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5032B1 - 어프로치샷 골프연습장 - Google Patents

어프로치샷 골프연습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5032B1
KR100945032B1 KR1020070128173A KR20070128173A KR100945032B1 KR 100945032 B1 KR100945032 B1 KR 100945032B1 KR 1020070128173 A KR1020070128173 A KR 1020070128173A KR 20070128173 A KR20070128173 A KR 20070128173A KR 100945032 B1 KR100945032 B1 KR 100945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rway
green
section
flat
pract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1241A (ko
Inventor
장길환
Original Assignee
장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길환 filed Critical 장길환
Priority to KR1020070128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5032B1/ko
Publication of KR20090061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91Golf courses; Golf practising terrains having a plurality of driving areas, fairways, gree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연습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린의 주변을 둘러지도록 페어웨이가 형성되어 어프로치샷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그린 및 페어웨이로 나뉘어지는 다수의 섹션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각 섹션의 그린 및 페어웨이는 평지, 오르막지, 내리막지 및 벙커가 형성되어, 다양한 형태의 페어웨이 및 그린에서 다양한 연습이 가능하도록 하여 골프의 어프로치샷 실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어프로치샷 골프연습장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그린(G)의 주위에 형성된 상기 페어웨이(F)가 상기 그린(G)을 중심으로 다수의 섹션으로 분할되어지되, 제1섹션은 평지로 되어 평지 어프로치샷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평지페어웨이(F1)로 형성되고, 제2섹션은 오르막지로 되어 오르막 어프로치샷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오르막페어웨이(F2)로 형성되며, 제3섹션은 내리막지로 되어 내리막 어프로치샷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내리막페어웨이(F3)로 형성되고, 제4섹션은 벙거(B)가 구비되어 벙커탈출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벙커페어웨어(F4)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골프, 어프로치, 페어웨이, 그린, 벙커

Description

어프로치샷 골프연습장{GOLF PRACTICE RANGE FOR APPROACH SHOT}
본 발명은 골프연습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린의 주변을 둘러지도록 페어웨이가 형성되어 어프로치샷을 집중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그린 및 페어웨이로 나뉘어지는 다수의 섹션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각 섹션의 그린 및 페어웨이는 평지, 오르막지, 내리막지 및 벙커가 형성되어, 다양한 형태의 페어웨이 및 그린에서 다양한 연습이 가능하도록 하여 골프의 어프로치샷 실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어프로치샷 골프연습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장은 일측 티에서 골프공을 티샷하여, 타측 끝부분에 형성된 그린의 홀컵에 골프공을 홀인시키는 것으로, 홀인 중에 티샷을 포함하는 힛팅 샷의 타수를 계수하여 골프게임을 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골프장의 골프코스에는 하나의 티, 하나의 그린 및 다수의 해저드 등이 구성되는 것이고, 또한 티로부터 그린으로 이르는 페어웨이에는 잔디가 주로 형성되어 있으나, 작은 언덕 등이 형성되어 있어, 골퍼들이 쉽게 홀컵에 홀인하기 곤 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골프장의 골프코스는, 티로부터 그린에 이르는 파플레이(par play) 골프타수(해당 골프코스에서 기준이 되는 골프타수)가 정해져 있는 것이며, 대부분 파-3홀 4개의 골프코스, 파-4홀 10개의 골프코스, 파-5홀 4개의 골프코스 등으로 되어 파플레이의 총 골프타수가 72 타수가 되는 것이다. 이에 골프코스의 수는 총 18개 골프코스로 되는 풀사이즈골프코스(full-size golf course)가 이루어져, 결국 골퍼들은 총 18개 골프코스를 돌면서 골프게임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풀사이즈골프코스를 이용함에 중요한 샷으로는 처음 티에서 샷을 하는 티샷(tee shot) 뿐만 아니라 그린의 홀컵에 홀인하기 위한 퍼팅도 중요하다. 그리고 이와 함께 그린 주위의 페어웨이에서 그린으로 골프공을 올리기 위한 어프로치 샷도 중요하며, 이러한 어프로치 샷의 정도에 따라 그린위에 놓여지는 골프공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이며, 이러한 골프공의 위치에 따라 홀컵에 골프공을 쉽게 넣을 수도 있고 반대로 어렵게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즉 어프로치샷은 그린(홀컵이 있는 지역)까지의 거리가 91미터(100야드) 이내 지점의 페어웨이에서 핀(홀컵에 꽂은 깃대)을 향하여 치는 샷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어프로치샷에는 타법, 페널티존 및 거리 등에 따라 피치샷(Pitch shot), 피치 앤드 런(Pitch and Run), 러닝샷(Running shot) 등이 있다.
