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016B1 - 한천겔 플레이트의 제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한천겔플레이트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한천겔 플레이트의 제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한천겔플레이트의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016B1
KR100951016B1 KR1020070108498A KR20070108498A KR100951016B1 KR 100951016 B1 KR100951016 B1 KR 100951016B1 KR 1020070108498 A KR1020070108498 A KR 1020070108498A KR 20070108498 A KR20070108498 A KR 20070108498A KR 100951016 B1 KR100951016 B1 KR 100951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ar gel
plate
manufacturing apparatus
agar
su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2634A (ko
Inventor
최강석
전우진
이은경
윤은임
권준헌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70108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016B1/ko
Publication of KR20090042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5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using diffusion or migration of antigen or antibody
    • G01N33/55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using diffusion or migration of antigen or antibody through a gel, e.g. Ouchterlony techniqu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12Well or multiwell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583Features relative to the processes being carried out
    • B01J2219/00603Making arrays on substantially continuous surfaces
    • B01J2219/00659Two-dimensional arr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병 검사에 사용되는 한천겔 플레이트의 제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한천겔 플레이트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진공펌프 등을 이용하여 규격화된 흡입관내로 고형 한천겔을 흡입하게 함으로서 질병검사용 한천겔 플레이트를 대량으로 용이하게 제작하기 위하여 개발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천겔 플레이트를 대량으로 용이하게 제작함으로서 종래의 수작업으로 진행되었던 한천겔 침강반응 플레이트제작이 자동화됨으로서 플레이트 제작이 간편하고 대량으로 손쉽게 제작할 수 있으며, 검사웰 형태의 손상없이 플레이트를 제작할 수 있고, 한천겔 조성분의 유해성분에 대한 인체 노출위험성으로 최소화할 수 있어 한천겔침강반응 검사법의 검사효율을 높이는 데 있다.
한천겔침강반응법, 질병검사, 검사플레이트, 진공흡입장치

Description

한천겔 플레이트의 제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한천겔 플레이트의 제작 방법{Apparatus for making a plate for agar gel immunodiffusion tes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late for agar gel immunodiffusion test using this apparatus}
본 발명은 한천겔 침강반응방법(Agar Gel Immunodiffusion, AGID)에 사용되는 한천겔 플레이트의 제작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람이나 동물에서 전염성 병원체에 감염될 때 발현되는 특이항체를 검출하는 방법중 하나인 한천겔 침강반응방법(Agar Gel Immunodiffusion, AGID)에 사용되는 한천겔 플레이트를 진공펌프 등을 이용하여 규격화된 흡입관내로 고형 한천겔을 흡입하게 함으로서 대량으로 용이하게 제작하기 위하여 개발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천겔침강반응법은 한천겔 상의 검사 웰(well) 각각에 항원시료와 항체시료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면, 항원과 항체가 한천겔상에 확산(diffusion)에 의해 한천겔의 중간지점에서 항원-항체반응이 일어나서 흰 침강대(precipitation band)를 형성하는 원리를 이용한 검사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고가의 실험장비나 고난도의 실험기술없이도 질병진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사람과 동물의 인플루엔자(influenza), 부루셀라병(brucellosis), 소 백혈병 (Bovine leukosis), 불루텅병(Bluetongue), 닭전염성F낭병(infectious bursal disease), 돼지오제스키병 (Aujesky's disease), 말전염성빈혈(Equine infectious anemia) 등 다양한 병원체를 진단하기 위하여, 많은 실험실에서 이 검사방법을 진단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한천겔침강반응법에 의한 질병검사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우선 검사용 한천겔 플레이트(AGID plate)를 제작하여야 한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방법은 고형 한천겔이 함유된 플레이트(plate)를 놓은 다음, 그 위에 주형틀(template)을 올려놓고, 그 주형틀의 구멍을 통해 천공관(cutter)을 넣어 웰(well) 구멍을 형성시킨 후 형성된 웰을 주사기 바늘과 같은 가느다란 도구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제거하거나 진공펌프로 웰내 한천파편들을 하나하나씩 수동으로 제거하는 방법으로 실시하고 있다.
도 1과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 검사용 한천겔플레이트를 제작하는 경우 한천겔이 함유된 플레이트에 검사웰을 형성시킨 후 웰 각각에 있는 한천겔 파편을 일일이 수동으로 제거하기 때문에 특히 검사용 한천겔플레이트를 대량 제작하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검사웰내 한천겔 파편들을 수작업으로 제거하는 과정에서 웰의 주변부가 손상될 수 있는 단점이 있어 왔다.
