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779B1 - Water quality sensor detecting heavy met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ater quality sensor detecting heavy met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779B1
KR100944779B1 KR1020080014011A KR20080014011A KR100944779B1 KR 100944779 B1 KR100944779 B1 KR 100944779B1 KR 1020080014011 A KR1020080014011 A KR 1020080014011A KR 20080014011 A KR20080014011 A KR 20080014011A KR 100944779 B1 KR100944779 B1 KR 100944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smuth
conductive layer
heavy metal
water quality
qualit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0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101648A (en
Inventor
이창규
이민구
엄영랑
이희민
박진주
이경자
채은진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US12/121,016 priority Critical patent/US8128794B2/en
Publication of KR20080101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6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7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01N33/1813Water specific cations in water, e.g. heavy met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2Measuring deposition or liberation of materials from an electrolyte; Coulometry, i.e. measuring coulomb-equivalent of material in an electrolyte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고,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도전층, 상기 도전층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도전층 상에 형성된 절연층, 및 상기 노출된 도전층의 일 영역 상에 형성되고 비스무스(bismuth, Bi) 분말을 포함하는 비스무스층을 구비한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를 제공한다. 상기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는 중금속 감지 성능이 우수하여, 센서의 신뢰성이 높고 제조 효율 및 단가 면에서 우수하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se member, a conductive layer formed on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the conductive layer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 insulating layer formed on the conductive layer to expose a portion of the conductive layer, and the exposed conductive layer. Provided is a water quality sensor for detecting heavy metals having a bismuth layer formed on one region and including bismuth (Bi) powder. The water quality sensor for heavy metal detection is excellent in heavy metal detection performance, high reliability of the sensor and excellent in manufacturing efficiency and cost.

Description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Water quality sensor detecting heavy met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Water quality sensor detecting heavy met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뢰성이 우수하고 제조 경쟁력이 우수하며 나아가 친환경적인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quality sensor for detecting heavy metal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quality sensor for detecting heavy metals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hich are excellent in reliability, excellent in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일반적으로, 스트리핑 전압전류법(stripping voltammetry)이란 일종의 전기화학분석법으로, 중금속들이 개별적으로 가지는 산화 환원 전위의 특성을 이용하여 수중에 존재하는 중금속을 전극표면에 농축한 후, 다시 물속으로 방출시키면서 생성되는 특정한 전류변화(전압전류곡선)를 분석하여 용액내의 중금속을 정량 분석하는 방법이다.In general, stripping voltammetry is a kind of electrochemical analysis, in which heavy metals present in water are concentrated on the surface of an electrode using the properties of redox potential of heavy metals, and then released into water. It is a method of quantitative analysis of heavy metals in solution by analyzing specific current changes (voltage and current curves).

이러한 스트리핑 전압전류법은 반응물질을 미리 전극표면에 농축시키므로 감도가 아주 증대되어 미량의 물질도 정량이 가능하며, 또한 전해농축 과정을 특정한 전위에서 수행하므로 분석의 선택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현재 스트리핑 전압전류법을 위한 작업전극(working electrode)으로는 주로 수은을 사용하는 매달린 수은방울 전극(hanging mercury drop electrode)과 얇은 수은막 전극(mercury thin film electrode)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분석 후 발생되는 유독성의 수은처리 문제와 분석결과의 재현성을 위한 표면처리 문제, 그리고 공기 중에 노출되면 쉽게 변화하는 특성 등으로 인하여, 최근 수은을 함유하지 않은 무독성의 환경친화적인 대체 전극 개발에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Since the stripping voltammetry concentrates the reactants on the electrode surface in advance, the sensitivity is very high, so that even a small amount of the substance can be quantified, and the electrolytic concentration process is performed at a specific potential, thereby increasing the selectivity of the analysis. Currently, as a working electrode for stripping voltammetry, a hanging mercury drop electrode and a mercury thin film electrode using mercury are widely used. However, due to the problem of toxic mercury treatment after analysis, surface treatment for reproducibility of analytical results, and properties that easily change when exposed to air, the development of non-toxic, environmentally friendly alternative electrodes that do not contain mercury Many efforts are being made.

현재, 이러한 스트리핑 전압전류법을 위한 대체 전극 물질로서 유리질 탄소 전극을 기질로 하는 얇은 비스무스(bismuth)막 전극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이를 작업전극으로 사용시에는 감도 및 분석결과의 재현성을 위해 측정 시마다 여러 단계의 표면 세척 및 처리 공정을 필요로 하며, 이때의 표면 공정은 작업전극의 복원성 및 기능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점은 분석결과의 정확성 및 신뢰성과 연관이 있으며, 자동화 시스템에서의 온라인 측정 분석뿐만 아니라, 현장 휴대용 장비로서의 사용에 제약을 줄 수도 있다.Currently,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thin bismuth film electrodes based on glassy carbon electrodes as an alternative electrode material for such stripping voltammetry. However, when it is used as a working electrode, several steps of surface cleaning and treatment are required for each measurement for reproducibility of sensitivity and analysis result, and the surface process at this time greatly affects the resilience and functionality of the working electrode. This is related to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analysis results and may limit their use as field portable equipment as well as on-line measurement analysis in automated system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스트리핑 전압전류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친환경적이고 제조 방법이 간단하며 가격이 저렴한 일회용의 중금속 감지용 수질센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soluble sensor for detecting heavy metals, which is eco-friendly, simple to manufacture, and inexpensive in applying stripping voltammetry.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heavy metal detection water quality sensor that can efficiently produce the above-described water quality sensor for heavy metal detectio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고,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도전층, 상기 도전층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도전층 상에 형성된 절연층, 및 상기 노출된 도전층의 일 영역 상에 형성되고 비스무스(bismuth, Bi) 분말을 포함하는 비스무스층을 구비한다. The water quality sensor for heavy metal detec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a base member, a partial region of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a conductive layer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formed on the conductive layer so that a partial region of the conductive layer is exposed. An insulating layer and a bismuth layer formed on one region of the exposed conductive layer and including bismuth (Bi) powder.

