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3267B1 - 백라이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3267B1
KR100943267B1 KR1020030070841A KR20030070841A KR100943267B1 KR 100943267 B1 KR100943267 B1 KR 100943267B1 KR 1020030070841 A KR1020030070841 A KR 1020030070841A KR 20030070841 A KR20030070841 A KR 20030070841A KR 100943267 B1 KR100943267 B1 KR 100943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s
sensor unit
lamp
backlight assembly
bas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0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5015A (ko
Inventor
김희곤
이상훈
송시준
박종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0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267B1/ko
Publication of KR20050035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Abstract

램프의 누설 전류를 검출하는 센서부의 센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개시되어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발생하는 복수의 램프를 구비하는 램프 어셈블리, 복수의 램프 각각의 누설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부, 센서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홈을 갖는 수납용기를 포함한다. 센서부는 검출된 누설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도전 라인을 구비하며, 수납홈에는 도전 라인과 대응하여 개구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전 라인과 수납용기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류의 누설을 방지하여 센서 감도를 향상시키며, 램프 구동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 센서부, 수납홈, 개구부

Description

백라이트 어셈블리{BACKLIGHT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센서부의 제1 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센서부의 제2 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수납용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수납용기와 센서부의 수납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뒤집어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램프 어셈블리 110 : 램프
120, 122 : 전원공급모듈 200 : 수납용기
222 : 수납홈 224 : 개구부
300 : 센서부 310 : 베이스 기판
320 : 센서 330 : 도전 라인
400 : 전원 발생부 410 : 연성 회로기판
500 : 반사 시트 600 : 백라이트 어셈블리
700 : 디스플레이 유닛 710 : 액정표시패널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병렬 구동되는 복수의 램프의 작동 특성을 감지하여 기 설정된 작동 특성 이하로 작동하는 램프가 존재할 경우, 모든 램프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는 액정(Liquid Crystal, LC)을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평판 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의 하나이다.
최근 들어, 액정표시장치의 사이즈가 대형화됨에 따라서 액정표시패널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사이즈도 증가되고 있다. 그 결과,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의 후면에서 나란하게 배열되어 액정표시패널로 직접 광을 제공하는 복수의 램프를 갖는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널리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램프 개수의 증가에 따라, 복수의 램프를 병렬 배치 및 병렬 배치된 램프를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하고, 1 개 또는 2 개의 인버터로 복수의 램프를 동시에 점등하는 병렬 구동 방식을 갖는 액정표시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의 액정표시장치는 인버터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장점을 갖는 대신, 복수의 램프 중 어느 한 개가 소등되었을 때 나머지 램프에 과전류가 인가되어 정상 작동하는 램프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램프 파손 또는 화재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각 램프의 누설 전류를 검출하여 복수개의 램프 중 어느 하나라도 소등되면 모든 램프를 강제로 소등시키는 기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각 램프의 누설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부는 실장 방식에 따라 누설 전류의 검출 값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센서부가 실장되는 수납용기와의 상호 영향력에 의해, 센서 감도의 불균일이 발생한다. 이러한 센서 감도의 불균일은 램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로의 오동작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병렬 구동되는 각 램프의 누설 전류를 측정하는 센서부의 센서 감도를 향상시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램프 어셈블리, 센서부, 수납용기 및 전원 발생부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 어셈블리는 광을 발생하는 복수의 램프 및 상기 복수의 램프의 양 단부를 고정하며, 상기 양 단부에 램프 구동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공급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복수의 램프 각각의 누설 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전원 발생부에 검출 값을 피드 백한다.
상기 수납용기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측벽으로 이루어져 상기 램프 어셈블리를 수납하고,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센서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의 일부 영역에는 상기 센서부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전원 발생부는 상기 수납용기의 배면에 실장되며, 상기 램프 구동전압을 발생시켜 상기 전원공급모듈로 인가한다.
이러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따르면, 각 램프의 누설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부가 실장되는 수납홈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센서부와 상기 수납용기 사이에서 발생하는 누설 전류를 감소시켜 상기 센서부의 센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600)는 램프 어셈블리(100), 수납용기(200), 센서부(300) 및 전원 발생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 어셈블리(100)는 광을 발생하는 복수의 램프(110) 및 상기 복수의 램프(110)의 양 단부를 고정하고 상기 양 단부에 램프 구동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공급모듈(120,122)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램프(110)는 병렬 방식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각각의 램프(110)는 튜브 형상을 갖는 램프 몸체(112), 상기 램프 몸체(112)의 제1 단부 표면에 형성된 제1 전극(114) 및 상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램프 몸체(112)의 제2 단부 표면에 형성되는 제2 전극(116)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114) 및 제2 전극(116)은 도금 또는 테이핑 등의 공정을 통해 형성된 외부 전극이다.