또한, 닭전염성F낭병(infectious bursal disease, IBD)의 경우처럼 검사 민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페놀(phenol) 등 인체 유해한 화학물질을 한천겔에 첨가하는 경우 플레이트를 제작하는 과정중 비의도적으로 한천겔 파편이 인체에 접촉될 경우 실험자(작업자)에게 건강상 위해요소로 작용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종래의 방법으로 한천겔 플레이트를 제작하는 방법은 실험자 입장에서는 한천겔검사법을 수행하기 위한 플레이트 제작단계가 번거롭고도 위험한 작업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한천겔 침강반응용 플레이트 제작과정을 일일이 수동으로 만드는 대신 자동화된 방법으로 쉽고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즉,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한천겔 플레이트 검사웰과 동일한 크기와 배열을 갖춘 다수의 튜브형 흡입관을 플레이트내 한천겔층에 부착시킨 후, 흡입관내 잔류하고 있는 한천겔 파편들을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동시에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를 발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제1견지에 의하면,
검사웰(9)을 손쉽게 제작가능한 한천겔 플레이트(20)의 제작장치(10)의 상부에 위치한 플레이트 보정틀(1),
상기 플레이트 보정틀(1) 하단에 소정의 크기 및 배열에 들어맞도록 다수개 형성된 흡입관 장착구멍(2a)에 필요에 따라 재치되는 튜브형 한천겔 흡입관(2),
상기 흡입관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 보정틀 하단에 재치된 흡입관 지지체 프레임(6),
상기 흡입관 지지체 프레임(6)의 지지를 고정하기 위한 링 형상의 고정장치(4),
상기 제작장치(10)내에 음압을 형성하도록 진공펌프(7a)를 작동시키기 위한 진공펌프 연결장치(7), 및
상기 장치내 음압이 형성될 때 한천겔 플레이트(20)로부터 제거된 한천겔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통(8) 으로 이루어진 한천겔 침강반응용 플레이트 제작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견지에 의하면,
(1) 상기 제1견지의 제작장치의 상부에 있는 보정틀에 한천겔을 함유한 플레이트를 뒤집어 올려놓는 보정단계;
(2) 상기 플레이트 보정틀의 하단 구멍에 소정의 크기 및 배열에 들어맞도록 다수의 튜브형 흡입관을 삽입하는 단계;
(3) 상기 플레이트를 상부에서 압압하여 흡입관에 플레이트를 밀착시켜 최대 한 검사용 웰을 생성시키는 검사웰을 생성하는 단계;
(4) 상기 제작장치에 연결된 진공펌프의 작동에 의하여 장치내 형성된 음압에 의하여 흡입관내 한천겔 파편을 플레이트로부터 제거하여 한천겔 플레이트를 제작하는 단계; 및
(5) 상기 제작장치로부터 완성된 플레이트를 제거하여 플레이트의 제작을 완료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천겔 플레이트 제작장치를 이용한 한천겔 플레이트 제작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견지에 의하면,
(1) 상기 제1견지의 제작장치의 상부에 있는 보정틀에 한천겔을 함유한 플레이트를 뒤집어 올려놓는 보정단계;
(2) 상기 플레이트 보정틀의 하단 구멍에 소정의 크기 및 배열에 들어맞도록 다수의 튜브형 흡입관을 삽입하는 단계;
(3) 상기 제작장치에 연결된 진공펌프의 작동에 의하여 장치내 음압을 형성시키는 단계;
(4) 상기 플레이트를 상부에서 압압하여 흡입관에 플레이트를 밀착시킴으로서 흡입관을 통하여 한천겔 파편을 제거하여 검사웰을 생성하는 단계; 및
(5) 상기 제작장치로부터 완성된 플레이트를 제거하여 플레이트의 제작을 완료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천겔 플레이트 제작장치를 이용한 한천겔 플레이트 제작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한천겔 플레이트 검사웰과 동일한 크기와 배열을 갖춘 다수의 튜브형 흡입관(2)을 플레이트(20)내 한천겔(9)층에 부착시킨 후 흡입관(2)내 잔류하고 있는 한천겔 파편들(8a)을 진공펌프(7a)를 이용하여 동시에 제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10)는 플레이트 보정틀(1), 한천겔 흡입관(2), 흡입관 지지체 프레임(6) 및 고정장치(4), 지지봉(5), 스프링(3), 진공펌프 연결장치(7) 및 한천겔제거통(8)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 장치(10)의 플레이트 보정틀(1)은 그 상부가 한천겔 플레이트(20)를 뒤집어 제작 장치(10) 상에 재치할 때 플레이트(2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 3의 측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볼록요철 형태로 되어있고, 그 본체 하부에는 한천겔 흡입관(2)과 지지봉(5)이 배열에 따라 정확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다수의 흡입관 장착구멍(2a)이 형성되어 있고, 동시에 흡입관 고정장치(4)와 연결되어 있으며, 본체양측에 재치된 지지봉(5)의 상단부에도 보정용 스프링(3)이 상하로 감합되어 한천겔 흡입관(2)과 지지봉(5)을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제작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정틀(1)의 재질과 형태는 아크릴 등 당 업계에 통상적으로 주지된 것이면 무방하다.