상기 도전성 물질로는 도전성 카본 잉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Conductive carbon ink and the like may be used as the conductive material.

상기 베이스 부재는 막대 형상을 갖고 상기 도전층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장변과 평행하게 상기 베이스 부재 면에 형성되어 스트라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base member may have a rod shape, and the conductive layer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member in parallel with the long side of the base member to have a stripe shape.

상기 절연층은 상기 도전층의 양 말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도전층 상에 형 성될 수 있다. The insulating layer may be formed on the conductive layer so that both ends of the conductive layer are exposed.

상기 양 말단부 중 어느 하나의 말단부 상에 상기 비스무스층이 형성되어 있다. The bismuth layer is formed on either end of the both ends.

상기 도전층의 두께는 2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단위면적(1cm2) 당 2 내지 5 ㎍의 비스무스 분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스무스층에 포함되는 비스무스 분말의 총 중량은 0.2 내지 0.5 ㎍인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said conductive layer is 20-100 micrometers, and it contains 2-5 micrograms of bismuth powders per unit area (1 cm <2> ). In addition, the total weight of the bismuth powder contained in the bismuth layer is preferably 0.2 to 0.5 μg.

상기 비스무스층은 6 내지 300 nm의 입자 크기를 갖는 비스무스 분말을 포함한다. 또하나, 상기 비스무스층은 이온투과성 고분자 바인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ismuth layer comprises bismuth powder having a particle size of 6 to 300 nm. In addition, the bismuth layer may further include an ion permeable polymer binder.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의 제조 방법은 베이스 부재의 일면의 일부 영역 상에 도전성 물질을 프린팅(printing)하여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전층의 일 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절연물질을 프린팅하여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분산용매에 비스무스 분말을 분산시켜 비스무스 분산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비스무스 분산액을 상기 노출된 도전층의 일 영역 상에 적하하여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ater quality sensor for detecting a heavy metal, forming a conductive layer by prin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a portion of one surface of a base member, and exposing one region of the conductive layer to be exposed. Forming an insulating layer by printing an insulating material on a base member, preparing a bismuth dispersion by dispersing bismuth powder in a dispersion solvent, and drying the bismuth dispersion by dropping it on one region of the exposed conductive layer It includes.

상기 분산용매는 0.1 내지 10%의 농도를 갖는 이온투과성 고분자 바인더 수용액이거나, 순수한 증류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ersion solvent is an ion permeable polymer binder aqueous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0.1 to 10%, or preferably pure distilled water.

상기 비스무스 분말은 가스응축법(gas condensation)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ismuth powder is preferably prepared by gas condensation (gas condens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water quality sensor for detecting heavy met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a water quality sensor for heavy metal de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100)는 베이스 부재(110), 도전층(120), 절연층(130) 및 비스무스층(14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water quality sensor 100 for detecting a heavy metal includes a base member 110, a conductive layer 120, an insulating layer 130, and a bismuth layer 140.

상기 베이스 부재(110)로는, 표면이 매끄럽고 접착성능이 우수한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110)로는 고분자 필름이 사용된다. 고분자 필름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As the base member 110, various materials having a smooth surface and excellent adhesive performance may be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olymer film is used as the base member 110. The kind of polymer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한편,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의 베이스 부재(110)는 막대 형상의 얇은 필름이다. On the other hand, the shape of the base member 1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base member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thin film of a rod shape.

상기 도전층(120)은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일면의 일부 영역 상에 도전성 카본 잉크(carbon ink)를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층(120)을 이루는 물질로서는 상기 도전성 카본 잉크 외에도 도전성 고분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전성 물질은 카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ductive layer 120 may be formed by, for example, screen printing conductive carbon ink on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As the material forming the conductive layer 120, a conductive polymer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conductive carbon ink. In particular, the conductive material preferably contains carbon.

상기 도전성 카본 잉크는 스크린 프린팅 후, 소정의 온도 하에서 건조됨으로써, 도전층(120)을 형성한다. The conductive carbon ink is dried under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fter screen printing, thereby forming the conductive layer 120.

상기 도전층(120)은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장변을 따라 연장된 띠(stripe) 형상을 갖는다.The conductive layer 120 has a stripe shape extending along the long side of the base member 110.

