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651B1 - 지능형 승가 검출기 - Google Patents

지능형 승가 검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651B1
KR100949651B1 KR1020080036022A KR20080036022A KR100949651B1 KR 100949651 B1 KR100949651 B1 KR 100949651B1 KR 1020080036022 A KR1020080036022 A KR 1020080036022A KR 20080036022 A KR20080036022 A KR 20080036022A KR 100949651 B1 KR100949651 B1 KR 100949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ehavior
multiplication
cow
ca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0492A (ko
Inventor
박수봉
이성준
박성재
김현섭
백광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이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이성준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080036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651B1/ko
Publication of KR20090110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1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in two or mor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00Surgical instruments for veterinary use
    • A61D1/08Veterinary obstetrical instruments 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G01C15/008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combined with inclination sens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 G01P15/0891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with indication of predetermined acceleration valu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소의 승가 행위를 검출할 수 있는 소의 지능형 승가 검출기는 승가 정보 발신부 및 정보 알림부를 포함한다. 승가 정보 발신부는 소의 소정 위치에 착용되어 소의 행동에 따른 경사도 정보를 생성하고 소의 발정시의 승가 행동을 나타내는 승가 정보를 선별하여 송출한다. 정보 알림부는 승가 정보를 승가 정보 발신부로부터 제공받아서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따라서, 소의 승가 행위를 이용하여 수정적기를 예측할 수 있어 소의 번식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지능형 승가 검출기{Intelligent mounting detector}
본 발명은 소의 승가 검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의 승가 행위를 검출할 수 있는 소의 승가 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는 인간에게 식용으로 육류와 우유를 제공하고, 산업용으로 가죽을 제공하는 등 많은 이로움을 주는 가축으로서, 농가에도 많은 수익을 창출시키는 소득원으로 기능하므로, 농촌 지역을 위주로 널리 사육되고 있다.
이러한 소의 많은 개체 확보를 위해서 소의 번식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매우 중요한데, 종래에는 소가 발정 증상을 보이는지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발정 증상을 보이면 소정 시간이 지난 후 임의로 인공수정을 실시하는 방법이 주로 활용되어 왔다.
특히, 소가 발정기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발정에 동반하는 다양한 행동 등을 관찰하는 방법이 활용되어 왔는데, 예를 들면, 승가 허용, 승가 행위의 유무, 턱비빔, 외음부 냄새맡기, 점액분비, 보행수 증가, 발성음 변화 등을 관찰하는 다양한 방법이 활용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관찰에 대해서 사람의 작업을 대신하기 위한 발정 검출기도 개 발되어 왔는데, 이 중 승가 허용이나 보행수 변화 등을 근거로 발정기에 있음을 판단하는 발정 검출기가 상용화된 바 있다.
그러나, 승가 허용을 나타내는 소가 발정기에 있는 소의 약 50% 정도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는 등 기존의 방식으로는 발정기에 있는 소의 발정을 검출하지 못하고 지나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인공수정의 적기를 놓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발정 검출률이 높은 발정 검출기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소의 승가 행위를 이용하여 수정적기를 예측할 수 있는 소의 지능형 승가 검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소의 지능형 승가 검출기는 승가 정보 발신부 및 정보 알림부를 포함한다. 상기 승가 정보 발신부는 소의 소정 위치에 착용되어 상기 소의 행동에 따른 경사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소의 발정시의 승가 행동을 나타내는 승가 정보를 선별하여 송출한다. 상기 정보 알림부는 상기 승가 정보를 상기 승가 정보 발신부로부터 제공받아서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상기 승가 정보 발신부가 착용되는 소의 소정 위치는, 예를 들면, 소의 목덜미 부위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승가 정보 발신부는, 상기 소의 행동에 따른 경사도 정보를 생성하는 경사도 센서(sensor)부, 상기 생성된 경사도 정보 중 상기 승가 정보를 선별하는 신호 선별부, 상기 승가 정보에 대한 신호를 증폭시키는 전력 증폭부 및 상기 증폭된 신호를 송출하는 정보 발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도 센서부는 선형 가속도계를 이용한 경사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선별부는 상기 경사도 정보 중에서 상기 소가 10도 이상의 후방 경사도를 가지는 경우를 상기 승가 정보로 판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정보 알림부는 상기 승가 정보 발신부로부터 제공받은 승가 정보로부터 승가 행동의 빈도수를 산출하고, 상기 경사도 정보 및 상기 승가 행동의 빈도수를 토대로 승가 행동의 개시시각을 판정하며, 상기 승가 행동의 개시 시각 이후 15시간 내지 20시간을 적기수정시간대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알림부는 상기 승가 행동의 빈도수, 상기 승가 행동의 개시시각 및 상기 적기수정시간대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의 승가 검출기에 따르면, 소의 경사도를 측정하여 소의 승가 행위 유무와 소의 발정기에 대한 판단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소의 발정기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정기를 기초로 소의 수정적기를 판단할 수 있어 인공수정을 적기에 시행할 수 있으므로, 소의 번식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의 승가 검출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의 승가 검출기(100)는 승가 정보 발신부(110) 및 정보 알림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승가 정보 발신부(110)는 소의 소정 위치에 착용되어 상기 소의 행동에 따른 경사도 정보를 생성한다. 이어서, 상기 경사도 정보 중에서 상기 소의 발정시의 승가 행동을 나타내는 승가 정보를 선별하여 송출한다.