본 발명 장치(10)의 한천겔 흡입관(2)은 한천겔 플레이트(20)를 뒤집은 상태로 부착시 흡입관(2)내 잔류하는 한천겔 파편들(8a)을 진공흡입방식으로 제거하기에 용이하도록 다수의 튜브 형태로 되어 있으며 한천겔내 검사웰이 잘 형성되게 하기 위하여 흡입관 상부팁 안쪽부분을 갈아서 칼날처럼 날카롭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팁은 접촉에 의하여 마모되지 않는 재질로서 탄소강 등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천겔 흡입관(2)은 스테인레스 SUS 304 등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필요한 크기 및 배열에 따라 검사웰(9)로서 상기 플레이트 보정틀(1) 본체 하단부에 형성된 흡입관 장착구멍(2a)에 소정의 흡입관(2)을 끼워넣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된 흡입관(2)간 간격과 직경크기는 검사 대상 질병에 따라 다양하기 때문에 특정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흡입관(2) 배열과 형태는 도 6에서 보듯이, 원형타입 플레이트와 직사각형 타입 플레이트가 권장되며, 특히 원형 플레이트 타입은 소량의 시료를 검사시, 직사각형 플레이트타입은 대량의 시료를 검사시 권장된다. 그러나,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과정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발명 장치(10)의 보정용 스프링(3)은 상부에서 압압하여 보정틀(1)을 하강시킨 후 누르는 힘이 제거되었을 때 탄성에 의해 자동적으로 보정틀(1)이 상승할 수 있도록 지지봉(5)에 감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봉(5)을 장착하기 위한 구멍(5a)에 대하여 살펴보면, 지지봉 장착구멍(5a)은 지지봉(5)이 관통하는 곳으로 상기 구멍(5a)을 통하여 지지봉(5)을 상하에서 볼트와 너트 등 통상적인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흡입관 지지체 프레임(6)과 한천겔 제거통(8)을 서로 밀착시킴으로서 한천겔(8) 제거 공간을 형성하게 만들며, 한천겔플레이트(20)를 관통하는 구멍(5a)의 경우는 지지봉(5)을 고정하지 않고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있다). 상기 스프링(3)의 재질과 형태는 스테인레스 SUS304 등 당 업계에 통상적으로 주지된 것이면 무방하다.
본 발명 장치(10)의 지지봉(5)은 흡입관 지지체 프레임(6)과 한천겔 제거통(8)을 고정하며, 플레이트 보정틀(1)을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봉(5)은 흡입관(2)과 마찬가지로 마모를 감안하여 스테인레스 SUS 304 등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장치(10)의 지지체 고정장치(4)는 지지봉(5)에 장착되어 흡입관 지지체 프레임(6)과 한천겔 제거통(8)을 상호간에 밀착 고정시킴으로서, 흡입관(2)을 통해 제거된 한천겔 파편(8a)이 축적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지지체 고정장치(4)의 재질과 형태는 아크릴 등 당 업계에 통상적으로 주지된 것이면 무방하다.
본 발명 장치(10)의 흡입관 지지체 프레임(6)은 한천겔 흡입관(2)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지지하며, 한천겔 제거통(8)과 함께 조립되어 제거된 흡입관 지지체 프레임(6)과 한천겔제거통(8)이 밀착부착되어 흡입관(2)을 통하여 제거된 한천겔 파편(8a)이 축적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흡입관 지지체 프레임(6)의 재질과 형태는 아크릴 등 당 업계에 통상적으로 주지된 것이면 무방하다.
