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820B1 -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 정보에 의해 사용자 인증을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키스트로크 정보를 획득하기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키스트로크 정보획득 방법 - Google Patents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 정보에 의해 사용자 인증을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키스트로크 정보를 획득하기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키스트로크 정보획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820B1
KR100939820B1 KR1020070084866A KR20070084866A KR100939820B1 KR 100939820 B1 KR100939820 B1 KR 100939820B1 KR 1020070084866 A KR1020070084866 A KR 1020070084866A KR 20070084866 A KR20070084866 A KR 20070084866A KR 100939820 B1 KR100939820 B1 KR 100939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keystroke
user
authent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0256A (ko
Inventor
장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원플러스
주식회사 비즈니스인텔리전스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원플러스, 주식회사 비즈니스인텔리전스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원플러스
Priority to KR1020070084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820B1/ko
Publication of KR20090020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16User authentication by observing the pattern of computer usage, e.g. typical user behavi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6Software aspects at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11Software architecture within ATMs or in relation to the ATM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키스트로크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키스트로크 획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증 정보 입력부; 사용자가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를 통해 인증 정보에 해당하는 키스트로크를 입력하는 경우 입력하는 키스트로크 간의 시간 간격인 인터벌을 생성하도록 보조하는 인터벌 생성 보조부;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인증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키스트로크 정보를 구성하는 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 및 상기 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로부터 구성된 키스트로크 정보를 사용자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키스트로크 획득 방법을 제공한다.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 인터벌

Description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 정보에 의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키스트로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키스트로크 정보 획득 방법{USER TERMINAL APPARATUS FOR OBTAINING KEYSTROKE INFORMATION FROM USER TO PERFORM AUTHENTICATTION BY USING BEHAVIOR PATTERN BASED ON KEYSTROKE AND METHOD FOR OBTAINING KEYSTROKE INFORM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 정보에 의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키스트로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키스트로크 정보 획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키스트로크에 기반한 행동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함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키스트로크 정보를 간편하게 획득하여 사용자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 서버에서 키스트로크에 기반한 행동 패턴을 추출하고 추출된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 정보를 등록하고 또한 등록해 둔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 정보와 입력되는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키스트로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키스트로크 정보 획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기반 온라인 뱅킹(Internet-based online banking), 증권 거래 및 결제 서비스 등과 같은 전자상거래 서비스 뿐 아니라 은행과 같은 금융 기관에 설치된 ATM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진정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과정을 필요로 한다. 물론, 인터넷 등에서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 제공 사이트에서도 특정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인터넷 상의 웹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치게 된다. 통상적으로, 사용자 인증 과정은 사용자가 입력한 ID 및/또는 비밀번호를 인증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ID 및 비밀번호들과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비밀번호 입력 방식은 간편하고 저렴하며 비교적 구현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들이 ID나 비밀번호를 선택함에 있어서 가족들의 이름, 생일, 전화번호, 주소 등과 같이 추측하기 쉬운 단어나 숫자를 ID 및/또는 비밀번호로 선택하므로, 정보의 누출이 쉽다는 점에서 보안성에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보다 정교한 사용자 인증 방법으로서 바이오메트릭스(biometrics)가 제안되고 있다. 바이오메트릭스란, 사람의 생체적 특성(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또는 행동 특성(behavioral characteristics)에 근거하여 사람을 인식하는 방법을 말하는데, 이러한 인식 방법은, 1) 인식대상인 사람은 인식 장소에 물리적으로 존재해야 하며, 2) 비밀번호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종래의 비밀번호 입력 방식에 비해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바이오메트릭스는 지문, 얼굴 특징(facial feature), 홍채(irises), 장문(掌紋,palm print) 등과 같은 사용자의 고유한 생체적 특성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생리적 특성은 각 개인마다 고유하며 시간이 지나도 일관성있게 보존되므로, 고도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갖는 인식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생체적 특성에 기초하는 바이오메트릭스는 인식의 정확도가 매우 중요하므로 인식에 사용되는 입력 장치에 크게 의존하며, 인식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정교하고 정밀한 인식을 수행할 수 있는 입력 장치가 요구되므로 시스템의 전체 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행동 특성 기반 바이오메트릭스는 저렴한 비용, 사용자 편의성 및 원격 접속 제어 가능성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므로,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식 또한 여러 가지로 제안되고 있다. 