상기 승가 정보 발신부(110)는 경사도 정보를 기초로 소의 발정기를 판정하게 되므로, 소의 경사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착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승가 정보 발신부(110)는 소의 목덜미 부위에 착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승가 검출기의 승가 정보 발신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승가 정보 발신부(110)는 일 실시예로, 경사도 센서(sensor)부(112), 신호 선별부(114), 전력 증폭부(116) 및 정보 발신부(118)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도 센서부(112)는 상기 소의 행동에 따른 경사도를 측정하여, 경사도 정보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경사도 센서부(112)는 선형 가속도계(linear accelerometer)를 이용한 경사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선별부(114)는 상기 생성된 경사도 정보 중에서 상기 승가 정보를 선별한다. 즉, 상기 신호 선별부(114)는 상기 경사도 정보 중에서 소정의 기준에 따라서 승가 행동으로 판정할 수 있는 경우에 이를 승가 정보로 판정하여 선별한다.
도 3은 소의 승가 행동의 판정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소(10)는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행동 유형을 가질 수 있다.
평소 정상적인 활동시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덜미 부위가 거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지만, 사료를 섭취하는 행동시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10)의 머리가 앞쪽으로 경사지게 된다. 또한, 승가 행동시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10)의 머리가 뒤쪽으로 경사지게 된다.
즉, 소(10)의 전방에 첨자 1, 후방에 첨자 2를 이용하여 이를 살펴 보면, 정상적인 활동시에는 a1-a2 라인이 거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지만, 사료 섭취 행동시에는 b1-b2 라인이 b1이 아래로 쳐지도록 경사지게 되고(이하 "전방 경사"라 함), 승가 행동시에는 c1-c2 라인이 c2가 아래로 쳐지도록 경사지게 된다(이하 "후방 경사"라 함).
따라서, 소(10)의 행동이 소정의 후방 경사도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경우 승가 행동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신호 선별부(114)는 소가 후방으로 10도 이상의 경사도를 가지는 경우를 상기 승가 정보로 판정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력 증폭부(116)는 상기 승가 정보에 대한 신호를 충분히 증폭시킨다.
