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816B1 - 접속자별 접속 통계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접속자별 접속 통계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816B1
KR100938816B1 KR1020080135397A KR20080135397A KR100938816B1 KR 100938816 B1 KR100938816 B1 KR 100938816B1 KR 1020080135397 A KR1020080135397 A KR 1020080135397A KR 20080135397 A KR20080135397 A KR 20080135397A KR 100938816 B1 KR100938816 B1 KR 100938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ccess
received
termin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용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81025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3881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그
Priority to KR1020080135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8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27Filtering policies
    • H04L63/0236Filtering by address, protocol, port number or service, e.g. IP-address or UR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접속자별 접속 통계 정보 제공 방법은 (a) 접속자 단말로부터 관리 대상 웹 페이지에 대한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현재 수신한 접속 정보와 이전에 수신한 접속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접속자 단말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판단된 발생 이벤트 유형을 이용하여 접속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접속 정보는 이전 URL 정보 및 현재 URL 정보 중 하나 이상과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통계 정보는 접속자 단말별로 생성되고, 상기 발생 이벤트 유형은 새로 고침, 새 창 열기 및 페이지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 통계 제공

Description

접속자별 접속 통계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NECTION STATISTICS INFORMATION OF RESPECTIVE USER}
본 발명은 접속자 단말마다의 접속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HTTP 프로토콜은 요구/응답(request/response) 방식을 이용하여 동작하고 있다. 즉, 접속자가 원하는 프로토콜 기능, 예를 들어 GET, HEAD 또는 POST 등에 대해 서비스를 요구하면, 이에 응답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TCP 연결이 생성되고, 서버는 생성된 TCP 연결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자동적으로 연결이 끊어진다.
즉,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대하여 TCP를 기반으로 한 HTTP 연결을 생성하고, URI, 프로토콜 버전, 클라이언트 정보 또는 사용자 데이터 등과 같은 규정된 요구 형식에 따라 서버로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요구 메시지에 응답하여 프로토콜 버전, 성공 또는 오류 코드 번호, 서버 정보, 데이터 정보 또는 사용자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이러한 HTTP 프로토콜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을 계속 유지하는 것이 아니며, 작업이 종료되면, 즉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바로 연결을 해제하므로 연결이 지속되지 않는다. 이러한 HTTP 프로토콜의 특성으로 인하여, HTTP 프로토콜에서 각각의 클라이언트가 특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고 종료하였음이 구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HTTP 프로토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쿠키(cookie) 및 세션(session)이 사용되었다.
쿠키(cookie)는 일종의 하이퍼 텍스트의 기록서이며, 인터넷 사용자가 임의의 웹 사이트를 방문하는 경우, 방문한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서버에 의하여 인터넷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되는 기록 정보 파일이다. 이러한 쿠키에 포함된 정보는 인터넷 사용자가 동일한 웹 사이트를 방문하는 경우 판독되며, 새로운 정보로 갱신될 수 있다.
세션(session)은 사용자의 단말과 서버 사이에 설정되는 논리적 연결이며, 일정 시간 동안 동일한 사용자, 즉 동일한 브라우저(browser)로부터 전송된 일련의 요구를 하나의 상태로 보고 그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웹 서버는 다수의 웹 페이지 요청자를 구별하기 위하여 각 사용자에 대하여 설정된 세션에 대하여 임의의 아이디(ID, identification)를 부여한다.
이러한 세션 ID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계정, 암호, IP 주소, 타임 스탬프 등의 다수의 파라미터가 조합되어 생성될 수 있다.
