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5191B1 -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 - Google Patents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5191B1
KR100945191B1 KR1020070133171A KR20070133171A KR100945191B1 KR 100945191 B1 KR100945191 B1 KR 100945191B1 KR 1020070133171 A KR1020070133171 A KR 1020070133171A KR 20070133171 A KR20070133171 A KR 20070133171A KR 100945191 B1 KR100945191 B1 KR 100945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mart card
impedance element
antenna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5717A (ko
Inventor
곽상훈
김진화
윤영철
심재종
최경진
정태화
Original Assignee
(주)유웨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웨이브 filed Critical (주)유웨이브
Priority to KR1020070133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5191B1/ko
Publication of KR20090065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11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sensing being preceded by at least one preliminary step
    • G06K7/1013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sensing being preceded by at least one preliminary step the step consisting of determining the type of record carrier, e.g. to determine if the record carrier is an RFID tag of the long or short range type, or to determine the preferred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RFID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스마트카드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스마트카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커넥터를 포함한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RF 리더기와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루프 안테나 및 상기 루프 안테나에 연결된 안테나 단자들의 조합으로 형성된 안테나 모듈과; 임피던스 및 블럭킹 소자들의 직/병렬 조합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테나 모듈의 안테나 단자들과 상기 카드 커넥터 사이를 회로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카드 커넥터에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따라 그 종류에 대응하는 회로 패턴을 형성시키고, 그 형성된 회로 패턴을 통해 안테나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를 스마트카드에서 사용되는 신호로 매칭시키고, 스마트카드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를 안테나 모듈에서 사용되는 신호로 매칭시키는 매칭 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카드 커넥터에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대응하는 최적의 회로 패턴을 형성하고, 그 형성된 회로 패턴을 통해 RF 리더기와 스마트카드 사이에 송수신되는 RF 신호를 매칭함으로써,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상관없이 RF 리더기와의 RF 신호 통신에 필요한 최대 이득값을 획득할 수 있어, 최적의 RF 신호 인식 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Smart Card Radio Frequency Interface}
본 발명은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 종류의 스마트카드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스마트카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스마트카드 서비스의 활성화로 인해 다수의 이동통신사에서는 모바일 스마트카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가 실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카드는 그 제조 업체 또는 서비스 사업자에 따라 각기 다른 하드웨어 칩, COS(Chip Operating System) 및 서비스 애플릿을 구비하기 때문에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이러한 스마트카드는 그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규격으로 이루어지며, 각기 다른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지원하는 모바일 뱅킹용 스마트카드는 ISO14443A 타입(이하, 'A 타입'이라 함)의 규격으로 이루어지며, 모바일 터치패스 서비스를 지원하는 모바일 터치패스용 스마트카드는 ISO14443B 타입(이하, 'B 타입'이라 함)의 규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종래에는 스마트카드 서비스를 위해 스마트카드와 RF 리더기 간의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루프 안테나, 스카트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커넥터, 루프 안테나 및 카드 커넥터 간에 송수신되는 RF 신호를 매칭시키는 매칭 회로를 구비한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 역시, 스마트카드의 규격에 대응하는 유형으로 구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는 RF 루프 안테나의 턴 수, 선로의 폭, 간격, 두께, 크기 등 그 구조가 각기 다른 A 타입 스마트카드용 또는 B 타입 스마트카드용으로 그 종류가 구분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 중 안테나 모듈 및 매칭 회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셀 또는 액세서리 등에 실장되고, 카드 커넥터는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에 실장되어 구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모바일 터치패스 서비스를 지원하는 B 타입 스마트카드용 RF 인터페이스가 실장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모바일 뱅킹용 스마트카드를 탑재하여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나,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지원하는 A 타입 스마트카드용 RF 인터페이스가 실장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모바일 터치패스용 스마트카드를 탑재하여 모바일 터치패스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각 이동통신 단말기에 실장된 스마트카드의 RF 인터페이스는 각각 탑재된 스마트카드의 규격을 지원할 수가 없어, 송수신되는 RF 신호의 매칭을 수행할 수가 없기 때문에, RF 리더기와의 RF 신호 인식 거리를 확보할 수 없게 되는 문제 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특정 스마트카드의 규격별로 특화된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만 특정 스마트카드에서 지원하는 스마트카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카드 서비스 이용시 불편함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여러 종류의 스마트카드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스마트카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드 커넥터에 삽입된 스마트카드가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를 통해 RF 리더기와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에서 카드 커넥터에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대응하는 최적의 회로 패턴을 형성하여 그 형성된 회로 패턴을 통해 RF 리더기와 스마트카드 사이에 송수신되는 RF 신호를 매칭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는, 