상기 정보 발신부(118)는 상기 증폭된 신호를 도 1에 도시된 상기 정보 알림부(120)로 송출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정보 알림부(120)는 상기 승가 정보 발신 부(110)로부터 상기 승가 행동을 나타내는 승가 정보를 제공받아서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상기 정보 알림부(120)는, 예를 들면, 상기 승가 정보 발신부(110)로부터 송출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이나 이와 유사한 서버(server) 시스템일 수 있고,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가 직접 승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휴대용 전화 또는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와 같은 이동통신기기로 승가 정보를 알려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소 사육자가 외출중인 경우에도 상술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신속히 전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정보의 전달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통신이 모두 가능할 수 있으며, 일 예로는 가격이 저렴하고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지그비(zigbee)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에 더하여, 상기 정보 알림부(120)는 상기 승가 정보 발신부(110)로부터 제공받은 승가 정보로부터 승가 행동의 빈도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알림부(120)는 상기 경사도 정보 및 상기 승가 행동의 빈도수를 토대로 승가 행동의 개시시각을 판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정보 알림부(120)는 소가 소정의 후방 경사도를 갖는 경우 이를 승가 정보로 제공받은 후, 승가 행동이 얼마나 빈번하게 발생하는지를 산출하여 소정의 빈도수 이상이면, 최초의 승가 행동이 발생한 시점을 승가 개시시각으로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알림부(120)는 승가 행동의 개시시각 이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때를 적기수정시간대로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빈도수는 여러 가지 기준이 가능하지만, 일 예로 3회 이상 반복 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 알림부(120)는 상기 승가 행동의 빈도수, 상기 승가 행동의 개시시각, 상기 적기수정시간대 등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적기수정시간대에 대한 판단 기준의 일 예를 제시하기 위해서 다수의 소들이 승가 개시 후 여러 범위의 시간대에서 수정한 소의 수태율을 실험하였다. 표 1은 25마리의 소를 대상으로 승가 개시 후의 시간대에서의 수태율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승가 개시 후의 시간대 수정 두수 임신 두수 수태율(%)
5-15 시간 14 3 21.4
15-20 시간 7 6 85.7
20-25 시간 4 2 50.0
표 1을 참조하면, 승가 개시 후의 시간대가 15 내지 20 시간인 경우가 다른 경우에 비해서 수태율이 85.7%로 가장 높았다. 따라서, 상기 정보 알림부(120)는 상기 승가 행동의 개시 시각 이후 15시간 내지 20시간을 적기수정시간대로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의 승가 검출기(100)의 효과를 살펴 보기 위하여, 다수의 소들을 대상으로 발정시에 얼마나 승가 행동을 나타내는지를 판정하였고, 상기 승가 검출기(100)를 이용하여 승가 행동을 하는 소들을 얼마나 검출해 낼 수 있는지 실험하였다. 표 2는 58마리의 소를 대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가 검출 방식을 이용한 승가 발견율과 발정 발견율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대상 두수 58
총 발정 두수 (A) 15
승가 두수 (B) 13
발정 발견 두수(승가 검출 두수) (C) 13
발정 미발견 두수 2
승가 발견율 (C/B) 100%
발정 발견율 (C/A) 86.7%
표 2를 참조하면, 총 58마리의 소를 실험하여 발정한 소는 15마리가 존재하였는데, 이중에서 승가 행동을 나타낸 소는 13마리였고, 이중 본 발명에 따른 승가 검출기(100)를 이용하여 13마리의 소의 승가 행동을 검출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승가 발견율은 100%를 나타내었다. 다만, 2마리는 발정은 하였으나 승가 행동을 나타내지 않아서 승가 행동을 검출하는 방식에 의해서는 발정 여부를 파악할 수 없었다. 따라서, 발정 발견율은 86.7%를 나타내었다.
현재 국내 낙농가의 발정 발견율이 약 32% 정도에 불과한 점에 비추어 상기 86.7%는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발정 발견율이 약 40% 정도 증가되면, 공태일수가 약 50일 정도가 단축되며, 이러한 효과는 두당 50만원 정도의 수익성 향상을 가져와 국내 전체 착유젖소 29만두를 고려하면 연간 천억원 이상의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한우의 번식 효율까지 고려한다면 그 이상의 높은 경제적 이익이 기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소의 승가 검출기에 따르면, 소의 후방 경사도를 측정하여 소의 승가 행위 유무와 소의 발정기에 대한 판단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소의 발정기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정기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소의 수정적기를 판단할 수 있어 인공수정을 적기에 시행할 수 있으므로, 소의 번식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의 승가 검출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승가 검출기의 승가 정보발신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소의 승가 행동의 판정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소의 승가 검출기 110 : 승가 정보 발신부
112 : 경사도 센서부 114 : 신호 선별부
116 : 전력 증폭부 118 : 정보 발신부
120 : 정보 알림부

Claims (7)

  1. 소의 소정 위치에 착용되어 상기 소의 행동에 따른 경사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소의 발정시의 승가 행동을 나타내는 승가 정보를 선별하여 송출하는 승가 정보 발신부; 및
    상기 승가 정보를 상기 승가 정보 발신부로부터 제공받아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정보 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가 정보 발신부는,
    상기 소의 행동에 따른 경사도 정보를 생성하는 경사도 센서(sensor)부;
    상기 생성된 경사도 정보 중 상기 승가 정보를 선별하는 신호 선별부;
    상기 승가 정보에 대한 신호를 증폭시키는 전력 증폭부; 및
    상기 증폭된 신호를 송출하는 정보 발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의 승가 검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의 소정 위치는 소의 목덜미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의 승가 검출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도 센서부는 선형 가속도계를 이용한 경사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의 승가 검출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선별부는 상기 경사도 정보 중에서 상기 소가 10도 이상의 후방 경사도를 가지는 경우를 상기 승가 정보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의 승가 검출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알림부는 상기 승가 정보 발신부로부터 제공받은 승가 정보로부터 승가 행동의 빈도수를 산출하고, 상기 경사도 정보 및 상기 승가 행동의 빈도수를 토대로 승가 행동의 개시시각을 판정하며, 상기 승가 행동의 개시 시각 이후 15시간 내지 20시간을 적기수정시간대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의 승가 검출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알림부는 상기 승가 행동의 빈도수, 상기 승가 행동의 개시시각 및 상기 적기수정시간대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의 승가 검출기.