HTTP 프로토콜은 기본적으로 비연결 유지 프로토콜이므로, 웹 페이지를 방문 할 때마다 새로운 로그인이 필요하고,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술한 세션 ID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최초 로그인 시 ID, 비밀번호 입력 또는 기타 인증 절차 등에 의하여 사용자가 확인되면 그 이후의 방문에 대하여는 서버에 저장된 세션 ID 정보에 의하여 인증이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세션 및 쿠키를 이용하더라도,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한 웹 페이지의 접속은 접속의 연결성이 없고, 이로 인하여 브라우저가 종료되면 정보가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접속자가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시간을 특정할 수는 있으나, 웹 페이지의 접속을 종료하는 시간을 특정할 수 없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HTTP 프로토콜을 통하여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경우, 웹 페이지의 접속자의 접속 통계, 예를 들어 총 방문자, 순방문자, 접속 페이지 등에 대해 분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관리 대상인 웹 페이지에 대하여 HTTP 프로토콜을 통하여 접속하는 접속자별 접속 통계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접속 유지 및 종료뿐만 아니라, 정확한 웹 페이지의 통계 관리를 위하여 관리 대상 웹 페이지에 대해 브라우저 상에서 발생한 '새로 고침', '새 창 열기' 및 '페이지 이동'을 구분하여 인식함으로써 정확한 접속 통계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a) 접속자 단말로부터 관리 대상 웹 페이지에 대한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현재 수신한 접속 정보와 이전에 수신한 접속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접속자 단말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판단된 발생 이벤트 유형을 이용하여 접속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접속 정보는 이전 URL 정보 및 현재 URL 정보 중 하나 이상과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통계 정보는 접속자 단말별로 생성되고, 상기 발생 이벤트 유형은 새로 고침, 새 창 열기 및 페이지 이동을 포함하는 것인 접속자별 접속 통계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접속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접속 정보를 분석하여 관리 대상 웹 페이지에 대한 접속자 단말의 접속 유지 여부를 판단하는 접속 유 지 판단부,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접속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접속자 단말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유형을 판단하는 접속 정보 관리부, 상기 접속 정보, 상기 접속 유지 여부 및 상기 발생 이벤트 유형을 이용하여 접속자 단말별로 접속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접속 통계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접속 정보를 접속자 단말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정보는 이전 URL 정보 및 현재 URL 정보 중 하나 이상과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정보 관리부는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접속 정보를 이전에 수신한 접속 정보와 비교하여 발생 이벤트 유형을 판단하는 것인 접속자별 접속 통계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접속자 단말이 웹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관리 대상 웹 페이지를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경우, 접속 통계 서버가 수신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 종료, 접속 유지 및 새로 고침, 새 창 열기 및 페이지 이동의 이벤트 발생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자별 접속 통계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나 이상의 접속자 단말(100)은 HTTP 프로토콜을 통하여 웹 서버(20)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10), 예를 들어 "example.com"의 주소를 갖는 웹페이지에 접속한다. 웹 페이지(10)는 접속 통계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스크립트(script)를 포함할 수 있다.
웹 페이지(10)에 포함된 스크립트는 접속자 단말(100)에서 구동중인 브라우저(browser)가 웹 페이지(10)를 로딩(loading) 또는 언로딩(unloading)할 때마다 이전 URL 정보, 현재 URL 정보 및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를 접속 통계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전 URL 정보는 referrer 함수를 통해 파악할 수 있으며, 현재 브라우저에 로딩된 웹 페이지 이전의 웹 페이지의 URL에 대한 정보이다.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는 브라우저가 구동된 후 웹 페이지가 이동된 횟수를 의미하며, 자바 스크립트의 히스토리 정보 등을 통해 파악될 수 있다.
접속 통계 서버(200)는 수신한 이전 URL 정보 및 현재 URL 정보 중 하나 이상과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자의 접속 시작, 종료를 확인하고, 특히 새로 고침, “새 창 열기”을 통한 접속 및 동일한 도메인(domain) 내에서의 페이지 이동 등을 파악한다.
접속 통계 서버(200)는 이전 URL 정보, 현재 URL 정보 및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생성한 접속 통계 정보를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한다.
관리자 단말(300)은 접속 통계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접속 통계 정보를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자별 접속 통계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단계(S110)에서, 접속자 단말(100)은 웹 서버로부터 세션을 부여 받고, 접속하고자 하는 웹 페이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접속자 단말(100)은 웹 서버와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접속된다.
단계(S120)에서, 접속자 단말(100)은 단계(S110)에서 수신한 웹 페이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접속하고자 하는 웹 페이지를 로딩(loading)하고, 웹 페이지의 로딩과 동시에 웹 페이지의 접속 정보를 전송한다(S130). 전송되는 웹 페이지의 접속 정보는 웹 페이지의 로딩 이전의 URL에 대한 정보인 이전 URL 정보, 현재 로딩된 URL에 대한 정보인 현재 URL 정보 및 브라우저에서 현재 로딩된 페이지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가 이동된 횟수, 즉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40)에서, 접속 통계 서버(200)는 수신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접속 통계 서버(200)는 접속자 단말별로 접속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
생성된 접속 통계 정보는 접속자별 접속 시작 시간, 접속 종료 시간, 페이지 이동 횟수, 접속 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 통계 정보의 구체적인 생성 방법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단계(S150)에서, 접속 통계 서버(200)는 단계(S140)에서 생성한 접속 통계 정보를 필요에 따라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한다. 전송된 접속 통계 정보는 관리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되어 관리자에게 제공되고, 관리자는 제공된 접속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 관리 및 접속자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S160)에서, 접속자 단말(100)은 단계(S120)에서 로딩된 웹 페이지를 언로딩하고, 웹 페이지의 언로딩과 동시에 언로딩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접속 통계 서버(200)로 전송한다(S170).
