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165B1 - 치료제의 균일 운송을 위한 카테터 - Google Patents

치료제의 균일 운송을 위한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165B1
KR100946165B1 KR1020060097459A KR20060097459A KR100946165B1 KR 100946165 B1 KR100946165 B1 KR 100946165B1 KR 1020060097459 A KR1020060097459 A KR 1020060097459A KR 20060097459 A KR20060097459 A KR 20060097459A KR 100946165 B1 KR100946165 B1 KR 100946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tube
fluid
delete delete
ex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9859A (ko
Inventor
로저 마센게일
케네쓰 더블류 레이크
호세 카스틸로 데니에가
Original Assignee
아이-플로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플로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아이-플로우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60097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165B1/ko
Publication of KR20060109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69Tip not integral with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7Side holes, e.g. their profiles or arrangements; Provisions to keep side holes unblock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025/0037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lumina being arranged side-by-s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025/0039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lumina being arranged coaxi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57Catheters delivering medicament other than through a conventional lumen, e.g. porous walls or hydrogel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025/0073Tip designed for influencing the flow or the flow velocity of the fluid, e.g. inserts for twisted or vortex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부부위에 액상 치료제의 운송을 위한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카테터는 카테터의 주입부를 따라 다수의 출구공을 가진 긴 튜브, 및 튜브 내에 위치하여 튜브와 부재간에 고리모양의 공간을 형성하는 긴 유연한 다공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카테터는 측면튜브의 다수의 출구공을 갖는다. 출구공은 튜브의 측벽에 다수의 출구공을 가지는 튜브를 포함한다. 출구공은 합쳐져서 카테터의 흐름 저항 오리피스를 형성할 수 있다. 유리하게도, 카테터를 흐르는 유액은 모든 출구공을 통해 흐르고, 이는 해부부위내에서 유액의 균일한 분배를 가져온다. 하나의 특별한 구현예에서 카테터는 그 안에 긴 출구 슬롯을 가진 튜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카테터는 다공성 막으로 이루어진 긴 관형 부재를 포함한다. 다공성 막은 관형 부재의 개방 말단에 도입된 유액이 관형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균일한 속도로 흐르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카테터가 튜브의 말단에 부착된 위핑 관형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다. 스프링 내 및 역치압력하에서 유액은 스프링 코일사이를 방사상으로 흐른다. 바람직하게는 유액은 스프링의 길이 전반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배된다.
카테터

Description

치료제의 균일 운송을 위한 카테터{Catheter for Uniform Delivery of Med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첫 번째 구현예에 따른 특징 및 장점을 가진 카테터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2-2선을 따라 취한 도 1의 카테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3-3선을 따라 취한 도 1의 카테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4-4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의 카테터의 말단부 및 지지체 빔(beam)의 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두 번째 구현예에 따른 특징 및 잇점을 가진 카테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6-6선을 따라 취한 도 5의 카테터 주입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세 번째 구현예에 따른 특징 및 장점을 가진 카테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네 번째 구현예에 따른 특징 및 잇점을 가진 카테터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섯 번째 구현예에 따른 특징 및 잇점을 가진 카테터의 측면도이다.
도 10a는 도 9의 카테터의 단면도로서, 스프링의 신장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b는 도 9의 카테터의 단면도로서, 스프링의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것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여섯 번째 구현예에 따른 특징 및 잇점을 가진 카테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여섯 번째 구현예에 따른 특징 및 잇점을 가진 카테터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곱 번째 구현예에 따른 특징 및 잇점을 가진 카테터의 세로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16은 도 13은 카테터와 비슷한 카테터의 세로방향의 단면도로서 내부 다공성 부재와 튜브간에 대안적 부속물을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도 13 내지 16에 따른 카테터의 횡단면도로서, 내부의 다공성 부재가 외부 튜브와 중심을 공유하는 경우이다.
도 18은 도 13 내지 16에 따른 카테터의 횡단면도로서, 내부의 다공성 부재가 외부 튜브와 중심을 공유하지 않는 경우이다.
도 19은 공기 제거 필터와 연결되어 사용된, 본 발명의 카테터의 모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여덟 번째 구현예에 따른 특징 및 장점을 가진 카테터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아홉 번째 구현예에 따른 특징 및 장점을 가진 카테터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혈액 응고를 치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테터의 사용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카테터(catheter)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그 주입부로 액상 치료제(fluid medication)를 균일하게 전달하는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인체 등의 해부학적 시스템(anatomical system)로 액상 치료제를 전달하기 위한 주입 카테터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카테터에는 일반적으로 해부학적 시스템의 어떤 부위내로 삽입되는 유연한 중공 튜브(hollow tube)가 있다. 중공 튜브는 일반적으로, 유액이 흐를 수 있는 1 이상의 축방향 내강(lumen)이 있다. 이 카테터 튜브의 근위 말단(proximal end)은 유액의 공급원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공급원으로부터 유액이 카테터 튜브로 유입된다. 유액은 상기 근위 말단에 제공되는 압력 하에 내강들 중 하나의 안으로 흐른다. 각 내강에는 공통적으로 튜브의 원위 말단(distal end)의 주입부를 따라 하나 이상의 출구공(exit hole)이 있어서 유액이 튜브를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출구공은 중공 튜브의 측벽을 뚫어서 생성한다.
임의의 의학적 조건에 있어, 창상(wound) 구역내의 다수의 부위로 액상 치료제를 전달하는 것은 유리하다. 예를 들어, 진통제를 필요로 하는 일부 창상들은 하나의 신경 줄기보다는 다수의 신경 말단과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창상의 한 예로서, 외과적 절개를 들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액상 치료제가 카테터 튜브를 빠져나가는 다수의 출구공이 있다는 것은 알려져 있다. 그 출구공들은 약물이 전달될 부위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카테터 튜브를 따라 다양한 축방향 및 원주상의 다양한 위치에 놓여 있다. 이러한 형태를 갖는 카테터의 한 예가 엘더(Eldor)의 미합중국 특허 제 5,800,407호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어떤 경우에는, 이러한 치료제를 낮은 압력하에서 전달하여 유액이 비교적 느린 속도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일부 진통제는 독성 및 다른 부작용을 피하기 위하여 느리게 전달되어야 한다. 게다가, 많은 경우에, 치료제가 창상 구역 전체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액상 치료제를 카테터 주입부를 통하여 실질적으로 일정한 속도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행히도, 엘더가 개시한 카테터와 같이 다중 출구공을 가진 기존의 카테터들은 낮은 압력 하의 액상 치료제 운송시, 유액이 카테터 튜브의 주입부 근위 말단에서 가장 가까운 출구공(들)을 통해서만 배출되는 경향을 갖는 단점이 있다. 이는 튜브를 통하여 흐르는 유액은 가장 작은 흐름 저항(flow resistance)을 제공하는 출구공을 통하여 좀 더 쉽게 배출되기 때문이다. 내강에서 유액의 유동 경로(flow path)가 길수록 유액이 경험하는 유량 저항 및 압력 강하(pressure drop)는 커진다. 가장 근위(proximal) 쪽의 출구공은 가장 작은 유량 저항 및 압력 강하를 제공한다. 따라서, 유액은 주로 이 출구공을 통하여 카테터 튜브를 빠져나가기 쉽다. 결과적으로, 그 액상 치료제는 창상 구역내의 적은 영역에만 전달된다. 유액이 바람직하지 않게 가장 가까운 출구공을 통하여만 흐르려는 경향은 출구공의 크기, 출구공의 총 수 및 유속에 좌우된다. 출구공의 크기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액이 가장 가까운 출구공로만 빠져나가려는 경향은 더욱 커진다. 반대로, 유속이 증가할 때, 유액의 그러한 경향은 감소한다.
유액이 바람직하지 않게 카테터의 가장 가까운 출구공을 통하여만 흐르려는 경향은 어떤 경우에 유속 또는 유압을 높임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데, 그것은 유액이 카테터의 더 많은 출구공을 통하여 흐르게 한다. 사실상, 유속 또는 유압이 충분히 높으면, 유액은 모든 출구공을 통하여 흐를 것이다. 그러나, 때로는 비교적 느린 속도, 즉, 낮은 압력으로 제제를 전달하는 것이 의학적으로 바람직하다. 또한, 심지어 고압으로 유액을 전달하는 것이 허용가능하거나 바람직한 경우라도 이전의 카테터들은 주입부를 따라 유액을 균일하게 전달하지 않는다. 오히려, 주입부 근위 말단에서 더 가까운 출구공을 통한 유속은 원위 말단에 더 가까운 출구공을 통한 유속보다 더 큰 경향이 있다. 이는 좀 더 가까운 출구공을 통과하는 유액이 좀 더 적은 유량 저항 및 압력 강하를 겪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좀 더 먼 출구공을 통하여 흐르는 유액은 좀 더 큰 유량 저항 및 압력 강하를 겪으며, 결과적으로 더 낮은 유속으로 배출된다. 출구공이 더 멀수록 유액의 배출 유속은 더 감소한다. 결과적으로, 창상 구역 전체를 통하여 제제 분포가 고르지 않게 된다.