이중 피치샷은 핀을 향하여 쳐올리는 샷이이고, 러닝샷은 공을 굴려서 핀에 붙이는 방법으로, 공에 백스핀이 걸리면 굴러가는 거리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퍼팅처럼 헤드를 낮게 들어 비로 쓸듯이 치는 것이다. 그리고 피치 앤드 런은 공을 쳐 올려서 그린 위로 떨어뜨린 다음 핀까지 굴러가게 하는 타법인 것이다.
또한 칩샷(Chip shot)은 그린 주위에서 공을 낮게 굴려서 홀에 접근시키는 어프로치샷이다.
그러나 이러한 어프로치샷은 골프장의 여건 및 골퍼들의 실력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어프로치샷 때 타수를 줄이는 것과 함께 그린 위에서 홀컵과 근접되게 골프공을 올려 놓는 것도 어프로치샷에서 중요한 점인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골프코스에서는 쉽게 어프로치샷을 할 수 없도록 다양한 종류의 페널티존(Penalty zone)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페널티존으로는 작은 호수 또는 냇물이 흐르도록 하는 워터 헤저드(water hazard), 모래가 있는 샌드 벙커(sand bunker), 풀이나 나무가 무성한 지역인 러프(rough), 경계로 표시되는 오비지역(OB, Out of Bound) 등의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페널티존에서 그린으로 어프로치샷을 하는 샷의 숙련도에 따라 골프타수를 결정한다 할 것이다.
그러나 풀사이즈골프코스(full-size golf course)에서는 어프로치샷만 별도로 연습할 수 있는 시설이 없으며, 별도의 작게 시설되는 골프연습장의 경우 대부분 퍼팅 연습장 또는 티샷 연습장만 있어, 어프로치샷 연습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비록 실내 연습장에서 연습한다 하여도 다양한 형태의 모래, 물, 러프 등 자연환경과 인위적인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실제로 실내에서 연습한 것이 풀사이즈골프코스에서는 실력을 발휘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그린의 주변을 둘러지도록 페어웨이가 형성되도록 하여 골프게임 중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어프로치샷을 집중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하나의 골프연습장에 다수의 그린 및 페어웨이로 나뉘어지는 다수의 섹션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각 섹션의 그린 및 페어웨이는 평지, 오르막지, 내리막지 및 벙커가 형성되어, 다양한 형태의 페어웨이 및 그린에서 다양한 연습이 가능하도록 하여 골프의 어프로치샷 실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그린(G)의 주위에 페어웨이(F)가 형성되는 골프연습장에 있어서, 상기 페어웨이(F)는 상기 그린(G)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4개의 섹션으로 분할되어지되, 제1섹션은 평지로 되어 평지 어프로치샷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평지페어웨이(F1)로 형성되고, 제2섹션은 오르막지로 되어 오르막 어프로치샷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오르막페어웨이(F2)로 형성되며, 제3섹션은 내리막지로 되어 내리막 어프로치샷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내리막페어웨이(F3)로 형성되고, 제4섹션은 벙거(B)가 구비되어 벙커탈출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벙커페어웨어(F4)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제1섹션의 평지페어웨어(F1), 상기 제2섹션의 오르막페어웨이(F2) 또는 상기 제3섹션의 내리막페어웨이(F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페어웨이의 일측에는 러프(15)가 형성되고, 상기 제4섹션의 벙커페어웨이(F4)에는 서로 다른 형태의 벙커(B)가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섹션의 평지페어웨이(F1), 상기 제2섹션의 오르막페어웨이(F2), 상기 제3섹션의 내리막페어웨이(F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페어웨이에는 상기 그린(G)의 중앙부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페어웨이지면이 상향경사지 또는 하향경사지로 형성되고, 상기 그린(G)은 평지 또는 웨이브 형태의 그린으로 형성되고, 상기 그린(G)에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홀컵(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린(G)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평지페어웨이(F1), 오르막페어웨이(F2), 내리막페어웨이(F3) 및 벙커페어웨이(F4)와 대응되도록 4개로 분할되는 평지그린(G1), 오르막그린(G2), 내리막그린(G3) 및 벙커그린(G4)으로 형성되고, 상기 평지그린(G1), 상기 오르막그린(G2), 상기 내리막그린(G3) 및 상기 벙커그린(G4)들의 사이에는 분할망(13)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분할망(13)은 