본 발명 장치(10)의 진공펌프 연결관(7)은 한천겔 흡입관(2)내 잔류한 한천겔 파편들(8a)이 진공흡입으로 제거되어 한천겔 제거통(8)에 축적될 수 있도록 진공펌프 연결관(7)을 통해 진공펌프(7a)기와 연결되는 장치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공펌프 연결관(7)은 아크릴 등 당 업계에 통상적으로 주지된 재질을 사용하면 무방하다.
본 발명 장치(10)의 한천겔 제거통(8)은 지지봉(5)에 의하여 흡입관 지지체 프레임(6)과 같이 조립되어 흡입관(2)을 통하여 제거된 한천겔 파편들(8a)을 모아두는 공간을 형성시키며, 그 공간내 음압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진공펌프 연결관(7)이 장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한천겔 제거통(8)의 재질과 형태는 아크릴 등으로 당 업계에 통상적으로 주지된 것이면 무방하다.
상술한 한천겔 플레이트 제작장치(1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되게 된다.
첫째, 제작장치(10)의 상부에 위치한 플레이트 보정틀(1)에 한천겔(9)이 함유된 플레이트(20)를 뒤집어 재치한다.
둘째, 상기 플레이트(20)내 소정의 크기 및 배열을 갖는 검사웰(9)를 형성하도록, 플레이트 보정틀(1) 하단 구멍에 소정의 크기 및 배열에 들어맞도록 다수의 튜브형 흡입관(2)을 꽂는다. 이때 제작장치(10)에 연결관(7)을 통해 연결된 진공펌프(7a)를 작동시켜 장치(10)내 형성된 음압에 의해 한천겔 플레이트(20)내 검사웰(9)이 형성될 위치에 존재하는 한천겔(9)을 흡입관(2)내로 이동시킬 수 있다.
셋째, 상기 플레이트(20)를 상부에서 압압하여 플레이트(20)를 보정틀(1)에 밀착시킨다. 이때 제작장치(10)에 연결관(7)을 통해 연결된 진공펌프(7a)를 작동시켜 장치(10)내 형성된 음압에 의해 흡입관(2)내 합천겔 파편들(8a)을 플레이트(20) 혹은 흡입관(2)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넷째, 장치(10)로부터 완성된 플레이트(30)를 제거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로 제작한 한천겔 플레이트는 한천겔침강반응법을 사용하여 부루셀라, 인플루엔자, 소백혈병 등 다양한 전염성 질환의 감염여부를 확인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 및 도면에서 규명하듯이, 한천겔 침강반응법에 의한 전염성 질환의 감염여부는 의심동물로부터 병원체 검사용으로도 사용할 수도 있고, 병원체 감염으로 발현되는 특이항체 검사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도 8-12 참조).
본 발명에 따르면, 한천겔침강반응검사용 한천겔플레이트를 제작함에 있어서, 종래의 방법에서 플레이트 검사웰을 하나씩 수동으로 생성시키는 번거로움 대신에 플레이트를 장치 위에 놓고 플레이트를 장치에 1회 밀착시키면 플레이트내 다수의 검사웰을 동시에 생성하게 되므로, 종래의 방법에 비해 매우 간편하고 빨리 한천겔플레이트를 제작할 수 있다. 특히, 대량의 시료를 검사할 경우 한천겔침강반응법을 본 발명장치를 사용하면 쉽게 검사플레이트를 제작할 수 있어 검사 효율을 높힐 수 있다.
