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478B1 - A system for road drainage and method for it - Google Patents
A system for road drainage and method for 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49478B1 KR100949478B1 KR1020090076503A KR20090076503A KR100949478B1 KR 100949478 B1 KR100949478 B1 KR 100949478B1 KR 1020090076503 A KR1020090076503 A KR 1020090076503A KR 20090076503 A KR20090076503 A KR 20090076503A KR 100949478 B1 KR100949478 B1 KR 1009494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ad
- permeable layer
- rainwater
- cover
- ra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5/00—Draining the sub-base, i.e. subgrade or ground-work, e.g. embankment of roads or of the ballastway of railways or draining-off road surface or ballastway drainage by trenches, culverts, or conduits or other specially adapted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배수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에서 투수층의 표면으로의 빗물의 배수는 물론 투수층을 통과한 빗물을 유입공이 구성되며 경사구배가 형성된 유도관을 통해 빗물받이로 유도함으로써 배수를 원활히 할 수 있으며, 투수층의 표면으로의 빗물의 유입과 투수층을 통과한 빗물의 유입을 빗물받이를 통해 별도로 처리함에 의해 이물질의 혼입된 정도에 따라 그 처리를 다르게 하여 빗물의 1차적인 오염물(이물질)의 처리에 효율을 기할 수 있는 도로 배수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drainage system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drain water from the road to the surface of the water permeable layer, as well as rain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permeable layer, and the rainwater through the induction pipe formed with an inclined gradient. The drainage can be smoothed by induction into the receiver, and by treating the inflow of rainwater to the surface of the permeable layer and the inflow of the rain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ermeable layer separately through the rain gutter, the treatment of rainwate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mixing of foreign mat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drainage system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which can improve efficiency in treating primary pollutants.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로 배수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에서 투수층의 표면으로의 빗물의 배수는 물론 투수층을 통과한 빗물을 유입공이 구성되며 경사구배가 형성된 유도관을 통해 빗물받이로 유도함으로써 배수를 원활히 할 수 있으며, 투수층의 표면으로의 빗물의 유입과 투수층을 통과한 빗물의 유입을 빗물받이를 통해 별도로 처리함에 의해 이물질의 혼입된 정도에 따라 그 처리를 다르게 하여 빗물의 1차적인 오염물(이물질)의 처리에 효율을 기할 수 있는 도로 배수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drainage system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drain water from the road to the surface of the water permeable layer, as well as rain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permeable layer, and the rainwater through the induction pipe formed with an inclined gradient. The drainage can be smoothed by induction into the receiver, and by treating the inflow of rainwater to the surface of the permeable layer and the inflow of the rain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ermeable layer separately through the rain gutter, the treatment of rainwate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mixing of foreign mat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drainage system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which can improve efficiency in treating primary pollutants.
일반적으로 차량이 유동하는 도로의 가변에는 콘크리트 재질의 측구가 설치되고, 상기 측구에는 도로경계석이 착설되어 보행도로와 구획이 되는 바, 상기 측구에는 도로에서 낙하되는 빗물을 배수시키는 빗물받이가 일정간격으로 도로를 따라 설치된다.In general, a variable side of the road in which the vehicle flows is provided with a concrete side opening, and the side boundary is installed in the side boundary is partitioned with the pedestrian road, the rain gutter for draining the rain water falling from the road at a certain interval Is installed along the road.