상기 전원공급모듈(120,122)은 상기 복수의 램프(110)의 제1 단부에 배치된 제1 전원공급모듈(120) 및 상기 복수의 램프(110)의 제2 단부에 배치된 제2 전원공급모듈(122)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전원공급모듈(120, 122)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4, 116)과 결합되는 클립부(120b, 122b) 및 상기 복수의 클립부(120b, 122b)를 각각 연결하는 고정판(120a, 122a)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클립부(120b, 122b) 및 상기 고정판(120a, 122a)은 상기 전원 발생부(400)로부터 인가된 램프 구동전압을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4, 116)에 인가하기 위하여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판(120a, 122a)에는 상기 전원 발생부(400)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전원선(120c, 122c)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수납용기(200)는 바닥면(220) 및 상기 바닥면(220)으로부터 연장된 네 개의 측벽(230)으로 이루어진 수납공간에 상기 램프 어셈블리(100)를 수납한다. 또한, 상기 수납용기(200)의 바닥면(220)에는 상기 센서부(300)를 수납하기 위한 수 납홈(222)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222)의 일부 영역은 상기 센서부(30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되어 있다.
상기 수납홈(222)에 수납되는 상기 센서부(300)는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베이스 기판(310) 및 상기 베이스 기판(310)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센서(32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센서(320)는 상기 복수의 램프(110)와 일대일 대응하여 상기 램프(110)의 개수만큼 상기 베이스 기판(310) 상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센서(320)는 상기 램프(110)로부터 발생되는 누설 전류를 검출하기 위해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센서부(300)는 나사 체결 또는 양면 테이프 부착 등의 방법으로 상기 수납홈(222)에 고정된다.
상기 전원 발생부(400)는 상기 수납용기(200)의 배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램프(110)를 구동하기 위한 램프 구동전압을 발생시켜 상기 전원공급모듈(120, 122)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전원 발생부(400)는 상기 센서부(300)와 연성 회로기판(410)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센서(320)에서 검출된 각 램프(110)들의 누설 전류 값을 인가 받는다. 여기서, 상기 전원 발생부(400)는 상기 센서부(300)로부터 인가된 각 램프(110)의 누설 전류 값을 이용하여 각 램프(11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며, 만약, 적어도 하나의 램프(110)로부터 정상적인 누설 전류 값이 인가되지 않을 때에는 모든 램프(110)에 램프 구동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방식으로 상기 램프 어셈블리(100)를 보호한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600)는 상기 복수의 램프(110)와 상기 바닥면(220)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 시트(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반사 시트(500) 는 상기 수납용기(200)의 바닥면(220) 상에 전면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램프(110)로부터 발생된 광 중 아래로 향하는 광을 위로 향하도록 반사시킨다. 이때, 상기 반사 시트(500)는 상기 복수의 센서(320)와의 절연을 위해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센서부의 제1 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센서부의 제2 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센서부(300)는 베이스 기판(310), 상기 베이스 기판(310)의 제1 면(300a)에 형성되는 복수의 센서(320) 및 상기 복수의 센서(320) 각각에 연결되어 연장되는 복수의 도전 라인(33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기판(310)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램프(110)와 마주보는 제1 면(310a) 및 상기 제1 면(310a)의 반대 면인 제2 면(310b)을 갖는다. 상기 제1 면(310a)에는 상기 복수의 센서(320)가 상기 복수의 램프(110) 각각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센서(320)와 각각 연결된 상기 복수의 도전 라인(330)은 상기 제1 면(310a)을 통해 소정 거리까지 연장된 후, 상기 제1 면(310a)과 상기 제2 면(310b)을 연결하기 위해 형성된 비아 홀(via hole)(미도시)을 통해 상기 제2 면(310b)으로 인출된다. 이후, 상기 제2 면(310b)을 따라 소정 거리만큼 연장된다. 이때, 상기 제1 면(310a)에 형성되는 각각의 도전 라인(330)은 상기 제2 면(310b)에서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다른 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각각의 도전 라인(330)은 상기 연성 회로기판(410)과의 연결을 위하여 일정 영역으로 모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베이스 기판(310)의 제1 면(310a)에 형성되는 제1 접지층(340) 및 상기 제2 면(310b)에 형성되는 제2 접지층(3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지층(340)은 전기가 통할 수 있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면(310a) 상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센서(320) 및 상기 도전 라인(330)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제1 접지층(340)은 센서(320)와 센서(320) 사이 또는 도전 라인(330)과 도전 라인(330) 사이에서 발생되는 누설 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센서(320)의 센서 감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베이스 기판(310)의 제2 면(310b)에는 상기 제1 접지층(340)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2 접지층(350)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접지층(350)은 상기 제1 면(310a)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센서(320)와 대응되는 영역 및 상기 제2 면(310b)에 형성된 상기 도전 라인(330)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제2 접지층(350)은 상기 복수의 도전 라인(330) 간에 발생되는 누설 전류를 차단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320)에서 검출된 상기 램프(110)의 누설 전류의 손실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접지층(340)과 상기 제2 접지층(350)은 상기 베이스 기판(310)의 측면을 따라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접지층(350)은 그라운드(GND)와 접지되어 있는 상기 수납용기(200)와 접촉됨으로써, 그라운드(GND) 레벨로 접지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수납용기(200)의 수납홈(222)에 수납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수납용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수납용기와 