특히, 키보드나 키패드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키스트로크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행동 패턴(행동 특성)을 추출하고 이를 미리 사용자 인증에 사용하는 방식이 널리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키스트로크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추출하여 사용자 인증에 사용하는 것은, 사용자가 자신의 ID 및/또는 비밀번호와 같은 인증 정보를 등록할 때의 키스트로크를 인증시에 재현하는 경우 비교적 많은 오차가 발생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진정한 사용자가 자신이 등록해 둔 ID 및/또는 비밀 번호와 같은 인증 정보를 제대로 입력하는 경우에도, 입력되는 인증 정보의 키스트로크의 패턴이 일치하지 않으면 사용자 인증이 거부되므로 사용자로 하 여금 불편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키스트로크를 통해 인증 정보를 입력할 때 미리 등록해 둔 인증 정보의 키스트로크의 행동 패턴을 재현할 수 있는 재현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키스트로크를 통해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등록할 때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을 용이하게 생성하여 사용자 인증 서버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키스트로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키스트로크 정보 획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인증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 미리 등록해 둔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을 간편하게 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의 정확성, 신뢰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키스트로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키스트로크 정보 획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 정보에 의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 서버와 결합하여, 사용자로부터 키스트로크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증 정보 입력부; 사용자가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를 통해 인증 정보에 해당하는 키스트로크를 입력하는 경우 입 력하는 키스트로크 간의 시간 간격인 인터벌을 생성하도록 보조하는 인터벌 생성 보조부;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인증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키스트로크 정보를 구성하는 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 및 상기 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로부터 구성된 키스트로크 정보를 사용자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 서버는 상기 수신한 키스트로크 정보로부터 키스트로크 행동 패턴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키스트로크 행동 패턴 정보로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증 서버는 상기 수신한 키스트로크 정보로부터 인증 대상 키스트로크 행동 패턴 정보를 추출하고 미리 등록해 둔 사용자의 키스트로크 행동 패턴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는,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에 대한 키스트로크 각각이 눌려진 시간인 입력 지속시간 정보와,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에 대한 키스트로크 각각 사이의 간격인 인터벌 정보와,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에 대한 키스트로크 각각이 눌려지는 압력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키스트로크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는, 사용자가 상기 인터벌 생성 보조부를 입력한 경우 상기 인터벌 생성 보조부가 눌려진 입력 지속시간 정보와,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와 상기 인터벌 생성 보조부 사이의 키스트로크의 시간 간격인 제2 인 터벌 정보를 더 포함하여 키스트로크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 및 상기 인터벌 생성 보조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 또는 숫자 키로 구성되며, 상기 인터벌 생성 보조부는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를 구성하는 키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사용자로부터 키스트로크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증 정보 입력부 및 인터벌 생성 보조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를 입력받는 제1 단계; 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에서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인증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키스트로크 정보를 구성하는 제2 단계; 및 데이터 송신부가 상기 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로부터 구성된 키스트로크 정보를 사용자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스트로크 정보 획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 서버는 상기 수신한 키스트로크 정보로부터 키스트로크 행동 패턴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키스트로크 행동 패턴 정보로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증 서버는 상기 수신한 키스트로크 정보로부터 인증 대상 키스트로크 행동 패턴 정보를 추출하고 미리 등록해 둔 사용자의 키스트로크 행동 패턴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가,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에 대한 키스트로크 각각이 눌려진 시간인 입력 지속시간 정보와,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에 대한 키스트로크 각각 사이의 간격인 인터벌 정보와,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에 대한 키스트로크 각각이 눌려지는 압력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키스트로크 정보를 구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는, 사용자가 상기 인터벌 생성 보조부를 입력한 경우 상기 인터벌 생성 보조부가 눌려진 입력 지속시간 정보와,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와 상기 인터벌 생성 보조부 사이의 키스트로크의 시간 간격인 제2 인터벌 정보를 더 포함하여 