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425B1 - Optical diffusion module - Google Patents

Optical diffusion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425B1
KR100949425B1 KR1020070116347A KR20070116347A KR100949425B1 KR 100949425 B1 KR100949425 B1 KR 100949425B1 KR 1020070116347 A KR1020070116347 A KR 1020070116347A KR 20070116347 A KR20070116347 A KR 20070116347A KR 100949425 B1 KR100949425 B1 KR 100949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x portion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along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3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49960A (en
Inventor
치흐-치앙 차오
포-링 쉬아오
유-트산 트셍
쳉-흐수안 린
메이-준 라이
Original Assignee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리서치 인스티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리서치 인스티튜트 filed Critical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리서치 인스티튜트
Priority to KR1020070116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425B1/en
Publication of KR20090049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99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4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6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two different directions in a plane, e.g. honeycomb arrangement of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1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 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3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microprismatic or micropyramidal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광학분산구조는 다수의 볼록부와 다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볼록부는 다수의 오목부에 인접하고, 각각의 오목부는 다수의 볼록부에 인접하게 된다. 볼록부, 오목부와 볼록부와 오목부가 접하는 각각의 경계는 0 보다 크거나 0 보다 작은 곡률을 가지고 있다. 나아가 광학분산구조는 제1표면에 광학분산구조가 형성된 분산판을 포함하고 있다. 오목부는 제1방향과 제2방향의 2차원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오목부는 제1방향과 제2방향의 2차원으로 배열되어 있다.The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nd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Each convex portion is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and each concave portion is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Each boundary between the convex portion,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has a curvature greater than zero or less than zero. Furthermore, the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includes a dispersion plate in which the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The recesses are arranged in two dimension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recesses are arranged in two dimension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광학분산구조, 볼록부, 오목부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Convex, Concave

Description

광학분산모듈{Optical diffusion module}Optical diffusion module

본 발명은 광분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대로 배치된 배열이 있는 광학분산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light dispers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having an arrangement in which convex portions and concave portions are alternately arranged.

냉음극형광램프(CCFL)보다는 발광다이오드가 저렴한 가격과 간단한 구조때문에 백라이트 모듈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광원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광학분산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점 광원(point light source) 또는 선 광원(linear light source)에 대해서는 일차원 또는 이차원으로 광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광학분산구조가 설계되어진다.Light emitting diodes, rather than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s (CCFL), are used in backlight modules because of their low cost and simple structure. In order to keep the light source constant, an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is used. For a point light source or a linear light source, an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is designed to disperse light in one or two dimensions.

종래의 백라이트 모듈은 블러드구조(blurred structure), 그레인 구조(grained structure) 또는 마이크로-렌즈 어레이(micro-lens array)를 가지는 분산판(diffusion plate)을 사용했다. 그러나, 블러드구조는 강도를 감소시킨다. 그레인구조는 작은 분산 각을 가지고 있으며, 분산 방향을 쉽게 조절할 수 없다. 마이크로-렌즈배열은 높은 강도로 작동될 수 있으며, 분산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제조하는 방법에는 기계적인 방법, 열 용해방법(thermal fusion method) 또는 다른 복잡한 방법이 있는데, 주로 레이저 끌기(laser dragging) 방법이 사용된다.Conventional backlight modules used a diffusion plate having a blurred structure, a grained structure or a micro-lens array. However, the blood structure reduces the strength. The grain structure has a small dispersion angle and cannot easily control the dispersion direction. Micro-lens arrays can be operated with high intensity and control the direction of dispersion. Methods of manufacturing micro-lens arrays include mechanical methods, thermal fusion methods, or other complex methods, mainly laser dragging.