스마트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커넥터를 포함한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RF 리더기와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루프 안테나 및 상기 루프 안테나에 연결된 안테나 단자들의 조합으로 형성된 안테나 모듈과; 임피던스 및 블럭킹 소자들의 직/병렬 조합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테나 모듈의 안테나 단자들과 상기 카드 커넥터 사이를 회로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카드 커넥터에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따라 그 종류에 대응하는 회로 패턴을 형성시키고, 그 형성된 회로 패턴을 통해 안테나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를 스마트카드에서 사 용되는 신호로 매칭시키고, 스마트카드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를 안테나 모듈에서 사용되는 신호로 매칭시키는 매칭 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는, 스마트카드 삽입시 스마트카드의 RF 신호 입출력단에 접속되는 제1RF 단자 및 제2RF 단자를 구비한 카드 커넥터와; RF 리더기와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루프 안테나와; 상기 루프 안테나의 시작단 부분에 연결된 제1안테나 단자와; 상기 루프 안테나의 종단 부분에 연결된 제2안테나 단자와; 상기 루프 안테나의 패턴 중 시작단과 종단 사이의 제1지점에 연결된 제3안테나 단자와; 상기 제1안테나 단자와 상기 제1RF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안테나 모듈의 제2안테나 단자와 상기 카드 커넥터의 제2RF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2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3안테나 단자와 상기 제2RF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3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3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2RF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카드 커넥터에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따라 RF 신호의 흐름을 도통/차단시키는 블럭킹 소자와; 상기 제1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1RF 단자 사이의 제2지점 및 상기 제2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2RF 단자 사이의 제3지점 간에 병렬 연결된 제4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1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1RF 단자 사이의 제4지점 및 상기 제3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블럭킹 소자 사이의 제5지점 간에 병렬 연결된 제5임피던스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는, 스마트카드 삽입시 스마트카드의 RF 신호 입출력단에 접속되는 제1RF 단자 및 제2RF 단자를 구비 한 카드 커넥터와; RF 리더기와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루프 안테나와; 상기 루프 안테나의 시작단 부분에 연결된 제1안테나 단자와; 상기 루프 안테나의 종단 부분에 연결된 제2안테나 단자와; 상기 제1안테나 단자와 상기 제1RF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2안테나 단자와 상기 제2RF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2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2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2RF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카드 커넥터에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따라 RF 신호의 흐름을 도통/차단시키는 블럭킹 소자와; 상기 제2안테나 단자와 상기 제2임피던스 소자 사이의 제1지점 및 상기 제2RF 단자 간에 병렬 연결된 제3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1임퍼던스 소자와 상기 제1RF 단자 사이의 제2지점 및 상기 제2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블럭킹 소자 사이의 제3지점 간에 병렬 연결된 제4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2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블럭킹 소자 사이의 제4지점 및 상기 제3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1RF 단자 사이의 제5지점 간에 병렬 연결된 제5임피던스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는, 스마트카드 삽입시 스마트카드의 RF 신호 입출력단에 접속되는 제1RF 단자 및 제2RF 단자를 구비한 카드 커넥터와; RF 리더기와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루프 안테나와; 상기 루프 안테나의 시작단 부분에 연결된 제1안테나 단자와; 상기 루프 안테나의 종단 부분에 연결된 제2안테나 단자와; 상기 루프 안테나의 패턴 중 시작단과 종단 사이의 제1지점에 연결된 제3안테나 단자와; 상기 제1안테나 단자와 상기 제1RF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2안테나 단자와 상기 제2RF 단자 사이 에 직렬 연결된 제2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2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2RF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카드 커넥터에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따라 RF 신호의 흐름을 도통/차단시키는 제1블럭킹 소자와; 상기 제3안테나 단자와 상기 제2RF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3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3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2RF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카드 커넥터에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따라 RF 신호의 흐름을 도통/차단시키는 제2블럭킹 소자와; 상기 제2안테나 단자와 제2임피던스 소자 사이의 제2지점 및 상기 제2RF 단자 간에 병렬 연결된 제4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1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1RF 단자 사이의 제3지점 및 상기 제4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2RF 단자 사이의 제4지점 간에 병렬 연결된 제5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1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1RF 단자 사이의 제5지점 및 상기 제2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1블럭킹 소자 사이의 제6지점 간에 병렬 연결된 제6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1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1RF 단자 사이의 제7지점 및 상기 제3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2블럭킹 소자 사이의 제8지점 간에 병렬 연결된 제7임피던스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는, 스마트카드 삽입시 스마트카드의 RF 신호 입출력단에 접속되는 제1RF 단자 및 제2RF 단자를 구비한 카드 커넥터와; RF 리더기와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루프 안테나와; 상기 루프 안테나의 시작단 부분에 연결된 제1안테나 단자와; 상기 루프 안테나의 종단 부분에 연결된 제2안테나 단자와; 상기 루프 안테나의 패턴 중 시작단과 종단 사이의 제1지점에 연결된 제3안테나 단자와; 상기 루프 안테나의 패턴 중 시작단 및 종단 사이의 제9지점에 연결된 제4안테나 단자와; 상기 제1안테나 단자와 상기 제1RF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2안테나 단자와 상기 