알려진 또 다른 형태의 주입 카테터에는, 카테터 튜브내에 여러 내강이 있다. 각각의 내강에는 튜브의 벽 안에 하나의 구멍을 뚫어서 만든 하나의 출구공이 있다. 이 출구공들은 카테터 튜브의 주입부를 따라 서로 다른 축 방향으로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액상 치료제는 창상 구역내의 여러 부위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유액 배분을 향상시켰으나, 몇 가지 불리한 점이 있다. 그 중 한 가지는 앞서 논의한 것과 동일한 이유로 출구공이 멀수록 유량 저항이 더 커지기 때문에, 그 출구공들을 통한 유액의 유속이 동일하지 않다는 것이다. 다른 불리한 점은, 내강의 수 및 그 결과적인 유액 출구공의 수는 카테터 튜브의 직경이 작으므로 제한된다. 결과적으로, 유액은 창상 구역내의 아주 제한된 위치들에만 전달된다. 또 다른 불리한 점은, 내강들의 근위 말단이 하나의 복잡한 다기관에 부착되어야 하는데 이로 인해 카테터를 제작하는 비용이 증가된다는 점이다.
카테터의 주입부를 통하여 액상 치료제를 좀 더 균일하게 투여하는 카테터의 한 예가 왕(Wang)의 미합중국 특허 제 5,425,723호에 나와 있다. 왕(Wang)은 하나의 외튜브, 그 외튜브내에 동심원 상으로 존재하는 하나의 내튜브 및 내튜브 내의 중앙 내강을 포함하는 주입 카테터를 개시한다. 내튜브는 외튜브보다 직경이 더 작아서 그 사이에 환상의 통로가 형성된다. 외튜브에는 카테터의 주입부를 한정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다수의 출구공이 있다. 사용시, 중앙 내강으로 흐르는 유액은 내튜브의 측벽에 전략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측면 구멍을 통과한다. 특히, 인접 측면 구멍 사이의 간격은 내튜브의 길이를 따라 감소하여 좀 더 멀리 있는 측면 구멍을 통하여 더 많은 유액이 빠져 나가도록 유도한다. 유액은, 그런 다음, 외튜브 벽에 있는 출구공을 통해 빠져나가기 전에 환상 통로를 통하여 세로 방향으로 흐른다. 환상 통로에서, 유액은 외튜브에 있는 가장 가까운 출구공의 위치에 따라 원위 말단 혹은 근위 말단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카테터로부터 유액이 좀 더 일정한 유속으로 배출되게 한다.
불행히도, 왕(Wang)의 카테터는 비교적 높은 압력의 유액 전달에만 효과적이다. 비교적 낮은 압력으로 유액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시, 왕이 개시한 카테터는 유액의 균일한 투여를 제공하지 않는다. 그 대신, 유액은 카테터 주입부의 근위 말단에서 가장 가까운 내 및 외튜브의 측면 구멍을 통하여 배출되기 쉽다. 왜냐하면, 이 구멍들이 가장 낮은 유량 저항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고압으로 유액을 전달한다 하더라도, 이 구조에는 몇 가지 한계점이 있다. 한 가지 한계점은, 동심원 상의 튜브 구조는 제조하기에 비교적 복잡하고 어렵다는 것이다. 두 튜브 모두 해부학적 시스템을 통하여 기동하기에 충분할 만큼 유연하여야 하며, 한편, 환상 통로는 유액이 그 안에서 균일하게 흐를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어야 한다. 또 다른 한계점은 튜브의 주입부에 굴곡이 있으면 환상 통로가 방해를 받을 수 있다. 카테터 내의 굴곡은 환상 통로를 변형시키거나 혹은 내튜브 및 외튜브가 접촉되게 한다. 이것은 환상 통로의 세로 방향 단면내의 유압이 일정하지 않게 하여 유액 전달이 균일하지 않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고 유속 및 저 유속 유액 전달에 모두 효과적이고 비교적 단순하여 제조하기 쉬운 형태의, 주입부를 따라 액상 치료제를 균일하게 전달하는 향상된 주입 카테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게다가, 왕(Wang)의 카테터와 같은 특정 부류의 카테터들은 고 유압 또는 고 유속시에만 유액을 균일하게 전달한다는 것이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류에 속하면서도 비교적 간단하여 제조하기 쉽고, 구부러지거나 다른 식으로 물리적으로 변형되어도 균일한 유액 전달을 유지할 수 있는 주입 카테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고 해부부위의 창상 구역에 액상 치료제를 전달하는 향상된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이자 장점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태양을 따르면, 다공성 막으로 만들어진 긴 관형 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부부위로 유액을 균일하게 전달하는 카테터가 제공된다. 상기 막은 사람의 피부 등의 그 해부부위를 둘러싸고 있는 피하층을 통하여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상기 막은, 어떤 압력하에서 관형 부재의 한쪽 개방 끝으로 유입되는 유액이 관형 부재를 따라 충분히 일정한 속도로 관형 부재의 측벽을 통하여 흐를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해부부위로 유액을 균일하게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방법은 긴 관형 부재를 해부부위로 삽입하고, 어떤 압력하에서 그 관형 부재의 한쪽 개방 끝으로 유액을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태양으로 본 발명은 해부부위로 유액을 균일하게 전달하기 위한 카테터와 방법을 제공한다. 그 카테터는 하나의 긴 지지체과 그 지지체를 감싸고 있는 하나의 다공성 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지지체는, 그것과 막 사이에 하나 이상의 내강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그 지지체는 그 안에 다수의 구멍을 가진 관형 부재일 수 있다. 본 방법은 전술한 카테터를 해부부위로 삽입하고 1이상의 내강의 근위 말단(proximal end) 안으로 압력하에서 유액을 유입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장점으로서, 유액은 그 막을 통하여 충분히 일정한 속도로 해부부위 내로 들어간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긴 지지체를 형성시키고 그것과 막 사이에 하나 이상의 내강이 형성되도록 지지체를 다공성 막으로 감싸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카테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태양으로 본 발명은 해부부위로 유액을 균일하게 운송하기 위한 카테터와 방법을 제공한다. 그 카테터는 그 길이를 따라 다수의 출구공을 포함하고 있는 긴 튜브 및 그 튜브내에 동심원 상으로 존재하는 관형 다공성 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튜브와 막은 내강을 한정한다. 그 방법은, 상기 카테터를 해부부위 안으로 삽입하고 그 내강의 근위 말단으로 어떤 압력하에서 유액을 유입시켜서, 유액이 바람직하게도 그 막과 출구공을 통하여 해부부위 안으로 충분히 일정한 속도로 들어가게 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하나의 긴 튜브를 형성시키고, 그 튜브의 길이를 따라 다수의 출구공을 제공하며, 하나의 관형 다공성 막을 형성시키고 그 관형 다공성 막을 튜브내로 동심원적으로 존재하게 하여 그 튜브와 막이 하나의 내강을 한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카테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태양으로 본 발명은 해부부위로 유액을 균일하게 전달하기 위한 기구와 방법을 제공한다. 그 기구는 그 길이를 따라 다수의 출구공을 가진 하나의 긴 카테터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도 제조하기에 간단하고 쉽다. 그 출구공은 흐름-제한 오리피스(flow-restricting orfice)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다르게는, 흐름 제한 오리피스는 카테터 내의 어느 곳 또는 카테터에 가까운 쪽에 만들 수 있다. 출구공은 카테터의 길이를 따라 크기가 점차 증가하여, 가장 큰 출구공이 말단측(distal)에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르게는, 그 출구공들은 레이저로 천공하고 대략적으로 같은 크기로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어떤 압력하에서 그 카테터내로 흐르는 유액은 사실상 동일한 속도로 실제 모든 출구공을 통하여 흐를 것이다. 그 방법은 상기 카테터를 해부부위 안으로 삽입하고 어떤 압력하에서 그 카테터의 근위 말단안으로 유액을 유입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그 유액은 출구공을 통하여 흐르고 해부부위로 들어가는데, 바람직하게는 충분히 동일한 속도로 실제 모든 출구공을 통하여 흘러간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긴 카테터를 형성시키고, 출구공이 카테터의 근위 말단(proximal end)에서부터 원위 말단(distal end)까지 그 길이를 따라 크기가 점차 증가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카테터의 길이를 따라 다수의 출구공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기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태양으로 본 발명은 해부부위로 액상 치료제를 전달하기 위한 카테터와 방법을 제공한다. 