도 1a는 레이저 끌기 방법을 보여준다. 레이저 빔(B)이 마스크(5)를 통과하여 기판(10)에 도달한다. 마스크(5)가 L7 방향으로 이동할 때, 레이저 빔은 기판(10)을 식각하여서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그루브(12)를 형성한다. 곡률(curvature)이 0인 날카로운 코너는 2개의 그루브(12)사이에 형성된다. 레이저 끌기를 조절하는 요소는 끄는 속도, 레이저 파워와 그루브(12)의 깊이에 영향을 미치는 반복 운전 횟수이다. 그러나,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형태는 마스크의 패턴에 따라 달라진다. 도 1b를 참조하면, 큰 개방부와 작은 개방부를 가지는 패턴(M3)이 마스크(M30)위에 형성한다. 마스크(M30)을 레이저 끌기 방법에 사용하여서 제1 마이크로 렌즈(202)(오목부)와 제2 마이크로-렌즈(204)(볼록부)를 교대로 형성한다. 개방부의 면적은 식각의 깊이를 결정한다. 타원 어레이 패턴 또는 원 어레이 패턴이 사용될 수 있다.1A shows a laser drag method. The laser beam B passes through the mask 5 and reaches the substrate 10. When the mask 5 moves in the L7 direction, the laser beam etches the substrate 10 to form the grooves 12 constituting the micro-lens array. Sharp corners with zero curvature are formed between the two grooves 12. The factor controlling laser drag is the number of repetitive operations that affect the drag speed, laser power and depth of groove 12. However, the shape of the micro-lens array depends on the pattern of the mask. Referring to FIG. 1B, a pattern M3 having a large opening and a small opening is formed on the mask M30. The first micro lens 202 (concave portion) and the second micro-lens 204 (convex portion) are alternately formed by using the mask M30 in the laser drag method. The area of the opening determines the depth of etching. Ellipse array pattern or circle array pattern may be used.

도 2a는 분산판(50)을 가지고 도 1b에서의 마스크(M3)를 이용하여 제조된 광학분산구조(2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광학분산구조(200)를 통과하는 광의 강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에서의 줄무늬는 빛이 집중되는 지역을 표시한다. 인용부호 30은 LED 어레이를 표시한다. 도 2c는 광분산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광학분산구조(200)의 저면에 블러드구조(210)가 형성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2A illustrates an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200 having a dispersion plate 50 and manufactured using the mask M3 in FIG. 1B. 2B illustrates the intensity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200. Stripes in FIG. 2B indicate areas where light is concentrated. Reference numeral 30 denotes an LED array. 2C is a view showing that the blood structure 21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200 to improve light dispersion.

본 발명은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대로 배치된 배열이 있는 광학분산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in which the convex portions and the concave portions are arranged alternately.

본 발명에 의한 광학분산구조는 다수의 볼록부와 다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볼록부는 다수의 오목부에 인접하고, 각각의 오목부는 다수의 볼록부에 인접하게 된다. 볼록부, 오목부와 볼록부와 오목부가 접하는 각각의 경계는 0 보다 크거나 0 보다 작은 곡률을 가진다.The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nd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Each convex portion is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and each concave portion is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Each boundary between the convex portion,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has a curvature greater than zero or less than zero.

본 발명에 의한 광학분산구조의 실시예는 제1표면에 광학분산구조가 형성된 분산판을 포함하고 있다. 오목부는 제1방향과 제2방향의 2차원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오목부는 제1방향과 제2방향의 2차원으로 배열되어 있다.An embodiment of the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ersion plate having an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formed on a first surface. The recesses are arranged in two dimension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recesses are arranged in two dimension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자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아래의 실시예를 참조한다.For detailed description, reference is made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의하여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대로 배치된 배열이 있는 광학분산구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in which the convex portions and the concave portions are arranged alternately.

본 발명은 2차원 광 분산을 위한 2차원 광학분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 명에 의한 광학 분산 구조는 레이저 끌기(laser dragging) 방법으로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dimensional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for two-dimensional light dispersion. The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 laser dragging method.

도 3을 참조하면, 마스크(미도시)가 제1방향(L1)으로 이동되어지고, 레이저 빔이 마스크를 통과하여 기판(S)에 다수의 제1 그루브(520)를 형성한다. 마스크가 제2방향(L2)을 따라 이동하면 레이저 빔은 여기를 통과하여 기판(S)위에 다수의 제2 그루브(540)를 형성한다. 제1그루브(520)과 제2그루브(540)는 정상파와 유사한 광학 분산 구조(500)를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3, a mask (not shown)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L1, and a laser beam passes through the mask to form a plurality of first grooves 520 on the substrate S. Referring to FIG. When the mask moves along the second direction L2, the laser beam passes through the excitation to form a plurality of second grooves 540 on the substrate S. The first groove 520 and the second groove 540 form an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500 similar to the standing wave.