제2RF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2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2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2RF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카드 커넥터에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따라 RF 신호의 흐름을 도통/차단시키는 제1블럭킹 소자와; 상기 제3안테나 단자와 상기 제2RF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3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3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2RF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카드 커넥터에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따라 RF 신호의 흐름을 도통/차단시키는 제2블럭킹 소자와; 상기 제4안테나 단자와 상기 제2RF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4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1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1RF 단자 사이의 제3지점 및 상기 제4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2RF 단자 사이의 제4지점 간에 병렬 연결된 제5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1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1RF 단자 사이의 제5지점 및 상기 제2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1블럭킹 소자 사이의 제6지점 간에 병렬 연결된 제6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1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1RF 단자 사이의 제7지점 및 상기 제3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2블럭킹 소자 사이의 제8지점 간에 병렬 연결된 제7임피던스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에 의하면, 카드 커넥터에 삽입된 스마트카드가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를 통해 RF 리더기와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에서 카드 커넥터에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대응하는 최적의 회로 패턴을 형성하여 그 형성된 회로 패턴을 통해 RF 리더기와 스마트카드 사이에 송수신되는 RF 신호를 매칭함으로써,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상관없이 RF 리더기와의 RF 신호 통신에 필요한 최대 이득값을 획득할 수 있어, 최적의 RF 신호 인식 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에 의하면,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는 안테나 모듈(100), 매칭 회로(200) 및 카드 커넥터(3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안테나 모듈(100)은 RF 리더기와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루프 안테나(110), 루프 안테나(110)와 매칭 회로(200)를 회로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루프 안테나(110)의 시작단 부분에 연결된 제1안테나 단자(120), 루프 안테나(110)의 종단 부분에 연결된 제2안테나 단자(130) 및 루프 안테나(110)의 패턴 중 시작단과 종단 사이의 제1지점(P1)에 연결된 제3안테나 단자(1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카드 커넥터(300)는 스마트카드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스마트카드 삽입시 그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RF 신호 입출력단을 카드 커넥터(300)에 구비된 제1RF 단자(C8) 및 제2RF 단자(C4)를 통해 매칭 회로(200)와 회로적으로 연결 시킨다.
매칭 회로(200)는 임피던스 및 블럭킹(Blocking) 소자들의 회로적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임피던스 및 블럭킹 소자들이 직/병렬로 연결된 파이(π)형 또는 티(T)형 등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카드 커넥터(300)에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따라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 내부의 회로 패턴을 형성한 후, 형성된 회로 패턴을 이용하여 안테나 모듈(100)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를 스마트카드에서 사용되는 신호로 매칭시키고, 스마트카드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를 안테나 모듈(100)에서 사용되는 신호로 매칭시킨다. 예를 들어, 매칭 회로(200)는 내부에 형성된 임피던스 및 블럭킹 소자들의 회로적 조합을 통해 RF 신호의 공진 주파수 크기 및 진폭 크기 등을 스마트카드 또는 안테나 모듈(100)에서 사용되는 크기로 매칭시킨다.
이러한 매칭 회로(200)는 안테나 모듈(100)의 제1안테나 단자(12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1RF 단자(C8)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임피던스 소자(210), 안테나 모듈(100)의 제2안테나 단자(13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2임피던스 소자(220), 안테나 모듈(100)의 제3안테나 단자(14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3임피던스 소자(230), 제3임피던스 소자(23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카드 커넥터(300)에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따라 RF 신호의 흐름을 도통/차단시켜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 내부의 회로 패턴 형성하는 제1블럭킹 소자(280), 제1임피던스 소자(21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1RF 단자(C8) 사이의 제2지점(P2) 및 제2임피던스 소자(22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의 제3지 점(P3) 간에 병렬 연결된 제4임피던스 소자(240), 제1임피던스 소자(21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1RF 단자(C8) 사이의 제4지점(P4) 및 제3임피던스 소자(230)와 제1블럭킹 소자(280) 사이의 제5지점(P5) 간에 병렬 연결된 제5임피던스 소자(2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카드 커넥터(300)에 삽입된 스마트카드가 제1스마트카드, 예컨대 A 타입 규격의 스마트카드인 경우, 매칭 회로(200)에 구비된 제1블럭킹 소자(280)는 제3임피던스 소자(23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의 RF 신호 흐름을 차단시킨다. 상세하게는, 제1블럭킹 소자(280)는 자신과 제3임피던스 소자(230) 사이의 제5지점(P5) 및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간의 RF 신호 흐름을 차단시킨다.
이로 인해, 카드 커넥터(300)의 제1RF 단자(C8), 제2RF 단자(C4), 매칭 회로(200)의 제1임피던스 소자(210), 제2임피던스 소자(220), 제4임피던스 소자(240), 안테나 모듈(100)의 제1안테나 단자(120), 제2안테나 단자(130) 및 루프 안테나(110)로 이루어진 회로 패턴이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에 형성되며, 그 형성된 회로 패턴을 통해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에서 카드 커넥터(300)에 삽입된 제1스마트카드와 RF 리더기 간에 송수신되는 RF 신호의 매칭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형성된 회로 패턴은 하이 인덕턴스(High-Inductance)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카드 커넥터(300)에 삽입된 스마트카드가 제2스마트카드, 예컨대 B 타 입 규격의 스마트카드인 경우, 매칭 회로(200)에 구비된 제1블럭킹 소자(280)는 제3임피던스 소자(23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의 RF 신호 흐름을 도통시킨다. 상세하게는, 제1블럭킹 소자(280)는 자신과 제3임피던스 소자(230) 사이의 제5지점(P5) 및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간의 RF 신호 흐름을 도통시킨다.