그 카테터는 하나의 튜브, 그 튜브의 원위 말단에 부착된 위핑(weeping) 관형 코일 스프링 및 그 스프링의 원위 말단을 닫는 스톱(스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튜브 및 스프링은 각각 중앙 내강의 일부를 한정한다. 그 스프링은 서로 접촉한 상태로 이웃하고 있는 코일들을 갖고 있어서, 스프링내 및 역치 분배압(threshold dispensation pressure) 아래에서 코일들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흐름에 의해 유액이 내강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스프링은, 그 유압이, 유액이 코일들 사이로 방사상으로 흐름, 즉, 스프링을 통하여 "위핑(weeping)"함으로써 그 내강으로부터 투여되게 하는 역치 분배압보다 크거나 같을 때, 늘어나는 성질이 있다. 선택적으로, 유액이 그 스프링 코일의 결함을 통해 위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유액은 스프링의 길이 및 둘레 전체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배된다. 사용시에는, 유액을 튜브의 하나의 개방된 근위 말단으로 유입시키고, 스프링 내로 흐르게 하여, 역치 분배압보다 크거나 같은 압력을 가함으로써 유액이 스프링을 통하여 위핑되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태양으로 본 발명은 해부부위로 액상 치료제를 전달하기 위한 카테터와 방법을 제공한다. 그 카테터는 원위 말단쪽이 닫혀 있는 하나의 튜브 및 그 튜브로 둘러싸여 그 안에 동심원 상으로 존재하는,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하나의 "위핑(weeping)" 관형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튜브의 길이를 따라 측벽에 다수의 출구공이 나 있어서 튜브의 주입부를 한정한다. 스프링은 그 주입부 내에 존재하여 내강이 튜브와 스프링내로 한정되게 한다. 사용시에는, 유액을 튜브의 한 쪽 근위 말단으로 유입시키고, 스프링 내로 흐르게 하고, 역치 분배압보다 크거나 같은 압력을 가함으로써, 유액이 스프링을 통하여 위핑되고 그 후 튜브의 출구공을 통하여 흐름으로써 내강으로부터 분배되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태양으로 본 발명은 하나의 긴 튜브 및 그 튜브 내에 위치한 고체의 유연한(flexible) 부재로 구성된 카테터를 제공한다. 그 튜브는 닫혀진 원위 말단 및 튜브의 측벽에 있는 다수의 출구공을 갖고 있다. 출구공들은 카테터의 주입부를 한정하면서 튜브의 길이를 따라 나 있다. 그 튜브는 해부부위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부재는 튜브 내에 위치하고 있고, 그 크기는 튜브와 부재 사이에 환상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크기이다. 그 부재는 다공성 물질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도, 카테터는 튜브의 근위 말단으로 유입되는 유액이 주입부 전체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속도로 출구공을 통하여 흐를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마지막 실시태양으로, 본 발명은 측벽에 다수의 출구 슬롯(exit slot)을 가진 하나의 긴 튜브를 포함하는 카테터를 제공한다. 슬롯들은 카테터의 주입부를 한정하면서 튜브의 길이를 따라 나 있다. 출구 슬롯들은 일반적으로 튜브의 세로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도, 튜브는 그 안으로 흐르는 유액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실제 모든 배출 슬롯을 통하여 흐를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슬롯들은 주입부의 근위 말단로부터 원위 말단으로 가면서 길이가 증가한다.
선행기술보다 진보된 본 발명과 그 장점들을 요약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정 목적과 장점들을 상술하였다. 물론, 그러한 모든 목적 또는 장점들이 필연적으로 본 발명의 어떤 특정 실시태양에 따라 성취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당업계의 숙련된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에서 교시하거나 제안된 다른 목적들 또는 장점들을 필수적으로 수행하지 않고, 본 발명에 교시된 한 가지 장점 또는 한 그룹의 장점들을 수행하거나 활용하는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이 모든 실시태양은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영역내에 있도록 의도되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및 다른 실시태양은 첨부 도면과 관련된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계의 숙련된 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기술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태양(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른 주입(infusion) 카테터 20를 도시한 것이다. 카테터 20은 바람직하게는 유연한 지지체(support) 22(도 2 내지 4), 비다공성 막 24, 및 다공성 막 26을 포함한다. 막 24 및 26은 지지체 22 둘레를 둘러싸서 막 24 및 막 26의 내부 표면과 지지체 22의 표면 간에 다수의 축방향 내강(lumen)을 형성하는 바, 하기에서 매우 자세히 서술된다. 비다공성 막 24는 카테터 20의 비주입부(non-infusion section) 28을 정하고,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체의 근위 말단으로부터 점 30까지 지지체 22를 덮는다. 비슷하게, 다공성 막 26은 카테터 20의 주입부 32를 정하며, 바람직하게는 점 30 부터 지지체 22의 원위 말단까지 덮는다. 선택적으로, 카테터 20은 비다공성 막 24 없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형태에서 다공성 막 26은 지지체 22의 전체 길이를 덮어 지지체 22의 전체 길이가 카테터 20의 주입부에 해당하도록 한다. 상기 주입부는 요구되는 임의의 바람직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카테터 20의 근위 말단은 액상 치료제 같은 유액 36을 함유한 공급부 34에 붙어있다. 카테터 20의 원위 말단은 캡 48을 포함하며(도 4), 이는 카테터 20내의 축방향 내강의 종점(end point)을 정한다.
사용에 있어, 카테터 20은 인체와 같은 해부학적 시스템으로 삽입되어 유동성 의약을 해부학적 시스템 내의 상처난 부위로 직접 운송한다. 특히, 카테터 20은, 카테터 20의 주입부 32에 상응하는, 상처난 부위의 일반적으로 선형인 세그멘트 전체에 걸쳐서 의약을 전달한다. 따라서, 카테터는 바람직하게는 주입부 32가 상처 부위내에 위치하도록 삽입한다.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외과의사 또는 간호사는 카테터의 축방향 가이드 와이어 내강 44내에 위치한 축방향 가이드 와이어 46의 도움을 얻어 카테터 20을 삽입할 수 있다. 일단 카테터가 원하는 위치에 놓이면, 가이드 와이어 46을 간단히 카테터 20의 근위 말단을 통해 뽑아낸다. 선택적으로 카테터 20은 가이드 와이어 또는 가이드 와이어 내강없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지지체 22의 바람직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지지체 22의 표면은, 그림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수의 리브(rib) 40과 같은 장애물(interruption)을 포함한다. 장애물을 구성하여, 막 24 및 26이 지지체 22을 둘러쌀 때, 막이 수 개의 축방향 내강 38 의 벽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하며, 이렇게 생긴 축방향의 내강으로 유액 38이 흐를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 다수의 리브 40 을 지지체 22의 공통 축방향 중심부 42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한다. 리브 40은 지지체 22의 임의의 길이를 따라, 바람직하게는 그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한다. 비-주입부 28의 경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다공성 막 24가 바람직하게는 리브 40의 외측 테두리를 팽팽하게 둘러싼다. 그 결과, 비다공성 막 24의 내부 표면과 지지체 22의 외부 표면간에 축방향 내강 38이 형성된다. 비슷하게, 주입부 32의 경우,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공성 막 26은 바람직하게는 리브 40의 외측 테두리를 팽팽하게 둘러싸서 다공성 막 26의 내부 표면과 지지체 22의 외측 면 22간에 축방향 내강 38이 형성되도록 한다.
