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382B1 - Base 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ase 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382B1
KR100940382B1 KR1020070119872A KR20070119872A KR100940382B1 KR 100940382 B1 KR100940382 B1 KR 100940382B1 KR 1020070119872 A KR1020070119872 A KR 1020070119872A KR 20070119872 A KR20070119872 A KR 20070119872A KR 100940382 B1 KR100940382 B1 KR 100940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link signal
repeaters
reception sensitivity
base station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98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53176A (en
Inventor
박원형
Original Assignee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노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9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382B1/en
Publication of KR20090053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1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3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복수의 중계기의 셀용량을 조절하는 기지국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의하면, 기지국은 각 중계기로부터 이동국의 업링크 신호와 수신감도를 수신하고, 복수 중계기의 상대적인 수신감도 세기를 고려하여 각 중계기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신호 세기를 조절한다.

Figure R1020070119872

RRH, 광중계기, 셀용량, 수신세기, RSSI

Disclosed are a base station for adjusting cell capacity of a plurality of repeaters and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uplink signal and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mobile station from each repeater, and adjusts the uplink signal strength received from each repeater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v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plurality of repeaters.

Figure R1020070119872

RRH, optical repeater, cell capacity, reception strength, RSSI

Description

기지국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BASE 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BASE 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중계기의 셀용량을 조절하는 기지국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se station for adjusting cell capacity of a plurality of repeaters and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중계기는 기지국과 이동국간에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기지국 셀의 음영지역에 설치되어, 이동국으로부터의 RF(Radio Frequency) 업링크 신호(up-link signal)를 기지국에 전송하고, 기지국으로부터 RF 다운링크 신호(down-link signal)를 이동국에 전송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The repeater is installed in the shaded area of the base station cell in which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station is not performed smoothly, and transmits an RF (Radio Frequency) uplink signal from the mobile station to the base station, and the RF downlink from the base station. It performs a relay function of transmitting a down-link signal to the mobile station.

이동국의 이동에 따라 각 중계기에 수신되는 업링크 신호 세기 즉, 중계기의 수용 이동국은 수시로 변한다. 그러나, 종래 기지국은 모든 중계기로부터 동일한 세기의 업링크 신호가 전달되는 것으로 간주하여 중계기별 업링크 신호 세기를 조절하지 않고 기지국 제어국(이동 교환국)으로 업링크 신호를 전달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큰 세기의 업링크 신호를 전달한 중계기(즉, 수용 이동국이 많은 중계기)로부터 전달된 업링크 신호는 효율적으로 기지국 제어기에 전달되지 못하고 있다.As the mobile station moves, the uplink signal strength received at each repeater, i. E. The receiving mobile station of the repeater, changes from time to time. However, the conventional base station assumes that uplink signals of the same strength are transmitted from all the repeaters and transmits the uplink signals to the base station control station (mobile switching center) without adjusting the uplink signal strength for each repeater. Therefore, the uplin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peater (i.e., the repeater having a large number of receiving mobile stations) which transmits the uplink signal of relatively high intensity is not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중계기로부터 전달되는 이동국의 업링크 신호는 RF 형태의 신호이다. 중계기 와 기지국 사이의 RF 업링크 신호는 광신호 형태로 송수신 된다. RF 업링크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므로 중계기에서 송신시 열잡음이 더해질 뿐만 아니라, 기지국에서 수신시 기지국의 열잡음까지 더해져 기지국의 수신성능을 저하시킨다.The uplink signal of the mobile station transmitted from the repeater is an RF type signal. RF uplink signals between the repeater and the base station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in the form of optical signals. Since the RF uplink signal is an analog signal, not only thermal noise is added when transmitting from the repeater, but also thermal noise of the base station is received when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signal, thereby reducing the reception performance of the base station.

본 발명은 각 중계기의 셀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기지국 및 이동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se station and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can adjust the cell capacity of each repeater.

또한, 본 발명은 중계기 및 기지국 간의 업링크 신호의 수신성능 저하를 감소할 수 있는 기지국 및 이동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se station and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can reduce the degradation of the reception performance of the uplink signal between the repeater and the base st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중계기로부터 이동국의 업링크 신호 및 상기 중계기의 수신감도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 중계기의 상대적인 수신감도 세기를 고려하여 상기 각 중계기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신호 세기를 조절하는 업링크 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uplink signal of the mobile station and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repeater from the repeater, the uplink signal strength received from each repeater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v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plurality of repeaters It includes an uplink signal processor for adjusting the.

본 발명의 기지국이 복수의 중계기의 수신감도에 근거하여 해당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복수의 중계기의 셀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The base s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cell capacity of the plurality of repeaters by adjusting the strength of the uplin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peater based on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plurality of repeaters.

또한, 복수의 중계기가 업링크 신호를 디지털 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 형태로 기지국에 전송하므로, 업링크 신호에 열잡음이 부가되지 않아 기지국의 업링크 신호 수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lurality of repeaters transmit the uplink signal to the base station in the form of a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thermal noise is not added to the uplink signal, thereby improving the uplink signal reception performance of the base st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there is a risk of unnecessarily obscur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s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1)과 복수의 중계기(20)의 연결 관계를 보이는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base station 1 and a plurality of repeaters 20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중계기(20-1~20-n)는 수신감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기지국(1)으로 전송한다. 또한, 각 중계기(20-1~20-n)는 이동국으로부터 전송된 제1업링크 신호의 세기를 일정값으로 조절하여 기지국(1)으로 전송한다. 일실시예에 따라 각 중계기(20-1~20-n)는 기지국(1)과 광통신을 수행하는 RRH(Remote Radio Head) 광중계기로 구현될 수 있다.Each repeater 20-1 to 20-n periodically measures the reception sensitivity and transmits the received sensitivity to the base station 1. In addition, each of the repeaters 20-1 to 20-n adjusts the intensity of the first uplin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station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transmits it to the base station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each of the repeaters 20-1 through 20-n may be implemented as a remote radio head (RRH) optical repeater that performs optical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1.