이로 인해, 카드 커넥터(300)의 제1RF 단자(C8), 제2RF 단자(C4), 매칭 회로(200)의 제1임피던스 소자(210), 제3임피던스 소자(230), 제5임피던스 소자(250), 제1블럭킹 소자(280), 안테나 모듈(100)의 제1안테나 단자(120), 제3안테나 단자(140) 및 루프 안테나(110)로 이루어진 회로 패턴이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에 형성되며, 그 형성된 회로 패턴을 통해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에서 카드 커넥터(300)에 삽입된 제2스마트카드와 RF 리더기 간에 송수신되는 RF 신호의 매칭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형성된 회로 패턴은 로우 인덕턴스(Low-Inductance)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매칭 회로(200)의 제3임피던스 소자(23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의 RF 신호 흐름이 도통됨에 따라 달라지는 루프 안테나(110)의 인덕턴스 값에 의거하여 카드 커넥터(300)의 제1RF 단자(C8), 제2RF 단자(C4), 매칭 회로(200)의 제1임피던스 소자(210), 제3임피던스 소자(230), 제5임피던스 소자(250), 제1블럭킹 소자(280), 안테나 모듈(100)의 제1안테나 단자(120), 제3안테나 단자(140) 및 루프 안테나(110)로 이루어진 회로 패턴이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에 형성되는 것임을 잘 이해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2에 의하면,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는 안테나 모듈(100), 매칭 회로(200) 및 카드 커넥터(3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안테나 모듈(100)은 RF 리더기와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루프 안테나(110) 및 루프 안테나(110)와 매칭 회로(200)를 회로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루프 안테나(110)의 시작단 부분에 연결된 제1안테나 단자(120), 루프 안테나(110)의 종단 부분에 연결된 제2안테나 단자(1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카드 커넥터(300)는 스마트카드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스마트카드 삽입시 그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RF 신호 입출력단을 카드 커넥터(300)에 구비된 제1RF 단자(C8) 및 제2RF 단자(C4)를 통해 매칭 회로(200)와 회로적으로 연결시킨다.
매칭 회로(200)는 임피던스 및 블럭킹 소자들의 회로적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임피던스 및 블럭킹 소자들이 직/병렬로 연결된 파이(π)형 또는 티(T)형 등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카드 커넥터(300)에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따라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 내부의 회로 패턴을 형성한 후, 형성된 회로 패턴을 이용하여 안테나 모듈(100)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를 스마트카드에서 사용되는 신호로 매칭시키고, 스마트카드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를 안테나 모듈(100)에서 사용되는 신호로 매칭시킨다. 예를 들어, 매칭 회로(200)는 내부에 형성된 임피던스 및 블럭킹 소자들의 회로적 조합을 통해 RF 신호의 공진 주파수 크기 및 진폭 크기 등을 스마 트카드 또는 안테나 모듈(100)에서 사용되는 크기로 매칭시킨다.
이러한, 매칭 회로(200)는 안테나 모듈(100)의 제1안테나 단자(12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1RF 단자(C8)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임피던스 소자(210), 안테나 모듈(100)의 제2안테나 단자(13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2임피던스 소자(220), 제2임피던스 소자(22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카드 커넥터(300)에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따라 RF 신호의 흐름을 도통/차단시켜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 내부의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제1블럭킹 소자(280), 안테나 모듈(100)의 제2안테나 단자(130)와 제2임피던스 소자(220) 사이의 제1지점(P10) 및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간에 병렬 연결된 제3임피던스 소자(230), 제1임퍼던스 소자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1RF 단자(C8) 사이의 제2지점(P20) 및 제2임피던스 소자(220)와 제1블럭킹 소자(280) 사이의 제3지점(P30) 간에 병렬 연결된 제4임피던스 소자(240), 제2임피던스 소자(220)와 제1블럭킹 소자(280) 사이의 제4지점(P40) 및 제3임피던스 소자(23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1RF 단자(C8) 사이의 제5지점(P50) 간에 병렬 연결된 제5임피던스 소자(2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카드 커넥터(300)에 삽입된 스마트카드가 제1스마트카드, 예컨대 A 타입 규격의 스마트카드인 경우, 매칭 회로(200)에 구비된 제1블럭킹 소자(280)는 제2임피던스 소자(22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의 RF 신호 흐름을 차단시킨다. 상세하게는, 제1블럭킹 소자(280)는 자신과 제2임피던 스 소자(220) 사이의 제4지점(P40) 및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간의 RF 신호 흐름을 차단시킨다.