키스트로크 정보를 구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키스트로크를 통해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등록할 때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을 용이하게 생성하여 사용자 인증 서버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키스트로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키스트로크 정보 획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인증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 미리 등록해 둔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을 간편하게 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의 정확성, 신뢰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키스트로크 정보 획득을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와 사용자 인증 서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키스트로크 정보 획득을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10, 이하 사용자 단말 장치라 한다)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인증 서버(20)와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를 입력받으며, 인증 정보 입력시의 사용자의 키스트로크와 관련된 특성 정보(이하, 키스트로크 정보라 한다)를 구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인증 서버(20)로 전송하고, 사용자 인증 서버(20)는 수신한 키스트로크 정보로부터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해 두고, 추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를 통해 인증 정보를 입력한 경우 마찬가지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예컨대 컴퓨터, 금융 기관의 ATM 장치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키스트로크(keystroke)를 기반으로 하여 행동 패턴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므로 키스트로크를 취득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을 포함한다. 키스트로크를 취득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은 예컨대, 키보드, 키패드 등과 같은 입력 장치일 수 있으며, LCD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키패드가 구현된 터치스크린 방식의 입력 장치일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의 사용자 인증 서버(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최초로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등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키스트로크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특성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둔다. 이후에,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를 통해 키스트로크 정보를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경우 수신된 키스트로크 정보로부터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미리 저장해 둔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증 서버(20)는 예컨대 금융 기관 ATM 장치와 연결된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는 금융 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금융 거래용 서버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 인증이 실패한 경우라면 적절한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인증 서버(20)는 금융 거래용 서버와 사용자 단말 장치(10) 사이에 연결될 것이다. 한편, 사용자 인증 서버(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와 일체로 구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 내에서 금융 거래나 특정한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경우라면 사용자 단말 장치(10) 자체가 사용자 인증 서버(20)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요컨대, 사용자 단말 장치(10)와 사용자 인증 서버(20)라고 하는 것은 물리적인 명칭이 아니라 기능적인 명칭임을 유의해야 한다.
한편, 도 1에서의 네트워크는 인터넷, 이동 통신망, 공중 통신망 등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사용자 단말 장치(10)와 사용자 인증 서버(20)를 연결하기 위한 모든 형태의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가 사용자 인증 서버(20)로서의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경우라면 네트워크는 필요없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일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인증 정보 입력부(11), 인터벌 생성 보조부(12), 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13) 및 데이터 송신부(14)를 포함한다.
인증 정보 입력부(11)는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본 발명은 키스트로크를 기반으로 행동 패턴을 추출하고 이를 사용자 인증에 사용하므로, 인증 정보 입력부는 사용자의 키스트로크를 취득할 수 있는 수단 예컨대 키보드, 키패드, 또는 키패드가 구현된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일 수 있다.
인터벌 생성 보조부(12)는 사용자가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11)를 통해 인증 정보에 해당하는 키스트로크를 입력하는 경우 입력하는 키스트로크 간의 시간 간격인 인터벌을 생성하도록 보조하기 위한 수단이다. 본 발명은 키스트로크를 기반으 로 하는 행동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데, 키스트로크를 기반으로 하는 행동 패턴은 인증 정보 입력부(11)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에 대한 키스트로크 각각이 눌려진 시간인 입력 지속시간 정보(duration)와, 인증 정보 입력부(11)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에 대한 키스트로크 각각 사이의 간격인 인터벌 정보와, 인증 정보 입력부(11)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에 대한 키스트로크 각각이 눌려지는 압력 정보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결합 정보를 의미한다. 이 때, 인터벌 정보는 사용자가 인증 정보를 입력할 때의 키스트로크 각각의 사이의 시간 간격을 의미하는데, 사용자는 이러한 시간 간격인 인터벌을 인터벌 생성 보조부(12)를 통해 간편하게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비밀번호 "1234"를 인증 정보로서 최초로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 키패드부의 숫자 키인 "1", "2", "3", "4"를 순차적으로 입력하게 되는데, 이 때 각각의 키인 "1", "2", "3", "4"의 입력 지속 시간 정보는 각 키가 눌려진 시간을 계산함으로써 생성되고, 각 키의 압력 정보는 각 키가 눌려진 압력을 압력 센서 등의 수단에 의해 산출함으로써 생성된다. 