도 4는 도 3에서 레이저 끌기에 의해 형성된 광학 분산 모듈(600)을 도시한 것이다. 광학분산모듈(600)는 분산판(620)과 분산판(620)위에 형성된 광학분산구조(640)를 포함하고 있다. 광학 분산 구조(640)는 다수의 볼록부(660)와 다수의 오목부(680)을 포함하고 있다. 볼록부(660)는 제1방향과 제2방향을 따라서 2차원 배열로서 배열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오목부(680)는 제1방향과 제2방향을 따라서 2차원 배열로서 배열되어 있다. 볼록부(660)와 오목부(680)는 교대로 배치되어 있어서 정상파와 유사한 패턴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볼록부(660)는 4개의 오목부(680)에 인접하고, 또한 각각의 오목부(680)는 또한 4개의 볼록부(660)에 인접하게 된다. 마스크는 이러한 방법으로 설계되어져서 볼록부(660), 오목부(680)와 볼록부(660)와 오복부(680)의 각각의 경계에서의 곡률은 0이 아니게 된다. 제1방향(L1)을 따라서 인접한 볼록부(660)사이의 거리는 D1이고, 인접한 오목부(680)사이의 거리는 D3이다. 제2방향(L2)을 따라서 인접한 볼록부(660)사이의 거리는 D2 이고, 인접한 오목부(680)사이의 거리는 D4이다. FIG. 4 shows 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600 formed by laser drag in FIG. 3. 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600 includes a dispersion plate 620 and an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640 formed on the dispersion plate 620. The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640 includes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660 and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680. The convex portions 660 are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array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Similarly, the recesses 680 are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array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The convex portions 660 and the concave portions 680 are alternately arranged to form a pattern similar to the standing wave. In this embodiment, each convex portion 660 is adjacent to four concave portions 680, and each concave portion 680 is also adjacent to four convex portions 660. The mask is designed in this manner so that the curvature at each boundary between the convex portion 660, the concave portion 680 and the convex portion 660 and the recess portion 680 is not zero.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convex portions 660 along the first direction L1 is D1, and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concave portions 680 is D3.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convex portions 660 along the second direction L2 is D2, and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concave portions 680 is D4.