도 2를 참조하면, 각 중계기(20-1~20-n)의 안테나(21)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으로부터 전송된 제1 RF 업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antennas 21 of each repeater 20-1-20-n receive a first RF uplink signal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mobile station.

각 중계기(20-1~20-n)의 수신감도 형성부(22)는 안테나(21)가 수신한 제1 RF 업링크 신호의 세기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수신감도(이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값’이라 함)를 형성한다. 수신감도는 각 중계기(20)가 수용하는 이동국 수, 즉 각 중계기(20-1~20-n)에 제1업링크 신호를 송신한 이동국 수가 반영된 값으로서, 수용 이동국의 수에 비례한다. 각 중계기(20-1~20-n)는 음영지역에 설치되므로 타 중계기가 수용하는 이동국의 업링크 신호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따라서, 수신감도는 각 중계기(20-1~20-n)에 업링크 신호를 전송한 이동국 수를 반영함을 알 수 있다.The reception sensitivity forming unit 22 of each of the repeaters 20-1 to 20-n periodically measures the strength of the first RF uplink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21, thereby receiving reception sensitiv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value). The reception sensitivity is a value reflecting the number of mobile stations accommodated by each repeater 20, that is, the number of mobile stations that have transmitted the first uplink signal to each repeater 20-1 to 20-n, and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mobile stations accommodated. Since each repeater 20-1 to 20-n is installed in a shaded area, it is hardly affected by the uplink signal of the mobile station accommodated by another repeater.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reception sensitivity reflects the number of mobile stations that have transmitted uplink signals to each of the repeaters 20-1 to 20-n.

제어부(23)는 RSSI값을 포함한 수신감도 보고 메시지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수신감도 보고 메시지는 목적지 주소 필드, 발신지 주소 필드 및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ATM 셀 메시지 포맷을 갖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3)는 ATM 셀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 필드에 기지국(1)을 구분하기 위한 셀 ID(31)를 기록하고, 발신지 주소 필드에 중계기(20)를 구분하기 위한 중계기 ID(32)를 기록하며, 데이터 필드에 RSSI값(33)을 기록한다. 일실시예에 따라, 광중계기 ID는 각 중계기에 할당된 주파수 범위일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3 forms a reception sensitivity report message including the RSSI valu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ensitivity report message has an ATM cell message format including a destination address field, a source address field and a data field. 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ler 23 records a cell ID 31 for identifying the base station 1 in a destination address field of an ATM cell message, and a repeater ID for distinguishing the repeater 20 in a source address field. (32) is recorded, and the RSSI value 33 is recorded in the data fie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ptical repeater ID may be a frequency range assigned to each repeater.

밴드패스 필터(24)는 안테나(21)가 수신한 제1 RF 업링크 신호를 필터링하고, 자동이득제어기(25)는 필터링된 RF 업링크 신호를 일정값, 예컨대 '1'(가우시안분포의 크기를 갖는 RF신호)로 조절한다. The bandpass filter 24 filters the first RF uplink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21, and the automatic gain controller 25 filters the filtered RF uplink signal by a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1' (the magnitude of the Gaussian distribution). RF signal with).

RF-베이스밴드 변환부(26)는 조절된 제1 RF 업링크 신호를 변환하여 제1디지털 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를 형성한다. The RF-baseband converter 26 converts the adjusted first RF uplink signal to form a first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광통신부(27)는 제1디지털 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와 제어부(23)가 형성한 수신감도 보고 메시지를 변환하여 기지국(1)으로 전송한다. The optical communication unit 27 converts the first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and the reception sensitivity report message formed by the control unit 23 and transmits them to the base station 1.

일실시예에 따라, 기지국(1)은 복수의 중계기(20-1~20-n)로부터 전달되는 수신감도 및 로컬 수신기(40)에서 형성되는 상대적인 수신감도 세기를 고려하여, 각 중계기(20-1~20-n)로부터 전송된 제1 업링크 신호와 로컬 수신기(40)의 제2 업링크 신호의 세기를 조절한다. 기지국(1)은 조절된 모든 중계기(20-1~20-n)의 제1업링크 신호를 합산하고, 합산된 업링크 신호를 복조하여 상위망으로 전송한다. 상위망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 기지국(1)으로 전달되는 업링크 신호는 각 중계기(20-1~20-n) 및 로컬 수신기(40)에서 안테나가 수신한 RF 업링크 신호를 변환하여 형성된 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ase station 1 considers the reception sensitivity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relays 20-1 to 20-n and the relative reception strength formed in the local receiver 40, and thus each relay 20-20. Adjust the strength of the first uplink signal transmitted from 1 to 20-n and the second uplink signal of the local receiver 40. The base station 1 adds the first uplink signals of all the repeaters 20-1 to 20-n adjusted, demodulates the summed uplink signals, and transmits the demodulated uplink signals to the upper network. The upper network may include a base station controller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the following embodiment, the uplink signal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1 is a digital baseband up formed by converting the RF uplink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at each of the repeaters 20-1 to 20-n and the local receiver 40 Link signal.

기지국(1)은 도 1을 참조하면, 광통신부(30), 로컬 수신기(40), 업링크 신호처리부(50), 채널모뎀(6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base station 1 includes an optical communication unit 30, a local receiver 40, an uplink signal processing unit 50, and a channel modem 60.

기지국(1)의 복수의 광통신부(30)는 대응하는 복수의 중계기(20-1~20-n)로부터 제1디지털 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 및 수신감도 보고 메시지를 수신한다.The plurality of optical communication units 30 of the base station 1 receives the first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and the reception sensitivity report message from the corresponding plurality of repeaters 20-1 to 20-n.

