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116B1 - 중계기의 중계 방법 - Google Patents

중계기의 중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116B1
KR100947116B1 KR1020070129416A KR20070129416A KR100947116B1 KR 100947116 B1 KR100947116 B1 KR 100947116B1 KR 1020070129416 A KR1020070129416 A KR 1020070129416A KR 20070129416 A KR20070129416 A KR 20070129416A KR 100947116 B1 KR100947116 B1 KR 100947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map
downlink frame
data burst
connection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2274A (ko
Inventor
진성근
윤철식
김영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29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116B1/ko
Publication of KR20090062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중계기는 중계기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식별자를 파악하고, 하향링크 프레임을 수신한다. 중계기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식별자에 해당하는 제1 맵 정보 요소를 하향링크 프레임으로부터 추출하고, 제1 맵 정보 요소에 해당하는 제1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 버스트를 하향링크 프레임으로부터 추출한다. 또한, 중계기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식별자에 해당하는 제2 맵 정보 요소를 하향링크 프레임으로부터 추출하고, 제2 맵 정보 요소에 해당하는 제2 영역을 통해 데이터 버스트를 송신한다.
이로써, 중계기는 맵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트래픽을 수신하고 전송할 수 있다.
MAP, R-MAP, 와이브로 릴레이

Description

중계기의 중계 방법{Relaying Method of Repeater}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중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 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S-011-02, 과제명: 멀티홈 WiBro 용 relay mesh 통신 시스템 개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에 따르면, 중계기는 투과 프레임 구조(transparent frame structure) 및 비투과 프레임 구조(non-transparent frame structure)를 지원한다.
투과 프레임 구조를 지원하는 중계기는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버스트(data burst)를 수신하여 옵셔널 투과 영역(optional transparent zone)으로 전송하거나, 이동국이 전송하는 데이터 버스트를 수신하여 릴레이 영역(relay zone)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중계기는 수신한 데이터 버스트를 어떤 자원을 활용하여 전송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IEEE 802.16 에 따른 MAP 과의 호환성을 가지는 중계기의 중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중계기의 중계 방법은 상기 중계기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식별자를 파악하는 단계, 하향링크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식별자에 해당하는 제1 맵 정보 요소를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맵 정보 요소에 해당하는 제1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 버스트를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식별자에 해당하는 제2 맵 정보 요소를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맵 정보 요소에 해당하는 제2 영역을 통해 상기 데이터 버스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중계기의 중계 방법은 상기 중계기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식별자를 파악하는 단계, 하향링크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계기에 해당하는 제1 맵 정보 요소를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맵 정보 요소에 해당하는 제1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 버스트를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식별자에 해당하는 제2 맵 정보 요소를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맵 정보 요소에 해당하는 제2 영역을 통해 상기 데이터 버스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기는 IEEE 802.16 에 따른 MAP 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트래픽을 수신하고 전송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동국(Mobile Station, MS)은 단말(terminal),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eN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중계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프레임의 세로축은 직교 주파수로 구성된 서브 채널이며, 가로축은 시분할된 시간축이다.
중계기(200)의 중계 방법은 MAP 및 R-MAP 이 각각 할당하는 자원 할당 영역을 이용하여 데이터 버스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자원 할당 영역은 MAP 및 R-MAP 내의 MAP_IE 가 포함하는 연결 식별자에 해당하는 영역이다.
제1 프레임에서, 기지국(100)은 제1 자원 할당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 버스트를 중계국(200)으로 송신한다(A). 제1 자원 할당 영역의 정보는 MAP 의 MAP_IE 이 포함하는 연결 식별자에 해당한다. 중계기(200)는 제1 자원 할당 영역에 해당하 는 데이터 버스트를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한다(B).