또한, 민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페놀(phenol) 등 인체 유해한 화학물질을 한천겔에 첨가하여 한천겔 플레이트를 제작하는 경우 플레이트를 제작하는 과정중 비의도적으로 한천겔 파편이 인체에 접촉될 수 있는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플레이트 제작상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면 종래의 방법의 경우 검사웰내 잔류하는 한천겔 파편들을 가는 도구 등을 이용해 수동으로 제거하는 과정에서 검사웰의 형태가 일부 손상될 수 있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하기 실시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한천겔 플레이트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한천겔 플레이트 제작 예]
도 2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천겔 플레이트에 다수의 검사웰을 형성하기 위한 한천겔 플레이트 제작장치는, 상기 한천겔 플레이트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천겔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보정틀(1)과, 상기 플레이트 보정틀(1)에 소정의 크기 및 배열에 들어맞도록 다수개 형성된 흡입관 장착구멍에 일단부가 삽입되는 튜브형 한천겔 흡입관과, 상기 튜브형 한천겔 흡입관의 타단부가 삽입고정되도록 상기 플레이트 보정틀에 설정거리 이격되어 병렬 배치된 흡입관 지지체 프레임(6)과, 상기 흡입관 지지체 프레임(6)의 하면을 지지하고, 내부에 한천겔을 제거하기 위해 수용하는 오목 통형부가 형성된 한천겔 제거통(8)과, 상기 한천겔 제거통(8)에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흡입관 지지체 프레임(6) 및 플레이트 보정틀(1)에 각각 일단부가 삽입접속된 지지봉(5)과, 상기 지지봉(5)에 감겨지고, 상기 흡입관 지지체 프레임(6)과 플레이트 보정틀(1)의 사이에 탄력적으로 양단이 지지된 스프링(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스프링(3)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 보정틀(1)이 상기 흡입관 지지체 프레임(6)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상하운동하도록, 상기 흡입관 지지체 프레임(6)은 상기 한천겔 제거통(8)의 상면에 링 형상의 지지체 고정장치(4)를 매개로 고정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천겔 제거통(8) 내에 음압이 형성되도록 진공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진공펌프 연결장치를 상기 한천겔 제거통(8)에 결합하여, 상기 한천겔 제거통(8) 내 음압이 형성될 때 한천겔 플레이트로부터 제거된 한천겔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한천겔침강반응 플레이트 제작 장치(10)가 준비되었다.
상기 흡입관(2)은 한천겔 플레이트의 한천겔층으로부터 특정 웰모양의 한천겔을 진공흡입방법으로 제거하기 위한 관(tube)으로서, 도 6의 검사웰 배열을 가지고 있고, 상기 플레이트 보정틀(1)은 상부가 한천겔 플레이트를 뒤집어 제작 장치 위에 올려놓을 때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본체는 한천겔 흡입관과 지지봉의 배열에 끼워 넣을 수 있는 홈이 있고, 보정틀(1) 본체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제작되어 있고, 보정용 스프링(4)은 지지봉(5)에 감겨져 있으며, 상부에서 힘을 가하여 보정틀(1)을 하강시킨 후 누르는 힘이 제거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보정틀(1)이 상승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지지체 고정장치(4)는 흡입관(2)을 지지하는 흡입관 지지체 프레임(6)과 한천겔 제거통(8)을 밀착 고정시키게 함으로서 흡입관 지지체 프레임(6)과 한천겔 제거통(8)이 밀착부착되어 제거된 한천겔 파편이 축적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지지봉(5)은 흡입관 지지체 프레임(6)과 한천겔 제거통(8)을 고정하며, 플레이트 보정틀(1)을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하고, 흡입관 지지체 프레임(6)은 한천겔 흡입관(2)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지지하며, 한천겔 제거통(8)과 함께 조립되어 제거된 흡입관 지지체 프레임(6)과 한천겔 제거통(8)이 밀착부착되어 흡입관(2)을 통하여 제거된 한천겔 파편이 축적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하는 기능을 하고, 진공펌프 연결장치(7)는 한천겔 흡입관(2)을 통하여 한천겔 파편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진공흡입을 위하여 진공펌프기와 연결하기 위한 장치이고, 한천겔 제거통(8)은 지지봉(5)에 의하여 흡입관 지지체 프레임(6)과 조립되어 흡입관(2)을 통하여 제거된 한천겔 파편들을 모아두는 공간을 형성시키며, 그 공간내 음압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진공펌프 연결장치(7)가 부착되어 있다.
그런 다음, 한천겔(9)을 함유한 한천겔 플레이트(20)를 준비한다. 한천겔 플레이트 제작장치(10)위에 상기 플레이트(20)을 뒤집어 올려놓고 연결관(7)을 통해 진공펌프기에 연결하고 진공펌프(7a)를 작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혹은 순차적으로 상기 플레이트(10)를 상부에서 압압하여 흡입관(2)에 밀착시켜 흡입관(2)내 잔존하는 한천겔 파편(8a)을 제거하고 소정의 검사웰(9)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제작장치(10)로부터 한천겔 플레이트(30)를 제거한다. 작업 완료한 다음 진공 펌프(7a)의 전원을 끈다.