그린(G)에서 페어웨이(F)에 이르기 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그린(G)에는 게이트(14)가 하나 또는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그린(G)의 주위에 페어웨이(F)가 형성되는 골프연습장에 있어서, 상기 페어웨이(F)는 상기 그린(G)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다수 개의 섹션으로 분할되어지되, 상기 섹션은 평지로 되어 평지 어프로치샷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평지페어웨이(F1), 오르막지로 되어 오르막 어프로치샷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오르막페어웨이(F2), 내리막지로 되어 내리막 어프로치샷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내리막페어웨이(F3), 벙거(B)가 구비되어 벙커탈출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벙커페어웨어(F4) 중 어느 하나의 페어웨이가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은 그린의 주변을 둘러지도록 페어웨이가 형성되도록 하여 골프게임 중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어프로치샷을 집중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하여, 골프실력을 향상시키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특히 하나의 골프연습장에 다수의 그린 및 페어웨이로 나뉘어지는 다수의 섹션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각 섹션의 그린 및 페어웨이는 평지, 오르막지, 내리막지 및 벙커가 형성되어, 다양한 형태의 페어웨이 및 그린에서 다양한 연습이 가능하도록 하여 어프로치샷 실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다수의 섹션으로 되는 각 페어웨이 및 각 그린이 서로 분할망에 의하여 구분되도록 하여, 다른 골퍼들의 어프로치샷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프로치샷 골프연습장에 대한 조감뷰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프로치샷 골프연습장에 대한 다른 실시의 조감뷰의 예시도이며,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프로치샷 골프연습장에 대한 개략적인 조감뷰의 예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어프로치샷 골프연습장(A)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그린(G)이 형성되고, 이러한 그린(G)의 주위에 페어웨이(F)가 둘러져서 형성되는 골프연습장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그린(G) 주위의 페어웨이(F)에서 골퍼는 어프로치샷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특히 어프로치샷이 약한 골퍼들이 본 발명에 따른 어프로치샷 골프연습장(A)을 이용하여, 집중적으로 어프로치샷 골프 연습을 하여 골프실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어프로치샷은 일반 풀사이즈골프코스(full-size golf course) 18홀 골프장에서, 티로부터 페어웨이를 거쳐 그린의 홀컵에 골프공을 홀인시키는 과정 중, 그린 위로 골프공이 위치되도록 하는 샷으로, 얼마나 빠르게 안정되게 최적의 위치에 정확하게 골프공을 올려놓느냐가 골프타수를 줄이는 중요한 쟁점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보통 그린(G) 주위에는 물웅덩이, 냇물과 같은 워터헤저드(water hazard), 모래가 있는 샌드 벙커(sand bunker), 잔풀이 자란 러프(rough), 경계로 구분되는 오비(Out of Bound, OB) 등으로 되는 페널티존(Penalty Zone)의 구역이 인위적으로 설치되어 골프타수를 줄일 수 밖에 없는 상황을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골퍼들은 우선 이러한 페널티존을 피해서 골프샷을 하여야 하나, 만약 이러한 페널티존으로 골프공이 들어간다 하여도 타수를 줄이며 그린으로 어프로치샷을 할 수 있는 실력을 향상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어프로치샷 골프연습장(A)을 이용하여, 다양한 상황의 어프로치샷 환경에 따라 어프로치샷 실력을 향상하도록 하기 위한 골프연습장(A)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어프로치샷 골프연습장(A)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패널티존을 설치하여 골퍼들이 어프로치샷 연습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골퍼들의 어프로치샷 실력을 향상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어프로치샷 골프연습장(A)에서는, 상기 페어웨이(F)가 상기 그린(G)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4개의 섹션으로 분할되어지도록 구성함을 실시예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하되, 