한편, 인터벌 정보는 각 키가 눌려지는 사이의 시간 간격을 계산함으로써 생성되는데, 이 때 인터벌을 인터벌 생성 보조부(12)를 누름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고유한 인터벌 정보를 손쉽게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인터벌 생성 보조부(12)에 해당하는 키를 "I"라고 가정하면, 숫자 "1","I","2","I","I", "3","I" "4" 과 같은 순서로 순차적으로 입력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인터벌을 리듬감을 가지고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인터벌을 가진 키스트로크 행동 패턴이 사용자 인증 서 버(20)에 등록된 후, 추후 사용자가 인증을 해야 하는 경우, 인증 정보 입력부(11)를 통해 인증 정보를 입력하면서 인터벌 생성 보조부(12)를 통해 인터벌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자신이 등록해 둔 키스트로크의 인터벌을 간편하게 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13)는 인증 정보 입력부(13)를 통해 입력되는 인증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키스트로크 정보를 구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키스트로크 정보라 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인증 정보 자체, 입력 지속시간 정보, 인터벌 정보, 압력 정보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결합 정보를 의미한다. 이러한 키스트로크 정보는 사용자 인증 서버(20)에서 사용하는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 정보와는 구별되는데, 키스트로크 정보는 사용자가 인증 정보 입력부(13) 및 인터벌 생성 보조부(13)를 통해 입력하는 인증 정보와 이러한 인증 정보의 키스트로크로부터 산출되는 입력 지속시간 정보, 인터벌 정보, 압력 정보 자체를 의미하며, 사용자 인증 서버(20)에서의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 정보는 이와 같은 키스트로크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된 정보를 의미한다. 키스트로크 정보로부터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 정보를 추출한다는 것은, 키스트로크 정보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계산 과정을 통해 여러 가지 형태의 행동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예컨대 키스트로크 정보의 어떠한 것을 이용할 것인지 즉 입력 지속시간, 인터벌 또는 압력 정보 중의 어떠한 것들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것인지에 따라 행동 패턴 정보는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키스트로크 정보를 구성하는 입력 지속시간 정보, 인터벌 정보, 압력 정보 등에 대한 오차 범위를 설정한 경우, 오차 범위에 따라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 정보를 다르게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키스트로크 정보를 일정한 연산 법칙에 따라 치환하여 행동 패턴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키스트로크 정보 각각의 조합이나 그래프를 이용하는 기하학적인 연산 등을 사용하여 행동 패턴 정보를 달리 추출할 수도 있다. 즉, 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13)에서 구성되는 키스트로크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스트로크 자체에 대한 데이터 그 자체를 의미하며, 이러한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각종 연산을 통해 이용 및 가공한 것이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 정보이다. 물론, 사용자 인증 서버(20)에서 키스트로크 정보를 특별히 가공하지 않고 수신되는 키스트로크 정보 그대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 정보는 키스트로크 정보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13)에서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 정보까지 추출하여 사용자 인증 서버(20)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 인증 서버(20)는 수신되는 정보를 그대로 등록하거나 비교만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인터벌 생성 보조부(12)에는 특정한 키 값을 부여하거나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인증 정보 입력부(11)가 키패드인 경우, 키패드를 구성하는 숫자 또는 문자 키에는 각 숫자 또는 문자 키에 해당하는 ASCII 코드와 같은 특정 키 값이 부여되어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13)는 인증 정보 입력부(11)의 어떠한 키가 얼마만큼 눌려졌는지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인터벌 생성 보조부(12)에는 해당하는 특정 키 값을 부여하거나 부여하지 않을 수 있는데, 특정 키 값이 부여된 경우 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13)는 인터벌 생성 보 조부(12)가 입력된 경우(눌려진 경우)에 해당하는 특정 키 값도 포함하여 키스트로크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만약, 인터벌 생성 보조부(12)에 특정 키 값이 부여되지 않은 경우, 인터벌 생성 보조부(12)를 입력하더라도 아무런 키 값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13)는 인터벌 생성 보조부(12)로부터의 입력을 무시하고 키스트로크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인터벌 생성 보조부(12)는 일종의 더미(dummy) 입력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데이터 송신부(14)는 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13)로부터 구성된 키스트로크 정보를 사용자 인증 서버(20)로 전송하는 수단이다. 데이터 송신부(14)를 통해 키스트로크 정보가 사용자 인증 서버(20)로 전송되면, 사용자 인증 서버(20)는 수신된 키스트로크 정보로부터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 정보를 등록하거나 미리 등록해 둔 행동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2의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컴퓨터, ATM 장치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장치인데, 도 2에서는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구성 요소만을 나타내었음을 유의해야 한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는 도 2에 나타낸 구성 요소 이외에 장치 자체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자명한 기타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성 요소들 예컨대, 디스플레이 수단, 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 장치 등과 같은 요소들은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 이 없으므로 설명을 생략한 것이지 이러한 구성 요소들을 제외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도 3은 도 2에서 설명한 사용자 단말 장치(10)를 통해 사용자가 인증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인증 정보로서 비밀번호 "1234"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경우의 입력 지속시간 정보, 인터벌 정보를 나타낸 것인데, 비밀번호 "1", "2", "3", "4"에 해당하는 키를 각각 200ms, 300ms, 200ms, 400ms 동안 눌렀으며, 이들 키 사이의 인터벌은 각각 600ms, 500ms, 500ms 임을 알 수 있다. 이 때, 인터벌 600ms, 500ms, 500ms 각각에 해당하는 시간에 도 2의 인터벌 생성 보조부(12)가 눌려졌으며, 이를 "I"로 표시했다.