[실시예 2: 원형타입 플레이트를 이용한 닭전염성F낭병 항원검사 사용예]
닭전염성F낭병(IBD)의 감염이 의심되는 죽은 닭의 에프낭(F낭)을 적출하여 항생제가 함유된 조직유제액(0.1M PBS) 1ml를 첨가한 후 유발과 유봉을 이용하여 유제한다. 그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한 한천겔플레이트(30)의 검사웰(9)에 도 8과 같이 IBD 표준양성혈청(PS), IBD 표준양성항원(PA), 검사시료 유제액 3점 (T1-T3)을 웰당 50㎕씩 각각 첨가하고 실온에서 3일간 반응시켰다.
검사실시후 3일이 지난 후 검사웰에 항원-항체결합복합체 침강밴드 (antigen-antibody complex precipitation band)가 형성되었는지를 관찰한다. 검사 결과의 판독은 아래의 결과 예시와 같은 결과가 나왔을 경우, 한천겔침강반응 검사결과 판독은 통상의 판정 기준에 준하여 다음과 같이 판정한다. T1시료의 경우 비특이 반응(양성이 아님)으로, T2 시료의 경우 IBD 양성으로, T3 시료의 경우 음성으로 판정한다. 즉, T2시료의 개체가 IBD에 감염되었음을 확인하는 결과이다(도 9 참조).
[실시예 3: 원형타입 플레이트를 이용한 닭전염성F낭병 항체검사 사용예]
닭전염성F낭병(IBD)의 감염이 의심되는 닭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을 분리한다. 그 후 상기에서 제작한 한천겔플레이트의 검사웰에 도 10과 같이, IBD 표준양성혈청(PS), IBD 표준양성항원(PA), 검사시료 3점 (T1-T3)을 웰당 50㎕씩 각각 첨가하고 실온에서 3일간 반응시킨다.
검사실시후 3일이 지난 후 검사웰에 항원-항체결합복합체 침강밴드 (antigen-antibody complex precipitation band)가 형성되었는 지를 관찰한다. 검 사 결과의 판독은 아래의 결과 예시와 같은 결과가 나왔을 경우, 한천겔침강반응 검사결과 판독은 통상의 판정 기준에 준하여 다음과 같이 판정한다. 즉, T1시료의 경우 비특이 반응으로, T2 시료의 경우 IBD 양성으로, T3 시료의 경우 음성으로 판정한다. 즉, T2개체가 IBD에 감염되어 항체가 형성되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다(도 11 참조).
[실시예 4: 직사각형타입 플레이트를 이용한 닭전염성F낭병 항체 대량검사 사용예]
닭전염성F낭병(IBD)의 감염이 의심되는 닭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을 분리한다. 그 후 상기에서 제작한 한천겔플레이트의 검사웰에 도 12와 같이, IBD 표준양성혈청(S), IBD 표준양성항원(A), 검사시료 24점 (1-24)을 웰당 50㎕씩 각각 첨가하고 실온에서 3일간 반응시킨다.
검사실시후 3일이 지난 후 검사웰에 항원-항체결합복합체 침강밴드 (antigen-antibody complex precipitation band)가 형성되어 있는 지를 관찰한다. 검사 결과의 판독은 아래의 결과 예시와 같은 결과가 나왔을 경우, 한천겔침강반응 검사결과 판독은 통상의 판정 기준에 준하여 다음과 같이 판정한다. 즉, 시료 1,2,5,9,10,15는 양성으로 판정하고, 나머지 시료는 음성으로 판정한다. 즉, 시료 1,2,5,9,10,15의 개체들은 IBD에 감염되어 항체가 형성되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다(도 12 참조).
본 발명 장치로 제작한 한천겔 플레이트는 한천겔침강반응법을 사용하여 부루셀라, 인플루엔자, 소백혈병 등 다양한 전염성 질환의 감염여부를 확인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한천겔침강반응 플레이트 제작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한천겔 침강반응 플레이트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20)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작장치(20)내 플레이트 보정틀(1)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제작장치(20)내 흡입관지지체(6)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제작장치(20)내 한천겔 제거통(8)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제작장치(20)내 한천겔 흡입관(2)의 원형플레이트 타입과 직사각형 타입의 배열구조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제작장치(20)를 이용한 한천겔 플레이트의 제작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작한 한천겔 플레이트(30)을 이용하여 한천겔침강반응검사플레이트의 검사시료첨가를 예시한 일 실시예이다.