이러한 구성에 기해 도로에 낙하되는 빗물은 도로의 경사구배에 의해 측구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며, 측구로 유동된 빗물은 빗물받이에 유입, 저장되어 외부로 방류가 된다. 그런데 이렇게 도로 상부에서 빗물의 유동에 기해서만 배수가 이루어지는 경우 강우량에 따라 도로 표면에 빗물이 고이게 되어 수막이 형성됨에 의해 차량의 제동성이 저하되고 도로 표면으로만 빗물이 유동하여 소음에 있어서도 문제가 된다. Based on this configuration, the rainwater falling on the road flows to the side opening by the gradient of the road, and the rainwater flowing to the side opening flows into the rain gutter and is stored outward. However, when the drainage is generated only by the flow of rainwater from the upper part of the road, the rainwater is accumulated on the road surface due to the rainfall, and the water film is formed, which reduces the braking property of the vehicle and the rainwater flows only on the road surface. do.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면에 투수층이 적층되는 도로를 구성하고, 상기 투수층의 양 측에 경사구배를 형성하여 측구와 연하도록 구성하여 투수층을 통과한 빗물이 투수층의 양 측에 경사구배를 형성하는 측면을 통해 측구로 유동하도록 하며 투수층을 통과하지 못한 빗물의 경우 투수층을 타고 측구로 유동하도록 하는 배수시스템이 제시된 바가 있으나, 이 경우 측구로 유동한 빗물이 빗물받이로 원활히 유동하여야 하지만 시공면이 고르지 못한 문제점 등에 의해 사수가 발생하여 배수가 원활하지 못한 문제가 있으며, 투수층을 통과한 빗물과 투수층을 타고 유동하는 빗물에는 이물질의 혼합율이 다른 바 이를 동일하게 빗물받이에 유입시켜 처리함에 따라 빗물의 1차적 오염원의 처리가 원활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rain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permeable layer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water permeable layer by constructing a road on which a water permeable layer is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and forming a sloped slope on both sides of the water permeable layer to connect with the side opening. In the case of rainwater that has not passed through the permeable layer, a drainage system has been suggested to flow through the permeable layer to the side opening, but in this case,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side outlet should flow smoothly to the rain gutter. Due to the problem of uneven surfa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ainage is not smooth due to the shooting water, and the mixing ratio of the foreign matter is different in the rainwater passing through the permeable layer and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permeable lay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eatment of the primary pollutant of rainwater is not smooth.
따라서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의 투수층을 통과하거나 투수층을 타고 유동하는 빗물을 용이하게 빗물받이로 유동케 함으로써 배수효율이 좋은 도로 배수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to provide a road drainage system with good drainage efficiency and construction method by making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permeable layer of the road or flow through the permeable layer to the rain gutter easily. to be.
또한, 도로의 투수층을 통과하는 빗물과 투수층을 타고 유동하는 빗물의 이물질 처리를 별도로 하여 빗물의 1차적 오염원 처리가 용이한 도로 배수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oad drainage system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that facilitate the treatment of primary pollutants by separating rain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permeable layer of the road and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permeable layer.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본 발명인 도로 배수시스템에 의해 달성되는 바, 상기 도로 배수시스템은 상면에 다공성의 투수층이 적층되는 도로와, 상기 도로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구와, 상기 투수층과 접하면서 상기 측구에 매입되며 다수의 유입공이 형성되는 유도관과, 상기 유도관과 일측에서 연통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측구의 표면에 덮개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빗물받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chieved by the road drainag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ad drainage system is a road in which a porous permeable layer is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side opening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oad, and the water contact layer While being embedded in the side opening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let holes, the induction pipe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induction pipe on one sid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ain gutter formed so that the cover is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side opening.
상기 유도관은 상기 투수층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빗물받이로의 유입이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측구에 매입되되, 상기 빗물받이와 연결되는 위치에서 저점이 되도록 경사구배가 형성되게 매입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induction pipe is embedded in the side opening to facilitate the inflow of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permeable 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gradient is formed so as to form a low point in the position connected with the rain gutter.
상기 도로는 상기 측구와 접하는 양측에서 빗물받이가 위치한 부분이 저점이 되도록 물결형상으로 구성되어 투수층 표면으로 빗물의 유동을 빗물받이로 용이하 게 유동케 할 수 있다.The road is configured in a wave shape so that the rain gutter is located on both sides in contact with the side opening to the bottom can easily flow the rain water to the surface of the permeable layer to the rain gutter.
상기 유도관은 관벽체가 파형으로 구성되어 상재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타당하다.It is reasonable that the induction pipe is configured to have a corrugated wall with a corrugation to improve durability against load.