도 3의 경우, 인터벌 생성 보조부(12)에는 특정 키 값이 할당되어 있지 않거나 특정 키 값이 할당되어 있어도 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13)에서 이를 무시함으로써 도 3과 같은 형태의 키스트로크 정보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의 경우에 압력 정보는 생략하였으나, 이들 각각과 결합하여 압력 정보를 더 이용하여 키스트로크 정보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사용자 단말 장치(10)를 통해 사용자가 인증 정보를 입력하는 다른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의 경우는 인터벌 정보 보조부(12)가 입력 되는 경우 인터벌 생성 보조부(12)가 눌려지는 입력 지속 시간 정보와 인터벌 정보 보조부(12)와 인증 정보 입력부(11) 사이의 시간 간격을 별도로 구성한 경우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비밀번호 "1234"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면서, 인터벌 생성 보조부(12)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입력 지속 시간(320ms, 200ms, 200ms) 동안 누르면서, "1","2","3","4" 각각과 인터벌 생성 보조부(12)가 눌려지는 시간(150ms, 130ms, 200ms, 100ms, 150ms, 150ms)을 별도로 계산하여 이들 전체를 키스트로크 정보로서 구성한 경우이다. 도 4의 경우에는, 도 3의 경우에 비하여 인증이 정교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재현성이 다소 약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도 3 또는 도 4의 방식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경우에도,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압력 정보는 생략하여 나타내었다.
도 5는 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13)에서 구성된 키스트로크 정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서와 같이 인증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구성되는 키스트로크 정보로서, 인증 정보 자체 "1234"가 한 칸씩 입력 지속 시간과 함께 나타나 있으며, 그 사이 사이에 인터벌 정보를 나타내는 기호와 인터벌 정보가 대응하여 나타나 있다. 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13)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인증 정보로부터 이와 같은 형태의 키스트로크 정보를 구성하여 데이터 송신부(14)를 통해 사용자 인증 서버(20)로 전송하게 된다.
도 5에서도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압력 정보는 생략하여 나타내었으며, 압력 정보도 포함하여 키스트로크 정보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각 인증 정보에 대응하여 압력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은 경우를 키스트로크 정보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인증 정보 "1234"와 "I" 사이의 인터벌 정보와 "I"가 눌려진 시간 정보까지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실제 구현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컴퓨터의 키보드에 구현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통상적인 키보드의 우측에 구비된 키패드부의 하단부에 인터벌 생성 보조부(12)가 별도로 형성되어 있으며, 키패드부의 다른 키들은 인증 정보 입력부(11)로서 기능한다. 도 6에서는 인터벌 생성 보조부(12)가 키패드부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위치는 하단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상단부, 또는 좌/우측부 등 필요에 따라 어느 곳에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사용자가 인증 정보 입력부(11)를 입력하면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인증 정보 입력부(11)와 비교적 근접한 곳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7은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또 다른 실제 구현 예로서, ATM 장치에 구현된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ATM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키패드부의 하단부에 인터벌 생성 보조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키패드부는 인증 정보 입력 부(11)로서 기능하게 되며, 인터벌 생성 보조부(12)의 위치 또한 필요에 따라 하단부 이외의 상단부, 좌/우측부 등 키패드부에 근접한 곳에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또 다른 실제 구현 예로서, ATM 장치에 구현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7과 비교해 볼 때, 인터벌 생성 보조부(12)가 별도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키패드부의 백스페이스키를 인터벌 생성 보조부(11)로 사용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는 경우 ATM 장치에서 백스페이스키는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므로(정정 키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백스페이스 키를 인터벌 생성 보조부(12)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하드웨어적인 별도의 구성이 필요없으며, 장치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만을 업데이트하면 되므로, 현재 이용되고 있는 ATM 장치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이 경우 ATM 장치는 백스페이스 키에 대해 특정 키 값을 할당하지 않거나 백스페이스 키에 대해서는 키 값을 무시하는 방식으로 키스트로크 정보를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백스페이스 키를 이용하여(도 4 참조) 키스트로크 정보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ATM 장치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된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사용자에게 ATM 장치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경우로서, 이 때 일반적인 방식에 따라 인증 정보(비밀 번호)를 입력할 수 있으나, 하단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심패스워드 도우미 사용"을 누르면 도 10과 같은 형태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10의 화면에는 백스페이스 키가 "도우미" 버튼으로 변환되어 있으며, "도우미" 버튼은 인터벌 생성 보조부(12)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11은 ATM 장치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된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0과 비교해 볼 때 백스페이스키를 인터벌 생성 보조부(12)로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도우미" 버튼을 생성하여 이를 인터벌 생성 