상기 도전층(120)의 두께는 제조되는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100)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도전층(120)의 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 전기적으로 단선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도전층(120)의 두께는 2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80 ㎛ 전 후가 더욱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120 affects the reliability of the water quality sensor 100 for detecting the heavy metal to be manufactured. If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120 is too thin, a problem of electrical disconnection may occur. The conductive layer 120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20 to 100 μm, more preferably 80 μm.

상기 절연층(130)은 상기 도전층(120) 상에 절연 잉크(insulating ink) 등을 이용하여 스크린 프린팅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절연층(130)의 형성을 위해는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린 프린팅 이후에 소정의 온도로 건조되어야 한다. The insulating layer 130 is formed by screen printing using an insulating ink or the like on the conductive layer 120. In order to form the insulating layer 130, as described above, it must be dri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fter screen printing.

상기 절연층(130)은 상기 도전층(120)의 일부 영역이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도전층(120) 상에 형성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절연층(130)은 띠 형상을 갖는 도전층(120)의 중간 영역 상에 형성되어 제1 도전층 영역(122)과 제2 도전층 영역(124)을 노출시킨다. The insulating layer 130 is formed on the conductive layer 120 to expose a portion of the conductive layer 120. Referring back to FIG. 1, the insulating layer 130 is formed on an intermediate region of the band-shaped conductive layer 120 to expose the first conductive layer region 122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region 124. .

도 1에서, 상기 제1 도전층 영역(122)의 길이는 상기 제2 도전층 영역(124)의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다. 상기 제1 도전층 영역(122)은 외부의 전기를 인가 받기 위한 연결부로서 작용하며, 상기 제 2 도전층(124)의 일 영역 상에는 상기 비스무스층(140)이 형성된다.In FIG. 1, the length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region 122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region 124. The first conductive layer region 122 serves as a connection part for receiving external electricity, and the bismuth layer 140 is formed on one region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124.

상기 비스무스층(140)은 상기 노출된 도전층(120)의 일 영역, 즉 제2 도전층(124)의 일 영역 상에 형성된다. The bismuth layer 140 is formed on one region of the exposed conductive layer 120, that is, one region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124.

상기 비스무스층(140)은 미리 준비된 비스무스 분산액을 상기 제2 도전층(124)의 일 영역 상에 적하하고 건조함으로써 형성된다. The bismuth layer 140 is formed by dropping a bismuth dispersion prepared in advance on one region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124 and drying it.

상기 비스무스 분산액은 분산 용매에 비스무스 분말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준 비된다. 한편, 상기 비스무스 분말은 불순물의 효과적인 배제를 위하여 가스응축법(gas condensation)에 의하여 준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ismuth dispersion is prepared by uniformly dispersing bismuth powder in a dispersion solvent. On the other hand, the bismuth powder is preferably prepared by gas condensation (gas condens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exclude impurities.

상기 비스무스 분말이 300 nm를 초과하는 입자들을 포함할 경우, 중금속 감지용 센서(100)의 성능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스무스 분말은 300 nm 이하의 입자크기를 갖는 결정 입자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6 내지 75 nm의 입자크기를 갖는 결정 입자들로 이루어진다. When the bismuth powder includes particles exceeding 300 nm, the performance of the heavy metal sensor 100 may be drastically degraded. Therefore, the bismuth powder is composed of crystal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300 nm or less, preferably made of crystal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6 to 75 nm.

상기 비스무스 분산액의 준비에 사용되는 분산 용매로서는, 증류수, 에탄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산 용매로서는, 이온투과성 고분자 바인더 0.1 내지 10%를 함유한 이온투과성 고분자 바인더 수용액인 것이 바람직하다.Distilled water, ethanol,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dispersion solvent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bismuth dispersion. Moreover, as said dispersion solven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the ion permeable polymer binder aqueous solution containing 0.1-10% of an ion permeable polymer binder.

상기 이온투과성 고분자 바인더로서는, 나피온(Nafion™)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화학 및 물리적 강도가 높고 수소이온 전도도가 높은 이온투과성 수지라면 공지된 어떠한 수지도 사용될 수 있다.As the ion permeable polymer binder, Nafion ™ may be used, and any known resin may be used as long as the ion permeable resin has high chemical and physical strength and high hydrogen ion conductivity.

상기 나피온은 듀퐁(Du Pont) 사에서 개발한 고분자 전해질의 상품명이다(Nafion™). 상기 나피온은 기본적으로 테프론(-CF2-CF2-) 고분자에 과불소화기로 이루어진 긴 사슬에 술폰산기가 붙어있는 형태이다. 또한, 상기 나피온은 수소이온 전도도가 높으며 (0.08 S/cm at 30℃) 화학적, 물리적 강도가 매우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The Nafion is a trade name of a polymer electrolyte developed by Du Pont (Nafion ™). The Nafion is basically a sulfonic acid group attached to a long chain made of a perfluorinated group in a Teflon (-CF 2 -CF 2- ) polymer. In addition, the Nafion exhibits high hydrogen ion conductivity (0.08 S / cm at 30 ° C.) and excellent chemical and physical strength.

