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842B1 -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842B1
KR100950842B1 KR1020080018230A KR20080018230A KR100950842B1 KR 100950842 B1 KR100950842 B1 KR 100950842B1 KR 1020080018230 A KR1020080018230 A KR 1020080018230A KR 20080018230 A KR20080018230 A KR 20080018230A KR 100950842 B1 KR100950842 B1 KR 100950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biometric data
sink
data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8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2957A (ko
Inventor
정완영
이대석
정도운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18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842B1/ko
Publication of KR20090092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70Routing based on monitoring resu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스 케어 대상으로부터 계측된 생체 신호를 이용하여 생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생체 데이터의 긴급 전송 필요 여부에 따라 데이터 전송 경로를 변경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센서 노드에서 헬스 케어 대상의 생체 신호를 주기적으로 계측하여 계측된 생체 신호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생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제1싱크 노드를 기저장된 제1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 중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제1싱크 노드로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는 생체 데이터 전송 단계와; 상기 제1싱크 노드에서 상기 센서 노드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생체 데이터가 긴급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인지를 확인하는 긴급 전송 확인 단계와; 상기 긴급 전송 확인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긴급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1싱크 노드에서 경로 변경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로 변경 메시지를, 생체 데이터를 전송한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상기 센서 노드를 제외한 다른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타 센서 노드들에게 전송하는 경로 변경 메시지 전송 단계와; 상기 제1싱크 노드로부터 경로 변경 메시지를 수신한 각 타 센서 노드에서 수신된 경로 변경 메시지를 전송한 자신의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상기 제1싱크 노드를 기저장된 제1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에서 일정 시간 동안 제외시키는 경로 설정 대상 제외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긴급 전송이 필요한 생체 데이터 전송에 있어 안정성과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 설정 방법{Method for Setting Data Transmission Path in Sensor Network based on Health Care}
본 발명은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의 긴급성 여부에 따라 데이터 전송 경로를 변경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해당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센서 노드에서 헬스 케어 대상의 생체 신호를 계측하여 데이터 전송 중계 역할을 하는 다수의 싱크 노드들을 통해 목적지 노드로 전송함으로써, 목적지 노드에 위치한 관리자에게 헬스 케어 대상의 생체 신호 수치를 통보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각 노드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라우팅 경로가 기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센서 노드에서는 헬 스 케어 대상으로부터 계측된 생체 신호를 자신의 상위 노드로 기설정되어 있는 제1싱크 노드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제1싱크 노드는 자신의 상위 노드로 기설정되어 있는 제2싱크 노드로 생체 신호를 전송하며, 이를 수신한 제2싱크 노드에서는 자신의 상위 노드로 기설정되어 있는 목적지 노드로 생체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즉, 종래의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센서 노드 및 각 싱크 노드는 헬스 케어 대상의 생체 신호 수치가 위급한 수치 정도에 해당하는 비정상 수치 생체 신호인지, 아니면 정상 수치 생체 신호인지에 상관없이 기설정된 동일 전송 경로에 따라서만 목적지 노드로 생체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에, 종래의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비정상 수치 생체 신호와 정상 수치 생체 신호가 동일한 전송 경로를 통해 전송되기 때문에, 목적지 노드까지 반드시 안전하게 전송되어야할 필요성이 있는 긴급 수치 생체 신호가 전송 도중에 특정 노드에서의 정상 수치 생체 신호와의 충돌로 인해 손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비정상 수치 생체 신호와 정상 수치 생체 신호가 동일한 전송 경로를 통해 전송되기 때문에, 각 센서 노드로부터 목적지 노드까지의 비정상 수치 생체 신호 전송 속도와 정상 수치 생체 신호 전송 속도가 동일하므로, 목적지 노드에서 관리자가 헬스 케어 대상의 비정상 수치 생체 신호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 시점과 정상 수치 생체 신호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 시점에 차이가 없어, 관리자가 헬스 케어 대상의 비정상 수치 생체 신호 발생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헬스 케어 대상으로부터 계측된 생체 신호를 이용하여 생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생체 데이터의 긴급 전송 필요 여부에 따라 데이터 전송 경로를 변경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 설정 방법은, 센서 노드에서 헬스 케어 대상의 생체 신호를 주기적으로 계측하여 계측된 생체 신호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생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제1싱크 노드를 기저장된 제1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 중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제1싱크 노드로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는 생체 데이터 전송 단계와; 상기 제1싱크 노드에서 상기 센서 노드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생체 데이터가 긴급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인지를 확인하는 긴급 전송 확인 단계와; 상기 긴급 전송 