전술한 바와 같이, 생성되는 웹 페이지의 접속 정보는 웹 페이지의 로딩 시 생성되는 접속 정보와 마찬가지로 웹 페이지의 언로딩 직전의 URL에 대한 정보인 이전 URL 정보, 언로딩 후 새롭게 로딩된 URL에 대한 정보인 현재 URL 정보 및 브라우저에서 현재 로딩된 페이지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가 이동된 횟수, 즉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접속자 단말의 식별 정보 및 로딩 시간 정보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80)에서, 접속 통계 서버(200)는 수신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자 단말별로 접속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생성된 접속 통계 정보는 접속자별 로딩 시간, 언로딩 시간,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 페이지 이동 횟수, 접속 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90)에서, 접속 통계 서버(200)는 단계(S180)에서 생성된 접속 통계 정보를 필요에 따라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하여, 웹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에 대한 접속 통계를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자별 접속 통계 정보 제공 방법에서 접속자 단말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를 판단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210)에서, 접속자 단말로부터 웹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의 로딩(loading) 또는 언로딩(unloading)에 따라 생성된 접속 정보를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딩시의 접속 정보는 이전 URL 정보, 현재 URL 정보 및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통계 서버는 접속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이전 URL 정보, 현재 URL 정보 및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이하에서, 접속 통계 서버가 기억하고 있는 이전 URL 정보는 'http://www.pre-example.com/'이고, 현재 URL 정보는 'http://www.example.com/'이며,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는 '3'이라고 가정한다.
단계(S220)에서, 단계(S210)에서 수신한 현재 URL 정보 또는 이전 URL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즉 이전에 수신한 기존의 현재 URL 정보 또는 이전 URL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단계(S210)에서 수신한 현재 URL 정보를 이전에 수신한 기존의 현재 URL 정보와 비교하거나 또는 단계(S210)에서 수신한 이전 URL 정보를 이전에 수신한 기존의 이전 URL 정보와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접속자 단말이 웹 페이지에 대한 접속을 유지하며 웹 페이지를 언로딩 및 로딩하는 상황은 '새로 고침', '새 창 열기' 또는 '페이지 이동'의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새로 고침'은 접속자 단말이 동일한 브라우저에서 특정 페이지를 언로딩하고, 다시 언로딩한 페이지를 로딩하는 것을 나타낸다. '새 창 열기'는 기존의 브라우저에 로딩된 특정 페이지를 기존의 브라우저에 연계되는 새 창, 즉 새로운 브라우저에 다시 로딩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페이지 이동'은 동일한 도메인 주소 내에서 하위 폴더 및 파일을 이동하여 로딩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웹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에 포함되는 다수의 웹 페이지 사이의 이동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http://www.example.com/'의 페이지를 언로딩하고, 다시 'http://www.example.com/a/b.html'를 로딩하는 경우, 'http://www.example.com/'로부터 'http://www.example.com/a/b.html'로 페이지를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접속자 단말에서 발생한 상황이 '새로 고침', '새 창 열기' 및 '페이지 이동' 중 어느 상황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새로 수신한 현재 URL 정보와 이전에 수신한 현재 URL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새로 수신한 이전 URL 정보와 이전에 수신한 이전 URL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230)에서는, 단계(S220)에서 접속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현재 URL 정보가 이전에 수신한 현재 URL 정보와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접속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이전 URL 정보가 이전에 수신한 이전 URL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페이지 이동'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
즉, '페이지 이동'이 발생하면, 접속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이전 URL 정보는 페이지 이동 전의 URL 정보를 포함하고, 현재 URL 정보는 페이지 이동 후의 URL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나 접속 통계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전 URL 정보 및 현재 URL 정보는 페이지 이동 전의 페이지에 대한 이전 URL 및 현재 URL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페이지 이동'이 발생하면, 단계(S210)에서 접속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현재 URL 정보 또는 이전 URL 정보는 이전에 수신한 현재 URL 정보 또는 이전 URL 정보와 불일치하게 되므로, 이러한 경우 접속자 단말의 브라우저에서 웹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 이동'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
예를 들어, '페이지 이동'이 발생하여, 브라우저에 로딩된 'http://www.example.com/'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가 언로딩되고, 'http://www.example.com/a/b.html'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가 다시 브라우저에 로딩되는 경우, 접속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이전 URL 정보 및 현재 URL 정보는 각각 'http://www.example.com/' 및 'http://www.example.com/a/b.html'가 된다.