상기 비스무스층(140) 내에 포함된 비스무스 분말의 총 중량은 0.2 내지 0.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비스무스층(140)은 단위면적(1cm2) 당 2 내지 5 ㎍의 비스무스 분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otal weight of the bismuth powder contained in the bismuth layer 140 is preferably 0.2 to 0.5 μg. On the other hand, the bismuth layer 140 preferably includes 2 to 5 μg of bismuth powder per unit area (1 cm 2 ).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100)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된 다양한 센서 감도 측정 결과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러나, 이하의 실험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various sensor sensitivity measurement results perform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heavy metal detection water quality sens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periments.

[실험][Experiment]

1. 실험 대상 센서1. Sensor for experiment

실험에 사용된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는, 6 ~ 75 nm의 입자 분포를 갖는 비스무스 분말을 0.24%의 나피온을 포함하는 증류수에 분산시켜 0.02g/L의 비스무스 분말 수용액을 만든 후 상기 비스무스 수용액 중 10 ㎕를 도전층의 일 영역 상에 적하하고 건조시켜 고정화 함으로써 제조되었다.The water quality sensor for heavy metal detection used in the experiment was prepared by dispersing bismuth powder having a particle distribution of 6 to 75 nm in distilled water containing 0.24% of Nafion to make 0.02 g / L bismuth powder aqueous solution, and then 10 µl was added dropwise onto one region of the conductive layer, dried and immobilized.

2. 실험 방법2. Experimental method

기준전극(reference electrode)으로 Ag/AgCl (3 M KCl)을 사용하였으며, 0.1 M acetic-chloride buffer(pH 4.7)와 20 ppb의 아연(Zn), 카드뮴(Cd), 납(Pb) 이온이 포함된 용액에서, -1.4 V에서 120 초 동안 전압을 걸어 이들 이온을 전기석출 시킨 후 1.0 V/s의 속도로 전압을 선형적으로 상승시키면서 스트리핑 전압전류법을 실시하였다.Ag / AgCl (3 M KCl) was used as the reference electrode and included 0.1 M acetic-chloride buffer (pH 4.7) and 20 ppb of zinc (Zn), cadmium (Cd), and lead (Pb) ions. In the prepared solution, a voltage was applied at −1.4 V for 120 seconds to electroprecipitate these ions, and then stripping voltammetry was performed while linearly increasing the voltage at a rate of 1.0 V / s.

도전층Conductive layer 두께에 따른 센서 감도 Sensor sensitivity according to thickness

본 발명에 따른 비스무스 분말이 표지된 중금속 감지용 수질센서의 도전층 두께에 따른 분석화학적 성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동시에 분석이 가능한 아연, 카 드뮴, 납 이온을 대상으로 스트리핑 전압전류법을 실시하였다.In order to investigate the analytical and chemical performance of the bismuth powder-labeled heavy metal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stripping voltammetry was performed on zinc, cadmium, and lead ions that can be analyzed simultaneously.

아래의 표1은 도전층의 두께가 서로 다른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스트리핑 산화전류(I) 값과, 이에 대해 5회 반복 측정 후 초기의 산화전류 값에 대한 재현성(R)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Table 1 below shows the results of the reproducibility (R) test on the stripping oxidation current (I) value measured using sensor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of the conductive layer and the initial oxidation current value after 5 repeated measurements. .

도전층 두께 (μm)Conductive layer thickness (μm) ZnZn CdCD PbPb R (%)R (%) I (μA)I (μA) R (%)R (%) I (μA)I (μA) R (%)R (%) I (μA)I (μA) 4040 127127 12.212.2 8080 11.211.2 8181 6.96.9 8080 9797 9.89.8 103103 10.510.5 9999 5.95.9

상기한 표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도전층의 두께가 40 μm인 경우 각 금속이온들에 대해 더 높은 전류치가 관측되었으나, 전류 값의 재현성 결과는 80 μm의 도전층의 두께를 갖는 센서가 더욱 정확한 값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1 above, when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was 40 μm, higher current values were observed for each metal ion, but the reproducibility result of the current value was more accurate for a sensor having a thickness of 80 μm conductive layer. It can be seen that the value.

따라서, 이하의 실험들에서는 센서의 도전층 두께를 모두 80 μm로 하여 스트리핑 전압전류법을 실시하였다.Therefore, in the following experiments, stripping voltammetry was performed with all conductive layer thicknesses of the sensor as 80 μm.

비스무스Bismuth 함량에 따른 센서 감도 Sensor sensitivity by content

중금속 감지용 센서를 제조 시, 도전층 상에 표지되는 비스무스 분말의 적정 함량을 선정하기 위하여, 6-75 nm의 입자크기 분포를 갖는 비스무스 분말의 양을 변화시키며 다섯 종류의 센서를 제작하여 Zn, Cd, Pb 이온들에 대하여 스트리핑 전압전류법을 실시 하였다.In manufacturing the heavy metal detection sensor, five kinds of sensors were fabricated by varying the amount of bismuth powder having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6-75 nm in order to select an appropriate content of the bismuth powder labeled on the conductive layer. Stripping voltammetry was performed on Cd and Pb ions.