상기 빗물받이는 몸체와 착탈이 가능한 덮개로 구성되는 바, 상기 몸체에는 빗물이 저장되고 측면에 상기 유도관과 연결되는 연결관이 구성되며 타측에 유출관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rain gutter is composed of a body and a removable cover, th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in water is stored and the conne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induction pipe on the side and the outflow pipe is configured on the other side.
또한, 상기 빗물받이는 상부가 연통하도록 구획벽이 형성되어 제 1, 2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1챔버는 덮개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이 저장되고, 상기 제 2챔버는 연결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이 저장되고,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유출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rain gutter is partition walls are formed so that the upper portion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are formed, the first chamber is stored in the rainwater flowing from the cover, the second chamber is stored in the rainwater flowing from the connecting pipe 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let pipe is formed so that the stored rain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덮개에는 그 밑면에 덮개필터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filter is configured on the bottom.
한편 본 발명인 도로 배수시스템의 시공방법은 상면에 다공성의 투수층이 적층되는 도로와 상기 도로의 양측에 측구를 시공하되, 상기 측구에는 일정간격으로 덮개가 측구의 상면에 노출이 되도록 빗물받이를 시공하고, 상기 투수층과 접하면서 상기 측구에 매입되며 다수의 유입공이 형성되는 유도관이 매입되도록 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oad drainag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side opening on both sides of the road and the road and the porous permeable layer is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the side opening at a certain interval to install the rain gutter so that the cover is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opening And, it is built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permeable layer is embedded in the side opening and the induction pipe is formed in which a plurality of inlet holes are formed.
특히 상기 유도관은 상기 빗물받이와 연결되는 위치에서 저점이 되도록 경사구배를 형성하며 상기 투수층과 접하도록 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induction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structed to contact the permeable layer to form an inclined gradient to the low point at the position connected with the rain gutter.
또한, 상기 도로는 상기 측구와 접하는 양측에서 빗물받이가 위치한 부분이 저점이 되도록 물결형상으로 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ad may be constructed in a wave shape so that the portion where the rain gutter is located on both sides in contact with the side opening.
상기 빗물받이를 시공함에 있어, 상기 빗물받이에는 제 1, 2챔버를 구획하도록 구획벽을 시공하며, 제 1챔버에는 덮개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이 저장되도록 하고, 제 2챔버에는 상기 유도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이 저장되도록 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constructing the rain gutter, the rain gutter is constructed with partition walls so as to partition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and the first chamber stores rain water flowing from the cover, and the second chamber flows from the induction pi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in water is constructed to be stor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는 투수층의 표면으로 빗물의 배수는 물론 투수층을 통과한 빗물을 유입공이 구성된 유도관을 통해 빗물받이로 유도함으로써 배수를 원활히 하여 도로 상면에 수막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mation of water fil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ad by smoothly draining the water by inducing rainwater to the surface of the water permeable layer as well as the rain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permeable layer through the guide pipe having the inlet hole.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경사구배가 형성된 유도관을 도로의 투수층과 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투수층을 통과한 빗물을 원활하게 빗물받이로 유도하여 빗물의 배수 및 저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y constructing the induction pipe formed with the inclination gradient to contact the water permeable layer of the roa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moothly guide the rain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permeable layer to the rain gutter to facilitate drainage and storage of rain water.
또한, 도로의 양측을 물결형상으로 구성하여 빗물이 원활하게 빗물받이로 유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ain water can be induced to the rain gutter smoothly by configuring both sides of the road in a wavy shape.
또한, 빗물받이에 있어 투수층의 표면으로의 빗물의 유입과 투수층을 통과한 빗물의 유입을 별도로 처리함에 의해 이물질의 혼입된 정도에 따라 그 처리를 다르게 하여 빗물의 1차적인 오염물(이물질)의 처리에 효율을 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y treating the inflow of rainwater to the surface of the permeable layer and the inflow of rainwater through the permeable layer separately in the rain gutter, the treatment of primary pollutants (foreign matters) of rainwate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corporation of the foreign matt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efficiency can be achieved.