도 4에서 D1이 D2와 동일하고 D3와 D4가 동일하지만, D1, D2, D3, D4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아래에서 강도 도표(INTENSITY DIAGRAM)에 의해 설명된다.In FIG. 4, D1 is the same as D2 and D3 and D4 are the same, but D1, D2, D3, and D4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by an intensity diagram (INTENSITY DIAGRAM).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광학 분산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강도 도표이다. 도 5에서의 줄무늬는 빛이 모이는 밝은 지점을 표시한다. 제1방향(L1)을 따라 임의의 인접한 두개의 볼록부(660)사이의 거리(D1)는 일정하다. 제1방향(L1)을 따라 임의의 인접한 두개의 오목부(680)사이의 거리(D3)는 일정하다. 제2방향(L2)을 따라 임의의 인접한 두개의 볼록부(660)사이의 거리(D2)는 일정하다. 제2방향(L2)을 따라 임의의 인접한 두개의 오목부(680)사이의 거리(D4)는 일정하다. 5 is an intensity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n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ripes in FIG. 5 indicate bright spots where light gathers. The distance D1 between any two adjacent convex portions 660 along the first direction L1 is constant. The distance D3 between any two adjacent recesses 680 along the first direction L1 is constant. The distance D2 between any two adjacent convex portions 660 along the second direction L2 is constant. The distance D4 between any two adjacent recesses 680 along the second direction L2 is constant.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광학 분산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강도 도표이다. 제1방향(L1)을 따라 임의의 인접한 두개의 볼록부(660)사이의 거리(D1)는 일정하다. 제1방향(L1)을 따라 임의의 인접한 두개의 오목부(680)사이의 거리(D3)는 일정하다. 제2방향(L2)을 따라 임의의 인접한 두개의 볼록부(660)사이의 거리(D2)는 서로 상이하다. 제2방향(L2)을 따라 임의의 인접한 두개의 오목부(680)사이의 거리(D4)는 서로 상이하다. D2와 D4는 광학분산구조(640)의 중심에서 양 측면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한다. 6 is an intensity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n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D1 between any two adjacent convex portions 660 along the first direction L1 is constant. The distance D3 between any two adjacent recesses 680 along the first direction L1 is constant. The distances D2 between two adjacent convex portions 660 along the second direction L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distances D4 between two adjacent recesses 680 along the second direction L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D2 and D4 increase gradually from the center of the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640 to both sides.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광학 분산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강도 도표이다. 제1방향(L1)을 따라 임의의 인접한 두개의 볼록부(660)사이의 거리(D1)는 일정하다. 제1방향(L1)을 따라 임의의 인접한 두개의 오목부(680)사이의 거리(D3)는 일정하다. 제2방향(L2)을 따라 임의의 인접한 두개의 볼록부(660)사이의 거리(D2)는 상이하다. 제2방향(L2)을 따라 임의의 인접한 두개의 오목부(680)사이의 거리(D4)는 상이하다. D2와 D4는 광학분산구조(640)의 중심에서 양 측면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한다. 7 is an intensity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n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D1 between any two adjacent convex portions 660 along the first direction L1 is constant. The distance D3 between any two adjacent recesses 680 along the first direction L1 is constant. The distance D2 between any two adjacent convex portions 660 along the second direction L2 is different. The distance D4 between any two adjacent recesses 680 along the second direction L2 is different. D2 and D4 gradually decrease toward both sides from the center of the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640.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광학 분산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강도 도표이다. 제1방향(L1)을 따라 임의의 인접한 두개의 볼록부(660)사이의 거리(D1)는 상이하다. 제1방향(L1)을 따라 임의의 인접한 두개의 오목부(680)사이의 거리(D3)는 상이하다. D1과 D3은 광학분산구조(640)의 중심에서 측면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한다. 제2방향(L2)을 따라 임의의 인접한 두개의 볼록부(660)사이의 거리(D2)는 상이하다. 제2방향(L2)을 따라 임의의 인접한 두개의 오목부(680)사이의 거리(D4)는 상이하다. D2와 D4는 광학분산구조(640)의 중심에서 양 측면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한다.8 is an intensity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n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D1 between any two adjacent convex portions 660 along the first direction L1 is different. The distance D3 between any two adjacent recesses 680 along the first direction L1 is different. D1 and D3 increase gradually from the center of the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640 to the side. The distance D2 between any two adjacent convex portions 660 along the second direction L2 is different. The distance D4 between any two adjacent recesses 680 along the second direction L2 is different. D2 and D4 increase gradually from the center of the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640 to both sides.

상기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결코 상기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제1방향을 따라서 임의의 인접한 2개의 볼록 부(660)사이의 거리(D1)는 상이하지만, 제1방향을 따라서 임의의 인접한 2개의 오목부(680)사이의 거리(D3)는 일정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by no means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For example, the distance D1 between any two adjacent convex portions 660 along the first direction is different, but the distance D3 between any two adjacent concave portions 680 along the first direction is different. It can be constant.

나아가 상기된 실시예에서의 제1방향(L1)과 제2방향(L2)은 직교하지만, 제1방향(L1)과 제2방향(L2)은 직교하지 않을 수도 있다.Furthermo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direction L1 and the second direction L2 are orthogonal, but the first direction L1 and the second direction L2 may not be orthogonal.

분산판(620)은 일반적인 분산층(50)과 결합하여서 도 9에 도시된 광학분산모듈(700)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인용부호 30은 LED 어레이이다. 도 10에서 광학분산모듈(800)은 광분산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분산판(620)(광학분산구조(600)는 제1표면(621)위에 형성된다)의 바닥(제2 표면)(622)에 형성된 그레인구조 또는 블러드구조를 포함한다. 도 11에서 광학분산모듈(900)은 광분산특성이 있는 폴리머로 만든 분산판(620)을 포함하고 있다.The dispersion plate 620 may be combined with the general dispersion layer 50 to form 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700 illustrated in FIG. 9. Reference numeral 30 is an LED array. In FIG. 10, 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800 is disposed on the bottom (second surface) 622 of the dispersion plate 620 (the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600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621) to improve the light dispersion. It includes a grain structure or blood structure formed. In FIG. 11, 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900 includes a dispersion plate 620 made of a polymer having light dispersion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실시예를 설명하는 방법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여러가지 변형과 유사한 배열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는 이러한 변형과 유사한 배열을 포함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On the contrary, the invention includes arrangements similar to various modification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should be construed broadly to include arrangements similar to these modifications.