도 4를 참조하면, 로컬 수신기(40)의 안테나(41)는 기지국(1) 셀의 이동국으로부터 제2 RF 업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밴드패스 필터(42)는 안테나(41)가 수신한 제2 RF 업링크 신호를 필터링한다. 자동이득제어기(43)는 필터링된 제2 RF 업링크 신호의 세기가 일정값이 되도록 조절하여 출력한다. RF-베이스밴드 변환부(44)는 조절된 제2 RF 업링크 신호를 변환하여 제2 디지털 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를 형성한다. 수신감도 형성부(45)는 안테나(41)가 수신한 제2 RF 업링크 신호의 수신세기를 측정하여 수신감도를 형성한다. 4, the antenna 41 of the local receiver 40 receives a second RF uplink signal from the mobile station of the base station 1 cell. The bandpass filter 42 filters the second RF uplink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41. The automatic gain controller 43 adjusts and outputs the intensity of the filtered second RF uplink signal to a predetermined value. The RF-baseband converter 44 converts the adjusted second RF uplink signal to form a second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The reception sensitivity forming unit 45 forms a reception sensitivity by measuring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second RF uplink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41.

업링크 신호처리부(50)는 각 중계기(20-1~20-n) 및 로컬 수신기(40)의 상대적인 수신감도 세기를 고려하여 각 중계기(20-1~20-n) 및 로컬 수신기(40)가 수신한 업링크 신호의 세기를 조절한 후 합산하고, 합산 결과를 채널모뎀(60)에 출력한다. The uplink signal processor 50 may consider each of the repeaters 20-1 to 20-n and the local receiver 40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ve reception sensitivity of each of the repeaters 20-1 to 20-n and the local receiver 40. Adjusts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uplink signal and sums it, and outputs the sum result to the channel modem 60.

도 5를 참조하면, 업링크 신호처리부(50)의 제어부(51)는 각 중계기(20-1~20-n)로부터의 수신보고 메시지에서 RSSI값을 인식하고, RSSI값의 상대적인 세기를 고려하여 복수의 중계기의 업링크 신호에 반영할 가중치(weighting값)와, 로컬 수신기(40)의 업링크 신호에 반영할 가중치를 결정한다. 제어부(51)는 RSSI값이 크면 가중치를 크게 결정하고, RSSI값이 작으면 가중치를 작게 결정한다. 제어부(51)가 로컬 수신기(40) 및 복수의 중계기의 가중치를 산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 unit 51 of the uplink signal processing unit 50 recognizes the RSSI value in the reception report messages from each of the repeaters 20-1 to 20-n, and considers the relative strength of the RSSI value. Weights to be reflected in the uplink signals of the plurality of repeaters and weights to be reflected in the uplink signals of the local receiver 40 are determined. If the RSSI value is large,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the weight to be large, and if the RSSI value is small, the controller 51 determines the weight to be small. A method for the controller 51 to calculate the weights of the local receiver 40 and the plurality of repeaters will be described later.

로컬 승산기(52a)는 로컬 수신기(40)에서 출력되는 제2 디지털 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에 가중치를 승산하여 제2 조절 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를 형성한다. The local multiplier 52a multiplies the weight by the second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output from the local receiver 40 to form a second adjusted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복수의 제1내지 제n승산기(52b-1 ~ 52b-n)는 대응하는 광통신부(30)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제1디지털 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와, 대응하는 광중계기의 가중치를 승산하여, 복수의 제1 조절 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를 형성한다. The plurality of first to n-th multipliers 52b-1 to 52b-n multiply the plurality of first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s input from the corresponding optical communication unit 30 with the weights of the corresponding optical repeaters, A plurality of first regulated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s are formed.

복수의 감쇄기(52c-1~ 52c-n)는 복수의 제1 내지 제 n 승산기(52b-1 ~ 52b-n)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제1 조절 디지털 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를 감쇄하여, 복수의 감쇄 디지털 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를 형성한다. The plurality of attenuators 52c-1 to 52c-n attenuate the plurality of first adjustable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s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first to nth multipliers 52b-1 to 52b-n, and Form an attenuated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복수의 중계기(20-1~20-n)의 셀용량은 기지국(1)에 마련된 로컬 수신기(40)의 셀용량보다 작게 설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복수의 감쇄기(52c-1,.., 52c-n)의 감쇄값은 제어부(51)에 의해 결정되며, 복수의 제1 조절 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의 세기가 제2 조절 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의 세기에 비해 소정 비율 작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감쇄기의 감쇄값은 제어부(51)에 의해 산출되며, 산출방법은 후술한다.The cell capacity of the plurality of repeaters 20-1 to 20-n should be set smaller than the cell capacity of the local receiver 40 provided in the base station 1. Accordingly, the attenuation values of the plurality of attenuators 52c-1,..., 52c-n are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51, and the strength of the plurality of first adjustable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s is determined by the second adjustable digital baseband. Preferably, the ratio is smaller than the strength of the uplink signal. Attenuation values of the plurality of attenuators are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51, and the calcul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later.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감쇄기(52c-1,.., 52c-n53)는 삭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51)가 로컬 승산기(52a)와 제1 내지 제n 승산기(52b-1 ~ 52b-n)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 조절 디지털 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의 세기를 비교하여, 제1 내지 제n 승산기(52b-1 ~ 52b-n)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제 1 디지털 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 세기가 로컬 승산기(52a)에서 출력되는 제2디지털 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 세기에 비해 소정 비율만큼 작아지도록, 복수의 제1 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에 반영할 가중치 및 제2 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에 반영할 가중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lurality of attenuators 52c-1,..., 52c-n53 may be deleted.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51 compares the strengths of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adjustable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s output from the local multiplier 52a and the first to nth multipliers 52b-1 to 52b-n. Thus, the plurality of first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strengths output from the first to n-th multipliers 52b-1 to 52b-n is equal to the second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strengths output from the local multiplier 52a.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weights to be reflected in the plurality of first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s and weights to be reflected in the second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s so as to be smaller by a predetermined ratio.