상기 빗물받이(400)는 몸체(420)와 착탈이 가능한 덮개(410)로 구성되는 바, 상기 몸체(420)에는 빗물이 저장되고 그 측면에 상기 유도관(300)과 연결되는 연결관(421)이 구성되며 타측면에 유출관(422)이 구성되는 바, 상기 투수층(110) 표면(111)으로 빗물의 유동(W1)은 상기 덮개(410)를 통해 상기 몸체(420)에 저장이 되는 것이며, 상기 투수층(110) 내부를 통해 유도관(300)으로의 빗물의 유동(W2)은 상기 연결관(421)을 통해 상기 몸체(420)에 저장이 되는 것이다. The
도 5에서는 상기 빗물받이(400)의 일 실시 예를 제시하고 있는 바,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420)는 상면의 일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면의 일측 개구된 부분에 착,탈이 가능한 덮개(410)가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됨에 의해 상기 몸체(420)는 일부분만이 상기 덮개(410)가 측구(200) 표면으로 노출되도록 매입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420)는 PVC 등 플라스틱 등으로 공장제작에 의해 현장설치를 할 수도 있으며, 콘크리트에 의해 현장타설 시공도 가능할 것이다.5 shows an embodiment of the
특히 상기 빗물받이(400)는 상부가 연통하도록 구획벽(423)이 형성되는 바, 이러한 구획벽(423)의 형성에 기해 몸체(420)에는 제 1, 2챔버(424, 425)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구획벽(423)은 상기 제2챔버(425)로 상기 덮개(410)로부터 빗물의 유동(W1)이 낙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5의 도면 상 몸체(420)의 일측면에서 덮개(410)의 너비보다 크게 유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타당하다. 이렇게 구성됨에 의해 상기 덮개(410)로부터 빗물의 유동(W1)은 상기 제 1챔버(424)로만 유입이 되고, 저장이 되며 상기 구획벽(423)을 월류하는 빗물에 대해서만 제 2챔버(425)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2챔버에는 측면에 연결관(421)이 형성되고, 타 측면에 유출관(422)이 형성되는 바, 유도관(300)을 통한 빗물의 유동(W2)의 경우만 상기 연결관(421)을 통해 제 2챔버(425)에 저장되도록 하며 저장된 빗물은 상기 유출관(422)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관(421)의 경우 상기 구획벽(423)의 높이보다 낮게 구성하는 것이 타당한 바, 이는 유도관(300)을 통한 빗물의 유동(W2)의 경우만이 제 2챔버(423)에 저장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particular, the
이렇게 구획벽(423) 등의 구성에 기해 제 1챔버(424) 및 제 2챔버(425)로의 빗물의 유동(W1, 2)에 따른 빗물의 유입을 구분하는 것은 투수층(110)을 통한 빗물의 유동(W2)의 경우 빗물이 투수층(110)을 통과한 것이기 때문에 빗물에 이물질의 혼입이 적을 것이고, 투수층(110) 표면(111)으로의 빗물의 유동(W1)의 경우는 투수층(110)을 통한 빗물의 유동(W2)보다는 이물질의 혼입이 많을 것이므로 이를 각각의 챔버에 분리하여 저장하는 것이며, 이물질이 적게 혼입된 빗물의 유동(W2)에 의해 저장된 빗물의 경우는 제 2챔버(425)에서 저장하면서 빗물에 혼입된 이물질을 침전시키고 바로 유출관(422)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물질이 많이 혼입된 빗물의유동(W1)에 의해 저장된 빗물의 경우는 제 1챔버(424)에서 1차적으로 이물질을 침전시키고, 구획벽(423)을 월류하는 빗물에 대해서 2차적으로 제2챔버(425)에서 이물질을 다시 한번 침전시키고 유출관(422)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이 혼입되는 정도에 따라 그 처리를 달리할 수 있게 하여 빗물의 초기 이물질의 처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division of rainwater according to the flows of the rainwater W1 and 2 into the
이에 더하여 상기 덮개(410)에는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을 구성하는 바, 상기 관통공에 의해 쓰레기 등 부피가 큰 이물질은 1차적으로 제거될 것이며, 이에 더하여 상기 덮개(410)의 밑면에는 덮 개필터(426)를 더 구성하여 이로 인해 상기와 같이 1차적으로 걸러진 빗물은 상기 덮개필터(426)에 의해 이물질이 2차적으로 걸러져서 상기 제 1챔버(424)에 저장이 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즉 이물질이 비교적 많이 혼입된 빗물의 유동(W1)에 대해서 덮개(410) 및 덮개필터(426)에 의해 2중으로 필터링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상기 덮개필터(426)는 PVC 등 플라스틱류, 철 등 탄력성이 있는 재료로 구성하여 이물질과의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며, 걸러야 할 이물질의 종류에 따라 필터간격을 선택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덮개필터(426)는 상기 덮개(410)의 밑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이물질이 포화된 경우 이를 탈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다시 부착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덮개필터(426)의 테두리에 나사체결공을 구성하여 상기 덮개필의 밑면과 나사결합에 의해 탈,착이 가능한 체결을 할 수도 있다. The
