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2370B1 - Method for changeable water pipe and structure of water service box assembly therefor - Google Patents

Method for changeable water pipe and structure of water service box assembly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370B1
KR100942370B1 KR1020090078203A KR20090078203A KR100942370B1 KR 100942370 B1 KR100942370 B1 KR 100942370B1 KR 1020090078203 A KR1020090078203 A KR 1020090078203A KR 20090078203 A KR20090078203 A KR 20090078203A KR 100942370 B1 KR100942370 B1 KR 100942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connector
water pipe
cover
distribu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2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옥수
Original Assignee
강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옥수 filed Critical 강옥수
Priority to KR1020090078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37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3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changing a water pipe and a structure of a service connection tap assembly for the same are provided to couple a wedge to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ce of a service connection tap connector by forming a pair of supports on the both ends of the wedge. CONSTITUTION: A method for changing a water pipe is constituted as follows. A service connection tap is disassembled and a service connection tap cover is removed(S1). A water pipe is disassembled from a distributor(S2). A service connection tap connector and the water pipe are drawn out from the service connection tap connector cover and the water pipe is discarded. A new water pipe is cut as long as the length between the service connection tap and the distributor. One end of the water pipe is coupled with the service connection tap(S4). The water pipe is inserted into the service connection tap.

Description

수도관의 교체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수전어셈블리의 구조{method for changeable water pipe and structure of water service box assembly therefor}Method for changeable water pipe and structure of water service box assembly therefor}

본 발명은 상하 수도관의 교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실내에 위치하는 분배기와 수전구 사이의 수도관이 균열되는 등의 교체가 필요하거나 하자를 보수하기 위해 수도관을 분리해 내야 하는 등의 필요가 있을 때 벽을 허물거나 하는 등의 필요가 없이 비교적 간단한 공정에 의해 수도관을 교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placing the upper and lower water pipes, and more particularly, replacement of water pipes between the distributor and the water outlet located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requires cracking or separation of the water pipes for repairing defec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replacing a water pipe by a relatively simple process without the need to tear down a wall when there is a need.

건물의 외부 및 건물 내부의 보일러로부터 수전구까지 냉온수를 보내기 위하여, 건물 벽체 내에 분배기를 매설하고 이 분배기로부터 수전구까지의 수도관도 벽체에 매설하기 때문에 수도관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벽체를 허물어야 하는 불편함이 야기된다.In order to send cold and hot water from the boiler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to the faucet, the distributor is buried in the building wall, and the water pipe from the distributor to the faucet is also buried in the wall. Discomfort to tear down is caus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7440호는 일단에 공급수가 유입되는 결합부와; 타단에 수전금구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유입방향과 배출방향이 소정의 각을 이루며; 상기 연결부 외주면에는 수전구 커버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는 대칭분할 면이 연결 부 전면과 접하는 수직축에 대하여 예각을 갖는 위치에 대향 하도록 한 쌍이 형성된 이중관 연결구를 개시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9-0007440 has a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feed water is introduced at one end; A connection portion to which the power receiving bracket is connected at the other end is formed; The inflow direction and the discharge direction form a predetermined angl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with a fastening protrusion for coupling with the power outlet cover; The fastening protrusion discloses a pair of double pipe connectors formed so as to face a position where the symmetrical partition faces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위 제20-2009-0007440호는 수도관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해결되지 않는다.The above 20-2009-0007440 is to facilitate the replacement of the water pipe, but the following problems are not solved.

첫째, 위 제20-2009-0007440호의 명세서 식별번호 <3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중관 연결구(20)의 꺾임정도가 약 135°, 즉, 이중관 연결구(20)의 수직단면으로부터 약 45°정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통상 수전구(10)가 부착되는 벽체의 두께가 200mm이상인 경우는 별문제가 없으나,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체의 두께가 100mm정도이면 수도관(30)이 벽체를 이탈하는 문제가 있어 사실상 사용이 불가능하다.First,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dentification number <34> of No. 20-2009-0007440 above,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double pipe connector 20 is about 135 °, that is, inclined about 45 ° from the vertical section of the double pipe connector (20) Since there is no problem in the case where the thickness of the wall to which the power receiver 10 is attached is 200 mm or more, as shown in FIG. 1, when the thickness of the wall is about 100 mm, the water pipe 30 may be separated from the wall.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use.

따라서, 옹벽의 두께가 100mm정도인 경우에는, 거의 직각으로 꺾인 이중관 연결구(20)를 사용하고 높이방향으로만 이중관을 설치한 뒤 콘크리트를 충진시켜 매설해 버리기 때문에 수도관(30)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나타낸 해칭부 만큼 벽체 또는 옹벽을 허물 수밖에 없었다.Therefore, when the retaining wall has a thickness of about 100 mm, the pipe pipe 30 is replaced by using the double pipe connecting member 20 that is bent at almost right angles and installing the double pipe only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n filling the concrete and embedding the pipe. The hatch shown in Fig. 2 had no choice but to tear down the wall or retaining wall.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중관 연결구(20)가 수전구커버(40)에 수용되어 옹벽에 매설된 경우도 마찬가지로 해칭부 만큼 벽체 또는 옹벽을 허물 수밖에 없다. 이 경우에는 수전구커버(40) 까지 깨야하는 문제가 발생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when the double pipe connecting member 20 is housed in the power receiving cover 40 and embedded in the retaining wall, the wall or retaining wall can be collapsed as much as the hatching part. In this case, a problem arises of breaking up to the power outlet cover 40.

정확하게는, 인중관 연결구(20)가 거의 직각으로 꺾인 상태이기 때문에 수전구커버(40)의 외부로 삽입 및 배출이 어려운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Precisely, because the conduit pipe connector 20 is bent at almost right angles, it is because the structure is difficult to insert and discharge to the outside of the faucet cover 40.