확인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긴급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1싱크 노드에서 경로 변경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로 변경 메시지를, 생체 데이터를 전송한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상기 센서 노드를 제외한 다른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타 센서 노드들에게 전송하는 경로 변경 메시지 전송 단계와; 상기 제1싱크 노드로부터 경로 변경 메시지를 수신한 각 타 센서 노드에서 수신된 경로 변경 메시지를 전송한 자신의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상기 제1싱크 노드를 기저장된 제1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에서 일정 시간 동안 제외시키는 경로 설정 대상 제외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 설정 방법에 의하면, 헬스 케어 대상으로부터 계측된 생체 신호를 이용하여 생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생체 데이터의 긴급 전송 필요 여부에 따라 데이터 전송 경로를 변경 설정함으로써, 긴급 전송이 필요한 생체 데이터 전송에 있어 안정성과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 및 그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 설정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 크는 센서 노드(10)들과, 싱크 노드(20)들과, 목적지 노드(30)가 상호 간에 통신 가능한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각 센서 노드(10)는 헬스 케어 대상으로부터 생체 신호를 주기적으로 계측하고, 계측된 생체 신호에 의거한 생체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된 생체 데이터를 자신의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싱크 노드(20)들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되, 계측된 생체 신호의 정상 여부에 따라 긴급 전송이 필요함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를 생성하여 자신의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싱크 노드(20)들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생체 데이터는 심박동 수, 혈압 및 SpO2 농도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각 센서 노드(10)는 헬스 케어 대상의 생체 신호를 주기적으로 계측하고, 계측된 생체 신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여 정상인 경우에는 생체 신호의 수치를 일정 시간 동안 누적하여 평균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평균값을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를 생성하며, 비정상인 경우에는, 계측된 생체 신호를 포함하며 긴급 전송 판별 태그가 부착된 생체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체 신호 계측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신호 계측부는 생체 신호 정상 여부 판단시, 헬스 케어 대상으로부터 계측된 생체 신호의 수치가 기설정된 기준 범위 이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기설정된 기준 범위 이내에 해당하는 경우를 정상으로 판단하고, 기설정된 기준 범위 이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를 비정상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센서 노드(10)는 자신과의 데이터 전송 경로 설정이 가능한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싱크 노드(20)들의 목록이 경로 설정 우선순위 별로 기록되어 있는 제1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을 기저장하고 있어, 구비된 생체 신호 계측부에서 생성된 생체 데이터를 자신의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싱크 노드(20)들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경우에, 생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위 노드를 기저장된 제1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 중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상위 노드로 데이터 전송 경로를 설정하며 설정된 데이터 전송 경로를 통해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센서 노드(10)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이루어져, 구비된 통신 모듈을 통해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싱크 노드(20)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센서 노드(10)는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싱크 노드(20)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경로 변경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경로 변경 메시지를 전송한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싱크 노드(20)를 기저장된 제1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에서 일정 시간 동안 제외시킨다.
한편, 각 싱크 노드(20)는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센서 노드(10)들로부터 생체 데이터들을 수신하면, 수신된 생체 데이터들을 취합하여 자신의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타 싱크 노드(20)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목적지 노드(30)로 전송한다.
한편, 각 싱크 노드(20)는 자신과의 데이터 전송 경로 설정이 가능한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타 싱크 노드(20)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목적지 노드(30)의 목록이 경로 설정 우선순위 별로 기록되어 있는 제2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 및 자신과의 데이터 전송 경로 설정이 가능한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센서 노드(10)들 또는 타 싱크 노드(20)들의 목록이 기록되어 있는 경로 설정 대상 하위 노드 목록에 대한 정보를 기저장하고 있다.
이에, 각 싱크 노드(20)는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센서 노드(10)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생체 데이터의 긴급 전송 판별 태그 부착 여부를 확인하여 수신된 생체 데이터가 긴급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인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긴급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인 경우,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타 싱크 노드(20)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목적지 노드(30)로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는 한편, 경로 변경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생성된 경로 변경 메시지를, 자신에게 생체 데이터를 전송한 하위 노드를 제외한 다른 하위 노드로 전송한다.