도 2는 비스무스 분말의 함량에 따른 산화 스트리핑 전압전류법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oxidation stripping voltammetry according to the content of bismuth powder.

도 2를 참조하면, 모든 금속 이온들에 대하여 비스무스의 함량이 0.125 μg 일 경우 가장 낮은 스트리핑 산화전류 값을 나타내었으며, 비스무스 함량이 점차 증가함에 전류 값도 증가하다가 0.5 μg에서 최대치를 나타낸 후, 그 이상의 함량에서는 다시 감소하였다. Referring to FIG. 2, when the bismuth content is 0.125 μg for all metal ions, the lowest stripping oxidation current value is shown. As the bismuth content gradually increases, the current value also increases and then shows a maximum value at 0.5 μg. In the above content, it decreased again.

하기 표 2는 표지된 비스무스 분말의 함량에 따른 센서의 산화전류 값의 재현성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Table 2 below shows the reproducibility test results of the oxidation current value of the sensor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labeled bismuth powder.

Bi weight (μg)Bi weight (μg) R (%)R (%) ZnZn CdCD PbPb 0.1250.125 162162 4242 6565 0.20.2 9797 103103 9898 0.50.5 105105 9999 110110 1.01.0 8888 120120 116116 2.02.0 5858 9696 9797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스무스의 함량이 0.2 ~ 0.5 μg 사이인 센서의 산화전류 값은 5회의 반복 측정 후에도 우수한 재현성을 나타내는 반면, 비스무스의 함량이 0.2 μg 미만인 센서와 0.5 μg 초과인 센서들에서는 초기값으로부터 많이 벗어난 결과가 관측되었다. As shown in Table 2, the oxidation current value of the sensor having a bismuth content of 0.2 to 0.5 μg shows excellent reproducibility even after five repeated measurements, while the sensor having a bismuth content of less than 0.2 μg and more than 0.5 μg In Esau, much deviation from the initial value was observed.

따라서, 도2와 표2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비스무스 분말이 0.2 μg 이상부터 0.5 μg 이하의 함량을 가지고 도전층 상에 표지 되었을 경우가 가장 좋은 센서 감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Accordingly, it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shown in FIG. 2 and Table 2 that the best sensor sensitivity is obtained when the bismuth powder is labeled on the conductive layer with a content of 0.2 μg or more and 0.5 μg or less.

비스무스Bismuth 분말의 입자크기 분포에 따른 센서 감도 Sensor sensitivity according to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powder

중금속 감지용 센서를 제조 시, 도전층 상에 표지되는 비스무스 분말의 입자크기 분포에 따른 센서의 분석화학적 성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입자크기 분포를 가지는 비스무스 분말 군을 형성하여 Zn, Cd, Pb 이온을 대상으로 스트리핑 전압전류법을 실시하였다.In order to investigate the analytical and chemical performance of the sensor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bismuth powder labeled on the conductive layer when manufacturing the heavy metal detection sensor, Zn, Cd, Pb by forming a group of bismuth powder having a different particle size distribution Stripping voltammetry was performed on the ions.

서로 다른 입자크기 분포를 가지는 비스무스 분말 군들을 증류수에 분산시켜 0.02 g/L의 비스무스 분말 수용액을 만든 후, 수용액 중 10 μL를 도전층 표면에 적하하여 작업전극을 준비하였다.Bismuth powder groups having different particle size distributions were dispersed in distilled water to make 0.02 g / L of bismuth powder aqueous solution, and 10 μL of the aqueous solution was dropped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layer to prepare a working electrode.

도 3 및 4는 서로 다른 입자크기 분포를 갖는 비스무스 분말이 표지된 센서를 이용하여 각 금속 이온의 농도를 0, 20, 40 ppb로 증가시키며 선형주사 전류전압법을 실시해 얻은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6~75 nm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비스무스 분말의 경우에 관한 그래프이고, 도 4는 300 nm 이상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비스무스 분말의 경우에 관한 그래프이다.3 and 4 are graphs showing the results of analysis obtained by performing linear scanning current voltammetry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each metal ion to 0, 20 and 40 ppb using a sensor labeled with bismuth powder having different particle size distributions. . FIG. 3 is a graph of a bismuth powder having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6 to 75 nm, and FIG. 4 is a graph of a bismuth powder having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300 nm or more.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각 금속 이온의 농도를 20 ppb씩 증가시켜 갈 때, 6~75 nm의 입자크기 분포를 가지는 센서는 모든 금속 이온들에 대한 산화 정점 전류가 비례적으로 증가함을 보이고 잘 정의된 봉우리 형태의 전압전류곡선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300 nm 이상의 분포를 가지는 센서는 띠넓힘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서 정점전류의 비례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concentration of each metal ion is increased by 20 ppb, the sensor having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6 to 75 nm shows that the oxidative peak current for all metal ions increases proportionally. It can be seen that the voltage-current curve of the defined peak shape is shown. However, as shown in FIG. 4, the band-width widening phenomenon of the sensor having a distribution of 300 nm or more was found to be inferior in proportionality of peak current.