카테터 20의 선택적인 구현예에 있어, 다공성 막 26은 지지체 20의 전체 길이 주변을 둘러싸서, 결과적으로 비다공성 막 24를 대신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는 지지체 22의 전체 길이가 주입부 32에 상응하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선택적 구현예에 따르면, 지지체 22는 단지 주입부 32내에서 연장되고, 유액 공급부 34로부터 지지체 22의 근위 말단에까지 긴 튜브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는 튜브가 비다공성 막 24 및, 바람직한 구현예에서의 비주입부 28내에서 확장된 지지체 22의 부분을 대체한다. 다시 말해, 튜브는 비주입부 28을 정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리브 40의 수는 축방향 내강 38의 수와 같다. 도 2 및 도 3에 5개의 리브 40 과 축방향 내강이 나타나있지만, 유연성 및, 필요한 경우, 내강의 유액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카테터 20 내의 다수의 내강을 제공하는 목적을 적절히 고려하여, 임의로 적정 수의 리브 40과 내강 38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다수의 축방향 내강을 서술할 때 사용되는 "유액 독립성(fluid independence)", "유액 분리(fluid separation)" 등의 용어는 단순히 내강이 서로 유체상으로 연통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막 24 및 26은 의약등급의 접착제 또는 에폭시 등 임의의 적당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리브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접착시킨다. 이는 막 24 및 26이, 카테터가 해부학적 시스템(anatomy) 내로 삽입되거나 제거될 때 발생할 수 있는 미끄러짐을 막는다. 보다 바람직하게 막은 리브 40의 각각의 외측 테두리의 전체 길이를 따라 접착된다. 선택적으로, 막은 지지체의 주위를 둘러싸고, 외부 물질(foreign substance)에 의해 지지체에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막과 지지체는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수단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는 내강 38의 유액 독립성을 유지한다. 원한다면, 축방향 가이드 와이어 내강 44가 지지체 22의 축방향 중앙부 42 내에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 내강 44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쉽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카테터 20을 해부학적 시스템으로 삽입할 때 도와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가이드 와이어 46을 받아들이도록 적응시킨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카테터 20은 바람직하게는 지지체 22의 원위 말단에 고정된 끝부분(end portion) 또는 캡 48을 포함한다. 끝부분 48은 지지체 2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에 점착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시한 바와 같이, 끝부분 48의 근위 말단은 원형이고, 끝부분 48의 근위 말단의 외부 표면을 지지체 22의 리브 40의 바깥 테두리와 일직선으로 맞도록 직경을 갖게 한다. 다공성 막 26은 끝부분 48의 근위 말단 둘레를 감싼다. 막 26은 바람직하게는 말단부 48에 접착되어 내강 38내의 유액 36이 막 26을 통과하지 않고는 카테터 20을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끝부분 48은 카테터 20의 원위 말단을 통한 축방향 유액 흐름을 막는다. 그러나, 원한다면, 끝부분 48은 선택적으로 다공성 재료로 형성되어 카테터 20의 원위 말단으로부터 어떠한 축방향 투약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다. 끝부분 48의 원위 말단은, 바람직하게는, 도시한 바와 같이 돔-형(dome-shaped)이어서 카테터 20이 해부부위로 보다 쉽게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지지체 22는 유연성(flexibility), 경량(light-weight), 강도(strength), 평활성(smoothness), 및 해부학적 시스템에 대한 비반응성(non-reactivity), 즉, 안전성을 적당히 고려하여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 22에 적절한 재료는 나일론, 폴리아미드, 테프론 및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타 재료를 포함한다. 상기 다공성 막 26은 바람직하게는 스폰지 형태이거나 거품형태의 재료 또는 중공섬유이다. 막 26은 유연하고 해부학적 시스템에 비반응성인 목적을 적당히 고려하여 각종의 적절한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막 26은, 바람직하게는, 다공성을 가져 카테터 20의 주입부 32의 표면적을 따라 유액이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배됨을 가져오며, 평균 세공크기는 충분히 작아 막 벽을 통한 박테리아의 흐름을 제한하도록 한다. 막 26을 위한 적절한 재료는 폴리에틸렌, 폴리설폰, 폴리에테르 설폰,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리덴 디플로라이드, 폴리카아보네이트, 나일론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이다. 상기 재료는 유리하게는 생체적합적이다. 다공성 막 26은 유동성 액상 치료제가 막 26을 통과할 때, 상기 액상 치료제로부터 박테리아를 걸러낼 수 있다. 가장 작은 박테리아도 0.23 미크론보다 작은 세공을 통과할 수 없다는 것은 공지된 것이다. 따라서, 다공성 막 26의 평균세공크기 또는 세공직경을 0.23미크론보다 작게하여 박테리아가 막 26을 통과하지 못하게 한다. 막 26의 평균 세공크기 또는 세공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1.2 미크론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미크론이고 심지어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8미크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테터 20의 근위 말단은 약액 공급부(fluid supply) 34에 연결될 수 있다. 카테터 20은 각각의 축방향 내강 38이 유체적으로 독립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내강 38은 서로 유체상 연통되지 않은 것이다. 카테터 20은 단일 약액 공급부 34에 연결되어, 유액 36이 각각의 내강 38내에서 흐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카테터 20은 다수의 분리된 약액 공급부들에 연결되어 다수의 다른 유액이 독립적으로 내강 38내에서 흐를 수 있다. 상기 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내강 38은 분리된 유액 공급부에 연결되어, 해부학적 시스템에 운송될 수 있는 다른 유액들의 총 수는 내강 38의 수가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유액 내강은 유체상 독립적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막 26은 지지체 22의 전 길이를 따라 지지체에 고정되지 않을 수 있고, 이 때 약액 36은 내강들 38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카테터 20은 유액을 주입부 32에 인접한 해부학적 시스템의 부분에 직접 운송한다. 유액 공급원 34로부터의 유액 36은 카테터 20의 근위 말단에서 축방향 내강 38로 도입된다. 유액 36은 처음에는 비주입부 28로 흘러들어간다. 유액 36이 주입부 32에 도달하면, 이는 다공성 막 26으로 스며든다. 더 많은 유액 36이 주입부 32로 들어감에 따라, 유액은 전체의 막 26과 주입부 32가 유액으로 포화될 때까지 막 26의 벽 내에서 세로방향으로 확산된다. 이때, 유액 36은 막 26을 통과하기 시작하며, 이로써, 카테터 20을 빠져 나와 해부학적 시스템으로 들어간다. 나아가, 다공성 막 26의 특성으로 인해, 유액 36은 유리하게 실질적으로 균일한 속도로 다공성 막 26의 전체 표면을 통과한다. 따라서, 해부학적 시스템의 상처나 부위의 일반적으로 선형의 세그먼트 전체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유액이 운송된다. 나아가, 상기 장점은 저압 및 고압 유액 운송을 위해 얻어진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선택적 구현예에 따른 카테터 50을 도시한 것이다. 본 구현예에 따르면, 카테터 50은 신장된 외측 튜브 52 및 내측의 신장된 관형의 다공성 막 54를 포함한다. 관형의 막 54는 바람직하게는 외측 튜브 52 내에 동심원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튜브 52는 관형막 54를 팽팽하게 둘러싸고 지지하도록 하여, 튜브 52의 내부 크기와 막 54의 외측 크기가 상대적으로 꼭 맞게 된다. 다수의 유액 출구공 56이 튜브 52 내에, 바람직하게는 튜브의 전체 원주에 걸쳐 제공된다. 출구공을 포함한 튜브 52의 부분은 카테터 50의 주입부를 정한다. 관형막 54는 단지 주입부의 길이를 따라 제공되는 것이 필요하나 더 길 수 있다. 선택적으로 축방향의 출구공은 튜브 52의 원위 말단 58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당업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해부학적 시스템(anatomy) 내로의 카테터 50의 삽입을 돕기 위해 가이드 와이어 및/또는 가이드 와이어 내강이 제공될 수 있다.
튜브 52는 해부학적 시스템에 대한 비반응성, 유연성, 경량, 강도, 평활성 및 안전성을 적절히 고려하여, 나일론, 폴리이미드, 테프론 및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타 재료와 같이 각종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 튜브 52는 바람직하게는 내경 및 외경이 각각 0.019인치 및 0.031인치인 20 게이지의 카테터 튜브이다. 튜브 52의 출구공 56은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약 0.015인치이고, 튜브 52를 따라 축방향으로 동일하게 위치하도록 제공된다. 출구공 56은 바람직하게는 모든 홀이, 앞선 홀의 각도 위치로부터 튜브 52의 세로방향 축에 대하여 각도적으로 약 120도를 갖도록 위치한다. 인접한 출구공 56 간의 세로방향의 분리는 바람직하게는 약 0.125 내지 0.25 인치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16 인치이다. 또한, 주입부는 임의로 원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형태는 상처 부위의 통상 선형인 세그멘트 전반을 통해 유액의 균일한 운송을 가져온다. 물론, 출구공 56은 임의로 여러가지의 상대적 배열로 제공될 수 있다.