즉, 각 싱크 노드(20)는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센서 노드(10)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생체 데이터가 긴급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인 경우,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위 노드를 기저장된 제2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 중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상위 노드로 데이터 전송 경로를 설정하며 설정된 데이터 전송 경로를 통해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는 한편, 경로 변경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생성된 경로 변경 메시지를, 기저장된 경로 설정 대상 하위 노드 목록 중 자신에게 생체 데이터를 전송한 하위 노드를 제외한 다른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센서 노드(10)들 또는 타 싱크 노드(20)들에게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 싱크 노드(20)는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센서 노드(10)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생체 데이터가 긴급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인지를 확인한 결과, 긴급 전송이 필요하지 않은 데이터인 경우, 즉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센서 노드(10)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생체 데이터에 긴급 전송 판별 태그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타 싱크 노드(20)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목적지 노드(30)로 생체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각 싱크 노드(20)는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타 싱크 노드(20)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경로 변경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경로 변경 메시지를 전송한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타 싱크 노드(20)를 기저장된 제2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에서 일정 시간 동안 제외시킨다.
또한, 각 싱크 노드(20)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이루어져, 구비된 통신 모듈을 통해 상위/하위 노드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 싱크 노드(20)는 각 센서 노드(10)에 구비되어 있는 생체 신호 계측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져, 각 센서 노드(10)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목적지 노드(30)는 싱크 노드(20)들을 통해 각 센서 노드(10)로부터의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생체 데이터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목적지 노드(30)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을 구비한 컴퓨팅 장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 크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 설정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 설정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센서 노드(10)는 헬스 케어 대상의 생체 신호를 주기적으로 계측하여 계측된 생체 신호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를 생성하고(S100), 생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제1싱크 노드(20)를 기저장된 제1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 중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제1싱크 노드(20)로 생체 데이터를 전송한다(S110).
상기한 단계 S100에서 센서 노드(10)는 헬스 케어 대상으로부터 계측된 생체 신호의 수치가 기설정된 기준 범위 이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기설정된 기준 범위 이내에 해당하는 경우를 정상으로 판단하고, 기설정된 기준 범위 이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를 비정상으로 판단함으로써, 헬스 케어 대상으로부터 계측된 생체 신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여 정상인 경우에는 생체 신호의 수치를 일정 시간 동안 누적하여 평균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평균값을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를 생성하며, 비정상인 경우에는, 계측된 생체 신호를 포함하며 긴급 전송 판별 태그가 부착된 생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단계 S110을 통해 자신의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센서 노드(10)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한 제1싱크 노드(20)는 수신된 생체 데이터의 긴급 전송 판별 태그 부착 여부를 확인하여 수신된 생체 데이터가 긴급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인지를 확인한다(S120).
상기한 단계 S120에서의 확인 결과 긴급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인 경우, 제1싱크 노드(20)는 생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위 노드를 기저장된 제2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 중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상위 노드로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는 한편(S130), 경로 변경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생성된 경로 변경 메시지를, 상기한 단계 S110을 통해 생체 데이터를 전송한 하위 노드를 제외한 다른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타 센서 노드(10)들에게 전송하되(S140), 기저장된 경로 설정 대상 하위 노드 목록 중 생체 데이터를 전송한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센서 노드(10)를 제외한 다른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타 센서 노드(10)들을 검색하여 검색된 타 센서 노드(10)들에게 전송한다.
상기한 단계 S140을 통해 자신의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제1싱크 노드(20)로부터 경로 변경 메시지를 수신한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타 센서 노드(10)들은 수신된 경로 변경 메시지를 전송한 자신의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제1싱크 노드(20)를 기저장된 제1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에서 일정 시간 동안 제외시킨다(S150).
이로 인해, 상기한 단계 S140을 통해 자신의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제1싱크 노드(20)로부터 경로 변경 메시지를 수신한 타 센서 노드(10)들은 각각 자신이 생성한 생체 데이터를 상위 노드로 전송시, 상기한 단계 S150을 통해 제1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에서 제외된 제1싱크 노드(20)로는 일정 시간 동안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게 된다. 즉, 자신의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타 센서 노드(10)들 각각에 기저장된 제1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에서 제외된 제1싱크 노드(20) 는 일정 시간 동안 상기한 단계 S110을 통해 생체 데이터를 전송한 센서 노드(1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만을 전송하게 되는 데이터 전송 경로로 설정된다.