도 9는 도 8중 특히 닭전염성F낭병 항원검사 결과를 예시한 일 실시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작한 한천겔 플레이트(30)을 이용하여 한천겔침강반응검사플레이트의 검사시료첨가를 예시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 11은 도 10중 특히 닭전염성F낭병 항원검사 결과를 예시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 12는 닭전염성F낭병 혈청 대량검사 결과를 예시한 또다른 실시예이다.
*도면내 중요부에 대한 간단한 부호의 설명*
1... 플레이트보정틀 2... 한천겔흡입관
2a... 흡입관 장착구멍 3... 보정용 스프링
4... 지지체 고정장치 5... 지지봉
5a... 지지봉 장착구멍 6... 흡입관지지체
7... 진공펌프연결관 7a... 진공펌프
8... 한천겔 제거통 8a... 한천겔
8b... 한천겔 파편 9... 검사웰
10... 한천겔 플레이트 제작장치 20... 한천겔 플레이트
30... 제작완료된 한천겔 플레이트 PS... IBD 표준양성혈청
PA... IBD 표준양성항원 T1-T3... 검사시료

Claims (17)

  1. 한천겔 플레이트에 다수의 검사웰을 형성하기 위한 한천겔 플레이트 제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천겔 플레이트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천겔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보정틀(1)과,
    상기 플레이트 보정틀(1)에 소정의 크기 및 배열에 들어맞도록 다수개 형성된 흡입관 장착구멍에 일단부가 삽입되는 튜브형 한천겔 흡입관과,
    상기 튜브형 한천겔 흡입관의 타단부가 삽입고정되도록 상기 플레이트 보정틀에 설정거리 이격되어 병렬 배치된 흡입관 지지체 프레임(6)과,
    상기 흡입관 지지체 프레임(6)의 하면을 지지하고, 내부에 한천겔을 제거하기 위해 수용하는 오목 통형부가 형성된 한천겔 제거통(8)과,
    상기 한천겔 제거통(8)에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흡입관 지지체 프레임(6) 및 플레이트 보정틀(1)의 내곽부에 각각 일단부가 삽입접속된 다수의 지지봉(5)과,
    상기 다수의 지지봉(5)에 감겨지고, 상기 흡입관 지지체 프레임(6)과 플레이트 보정틀(1)의 사이에 탄력적으로 양단이 지지된 다수의 스프링(3)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스프링(3)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 보정틀(1)이 상기 흡입관 지지체 프레임(6)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상하운동하도록, 상기 흡입관 지지체 프레임(6)은 상기 한천겔 제거통(8)의 상면에 링 형상의 지지체 고정장치(4)를 매개로 고정지지되며,
    상기 한천겔 제거통(8) 내에 음압이 형성되도록 진공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진공펌프 연결장치를 상기 한천겔 제거통(8)에 결합하여, 상기 한천겔 제거통(8) 내 음압이 형성될 때 한천겔 플레이트로부터 제거된 한천겔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천겔 침강반응용 플레이트 제작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천겔 플레이트로는 원형타입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소량의 시료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천겔침강반응 플레이트 제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천겔 플레이트로는 직사각형타입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대량의 시료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천겔침강반응 플레이트 제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천겔 흡입관은 한천겔 플레이트의 한천겔층으로부터 특정 웰모양의 한천겔을 진공흡입방법으로 제거하기 위한 다수의 튜브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천겔침강반응 플레이트 제작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천겔 흡입관은 상기 흡입관의 내부 상단팁을 날카롭게 갈아 검사웰이 한천겔 내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천겔침강반응 플레이트 제작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1) 청구항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작장치를 이용하여 한천겔 플레이트를 제작함에 있어, 이 제작장치의 상부에 있는 보정틀에 한천겔을 함유한 플레이트를 뒤집어 올려놓는 보정단계;
    (2) 상기 플레이트 보정틀의 하단 구멍에 소정의 크기 및 배열에 들어맞도록 다수의 튜브형 흡입관을 삽입하는 단계;
    (3) 상기 플레이트를 상부에서 압압하여 흡입관에 플레이트를 밀착시켜 최대한 검사용 웰을 생성시키는 검사웰을 생성하는 단계;
    (4) 상기 제작장치에 연결된 진공펌프의 작동에 의하여 장치내 형성된 음압에 의하여 흡입관내 한천겔 파편을 플레이트로부터 제거하여 한천겔 플레이트를 제작하는 단계; 및
    (5) 상기 제작장치로부터 완성된 플레이트를 제거하여 플레이트의 제작을 완료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천겔 플레이트 제작장치를 이용한 한천겔 플레이트 제작방법.