하나의 그린(G)을 중심으로 하여 주위에 어프로치샷을 할 수 있는 페어웨이(F)가 형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페어웨이(F)에 다양한 형태의 페널티존(Penalty Zone)을 형성함을 그 실시예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도 1에서 보여지는 조감뷰(aerial view)의 실시예를 보면, 분할되는 섹 션 중, 제1섹션은 평지로 되어 평지 어프로치샷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평지페어웨이(F1)가 형성되고, 제2섹션은 오르막지로 되어 오르막 어프로치샷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오르막페어웨이(F2)가 형성되며, 제3섹션은 내리막지로 되어 내리막 어프로치샷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내리막페어웨이(F3)가 형성되고, 제4섹션은 벙거(B)가 구비되어 벙커탈출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벙커페어웨어(F4)가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시에서는 어프로치샷 골프연습장에서 분할되는 섹션을 상기와 같이 4개의 분할된 섹션들로 하여 구성됨을 예로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할되는 섹션들이 평지페어웨이, 오르막페어웨이, 내리막페어웨이 또는 벙커페어웨이 등의 페어웨이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의 페어웨이가 포함되어 형성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섹션들로 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고, 이와 같이 구성되는 다양한 실시예의 어프로치샷의 골프연습장은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됨은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골퍼는 평평한 평지로 되는 평지페어웨이(F1) 위에 놓인 골프공을 그린(G)으로 어프로치샷 하여 골프게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오르막언덕 형태인 오르막지로 되는 오르막페어웨이(F2) 위에 놓인 골프공을 그린(G)으로 어프로치샷 하여 골프게임을 하게 된다.
또한 내리막언덕 형태인 내리막지로 되는 내리막페어웨이(F3) 위에 놓인 골프공을 그린(G)으로 어프로치샷 하여 골프게임을 하게 된다.
나아가 하나 또는 다수의 벙커(B)가 형성되는 벙커페어웨이(F4) 위에 놓인 골프공을 그린(G)으로 어프로치샷 하여 골프게임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벙커 페어웨이(F4)에서는 벙커(B) 위에 골프공을 놓고 어프로치샷을 하면 벙커탈출의 샷을 연습할 수 있으며, 벙커(B)가 아닌 곳에 골프공을 놓고 어프로치샷을 하면 벙커를 피하는 샷을 연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페어웨이(F)인 상기 제1섹션의 평지페어웨어(F1), 상기 제2섹션의 오르막페어웨이(F2) 또는 상기 제3섹션의 내리막페어웨이(F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페어웨이에는 러프(15), 워터헤저드, 샌드 벙커, 경계구역인 오비 등이 하나 또는 다른 형태로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4섹션의 벙커페어웨이(F4)에 형성되는 벙커(B)도 서로 다른 형태로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그린(G)은 평평한 평지 또는 내리막 및 오르막이 형성되는 웨이브 형태의 그린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그린(G)에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홀컵(12) 또는 게이트(14)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도면의 예시에서는 다수의 홀컵(12)과 게이트(14)가 구비됨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게이트(14)는 홀컵(12)에 골프공을 홀인시키지 못하는 초보자의 경우에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게이트(14)를 골프공이 통과되도록 하면 홀인으로 인정하도록 하여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섹션의 평지페어웨이(F1), 상기 제2섹션의 오르막페어웨이(F2), 상기 제3섹션의 내리막페어웨이(F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페어웨이에는 상기 그린(G)의 중앙부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페어웨이지면이 상향경사지 또는 하향경사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1섹션의 평지페어웨이(F1), 상기 제2섹션의 오르막페어웨이(F2), 상기 제3섹션의 내리막페어웨이(F3) 등의 페어웨이에 서 그린(G) 측으로 샷을 하게 되는 경우, 각 페어웨이의 상향경사지 또는 하향경사지에서 어프로치샷을 하게 되는 것으로, 여러가지 상황에서 다양한 어프로치샷을 경험하여 실력을 향상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3에서는 그린(G)과 페어웨이(F)로 되는 골프연습장(A)이 다수의 섹션으로 나뉘어지되, 각 섹션 중 페어웨이(F)만 나누어지고 그린(G)은 단일로 하여, 각 섹션의 골퍼들이 원하는 홀컵에 홀인하도록 하여 구비됨을 보이고 있다. 