적용하여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구현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가상 이미지 서버에 저장된 객체 아이디별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관련 프로그램 중에서 상기 전자태그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된 객체 아이디에 매칭되는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검색하고, 검색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구비된 메모리부에 저장시키는 과정과;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터치 입력을 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비된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2차 객체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제어하여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2차 객체 가상 이미지의 동작 관련 효과음을 구비된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에 디스플레이된 2차 객체 가상 이미지에 원(One) 터치 입력을 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실행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상기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확대하되, 원 터치 입력의 입력 시간 동안 소정의 비율로 상기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
  2. 삭제
  3. 삭제
  4. 객체에 탑재되어 있는 전자태그에서 객체 아이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 및 객체 특징점 정보를 포함한 RF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과정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비된 태그 리더부를 통해 상기 전자태그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 아이디를 확인하여 상기 전자태그가 탑재된 객체의 가상 이미지 구현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가상 이미지 구현 가능 여부 확인 결과, 객체의 가상 이미지 구현이 가능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비된 촬영부를 통해 객체의 실사 이미지를 촬영하여 객체의 실사 이미지 내에서 객체의 윤곽선을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의 윤곽선과 상기 전자태그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 특징점 정보를 정합하여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와 상기 RF 신호에 포함된 객체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1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구현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가상 이미지 서버에 접속하고, 접속된 가상 이미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객체 아이디별 객체 상세 표현 정보 중에서 상기 전자태그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된 객체 아이디에 매칭되는 객체 상세 표현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객체 상세 표현 정보를 상기 1차 객체 가상 이미지에 적용하여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구현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가상 이미지 서버에 저장된 객체 아이디별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관련 프로그램 중에서 상기 전자태그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된 객체 아이디에 매칭되는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검색하고, 검색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구비된 메모리부에 저장시키는 과정과;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터치 입력을 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비된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2차 객체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제어하여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2차 객체 가상 이미지의 동작 관련 효과음을 구비된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에 디스플레이된 2차 객체 가상 이미지에 원(One) 터치 입력을 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실행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상기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확대하되, 원 터치 입력의 입력 시간 동안 소정의 비율로 상기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를 파악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전자태그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위치와 객체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1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 구현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전자태그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된 객체 아이디가 구비된 메모리부에 기저장되어 있는 아이디 인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전자태그가 탑재된 객체의 가상 이미지 구현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터치 입력을 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비된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2차 객체 가상 이미지의 동작을 제어하여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2차 객체 가상 이미지의 동작 관련 효과음을 구비된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에 디스플레이된 2차 객체 가상 이미지에 투(Two) 터치 입력을 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투 터치 입력 사이의 시간 간격이 특정 시간을 초과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투 터치 입력 사이의 시간 간격이 특정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구비된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실행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상기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축소하되, 마지막 터치 입력의 입력 시간 동안 소정의 비율로 상기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축소하는 단계와;
    상기 투 터치 입력 사이의 시간 간격이 특정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구비된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실행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상기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특정 동작으로 시뮬레이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
  11.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에 디스플레이된 2차 객체 가상 이미지에 원 터치 후 드래그 입력을 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비된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실행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상기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드래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
  12.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에 디스플레이된 화면 중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제외한 공간에서 원 터치 후 드래그 입력을 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비된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실행된 객체 가상 이미지 동작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상기 2차 객체 가상 이미지를 드래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
KR1020080064738A 2008-07-04 2008-07-04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 KR100951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738A KR100951362B1 (ko) 2008-07-04 2008-07-04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738A KR100951362B1 (ko) 2008-07-04 2008-07-04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523A KR20100004523A (ko) 2010-01-13
KR100951362B1 true KR100951362B1 (ko) 2010-04-08

Family

ID=41814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738A KR100951362B1 (ko) 2008-07-04 2008-07-04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3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383B1 (ko) * 2019-11-07 2021-09-09 한국과학기술원 2차원 가상 이미지 공간 탐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상 이미지 공간 탐색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6668A (ja) 2004-04-28 2005-1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識別装置
JP2005352828A (ja) 2004-06-11 2005-12-22 Toppan Printing Co Ltd 有体物、商品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661587B1 (ko) 2005-12-29 2006-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알에프아이디와 이미지 태그를 이용한 대상물 식별 기능을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48610B1 (ko) * 2006-11-01 2007-08-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인식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코디네이션 시스템 및 그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6668A (ja) 2004-04-28 2005-1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識別装置
JP2005352828A (ja) 2004-06-11 2005-12-22 Toppan Printing Co Ltd 有体物、商品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661587B1 (ko) 2005-12-29 2006-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알에프아이디와 이미지 태그를 이용한 대상물 식별 기능을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48610B1 (ko) * 2006-11-01 2007-08-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인식 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코디네이션 시스템 및 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523A (ko)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10532A1 (en)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gesture recognition and interaction
US20210019627A1 (en) Target tracking method and apparatus, medium, and device
US11321583B2 (en) Image annota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1123865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CN108200334B (zh) 图像拍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7710280B (zh) 对象可视化方法
US977268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o process observable virtual objects
JP201903616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JP2011146796A5 (ko)
CN103106388B (zh) 图像识别方法和系统
CN107209556B (zh) 用于对捕获对象相对于交互平面的交互的深度图像进行处理的系统及方法
US2023034295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4951064A (zh) 高效的自由空间手指识别
CN114581998A (zh) 一种基于目标对象关联特征融合的布控方法、系统、设备和介质
KR102440198B1 (ko) 시각 검색 방법, 장치, 컴퓨터 기기 및 저장 매체 (video search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1881740A (zh) 人脸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1986229A (zh) 视频目标检测方法、装置及计算机系统
KR100951362B1 (ko) 객체 가상 이미지 구현 방법
CN111913639B (zh) 虚拟内容的交互方法、装置、系统、终端设备及存储介质
JP201603610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20244788A1 (en) Head-mounted display
CN114827553B (zh) 视频巡控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3839032A (zh) 一种识别方法及电子设备
CN110164444A (zh) 语音输入启动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US9454247B2 (en) Interactive wri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ing adaptive color identification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