합산기(53)는 복수의 감쇄 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와 제2조절 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를 합산하여, 제3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를 형성한다. Summer 53 adds the plurality of attenuated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s and the second regulated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to form a third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조절기(54)는 합산기(53)에서 출력되는 제3 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에 보정값(Normalization factor)을 곱하여 일정값(예컨대, '100')을 형성되도록 한다. 보정값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제어부(51)에 의해 산출되며, 채널모뎀(60)의 입력신호의 상위한계값으로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The controller 54 multiplies a third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output from the summer 53 by a normalization factor to form a predetermined value (eg, '100'). The correction value is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51 by Equation 1 below, and is used to correct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input signal of the channel modem 60.

Figure 112007084176254-pat00001
scale=
Figure 112007084176254-pat00001
scale =

'scale'은 보정값(normalization factor), 'w0'는 로컬 수신기가 측정한 RSSI값이고, 'w1, w2, w3,..'은 각 중계기가 측정한 RSSI값이다. RSSI값은, 수신경로의 열잡음을 RSSI값에 반영하여 형성한 업링크 수신감도(RoT:Rise over Thermal)로 대체될 수 있다.'scale' is a normalization factor, 'w 0 ' is an RSSI value measured by a local receiver, and 'w 1 , w 2 , w 3 , ..' is an RSSI value measured by each repeater. The RSSI value may be replaced with an uplink rise over thermal (RoT) formed by reflecting thermal noise of the reception path in the RSSI value.

'α'는 감쇄 인자(attenuation factor)로서 감쇄기(52c-1~52c-n)에서 곱해지는 값이다. 중계기(20-1,.., 20-n)의 업링크 신호에만 α를 곱함으로써, 감쇄를 줄 수 있다. 제어부(51)는 복수의 광중계기(20-1~20-n)의 감쇄기의 α값을 초기설정시, 복수의 중계기(20-1~20-n)의 업링크 신호의 세기가 예컨대, -6dB 정도 감쇄되도록 α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 셀 크기와 중계기셀 크기가 4:1의 셀영역(cell coverage)비를 유지할 수 있다. 셀 영역비는 변경가능하다. 예를 들어, 2:1의 셀영역비로 변경하려면, 각 중계기의 업링크 신호가 -3dB 정도 감쇄되도록 α값을 설정하면 된다.'α' is an attenuation factor and is a value multiplied by the attenuators 52c-1 to 52c-n. By amplifying only the uplink signals of the repeaters 20-1, ..., 20-n, attenuation can be provided. When the controller 51 initially sets the α values of the attenuators of the plurality of optical repeaters 20-1 to 20-n, the intensity of the uplink signals of the plurality of repeaters 20-1 to 20-n is, for example,- The α value can be set to attenuate about 6 dB. Accordingly, the base station cell size and the repeater cell size can maintain a cell coverage ratio of 4: 1. The cell area ratio can be changed. For example, to change to a 2: 1 cell area ratio, the α value may be set such that the uplink signal of each repeater is attenuated by about -3 dB.

제어부(51)는, 복수의 중계기(20-1 ~20-n)의 제1 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에 대한 가중치, 로컬 수신기(40)의 제2 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에 대한 가중치를 상술한 수학식 1과,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계산한다.The controller 51 details the weights of the first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s of the plurality of repeaters 20-1 to 20-n and the weights of the second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s of the local receiver 40. It calculates by Formula (1) and following Formula (2).

Figure 112007084176254-pat00002
Figure 112007084176254-pat00002

W0는 로컬 수신기(40)의 업링크 신호의 가중치(weighting value)이고, W1, W2,..은 각 중계기(20-1~20-n)의 업링크 신호의 가중치(weighting value)이다. 이 가중치들을 로컬 수신기(40) 및 각 중계기(20-1~20-n)의 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에 곱하여 기지국셀과 중계기셀이 수용가능한 이동국의 용량을 조정한다. W 0 is a weighting value of the uplink signal of the local receiver 40, and W 1 , W 2 , .. are weighting values of the uplink signal of each repeater 20-1 to 20-n. to be. These weights are multiplied by the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s of the local receiver 40 and each of the repeaters 20-1 to 20-n to adjust the capacity of the base station cell and the mobile station that the repeater cell can accommodate.

기지국의 제어부(51)는 수신감도를 보고받아서, 수학식2에 근거하여 로컬 수신기(40) 및 복수의 중계기(20-1,.., 20-n)의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로컬 수신기(40) 및 복수의 중계기(20-1,.., 20-n)로부터의 업링크 신호의 조절이 디지털베이스밴드에서 이루어지므로, 제어부(51)는 로컬 수신기(40)의 제2 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에 가중치를 곱하여 조절한 결과와 복수의 중계기(20-1,.., 20-n)의 제1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에 가중치를 곱한 다음 감쇄기(52c-1~52c-n)로 감쇄한 결과를 합산한 값이 100%를 넘지 않도록, 수학식1의 보정값(scale)에 근거하여 조절기(54)를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1 of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report on the reception sensitivity, and calculates the weights of the local receiver 40 and the plurality of repeaters 20-1,..., 20-n based on Equation 2. In addition, since the adjustment of the uplink signals from the local receiver 40 and the plurality of repeaters 20-1,..., 20-n is performed in the digital baseband, the controller 51 controls the local receiver 40. 2 the result of the adjustment by multiplying the weight of the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and the weight of the first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of the plurality of repeaters 20-1,. The controller 54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scale of Equation 1 so that the sum of the attenuation results by 52c-n) does not exceed 100%.

복수의 감쇄 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 제2 조절 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는 모두 디지털 신호이다. 이에 따라, 로컬 승산기(52a), 제1 내지 제n 승산기(52b-1 ~ 52b-n), 합산기(53) 및 조절기(54)는 예를 들어,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로 구현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attenuated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s and the second regulated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are all digital signals. Accordingly, the local multiplier 52a, the first to n-th multipliers 52b-1 to 52b-n, the summer 53 and the regulator 54 may be implemented by, for example,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Can be.

