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590B1 -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 - Google Patents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590B1
KR100947590B1 KR1020090002349A KR20090002349A KR100947590B1 KR 100947590 B1 KR100947590 B1 KR 100947590B1 KR 1020090002349 A KR1020090002349 A KR 1020090002349A KR 20090002349 A KR20090002349 A KR 20090002349A KR 100947590 B1 KR100947590 B1 KR 100947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member
magnetic pole
hair band
oscillation element
w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복
Original Assignee
이경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복 filed Critical 이경복
Priority to KR1020090002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5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47L5/26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93Specially shaped nozzles, e.g. for cleaning radiators, tubes, fans or the like; Dus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8Nozzles with means adapted for blow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100)는 사용자의 머리, 구체적으로 뒷머리에 장착되는 착용부(110), 착용부(110)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을 누르기, 두드리기, 문지르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자극하기 위한 자극부(130) 및 착용부(110)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자극부(130)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50)를 포함한다.
헤어, 밴드, 졸음, 방지, 관자놀이, 자극, 발진, 소자, 배터리, 충전식, 작동, 버튼

Description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HIAR BAND TYPED APPARATUS FOR PREVENTING SLEEPINESS}
본 발명은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을 자극하여 졸음을 달랠 수 있는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에 관한 것이다.
졸음은 사람이 피곤할 때 나타나는 현상의 하나로, 장시간의 작업 시 작업자에게 흔히 나타나는 데, 졸음으로 인한 위험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장시간의 운전, 특히 혼자 야간 운전을 하는 경우 졸음 발생 빈도가 매우 높으나 짧지만 휴식 또는 수면 이외에는 졸음을 충분히 달래기 위한 뾰족한 방안이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많은 운전자들은 시간에 쫓기는 업무를 하는 관계로 충분한 휴식이나 수면을 취하지 않고 졸음을 참으면서 운전을 하고 있어 차량 사고 발생 빈도가 줄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을 자극함으로써 작업의 중단 없이 짧은 시간 안에 졸음을 달랠 수 있는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머리, 구체적으로 뒷머리에 장착되는 착용부; 착용부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을 누르기, 두드리기, 문지르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자극하기 위한 자극부; 및 착용부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자극부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착용부가 C 모양의 하나의 제1링부재와 상기 제1링부재의 양단부에 끼워지는 한 쌍의 원호 모양의 제2링부재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링부재는 양단부의 상하단면 모두 또는 어느 한 면에 위치결정홈들이 형성되고, 제2링부재는 제1링부재를 수용하고 내부의 상하단면 모두 또는 어느 한 면에 상기 위치결정홈들과 대응하는 위치결정돌기들이 형성되는 것을 또한 특징으로 하고, 제1링부재와 제2링부재는 끝단에 서로 걸려지는 암 또는 수 모양의 걸림턱들이 각각 마련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극부가 착용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자극부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착용부에는 끼움돌기와 대응하는 끼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극부가 진동을 발생시키는 발진소자, 발진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극판들, 그리고 (+,-)극판들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절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발진소자는 저주파 발진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자극부는 외부로부터 보호되게 사용자의 관자놀이에 밀착되는 부분에 보호층이 추가로 마련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부는 충전식 또는 비충전식 배터리를 전원으로 포함하고, 자극부의 온/오프 기능, 세기 조절 기능, 또는 자극 선택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에 따르면, 사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이 누르기, 두드리기, 문지르기 등 다양한 형태로 자극되기 때문에 운전 등의 작업의 중단 없이 짧은 시간 안에 졸음을 달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100)는 착용부(110), 자극부(130) 및 조작부(150)를 포함한다.