둘째, 이중관 연결구(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돌기로 인해 이중관 연결 구(20) 및 이와 연결된 수도관(30)을 수전구커버(40) 밖으로 빼낼 수는 있으나, 이중관 연결구(20)를 수전구커버(40) 속으로는 삽입할 수 없는 구조이다.Second, due to the fasten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ouble pipe connector 20, the double pipe connector 20 and the water pipe 30 connected thereto may be pulled out of the power outlet cover 40, but the double pipe connector 20 may be removed from the power outlet cover. (40) It is a structure that can not be inserted into.

일반적으로 이중관 연결구(20)와 분배기(미도시)를 연결하는 수도관(30)은 분배기와 이중관 연결구(20)까지의 거리에 맞도록 절단되어 사용된다.In general, the water pipe 30 connecting the double pipe connector 20 and the distributor (not shown) is used to be cut to fit the distance to the distributor and the double pipe connector (20).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도관(30)을 교체함에 있어서, 이중관 연결구(20)로부터 분배기까지의 거리만큼 정확하게 절단한 수도관(30)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우선, 분배기에서 수도관(30)의 일단부를 잡아당겨 결합에 필요한 길이를 확보해야만 한다.In more detail, in order to replace the water pipe 30, in order to mount the water pipe 30 cut precisely by the distance from the double pipe connector 20 to the distributor, first, one end of the water pipe 30 is held by the distributor. The length required for the pull must be secured.

이때, 수도관(30)을 분배기에 결합하기 위해 필요한 길이만큼 더 잡아당기면 이중관 연결구(20)의 입구 쪽으로 수도관(30)이 그 길이만큼 삽입될 필요가 있어야 하는데, 종래의 이중관 연결구(20)의 구조로서는 삽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At this time, if the water pipe 30 is pulled further by the length necessary to couple to the distributor, the water pipe 30 needs to be inserted by the length toward the inlet of the double pipe connector 20,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double pipe connector 20 This is because insertion is impossible.

따라서, 수도관(30)의 교체 및 시공시에도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Therefore, there is a considerable difficulty in the replacement and construction of the water pipe (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100mm 벽체를 사용하면서도 수도관이 벽체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벽체를 허물지 않으면서도 간단한 방법에 의해 수도관을 교체하는 수도관의 교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echnical biases, while using a 100mm wall so that the water pip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all, the water pipe to replace the water pipe by a simple method without breaking down the wall The purpose is to provide a replacement metho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의 외부 및 보일러로부터 유입되는 냉온수를 건물 내부의 수전구까지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와 상기 수전구를 연결하도록 벽체에 매설되는 이중관으로 된 수도관의 교체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전구를 해체하여 건물의 벽체와 상기 수전구 사이에 매개된 수전커버를 제거하는 단계(S1)와; 상기 분배기로부터 상기 수도관을 해체하는 단계(S2)와; 상기 수도관이 연결되고 상기 수전구가 체결되는 수전연결구를 커버하는 수전연결구커버로부터 상기 수전연결구 및 상기 수도관을 인출하고 수도관을 폐기하는 단계(S3)와; 새로운 수도관을 상기 수전구로부터 상기 분배기에 이르는 길이만큼 절단하여 상기 수도관의 일단부를 상기 수전연결구에 결합하는 단계(S4)와; 상기 수전연결구커버를 통해 상기 수도관을 삽입하되, 상기 수전연결구를 상기 수전연결구커버의 내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더 삽입하는 단계(S5)와; 상기 수도관의 타단부를 상기 분배기에 결합시키는 단계(S6)와; 상기 수전연결구를 상기 수전연결 구커버로부터 돌출시킨 상태로 상기 수전연결구의 선단 외주면에 쐐기를 결합하고 상기 수전연결구를 상기 수전연결구커버의 입구선단에 정렬하여 고정하는 단계(S7); 및 상기 수전커버를 개재하여 상기 수전구를 상기 수전연결구와 체결함으로써 수도관의 교체를 완료하는 단계(S8); 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도관의 교체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istributor for distributing cold and hot water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the boiler to the faucet inside the building, and a double pipe embedded in the wall to connect the distributor and the faucet A method of replacing a water pipe, the step of removing the faucet cover between the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faucet by dismantling the faucet (S1); Disassembling said water pipe from said distributor (S2); Extracting the faucet connector and the water pipe from the faucet connector cover which covers the faucet connector to which the water pipe is connected and the faucet is fastened and discards the water pipe (S3); Cutting a new water pipe by the length from the power outlet to the distributor and coupling one end of the water pipe to the power connector (S4); Inserting the water pipe through the faucet connector cover, and further inserting the faucet connector by a predetermined length into the inside of the faucet connector cover (S5); Coupling the other end of the water pipe to the distributor (S6); Coupling the wedg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ucet connector while the faucet connector protrudes from the faucet connector cover, and aligning and fixing the faucet connector to the inlet end of the faucet connector cover (S7); And completing the replacement of the water pipe by fastening the faucet with the faucet connector through the faucet cover (S8). It provides a method of replacing the water pipe, including.

상기와 같이 수도관의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전어셈블리는, 건물의 외부 및 보일러로부터 유입되는 냉온수를 건물 내부의 수전구로 공급하기 위해 분배기와 상기 수전구를 연결하도록 벽체에 매설되는 수전연결커버 및 수전연결구로 구성된 수전어셈블리에 있어서,The faucet assembly to replace the water pipe as described above, the faucet connection cover and faucet embedded in the wall to connect the distributor and the faucet for supplying cold and hot water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the boiler to the faucet inside the building In the faucet assembly consisting of the connector,

상기 수전연결구커버는,The faucet connector cover,

상기 수전구가 결합되는 방향의 입구에 형성되며 상기 수전연결구가 삽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개구부와, 내측에는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어 상기 수전연결구가 수용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 하부에는 상기 분배기와 연결되는 이중관을 포함하고,An opening formed at an inle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ucet is coupled, the opening for allowing the faucet connector to be inserted and discharged therein, a spac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to receive the faucet connector, and a lower portion connected to the distributor. Including double pipe becoming,

상기 수전연결구는,The faucet connector,

상기 수전구가 결합되며 상기 수전연결구커버의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어 상기 수전연결구커버의 상기 개구부에 고정되는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소정의 경사로 절곡되며 그 말단부에는 수도관이 고정되며,The front end is coupled to the front end portion is receiv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power connector connector cover and fixed to the opening of the power connector connector cover, extending from the end portion is bent in a predetermined slope, the water pipe is fixed to the end portion,

상기 수전연결구 선단부 외주면에 결합되어 선단부가 상기 개구부에 고정될 때 개구부를 밀폐하는 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wedge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aucet connector end portion to close the opening when the tip portion is fixed to the opening.