본 발명은 아래에 첨부된 도형을 참조하면서 상기된 실시예를 읽음으로서 완전히 이해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ully understood by readi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elow.

도 1a은 레이저 끌기에 의해 제조된 광학분산구조의 개략도,1A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manufactured by laser dragging,

도 1b는 레이저 끌기에 사용된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를 사용하여 제조된 광학분산구조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Figure 1b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manufactured using the mask and the mask used for laser drag,

도 2a는 도 1b의 광학분산구조가 적용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2a is a view showing that the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of Figure 1b is applied,

도 2b는 도 2a의 광학분산구조의 강도 도표(intensity diagram)이고,FIG. 2B is an intensity diagram of the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of FIG. 2A,

도 2c는 광학분산구조의 저면에 형성된 블러드구조를 보여주는 도면,Figure 2c is a view showing a blood structu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광학분산구조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ethod of forming an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광학분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an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formed by the method of FIG.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광학분산구조의 일실시예의 강도 도표,5 is an intensity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n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광학분산구조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강도 도표,6 is an intensity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n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광학분산구조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강도 도표,7 is an intensity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n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광학분산구조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강도 도표,8 is an intensity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n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분산시트가 사용된 본 발명에 의한 광학분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9 is a view showing an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dispersion sheet,

도 10은 그레인구조가 사용된 본 발명에 의한 광학분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10 is a view showing an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grain structure,

도 11은 광분산효과가 있는 폴리머로 제조된 본 발명에 의한 광학분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n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a polymer having a light dispersion effect.

Claims (39)