이로 인해, 카드 커넥터(300)의 제1RF 단자(C8), 제2RF 단자(C4), 매칭 회로(200)의 제1임피던스 소자(210), 제2임피던스 소자(220), 제4임피던스 소자(240), 안테나 모듈(100)의 제1안테나 단자(120), 제2안테나 단자(130) 및 루프 안테나(110)로 이루어진 회로 패턴이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에 형성되며, 그 형성된 회로 패턴을 통해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에서 카드 커넥터(300)에 삽입된 제1스마트카드와 RF 리더기 간에 송수신되는 RF 신호의 매칭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카드 커넥터(300)에 삽입된 스마트카드가 제2스마트카드, 예컨대 B 타입 규격의 스마트카드인 경우, 매칭 회로(200)에 구비된 제1블럭킹 소자(280)는 제2임피던스 소자(22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의 RF 신호 흐름을 도통시킨다. 상세하게는, 제1블럭킹 소자(280)는 자신과 제2임피던스 소자(220) 사이의 제4지점(P40) 및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간의 RF 신호 흐름을 도통시킨다.
이로 인해, 카드 커넥터(300)의 제1RF 단자(C8), 제2RF 단자(C4), 매칭 회로(200)의 제1임피던스 소자(210), 제3임피던스 소자(230), 제5임피던스 소자(250), 제1블럭킹 소자(280), 안테나 모듈(100)의 제1안테나 단자(120), 제2안테나 단자(130) 및 루프 안테나(110)로 이루어진 회로 패턴이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에 형성되며, 그 형성된 회로 패턴을 통해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에서 카드 커넥터(300)에 삽입된 제2스마트카드와 RF 리더기 간에 송수신되는 RF 신호의 매칭 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2임피던스 소자(22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의 RF 신호 흐름이 도통됨에 따라 매칭 회로(200)에 구비된 각 임피던스 소자의 서로 다른 임피던스 값에 의거하여 카드 커넥터(300)의 제1RF 단자(C8), 제2RF 단자(C4), 매칭 회로(200)의 제1임피던스 소자(210), 제3임피던스 소자(230), 제5임피던스 소자(250), 제1블럭킹 소자(280), 안테나 모듈(100)의 제1안테나 단자(120), 제2안테나 단자(130) 및 루프 안테나(110)로 이루어진 회로 패턴이 제2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에 형성되는 것임을 잘 이해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각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조합하여 제1스마트카드 및 제2스마트카드 각각의 스마트카드 서비스를 지원함과 동시에 그 이외의 이종 스마트카드의 스마트카드 서비스 지원이 가능한 3종 스마트카드의 RF 통신을 지원하는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의하면,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는 안테나 모듈(100), 매칭 회로(200) 및 카드 커넥터(3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안테나 모듈(100)은 RF 리더기와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루프 안테나(110), 루프 안테나(110)와 매칭 회로(200)를 회로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루프 안테나(110)의 시작단 부분에 연결된 제1안테나 단자(120), 루프 안테나(110)의 종단 부분에 연결된 제2안테나 단자(130) 및 루프 안테나(110)의 패턴 중 시작단과 종단 사이의 제1지점(P100)에 연결된 제3안테나 단자(1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카드 커넥터(300)는 스마트카드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스마트카드 삽입시 그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RF 신호 입출력단을 카드 커넥터(300)에 구비된 제1RF 단자(C8) 및 제2RF 단자(C4)를 통해 매칭 회로(200)와 회로적으로 연결시킨다.
매칭 회로(200)는 임피던스 및 블럭킹 소자들의 회로적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임피던스 및 블럭킹 소자들이 직/병렬로 연결된 파이(π)형 또는 티(T)형 등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카드 커넥터(300)에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따라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 내부의 회로 패턴을 형성한 후, 그 형성된 회로 패턴을 통해 안테나 모듈(100)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를 스마트카드에서 사용되는 신호로 매칭시키고, 스마트카드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를 안테나 모듈(100)에서 사용되는 신호로 매칭시킨다. 예를 들어, 매칭 회로(200)는 내부에 형성된 임피던스 및 블럭킹 소자들의 회로적 조합을 통해 RF 신호의 공진 주파수 크기 및 진폭 크기 등을 스마트카드 또는 안테나 모듈(100)에서 사용되는 크기로 매칭시킨다.
이러한 매칭 회로(200)는 안테나 모듈(100)의 제1안테나 단자(12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1RF 단자(C8)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임피던스 소자(210), 안테나 모듈(100)의 제2안테나 단자(13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2임피던스 소자(220), 제2임피던스 소자(22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카드 커넥터(300)에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종 류에 따라 RF 신호의 흐름을 도통/차단시켜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 내부의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제1블럭킹 소자(280), 안테나 모듈(100)의 제3안테나 단자(14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3임피던스 소자(230), 제3임피던스 소자(23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카드 커넥터(300)에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따라 RF 신호의 흐름을 도통/차단시켜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 내부의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제2블럭킹 소자(290), 안테나 모듈(100)의 제2안테나 단자(130)와 제2임피던스 소자(220) 사이의 제2지점(P200) 및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간에 병렬 연결된 제4임피던스 소자(240), 제1임피던스 소자(21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1RF 단자(C8) 사이의 제3지점(P300) 및 제4임피던스 소자(24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의 제4지점(P400) 간에 병렬 연결된 제5임피던스 소자(250), 제1임피던스 소자(21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1RF 단자(C8) 사이의 제5지점(P500) 및 제2임피던스 소자(220)와 제1블럭킹 소자(280) 사이의 제6지점(P600) 간에 병렬 연결된 제6임피던스 소자(260), 제1임피던스 소자(21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1RF 단자(C8) 사이의 제7지점(P700) 및 제3임피던스 소자(230)와 제2블럭킹 소자(290) 사이의 제8지점(P800) 간에 병렬 연결된 제7임피던스 소자(27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카드 커넥터(300)에 삽입된 스마트카드가 제1스마트카드인 경우, 매칭 회로(200)에 구비된 제1블럭킹 소자(280)는 제2임피던스 소 자(22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의 RF 신호 흐름을 차단시키고, 제2블럭킹 소자(290)는 제3임피던스 소자(23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의 RF 신호 흐름을 차단시킨다. 상세하게는, 제1블럭킹 소자(280)는 자신과 제2임피던스 소자(220) 사이의 제6지점(P600) 및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간의 RF 신호 흐름을 차단시키고, 제2블럭킹 소자(290)는 자신과 제3임피던스 소자(230) 사이의 제8지점(P800) 및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간의 RF 신호 흐름을 차단시킨다.