이 경우, 상기 수전연결구는 상기 수전구가 체결되는 단면에 대하여 -5° 내지 20°의 경사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faucet connector preferably has an inclination of -5 ° to 20 ° with respect to the cross section to which the faucet is fastened.

한편, 상기 수전연결구의 선단부 외주면에 결합되는 쐐기는 상기 개구부의 형상에 부합하여 상기 수전연결구커버의 입구선단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wedge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ower receiving connector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inlet end surface of the power receiving connector cover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opening.

이때, 상기 쐐기의 양단에는 쐐기가 상기 수전연결구의 외주면과 접촉을 이루면서 결합되도록 한 쌍의 지지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air of support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wedge such that the wedge is coupled while making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wer receiving connector.

또한, 상기 쐐기는 상기 개구부의 형상에 따라 둘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edge is preferably separated into two or more part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pening.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수도관의 교체방법에 의하면, 벽체 및 옹벽의 두께가 100mm정도인 경우에도 종래와 같이 벽체 및 옹벽을 허물지 않고도 수도관의 보수 하자에 따른 교체 및 시공이 손쉽게 이루어짐에 따라 시공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replacement method of the water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wall and retaining wall thickness is about 100mm, the replacement and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repair defect of the water pipe is easily made without breaking down the wall and retaining wall as in the prior art. Therefore, the construction ability is improved.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are intended to assist in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수도관의 교체방법은, 벽체에 매립된 상태로 수전연결구와 분배기를 연결하는 수도관의 유지보수에 따른 교체시공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replacement method of the water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replacement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maintenance of the water pipe connecting the faucet connector and the distributor in a state buried in the wall to be made easily.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설명은 유지보수에 따른 수도관의 교체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최초 수도관의 시공시에도 적용되는 것은 당연하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a replacement of the water pipe according to the maintenance by way of example, but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obvious that it is also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first water pip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도관의 교체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placing a water pip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도관(30)의 교체방법은, 상기 수전구(10)를 해체하여 건물의 벽체와 상기 수전구(10) 사이에 매개된 수전커버(45)를 제거하는 단계(S1)와; 상기 분배기(500)로부터 상기 수도관(30)을 해체하는 단계(S2)와; 상기 수도관(30)이 연결되고 상기 수전구(10)가 체결되는 수전연결구(200)를 커버하는 수전연결구커버(100)로부터 상기 수전연결구(200) 및 상기 수도관(30)을 인출하고 수도관(30)을 폐기하는 단계(S3)와; 새로운 수도관(30)을 상기 수전구(10)로부터 상기 분배기(500)에 이르는 길이만큼 절단하여 상기 수도관(30)의 일단부를 상기 수전연결구(200)에 결합하는 단계(S4)와;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를 통해 상기 수도관(30)을 삽입하되, 상기 수전연결구(200)를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의 내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더 삽입하는 단계(S5)와; 상기 수도관(30)의 타단부를 상기 분배기(500)에 결합시키는 단계(S6)와; 상기 수전연결구(200)를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로부터 돌출시킨 상태로 상기 수전연결구(200)의 선단 외주면에 쐐기(300)를 결합하고 상기 수전연결구(200)를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의 입구선단에 정렬 하여 고정하는 단계(S7); 및 상기 수전커버(45)를 개재하여 상기 수전구(10)를 상기 수전연결구(200)와 체결함으로써 수도관(30)의 교체를 완료하는 단계(S8); 를 통해 수도관(30)의 교체가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 4, the replacement method of the water pipe 30, the step of dismantling the faucet 10 to remove the faucet cover 45 between the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faucet 10 (S1) Wow; Dismantling the water pipe (30) from the distributor (S2); The faucet connector 200 and the water pipe 30 are drawn out from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which covers the faucet connector 200 to which the water pipe 30 is connected and the faucet 10 is fastened. Discarding (S3); Cutting a new water pipe (30) by the length from the power outlet (10) to the distributor (500) and coupling one end of the water pipe (30) to the power connection connector (200); Inserting the water pipe (30) through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and further inserting the faucet connector (200) into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by a predetermined length (S5); Coupling the other end of the water pipe (30) to the distributor (S6); The wedge 300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faucet connector 200 in a state where the faucet connector 200 protrudes from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and the faucet connector 200 is connected to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Aligning and fixing to the inlet end of the (S7); And the step of completing the replacement of the water pipe (30) by engaging the faucet (10) with the faucet connector 200 via the faucet cover (45) (S8); Replacement of the water pipe 30 is made through.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수도관(30)의 교체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replacing the water pipe 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도 5는 본 발명의 수도관(30) 교체를 위한 수전어셈블리(400)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수도관(30) 교체를 위한 수전어셈블리(400)가 벽체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며, 도 7a, 7b, 7c은 본 발명에 의해 수도관(30)이 수전어셈블리(400) 및 분배기(500)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faucet assembly 400 for replacing the water pip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tate in which the faucet assembly 400 for replacing the water pip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on the wall 7A, 7B, and 7C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pipe 30 is coupled to the faucet assembly 400 and the distributor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수전구(10)를 해체하여 건물의 벽체와 상기 수전구(10) 사이에 매개된 수전커버(45)를 제거하는 단계(S1)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전구(10)와 수전어셈블리(400) 사이에 위치하면서 수전구(10)에 끼워진 상태로 벽체에 부착되어 수전구(10)와 수전어셈블리(400)의 결합상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수전구(10)의 결합상태를 마감하는 수전커버(45)를 해체한다.Disassembling the faucet 10 to remove the faucet cover 45 mediated between the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faucet 10 (S1), as shown in Figure 5 and 6 the faucet ( Positioned between the faucet assembly (10) and the faucet assembly (10) is attached to the wall in the state to be fitted to the wall so that the coupling state of the faucet 10 and the faucet assembly 40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aucet (10) Disassemble the faucet cover 45 to close the state of coupling.