한편 본 발명인 도로 배수시스템의 시공방법은 상면에 다공성의 투수층(110)이 적층되는 도로(100)와 상기 도로(100)의 양측에 측구(200)를 시공하되, 상기 측구(200)에는 일정간격으로 덮개(410)가 측구의 상면에 노출이 되도록 빗물받이(400)를 시공하고, 상기 투수층(110)의 표층(111)과 접하면서 상기 측구(200)에 매입되며 다수의 유입공(310)이 형성되는 유도관(300)이 매입되도록 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oad drainag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side surface 20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특히 상기 유도관(300)은 상기 빗물받이(400)와 연결되는 위치에서 저점이 되도록 경사구배를 형성하며 상기 투수층(110)과 접하도록 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 우 상기 투수층(110)과 접하도록 상기 유도관(300)을 시공하되 상기 투수층(110)에 상기 유도관(300)이 안치될 수 있도록 안치홈(도면에 도시된 바 없음.)을 구성하여 상기 유도관(300)이 상기 유입공(310)을 통해 상기 투수층(110)으로 침투된 빗물을 용이하게 유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또한, 상기 빗물받이(410)를 시공함에 있어, 상기 빗물받이(410)에는 제 1, 2챔버를 구획하도록 구획벽(423)을 시공하는 바, 상기 구획벽(423)이 구비된 빗물받이(400)는 공장에서 기 제작하여 현장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시공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렇게 빗물받이(410)에 구획벽(423)을 시공하여 빗물받이(410)에 챔버를 형성하는데, 제 1챔버(424)에는 덮개(410)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이 저장되도록 하고, 제 2챔버(425)에는 상기 유도관(300)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이 저장되도록 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construction of the
이상 설명된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에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mad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n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도로 배수시스템을 나타내는 절개사시도이고, 1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ad drainag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서 a-a면의 단면도이고,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a plane in FIG.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3 is a plan view of FIG.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유입관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4a and 4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nlet pipe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빗물받이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rain gutter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도로 110 : 투수층100: road 110: permeable layer
120 : 중간층 130 : 도로기초층120: middle layer 130: road foundation layer
200 : 측구 300 : 유도관200: side opening 300: induction pipe
310 : 유입공 400 : 빗물받이310: inlet hole 400: rain gutter
410 : 덮개 420 : 몸체410: cover 420: body
421 : 연결관 422 : 유출관421 connector 422: outlet pipe
423 : 구획벽 424 : 제 1챔버423
425 : 제 2챔버425: second chamber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6503A KR100949478B1 (en) | 2009-08-19 | 2009-08-19 | A system for road drainage and method for 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6503A KR100949478B1 (en) | 2009-08-19 | 2009-08-19 | A system for road drainage and method for i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49478B1 true KR100949478B1 (en) | 2010-03-24 |
Family
ID=42183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6503A KR100949478B1 (en) | 2009-08-19 | 2009-08-19 | A system for road drainage and method for 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49478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133513A (en) * | 2015-08-28 | 2015-12-09 | 济南城建集团有限公司 | City road edge pervious ditch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05603892A (en) * | 2016-03-04 | 2016-05-25 | 中南大学 | Water nail drainage system for railway roadbed slop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ystem |
CN107842095A (en) * | 2017-11-28 | 2018-03-27 | 佛山科学技术学院 | A kind of gutter rubbish interception structure of municipal work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93041A (en) * | 1994-09-27 | 1996-04-09 | Sogo Maintenance:Kk | Draining structure of water draining pavement |