이 경우 접속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이전 URL 정보 및 현재 URL 정보는 접속 통계 서버가 이전에 수신한 이전 URL 정보 및 현재 URL 정보와 불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단계(S220)에서 접속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현재 URL 정보 또는 이전 URL 정보가 이전에 수신한 이전 URL 정보 또는 현재 URL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접속자 단말의 브라우저에서 웹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 이동'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
단계(S240)에서, 단계(S220)에서 접속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현재 URL 정보가 이전에 수신한 현재 URL 정보와 일치하거나 또는 접속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이전 URL 정보가 이전에 수신한 이전 URL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계(S210)에서 수신한 접속 정보에 포함된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와 접속 통계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는 접속자 단말의 하나의 브라우저에서 웹 페이지가 로딩 또는 언로딩된 횟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S210)에서 수신한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와 이전에 저장된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를 비교하여, '새로 고침' 인지 또는 '새 창 열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S250)에서는, 단계(S240)에서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접속자 단말의 브라우저에서 웹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에 대한 '새로 고침'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
즉, 새로 고침에 의해 웹 페이지가 로딩되어, 이전 URL 정보, 현재 URL 정보 및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에 변함이 없는 것이므로, 접속자 단말의 브라우저에서 '새로 고침'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단계(S260)에서는, 단계(S240)에서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접속자 단말의 브라우저에서 웹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에 대한 '새 창 열기'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
즉, 기존의 브라우저에 연계되는 새로운 브라우저에 웹 페이지가 로딩되어, 이전 URL 정보, 현재 URL 정보는 변함이 없으나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에 불일치하게 된 것이므로, 접속자 단말의 브라우저에서 '새 창 열기'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단계(S270)에서, 단계(S260)에서 인식한 '새 창 열기'에 대응하여, 웹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에 대한 연계 브라우저의 개수를 증가시킨다. 연계 브라우저는 '새 창 열기'를 통해 최초의 브라우저에 연계하여 발생한 브라우저를 의미한다.
따라서, '새 창 열기'가 발생한 경우, 연계 브라우저의 개수를 증가시켜, '새 창 열기'에 의해 발생한 브라우저의 수를 기록하고 저장한다.
단계(S280)에서는, 단계(S220) 내지 단계(S270)에서 수행된 판단을 기초로 하여 접속자 단말별로 접속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접속 통계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한다. 접속 통계 정보는 접속자별 접속 시작 시간, 접속 종료 시간, 페이지 이동 횟수, 접속 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S280)에서, 단계(S210)에서 수신한 접속 정보를 접속 통계 서버에 기억시킨다. 즉, 접속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새로운 이전 URL 정보, 현재 URL 정보 및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를 접속자 단말별로 접속 통계 서버에 기록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자별 접속 통계 정보 제공 방법에서 접속 유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310)에서, 접속자 단말로부터 웹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의 로딩(loading)에 따라 생성된 접속 정보를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딩시의 접속 정보는 이전 URL 정보, 현재 URL 정보 및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320)에서는, 단계(S310)에서 수신한 로딩 정보를 분석하여 접속자 단말의 브라우저에서 웹 페이지가 로딩된 시간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단계(S330)에서, 접속자 단말로부터 웹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의 언로딩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340)에서는, 단계(S330)에서 접속자 단말로부터 웹 페이지의 언로딩 정보를 수신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접속 통계 서버는 접속자 단말의 언로딩된 웹 사이트의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 사이트를 로딩했던 마지막 브라우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접속자 단말은 웹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 사이트를 하나의 브라우저가 아닌 다수의 브라우저를 통해 로딩할 수 있으며, 특히 현재 브라우저의 정보, 예를 들어 현재 URL 정보, 이전 URL 정보 및 페이지 이동 횟수를 그대로 포함하는 연계 브라우저를 생성하고, 새롭게 생성된 연계 브라우저를 통해 동일한 웹 사이트를 로딩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S340)에서, 웹 사이트를 언로딩한 브라우저가 웹 사이트를 로딩했던 마지막 연계 브라우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350)에서는, 단계(S350)에서 웹 사이트를 언로딩한 브라우저가 마지막 연계 브라우저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계(S330)에서 수신한 언로딩 정보를 분석하여 접속자 단말의 브라우저에서 웹 페이지가 언로딩된 시간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단계(S360)에서, 접속 통계 서버는 웹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에 대한 접속자 단말에서의 접속이 유지되고 있는지 또는 유지되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접속 유지 판단 방법은 기록된 로딩 시간과 언로딩 시간을 비교하여 판단된다. 즉, 접속 통계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언로딩 시간 및 로딩 시간을 비교하고, 언로딩 시간 이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로딩 시간이 기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접속 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언로딩 시간 이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로딩 시간이 기록된 경우, 접속자 단말이 웹 사이트에 대한 접속을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언로딩 시간 이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로딩 시간이 기록된 경우, 접속자 단말이 웹 사이트에 대한 접속을 종료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시간이 10초이며, 로딩 시간이 언로딩 시간으로부터 3초 후에 기록된 경우, 접속자 단말의 브라우저에서 웹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가 언로딩된 후 새로 고침 또는 페이지 이동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S370)에서는, 단계(S340)에서 웹 사이트를 언로딩한 브라우저가 마지막 연계 브라우저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접속 통계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연계 브라우저의 개수를 하나 감소시킨다. 연계 브라우저의 개수 정보는, 연계 브라우저가 생성되어 웹 페이지가 로딩될 때마다 하나씩 증가하여 접속 통계 서버에 기록된다.