이때, 상기 수전커버(45)가 해체되기 위해서는 수전구(10)가 상기 수전어셈블리(400)로부터 먼저 해체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t this time, in order to disassemble the faucet cover 45, it is obvious that the faucet 10 must be disassembled from the faucet assembly 400 first.

상기 수전어셈블리(400)는 건물의 외부 및 보일러로부터 유입되는 냉온수를 건물 내부의 수전구(10)로 공급하기 위해 분배기(500)와 상기 수전구(10)를 연결하도록 벽체 또는 콘크리트 옹벽에 매설되는 수전연결커버(100) 및 수전연결구(200) 로 구성된다.The faucet assembly 400 is embedded in a wall or concrete retaining wall to connect the distributor 500 and the faucet 10 to supply the cold and hot wa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the boiler to the faucet 10 in the building. It consists of a faucet connection cover 100 and the faucet connector 200.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에는 상기 수전구(10)와 결합되는 수전연결구(200)가 수용되어 있다.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has a faucet connector 200 coupled to the faucet 10 is accommodated.

수전연결구커버(100)에는 상기 수전구(10)가 결합되는 방향의 입구에 형성되며 상기 수전연결구(200)가 삽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개구부(110)가 형성되어 있다.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is formed at an inle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ucet 10 is coupled and has an opening 110 through which the faucet connector 200 is inserted and discharged.

이 경우, 상기 개구부(110)의 형상은 상기 후술하게 되는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에 수용되는 상기 수전연결구(200) 선단부의 하방 길이방향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opening 11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lengthwise downward direction of the front end of the power receiving connector 200 accommodated in the power receiving connector cover 100 to be described later.

이는, 상기 수전연결구(200)가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의 내측으로 삽입 및 배출되는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ensure sufficient space for the faucet connector 200 to be smoothly inserted into and discharged from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그리고,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의 입구 즉 개구부(110)(수전구(10)가 결합되는 방향)는 벽체의 표면과 일치되도록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전커버(45)의 결합만으로 상기 수전구(10)의 결합상태를 마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inlet, that is, the opening 110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ucet 10 is coupled) of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is preferably buried to match the surface of the wall. This is to close the coupling state of the faucet 10 only by the coupling of the faucet cover 45.

또한,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의 내측에는 상기 개구부(110)와 연통되어 상기 수전연결구(200)가 수용된 상태로 수전연결구커버(100)의 내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더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부(120)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space communicates with the opening 110 inside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so that the faucet connector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part 120 is formed.

상기 공간부(120)는 후술하게되는 상기 분배기(500)와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 사이에 연결된 수도관(30)의 교체 및 시공에 따른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도 한다.The space part 120 is to provide ease of replacement and construction of the water pipe 30 connected between the distributor 500 and the power receiving connector cover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공간부(120) 하부에는 상기 분배기(500)와 연결되는 이중관(50)이 연결되어 있다.A double pipe 50 connected to the distributor 50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pace 120.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120) 하부에는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와 상기 분배기(500) 사이를 연결하는 연질의 이중관(50)이 연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 이중관(50)에는 후술하는 상기 수전연결구(200)에 연결된 수도관(30)이 삽입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a flexible double pipe 50 connecting between the power receiving connector cover 100 and the distributor 500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pace 120. The double pipe 50 is inserted into the water pipe 30 connected to the power receiving connector 200 to be described later.

이때, 상기 수도관(30)의 타단부는 상기 분배기(500)의 내부에 고정된 다방향의 PB(폴리부타디엔의 약자로서 부타디엔을 첨가중합하여 얻어지는 고분자 화합물임)연결구(410)와 결합되고, 일단부는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에 수용된 수전연결구(200)와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water pipe 30 is coupled to the connector 410 of the multi-directional PB (which is a polymer compound obtained by adding and polymerizing butadiene as an abbreviation of polybutadiene) fixed inside the distributor 500, and once The part is coupled to the power receiving connector 200 accommodated in the power receiving connector cover 100.

따라서, 분배기(500)를 통해 유입되는 냉온수는 상기 수도관(30)을 유동하면서 수전연결구(200)를 거쳐 수전구(10)로 향하게 된다.Therefore, the cold and hot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distributor 500 is directed to the power outlet 10 through the power connection connector 200 while flowing through the water pipe 30.

상기 수전연결구(200)는 상기 수전구(10)가 결합되는 선단부와, 상기 수도관(10)과 연결되는 말단부로 구성된다.The faucet connector 200 is composed of a distal end connected to the faucet 10 and the water pipe (10).

상기 선단부는 수전구(10)가 결합되며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의 상기 공간부(120)에 수용되어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의 상기 개구부(110)에 고정되어 있다.The front end portion is coupled to the faucet 10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portion 120 of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is fixed to the opening 110 of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상기 말단부는 상기 선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소정의 경사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수도관(10)이 고정되어 있다.The distal end extends from the distal end and is bent at a predetermined slope, and the water pipe 10 is fixed.

이때, 상기 수전연결구(200)의 경사는 상기 수전구(10)가 체결되는 단면에 대하여 -5° 내지 20°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비람직하다.At this time, the inclination of the faucet connector 20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of -5 ° to 20 ° with respect to the cross section to which the faucet 10 is fastened.