보조부(12)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경우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이며, 첨부된 청구범위 및 도면을 참조하여 파악되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들을 수정, 개선 및 변형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임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키스트로크 정보 획득을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와 사용자 인증 서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일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 및 도 4는 사용자 단말 장치(10)를 통해 사용자가 인증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13)에서 구성된 키스트로크 정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도 11은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실제 구현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사용자 단말 장치.
20...사용자 인증 서버.
11...인증 정보 입력부.
12...인터벌 생성 보조부.
13...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
14...데이터 송신부.

Claims (12)

  1.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 정보에 의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 서버와 결합하여, 사용자로부터 키스트로크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증 정보 입력부;
    사용자가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를 통해 인증 정보에 해당하는 키스트로크를 입력하는 경우 입력하는 키스트로크 간의 시간 간격인 인터벌을 생성하도록 보조하는 인터벌 생성 보조부;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인증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키스트로크 정보를 구성하는 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 및
    상기 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로부터 구성된 키스트로크 정보를 사용자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는,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에 대한 키스트로크 각각이 눌려진 시간인 입력 지속시간 정보와,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에 대한 키스트로크 각각 사이의 간격인 인터벌 정보와,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에 대한 키스트로크 각각이 눌려지는 압력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키스트로크 정보를 구성하되, 사용자가 상기 인터벌 생성 보조부를 입력한 경우 상기 인터벌 생성 보조부가 눌려진 입력 지속시간 정보와,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와 상기 인터벌 생성 보조부 사이의 키스트로크의 시간 간격인 제2 인터벌 정보를 더 포함하여 키스트로크 정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서버는 상기 수신한 키스트로크 정보로부터 키스트로크 행동 패턴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키스트로크 행동 패턴 정보로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서버는 상기 수신한 키스트로크 정보로부터 인증 대상 키스트로크 행동 패턴 정보를 추출하고 미리 등록해 둔 사용자의 키스트로크 행동 패턴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 및 상기 인터벌 생성 보조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 또는 숫자 키로 구성되며, 상기 인터벌 생성 보조부는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를 구성하는 키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사용자로부터 키스트로크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증 정보 입력부 및 인터벌 생성 보조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를 입력받는 제1 단계;
    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에서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인증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키스트로크 정보를 구성하는 제2 단계; 및
    데이터 송신부가 상기 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로부터 구성된 키스트로크 정보를 사용자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는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에 대한 키스트로크 각각이 눌려진 시간인 입력 지속시간 정보와,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에 대한 키스트로크 각각 사이의 간격인 인터벌 정보와,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에 대한 키스트로크 각각이 눌려지는 압력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키스트로크 정보를 구성하되, 상기 키스트로크 정보 구성부는, 사용자가 상기 인터벌 생성 보조부를 입력한 경우 상기 인터벌 생성 보조부가 눌려진 입력 지속시간 정보와,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와 상기 인터벌 생성 보조부 사이의 키스트로크의 시간 간격인 제2 인터벌 정보를 더 포함하여 키스트로크 정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트로크 정보 획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서버는 상기 수신한 키스트로크 정보로부터 키스트로크 행동 패턴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키스트로크 행동 패턴 정보로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트로크 정보 획득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서버는 상기 수신한 키스트로크 정보로부터 인증 대상 키스트로크 행동 패턴 정보를 추출하고 미리 등록해 둔 사용자의 키스트로크 행동 패턴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트로크 정보 획득 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070084866A 2007-08-23 2007-08-23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 정보에 의해 사용자 인증을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키스트로크 정보를 획득하기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키스트로크 정보획득 방법 KR100939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866A KR100939820B1 (ko) 2007-08-23 2007-08-23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 정보에 의해 사용자 인증을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키스트로크 정보를 획득하기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키스트로크 정보획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866A KR100939820B1 (ko) 2007-08-23 2007-08-23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 정보에 의해 사용자 인증을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키스트로크 정보를 획득하기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키스트로크 정보획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256A KR20090020256A (ko) 2009-02-26