제2 프레임에서, 중계기(200)는 제2 자원 할당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 버스트를 이동국(300)으로 송신한다(C). 제2 자원 할당 영역의 정보는 R-MAP 의 MAP_IE 이 포함하는 연결 식별자에 해당한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중계 방법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중계 방법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지국(100), 중계기(200) 및 이동국(300)을 포함한다.
먼저, 중계기(200)는 연결 경로 설정을 한다(S101). 중계기(200)는 연결 경로 설정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한 연결 경로 설정 정보를 통해 자신이 중계하여야 할 적어도 하나의 연결 식별자(Connection Identifier, CID)를 파악한다(S102).
중계기(200)는 MAP 및 R-MAP 을 포함하는 하향링크(DL: Down Link) 프레임을 수신한다(S103). MAP 및 R-MAP 은 각각 복수의 MAP_IE(Information Element)를 포함한다. MAP 및 R-MAP 내의 특정 MAP_IE 는 연결 식별자에 해당하는 자원 할당 영역 정보를 포함한다. 중계기(200)는 수신하는 데이터 버스트의 영역을 할당하는 MAP 및 송신하는 데이터 버스트의 영역을 할당하는 R-MAP 에 자원 할당 영역을 표시한다. 여기서, 동일한 중계기를 통해 중계하는 연결 식별자는 하나의 MAP_IE 를 포함한다. 반면에, 서로 다른 중계기를 통해 중계하는 데이터 버스트의 연결 식별 자는 서로 다른 MAP_IE 를 포함한다.
중계기(200)는 하향링크 프레임으로부터 MAP 의 MAP_IE 를 추출한다(S104). 여기서, MAP 의 MAP_IE 는 중계기(200)가 중계하여야 할 적어도 하나의 연결 식별자에 해당하는 제1 자원 할당 영역의 정보를 포함한다. 제1 자원 할당 영역은 중계기(200)가 중계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게 할당된 영역이다. 중계기(200)는 제1 자원 할당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 버스트를 하향링크 프레임으로부터 추출한다(S105).
중계기(200)는 하향링크 프레임으로부터 R-MAP 의 MAP_IE 를 추출한다(S106). 여기서 R-MAP 의 MAP_IE 는 중계기(200)가 중계하여야 할 적어도 하나의 연결 식별자에 해당하는 제2 자원 할당 영역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제2 자원 할당 영역은 중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중계기(200)에게 할당된 영역이다.
하향링크 프레임의 다음 프레임에서, 중계기(200)는 제2 자원 할당 영역을 통해 데이터 버스트를 이동국(300)으로 송신한다(S107).
다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프레임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에서 기지국(100)은 제1 자원 할당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 버스트를 중계국(200)으로 송신한다(D). 제1 자원 할당 영역의 정보는 R-MAP 의 MAP_IE 이 포함하는 연결 식별자에 해당한다. 중계기(200)는 제1 자원 할당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 버스트를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한다(E).
제2 프레임에서, 중계기(200)는 제2 자원 할당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 버스트를 이동국(300)으로 송신한다(F). 제2 자원 할당 영역의 정보는 MAP 의 MAP_IE 이 포함하는 연결 식별자에 해당한다.
다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중계 방법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중계 방법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중계기(200)는 연결 경로 설정을 한다(S201). 중계기(200)는 연결 경로 설정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한 연결 경로 설정 정보를 통해 자신이 중계하여야 할 적어도 하나의 연결 식별자(CID)를 파악한다(S202).
중계기(200)는 MAP 및 R-MAP 을 포함하는 하향링크(DL) 프레임을 수신한다(S203). MAP 및 R-MAP 은 각각 복수의 MAP_IE 를 포함한다. MAP 및 R-MAP 내의 특정 MAP_IE 는 연결 식별자에 해당하는 자원 할당 영역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중계기(200)는 수신하는 데이터 버스트의 영역을 할당하는 R-MAP 및 송신하는 데이터 버스트의 영역을 할당하는 MAP 에 자원 할당 영역을 표시한다.
중계기(200)는 하향링크 프레임으로부터 중계기(200)에 해당하는 R-MAP 의 MAP_IE 를 추출한다(S204). 여기서, R-MAP 의 MAP_IE 는 중계기(200)에 해당하는 제1 자원 할당 영역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자원 할당 영역은 중계기(100) 가 중계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게 할당된 영역이다. 중계기(200)는 제1 자원 할당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 버스트를 하향링크 프레임으로부터 추출한다(S205).
중계기(200)는 하향링크 프레임으로부터 MAP 의 MAP_IE 를 추출한다(S206). 여기서 MAP 의 MAP_IE 는 중계기(200)가 중계하여야 할 적어도 하나의 연결 식별자에 해당하는 제2 자원 할당 영역의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자원 할당 영역은 중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중계기(200)에게 할당된 영역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자원 할당 영역이 옵셔널 투과영역 내에 존재하면, 중계기(200)는 제2 자원 할당 영역을 통해 데이터 버스트를 이동국(300)으로 송신한다(S207). 이때, 기지국(100)은 제2 자원 할당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 버스트를 중계기(200)로 송신하지 않는다. 반면에 제2 자원 할당 영역이 액세스 영역 내에 존재하면, 중계기(200)는 제2 자원 할당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 버스트를 이동국(300)으로 송신하지 않는다. 기지국(100)은 제2 자원 할당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 버스트를 중계기(200)로 송신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중계 방법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중계 방법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8)