이 경우, 수전연결구(200)의 경사가 -5° 내지 20°의 경사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의 체적에 대한 폭(D)의 길이가 55mm~60mm 사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면서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가 벽체 및 옹벽의 두께가 100mm인 경우에도 벽체 및 옹벽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상태로 매설이 가능하다.In this case, as the inclination of the faucet connector 200 is formed with an inclination of -5 ° to 20 °, the length of the width D with respect to the volume of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can be maintained between 55 mm and 60 mm. Even when the power receiving connector cover 100 has a thickness of 100 mm of the wall and the retaining wall,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may be embedded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all and the retaining wall.

따라서, 상기 수전연결구(200)의 전체적인 체적이 줄어들게 되면서 수전연결구(200)가 수용되는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의 체적도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는 것은 물론이다.Therefore, as the overall volume of the faucet connector 200 is reduced, the volume of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in which the faucet connector 200 is accommodated is also relatively reduced. Of course.

상기 수전연결구(200)에는 쐐기가 고정된다. 상기 쐐기(300)는 상기 수전연결구(200) 선단부 외주면에 결합되어 선단부가 상기 개구부(110)에 고정될 때 개구부(110)를 밀폐하게 된다.The wedge is fixed to the power receiving connector 200. The wedge 300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power receiving connector 200 to seal the opening 110 when the front end is fixed to the opening 110.

상기 쐐기(300)는 상기 개구부(110)가 수전연결구(200) 선단부의 하방 길이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전연결구(200)가 개구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전연결구(200)의 하부를 지지하며 개구부(110)를 밀폐한다.As the wedge 300 is formed in the opening 110 is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aucet connector 200, as shown in Figure 6, the faucet connector 200 in the state coupled to the opening 110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or 200 and seals the opening (110).

이때, 상기 수전연결구(200)의 선단부 외주면에 결합된 쐐기(300)는 상기 개구부(110)의 형상에 부합하여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의 입구선단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wedge 300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aucet connector 200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inlet end surface of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opening 110. Do.

따라서, 상기 쐐기(300)의 형상이 상기 개구부(110)의 형상과 부합됨에 따라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의 내부는 완전히 밀폐가 된다.Therefore, as the shape of the wedge 300 is matched with the shape of the opening 110, the interior of the power receiving connector cover 100 is completely sealed.

한편, 상기 쐐기(300)의 양단에는 쐐기(300)가 상기 수전연결구(200)의 외주면과 접촉을 이루면서 결합되도록 한 쌍의 지지대(3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대(310)는 상기 쐐기(300)가 상기 수전연결구(2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at both ends of the wedge 300, a pair of supports 310 are formed such that the wedge 300 is coupled to mak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wer receiving connector 200. The pair of supports 310 is for the wedge 300 to be stably coupled to the faucet connector 200.

이때, 상기 쐐기(300)의 각 지지대(310)가 결합되는 상기 수전연결구(200)의 외주면에는 수전연결구(200)에 결합된 쐐기(300)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돌기(2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ixing protrusion 210 for preventing the wedge 300 coupled to the faucet connector 200 is pushed backwar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ucet connector 200 to which each support 310 of the wedge 300 is coupled. Is preferably formed.

또한, 상기 쐐기(300)는 상기 개구부(110)의 형상에 따라 둘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쐐기(300)의 결합방식이 각각 이루어지기 때문에 설령, 개구부(110)의 어느 일측의 형상이 변형되더라도 손쉽게 결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wedge 300 may be separated into two or more part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pening 110. In this case, since the coupling method of the wedge 300 is made, respectively, even if the shape of any one side of the opening 110 is deformed can be easily coupled.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단계(S2)를 거치면서, 상기 수전구(10)와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의 결합상태가 외부로 노출된다.Through the step (S2) in the above state, the coupling state of the faucet 10 and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is exposed to the outside.

다음으로, 상기 분배기(500)로부터 상기 수도관(30)을 해체하는 단계(S2)는, 상기 수도관(30)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분배기(500)의 내부에 고정된 PB연결구(510)의 결합을 해체한다. Next, the step (S2) of disassembling the water pipe 30 from the distributor 50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water pipe 30 of the PB connector 510 fixed inside of the distributor 500. Break the bond.

따라서, 상기 수전연결구(200)는 상기 수도관(30) 타단부의 결합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로부터 배출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faucet connector 200 can be discharged from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as the other end of the water pipe 30 is released.

다음으로, 상기 수도관(30)이 연결되고 상기 수전구(10)가 체결되는 수전연 결구(200)를 커버하는 수전연결구커버(100)로부터 상기 수전연결구(200) 및 상기 수도관(30)을 인출하고 수도관(30)을 폐기하는 단계(S3)는, 먼저,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에 수용된 상태로 개구부(110)에 결합된 수전연결구(200) 선단부의 결합을 해제하고, 수전연결구(200)를 개구부(110)를 통해 수전연결구커버(100)로부터 배출시킨다.Next, the faucet connector 200 and the water pipe 30 are drawn out from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that covers the faucet connector 200 to which the water pipe 30 is connected and the faucet 10 is fastened. And the step (S3) of discarding the water pipe 30, first, release the coupling of the tip of the faucet connector 200 coupled to the opening 110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the faucet connector 200 ) Is discharged from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through the opening 110.

앞서, 상기 수도관(30)의 타단부는 PB연결구(510)와의 결합이 해체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수전연결구(200)는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로부터 배출이 가능하다. 이후, 상기 수전연결구(200)가 배출된 상태에서 상기 수도관(30)의 일단부를 해체하여 폐기한다.Previously, since the other end of the water pipe 30 is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with the PB connector 510 is disassembled, the power receiving connector 200 may be discharged from the power receiving connector cover 100. Thereafter, one end of the water pipe 30 is dismantled and discarded in the state where the power receiving connector 200 is discharged.