관형 다공성 막 54는 바람직하게는 스폰지형 또는 거품형의 재료이거나 중공섬유이다. 관형 막 54는 박테리아를 걸러내기 위해 0.23 미크론 이하의 평균 세공크기 또는 세공직경을 가질 수 있다. 세공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2 미크론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미크론이며, 심지어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8 미크론이다. 관형막 54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때, 해부학적 시스템에 대한 비반응성의 목적을 고려하고, 유연성의 유지하며, 튜브 52의 크기 제한내에서 잘 맞게 하며, 튜브 52내의 모든 출구공 56을 통한 유액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분배를 가져오는 다공성을 가지게 한다. 막 54를 위한 적당한 재료는 폴리에틸렌,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리덴디플로라이드,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이다. 관형 막 54의 바람직한 내경 및 외경은 각각 0.010인치 및 0.018인치이다. 가이드 와이어 46이 제공될 경우, 가이드 와이어는 약 0.005인치의 직경을 가진 스테인레스 강일 수 있다. 튜브 52는 에폭시 또는 당업자에 공지된 기타 수단에 의해 막 54에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막 54는 간섭 피트(interference fit)에 의해 튜브 52와 접촉할 수 있고, 튜브 52 내에서 막 54를 고정하기 위한 다른 재료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시, 카테터 50은 카테터 50의 주입부에 인접한 해부학적 시스템의 영역으로 유액을 공급한다. 유액이 주입부에 흐르는 동안, 유액은 관형의 다공성 막 54로 우선 스며든다. 더 많은 유액이 주입부로 들어감에 따라 유액이 관형 부재 54의 벽 내부에서 세로방향으로 확산된다. 일단 부재 54 및 그 내부의 관형 공간이 포화되면, 유액은 부재 54를 통과하고, 튜브 52의 출구공 56을 통해 흐름에 의해 카테터 50을 벗어난다. 나아가, 유리하게는, 유액은 부재 54의 전체 표면을 통해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막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모든 출구공 56을 통한 실질적으로 균일한 흐름을 초래한다. 따라서, 유액은 해부학적 시스템의 상처난 부위 전체에 걸쳐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공급된다. 나아가, 상기 장점은 저압 및 고압 유액 공급을 위해서 얻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카테터 70을 도시한 것이다. 카테터 70은 튜브의 측벽에 다수의 출구공 76을 가진 튜브 72 및 튜브 72를 동심원적으로 둘러싸는 관형의 다공성 부재 74를 포함한다. 카테터 70은 도 5 및 도 6과 연계하여 앞서 기술된 카테터 50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용한다. 사용시, 액상 치료제는 출구공 76을 통과하여 다공성 막 74에 흡수되기 시작한다. 유액은 막이 포화될 때까지 막의 벽 내부에서 세로방향으로 확산한다. 이후로, 유액은 막 벽을 떠나 해부학적 시스템으로 들어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액은 막 74의 표면적 전체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한 속도로 해부학적 시스템에 분배된다. 앞선 구현예에서와 같이, 고압 및 저압 유액 공급은 상기 장점을 얻는다.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카테터 60을 도시한 것이다. 카테터 60은 해부학적 시스템의 영역으로 유액을 비교적 높은 유속으로 공급하기에 보다 적합하다. 카테터 60은 점점 증가하는 크기로 다수의 출구공 64를 가지는 튜브 62를 포함한다. 특히, 보다 더 말단 쪽의 출구공이 보다 더 근위 쪽의 출구공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다. 튜브 62 상의 출구공 64의 위치는 카테터 60의 주입부의 길이를 정한다. 상기 주입부는 임의로 원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카테터 60의 근위 말단은 유액 공급부에 연결되어 있고, 카테터 60의 해부학적 시스템으로의 삽입을 돕기 위해 가이드 와이어 및/또는 가이드 와이어 내강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압 또는 저압 유액 공급을 위해, 카테터 튜브의 원위 말단에 더 가까운 출구공이 일반적으로 튜브의 근위 말단에 더 가까운 출구공에 비해 증가한 흐름저항을 가진다. 또한, 더 말단 쪽의 출구공을 통해 흐르는 유액이 보다 큰 압력 저하를 경험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통상 근위 쪽의 구멍을 통한 유액의 유속이 더 크며, 이는 불균일한 유액 운송을 초래한다. 대조적으로, 카테터 60은, 비교적 높은 유속 조건 하에서, 실질적으로 모든 출구공 64를 통해 사실상 균일한 유액 공급을 유리하게 제공한다. 이는 보다 말단부의 구멍의 더 큰 크기가 증가된 흐름 저항 및 압력 저하를 보상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보다 더 말단부 쪽인 구멍이 보다 더 근위 쪽인 구멍보다 크기 때문에 보다 말단부 쪽의 구멍을 통한 유속이, 그들이 보다 근위쪽의 구멍과 같은 크기를 가졌을 때보다 크다. 유리하게는, 출구공 64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하여 실질적으로 균일한 유액 공급을 가져오도록 한다. 추가로, 출구공 64는, 도 12의 구현예와 연계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들이 합쳐 흐름-저항 오리피스를 형성하도록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선행기술의 카테터와 비교하여, 카테터 60은 유리하게 단순하고 쉬운 제조과정을 가진다. 튜브 62 내에 다수의 출구공 64를 천공하는 것이 필요한 전부이다. 나아가, 카테터 60은 작용가능성을 유지하면서도 선행기술의 카테터에 비해 보다 큰 굽힘을 지탱할 수 있다. 왕(Wang)의 카테터와 같은 선행기술의 카테터와 대조적으로, 만일 튜브 62이 어느 정도 굽혀진 경우라도, 여전히 비교적 균일하게 유액을 공급할 것이다. 이것은 튜브 62가 상대적으로 큰 단면을 가진 단일 내강을 가지기 때문이다. 튜브 62가 어느 정도 굽어진 경우, 내강 속의 유액 흐름은 불균일 유액 공급을 가져올 수 있는 봉쇄 상태 및 이어지는 압력 저하를 경험할 가능성이 더 적다.
카테터 60의 튜브 62는 해부학적 시스템에 대한 비반응성, 유연성, 경량, 강도, 평활성 및 안전성을 적당히 고려하여 임의의 다양한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적절한 재료는 나일론, 폴리이미드, 테프론 및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타 재료를 포함한다. 주입부는 원하는 임의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인치의 길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 인치의 길이를 가진다. 출구공 64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주입부의 보다 근위 쪽에서 약 0.0002 인치부터, 주입부의 보다 말단 쪽에서 0.01인치까지의 범위이다. 가장 큰, 즉 가장 말단 쪽의 출구공은 바람직하게는 튜브 62의 원위 말단으로부터 약 0.25인치이다. 보다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 인접한 출구공64 간의 축 방향의 분리는 약 0.125 내지 0.25인치의 범위내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16 인치이다. 선택적으로, 출구공 64는 도 5의 구현예에서와 같이, 인접한 구멍들이 약 120도의 각도를 갖게 제공될 수 있다. 물론, 만일 너무 많은 출구공 64들이 제공된다면, 튜브 62는 바람직하지 못하게 약해질 수 있다.
도 9,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카테터 80을 도시한 것이다. 카테터 80은 튜브 82, "위핑(weeping)" 관형 코일 스프링 84 및 스톱(stop) 86을 포함한다. 스프링 84의 근위 말단은 튜브 82의 원위 말단에 붙어 있어 튜브 및 스프링이 각각 중심 내강의 부분을 정한다. 바람직하게는, 돔-형태의 스톱 86이 스프링 84의 원위 말단에 붙어 이를 폐쇄한다. 튜브 82 말단 쪽 스프링 84 부분은 카테터 80의 주입부를 구성한다. 도 10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신장(unstretched) 상태에서, 스프링 84는 다른 것과 접촉한 인접 코일(adjacent coil)을 가지고 있어 스프링 내 및 역치 분배압(threshold dispension pressure) 하에서 유액이 코일 사이를 방사상으로 흘러 내강을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스프링 84는, 도 10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유압이 스프링의 역치 분배압보다 커지면 세로방향으로 신장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로 인해 유액이 내강으로부터 위핑함에 의해, 즉, 코일 사이를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샘(leaking)에 의해, 공급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선택적으로, 스프링은 신장없이 방사상으로 늘어나 유액이 스프링의 코일을 통하여 위핑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나아가,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듯이, 스프링은 세로방향으로 및 방사상으로 늘어날 수 있어 유액의 위핑을 허용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코일사이에서 유액은 튜브 82의 말단인 스프링부, 즉, 주입부의 길이 및 원주 전체를 통하여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배된다. 카테터 80은 높거나 낮은 유속의 유액 공급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시, 카테터 80은 해부부위에 삽입되고 스프링 84는 액상 치료제가 공급되는 영역이 된다. 스프링은 처음에는 도 10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신장상태이다. 유액이 카테터 80의 튜브 82의 근위 말단으로 도입되고 스프링 84를 통해 흘러서 스톱 86 까지 도달한다. 유액이 연속하여 튜브 82의 근위쪽으로 도입됨에 따라 유액이 스프링 84의 내부에 축적된다. 스프링 84가 유액으로 채워지면, 유압이 보다 빨리 증가한다. 유액은 스프링 코일 상에 방사상 외측으로 작용하는 힘을 부여한다. 압력이 걸리면, 외측으로의 힘이 보다 커진다. 일단 유압이 역치 분배압에 도달하면, 외측으로의 힘이 스프링코일을 약간 분리되게 하여,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이 세로방향으로 신장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이 방사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어서, 유액은 분리된 코일을 통하여 흘러 카테터 80으로부터 분배된다. 나아가, 분배는 유리하게는 카테터 80의 주입부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다. 유액이 연속적으로 튜브 82로 도입되기 때문에, 스프링 84는 신장상태를 유지하여 연속적으로 유액을 인체내의 원하는 부위에 분배하게 된다. 만일 유액 도입이 일시적으로 중단된다면, 스프링 84 내의 유압이 역치분배압 이하로 내려갈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스프링은 수축하여 코일이 다시 한번 인접하게 되어 유액이 더 이상 분배되지 않는다.