센서부의 수납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용기(200)는 바닥면(220) 및 상기 바닥면(220)으로부터 연장된 네 개의 측벽(2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면(220)에는 상기 수납용기(200)에 실장되는 복수의 램프(11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센서부(30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홈(222)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홈(222)은 상기 센서부(300)를 수납하기 위해 상기 바닥면(220)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상기 수납용기(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300)의 두께만큼 돌출되어 상기 센서부(300)가 실장될 때, 상기 수납용기(200)의 바닥면(220)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납홈(222)의 일부 영역에는 상기 센서부(300)와의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개구부(224)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그라운드(GND)와 접지되어 있는 상기 수납용기(200)에 수납된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복수의 센서(320)에서 검출된 누설 전류가 상기 도전 라인(330)을 통해 전달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납용기(200)로 다시 누설됨으로 인해 센서 감도가 약해지며, 또한, 각 도전 라인(330)의 길이가 다름으로 인해 센서 감도의 불균일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도전 라인(330)이 형성된 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개구부(224)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도전 라인(330)과 상기 수납용기(200) 사이에서 발생되는 누설 전류를 제거한 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개구부(224)는 하나의 직사각형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나, 상기 도전 라인(330)과 상기 수납용기(200)가 중첩되는 영역을 최소화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개구부(224)의 다양한 변형도 가능하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뒤집어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수납용기(200)의 바닥면(220)에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바닥면(220)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외측으로 돌출된 수납홈(222)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222)에는 센서부(300)가 실장된다. 이때, 상기 센서부(300)의 일부는 상기 수납홈(222)의 일부 영역이 절개되어 형성된 개구부(22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전원 발생부(400)는 상기 수납용기(200)의 배면 상에 상기 수납홈(222)의 일측으로 치우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전원 발생부(400)에는 상기 전원공급모듈(120, 122)로부터 인출된 전원선(120c, 122c)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전원 발생부(400)와 상기 센서부(300)는 연성 회로기판(410)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부(300)의 제2 면(310b)은 상기 개구부(22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2 면(310b)에 형성된 복수의 도전 라인(330) 또한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연성 회로기판(410)의 일단은 상기 복수의 도전 라인(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연성 회로기판(410)의 타단은 상기 전원 발생부(40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성 회로기판(410)은 솔더링, 이방성 도전 필름(ACF) 또는 커넥터 등을 이용하여 상기 센서부(300) 및 상기 전원 발생부(400) 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300)로부터 검출된 각 램프(110)의 누설 전류 값은 상기 연성 회로기판(410)을 통해 상기 전원 발생부(400)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수납홈(222)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226)은 상기 센서부(300)의 실장을 위해 개구되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부(300)가 상기 수납홈(222)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용기(200)에는 반사 시트(500) 및 램프 어셈블리(100)가 순차적으로 실장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센서부(300)의 교환을 위해서는 상기 램프 어셈블리(100) 및 반사 시트(500)를 분리한 후, 상기 센서부(300)를 교환하여야 하는 불편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홈(222)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226)에 상기 센서부(300)의 출입이 가능한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600)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센서부(300)의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램프 어셈블리, 센서부, 수납용기, 전원 발생부에 대한 구성은 상술한 백라이트 어셈브리의 실시예와 동일함으로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90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700),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700)으로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60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700)을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600)에 고정하기 위한 탑 샤시(80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700)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패널(710), 상 기 액정표시패널(71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및 게이트 인쇄회로기판(720, 7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데이터 및 게이트 인쇄회로기판(720, 730)은 데이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 이하, TCP)(740) 및 게이트 TCP(750)를 통해 상기 액정표시패널(7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710)은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이하, TFT) 기판(712), 상기 TFT 기판(712)과 대향하여 결합되는 컬러필터 기판(714) 및 상기 두 기판(712, 714)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TFT 기판(712)은 스위칭 소자인 TFT(미도시)가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투명한 유리기판이다. 상기 TFT들의 소오스 및 게이트 단자에는 각각 데이터 및 게이트 라인이 연결되고, 드레인 단자에는 투명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화소전극(미도시)이 연결된다.