채널모뎀(60)에는 복수의 각 중계기(20-1~20-n)에서 전달된 복수의 제1 디지털 업링크 신호와 로컬 수신기(40)가 출력하는 제2 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가 합산되어 입력된다. 종래에는 채널모뎀(60)에 입력되는 각 중계기로부터의 제1 업링크 신호 크기가 모두 동일하였다. 본 발명의 채널모뎀(60)은 각 중계기의 수신감도가 반영된 복수의 제1 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와 로컬 수신기(40)의 수신감도가 반영된 제2 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를 입력받는다.In the channel modem 60, a plurality of first digital uplink signals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repeaters 20-1 to 20-n and a second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output from the local receiver 40 are added up. Is entered. Conventionally, all of the first uplink signals from the repeaters input to the channel modem 60 have the same magnitude. The channel modem 60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plurality of first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s reflecting reception sensitivity of each repeater and a second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reflecting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local receiver 40.

채널모뎀(60)은 입력되는 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의 세기가 크면 보다 많은 이동국의 업링크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채널모뎀(60)의 입력신호 상위 한계값(기준값)은 제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채널모뎀(60)의 입력신호의 상위 한계값내에서 로컬 수신기와 각 중계기별로 상대적인 수신감도에 근거하여 업링크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면, 로컬 수신기(40) 및 중계기(20)가 수용가능한 이동국의 수(즉,‘셀용량’)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e channel modem 60 may process more mobile station uplink signals when the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has a higher strength. The upper limit value (reference value) of the input signal of the channel modem 60 is limi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intensity of the uplink signal is adjusted based on the relative sensitivity of the local receiver and each repeater within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input signal of the channel modem 60, the local receiver 40 and the repeater 20 may adjus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number of acceptable mobile stations (ie 'cell capacity').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70)과 중계기의 연결관계를 보이는 개략도이다. 기지국(70)은 연속적으로 연결(daisy chain)된 복수의 중계기(80-1~80-n)로부터 복수의 수신감도 메시지 및 제1 업링크 신호를 전달받는다. 기지국(70)은 중계기(이하 '상위 중계기'라 함)를 매개로 이웃한 다른 중계기(이하 '하위 중계기'라 함)가 형성한 수신감도 메시지 및 제1 업링크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하위 중계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다. 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base station 70 and a repe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base station 70 receives a plurality of reception sensitivity messages and a first uplink signal from a plurality of repeaters 80-1 to 80-n that are daisy chained in succession. The base station 70 may receive a reception sensitivity message and a first uplink signal formed by another neighboring repea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ower repeater') through a repea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igh repeater'). There is at least one lower repeater.

본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70)은 각 중계기(80-1 ~ 80-n)로부터 전달된 수신 감도의 상대적인 크기를 고려하여, 각 중계기(80-1 ~ 80-n)별로 가중치를 결정하고, 각 가중치를 해당 중계기(80-1 ~ 80-n)에 전송한다. 각 가중치는 각 중계기(80-1 ~ 80-n)가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제1 업링크 신호에 반영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e station 70 determines the weight for each repeater 80-1 to 80-n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ve magnitude of the reception sensitivity transmitted from each repeater 80-1 to 80-n. Each weight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repeaters 80-1 to 80-n. Each weight is reflected in the first uplink signal received by each repeater 80-1 through 80-n from the mobile station.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70)은 로컬 수신기(73)에서 출력되는 제2 업링크 신호와, 복수의 중계기(80-1 ~ 80-n)로부터 전달된 합산 업링크 신호를 합산한다. 기지국(70)이 수신한 합산 업링크 신호는 복수의 중계기(80-1 ~ 80-n)가 수신한 제1 업링크 신호들이 합산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업링크 신호와 제2 업링크 신호는 디지털 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이다.Referring to FIG. 6, the base station 70 sums up the second uplink signal output from the local receiver 73 and the sum uplin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repeaters 80-1 through 80-n. The sum uplink signal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70 is the sum of the first uplink signals received by the plurality of repeaters 80-1 through 80-n.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uplink signal and the second uplink signal are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s.

기지국(70)의 광통신부(71)는 연속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중계기(80-1 ~ 80-n)의 합성 수신감도 보고 메시지와 합산 제1 업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광통신부(71)는 복수 중계기(80-1 ~ 80-n)에 전달될 복수의 제1업링크 신호 조절 메시지를 전송한다. The optical communication unit 71 of the base station 70 receives the combined reception sensitivity report message of the plurality of repeaters 80-1 to 80-n and the first uplink signal added together. In addition, the optical communication unit 71 transmits a plurality of first uplink signal adjustment messages to be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repeaters 80-1 to 80-n.

기지국(70)의 제어부(72)는 광통신부(71)로부터 복수의 중계기(80-1 ~ 80-n)의 수신감도 보고 메시지 및 제1 업링크 신호를 입력받는다. 수신감도 보고 메시지는 도 3의 수신감도 보고 메시지와 마찬가지로 ATM 셀 메시지 포맷을 가진다. 상술한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72)는 수신감도 보고 메시지의 발신지 주소 필드에 기지국(70)을 구분하기 위한 셀 아이디(31)를 기록하고, 목적지 주소 필드에 중계기를 구분하기 위한 중계기 아이디(32)를 기록하며, 데이터 필드에 RSSI값(33)를 기록한다. The control unit 72 of the base station 70 receives the reception sensitivity report message and the first uplink signal of the plurality of repeaters 80-1 to 80-n from the optical communication unit 71. The sensitivity report message has an ATM cell message format similar to the reception sensitivity report message of FIG. 3. 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 unit 72 records the cell ID 31 for identifying the base station 70 in the source address field of the reception sensitivity report message, and the repeater ID for identifying the repeater in the destination address field. (32) is recorded, and the RSSI value 33 is recorded in the data field.