하기 표 3은 입자크기 분포가 다른 비스무스 분말 군이 표지된 센서를 이용하여 20 ppb의 Zn, Cd, Pb 이온이 포함된 용액에 대해서 측정된 스트리핑 산화전류(I) 값과 재현성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Table 3 below shows stripping oxidation current (I) values and reproducibility test results measured for a solution containing 20 ppb of Zn, Cd, and Pb ions using a sensor labeled with bismuth powder groups having different particle size distributions. .

입자크기 분포 (nm)Particle Size Distribution (nm) ZnZn CdCD PbPb R (%)R (%) I (μA)I (μA) R (%)R (%) I (μA)I (μA) R (%)R (%) I (μA)I (μA) 6 - 756-75 9797 9.89.8 103103 10.510.5 9999 5.95.9 6 - 1306-130 103103 10.610.6 112112 10.610.6 9696 5.45.4 6 - 3006-300 9595 9.69.6 103103 10.010.0 105105 5.95.9 Wide distributionWide distribution 9696 4.64.6 6262 0.90.9 9595 6.86.8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표지된 비스무스 분말이 6~75 nm부터 6~300 nm의 크기 분포를 가지는 경우는 모든 금속 이온들에 대해 산화전류 값의 재현성이 비교적 우수한 정확도를 나타내는 반면, 300 nm 이상의 넓은 크기 분포를 가지는 경우에는 특히, Cd 이온에 대해 매우 큰 차이를 가지고 측정되었다. 따라서, 동시분석을 위해서는 상기 비스무스 분말이 최소한 6-300 nm 이하의 입자크기 분포를 갖고 있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3, when the labeled bismuth powder has a size distribution of 6 to 75 nm to 6 to 300 nm, the reproducibility of the oxidation current value for all metal ions is relatively excellent, whereas 300 nm In the case of having the above wide size distribution, in particular, it was measured with a very large difference for the Cd ion.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bismuth powder should have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at least 6-300 nm for simultaneous analysis.

비스무스Bismuth 분말 표지를 위한 분산 용매에 따른 센서 감도 Sensor sensitivity according to disperse solvent for powder labeling

중금속 감지용 센서를 제조 시, 도전층 상에 비스무스 분말 표지를 위한 분산 용매에 따른 센서의 분석화학적 성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용매를 사용하여 비스무스 분말을 도전층 상에 표지한 후, Zn, Cd, Pb 이온을 대상으로 스트리핑 전압전류법을 실시하였다. In manufacturing the heavy metal detection senso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nalytical and chemical performance of the sensor according to the dispersion solvent for the bismuth powder label on the conductive layer, after labeling the bismuth powder using a different solvent on the conductive layer, Zn, Stripping voltammetry was performed on Cd and Pb ions.

6 ~ 75 nm의 입자크기 분포를 가지는 비스무스 분말을 서로 다른 용매에 분산시켜 0.02 g/L의 비스무스 분말 용액을 만든 후, 용액 중 10 μL를 도전층 상에 적하하여 센서를 준비하였다.A bismuth powder having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6 to 75 nm was dispersed in different solvents to prepare a 0.02 g / L bismuth powder solution, and then 10 μL of the solution was dropped on the conductive layer to prepare a sensor.

하기 표4은 용매의 종류에 따른 스트리핑 산화전류(I) 값과 재현성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Table 4 shows stripping oxidation current (I) values and reproducibility test results according to the types of solvents.

분산 용매Dispersing solvent ZnZn CdCD PbPb R (%)R (%) I (μA)I (μA) R (%)R (%) I (μA)I (μA) R (%)R (%) I (μA)I (μA) H2OH 2 O 9797 9.89.8 103103 10.510.5 9999 5.95.9 H2O + 0.24% NafionH 2 O + 0.24% Nafion 110110 26.526.5 9797 25.325.3 105105 12.512.5 H2O + 0.45% NafionH 2 O + 0.45% Nafion 110110 28.828.8 9393 26.326.3 106106 15.915.9 EthanolEthanol 9292 7.37.3 4040 7.87.8 3636 4.94.9 Ethanol + 0.24% NafionEthanol + 0.24% Nafion -- -- 6363 6.16.1 7474 1.11.1 Ethanol + 0.45% NafionEthanol + 0.45% Nafion -- -- 7575 6.66.6 7979 2.22.2 ChloroformChlororoform 305305 1.71.7 8787 7.27.2 7878 5.55.5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탄올(ethanol)과 클로로포름(chloroform)을 분산 용매로 사용하였을 경우, 센서의 분석화학적 성능이 많이 떨어지는 반면, 증류수를 분산 용매로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매우 좋은 반응감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4, when ethanol and chloroform were used as the dispersion solvent, the analytical and chemical performance of the sensor was much lower, whereas when distilled water was used as the dispersion solvent, the reaction sensitivity was very good. You can see that.