다수의 볼록부와 다수의 오목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볼록부는 다수의 오목부에 인접하고 각각의 오목부는 다수의 볼록부에 인접하며, 볼록부, 오목부와 볼록부와 오목부의 각각의 경계의 곡률이 0 보다 크거나 0 보다 작은 광학분산구조;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nd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each convex portion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each concave portion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nd the convex portion,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and the respective boundaries of the concave portions. An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whose curvature is greater than zero or less than zero; 제1방향과 제2방향을 따라 볼록부가 2차원배열로 배열되어 있고 제1방향과 제2방향을 따라 오목부가 2차원배열로 배열되어 있으며 광학분산구조가 제1표면에 형성된 분산판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The convex portions are arranged in two-dimensional arrays along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and the concave portions are arranged in two-dimensional arrays along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and includes a dispersion plate having an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formed on the first surface. Optical dispers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제1방향을 따라서 하나의 볼록부에서 하나의 볼록부에 인접한 다른 볼록부까지의 거리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istance from one convex portion to another convex portion adjacent to one convex portion is constant along the first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제2방향을 따라서 하나의 볼록부에서 하나의 볼록부에 인접한 다른 볼록부까지의 거리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distance from one convex portion to another convex portion adjacent to the one convex portion is constant along the second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제1방향을 따라서 하나의 오목부에서 하나의 오목부에 인접한 다른 오목부까지의 거리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4. 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distance from one recess to another recess adjacent to the recess is constant along the first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제2방향을 따라서 하나의 오목부에서 하나의 오목부에 인접 한 다른 오목부까지의 거리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 distance from one recess to another recess adjacent to the recess is constant along the second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제2방향을 따라서 하나의 볼록부에서 하나의 볼록부에 인접한 다른 볼록부까지의 거리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istance from one convex portion to another convex portion adjacent to one convex portion is different along the second direction. 제6항에 있어서, 제2방향을 따라서 하나의 볼록부에서 하나의 볼록부에 인접한 다른 볼록부까지의 거리가 광학분산구조의 중심에서 측면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7. 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distance from one convex portion to another convex portion adjacent to one convex portion decreases toward the side from the center of the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along the second direction. 제6항에 있어서, 제2방향을 따라서 하나의 볼록부에서 하나의 볼록부에 인접한 다른 볼록부까지의 거리가 광학분산구조의 중심에서 측면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7. 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distance from one convex portion to another convex portion adjacent to the one convex portion along the second direction increases from the center of the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toward the side. 제6항에 있어서, 제1방향을 따라서 하나의 오목부에서 하나의 오목부에 인접한 다른 오목부까지의 거리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 7. 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distance from one recess to another recess adjacent to the recess is constant along the first direction. 제9항에 있어서, 제2방향을 따라서 하나의 오목부에서 하나의 오목부에 인접한 다른 오목부까지의 거리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 10. 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a distance from one recess to another recess adjacent to the recess is different along the second direction. 제10항에 있어서, 제2방향을 따라서 하나의 오목부에서 하나의 오목부에 인 접한 다른 오목부까지의 거리가 광학분산구조의 중심에서 측면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a distance from one recess to another recess adjacent to the recess decreases from the center of the optical scattering structure toward the side along the second direction. 제10항에 있어서, 제2방향을 따라서 하나의 오목부에서 하나의 오목부에 인접한 다른 오목부까지의 거리가 광학분산구조의 중심에서 측면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a distance from one recess to another recess adjacent to the recess increases along the second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optical scattering structure toward the side. 제1항에 있어서, 제1방향을 따라서 하나의 볼록부에서 하나의 볼록부에 인접한 다른 볼록부까지의 거리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 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istance from one convex portion to another convex portion adjacent to one convex portion is different along the first direction. 제13항에 있어서, 제2방향을 따라서 하나의 볼록부에서 하나의 볼록부에 인접한 다른 볼록부까지의 거리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 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a distance from one convex portion to another convex portion adjacent to one convex portion is different along the second direction. 제14항에 있어서, 제1방향을 따라서 하나의 볼록부에서 하나의 볼록부에 인접한 다른 볼록부까지의 거리가 광학분산구조의 중심에서 측면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15. 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distance from one convex portion to another convex portion adjacent to one convex portion decreases from the center of the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to the side along the first direction. 제15항에 있어서, 제2방향을 따라서 하나의 볼록부에서 하나의 볼록부에 인접한 다른 볼록부까지의 거리가 광학분산구조의 중심에서 측면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16. 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a distance from one convex portion to another convex portion adjacent to one convex portion decreases from the center of the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toward the side along the second direction. 제15항에 있어서, 제2방향을 따라서 하나의 볼록부에서 하나의 볼록부에 인접한 다른 볼록부까지의 거리가 광학분산구조의 중심에서 측면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16. 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a distance from one convex portion to another convex portion adjacent to one convex portion along the second direction increases from the center of the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toward the side. 제14항에 있어서, 제1방향을 따라서 하나의 볼록부에서 하나의 볼록부에 인접한 다른 볼록부까지의 거리가 광학분산구조의 중심에서 측면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15. 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a distance from one convex portion to another convex portion adjacent to the one convex portion along the first direction increases from the center of the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toward the side. 제18항에 있어서, 제2방향을 따라서 하나의 볼록부에서 하나의 볼록부에 인접한 다른 볼록부까지의 거리가 광학분산구조의 중심에서 측면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19. 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a distance from one convex portion to another convex portion adjacent to the one convex portion along the second direction increases from the center of the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toward the side. 제13항에 있어서, 제1방향을 따라서 하나의 오목부에서 하나의 오목부에 인접한 다른 오목부까지의 거리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 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a distance from one recess to another recess adjacent to the recess is different along the first direction. 제20항에 있어서, 제2방향을 따라서 하나의 오목부에서 하나의 오목부에 인접한 다른 오목부까지의 거리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 21. 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20, wherein a distance from one recess to another recess adjacent to the recess is different along the second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분산구조는 분산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으며, 광 원으로부터의 광이 분산층과 분산판을 연속적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dispersion layer, and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passes through the dispersion layer and the dispersion plate continuously. 