상기 컬러필터 기판(714)은 색화소인 RGB 화소(미도시)가 박막공정에 의해 형성된 기판이다. 상기 컬러필터 기판(714)의 전면에는 투명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공통전극(미도시)이 도포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700)의 하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700)에 균일한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600)가 구비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600)는 램프 어셈블리(100)를 수납하기 위한 제1 고정부재(610), 상기 램프 어셈블리(100)로부터 발생된 광을 확산하기 위한 확산판(620), 상기 확산판(620) 상에 구비되어 광의 휘도 및 시야각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수의 광학 시트(630) 및 상기 확산판(620)과 다수의 광학 시트(630)를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부재(6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부재(610)는 상기 램프 어셈블리(100)를 수납하여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수납용기(200)와 체결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재(610)는 상면에 상기 확산판(620) 및 다수의 광학 시트(630)를 수납하기 위한 단턱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고정부재(610)는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가지나, 네 개의 막대 형상으로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수납용기(200)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광학 시트(630)는 상기 확산판(620)을 통과한 광을 다시 한번 확산하기 위한 확산 시트 및 확산된 광을 집광하기 위한 프리즘 시트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고정부재(640)는 상기 확산판(620) 및 다수의 광학 시트(630)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수납용기(200)와 체결되며, 상면에는 상기 액정표시패널(710)의 수납을 가이드하기 위한 단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고정부재(640)에 안착된 상기 액정표시패널(710)은 상기 탑 샤시(800)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따르면, 각 램프의 누설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부가 실장되는 수납홈에 도전 라인과 대응하여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도전 라인과 상기 수납용기 사이에서 발생하는 누설 전류를 제거하여 상기 센서부의 센서 감도를 향상시키며, 램프 구동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광을 발생하는 복수의 램프 및 상기 복수의 램프의 양 단부를 고정하며 상기 양 단부에 램프 구동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공급모듈을 구비하는 램프 어셈블리;
    상기 복수의 램프 각각의 누설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부;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측벽으로 이루어져 상기 램프 어셈블리를 수납하고,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센서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의 일부 영역에는 상기 센서부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수납용기; 및
    상기 수납용기의 배면에 실장되며, 상기 램프 구동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원 발생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베이스 기판;
    상기 복수의 램프와 마주보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제1 면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램프와 일대일 대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센서; 및
    상기 복수의 센서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면의 반대 면인 상기 베이스 기판의 제2 면으로 인출되어 연장되는 복수의 도전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복수의 도전 라인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제1 면 중 상기 복수의 센서 및 상기 도전 라인의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는 제1 접지층;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제2 면 중 상기 복수의 센서에 대응된 영역 및 상기 도전 라인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는 제2 접지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와 상기 전원 발생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성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베이스 기판의 제2 면에 형성된 상기 도전 라인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램프 각각은 상기 양 단부에 형성된 외부전극을 가지며, 상기 외부전극은 상기 전원공급모듈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램프와 상기 바닥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램프에서 발생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 시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 시트는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20030070841A 2003-10-11 2003-10-11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0943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841A KR100943267B1 (ko) 2003-10-11 2003-10-11 백라이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841A KR100943267B1 (ko) 2003-10-11 2003-10-11 백라이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015A KR20050035015A (ko) 2005-04-15
KR100943267B1 true KR100943267B1 (ko) 2010-02-23

Family

ID=37238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841A KR100943267B1 (ko) 2003-10-11 2003-10-11 백라이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32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117B1 (ko) * 2005-10-21 2007-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41123B1 (ko) * 2006-12-15 2013-1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404651B1 (ko) * 2007-11-28 2014-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6598626B2 (ja) * 2015-10-09 2019-10-30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ディスプレイおよびマルチ画面ディスプレ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748A (ko) * 1999-01-14 2000-08-05 윤종용 직하 방식의 액정표시장치
KR20020078355A (ko) * 2001-04-09 2002-10-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40110260A (ko) * 2003-06-18 2004-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50024529A (ko) * 2003-09-03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748A (ko) * 1999-01-14 2000-08-05 윤종용 직하 방식의 액정표시장치
KR20020078355A (ko) * 2001-04-09 2002-10-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40110260A (ko) * 2003-06-18 2004-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50024529A (ko) * 2003-09-03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015A (ko) 200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5593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US7832884B2 (en) Backlight assembly having improved heat releasing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070023271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14183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43914A (ko) 액정 표시 장치
US8085378B2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KR100943267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060019653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110107092A (ko) 몰드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장치
KR2007000580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70025669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936174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0948622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60012204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0913302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0559966B1 (ko) 인쇄회로기판 수납공간이 형성된 도광판이 적용된 액정표시모듈
KR100975811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034044A (ko) 표시 장치
KR101002931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080996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51981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
KR101382398B1 (ko) 램프고정부 및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KR20060016877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50019194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50024073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