이로 인해, 카드 커넥터(300)의 제1RF 단자(C8), 제2RF 단자(C4), 매칭 회로(200)의 제1임피던스 소자(210), 제4임피던스 소자(240), 제5임피던스 소자(250), 안테나 모듈(100)의 제1안테나 단자(120), 제2안테나 단자(130) 및 루프 안테나(110)로 이루어진 회로 패턴이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에 형성되며, 그 형성된 회로 패턴을 통해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에서 카드 커넥터(300)에 삽입된 제1스마트카드와 RF 리더기 간에 송수신되는 RF 신호의 매칭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카드 커넥터(300)에 삽입된 스마트카드가 제2스마트카드인 경우, 매칭 회로(200)에 구비된 제1블럭킹 소자(280)는 제2임피던스 소자(22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의 RF 신호 흐름을 도통시키고, 제2블럭킹 소자(290)는 제3임피던스 소자(23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의 RF 신호 흐름을 차단시킨다. 상세하게는, 제1블럭킹 소자(280)는 자신과 제2임피던스 소자(220) 사이의 제6지점(P600) 및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간의 RF 신호 흐름을 도통시키고, 제2블럭킹 소자(290)는 자신과 제3임피던스 소자(230) 사 이의 제8지점(P800) 및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간의 RF 신호 흐름을 차단시킨다.
이로 인해, 카드 커넥터(300)의 제1RF 단자(C8), 제2RF 단자(C4), 매칭 회로(200)의 제1임피던스 소자(210), 제2임피던스 소자(220), 제6임피던스 소자(260), 제1블럭킹 소자(280), 안테나 모듈(100)의 제1안테나 단자(120), 제2안테나 단자(130) 및 루프 안테나(110)로 이루어진 회로 패턴이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에 형성되며, 그 형성된 회로 패턴을 통해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에서 카드 커넥터(300)에 삽입된 제2스마트카드와 RF 리더기 간에 송수신되는 RF 신호의 매칭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카드 커넥터(300)에 삽입된 스마트카드가 제3스마트카드인 경우, 매칭 회로(200)에 구비된 제1블럭킹 소자(280)는 제2임피던스 소자(22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의 RF 신호 흐름을 차단시키고, 제2블럭킹 소자(290)는 제3임피던스 소자(23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의 RF 신호 흐름을 도통시킨다. 상세하게는, 제1블럭킹 소자(280)는 자신과 제2임피던스 소자(220) 사이의 제6지점(P600) 및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간의 RF 신호 흐름을 차단시키고, 제2블럭킹 소자(290)는 자신과 제3임피던스 소자(230) 사이의 제8지점(P800) 및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간의 RF 신호 흐름을 도통시킨다.
이로 인해, 카드 커넥터(300)의 제1RF 단자(C8), 제2RF 단자(C4), 매칭 회로(200)의 제1임피던스 소자(210), 제3임피던스 소자(230), 제7임피던스 소 자(270), 제2블럭킹 소자(290), 안테나 모듈(100)의 제1안테나 단자(120), 제3안테나 단자(140) 및 루프 안테나(110)로 이루어진 회로 패턴이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에 형성되며, 그 형성된 회로 패턴을 통해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에서 카드 커넥터(300)에 삽입된 제3스마트카드와 RF 리더기 간에 송수신되는 RF 신호의 매칭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도 4에 의하면,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는 안테나 모듈(100), 매칭 회로(200) 및 카드 커넥터(3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안테나 모듈(100)은 RF 리더기와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루프 안테나(110), 루프 안테나(110)와 매칭 회로(200)를 회로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루프 안테나(110)의 시작단 부분에 연결된 제1안테나 단자(120), 루프 안테나(110)의 종단 부분에 연결된 제2안테나 단자(130), 루프 안테나(110)의 패턴 중 시작단과 종단 사이의 제1지점(P100)에 연결된 제3안테나 단자(140) 및 루프 안테나(110)의 패턴 중 시작단과 종단 사이의 제2지점(P200)에 연결된 제4안테나 단자(1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안테나 모듈(100)은 루프 안테나(110)의 패턴 중 시작단과 종단 사이의 소정의 지점에 연결된 다수 개의 안테나 단자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카드 커넥터(300)는 스마트카드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스마 트카드 삽입시 그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RF 신호 입출력단을 카드 커넥터(300)에 구비된 제1RF 단자(C8) 및 제2RF 단자(C4)를 통해 매칭 회로(200)와 회로적으로 연결시킨다.