제어부(72)는 복수의 수신감도 보고 메시지(ATM 셀 메시지 포맷)로부터 복수 의 중계기(80-1~80-n)가 형성한 RSSI값을 인식한다. 제어부(72)는 복수의 중계기별로 상대적인RSSI값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가중치가 포함된 업링크신호 조절 메시지를 형성한다. 업링크신호 조절 메시지에 포함된 가중치는 제1 내지 제n 중계기로 전송되어 업링크 신호에 반영된다. The controller 72 recognizes the RSSI values formed by the plurality of repeaters 80-1 through 80-n from the plurality of reception sensitivity report messages (ATM cell message format). The controller 72 determines a weight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ve RSSI valu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peaters, and forms an uplink signal adjustment message including the determined weight. The weight included in the uplink signal adjustmen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o nth repeaters and reflected in the uplink signal.

업링크신호 조절 메시지는 수신감도 보고 메시지와 마찬가지로, ATM 셀 메시지 포맷을 갖는다. 제어부(72)는 도 7을 참조하면, 제1업링크 신호 조절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 필드에 중계기 ID(즉, 중계기 ID)(76)를 기록하고, 발신지 주소 필드에 기지국(70)의 광통신부 ID(77)를 기록하며, 데이터 필드에 제어부(72)가 결정한 가중치(78)를 기록한다. The uplink signal conditioning message, like the sensitivity report, has an ATM cell message format. Referring to FIG. 7, the control unit 72 records the repeater ID (ie, the repeater ID) 76 in the destination address field of the first uplink signal adjustment message, and the optical communication unit ID of the base station 70 in the source address field. Reference numeral 77 is recorded, and the weight 78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72 is recorded in the data field.

도 8을 참조하여 중계기(80-1~80-n)의 구체적 구성을 설명한다. 복수의 중계기에서, 안테나(81), 밴드패스 필터(82), 수신감도 형성부(83), 자동이득 제어기(85) 및 RF-베이스밴드 변환부(86)의 기능 및 동작은, 도1의 중계기(2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With reference to FIG. 8,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repeaters 80-1 to 80-n is demonstrated. In the plurality of repeaters,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of the antenna 81, the bandpass filter 82, the reception sensitivity forming unit 83, the automatic gain controller 85, and the RF-baseband conversion unit 86 are shown in FIG. Since the same as the repeater 20,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어부(84)는 수신감도 형성부(83)가 형성한 RSSI값이 포함된 수신감도 보고 메시지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어부(84)는 상위 중계기로부터 전달된 자신의 업링크 신호 조절 메시지로부터 가중치를 인식한다. The control unit 84 forms a reception sensitivity report message including the RSSI value formed by the reception sensitivity forming unit 83. Then, the controller 84 recognizes the weight from its own uplink signal adjustmen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upper relay.

승산기(87)는 RF-베이스밴드 변환부(86)에서 출력되는 제1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에 제어부(84)가 인식한 가중치를 승산하여 조절 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를 형성한다. The multiplier 87 multiplies the first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output from the RF-baseband converter 86 to the weight recognized by the controller 84 to form an adjusted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합산기(88)는 승산기(87)의 조절 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와 하위 중계 기로부터 전송된 조절 디지털 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를 합산하고, 제어부(84)가 형성한 수신감도 보고 메시지와 하위 중계기로부터 전송된 수신감도보고 메시지를 합성한다. The summer 88 adds the adjusted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of the multiplier 87 and the adjusted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ower repeater, and the reception sensitivity report message and the lower repeater formed by the control unit 84. Synthesize the received sensitivity report message sent from.

광통신부(89)는 합산된 제1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와 합성된 수신감도 보고 메시지를 상위 중계기(또는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The optical communication unit 89 transmits the reception sensitivity report message synthesized with the summed first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to the upper relay (or base station).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중계기(80-1)는 기지국(70)으로부터 전달된 복수의 업링크 신호 조절 메시지로부터 자신의 가중치를 인식하고, 인식한 가중치와 RF-베이스밴드 변환부(86)에서 출력되는 제1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와 승산하여 형성된, 조절 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를 기지국(70)으로 전송한다. 제2 내지 제n중계기(80-2~80~80n)도 동일한 방식으로 자신의 가중치를 인식한 후, 인식한 가중치에 의해 조절 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를 형성하여 상위 중계기로 전송한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repeater 80-1 recognizes its own weight from the plurality of uplink signal adjustment messages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70, and outputs the recognized weight and the RF-baseband converter 86. And transmits the adjusted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formed by multiplying the first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to the base station 70. The second to n-th repeaters 80-2 to 80-n also recognize their own weights in the same manner, and then form an adjusted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based on the recognized weights and transmit the weights to the upper repeater.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계기에서는 RF 신호를 디지털 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로 복조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므로, 중계기 및 기지국에서 열잡음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와 같이, 중계기가 디지털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므로, 중계기 셀용량을 제어부의 기능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변경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의 셀용량을 소프트웨어로 제어하므로 시스템의 구조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ince the demodulator demodulates the RF signal into a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and transmits the RF signal to the base station, the repeater and the base station are not affected by thermal noise. As such, since the repeater transmits the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the repeater cell capacity can be easily changed by software change to implement the function of the controller. In addition, since the cell capacity of the repeater is controlled by software, the structure of the system can be easily changed.