특히, 소량의 이온투과성 고분자 바인더가 첨가된 증류수를 분산 용매로 사용하였을 경우, 이온투과성 고분자 바인더 수용액에는 모든 금속 이온들에 대한 스트리핑 산화전류 값이 매우 높아지며, 그 센서 감도가 더욱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particular, when distilled water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ion-permeable polymer binder was used as a dispersion solv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ipping oxidation current value for all metal ions was very high in the ion-permeable polymer binder aqueous solution, and the sensor sensitivity was further improved. .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는 센서의 정확도 및 신뢰성이 우수하고, 제조 공정 효율이 우수하다. 한편, 일회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According to the above, the water quality sensor for heavy metal de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sensor, and excellent in manufacturing process efficiency. On the other hand, it is suitable for single use.

또한, 상기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는 무해한 비스무스 분말을 포함하므로써, 종래의 수은 전극 등을 대체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In addition, the water quality sensor for detecting heavy metals includes harmless bismuth powder, so that it is possible to replace conventional mercury electrodes and the lik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such descriptions. This is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a water quality sensor for heavy metal de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비스무스 분말의 함량에 따른 산화 스트리핑 전압전류법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oxidation stripping voltammetry according to the content of bismuth powder.

도 3은 6~75 nm의 입자크기 분포를 갖는 비스무스 분말이 표지된 센서를 이용하여 각 금속 이온의 농도를 0, 20 및 40 ppb로 각각 증가시키며 선형주사 전류전압법을 실시해 얻은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Figure 3 shows the analysis results obtained by performing a linear scanning current voltage method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each metal ion to 0, 20 and 40 ppb using a sensor labeled bismuth powder having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6 ~ 75 nm, respectively It is a graph.

도 4는 300 nm 이상의 입자크기 분포를 갖는 비스무스 분말이 표지된 센서를 이용하여 각 금속 이온의 농도를 0, 20 및 40 ppb로 각각 증가시키며 선형주사 전류전압법을 실시해 얻은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4 is a graph showing an analysis result obtained by performing a linear scanning current voltage method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each metal ion to 0, 20 and 40 ppb, respectively, using a sensor labeled with bismuth powder having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300 nm or more.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00: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100: Water quality sensor for heavy metal detection

110: 베이스 부재 120: 도전층110: base member 120: conductive layer

122: 제1 도전층 영역 124: 제2 도전층 영역122: first conductive layer region 124: second conductive layer region

130: 절연층 140: 비스무스층 130: insulating layer 140: bismuth layer

Claims (16)

베이스 부재;A base member;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고,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도전층;A conductive layer formed on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상기 도전층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도전층 상에 형성된 절연층; 및An insulating layer formed on the conductive layer to expose a portion of the conductive layer; And 상기 노출된 도전층의 일 영역 상에 형성되고 비스무스(bismuth, Bi) 분말을 포함하는 비스무스층을 구비한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A water quality sensor for detecting heavy metals having a bismuth layer formed on one region of the exposed conductive layer and including bismuth (Bi) powd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베이스 부재는 고분자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The base member is a water quality sensor for heavy metal det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ymer fil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도전성 물질은 도전성 카본 잉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 The conductive material is a heavy metal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uctive carbon ink.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베이스 부재는 막대 형상을 갖고 상기 도전층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장변과 평행하게 상기 베이스 부재 면에 형성되어 스트라이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The base member has a rod shape and the conductive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member in parallel with the long side of the base member having a stripe shape, the water quality sensor for heavy metal detection.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절연층은 상기 도전층의 양 말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도전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And the insulating layer is formed on the conductive layer so that both ends of the conductive layer are exposed.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양 말단부 중 어느 하나의 말단부 상에 상기 비스무스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The water quality sensor for heavy metal det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ismuth layer is formed on either end of the both end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도전층의 두께는 20 내지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is a water quality sensor for heavy metal detection, characterized in that 20 to 100 ㎛.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비스무스층은 단위면적(1cm2) 당 2 내지 5 ㎍의 비스무스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The bismuth layer is heavy metal detection water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2 to 5 μg of bismuth powder per unit area (1 cm 2 ).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비스무스층 내에 포함되는 비스무스 분말의 총 중량은 0.2 내지 0.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The total weight of the bismuth powder contained in the bismuth layer is a water detection sensor for heavy metals, characterized in that 0.2 to 0.5 ㎍.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비스무스층은 6 내지 300 nm의 입자 크기를 갖는 비스무스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 The bismuth layer is heavy metal sensing water quality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ismuth powder having a particle size of 6 to 300 n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비스무스층은 이온투과성 고분자 바인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The bismuth layer is heavy metal detection water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n ion-permeable polymer binder.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이온투과성 고분자 바인더는 나피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The ion permeable polymer binder is Nafion, the water quality sensor for heavy metal detection. 베이스 부재의 일면의 일부 영역 상에 도전성 물질을 프린팅(printing)하여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Prin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to form a conductive layer; 상기 도전층의 일 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절연물질을 프린팅하여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Forming an insulating layer by printing an insulating material on the base member to expose one region of the conductive layer; 분산용매에 비스무스 분말을 분산시켜 비스무스 분산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Dispersing bismuth powder in a dispersion solvent to prepare a bismuth dispersion; And 상기 비스무스 분산액을 상기 노출된 도전층의 일 영역 상에 적하하여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의 제조 방법. And dropping the bismuth dispersion onto a region of the exposed conductive layer to dry the bismuth dispersion.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분산용매는 0.1 내지 10%의 농도를 갖는 이온투과성 고분자 바인더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의 제조 방법. The dispersion solvent is a method for producing a heavy metal detection water quality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aqueous ion-permeable polymer binder aqueous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0.1 to 10%.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분산용매는 증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의 제조 방법. The dispersion solvent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ater quality sensor for heavy metal det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illed water.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비스무스 분말은 가스응축법(gas condensation)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감지용 수질 센서의 제조 방법. The bismuth powder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water quality sensor for heavy metal detection, characterized in that produced by gas condensation (gas condensation).
KR1020080014011A 2007-05-16 2008-02-15 Water quality sensor detecting heavy met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447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21,016 US8128794B2 (en) 2007-05-16 2008-05-15 Water pollution sensor for detecting heavy met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700 2007-05-16
KR20070047700 2007-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648A KR20080101648A (en) 2008-11-21
KR100944779B1 true KR100944779B1 (en) 2010-02-26