다음으로, 새로운 수도관(30)을 상기 수전구(10)로부터 상기 분배기(500)에 이르는 길이만큼 절단하여 상기 수도관(30)의 일단부를 상기 수전연결구(200)에 결합하는 단계(S4)는, 새로운 수도관(30)을 상기 수전연결구(200)와 상기 분배기(5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그 길이만큼 절단하고, 절단된 수도관(30)의 일단부를 상기 수전연결구(200)에 결합한다.Next, cutting the new water pipe 30 by the length from the faucet 10 to the distributor 500 and coupling one end of the water pipe 30 to the faucet connector 200 (S4), The new water pipe 30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faucet connector 200 and the distributor 500 and cuts the length thereof, and couples one end of the cut water pipe 30 to the faucet connector 200.

다음으로,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를 통해 상기 수도관(30)을 삽입하되, 상기 수전연결구(200)를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의 내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더 삽입하는 단계(S5)는,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새로운 수도관(30)으로 교체된 상기 수도관(30)을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의 개구부(110)를 통해 삽입한다.Next, inserting the water pipe 30 through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the step of inserting the faucet connector 200 further by a predetermined length into the inside of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S5), As shown in FIG. 7A, first, the water pipe 30 replaced with a new water pipe 3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110 of the power connector connector 100.

이때, 상기 수도관(30)의 삽입과 함께 상기 수전연결구(200)를 상기 수전연 결구커버(100)의 내측 즉 공간부(120)로 소정 길이만큼 더 삽입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수전연결구(200)가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 내부로 더 삽입된 만큼의 길이가 상기 분배기(500) 내부로 더 인입된다.At this time, with the insertion of the water pipe 30, the power receiving connector 200 is further inserted into the inner portion of the power receiving connector cover 100, that is, the space portion 120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faucet connector 200 further inserted into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is further introduced into the distributor 500.

다음으로, 상기 수도관(30)의 타단부를 상기 분배기(500)에 결합시키는 단계(S6)는,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분배기(500) 내부로 인입된 상기 수도관(30)의 타단부에 분배기(500) 내부에 고정되는 상기 PB연결구(510)가 결합된다.Next, the step (S6) of coupling the other end of the water pipe 30 to the distributor 500, as shown in 7a, the other end of the water pipe 30 introduced into the distributor 500 The PB connector 510 fixed inside the distributor 500 is coupled.

이때, 상기 PB연결구(510)의 결합은 상기 수도관(30)의 타단부가 상기 분배기(500) 내부로 더 인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coupling of the PB connector 510 is easily made because the other end of the water pipe 30 is further drawn into the distributor 500.

또한, 상기 PB연결구(510)는 상기 수도관(30)과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분배기(500)에 미고정된 상태임에 따라 상기 수도관(30)의 이동은 자유로운 상태이다.In addition, since the PB connector 510 is coupled to the water pipe 30 and is not fixed to the distributor 500, the movement of the water pipe 30 is free.

다음으로, 상기 수전연결구(200)를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로부터 돌출시킨 상태로 상기 수전연결구(200)의 선단 외주면에 쐐기(300)를 결합하고 상기 수전연결구(200)를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의 입구선단에 정렬하여 고정하는 단계(S7)는, 상기 수전연결구(200)를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에 고정하는 단계이다.Next, the wedge 300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ucet connector 200 in a state where the faucet connector 200 protrudes from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and the faucet connector 200 is connected to the faucet connector cover. Aligning and fixing to the inlet end of the (100) (S7) is the step of fixing the faucet connector 200 to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먼저,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의 내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더 삽입된 상기 수전연결구(200)를 수전연결구커버(100)의 개구부(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First, as shown in 7b, the faucet connector 200 further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by a predetermined length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10 of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이 경우, 상기 수도관(30)은 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이동이 자유로운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수전연결구(200)의 배출에 따라 당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PB연 결구(510)도 함께 당겨지게 된다.In this case, since the water pipe 30 is free to move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pipe 30 is pulled according to the discharge of the power receiving connector 200. At this time, the PB connector 510 is also pulled together.

이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전연결구(200)의 선단 외주면에 쐐기(300)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수전연결구(200)를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의 입구선단에 정렬하여 결합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수전연결구(200)는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의 입구선단과 동일면을 유지하면서 벽체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Then, as shown in 7c, the wedge 300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power receiving connector 200. Then, the faucet connector 200 is aligned with the inlet end of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and fixed using a coupling bolt. In this case, the power receiving connector 200 does not protrude out of the wall while maintaining the same surface as the inlet end of the power receiving connector cover 100.

이때, 상기 쐐기(300)는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의 개구부(110) 형상에 부합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의 내부를 완전히 밀폐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wedge 300 is formed to match the shape of the opening 110 of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to completely seal the inside of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이후, 상기 분배기(500) 내부에 미고정된 PB연결구(510)를 분배기(500)에 고정시킨다.Thereafter, the PB connector 510 that is not fixed inside the distributor 500 is fixed to the distributor 500.

이로써,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와 상기 분배기(500) 사이의 수도관(30)의 결합은 마무리된 상태이다.Thus, the coupling of the water pipe 30 between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and the distributor 500 is in a finished state.

다음으로, 상기 수전커버(45)를 개재하여 상기 수전구(10)를 상기 수전연결구(200)와 체결함으로써 수도관(30)의 교체를 완료하는 단계(S8)는,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에 고정된 상기 수전연결구(200)에 수전구(10)를 체결한다.Next, the step (S8) of completing the replacement of the water pipe 30 by fastening the faucet 10 with the faucet connector 200 through the faucet cover 45,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Fastening the faucet 10 to the faucet connector 200 is fixed to.

이때, 수전구(10)와 수전연결구(200) 사이에는 상기 수전구(10)에 관통된 상태로 수전구(10)와 수전연결구커버(100)의 결합상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수전구(10)의 결합상태를 마감하는 수전커버(45)가 개재된다.At this time, between the faucet 10 and the faucet connector 200 in the penetrating state of the faucet 10 so that the coupling state of the faucet 10 and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 The faucet cover 45 for closing the coupling state of 10) is interposed.