KR100939820B1 true KR100939820B1 (ko) 2010-02-02

Family

ID=40687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866A KR100939820B1 (ko) 2007-08-23 2007-08-23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 정보에 의해 사용자 인증을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키스트로크 정보를 획득하기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키스트로크 정보획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98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219B1 (ko) 2017-09-19 2019-03-1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타이핑 속도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3833B2 (en) * 2010-12-29 2013-09-24 Microsoft Corporation User identification with biokinematic input
KR101422105B1 (ko) * 2012-12-04 2014-07-2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양한 입력기기를 통해 수집된 자유로운 문자열의 키스트로크 다이나믹스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960060B1 (ko) * 2017-08-14 2019-07-15 인터리젠 주식회사 사용자 인증방법 및 장치
KR102121703B1 (ko) * 2019-12-11 2020-06-11 (주)티엔젠 터치 패턴과 키스트로크 패턴에 기반한 무인 비행체 컨트롤러의 암호키 주입기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194B1 (ko) 2000-11-01 2003-09-26 문규 패스워드 각 문자 정보사이의 입력시간 차이를 이용한범용컴퓨터 해킹 방지 및 기계식 보안 장치용 패스워드보안시스템
US20060280339A1 (en) * 2005-06-10 2006-12-14 Sungzoon Cho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keystroke dynamic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194B1 (ko) 2000-11-01 2003-09-26 문규 패스워드 각 문자 정보사이의 입력시간 차이를 이용한범용컴퓨터 해킹 방지 및 기계식 보안 장치용 패스워드보안시스템
US20060280339A1 (en) * 2005-06-10 2006-12-14 Sungzoon Cho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keystroke dynamic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219B1 (ko) 2017-09-19 2019-03-1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타이핑 속도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256A (ko)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7199B2 (en) Remote usage of locally stored biometric authentication data
Tasia et al. Two novel biometric features in keystroke dynamics authentication systems for touch screen devices
US7673149B2 (en) Identification and/or authentication method
US200702363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user behavior patterns
US8836473B2 (en) Dynamic keypad and fingerprinting sequence authentication
US20050039027A1 (en) Universal, biometric, self-authenticating identity computer having multiple communication ports
WO2007079595A1 (en) Multi-mode credential authentication
JP5160908B2 (ja) 認証システム
US20180013758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password based user authentication and password management
KR100939820B1 (ko)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 정보에 의해 사용자 인증을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키스트로크 정보를 획득하기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키스트로크 정보획득 방법
JP5043857B2 (ja) トランザクション確認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3786820B1 (en) Authentication system, authentication device, authentication method, and program
US20220366726A1 (en) Augmented signature authent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JP2007265219A (ja) 生体認証システム
KR20090022682A (ko) 키스트로크 기반 행동 패턴 정보를 이용한 금융 거래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69964A (ko) 사용자가 입력하는 인증 정보의 키스트로크 패턴 분석 방법및 시스템
US20220263653A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vitality verification using a biometric one-time passcode
US11323261B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vitality verification using a biometric one-time passcode
US20020015058A1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its authentication method, and authentication program
JPWO2021131059A1 (ja) 認証システム、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483693B1 (en) Free-hand character recognition on a touch screen POS terminal
US11657378B2 (en) Secure kinetic key patterns with soft assist for vision-impaired users
JP2003058890A (ja) 署名照合システム、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20170111942A (ko) 고유정보연동 오티피(otp) 방식의 전자 인증 방법 및 전자 인증 시스템
KR20040052522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동적 서명인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