한편, 상기한 단계 S120의 확인 결과 긴급 전송이 필요하지 않은 데이터인 경우, 즉 상기한 단계 S110을 통해 센서 노드(10)로부터 수신된 생체 데이터에 긴급 전송 판별 태그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제1싱크 노드(20)는 상기한 단계 S130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S160).
한편으로는, 상기한 단계 S130 또는 S160에서의 제2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 중에서 검색된 상위 노드가 목적지 노드(30)인 경우, 제1싱크 노드(20)는 검색된 목적지 노드(30)로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고, 이를 수신한 목적지 노드(30)에서는 수신된 생체 신호를 출력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다르게는, 상기한 단계 S130 또는 S160에서의 제2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 중에서 검색된 상위 노드가 제2싱크 노드(20)인 경우, 상기한 단계 S130 또는 S160을 통해 자신의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제1싱크 노드(20)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한 제2싱크 노드(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생체 데이터의 긴급 전송 판별 태그 부착 여부를 확인하여 수신된 생체 데이터가 긴급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인지를 확인한다(S200).
상기한 단계 S200에서의 확인 결과 긴급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인 경우, 제2싱크 노드(20)는 생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위 노드를 기저장된 제2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 중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상위 노드로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는 한편(S210), 경로 변경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생성된 경로 변경 메시지를, 상기한 단계 S200을 통해 생체 데이터를 전송한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제1싱크 노드(20)를 제외한 다른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타 싱크 노드(20)들에게 전송한다(S220).
상기한 단계 S220을 통해 자신의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제2싱크 노드(20)로부터 경로 변경 메시지를 수신한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타 싱크 노드(20)들은 수신된 경로 변경 메시지를 전송한 자신의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제2싱크 노드(20)를 기저장된 제2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에서 일정 시간 동안 제외시킨다(S230).
이로 인해, 상기한 단계 S220을 통해 자신의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제2싱크 노드(20)로부터 경로 변경 메시지를 수신한 타 센서 노드(10)들은 각각 자신이 생성한 생체 데이터를 상위 노드로 전송시, 상기한 단계 S230을 통해 제2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에서 제외된 제2싱크 노드(20)로는 일정 시간 동안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게 된다. 즉, 자신의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타 싱크 노드(20)들 각각에 기저장된 제2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에서 제외된 제2싱크 노드(20)는 제1싱크 노드(20)와 함께 일정 시간 동안 상기한 단계 S110을 통해 생체 데이터를 전송한 센서 노드(1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만을 전송하게 되는 데이터 전송 경로로 설정된다.
한편, 상기한 단계 S200에서의 확인 결과 긴급 전송이 필요하지 않은 데이터인 경우, 제2싱크 노드(20)는 상기한 단계 S210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S240).
본 발명에 따른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 설정 방법에 의하면, 헬스 케어 대상으로부터 계측된 생체 신호를 이용하여 생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생체 데이터의 긴급 전송 필요 여부에 따라 데이터 전송 경로를 변경 설정함으로써, 긴급 전송이 필요한 생체 데이터 전송에 있어 안정성과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 설정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센서 노드 20: 싱크 노드
30: 목적지 노드

Claims (9)

  1. 삭제
  2. 센서 노드에서 헬스 케어 대상의 생체 신호를 주기적으로 계측하여 계측된 생체 신호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생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제1싱크 노드를 기저장된 제1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 중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제1싱크 노드로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는 생체 데이터 전송 단계와;
    상기 제1싱크 노드에서 상기 센서 노드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생체 데이터가 긴급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인지를 확인하는 긴급 전송 확인 단계와;
    상기 긴급 전송 확인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긴급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1싱크 노드에서 경로 변경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로 변경 메시지를, 생체 데이터를 전송한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상기 센서 노드를 제외한 다른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타 센서 노드들에게 전송하는 경로 변경 메시지 전송 단계와;
    상기 제1싱크 노드로부터 경로 변경 메시지를 수신한 각 타 센서 노드에서 수신된 경로 변경 메시지를 전송한 자신의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상기 제1싱크 노드를 기저장된 제1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에서 일정 시간 동안 제외시키는 경로 설정 대상 제외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 데이터 전송 단계는, 상기 센서 노드에서 헬스 케어 대상으로부터 계측된 생체 신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정상인 경우에, 생체 신호의 수치를 일정 시간 동안 누적하여 평균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평균값을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비정상인 경우에, 상기 계측된 생체 신호를 포함하며 긴급 전송 판별 태그가 부착된 생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 설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된 생체 신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계측된 생체 신호의 수치가 기설정된 기준 범위 이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계측된 생체 신호의 수치가 기설정된 기준 범위 이내에 해당하는 경우를 정상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계측된 생체 신호의 수치가 기설정된 기준 범위 이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를 비정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 설정 방법.