JPH08209791A (en) * | 1995-02-03 | 1996-08-13 | Infuratetsuku Kk | Drain sewer for water-permeable pavement |
KR20050103147A (en) * | 2005-01-05 | 2005-10-27 | 최세영 | Storm water catch basin on both side of the road |
KR100617394B1 (en) * | 2006-01-17 | 2006-09-01 | 정언섭 | Highway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mesh and flowing pipe |
-
2009
- 2009-08-19 KR KR1020090076503A patent/KR10094947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93041A (en) * | 1994-09-27 | 1996-04-09 | Sogo Maintenance:Kk | Draining structure of water draining pavement |
JPH08209791A (en) * | 1995-02-03 | 1996-08-13 | Infuratetsuku Kk | Drain sewer for water-permeable pavement |
KR20050103147A (en) * | 2005-01-05 | 2005-10-27 | 최세영 | Storm water catch basin on both side of the road |
KR100617394B1 (en) * | 2006-01-17 | 2006-09-01 | 정언섭 | Highway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mesh and flowing pip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133513A (en) * | 2015-08-28 | 2015-12-09 | 济南城建集团有限公司 | City road edge pervious ditch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05603892A (en) * | 2016-03-04 | 2016-05-25 | 中南大学 | Water nail drainage system for railway roadbed slop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ystem |
CN107842095A (en) * | 2017-11-28 | 2018-03-27 | 佛山科学技术学院 | A kind of gutter rubbish interception structure of municipal work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40953B2 (en) | Integrated below-ground vault with a filtered catch basin | |
KR20090033663A (en) | Vertical Initial Rainwater Purifier | |
KR20180071063A (en) | Water catchment type water permeable block | |
KR100949478B1 (en) | A system for road drainage and method for it | |
US11479487B2 (en) | Stormwater management system with internal bypass | |
JPH10102573A (en) | Percolating pit concurrently serving as storage tank | |
KR100763119B1 (en) | Stormwater Treatment System | |
CN111997169A (en) | Catch basin and road rainwater collecting system | |
KR100529500B1 (en) | Method for drainage of road | |
JP6153122B2 (en) | Rainwater storage piping structure and drainage basin used therefor | |
JP2002227111A (en) | Channel block and drainage facility for draining pavement using it | |
KR101186881B1 (en) | A Porous And Water Permeable Boundary Stone And Drainage System Using It | |
JP2011247014A (en) | Rainwater outflow restraining facility | |
JP2000179034A (en) | Side ditch, cover member for side ditch, and boundary block | |
JP4583215B2 (en) | Rainwater outflow control drainage channel structure | |
JP4963448B2 (en) | Road drainage tank for accident prevention and purification | |
JP4948832B2 (en) | Gutter block | |
KR200323998Y1 (en) | A filter drain type drain apparatus for the bridge | |
JP7227638B2 (en) | catch basin | |
JP7499163B2 (en) | Water storage type drain and water storage type drain equipment using the same | |
JP4504832B2 (en) | Rainwater runoff control system | |
JP4174348B2 (en) | Waterway block and waterway using the same | |
CN219825501U (en) | Road drainage structure | |
JP7336164B2 (en) | Water volume adjustment block for catch basin | |
KR102789970B1 (en) | Street inlet for improving environment of crosswalk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8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3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3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3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3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