본 발명 및 그 다양한 기능적 구성요소들은 특정 실시예들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 현될 수 있으며, 시스템, 서브시스템, 구성요소들 또는 이들의 서브 구성요소들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본 발명의 요소들은 필요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와 같은 머신 판독 가능 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또는 캐리어 웨이브로 구체화되는 컴퓨터 데이터 신호 또는 캐리어에 의해 변조된 신호에 의해 전송 매체 또는 통신 링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머신 판독 가능 매체 또는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는 머신(예컨대, 프로세서, 컴퓨터 등)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정보를 저장 또는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While the invention and its various functional components have been described in particular embodiments, the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firmware, middle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 system, subsystem, components or sub-configuration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can be used as elements. If implemented in software, the elements of the invention are instructions / code segments for performing the necessary tasks. The program or code segments may be stored in a machine readable medium, such as a processor readable medium, a computer program product, or via a transmission medium or communication link by a computer data signal embodied in a carrier wave or a signal modulated by a carrier. Can be sent. Machine readable media or processor readable media may include any medium that can store or transmit information in a form readable and executable by a machine (eg, processor, computer, etc.).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In addition,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om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Also,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ppended hereto.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및 중계기의 연결관계를 보이는 개략도.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는 도 1의 중계기의 구성을 보이는 개략도.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peater of Figure 1;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수신감도 보고 메시지 구조를 보이는 개략도.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reception sensitivity report message of a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는 도 1의 로컬 수신기의 구성을 보이는 개략도.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cal receiver of FIG.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신호처리부의 구성을 보이는 개략도. 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uplink signal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및 중계기의 연결관계를 보이는 개략도.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repe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디지털 업링크 신호를 조절하기 위한 중계기 조절 메시지 구조를 보이는 개략도. 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repeater adjustment message structure for adjusting a digital uplink signal of a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8은 도 6의 중계기의 구성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peater of FIG.

Claims (10)

삭제delete 복수의 중계기로부터 이동국의 제1 업링크 신호를 전달받는 기지국으로서,A base station receiving a first uplink signal of a mobile station from a plurality of repeaters, 상기 복수의 중계기로부터 제1 업링크 신호와 제1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국 수를 반영하는 수신감도를 수신하는 통신부;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reception sensitivity reflecting a number of mobile stations transmitting a first uplink signal and a first uplink signal from the plurality of repeaters; 제2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국 수를 반영하는 수신감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로컬 수신기; 및A local receiver which receives the second uplink signal and measures and outputs a reception sensitivity reflecting the number of mobile stations transmitting the second uplink signal; And 상기 복수의 중계기로부터 전달되는 수신감도 및 상기 로컬 수신기에서 형성되는 상대적인 수신감도 세기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중계기로부터 전송된 제1 업링크 신호와 상기 로컬 수신기의 제2 업링크 신호를 합산한 합산 업링크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이 되는 범위내에서, 제1 및 제2 업링크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업링크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The sum of the first uplin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repeaters and the second uplink signal of the local receiver is added in consideration of the reception sensitivity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repeaters and the relative reception intensity formed in the local receiver. A base station comprising an uplink signal processing unit for adjusting the str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uplink signal, within a range in which the uplink signal strength becomes a reference value.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기준값은 상기 합산 업링크 신호를 입력받아 복조하는 채널모뎀 입력신호의 상위 한계값인, 기지국.And the reference value is an upper limit value of a channel modem input signal for receiving and demodulating the summed uplink signal.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업링크 신호처리부는, The uplink signal processor, 상기 로컬 수신기 및 상기 복수의 중계기로부터 전달된 수신감도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중계기의 제1 업링크 신호 및 상기 로컬 수신기의 제2 업링크 신호의 세기를 변경하기 위한 가중치를 결정하는 제어부,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a weight for changing strengths of first uplink signals of the plurality of repeaters and second uplink signals of the local receivers based on reception sensitivity transmitted from the local receiver and the plurality of repeaters; 상기 복수의 중계기로부터의 제1 업링크 신호와 해당 가중치를 곱하는 복수의 승산기, A plurality of multipliers that multiply the first uplink signals from the plurality of repeaters by a corresponding weight, 상기 로컬 수신기로부터의 제2 업링크 신호와 가중치를 곱하는 로컬 승산기, 및A local multiplier that multiplies a weight with a second uplink signal from the local receiver, and 상기 복수의 승산기의 출력과 상기 로컬 승산기의 출력을 합산하는 합산기를 포함하는, 기지국. And a summer for summing outputs of the plurality of multipliers and outputs of the local multipliers.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업링크 신호처리부는 The uplink signal processor 상기 복수의 승산기의 출력신호의 세기를 감쇄하는 복수의 감쇄기와, A plurality of attenuators for attenuating the intensity of output signals of the plurality of multipliers; 상기 합산기에서 출력되는 제1 업링크 신호와 제2 업링크 신호를 합산한 값이 상기 기준값이 되도록 조절하는 조절기를 더 포함하며,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adjust the sum of the first uplink signal and the second uplink signal output from the summer to become the reference valu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승산기에서 출력되는 제1 업링크 신호 세기가 상기 로컬 승산기에서 출력되는 제2 업링크 신호의 세기에 비해 일정크기 작아지도록 상기 복수의 감쇄기를 제어하는, 기지국.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lurality of attenuators so that the first uplink signal strength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multipliers becomes a predetermined size smaller than the strength of the second uplink signal output from the local multiplier.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로컬 수신기는 The local receiver 제2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제2 업링크 신호를 필터링하는 밴드패스필터, 필터링된 제2 업링크 신호의 세기를 일정값으로 자동조절하는 자동이득제어기, 조절된 제2 업링크 신호를 제2 디지털 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로 변환하는 RF-베이스밴드 변환부, 및 제2 업링크 신호의 수신감도를 측정하는 수신감도 형성부를 포함하는, 기지국.An antenna for receiving a second uplink signal, a bandpass filter for filtering the second uplink signal, an automatic gain controller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strength of the filtered second uplink signal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a regulated second uplink signal. And a RF-baseband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second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and a reception sensitivity forming unit for measur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second uplink signal.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6, 상기 제1 및 제2 업링크 신호는, 디지털 데이터베이스 밴드 신호인, 기지국.And the first and second uplink signals are digital database band signals. 복수의 중계기로부터 이동국의 제1 업링크 신호를 전달받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base station receiving a first uplink signal of a mobile station from a plurality of repeaters, 상기 기지국은, The base station, 상기 복수의 중계기로부터 제1 업링크 신호와 제1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국 수를 반영하는 수신감도를 수신하는 통신부;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reception sensitivity reflecting a number of mobile stations transmitting a first uplink signal and a first uplink signal from the plurality of repeaters; 제2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국 수를 반영하는 수신감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로컬 수신기; 및A local receiver which receives the second uplink signal and measures and outputs a reception sensitivity reflecting the number of mobile stations transmitting the second uplink signal; And 상기 복수의 중계기로부터 전달되는 수신감도 및 상기 로컬 수신기에서 형성되는 상대적인 수신감도 세기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중계기로부터 전송된 제1 업링크 신호와 상기 로컬 수신기의 제2 업링크 신호를 합산한 합산 업링크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이 되는 범위내에서, 제1 및 제2 업링크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업링크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The first uplin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repeaters and the second uplink signal of the local receiver are summed in consideration of the reception sensitivity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repeaters and the relative reception intensity formed in the local receiver. And an uplink signal processor that adjusts the str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uplink signals within a range where the uplink signal is a reference value.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중계기는 RRH(Remote Radio Head) 광중계기이며, The repeater is a remote radio head (RRH) optical repeater,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이 송신한 제1 RF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An antenna for receiving a first RF uplink signal transmitted by at least one mobile station, 수신한 제1 RF 업링크 신호를 필터링하는 밴드패스필터, A bandpass filter for filtering the received first RF uplink signal; 상기 필터링된 제1 RF 업링크 신호의 세기를 일정값으로 조절하는 자동이득제어기, Automatic gain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strength of the filtered first RF uplink signal to a predetermined value, 상기 조절된 제1 RF 업링크 신호를 디지털 베이스밴드 업링크 신호로 변환하는 RF-베이스밴드 변환부, An RF-baseband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adjusted first RF uplink signal into a digital baseband uplink signal; 상기 제1 RF 업링크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수신감도를 형성하는 수신감도 형성부,A reception sensitivity forming unit configured to measure the strength of the first RF uplink signal to form reception sensitivity;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base station, and 상기 수신감도를 포함하는 수신감도 보고 메시지를 형성하여 상기 통신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And a control unit for forming a reception sensitivity report message includ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and outputt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report message.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복수의 중계기는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The plurality of repeaters are continuously connected, 상기 업링크 신호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중계기의 상대적인 수신감도 세기에 근거하여 각 중계기의 가중치를 결정하여, 상기 가중치를 상기 연속적으로 연결된 중계기를 통해 해당 중계기에 전달하는, 이동통신 시스템.The uplink signal processor determines a weight of each repeater based on the relativ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plurality of repeaters, and transmits the weights to the repeaters through the continuously connected repeaters.
KR1020070119872A 2007-11-22 2007-11-22 Base 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KR1009403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872A KR100940382B1 (en) 2007-11-22 2007-11-22 Base 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872A KR100940382B1 (en) 2007-11-22 2007-11-22 Base 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176A KR20090053176A (en) 2009-05-27
KR100940382B1 true KR100940382B1 (en) 2010-02-02

