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898B1 - 고도 정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고도 정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898B1
KR100946898B1 KR1020080007311A KR20080007311A KR100946898B1 KR 100946898 B1 KR100946898 B1 KR 100946898B1 KR 1020080007311 A KR1020080007311 A KR 1020080007311A KR 20080007311 A KR20080007311 A KR 20080007311A KR 100946898 B1 KR100946898 B1 KR 100946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tank
filtration tank
biofilm
perfo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0873A (ko
Inventor
최광회
Original Assignee
최광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회 filed Critical 최광회
Priority to KR1020080007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898B1/ko
Publication of KR20090080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물막 여과조와 모래,안트라사이트를 충진한 여과조, 그리고 오존 처리조가 조합되어 고도 정수 처리를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원수를 생물막 여과조에 유입시켜 미생물과 오존의 작용에 의하여 원수중의 미량 오염물을 제거하고, 이후의 장치인 모래, 안트라사이트 여과조에서 생물막 여과조를 지나온 미량 오염물을 제거한다. 생물학적 제거작용과 물리적 제거작용을 거친 원수는 오존 처리조에서 오존 처리가 된 후 저수조로 보내어 급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물막 여과조, 생물막 여과판, 섬모상 여재, 다공판

Description

고도 정수 처리 장치{Advanced 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고도 정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물막 여과조, 모래,안트라사이트로 구성된 여과조, 오존 처리조, 그리고 저수조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완속여과를 이용한 정수처리에서 생물작용을 이용하여 암모니아성 질소, 취기, 철, 망간, 합성세제, 페놀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생물학적 작용을 이용하는 점은 급속여과와 다르고, 생물 작용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어느정도 원수가 양호할 필요가 있고, 탁도가 높은 경우는 적합하지 않다.
오존과 입상활성탄(BAC)을 이용한 기존의 전오존과 고도정수시스템은 전오존 처리 효과가 미흡하여 암모니아성 질소가 거의 제거되지 않았으며 BOD, COD 등 각종 오염 물질의 제거율이 매우 낮아 원수 수질이 급격히 악화되는 상태에서는 BAC 공정의 수명이 매우 짧은 시간내에 파괴상태가 이루어져 효과적인 정수처리가 어렵고 또 빈번한 역세나 BAC공정의 수명이 매우 단축되어 입상활성탄의 교체가 요구되어 매우 비경제적인 상수도 물이 생산될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오염된 원수를 고도 정수 처리하기 위하여 생물막 여과조에서 오존과 미생물의 작용을 이용, 오염 물질을 제거하고, 모래/안트라 사이트의 여과조에서 물리적 작용에 의해 오염 물질을 제거 한 후, 오존 처리 소독조에서 여과수중에 존재할 수 있는 병원균을 제거하여 음용수로서 적합한 물을 생산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생물막 여과조(6)에서 섬모상 여재(10)에 부착증식한 미생물의 작용과 오존에 의하여 원수중에 함유된 암모니아성 질소, 철, 망간, 취기, 현탁물질, 합성세제 등을 제거하며, 다음 공정의 여과조에서 오염물질을 더욱 고도로 제거 한 후, 오존처리조에서 오존램프와 산기관의 조합으로 발생한 오존으로 병원균을 살균함으로써 음용수로 적합한 물을 생산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생물막 여과조, 여과조 그리고 오존 처리조가 조합되어 고도 정수 처리를 하기위한 장치로, 생물막 여과조에서는 오존과 미생물의 작용에 의하여 원수중의 암모니아성 질소, 냄새, 맞 유발 물질, 색도, 철, 망간등이 제거되고, 여과조에서는 여재의 물리적 작용에 의하여 오염물질들이 제거된다. 이러한 고도 정수 처리 과정에서 오존의 발생은 오존램프(1)와 산기관(2)의 작용에 의하여 생성되므로 기존의 오존 발생을 위한 높은 전력 소비가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고, 생물막 여과판(9)은 역세척 후 교체 없이 계속 사용이 가능하여 음용수 생산 비용의 절감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고도 정수 처리 장치이고, 도 2는 생물막 여과조의 a:평면도, b:측면도, c:분배수로 세부도1, d:분배수로 세부도2, e:오존램프 셀 측면 세부도이며, 도3은 생물막 여과판의 세부도이다.
도 1에서 고도 정수 처리 장치는 생물막 여과판(9)이 설치된 생물막 여과조(6), 모래/안트라사이트의 여재로 채워진 여과조, 그리고 오존 처리조와 저수조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생물막 여과조의 평면도, 측면도 그리고 세부도로서, 원수는 생물막 여과조(6)의 유입구(7)로 유입하여 주 분배수로(3) 유입선단에 위치한 오존램프 셀(4)을 통과한다. 이때 오존램프(1)와 산기관(2)에서 발생한 산소의 작용에 의해 발생한 오존은 원수중의 맛, 냄새 유발 물질, 색도, 병원균, 철, 망간등을 제거한다. 오존램프 셀(4)을 통과한 원수는 주 분배수로(3)에서 분기한 부 분배수로(5)에서 생물막 여과판(9)으로 낙하한다. 생물막 여과판(9)의 섬모상 여재(10)에 부착 성장한 미생물의 작용에 의하여 원수중의 암모니아성 질소, 부유 유기물, 철, 망간등이 제거된 후, 유출구(8)를 통하여 다음의 여과 장치로 유하한다. 생물막 여과판(9) 하부에 위치한 산기관(2)은 역세척 용으로 사용한다.
분배수로 세부도에서, 주 분배수로(3)의 수로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 정사각 형 또는 반원형의 모양으로 할 수 있고, 주 분배수로(3)에서 분기한 부 분배수로(5)의 수로 단면 형상은 반원형이나 삼각형의 모양으로 하며, 부 분배수로(5)는 수평에 대하여 45°의 하향 경사각을 갖고 주 분배수로(3)에서 분기한다.
오존램프 셀(4)은 정사각형 혹은 직사각형의 모양으로 주 분배수로(3) 유입 선단에 위치하며, 다수개의 오존램프(1)로 구성되고, 그 하부에는 산기관(2)이 위치하여 오존 발생을 위한 산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생물막 여과판(9)의 상세도로서, 생물막 여과판(9)은 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 모양의 다공(12)이 다수 천공된 다공판(11)과 다공판(11) 윗면을 덮고 있는 섬모상 여재(10)로 구성된다.
도 1은 고도 정수 처리 장치도
도 2는 생물막 여과조의 a:평면도, b:측면도, c:분배수로 세부도1, d:분배수로 세부도 2, e:오존램프 셀 측면 세부도
도3은 생물막 여과판의 세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존램프 2 : 산기관 3 : 주 분배수로 4 : 오존램프 셀 5 : 부 분배수로 6 : 생물막 여과조 7 : 유입구 8 : 유출구 9 : 생물막 여과판 10 : 섬모상 여재 11 : 다공판 12 : 다공