매칭 회로(200)는 임피던스 및 블럭킹 소자들의 회로적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임피던스 및 블럭킹 소자들이 직/병렬로 연결된 파이(π)형 또는 티(T)형 등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카드 커넥터(300)에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따라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 내부의 회로 패턴을 형성한 후, 그 형성된 회로 패턴을 통해 안테나 모듈(100)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를 스마트카드에서 사용되는 신호로 매칭시키고, 스마트카드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를 안테나 모듈(100)에서 사용되는 신호로 매칭시킨다. 예를 들어, 매칭 회로(200)는 내부에 형성된 임피던스 및 블럭킹 소자들의 회로적 조합을 통해 RF 신호의 공진 주파수 크기 및 진폭 크기 등을 스마트카드 또는 안테나 모듈(100)에서 사용되는 크기로 매칭시킨다.
이러한 매칭 회로(200)는 안테나 모듈(100)의 제1안테나 단자(12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1RF 단자(C8)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임피던스 소자(210), 안테나 모듈(100)의 제2안테나 단자(13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2임피던스 소자(220), 제2임피던스 소자(22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카드 커넥터(300)에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따라 RF 신호의 흐름을 도통/차단시켜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 내부의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제1블럭킹 소자(280), 안테나 모듈(100)의 제3안테나 단자(14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3임피던스 소자(230), 제3임피던스 소자(23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카드 커넥터(300)에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따라 RF 신호의 흐름을 도통/차단시켜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 내부의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제2블럭킹 소자(290), 안테나 모듈(100)의 제4안테나 단자(15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4임피던스 소자(240), 제1임피던스 소자(21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1RF 단자(C8) 사이의 제3지점(P300) 및 제4임피던스 소자(24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의 제4지점(P400) 간에 병렬 연결된 제5임피던스 소자(250), 제1임피던스 소자(21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1RF 단자(C8) 사이의 제5지점(P500) 및 제2임피던스 소자(220)와 제1블럭킹 소자(280) 사이의 제6지점(P600) 간에 병렬 연결된 제6임피던스 소자(260), 제1임피던스 소자(21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1RF 단자(C8) 사이의 제7지점(P700) 및 제3임피던스 소자(230)와 제2블럭킹 소자(290) 사이의 제8지점(P800) 간에 병렬 연결된 제7임피던스 소자(27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카드 커넥터(300)에 삽입된 스마트카드가 제1스마트카드인 경우, 매칭 회로(200)에 구비된 제1블럭킹 소자(280)는 제2임피던스 소자(22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의 RF 신호 흐름을 차단시키고, 제2블럭킹 소자(290)는 제3임피던스 소자(230)와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사이의 RF 신호 흐름을 차단시킨다. 상세하게는, 제1블럭킹 소자(280)는 자신과 제2임피던스 소자(220) 사이의 제6지점(P600) 및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간의 RF 신호 흐름을 차단시키고, 제2블럭킹 소자(290)는 자신과 제3임피던스 소자(230) 사이의 제8지점(P800) 및 카드 커넥터(300)의 제2RF 단자(C4) 간의 RF 신호 흐름을 차단시킨다.
이로 인해, 카드 커넥터(300)의 제1RF 단자(C8), 제2RF 단자(C4), 매칭 회로(200)의 제1임피던스 소자(210), 제4임피던스 소자(240), 제5임피던스 소자(250), 안테나 모듈(100)의 제1안테나 단자(120), 제4안테나 단자(150) 및 루프 안테나(110)로 이루어진 회로 패턴이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에 형성되며, 그 형성된 회로 패턴을 통해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에서 카드 커넥터(300)에 삽입된 제1스마트카드와 RF 리더기 간에 송수신되는 RF 신호의 매칭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카드 커넥터(300)에 삽입된 스마트카드가 제2스마트카드 또는 제3스마트카드 삽입시에는 전술한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제2스마트카드 또는 제3스마트카드 삽입시의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는 루프 안테나의 패턴 중 시작단과 종단 사이의 소정의 지점에 연결되는 안테나 단자를 추가하고, 매칭 회로 내부의 임피던스 소자 및 블럭킹 소자를 추가함으로써, 3종 이상의 여러 종류의 스마트카드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스마트카드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에 의하면, 카드 커넥터에 삽입된 스마트카드가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를 통해 RF 리더기와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에서 카드 커넥터에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대응하는 최적의 회로 패턴을 형성하여 그 형성된 회로 패턴을 통해 RF 리더기와 스마트카드 사이에 송수신되는 RF 신호를 매칭함으로써,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상관없이 RF 리더기와의 RF 신호 통신에 필요한 최대 이득값을 획득할 수 있어, 최적의 RF 신호 인식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안테나 모듈 110: 루프 안테나
120: 제1안테나 단자 130: 제2안테나 단자
140: 제3안테나 단자 150: 제4안테나 단자
200: 매칭 회로 210: 제1임피던스 소자
220: 제2임피던스 소자 230: 제3임피던스 소자
240: 제4임피던스 소자 250: 제5임피던스 소자
260: 제6임피던스 소자 270: 제7임피던스 소자
280: 제1블럭킹 소자 290: 제2블럭킹 소자
300: 카드 커넥터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스마트카드 삽입시 스마트카드의 RF 신호 입출력단에 접속되는 제1RF 단자 및 제2RF 단자를 구비한 카드 커넥터와;