제1항에 있어서, 분산판은 그레인구조가 형성된 제2표면이 있으며, 광원으로부터의 광은 제2표면과 제1표면을 연속해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ersion plate has a second surface having a grain structure, and light from the light source continuously passes through the second surface and the first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분산판은 블러드구조가 형성된 제2표면이 있으며, 광원으로부터의 광은 제2표면과 제1표면을 연속해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ersion plate has a second surface having a blood structure, and light from the light source continuously passes through the second surface and the first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분산판은 광분산효과가 있는 폴리머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ersion plate is made of a polymer having a light scattering effect. 다수의 볼록부와 다수의 오목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볼록부는 다수의 오목부에 인접하고 각각의 오목부는 다수의 볼록부에 인접하며, 볼록부, 오목부와 볼록부와 오목부의 각각의 경계의 곡률이 0 보다 크거나 0 보다 작은 광학분산구조;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nd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each convex portion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each concave portion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nd the convex portion,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and the respective boundaries of the concave portions. An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whose curvature is greater than zero or less than zero; 분산구조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2방향으로는 교대로 배열되고, 각각의 볼록부는 곡률이 있으며 제2방향을 따라 변하면서 제2방향을 따라서 제1폭을 가지는 제1곡률표면을 가지고, 각각의 오목부는 제2방향을 따라 변하면서 제2방향을 따라서 제2폭을 가지는 제2곡률표면을 가지는 분산구조가 형성된 분산판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The convex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of the dispersion structure extend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each convex portion being curvature and changing along the second direction and having a first width along the second direction. An optical dispersion module comprising a dispersion plate having a curvature surface, each recess having a dispersion structure having a second curvature surface having a second width along a second direction while varying in a second direction . 제26항에 있어서, 제1폭이 제1분산구조의 중심에서 측면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27. 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26, wherein the first width decreases toward the side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dispersion structure. 제27항에 있어서, 제2폭이 제1분산구조의 중심에서 측면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27, wherein the second width decreases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dispersion structure toward the side. 제26항에 있어서, 제1폭이 제1분산구조의 중심에서 측면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27. 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26, wherein the first width increases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dispersion structure toward the side. 제29항에 있어서, 제2폭이 제1분산구조의 중심에서 측면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30. 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29, wherein the second width increases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dispersion structure toward the side. 제29항에 있어서, 광학분산모듈은 분산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으며, 광원에서 나온 광이 분산층과 분산구조를 연속해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모듈.30. 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according to claim 29, wherein the optical dispersion module further comprises a dispersion layer, and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continuously passes through the dispersion layer and the dispersion structure.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Preparing a substrate; 다수의 첫번째 개방부가 배열된 구조의 첫번째 마스크를 준비하는 단계;Preparing a first mask of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openings are arranged; 다수의 두번째 개방부가 배열된 구조의 두번째 마스크를 준비하는 단계;Preparing a second mask of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are arranged; 에너지 빔을 준비하는 단계;Preparing an energy beam; 에너지 빔과 기판 사이에 첫번째 마스크를 위치시키는 단계;Positioning a first mask between the energy beam and the substrate; 제1방향을 따라서 첫번째 마스크 또는 기판을 이동시키는 단계;Moving the first mask or substrate along the first direction; 에어지 빔과 기판 사이에 두번째 마스크를 위치시키는 단계;Positioning a second mask between the air beam and the substrate; 제2방향을 따라서 두번째 마스크 또는 기판을 이동시켜서, 각각의 볼록부는 다수의 오목부에 인접하고 각각의 오목부는 다수의 볼록부에 인접하는 볼록부들과 오목부들의 2차원 배열을 기판에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구조를 형성하는 방법.Moving the second mask or substrate along the second direction to form a two-dimensional array of convexities and concave portions in the substrate, each convex portion adjacent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and each concave portion adjacent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Method for forming an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comprising a. 제32항에 있어서, 제1방향은 제2방향과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구조를 형성하는 방법.33. The method of claim 32, wherein the first direction is orthogonal to the second direction. 제32항에 있어서, 하나의 첫번째 개방부와 하나의 첫번째 개방부에 인접한 다른 첫번째 개방부 사이의 거리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구조를 형성하는 방법.33. The method of claim 32,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one first opening and the other first opening adjacent to the first opening is constant. 제34항에 있어서, 하나의 두번째 개방부와 하나의 두번째 개방부에 인접한 다른 두번째 개방부 사이의 거리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구조를 형성하는 방법.35. 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one second opening and another second opening adjacent to the second opening is constant. 제34항에 있어서, 하나의 두번째 개방부와 하나의 두번째 개방부에 인접한 다른 두번째 개방부 사이의 거리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구조를 형성하는 방법.35. 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one second opening and another second opening adjacent to the second opening is different. 제32항에 있어서, 하나의 첫번째 개방부와 하나의 첫번째 개방부에 인접한 다른 첫번째 개방부 사이의 거리가 상이하고, 하나의 두번째 개방부와 하나의 두번째 개방부에 인접한 다른 두번째 개방부 사이의 거리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구조를 형성하는 방법.33. The method of claim 32,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one first opening and another first opening adjacent one first opening is different, and the distance between one second opening and another second opening adjacent one second opening. The method of forming an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erent.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Preparing a substrate; 다수의 개방부가 배열된 구조의 마스크를 준비하는 단계;Preparing a mask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openings are arranged; 에너지 빔을 준비하는 단계;Preparing an energy beam; 에너지 빔과 기판 사이에 마스크를 위치하는 단계;Positioning a mask between the energy beam and the substrate; 제1방향을 따라서 마스크 또는 기판을 이동시키는 단계;Moving the mask or substrate along the first direction; 제2방향을 따라서 마스크 또는 기판을 이동시켜서, 각각의 볼록부는 다수의 오목부에 인접하고 각각의 오목부는 다수의 볼록부에 인접하는 볼록부들과 오목부들의 2차원 배열을 기판에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구조를 형성하는 방법.Moving the mask or substrate along the second direction to form a two-dimensional array of convexities and concave portions in the substrate, each convex portion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and each concave portion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Method for forming an optical dispersion structure comprising a. 제38항에 있어서, 제1방향이 제2방향과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광학분산구조를 형성하는 방법.39. The method of claim 38, wherein the first direction is orthogonal to the second direction.
KR1020070116347A 2007-11-14 2007-11-14 Optical diffusion module KR1009494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347A KR100949425B1 (en) 2007-11-14 2007-11-14 Optical diffusion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347A KR100949425B1 (en) 2007-11-14 2007-11-14 Optical diffusion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960A KR20090049960A (en) 2009-05-19
KR100949425B1 true KR100949425B1 (en) 2010-03-24