Claims (1)

  1. 생물막 여과조, 여과조, 오존 처리조로 구성된 고도 정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오존과 미생물의 작용에 의하여 원수 중의 암모니아성 질소, 냄새, 맛 유발 물질, 색도, 철, 망간등이 제거되는 생물막 여과조(6) 장치와;
    모래/안트라 사이트 여재의 물리적 작용에 의하여 오염물질들이 제거되는 여과조;
    오존으로 병원균을 살균하는 오존처리조;
    생물막 여과조, 여과조, 오존처리조 장치 사이는 이송관으로 연결되어 정수가 이송되며;
    생물막 여과조(6) 장치에서;
    ① 생물막 여과판(9)은 다수의 다공(12)이 천공된 다공판(11)과 섬모상 여재(10)로 구성되며,
    ② 다공판(11)에 천공한 다공(12)의 모양은 원형을 기본으로 하나, 삼각형, 사각형의 모양으로도 천공할 수 있고,
    ③ 주 분배수로(3) 유입 선단은 오존램프 셀(4)과 산기관(2)을 조합하여 설치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고도 정수 처리 장치
KR1020080007311A 2008-01-22 2008-01-22 고도 정수 처리 장치 KR100946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311A KR100946898B1 (ko) 2008-01-22 2008-01-22 고도 정수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311A KR100946898B1 (ko) 2008-01-22 2008-01-22 고도 정수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873A KR20090080873A (ko) 2009-07-27
KR100946898B1 true KR100946898B1 (ko) 2010-03-09

Family

ID=4129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311A KR100946898B1 (ko) 2008-01-22 2008-01-22 고도 정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8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417B1 (ko) 2001-09-24 2004-01-13 으뜸산업주식회사 호기 및 혐기성 생물막 채널타입 반응기를 이용한오·하수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773701B1 (ko) 2007-04-18 2007-11-05 최광회 고정여재를 이용한 하수고도처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417B1 (ko) 2001-09-24 2004-01-13 으뜸산업주식회사 호기 및 혐기성 생물막 채널타입 반응기를 이용한오·하수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773701B1 (ko) 2007-04-18 2007-11-05 최광회 고정여재를 이용한 하수고도처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873A (ko) 2009-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05109B (zh) 厌氧法处理化纤废水装置
CN110422964A (zh) 一种化工园区废水深度处理工艺方法
CN106430847B (zh) 一种集约化养猪废水处理设备
KR101019590B1 (ko) 철과 망간을 제거하는 정수 장치 및 정수 방법
CN205368041U (zh) 紫外光-臭氧催化氧化污水处理装置
Nikoonahad et al. Application of novel Modified Biological Aerated Filter (MBAF) as a promising post-treatment for water reuse: Modification in configuration and backwashing process
KR100644236B1 (ko) 정수장용 활성 탄소체 컬럼 및 이를 이용한 정수처리방법
KR100861554B1 (ko)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총인을 제거하는 여과ㆍ흡착 다단계 폐수 처리 장치
CN1300020C (zh) 生活污水深度强化处理的方法
KR20110138668A (ko)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KR100946898B1 (ko) 고도 정수 처리 장치
KR101393533B1 (ko) 다양한 산기 방식이 적용된 드래프트 튜브형 끈상 미생물 접촉 여재 정화 장치를 이용한 오염하천 및 호소의 정화 방법
CN203582663U (zh) 一种应用于生活污水处理的中水回用系统
KR101206477B1 (ko) 농업용수 공급장치를 이용한 하천 및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농업용수 재이용 방법
CN212425789U (zh) 一种家庭生活污水处理装置
CN204918324U (zh) 一种用于神经节苷脂生产过程中的废水处理装置
CN203295304U (zh) 鱼虾工厂化养殖废水零排放处理系统
CN209065684U (zh) 一种小区生活污水处理回用装置
KR101206476B1 (ko) 하천 및 하수처리장의 방류수를 재이용한 농업용수 공급장치
KR100496766B1 (ko) 나선형 배플 장착 자외선 접촉장치 및 이를 이용한하수처리장 방류수 재이용 시스템
CN209853914U (zh) 一种养猪场废水处理系统
KR20020031120A (ko) 오폐수 처리시스템
CN207108748U (zh) 一种污水一体化处理系统
CN202369471U (zh) 一种用于景观水的净化处理装置
CN203200142U (zh) 新型一体化水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