    RF 리더기와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루프 안테나와;
    상기 루프 안테나의 시작단 부분에 연결된 제1안테나 단자와;
    상기 루프 안테나의 종단 부분에 연결된 제2안테나 단자와;
    상기 제1안테나 단자와 상기 제1RF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2안테나 단자와 상기 제2RF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2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2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2RF 단자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카드 커넥터에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따라 RF 신호의 흐름을 도통/차단시키는 블럭킹 소자와;
    상기 제2안테나 단자와 상기 제2임피던스 소자 사이의 제1지점 및 상기 제2RF 단자 간에 병렬 연결된 제3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1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1RF 단자 사이의 제2지점 및 상기 제2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블럭킹 소자 사이의 제3지점 간에 병렬 연결된 제4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2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블럭킹 소자 사이의 제4지점 및 상기 제3임피던스 소자와 상기 제1RF 단자 사이의 제5지점 간에 병렬 연결된 제5임피던스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블럭킹 소자는, 상기 카드 커넥터에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따라 자신과 제2임피던스 소자 사이의 제4지점 및 카드 커넥터의 제2RF 단자 간의 RF 신호 흐름을 도통/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킹 소자는,
    상기 카드 커넥터에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따라 RF 신호 흐름을 차단시켜 제1RF 단자, 제2RF 단자, 매칭 회로의 제1임피던스 소자, 제2임피던스 소자, 제4임피던스 소자, 안테나 모듈의 제1안테나 단자, 제2안테나 단자 및 루프 안테나로 이루어진 회로 패턴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킹 소자는,
    상기 카드 커넥터에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따라 RF 신호 흐름을 도통시켜 제1RF 단자, 제2RF 단자, 매칭 회로의 제1임피던스 소자, 제3임피던스 소자, 제5임피던스 소자, 제1블럭킹 소자, 안테나 모듈의 제1안테나 단자, 제2안테나 단자 및 루프 안테나로 이루어진 회로 패턴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70133171A 2007-12-18 2007-12-18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 KR100945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171A KR100945191B1 (ko) 2007-12-18 2007-12-18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171A KR100945191B1 (ko) 2007-12-18 2007-12-18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717A KR20090065717A (ko) 2009-06-23
KR100945191B1 true KR100945191B1 (ko) 2010-03-05

Family

ID=40993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171A KR100945191B1 (ko) 2007-12-18 2007-12-18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51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3557A (ko) * 2005-05-11 2005-06-08 김용필 이동통신단말의 알에프 안테나 선택장치
KR200429014Y1 (ko) 2006-08-09 2006-10-18 오병권 심 카드 및 안테나 모듈 교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액세서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3557A (ko) * 2005-05-11 2005-06-08 김용필 이동통신단말의 알에프 안테나 선택장치
KR200429014Y1 (ko) 2006-08-09 2006-10-18 오병권 심 카드 및 안테나 모듈 교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액세서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717A (ko) 2009-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1115B2 (en) Multiple mode RF transceiver and antenna structure
CN1929198B (zh) 天线装置和无线电通信终端
CN1870555B (zh) 高频电路和使用了该电路的通信装置
US6757523B2 (en) Configuration of transmit/receive switching in a transceiver
US200802400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adio operation in umts bands i and iv utilizing a single receiving port
CN106299598A (zh) 电子装置及其多馈入天线
CN109904598A (zh) 多频多天线阵列
CN101421931B (zh) 天线装置及使用此天线装置的电子设备
US9408015B2 (en) Reducing receiver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frequency coexistence
CN106470040B (zh) 双频带发射机
KR101938650B1 (ko) 근접장 무선 송수신 회로 및 모바일 단말기
KR20130059380A (ko) 저 주파수 신호 검출 및 송신을 위한 장치
CN104081676A (zh) 通信装置
US20110128193A1 (en) Card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WO2023051219A1 (zh) 射频电路、射频模块及电子设备
CN106450804B (zh) 一种移动终端及其天线电路
CN102195120B (zh) 一种射频ic卡
KR100945191B1 (ko) 스마트카드 rf 인터페이스
CN103856231A (zh) 近场通信和频率调制天线系统
US7081862B2 (en) Integrated active satellite antenna module
KR101003578B1 (ko) 휴대 무선 단말기의 멀티접속커넥터용 방송수신 안테나
CN201430744Y (zh) 电磁干扰消除装置和电子设备
CN214205522U (zh) 多模多频射频电路、无线通信设备
CN104617976B (zh) Rfid前端自适应单元及其控制方法
JP4528650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非接触式icカードリーダライ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