이에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그린(G)도 다수의 섹션으로 나뉘어지도록 하여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그린(G)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평지페어웨이(F1), 오르막페어웨이(F2), 내리막페어웨이(F3) 및 벙커페어웨이(F4) 등과 각각 대응되도록 4개로 분할되는 평지그린(G1), 오르막그린(G2), 내리막그린(G3) 및 벙커그린(G4)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페어웨이(F) 및 그린(G)으로 되는 각 섹션들이 서로 바닥면에 채색된 선이 그려지거나 줄 또는 색상이 다른 인조잔디 등으로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상기 평지그린(G1), 상기 오르막그린(G2), 상기 내리막그린(G3) 및 상기 벙커그린(G4)들의 사이에 분할망(13)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골퍼들이 페어웨이에서 어프로치샷을 하더라도 골프공이 분할망(13)에 걸려 해당 섹션의 그린(G) 내에 위치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샷을 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4와 같이 상기 분할망(13)은 그린(G)에서 페어웨이(F)에 이르기 까지 연장되어, 각 그린(G)과 각 페어웨이(F) 들 사이의 경계부분에 모두 분할망(13)이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각 페어웨이(F) 또는 각 그린(G)에서 실수하여 골프공을 세게 샷을 하거나 방향을 잘못 맞춰 샷을 하더라도 골프공이 분할망(13)에 걸려 해당 섹션의 그린 또는 페어에이에 있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평지페어웨지(F1), 오르막페어웨지(F2), 내리막페어웨지(F3) 및 벙커페어웨지(F4) 들의 사이의 경계가 구분되도록 분할망(13)이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다른 섹션의 페어웨이로 골프공이 가지 않게 되는 것으로, 다른 사람의 어프로치샷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함께 사용하는 그린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다양한 어프로치샷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프로치샷 골프연습장에 대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프로치샷 골프연습장에 대한 다른 실시의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프로치샷 골프연습장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골프연습장 B : 벙커
F : 페어웨이 G : 그린
12 : 홀컵 13 : 분할망
14 : 게이트 15 : 러프

Claims (7)

  1. 그린(G)의 주위에 페어웨이(F)가 형성되는 골프연습장에 있어서,
    상기 페어웨이(F)는 상기 그린(G)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4개의 섹션으로 분할되어지되,
    제1섹션은 평지로 되어 평지 어프로치샷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평지페어웨이(F1)가 형성되고,
    제2섹션은 오르막지로 되어 오르막 어프로치샷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오르막페어웨이(F2)가 형성되며,
    제3섹션은 내리막지로 되어 내리막 어프로치샷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내리막페어웨이(F3)가 형성되고,
    제4섹션은 벙거(B)가 구비되어 벙커탈출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벙커페어웨어(F4)가 형성되며,
    상기 제1섹션의 평지페어웨어(F1), 상기 제2섹션의 오르막페어웨이(F2) 또는 상기 제3섹션의 내리막페어웨이(F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페어웨이에의 일측에 러프(15)가 형성되고,
    상기 제4섹션의 벙커페어웨이(F4)에는 서로 다른 형태의 벙커(B)가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프로치샷 골프연습장.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섹션의 평지페어웨이(F1), 상기 제2섹션의 오르막페어웨이(F2), 상기 제3섹션의 내리막페어웨이(F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페어웨이에는 상기 그린(G)의 중앙부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페어웨이지면이 상향경사지 또는 하향경사지로 형성되고,