  4. 센서 노드에서 헬스 케어 대상의 생체 신호를 주기적으로 계측하여 계측된 생체 신호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생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제1싱크 노드를 기저장된 제1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 중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제1싱크 노드로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는 생체 데이터 전송 단계와;
    상기 제1싱크 노드에서 상기 센서 노드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생체 데이터가 긴급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인지를 확인하는 긴급 전송 확인 단계와;
    상기 긴급 전송 확인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긴급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1싱크 노드에서 경로 변경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로 변경 메시지를, 생체 데이터를 전송한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상기 센서 노드를 제외한 다른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타 센서 노드들에게 전송하는 경로 변경 메시지 전송 단계와;
    상기 제1싱크 노드로부터 경로 변경 메시지를 수신한 각 타 센서 노드에서 수신된 경로 변경 메시지를 전송한 자신의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상기 제1싱크 노드를 기저장된 제1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에서 일정 시간 동안 제외시키는 경로 설정 대상 제외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긴급 전송 확인 단계는, 상기 센서 노드로부터 수신된 생체 데이터에 긴급 전송 판별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센서 노드로부터 수신된 생체 데이터가 긴급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 설정 방법.
  5. 센서 노드에서 헬스 케어 대상의 생체 신호를 주기적으로 계측하여 계측된 생체 신호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생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제1싱크 노드를 기저장된 제1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 중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제1싱크 노드로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는 생체 데이터 전송 단계와;
    상기 제1싱크 노드에서 상기 센서 노드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생체 데이터가 긴급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인지를 확인하는 긴급 전송 확인 단계와;
    상기 긴급 전송 확인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긴급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1싱크 노드에서 경로 변경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로 변경 메시지를, 생체 데이터를 전송한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상기 센서 노드를 제외한 다른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타 센서 노드들에게 전송하는 경로 변경 메시지 전송 단계와;
    상기 제1싱크 노드로부터 경로 변경 메시지를 수신한 각 타 센서 노드에서 수신된 경로 변경 메시지를 전송한 자신의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상기 제1싱크 노드를 기저장된 제1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에서 일정 시간 동안 제외시키는 경로 설정 대상 제외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긴급 전송 확인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긴급 전송이 필요하지 않은 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1싱크 노드에서 상기 센서 노드로부터 수신된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위 노드를 기저장된 제2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 중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상위 노드로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 설정 방법.
  6. 센서 노드에서 헬스 케어 대상의 생체 신호를 주기적으로 계측하여 계측된 생체 신호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생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제1싱크 노드를 기저장된 제1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 중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제1싱크 노드로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는 생체 데이터 전송 단계와;
    상기 제1싱크 노드에서 상기 센서 노드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생체 데이터가 긴급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인지를 확인하는 긴급 전송 확인 단계와;
    상기 긴급 전송 확인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긴급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1싱크 노드에서 경로 변경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로 변경 메시지를, 생체 데이터를 전송한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상기 센서 노드를 제외한 다른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타 센서 노드들에게 전송하는 경로 변경 메시지 전송 단계와;
    상기 제1싱크 노드로부터 경로 변경 메시지를 수신한 각 타 센서 노드에서 수신된 경로 변경 메시지를 전송한 자신의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상기 제1싱크 노드를 기저장된 제1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에서 일정 시간 동안 제외시키는 경로 설정 대상 제외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경로 변경 메시지 전송 단계는, 상기 제1싱크 노드에서 상기 센서 노드로부터 수신된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위 노드를 기저장된 제2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 중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상위 노드로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 설정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장된 제2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 중에서 검색된 상위 노드가 제2싱크 노드인 경우에, 상기 제2싱크 노드에서 자신의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상기 제1싱크 노드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생체 데이터가 긴급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생체 데이터가 긴급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인 경우, 경로 변경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로 변경 메시지를, 자신에게 생체 메시지를 전송한 상기 제1싱크 노드를 제외한 다른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타 싱크 노드들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싱크 노드로부터 경로 변경 메시지를 수신한 각 타 싱크 노드에서 수신된 경로 변경 메시지를 전송한 자신의 상위 노드에 해당하는 상기 제1싱크 노드를 기저장된 제2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에서 일정 시간 동안 제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 설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싱크 노드를 제외한 다른 하위 노드에 해당하는 타 싱크 노드들에게 경로 변경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싱크 노드에서 상기 제1싱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위 노드를 기저장된 제2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 중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상위 노드로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 설정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생체 데이터가 긴급 전송이 필요하지 않은 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2싱크 노드에서 상기 제1싱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위 노드를 기저장된 제2경로 설정 대상 상위 노드 목록 중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상위 노드로 생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 설정 방법.