착용부(110)는 졸음방지기(100)를 사용자의 머리, 구체적으로 옆머리를 감싸게 뒷머리에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대략 C 모양의 제1링부재(111)와 이 제1링부재(111)의 양단부에 끼워지는 한 쌍의 원호 모양의 제2링부재(113)로 구성된다.
제1링부재(111)는 적당한 휨력을 갖도록 얇고 단단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지고, 전선을 수용할 수 있게 속이 비어있다. 제1링부재(111)의 양단부에는 상하단면 모두 또는 어느 한 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결정홈(115)들이 형성된다. 또한 끝단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링부재(113)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암 또는 수 모양의 제1걸림턱이 마련된다.
한 쌍의 제2링부재(113)는 제1링부재(111)와 마찬가지로 적당한 휨력을 갖도록 얇고 단단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지고, 제1링부재(111) 및 전선을 수용하게 속이 비어있다. 제2링부재(113) 내부의 상하단면 모두 또는 어느 한 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결정홈(115)들과 대응하는 위치결정돌기(117)들이 형성된다. 또한 끝단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링부재(111)가 빠지지 않도록 수 또는 암 모양의 제2걸림턱이 마련된다. 또한 한 쌍의 제2링부재(113)는 자유단부 근처에 자극부(130)가 끼워지는 끼움공(119)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착용부(110)를 두 겹의 구조를 갖게 2개의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착용부(110)의 양단에 설치되는 자극부(130)를 사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 보다 강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자극부(130)는 사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을 자극하기 위한 것으로, 누르기, 두드리기, 문지르기 등 다양한 형태의 자극을 가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구체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자극부(130)는 밑판(131), 덮개(132), 발진소자(133), (+)극 및 (-)극용 전도성 고무판(134,135) 및 환형의 절연부재(136)로 구성된다.
밑판(131)에는 발진소자(133), (+)극 및 (-)극용 전도성 고무판(134,135) 및 환형의 절연부재(136)가 고정되게 배치되고, 상면이 덮개(132)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덮혀진다. 덮개(132)에는 착용부(110)의 제2링부재(113)에 형성된 끼움공(119)에 끼워지는 끼움돌기(137)가 형성된다.
발진소자(133)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데 저주파 발진소자(133)가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극 및 (-)극용 전도성 고무판(134,135)은 발진소자(1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환형의 절연부재(136)에 의해 둘 사이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떨어져 있다.
자극부(130)는 또한 밑판(131)의 외부면에 밑판(131)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138)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150)는 자극부(130)를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151), 전원(152) 및 다수의 버튼(153,154,155)들로 구성된다.
몸체(151)는 착용부(110)의 제1링부재(111)에 고정되게, 또는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고, 내부에는 전원인 배터리(152)가 설치되는 빈 공간이 마련된다.
배터리(152)는 충전식 또는 비충전식으로 적용될 수 있고, 충전식의 경우 외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는 충전잭이 마련되고, 비충전식의 경우 배터리(152)의 교체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비충전식 배터리로는 시중에 널리 판매되고 있는 막대형 배터리나 수은전지와 같은 원판형 배터리가 적용될 수 있다.
다수의 버튼(153,154,155)들은 온/오프 기능을 하거나, 세기 조절 기능을 하거나, 또는 자극의 종류, 예를 들어 누르기, 두드리기, 문지르기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은 예를 들어 도 5와 같은 형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전원인 배터리(152)는 발진소자(133)와 온/오프버튼(153)과 병렬로 연결되고, 세기조절버튼(154)과 자극선택버튼(155)은 다시 온/오프버튼(153)과 병렬로 연결되고, 발진소자(133)에는 (+)극판(134)이 세기조절버튼(154)과 자극선택버튼(155)에는 (-)극판(135)이 각각 직렬로 연결된다. 하지만 이와 달리 본 발명의 구성을 작동시킬 수 있는 연결관계라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수정 또는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발진소자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발진소자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및
도 5는 도 1의 배터리, 발진소자, 온/오프버튼, 세기조절버튼, 자극선택버튼, (+)극판, (-)극판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 110 : 착용부
111 : 제1링부재 113 : 제2링부재
115 : 위치결정홈 117 : 위치결정돌기
130 : 자극부 131 : 밑판
132 : 덮개 133 : 발진소자
134,135 : (+)극 및 (-)극용 전도성 고무판
136 : 환형의 절연부재 150 : 조작부
151 : 몸체 152 : 전원
153,154,155 : 다수의 버튼들

Claims (9)