여러 종류의 스프링 형태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적절한 스프링 형태는 쉽게 입수할 수 있는 316L 또는 402L이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스프링 84는 그 길이를 따라 인치당 200 코일을 갖는다. 상기 형태에서, 스프링은 유리하게 내부로부터 유액이 새는 일 없이 고도의 굽힘을 지탱할 수 있으며, 단지 극도의 굽힘만이 인접 코일을 분리시킬 것이다. 따라서, 스프링 84는 유액이 새도록 하지 않으면서 해부부위 내에서 상당히 굽혀질 수 있으므로, 인체 내에서 한 부분에만 유액을 분배할 수 있다. 스프링 84는 카테터 80의 주입부의 길이를 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임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스프링은 강도, 유연성 및 안전성을 적절히 고려하여 각종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재료는 스테인레스 강이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스프링의 내부 및 외부 직경은 각각 약 0.02 인치 및 0.03인치이고, 스프링 와이어는 약 0.005인치의 직경을 가진다. 스프링 84의 근위 말단은 바람직하게는 튜브 82의 원위 말단내에서 동심원적으로 둘러싸여 있다. 스프링은, 예를 들어 UV 접착제, 수용재료(potting material), 기타 다른 접착재료를 사용하여 튜브 82의 내벽에 붙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스프링은 튜브 82내에 땜질(solder)되거나, 근위의 플러그로 꼭 맞추어져 튜브 82로 빡빡하게 끼워질 수 있다.
튜브 82 및 스톱 86은 유연성, 경량, 강도, 평활성 및 안전성을 적절히 고려하여 임의의 다양한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적절한 재료는 나일론, 폴리이미드, 테프론 및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타 재료를 포함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카테터 90을 도시한다. 카테터 90은 말단이 막힌 튜브 92 및, 튜브 92 내부에서 동심원적으로 둘러 쌓여 튜브와 스프링내에서 내강을 정하는 "위핑(weeping)" 관형 코일 스프링 94를 포함한다. 다수의 출구공 96이 튜브의 측벽에, 튜브 92의 길이를 따라 제공된다. 출구공 96을 포함하는 튜브 92의 길이는 카테터 90의 주입부를 정한다. 출구공 96은 바람직하게는 주입부의 벽 전체에 걸쳐 제공된다. 주입부는 요구되는 임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인접한 구멍 96간의 축방향 간격은 약 0.125 내지 0.25 인치의 범위내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16인치이다. 인접한 구멍 96은 각도적으로 약 120。정도 떨어져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 94는, 바람직하게는 카테터의 주입부 내에서 둘러쌓여 있으며, 도 9, 10A 및 10B의 구현예의 스프링 84와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스프링 94는 바람직하게는 주입 부분보다 길고, 모든 출구공 96이 스프링 94에 인접하도록 위치된다. 상기 형태에서, 유액은 스프링 코일간을 흐름이 없이는 내강을 벗어나지 못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톱을 튜브에 부착하여 튜브의 원위 말단을 닫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튜브 92는 막힌 원위 말단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카테터 90은 높거나 낮은 유속의 유액 운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시, 카테터 90은 해부부위로 삽입되어, 주입부가, 액상 치료제가 운송되기를 원하는 부분에 놓이도록 한다. 유액은 카테터 90의 튜브 92의 근위 말단으로 도입되고 스프링 94를 통하여 흘러 튜브 92의 막힌 원위 말단에 도달한다. 유액이 연속적으로 튜브 92의 근위 말단으로 도입됨에 따라, 유액이 스프링 94에 축적된다. 마침내, 스프링 94가 유액으로 채워지고, 유압이 올라가 도 9, 도10A 및 도10B의 구현예와 연관되어 앞서 서술된 바와 같이, 스프링 코일들을 통하여 유액이 새어 나오게 된다. 나아가, 유액은 스프링 94의 길이 및 원주 전체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스프링 코일을 통해 흐른다. 이어서, 유액은 주입부의 출구 공96을 통하여 흐름에 의해 튜브 92를 벗어나게 된다. 출구공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크기로 하여 유액이 출구공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같은 속도로 흐르게 함으로써, 유리하게는 인체의 요구되는 영역 전반에 걸쳐 일반적으로 균일한 유액의 분배를 가져오게 된다. 유액이 연속적으로 카테터 90으로 도입되므로, 스프링 94는 신장된 상태로 남아 카테터로부터 연속적으로 유액을 분배하게 된다. 만일 유액 도입이 일시적으로 중단된다면, 스프링 94 내의 유압이 역치 분배압 이하로 내려갈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스프링은 수축할 수 있어, 코일이 다시 한번 인접하게 되고, 유액이 더 이상 분배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스프링 94 및 튜브 92는 스프링의 전체 길이를 따라 접촉하고 있어, 스프링을 통해 새어나오는 유액이 주입부의 구멍 96을 통해 흐르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94의 한쪽 끝이 튜브 92의 내벽에 붙어있어, 스프링이 신장됨에 따라 스프링의 다른 한 쪽 끝이 변위되도록 한다. 스프링은, 예를 들어 UV 접착제, 수용재료(potting material), 기타 다른 접착재료를 사용하여 튜브 92에 붙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스프링의 한쪽 끝은 튜브 92의 내벽에 땜질할 수 있다. 튜브 92는 임의의 적당한 재료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튜브 92의 내벽은 바람직하게는 평활하여 스프링이 자유롭게 신장되고 수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카테터 100을 도시한 것이다. 카테터 100은 튜브 102의 내측 벽에 다수의 출구공 104를 가진 말단이 막힌 튜브 102로 이루어져 있다. 튜브 102의 출구공 104를 가진 부분은 카테터 100의 주입부를 정한다. 출구공 104 크기는 개구(opening)의 합쳐진 면적이 임의의 다른 흐름-제한 단면(flow-restricting cross-section)또는 카테터의 오리피스의 면적보다 작도록 한다. 따라서, 출구공 104는 카테터 100의 흐름-제한자(flow-restrictor)이다. 사용시, 카테터는 유리하게 유액을 실질적으로 모든 출구공 104를 통해 분배한다. 튜브 102의 근위 말단으로 도입된 유액은 튜브를 통해 흘러 튜브의 막힌 원위 말단에 도달한다. 이 시점에서 유액은 카테터의 주입부에 축적된다. 유액은 출구공 104의 작은 크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출구공 104를 통해 흐르지 못하게 된다. 마침내, 카테터의 주입 부분이 유액으로 채워진다. 유액이 연속적으로 튜브 102의 근위 말단으로 도입됨에 따라 유압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이 시점에서 압력이 충분히 높아 유액을 출구공 104를 통해 밀어내게 된다. 나아가, 유액은 실질적으로 모든 출구공 104를 통하여 흐른다.