Family

ID=40287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011A KR100944779B1 (en) 2007-05-16 2008-02-15 Water quality sensor detecting heavy met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77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84800A (en) * 2016-04-28 2016-07-20 无锡昊瑜节能环保设备有限公司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for heavy metal content of industrial water quality
CN115047053A (en) * 2022-04-13 2022-09-13 哈尔滨工业大学 Preparation method of bismuth-containing screen-printed electrode and application of bismuth-containing screen-printed electrode in heavy metal ion dete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628B1 (en) 2000-07-19 2002-08-07 최세영 Chalconitride Glass Electrodes for Selective Heavy Metal Ion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541748B1 (en) 2003-12-10 2006-0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Acrylamides Monomer and Thermoresponsive Acrylamides Polymer Prepared by Using Same
KR20060104939A (en) * 2005-03-28 2006-10-0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Heavy metal-inducible promoter and its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628B1 (en) 2000-07-19 2002-08-07 최세영 Chalconitride Glass Electrodes for Selective Heavy Metal Ion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541748B1 (en) 2003-12-10 2006-0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Acrylamides Monomer and Thermoresponsive Acrylamides Polymer Prepared by Using Same
KR20060104939A (en) * 2005-03-28 2006-10-0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Heavy metal-inducible promoter and its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648A (en) 200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8794B2 (en) Water pollution sensor for detecting heavy met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ousavi et al. Comparison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and Poly (3‐octylthiophene) as Ion‐to‐Electron Transducers in All‐Solid‐State Potassium Ion‐Selective Electrodes
Cui et al. Effect of pre-treatment on the surface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screen-printed carbon paste electrodes
Bobacka et al. Plasticizer-free all-solid-state potassium-selective electrode based on poly (3-octylthiophene) and valinomycin
Paczosa-Bator et al. Platinum nanoparticles intermediate layer in solid-state selective electrodes
Zhang et al. Application of multielectrode array modified with carbon nanotubes to simultaneous amperometric determination of dihydroxybenzene isomers
US7422646B2 (en) Electrochemical sensor with dry ionomer membrane and methodfor making the same
Dong et al. Highly sensitive electrochemical stripping analysis of methyl parathion at MWCNTs–CeO2–Au nanocomposite modified electrode
Gheibi et al. A new voltammetric sensor for electrocatalytic determination of vitamin C in fruit juices and fresh vegetable juice using modified multi-wall carbon nanotubes paste electrode
US11307163B2 (en) Carbon nanotube based reference electrodes and all-carbon electrode assemblies for sensing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Mazzaracchio et al. All-solid state ion-selective carbon black-modified printed electrode for sodium detection in sweat
Liu et al. A solid-contact Pb2+-selective electrode based on electrospun polyaniline microfibers film as ion-to-electron transducer
Yukird et al. 3D paper-based microfluidic device: a novel dual-detection platform of bisphenol A
Paczosa-Bator Effects of type of nanosized carbon black on the performance of an all-solid-state potentiometric electrode for nitrate
Hanafi et al. Electrochemical sensor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A review
Petroni et al. Paper‐based Electrochemical Devices Coupled to External Graphene‐Cu Nanoparticles Modified Solid Electrode through Meniscus Configuration and their Use in Biological Analysis
Jaworska et al. Polypyrrole nanoparticles based disposable potentiometric sensors
Sýs et al. Electrochemical characterisation of novel screen-printed carbon paste electrodes for voltammetric measurements
US20150027906A1 (en) Solid polymer electrolyte ammonia sensor
Mahmoud et al. Design of solid‐contact ion‐selective electrode with graphene transducer layer for the determination of flavoxate hydrochloride in dosage form and in spiked human plasma
US10054561B2 (en) Device for detection of ionic conductivity and its applied measurement
Palanisamy et al. Selective and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dihydroxybenzene isomers based on green synthesized gold nanoparticles decorated reduced graphene oxide
KR100944779B1 (en) Water quality sensor detecting heavy met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60153101A1 (en) Electrochemical Concentration of Lanthanide and Actinide Elements
US10295497B2 (en) Organic membrane based screen printed microchip for potentiometric determination of l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