이와 같이, 상기 수전구(10)와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 사이에 수전커버(45)가 개재됨으로 인해 수도관(30)의 교체가 완료된다.As such, the replacement of the water pipe 30 is completed because the faucet cover 45 is interposed between the faucet 10 and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벽체 및 옹벽의 두께가 100mm정도인 경우에도 종래와 같이 벽체 및 옹벽을 허물지 않고도 수도관(30)의 보수 하자에 따른 교체 및 시공이 손쉽게 이루어짐에 따라 시공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wall and the retaining wall is about 100 mm, the construction ability is easily improved as replacement and construction are easi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pair defect of the water pipe 30 without breaking down the wall and the retaining wall as in the prior art. There is.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개조나 변형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수전연결구(200)의 형상 및 이에 따른 수전연결구커버(100)의 외형, 수전연결구커버(100)의 개구부(110)의 형상, 쐐기(300)의 형상 및 개수, 수전연결구(200)의 기울기 등은 본 발명의 기술적범위를 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고,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짐은 말할 나위가 없다.For example, the shape of the faucet connector 200 and the appearance of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the shape of the opening 110 of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the shape and number of the wedge 300, the faucet connector 200 The inclination of) cannot be used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nly by the claims.

도 1은 종래의 수전구 조립체가 100mm 벽체에 매설될 때 수도관이 벽체를 이탈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pipe is separated from the wall when the conventional power outlet assembly is embedded in a 100mm wall.

도 2는 직각으로 꺾인 이중관 연결구가 100mm 옹벽에 매설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uble pipe connector bent at a right angle is embedded in a 100mm retaining wall.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수전구커버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Figure 3 is a view showing a state provided with a power outlet cover in the state of FIG.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도관의 교체방법에 대한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placing a water pip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수도관 교체를 위한 수전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faucet assembly for water pipe replac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수도관 교체를 위한 수전어셈블리가 벽체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Figure 6 is a main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ucet assembly for water pipe replac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on the wall.

도 7a, 7b, 7c는 본 발명에 의해 수도관이 수전어셈블리 및 분배기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Figure 7a, 7b, 7c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pipe is coupled to the faucet assembly and distributor by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수전구 20 : 이중관 연결구10: Faucet 20: Double pipe connector

30 : 수도관 40 : 수전구커버30: water pipe 40: water outlet cover

45 : 수전커버 50 : 이중관45: faucet cover 50: double pipe

100 : 수전연결구커버 110 : 개구부100: faucet connector cover 110: opening

120 : 공간부 200 : 수전연결구120: space part 200: faucet connector

210 : 고정돌기 300 : 쐐기210: fixing protrusion 300: wedge

310 : 지지대 400 : 수전어셈블리310: support 400: faucet assembly

500 : 분배기 510 : PB연결구500: distributor 510: PB connector

Claims (6)