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출구공은 모두 동일한 크기를 가져 유액이 실질적으로 모든 구멍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분배된다. 출구공 104는 바람직하게는 레이저로 천공하여 매우 작은 세공 직경을 달성한다. 출구공 104의 바람직한 직경은 약 0.0002인치 또는 약 5미크론이다. 수많은 출구공 104가 튜브 102 내에 제공된다. 구멍은 유리하게 카테터 100의 주입 부분의 원주 전체를 통하여 공급되어 해부부위 전반에 걸쳐 유액을 보다 균일하게 운송한다. 인접한 출구공 104사이의 바람직한 축방향의 간격은 약 0.125 내지 0.25인치의 범위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16인치이다. 카테터 100은 높거나 낮은 유속의 유액 운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튜브 102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앞서 논의된 각종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카테터 200을 도시한 것이다. 카테터 200은, 전술한 구현예에서와 같이, 카테터의 주입부를 따라 튜브 내에 다수의 출구공 204를 가진 튜브 202를 포함한다. 구멍 204는 바람직하게는 튜브 202의 원주 전체에 걸쳐 제공된다. 다공성 재료로 만들어진 긴 부재 206이 튜브 202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바람직하게, 부재 206은 일반적으로 원통형 모양이고 고체이다. 바람직하게는 부재 206은 튜브 204 내부에 위치하여 고리형 공간 208이 부재 206의 외측 표면과 튜브 202의 내부 표면 사이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부재 206은 튜브 202의 원위 말단 210으로부터 뒤쪽으로 카테터의 주입영역의 근위 점에까지 이른다. 선택적으로, 부재 206은 주입부의 일부에만 계속될 수 있다. 부재 206은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튜브 202와 중심을 공유하나, 편심성(non-concentric)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재 206은 유연한 소재로 제조되어, 환자의 체내에 카테터 200을 위치시키는 것을 도와주도록 한다.
사용시, 튜브 202 내로 흐른 액상 치료제는 다공성 부재 206을 포화시키고 고리형 영역 208 내로 흐른다. 일단 부재 206이 포화된 다음, 부재 206 내의 유액은 영역 208로 흐르고, 출구공 204를 통해 카테터 200의 바깥으로 흐른다. 유리하게는, 고리형 영역 208 전반에 걸쳐 유압이 균일하기 때문에, 유액이 모든 구멍 204를 통해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흐른다. 고리형 영역 208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나의 장점은 이것이 출구공 204를 통한 흐름의 균일성을 최적화하는 경향이 있는 것이다. 또한, 부재 206은 다공성 재료로부터 형성되어 약액으로 포화되었을 때 팽창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의 경우, 부재 206은 고리형 영역 208로, 튜브 202를 누름없이, 바람직하게 팽창할 수 있다. 이는, 상처 부위의 치료제의 불균일한 출구 흐름(exit flow)을 야기할 수 있는, 튜브 202의 내부 표면에의 고압 영역의 발생 가능성을 제한한다. 선택적으로, 부재 206은 팽창하여 튜브 202와 접촉할 수 있으며, 여전히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한다.
부재 206은 바람직하게는 0.1 - 50 미크론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45미크론의 평균 세공 크기를 갖는 다공성 재료로 형성된다. 환형 영역 208의 방사상 폭 W는 바람직하게는 0 내지 약 0.005미크론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03미크론이다. 부재 206은 다공성, 유연성, 강도 및 내구성을 적당히 고려하여 각종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재료는 Mentek이다.
부재 206 은 접착제(adhesive)의 사용에 의해 튜브 202 내에 고정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제는 부재 206의 원위 말단에 도포하여 튜브의 원위 말단 202의 내부 표면에 본드(bond)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접착제를 카테터 200의 주입부의 근위 말단에 또는 그 부근에 도포한다. 추가로, 접착제는 부재 206의 세로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부재 206의 원주에 도포하여, 튜브 202의 내부표면과 고리 모양의 본드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의 구현예에서, 고리 모양의 본드 214는 카테터 200의 주입부의 바로 근위부에 제공된다. 또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4는 접착제가 부재 206의 원위 말단에 도포되어 본드 216을 만들고, 주입부의 일반적 중앙에 도포하여 고리 모양의 본드 218을 형성하는 구현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15는 접착제를 부재 206의 원위 말단에 도포하여 본드 220을 형성하는 구현예를 보여준다. 도 16은 접착제를 주입부의 중앙에만 도포하여 고리모양의 본드 222를 형성하는 것을 보여준다.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의 개시로부터 접착제가 각종 형태로 도포하여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카테터의 원위 말단의 접착제(즉, 도 13, 14 및 15의 212, 216 및 220)는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최량의 형태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본드, 즉, 가장 근위 쪽의 세공에 하나 및 가장 말단부의 세공에 하나가 포함된 것이다. 각각의 본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착제로 만들어진다.
고리 모양의 본드 214는 부재 206이 튜브 202 내에 있을 때, 액상 접착제를 출구공 204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부어 넣어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고점도여서 부재의 본체보다는 원주 주위를 따라서 흐르는 경향이 있다. 접착제는 따라서 튜브 202와 고리모양의 본드를 형성하고, 이는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접착제는 그것이 부어진 출구공 204를 메운다. 각종의 접착제가 받아들여질 수 있으나, 바람직한 접착제는 락타이트(Loctite)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재 206은 바람직하게는 튜브 202와 중심을 공유한다. 도 17은 튜브 202 내에 부재 206이 동심원적으로 둘러쌓인 카테터 200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도 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부재 206은 튜브 202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도 18의 형태는, 부재 206이 튜브 202내에서 중심을 맞출 필요가 없으므로, 도 17의 그것보다 만들기 쉽다.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의 개시로부터 부재 206이 요구되는 임의의 길이일 수 있고, 카테터의 주입부의 요구되는 임의의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부재 206은 튜브 202의 원위 말단까지 신장될 필요는 없다. 나아가, 부재 206의 근위 말단은 주입부의 근인말단 에 대하여 말단 또는 근위가 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의 임의의 카테터가 사용된 경우, 카테터는 우선 카테터 튜브의 내부에 공기를 가진다. 예를 들어, 도 13에 나타난 카테터 200은 부재 206의 다공성 재료의 내부에 공기를 가질 수 있다. 카테터의 액상 치료제의 도입은 공기를 출구공 바깥으로 흘러나가게 한다. 그러나, 이것은 수 시간이 걸린다. 만일 카테터가 공기가 있는 채 환자에게 삽입되고 액체 의약이 카테터로 도입된다면, 환자의 상처 부위는 카테터 튜브로부터 공기가 제거되기 전에는 거의 투약을 받지 못한다. 따라서, 환자에게 카테터를 삽입하기 전에 카테터를 통해 액상 치료제을 흐르게 하여 카테터가 사용되기 전 카테터로부터 공기를 제거하는 것을 확실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도 19를 참조하면, 공지된 카테터 200의 근위측 주입부 226을 통속에 넣은 공기 필터 224를 카테터에 삽입할 수 있다. 필터 224는 바람직하지 않은 공기가 카테터 200의 주입부에 들어가는 것을 막는다.
도 20 및 도 21은 신장된 출구공 또는 슬롯을 가진 카테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카테터는 앞서 도시하고 설명된 카테터 대신 사용될 수 있다. 도 20은 튜브 230의 세로방향으로 긴 출구공 또는 슬롯을 가진 튜브 230을 보여준다. 슬롯 232는 바람직하게는 튜브 230의 원주 전체에 걸쳐, 카테터의 주입부를 따라 제공된다. 작은 출구공과 비교하여, 신장된 슬롯 232은 유액에 의해 경험되는 흐름 임피던스(flow impedence)를 감소시켜 카테터를 벗어나는 유액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롯 232는 카테터 200의 구조적 일체성(structural integrity)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카테터 본체 상에 세로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는 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21은 말단 방향으로 튜브의 길이를 따라 길이가 증가하는 출구공 또는 슬롯 236을 가진 튜브 234를 보여준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상기 튜브 234의 주입부의 근위 말단에 가까울수록 주입부의 원위 말단에 가까운 슬롯보다 길이가 짧다. 도 8의 구현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카테터 튜브 234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높은 유속조건 하에서 실질적으로 모든 출구슬롯 236 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균일한 유액 공급을 제공한다. 이것은 보다 더 말단 쪽의 슬롯이 더 큰 크기가 증가하는 흐름 저항 및 압력 강하를 보상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보다 더 말단 측의 슬롯이 보다 더 근위 측의 슬롯보다 크기 때문에 보다 더 말단 측의 슬롯을 통한 유속이, 근위 측 슬롯과 동일한 크기인 경우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슬롯 236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길이로 제공되며, 이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유액 공급을 가져온다. 나아가, 긴 슬롯은 도 20의 구현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보다 높은 유액의 유출속도(exit flow rate)를 가져온다.