  1. 중계기의 중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식별자를 파악하는 단계;
    하향링크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식별자에 해당하는 제1 맵 정보 요소를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맵 정보 요소에 해당하고, 상기 중계기가 중계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게 할당된 제1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 버스트를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식별자에 해당하는 제2 맵 정보 요소를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맵 정보 요소에 해당하고, 중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중계기에게 할당된 제2 영역을 통해 상기 데이터 버스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계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을 통해 상기 데이터 버스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의 다음 프레임에서, 상기 제2 영역을 통해 상기 데이터 버스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식별자는 하나의 정보 요소에 포함되는 중계 방법.
  5. 중계기의 중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식별자를 파악하는 단계;
    하향링크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계기에 해당하는 제1 맵 정보 요소를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맵 정보 요소에 해당하는 제1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 버스트를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식별자에 해당하는 제2 맵 정보 요소를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맵 정보 요소에 해당하는 제2 영역을 통해 상기 데이터 버스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식별자를 파악하는 단계는
    연결 경로를 설정 하는 단계;
    상기 연결 경로 설정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한 연결 경로 설정 정보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식별자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계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중계기가 중계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게 할당된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중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중계기에게 할당된 영역인 중계 방법.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을 통해 상기 데이터 버스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의 다음 프레임에서, 상기 제2 영역을 통해 상기 데이터 버스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계 방법.
KR1020070129416A 2007-12-12 2007-12-12 중계기의 중계 방법 KR100947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416A KR100947116B1 (ko) 2007-12-12 2007-12-12 중계기의 중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416A KR100947116B1 (ko) 2007-12-12 2007-12-12 중계기의 중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274A KR20090062274A (ko) 2009-06-17
KR100947116B1 true KR100947116B1 (ko) 2010-04-01

Family

ID=40991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416A KR100947116B1 (ko) 2007-12-12 2007-12-12 중계기의 중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11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9172A (ko) * 2006-04-03 2007-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국 영역 지정 방법 및 검색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9172A (ko) * 2006-04-03 2007-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국 영역 지정 방법 및 검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274A (ko)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Femtocells: technologies and deployment
KR10096803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베어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9124510B2 (en) Configuring relay cell identities in cellular networks
EP2472983B1 (en) Communication system, relay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and base station
US9312946B2 (en) Gateway functionality for mobile relay system
US20140269417A1 (en) Configuring Relay Nodes
CN102056316B (zh) 一种信道资源分配的方法、基站和中继节点
CN103053199B (zh) 先进lte系统中的中继通信
US201202202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sion of paging messages in relay network
KR20130036302A (ko) 중계국 장치,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장치, 및 중계국의 제어 방법
CN102655637A (zh) 一种移动通信系统和组网方法
CN104468312A (zh) 一种无线中继站及其接入核心网的方法和系统
JP4716882B2 (ja) Ieee802.16における中継局を介したレンジング方法、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KR101354028B1 (ko) 중계 통신 방법들 및 장치
JP2012044326A (ja) 接続方法及び無線基地局
EP2335444B1 (en) Support for user equipment multiplexing in relay enhanced networks
CN101529751A (zh) 用于多跳无线宽带接入通信的从帧控制头(fch)位置向前导码序列集的映射
KR20100092910A (ko) 자원 분할에 기반한 릴레이 시스템
CN102201857B (zh) 中继链路的控制信令发送方法、系统及装置
KR100947116B1 (ko) 중계기의 중계 방법
CN102577276B (zh) 中继传输方法及其设备
KR101433948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198501B1 (ko) 중계기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으로 자원을 할당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KR101042351B1 (ko) 방송정보 전송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중계기
KR10124330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생성 방법 및 프레임 정보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