건물의 외부 및 보일러로부터 유입되는 냉온수를 건물 내부의 수전구(10)까지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500)와, 상기 분배기(500)와 상기 수전구(10)를 연결하도록 벽체에 매설되는 이중관(50)으로 된 수도관(30)의 교체방법에 있어서,Distributor 500 for distributing cold and hot wa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the boiler to the faucet 10 inside the building, and a double pipe 50 embedded in the wall to connect the distributor 500 and the faucet 10. In the replacement method of the water pipe (30) of 상기 수전구(10)를 해체하여 건물의 벽체와 상기 수전구(10) 사이에 매개된 수전커버(45)를 제거하는 단계(S1)와;Dismantling the faucet (10) to remove the faucet cover (45) between the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faucet (10) (S1); 상기 분배기(500)로부터 상기 수도관(30)을 해체하는 단계(S2)와;Dismantling the water pipe (30) from the distributor (S2); 상기 수도관(30)이 연결되고 상기 수전구(10)가 체결되는 수전연결구(200)를 커버하는 수전연결구커버(100)로부터 상기 수전연결구(200) 및 상기 수도관(30)을 인출하고 수도관(30)을 폐기하는 단계(S3)와;The faucet connector 200 and the water pipe 30 are drawn out from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which covers the faucet connector 200 to which the water pipe 30 is connected and the faucet 10 is fastened. Discarding (S3); 새로운 수도관(30)을 상기 수전구(10)로부터 상기 분배기(500)에 이르는 길이만큼 절단하여 상기 수도관(30)의 일단부를 상기 수전연결구(200)에 결합하는 단계(S4)와;Cutting a new water pipe (30) by the length from the power outlet (10) to the distributor (500) and coupling one end of the water pipe (30) to the power connection connector (200);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를 통해 상기 수도관(30)을 삽입하되, 상기 수전연결구(200)를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의 내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더 삽입하는 단계(S5)와;Inserting the water pipe (30) through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and further inserting the faucet connector (200) into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by a predetermined length (S5); 상기 수도관(30)의 타단부를 상기 분배기(500)에 결합시키는 단계(S6)와;Coupling the other end of the water pipe (30) to the distributor (S6); 상기 수전연결구(200)를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로부터 돌출시킨 상태로 상기 수전연결구(200)의 선단 외주면에 쐐기(300)를 결합하고 상기 수전연결 구(200)를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의 입구선단에 정렬하여 고정하는 단계(S7); 및Couple the wedge 300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ucet connector 200 in a state where the faucet connector 200 protrudes from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and the faucet connector 200 to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Aligning and fixing to the inlet end of the (S7); And 상기 수전커버(45)를 개재하여 상기 수전구(10)를 상기 수전연결구(200)와 체결함으로써 수도관(30)의 교체를 완료하는 단계(S8); 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도관(30)의 교체방법.The step (S8) of completing the replacement of the water pipe (30) by fastening the faucet (10) with the faucet connector 200 via the faucet cover (45); Replacement method of the water pipe (30) configured to include. 건물의 외부 및 보일러로부터 유입되는 냉온수를 건물 내부의 수전구(10)로 공급하기 위해 분배기(500)와 상기 수전구(10)를 연결하도록 벽체에 매설되는 수전연결커버(100) 및 수전연결구(200)로 구성된 수전어셈블리(400)에 있어서,Faucet connection cover 100 and a faucet connector embedded in the wall to connect the distributor 500 and the faucet 10 to supply the cold and hot water flowing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the boiler to the faucet 10 in the building ( In the faucet assembly 400 composed of 200,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는,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상기 수전구(10)가 결합되는 방향의 입구에 형성되며 상기 수전연결구(200)가 삽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개구부(110)와, 내측에는 상기 개구부(110)와 연통되어 상기 수전연결구(200)가 수용되는 공간부(120)와, 상기 공간부(120) 하부에는 상기 분배기(500)와 연결되는 이중관(50)을 포함하고,The opening 110 is formed at an inle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ucet 10 is coupled, and the opening 110 allows the faucet connector 200 to be inserted and discharged therein, and the inside of the faucet connector 200 communicates with the opening 110. A space 120 accommodated and a double pipe 50 connected to the distributor 500 under the space 120. 상기 수전연결구(200)는,The faucet connector 200, 상기 수전구(10)가 결합되며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의 상기 공간부(120)에 수용되어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의 상기 개구부(110)에 고정되는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소정의 경사로 절곡되며 그 말단부에는 수도관(10)이 고정되며,The front end portion 10 is coupled to and is received from the space portion 120 of the power connector connector cover 100 and fixed to the opening 110 of the power connector connector cover 100, and extends from the tip portion. It is bent at a predetermined slope and the water pipe 10 is fixed to the distal end thereof, 상기 수전연결구(200) 선단부 외주면에 결합되어 선단부가 상기 개구부(110)에 고정될 때 개구부(110)를 밀폐하는 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어셈블리의 구조.The faucet connector 200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end portion structure of the fauce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edge for closing the opening 110 when the front end is fixed to the opening (110).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수전연결구(200)는 상기 수전구(10)가 체결되는 단면에 대하여 -5° 내지 20°의 경사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어셈블리(400)의 구조.The faucet connector 200 has a structure of the faucet assembly 400,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slope of -5 ° to 20 ° with respect to the cross section to which the faucet 10 is fastened.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수전연결구(200)의 선단부 외주면에 결합되는 쐐기(300)는 상기 개구부(110)의 형상에 부합하여 상기 수전연결구커버(100)의 입구선단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어셈블리(400)의 구조.Wedge 300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aucet connector 200 is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inlet end surface of the faucet connector cover 100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opening 110. The structure of the faucet assembly 400.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쐐기(300)의 양단에는 쐐기(300)가 상기 수전연결구(200)의 외주면과 접촉을 이루면서 결합되도록 한 쌍의 지지대(3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어셈블리(400)의 구조.Both ends of the wedge 300, the structure of the faucet assembly 400,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support (310) is formed so that the wedge 300 is coupled to mak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ucet connector 200.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쐐기(300)는 상기 개구부(110)의 형상에 따라 둘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어셈블리(400)의 구조The wedge 300 has a structure of the faucet assembly 400, characterized in that separated into two or more part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pening 110
KR1020090078203A 2009-08-24 2009-08-24 Method for changeable water pipe and structure of water service box assembly therefor KR1009423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203A KR100942370B1 (en) 2009-08-24 2009-08-24 Method for changeable water pipe and structure of water service box assembly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203A KR100942370B1 (en) 2009-08-24 2009-08-24 Method for changeable water pipe and structure of water service box assembly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2370B1 true KR100942370B1 (en) 2010-02-12

Family

ID=42083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203A KR100942370B1 (en) 2009-08-24 2009-08-24 Method for changeable water pipe and structure of water service box assembly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237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260B1 (en) 2012-10-29 2013-02-07 (주)칠칠공사 High-rise buildings in the pipe line replacement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9192A (en) 1998-12-25 2000-07-18 Hiroyuki Hasegawa Supporting structure in reciprocation driving mechanism for shower pip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9192A (en) 1998-12-25 2000-07-18 Hiroyuki Hasegawa Supporting structure in reciprocation driving mechanism for shower pip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260B1 (en) 2012-10-29 2013-02-07 (주)칠칠공사 High-rise buildings in the pipe line replacement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52431B (en) Induced joint structure for basement crack control and construction method
KR20100009210A (en) Dual pipe faucet connector
KR101928263B1 (en) Non-Excavation Pipe Repair Device and Method using Straight Pipe
KR100942370B1 (en) Method for changeable water pipe and structure of water service box assembly therefor
KR101460760B1 (en) Assembling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Culvert
KR101204760B1 (en) Built-in Ceiling type Hot and Cold Distributor with Structure for Piping and Repairing easily
CN101832436A (en) Pre-buried anti-leakage drain pipe connector
CN102996928A (en) Drain pipe joint and drain pipe joint component
KR20080076279A (en) Box buried in wall having temporary fix member and pipe joint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02121791A (en) Method for forming drainage channel and drainage channel device
KR100779987B1 (en) A pipe connector for connecting branching pipes in a main pipe
KR200364270Y1 (en) parts of manhole pipe connection
KR100762918B1 (en) Fixing assembly about that inspect box and piping of wall reclamation style
KR200271597Y1 (en) Form for forming connect hole in manhole
KR20150108547A (en) Cable pathway assembly for manhole and manhole having the same
KR200399666Y1 (en) Elbow for water pipe
CN104124650A (en) Processing-free cleaning-free fully-sealed dedicated concrete roof embedded wire box
JP5615874B2 (en) Drainage pipe joint and foundation through piping structure
CN215645986U (en) Electric wire connecting pipe capable of being quick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JP5460954B2 (en) Drainage pipe joint and foundation through piping structure
CN220284981U (en) Drainage inspection well
KR200383729Y1 (en) Sleeve assembly for laying pipe of air conditioner
CN220566752U (en) Novel hydropower installation embedded sleeve
CN214738494U (en) Pre-buried ponding collector pipe fitting of can centering
CN210508383U (en) Quick sleeve fix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