카테터의 상기 구현예에 있어,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듯이, 개시된 내강의 내부 또는 인접한 곳에 독립적인 가이드 와이어 내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테터는 각종 의약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2에 관하여, 예시적 응용에 있어 카테터 20(도면부호 20은 카테터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상기 기술된 카테터의 어떤 것도 사용될 수 있다)은 정맥 또는 동맥 242의 내부에 혈병(blood clot) 240 내로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카테터의 주입부가 혈병 240 내에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액상 치료제가 카테터 튜브의 근위 말단으로 도입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카테터 20의 의약이 동일한 유속으로 주입부 전체를 통해 빠져나와 혈병 240을 용해시킨다.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듯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어떠한 카테터 구현예도 각종 응용에 사용될 수 있는 바, 상기 응용은 말초신경차단(peripheral nerve block), 경막내 주입(intrathecal infusion), 표피내 주입(epidermal infusion), 및 혈관내 주입(intravascular infusion), 동맥내 주입(intraarterial infusion) 및 관절내 주입(intraarticular infusion) 등 뿐만 아니라, 창상부위의 통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밖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모든 카테터는 주입펌프에 연결되거나 또는 이에 고정되도록 고안된 독립적 카테터가 되는 것과는 반대로, 주입펌프로부터 나온 유액선(fluid line)과 일체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구현예 및 실시예의 맥락에서 개시되었으나,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는 본 발명의 구체적으로 개시된 구현예를 벗어나 다른 선택적 구현예 및/또는 본 발명과 명백한 개량의 사용 및 그들의 균등물에까지 이른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범주는 개시된 전술한 특정의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청구항을 정확히 해석하여 한정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3)

  1. 비다공성(non-porous)이고, 근위말단부와 폐쇄된 원위말단부 사이에 대체로 균일한 단면을 갖는 일정하고 확장되지 않는 직경을 가지며, 측벽에 형성된 다수의 출구공(exit hole)을 가지고, 해부부위(anatomical region)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신장된 튜브(elongated tube); 및,
    상기 튜브 내에 위치하고, 상기 튜브와의 사이에 고리형의 공간(annular space)을 형성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다공성 물질로 구성되는, 신장된 부재(elongated member)를 포함하는 카테터로서,
    상기 근위말단부는 카테터가 장착된 환자 신체의 외부에 위치한 유액의 공급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출구공은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카테터의 주입부(infusion section)를 형성하며, 상기 튜브의 근위 말단부에 주입된 유액이 상기 주입부 전체에 걸쳐 일정한 속도로 상기 출구공을 통해 흐르도록 구성되는,
    해부부위 전체에 유액을 일정하게 전달하기 위한 카테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튜브와 중심축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주입부의 근위 말단 근처에서 고리 모양의 연결기(bond)에 의해 상기 튜브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물질은 0.1 내지 50 미크론 범위 내의 평균 세공(pore)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의 공간은 0.001 내지 0.005 미크론 범위 내의 반경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출구공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출구공은 카테터의 주입부를 한정하며, 근위말단부와 원위말단부 사이에 대체로 균일한 단면을 가지는, 신장된 튜브(elongated tube); 및,
    상기 튜브의 근위말단부로 주입되어 상기 주입부로 흐르는 유액과 접촉하여 상기 유액으로 포화되고, 상기 유액이 상기 출구공을 통하여 카테터로부터 방출되기 전에 빠져 나갈 수 있도록, 상기 튜브 내에 동심원적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주입부의 전체 길이 만큼 신장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주입부내에서 카테터의 내강의 방사상으로 가장 내측면을 한정하는, 관형의 다공성 막(tubular porous membrane)을 포함하며,
    상기 신장된 튜브는 상기 관형의 다공성 막을 긴밀하게 둘러싸는, 해부부위 전체에 유액을 일정하게 전달하기 위한 카테터.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의 막의 평균 세공 직경은 0.1 내지 0.23 미크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29. 근위말단부와 원위말단부 사이에 대체로 균일한 단면을 가지는, 원위말단이 폐쇄된 신장된 튜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튜브의 원위부를 따라 카테터의 주입부를 한정하는 다수의 출구공을 구비하는 단계;
    관형의 다공성 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튜브의 근위말단부로 주입된 유액이 상기 주입부로 흘러 상기 관형의 다공성 막과 접촉하게 되면 상기 관형의 다공성 막이 포화되어, 상기 출구공을 통하여 카테터로부터 방출되기 전에 상기 관형의 다공성 막을 빠져 나갈 수 있도록, 상기 주입부내에서 상기 카테터의 내강의 방사상으로 가장 내측면을 한정하는 상기 관형의 다공성 막을 상기 튜브 내에 동심원적으로 둘러싸는 단계; 및,
    상기 튜브가 상기 관형의 다공성 막을 긴밀하게 둘러싸도록, 상기 튜브와 관형의 다공성 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해부부위 전체에 유액을 일정하게 전달하기 위한 카테터를 제조하는 방법.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의 막은 0.1 내지 0.23 미크론의 평균 세공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ⅰ) 근위 말단부 및 폐쇄된 원위 말단부 사이에 일정하고 확장되지 않는 직경을 갖고, 튜브의 길이방향으로 튜브의 측벽에 구비되며, 카테터의 주입부(infusion section)를 한정하는 다수의 출구공(exit hole)을 갖는, 신장된 튜브(elongated tube);
    (ⅱ) 상기 튜브내에 위치하고, 상기 주입부를 따라 확장되며, 상기 튜브와의 사이에 고리형 공간(annular space)을 형성할 수 있는 크기를 갖고, 상기 튜브내로 주입된 유액으로 포화되는 다공성 물질로 구성되는, 신장된 다공성 부재(elongated porous member);
    (ⅲ) 상기 주입부의 근위말단에 위치하고, 상기 튜브에 상기 부재를 고정시키며, 상기 튜브의 근위말단으로 주입된 유액이 상기 출구공을 통해 흘러나가 카테터로부터 분배되기 전에 상기 부재를 통하여 흐르도록 상기 고리형 공간을 대체로 채우는 고리모양의 본드(ring-shaped adhesive bond)를 포함하는, 유액을 일정하게 전달하기 위한 카테터.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모양의 본드는 상기 다수의 출구공의 적어도 하나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액을 일정하게 전달하기 위한 카테터.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출구공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다수의 출구공에 가장 근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액을 일정하게 전달하기 위한 카테터.
  37.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모양의 본드는 상기 다수의 출구공의 적어도 하나에 연장되어 폐쇄된 부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액을 일정하게 전달하기 위한 카테터.
  38.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다공성 물질의 단단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액을 일정하게 전달하기 위한 카테터.
  39.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원위 말단에 상기 부재의 원위말단을 고정하는 원위 결합본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액을 일정하게 전달하기 위한 카테터.
  40.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튜브와 중심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액을 일정하게 전달하기 위한 카테터.
  41.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튜브와 중심이 동일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액을 일정하게 전달하기 위한 카테터.
  42.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물질은 0.1 내지 50미크론의 평균 세공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액을 일정하게 전달하기 위한 카테터.
  43.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공간은 0.005미크론 이하의 반경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액을 일정하게 전달하기 위한 카테터.
KR1020060097459A 2006-10-02 2006-10-02 치료제의 균일 운송을 위한 카테터 KR100946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459A KR100946165B1 (ko) 2006-10-02 2006-10-02 치료제의 균일 운송을 위한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459A KR100946165B1 (ko) 2006-10-02 2006-10-02 치료제의 균일 운송을 위한 카테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827A Division KR20020035104A (ko) 1999-07-19 2000-07-19 치료제의 균일 운송을 위한 카테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588A Division KR100946166B1 (ko) 1999-07-19 2008-08-30 치료제의 균일운송을 위한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859A KR20060109859A (ko) 2006-10-23
KR100946165B1 true KR100946165B1 (ko) 2010-03-11

Family

ID=37615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459A KR100946165B1 (ko) 2006-10-02 2006-10-02 치료제의 균일 운송을 위한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1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00113A1 (en) * 1990-06-26 1992-01-09 Cardiovascular Therapeutic Technologies, Inc. Method and catheter for intravascular drug delivery
US5425723A (en) * 1993-12-30 1995-06-20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Infusion catheter with uniform distribution of flui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00113A1 (en) * 1990-06-26 1992-01-09 Cardiovascular Therapeutic Technologies, Inc. Method and catheter for intravascular drug delivery
US5425723A (en) * 1993-12-30 1995-06-20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Infusion catheter with uniform distribution of flui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859A (ko) 2006-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131B1 (ko) 치료제의 균일운송을 위한 카테터
US7569045B2 (en) Catheter for uniform delivery of medication
US8048057B2 (en) Catheter for uniform delivery of medication
KR101166336B1 (ko) 치료제의 균일 운송을 위한 카테터
US7854730B2 (en) Catheter for uniform delivery of medication
JP5248556B2 (ja) 薬剤を均等に送達させるためのカテーテル
US20030181864A1 (en) Catheter for uniform delivery of medication
KR100946165B1 (ko) 치료제의 균일 운송을 위한 카테터
KR100911833B1 (ko) 치료제의 균일 운송을 위한 카테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