KR1020080018230A 2008-02-28 2008-02-28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설정 방법 KR100950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230A KR100950842B1 (ko) 2008-02-28 2008-02-28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230A KR100950842B1 (ko) 2008-02-28 2008-02-28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957A KR20090092957A (ko) 2009-09-02
KR100950842B1 true KR100950842B1 (ko) 2010-04-02

Family

ID=41301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230A KR100950842B1 (ko) 2008-02-28 2008-02-28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8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447B1 (ko) * 2013-03-28 2015-12-23 한국과학기술원 생체신호전달 네트워크 분석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693A (ko) * 2001-10-12 2004-05-17 허니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전술 네트워크 라우팅 애플리케이션용 스마트브릿지
US20060268688A1 (en) 2003-03-13 2006-11-30 Masaaki Isozu Radio ad hoc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processing method in the terminal, and program causing the terminal to execute the method
KR20070033492A (ko) * 2005-09-21 2007-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이상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80052140A (ko) * 2006-12-05 2008-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의 매체접속 제어 및 자원할당을위한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프레임 구조를 기록한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693A (ko) * 2001-10-12 2004-05-17 허니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전술 네트워크 라우팅 애플리케이션용 스마트브릿지
US20060268688A1 (en) 2003-03-13 2006-11-30 Masaaki Isozu Radio ad hoc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processing method in the terminal, and program causing the terminal to execute the method
KR20070033492A (ko) * 2005-09-21 2007-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이상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80052140A (ko) * 2006-12-05 2008-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의 매체접속 제어 및 자원할당을위한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프레임 구조를 기록한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957A (ko)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094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이상 데이터 처리 방법
CN108429766B (zh) 基于大数据和wsn技术的网络安全态势分析预警系统
CN108885664A (zh) 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系统、以及程序
US8355341B2 (en) Delay time measurement apparatus, storage medium storing delay time measurement program and network system
EP28142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reliability of wireless network having asymmetric or other low quality wireless links
JP2005305105A (ja) 健康管理方法及びそれを実施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100748699B1 (ko) 센서 네트워크의 이상 데이터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US942041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node, and monitoring node
JP537952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親ノード探索方法
KR20080009081A (ko) 센서 네트워크의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950842B1 (ko) 헬스 케어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설정 방법
KR102371506B1 (ko) 건설 현장 작업자 상태 체크 시스템 및 방법
JP6472328B2 (ja) 災害監視システム、監視装置、センサデバイスおよび災害監視方法
US20090106045A1 (en)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 emergency condition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KR20110030163A (ko)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처리 방법
KR101146606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주기적 트래픽 처리방법
Tahir et al. Fog-based healthcare architecture for wearable body area network
US2015015427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uilding relation model based on resource management architecture
JP5261773B2 (ja) クロック供給システム、クロック供給装置、網同期クロック管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924562B1 (ko) 센서 네트워크의 구성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과 시스템
KR101796619B1 (ko) 응급 알림 시스템
JP2009011706A (ja) 健康レベル報知システム
KR100926291B1 (ko) 센서 네트워크 내의 센서로부터 출력된 센싱 데이터를전송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을저장하는 저장 매체
KR100779093B1 (ko) 개체 관리를 위한 개체용 센서노드, 관리자용 싱크노드 및개체관리방법
CN104834283B (zh) 一种跨层次发送可定制数据的物联网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