    상기 그린(G)은 평지 또는 웨이브 형태의 그린으로 형성되고, 상기 그린(G)에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홀컵(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프로치샷 골프연습장.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린(G)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평지페어웨이(F1), 오르막페어웨이(F2), 내리막페어웨이(F3) 및 벙커페어웨이(F4)와 대응되도록 4개로 분할되는 평지그린(G1), 오르막그린(G2), 내리막그린(G3) 및 벙커그린(G4)으로 형성되고,
    상기 평지그린(G1), 상기 오르막그린(G2), 상기 내리막그린(G3) 및 상기 벙커그린(G4)들의 사이에는 분할망(1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프로치샷 골프연습장.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망(13)은 그린(G)에서 페어웨이(F)에 이르기 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프로치샷 골프연습장.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린(G)에는 게이트(14)가 하나 또는 다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프로치샷 골프연습장.
  7. 삭제
KR1020070128173A 2007-12-11 2007-12-11 어프로치샷 골프연습장 KR100945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173A KR100945032B1 (ko) 2007-12-11 2007-12-11 어프로치샷 골프연습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173A KR100945032B1 (ko) 2007-12-11 2007-12-11 어프로치샷 골프연습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241A KR20090061241A (ko) 2009-06-16
KR100945032B1 true KR100945032B1 (ko) 2010-03-05

Family

ID=40990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173A KR100945032B1 (ko) 2007-12-11 2007-12-11 어프로치샷 골프연습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50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9241A (ko) * 1992-03-27 1993-10-18 이정원 골프 연습 및 경기장
KR20070077189A (ko) * 2007-06-28 2007-07-25 김의정 천연 잔디 골프 어프로치 연습장 및 ball 자동회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9241A (ko) * 1992-03-27 1993-10-18 이정원 골프 연습 및 경기장
KR20070077189A (ko) * 2007-06-28 2007-07-25 김의정 천연 잔디 골프 어프로치 연습장 및 ball 자동회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241A (ko) 2009-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9561A (en) Method of playing golf game on reduced size course
US3904209A (en) Compact golf course
US4928973A (en) Method and course for playing a golf-like game
US4988105A (en) Method and course for playing a golf-like game
KR101893799B1 (ko) 골프 훈련을 위한 시각 표지의 사용방법
US20150080153A1 (en) Method of playing a compact golf course
US20080207346A1 (en) Golf course for practicing shot making and trouble shots
KR100945032B1 (ko) 어프로치샷 골프연습장
US6837798B1 (en) Putting practice tool and game
US7479073B2 (en) Simulated golf game
US20050096143A1 (en) Course layout and scoring method for playing a game on the course layout
KR102347967B1 (ko) 골프 코스 “칼레이도스코프”
KR100313591B1 (ko) 골프연습시설구조물
US6743110B2 (en) Golf course and method of play
US20220212083A1 (en) Golf course and method of playing golf game
KR940004158B1 (ko) 골프 연습 및 경기장
KR200412495Y1 (ko) 골프장 그린의 구조
KR100599374B1 (ko) 간이 골프장 및 그 사용방법
US20190366184A1 (en) Space-Saving Golf Course
KR200296362Y1 (ko) 원샷 온 그린 골프시스템
KR200440151Y1 (ko) 골프 연습장
CA3102992A1 (en) Golf course and method of playing golf game
KR20100048574A (ko) 디스크 골프 게임 시스템 및 그 게임방법
JP3141311U (ja) ゴルフゲーム装置
EA040734B1 (ru) Поле для гольф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