  17. (1) 청구항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제작장치를 이용하여 한천겔 플레이트를 제작함에 있어, 이 제작장치의 상부에 있는 보정틀에 한천겔을 함유한 플레이트를 뒤집어 올려놓는 보정단계;
    (2) 상기 플레이트 보정틀의 하단 구멍에 소정의 크기 및 배열에 들어맞도록 다수의 튜브형 흡입관을 삽입하는 단계;
    (3) 상기 제작장치에 연결된 진공펌프의 작동에 의하여 장치내 음압을 형성하는 단계;
    (4) 상기 플레이트를 상부에서 압압하여 흡입관에 플레이트를 밀착시킴으로서 검사용 웰을 생성시키는 단계; 및
    (5) 상기 제작장치로부터 완성된 플레이트를 제거하여 플레이트의 제작을 완료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천겔 플레이트 제작장치를 이용한 한천겔 플레이트 제작방법.
KR1020070108498A 2007-10-26 2007-10-26 한천겔 플레이트의 제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한천겔플레이트의 제작 방법 KR100951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498A KR100951016B1 (ko) 2007-10-26 2007-10-26 한천겔 플레이트의 제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한천겔플레이트의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498A KR100951016B1 (ko) 2007-10-26 2007-10-26 한천겔 플레이트의 제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한천겔플레이트의 제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634A KR20090042634A (ko) 2009-04-30
KR100951016B1 true KR100951016B1 (ko) 2010-04-06

Family

ID=40765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498A KR100951016B1 (ko) 2007-10-26 2007-10-26 한천겔 플레이트의 제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한천겔플레이트의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0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6045A (en) 1972-06-26 1974-06-11 L Cawley Mold forming device
EP0193883A2 (en) * 1985-03-08 1986-09-10 GRUPPO LEPETIT S.p.A. Well forming apparatus
JPH02251747A (ja) * 1989-03-27 1990-10-09 Aisin Seiki Co Ltd 電気泳動装置
JPH0358779A (ja) * 1989-03-28 1991-03-13 Aisin Seiki Co Ltd 軟質材の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6045A (en) 1972-06-26 1974-06-11 L Cawley Mold forming device
EP0193883A2 (en) * 1985-03-08 1986-09-10 GRUPPO LEPETIT S.p.A. Well forming apparatus
JPH02251747A (ja) * 1989-03-27 1990-10-09 Aisin Seiki Co Ltd 電気泳動装置
JPH0358779A (ja) * 1989-03-28 1991-03-13 Aisin Seiki Co Ltd 軟質材の分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634A (ko) 200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55527C (zh) 用于构筑组织阵列的仪器
ATE504000T1 (de) Auf ip-10 basierende immunologische überwachung
ATE438737T1 (de) Verfahren für den nachweis von erkrankungen
ATE440543T1 (de) Vorrichtung zur serienweisen entnahme, aufbewahrung und verarbeitung von biopsie-proben
JP2017507730A5 (ko)
CN101258396A (zh) 取样装置
DE602006005927D1 (de) Vorrichtung zur entnahme, zum sammeln und zum transport biologischer proben
EP1686380A3 (en) Robotic apparatus for picking of cells and other applications with integrated spectroscopic capability
DE60234759D1 (de) Nachweisverfahren für eine frühe nierenkrankheit in tieren
DE602005001465D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ntnahme von Proben
CN105890943A (zh) 具有自动检测功能的细胞蜡块制备装置
ATE440302T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equentiellen probenbeobachtung
KR100951016B1 (ko) 한천겔 플레이트의 제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한천겔플레이트의 제작 방법
WO2006116018A8 (en) Medical test probe for cell sample collection
CN106323949A (zh) 检测装置及其加压组件
DE602006021162D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nachweis von katzen-immunschwächevirus
CN104237127A (zh) 带tip头放置机构的样品架及相应的分析仪
CN216688084U (zh) 一种核酸提取检测装置
CN202757944U (zh) 金标法测试标本盘
CN211834502U (zh) 一种用于标本收集的负压吸引瓶
CN204228724U (zh) 自动化学发光分析仪及其样品架装置
KR102562639B1 (ko) Pcr 진단용 시료 채취 진단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pcr 진단용 시료 채취 도구
JP2009079968A (ja) 試料採取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試料採取装置
CN201251575Y (zh) 一种适于现场使用的禽病快速检测装置
CN205749003U (zh) 一种阴道炎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