Family

ID=40860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9872A KR100940382B1 (en) 2007-11-22 2007-11-22 Base 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38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690B1 (en) 2010-05-17 2011-05-19 주식회사 피플웍스 Antenna embedded remote radio head using a digital hub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3677B (en) * 2017-03-17 2020-08-11 宁波德泰信息科技有限公司 Repeater st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672A (en) * 2003-03-12 2004-09-20 주식회사 컨버시스 Method and apparatus on automatic gain decision based on measured operating channel power of mobile base station
KR20060040787A (en) * 2004-11-05 2006-05-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input in wibro rf repeater
KR20060106454A (en) * 2005-04-08 2006-10-12 엔지엘테크놀러지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interface apparatus used in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672A (en) * 2003-03-12 2004-09-20 주식회사 컨버시스 Method and apparatus on automatic gain decision based on measured operating channel power of mobile base station
KR20060040787A (en) * 2004-11-05 2006-05-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input in wibro rf repeater
KR20060106454A (en) * 2005-04-08 2006-10-12 엔지엘테크놀러지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interface apparatus used in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690B1 (en) 2010-05-17 2011-05-19 주식회사 피플웍스 Antenna embedded remote radio head using a digital hu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176A (en)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1915B2 (en) Uplink noise minimization
CN102907012B (en) Detect and measure the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traffic in the system that continues in the signal
EP2037599B1 (en) Booster, monitoring, apparatus, booster system, control method and monitoring method
US7680452B2 (en) Repeater
AU673576B2 (en) Access burst power control
EP2428079B1 (en) Determining the repetater gain in dependence of interference
JP20005128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transmitted by a ground station in a VSAT network
EA008957B1 (en) Method for automatic control of rf output level of a repeater
RO119762B1 (en) Transceiver,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signal power of the transceiver
US11758570B2 (en) Automated interference mitigation in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wireless networks
CN101202573A (en) Intelligent straight placement station and parameter automatic adjustment method
CN107484237A (en) A kind of unbalanced Adaptable System of uplink downlink and its method
KR100940382B1 (en) Base 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same
CN207251924U (en) A kind of unbalanced Adaptable System of uplink downlink
CN101212247B (en) Hub, signal combining method and RTWP calculation method
JP6223216B2 (en) Relay control station, repeater, and interference avoidance method
CN1539212B (en) Satellite uplink power control method and device
CN101237261B (en) RF unit and its signal amplitude adjusting method
US12010717B2 (en) Automated interference mitigation in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wireless networks
CN108390711A (en) Computational methods and device for gain in digital junction equipment
JPH06141361A (en) Radio frequency optical transmission method and communication equipment applied with th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