Family

ID=40858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347A KR100949425B1 (en) 2007-11-14 2007-11-14 Optical diffusion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42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7805A (en) 2001-03-08 2002-09-18 Nippon Steel Chem Co Ltd Lens film
KR20050058466A (en) * 2002-08-30 2005-06-16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Light control film
KR20070081144A (en) * 2006-02-10 2007-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Optical shee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7805A (en) 2001-03-08 2002-09-18 Nippon Steel Chem Co Ltd Lens film
KR20050058466A (en) * 2002-08-30 2005-06-16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Light control film
KR20070081144A (en) * 2006-02-10 2007-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Optical shee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960A (en) 2009-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0585B2 (en) Method of forming an optical diffusion module
US7940461B2 (en) Optical diffusion module
US10247872B2 (en) Dual-sided film with split light spreading structures
KR100944091B1 (en) Composite lens structure
KR100869573B1 (en) Difussion lense, optical device and lighting apparutus thereof
JPWO2007123173A1 (en) Diffuser and surface light source device
CN111624817A (en) Backlight modu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7575359B2 (en) Light guide plat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and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tilizing same
EP2762765A1 (en)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TWI537527B (en) Lighting device having a light guide structure
US20160202409A1 (en) Double-sided optical film with lenslets and clusters of prisms
US20150160395A1 (en) Light guide with light input features
US9110211B2 (en) Light guide plate for plane light sour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lane light source unit using the same
JP3196465U (en) Side-illuminated planar light emitting module
KR100949425B1 (en) Optical diffusion module
JP2012129105A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it
JP2017069188A (en) Backlight unit capable of local dimming
JP4909287B2 (en) Light diffusion module
CN105929481A (en) Backlight module and light guide plate thereof
US9339977B2 (en) Spread illumin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ght guide plate
US9575239B2 (en) Spread illuminating apparatus
US20130135897A1 (en) Back light unit
KR100881857B1 (en) Led illumination device
CN115605806A (en)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mixing plate, light mixing plate and backlight module
KR20210108061A (en) lighting l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