  1. 휨력을 갖도록 두 겹으로 속이 비어 있게 구성되고, 사용자의 옆머리를 감싸게 뒷머리에 장착되고, C 모양의 하나의 제1링부재와 상기 제1링부재의 양단부에 끼워지는 한 쌍의 원호 모양의 제2링부재들로 구성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 밀착되어 누르기, 두드리기, 문지르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자극하기 위한 자극부; 및
    상기 착용부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극부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부재는 양단부의 상하단면 모두 또는 어느 한 면에 위치결정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2링부재는 상기 제1링부재를 수용하고 내부의 상하단면 모두 또는 어느 한 면에 상기 위치결정홈들과 대응하는 위치결정돌기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부재와 상기 제2링부재는 끝단에 서로 걸려지는 암 또는 수 모양의 걸림턱들이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부는 상기 착용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자극부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착용부에는 상기 끼움돌기와 대응하는 끼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부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발진소자, 상기 발진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극판들, 그리고 상기 (+,-)극판들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절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소자는 저주파 발진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부는 외부로부터 보호되게 상기 사용자의 관자놀 이에 밀착되는 부분에 보호층이 추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충전식 또는 비충전식 배터리를 전원으로 포함하고, 상기 자극부의 온/오프 기능, 세기 조절 기능, 또는 자극 선택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
KR1020090002349A 2009-01-12 2009-01-12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 KR100947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349A KR100947590B1 (ko) 2009-01-12 2009-01-12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349A KR100947590B1 (ko) 2009-01-12 2009-01-12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7590B1 true KR100947590B1 (ko) 2010-03-15

Family

ID=42183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349A KR100947590B1 (ko) 2009-01-12 2009-01-12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5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854B1 (ko) 2010-06-21 2012-01-31 배성만 음이온 방사 헤드셋
KR20180055272A (ko) * 2016-11-16 2018-05-25 이문수 머리띠형 졸음 방지 장치
KR102154435B1 (ko) 2019-05-15 2020-09-09 이경복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978A (ko) * 2002-11-14 2004-05-22 박광섭 저주파 귀맛사지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978A (ko) * 2002-11-14 2004-05-22 박광섭 저주파 귀맛사지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854B1 (ko) 2010-06-21 2012-01-31 배성만 음이온 방사 헤드셋
KR20180055272A (ko) * 2016-11-16 2018-05-25 이문수 머리띠형 졸음 방지 장치
KR102154435B1 (ko) 2019-05-15 2020-09-09 이경복 자극조절형 졸음방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964B1 (ko) 졸음 방지 안경
ES2582127T3 (es) Disposición de electrodos
KR102427652B1 (ko) 삼차 신경의 경피 전기 자극을 위한 장치
KR101473433B1 (ko) 패치 장치
KR100947590B1 (ko)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
WO2011093540A1 (ko) 헤어밴드형 졸음방지기
WO2015042365A1 (en) Electro-stimulatio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pain
CN114259648A (zh) 美容面具
JP7177015B2 (ja) 目元用美容マスク
CN108175392A (zh) 基于脉搏血氧实时监测的疲劳驾驶监测提醒方法及装置
KR101539658B1 (ko) 건식 전극
KR20160095579A (ko) 남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개인용 경두개직류자극장치
JPWO2016009463A1 (ja) 電気刺激用マスク
JP2021016517A5 (ko)
JP5314549B2 (ja) 首用電気治療器
KR101533718B1 (ko) 피부미용장치
KR102213309B1 (ko) 경두개 전기자극기
KR20120005161U (ko) 잠을 깨워주는 졸음방지기
JP5141221B2 (ja) 低周波治療器用パッド及び低周波治療器
JPWO2020012754A1 (ja) 美顔器具、および美顔ユニット
KR20140002408A (ko) 수면 안대
KR101746374B1 (ko) 수면 상태 개선을 위한 전기 자극 인가 기능을 가진 수면 안대
WO2019012891A1 (ja) 電気治療器、電子機器および端末装置
KR102433961B1 (ko) 웨어러블 tCS 제어장치
KR200483228Y1 (ko) 진동기구가 구비된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