KR1020080036022A 2008-04-18 2008-04-18 지능형 승가 검출기 KR100949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022A KR100949651B1 (ko) 2008-04-18 2008-04-18 지능형 승가 검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022A KR100949651B1 (ko) 2008-04-18 2008-04-18 지능형 승가 검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492A KR20090110492A (ko) 2009-10-22
KR100949651B1 true KR100949651B1 (ko) 2010-03-26

Family

ID=41538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022A KR100949651B1 (ko) 2008-04-18 2008-04-18 지능형 승가 검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6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42190A (zh) * 2024-03-27 2024-04-30 中国农业科学院北京畜牧兽医研究所 一种基于角度感测的母猪临产预警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453B1 (ko) * 2001-06-11 2004-09-07 연성찬 소의 발정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453B1 (ko) * 2001-06-11 2004-09-07 연성찬 소의 발정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492A (ko) 200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onoghue et al. Genetic and phenotypic variance and covariance components for methane emission and postweaning traits in Angus cattle
Anil et al. Effect of lameness on sow longevity
Waghorn et al. Lowering ruminant methane emissions through improved feed conversion efficiency
US8066179B2 (en) Livestock breeding and management system
Sawa et al. Relationship between conformation traits and lifetime production efficiency of cows
Stěhulová et al. Maternal behaviour in beef cows is individually consistent and sensitive to cow body condition, calf sex and weight
Bell et al. The effect of changing cow production and fitness traits on net income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Australian dairy systems
Li et al. Sorting by parity to reduce aggression toward first-parity sows in group-gestation housing systems
Schneider et al. Evaluation of fixed sources of variation and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for incidence of bovine respiratory disease in preweaned calves and feedlot cattle
AU2016102432A4 (en) Method of managing disease, and apparatuses operating the same
Kongsted Stress and fear as possible mediators of reproduction problems in group housed sows: a review
Lucia et al. Lifetime reproductive and financial performance of female swine
Lacerda et al. Effect of mature size and body condition of Nelore females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Morris et al. Selecting for resilience in Romney sheep under nematode parasite challenge, 1994–2007
Pszczola et al. Genetic correlations between methane and milk production, conformation, and functional traits
Sun et al. Comparison between a sire model and an animal model for genetic evaluation of fertility traits in Danish Holstein population
Malchiodi et al. Symposium review: Multiple-trait single-step genomic evaluation for hoof health
KR100949651B1 (ko) 지능형 승가 검출기
Richardson et al. Determining the economic value of daily dry matter intake and associated methane emissions in dairy cattle
Stott et al. Including lameness and mastitis in a profit index for dairy cattle
Strandén et al. Animal board invited review: Genomic-based improvement of cattle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Lucia et al. Estimation of lifetime productivity of female swine
AU2007231879B2 (en) Livestock breeding and management system
Panda et al. Information source utilization by livestock and poultry farmers of Uttar Pradesh
Van Metre et al. Development of a syndromic surveillance system for detection of disease among livestock entering an auction mar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8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