따라서, 웹 사이트를 언로딩한 브라우저 이외의 연계 브라우저가 존재하고, 그 연계 브라우저가 웹 사이트를 로딩하고 있는 경우, 접속 통계 서버는 연계 브라우저의 개수가 하나 감소된 연계 브라우저 개수 정보를 기록한다.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자별 접속 통계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접속 통계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통계 서버(200)는 접속 정보 수신부(210), 접속 유지 판단부(220), 접속 정보 관리부(230), 접속 통계 정보 생성부(240) 및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한다.
접속 정보 수신부(210)는 접속자 단말로부터 접속자 단말의 브라우저에서 웹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에 대하여 수행된 로딩 또는 언로딩에 따른 접속 정보를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 정보는 이전 URL 정보, 현재 URL 정보 및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웹 페이지의 로딩(loading) 시간 또는 언로딩(unloading) 시간에 대한 정보 및 접속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유지 판단부(220)는 접속 정보 수신부(210)에 의해 수신된 접속 정보를 분석하여, 접속자 단말의 브라우저에서 웹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에 대한 접속이 유지 또는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접속 유지 판단부(220)는 접속 정보에 포함된 로딩 시간 및 언로딩 시간을 분석하여, 언로딩 시간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로딩 시간이 기록된 경우에 접속이 유지된 것으로 판단하고, 언로딩 시간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로딩 시간이 기록된 경우에는 접속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접속 정보 관리부(230)는, 접속 유지 판단부(220)에 의해 접속자 단말의 브라우저에서 웹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에 대한 접속이 유지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접속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접속 정보를 분석하여 웹 페이지의 언로딩 및 로딩이 어떠한 이벤트에 의하여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 접속 정보 관리부(230)는 접속 유지의 경우 수신한 접속 정보에 포함된 이전 URL 정보, 현재 URL 정보 및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이전 URL 정보, 현재 URL 정보 및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접속 정보 관리부(230)는, 수신한 접속 정보에 포함된 이전 URL 정보와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이전 URL 정보가 일치하거나 수신한 접속 정보에 포함된 현재 URL 정보와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현재 URL 정보가 일치하고, 수신한 접속 정보에 포함된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와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새로 고침'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접속 정보 관리부(230)는, 수신한 접속 정보에 포함된 이전 URL 정보와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이전 URL 정보가 일치하거나 수신한 접속 정보에 포함된 현재 URL 정보와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현재 URL 정보가 일치하고, 수신한 접속 정보에 포함된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와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새 창 열기'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접속 정보 관리부(230)는, 수신한 접속 정보에 포함된 이전 URL 정보와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이전 URL 정보가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수신한 접속 정보에 포함된 현재 URL 정보와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현재 URL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페이지 이동'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접속 통계 정보 생성부(240)는 접속 유지 판단부(220)에 의해 판단된 접속 유지 여부 결과 및 접속 정보 관리부(230)에 의해 판단된 특정 이벤트 발생 여부 결과를 이용하여 접속자 단말별 접속 통계 정보를 생성한다.
접속자 통계 정보 생성부(240)에 의해 생성되는 접속 통계 정보는 접속자 단말별의 로딩 및 언로딩 시간, 발생한 이벤트 정보, 예를 들어 '접속 종료', '새로 고침', '새 창 열기' 또는 '페이지 이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 통계 정보 생성부(240)는 생성한 접속 통계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 하여, 웹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의 관리자에게 접속자 단말마다의 접속 통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50)는 접속 정보 수신부(210)에 의해 수신된 접속자 단말의 접속 정보, 접속 유지 판단부(220)에 의해 판단된 접속 종료 정보 및 접속 정보 관리부(230)에 의해 판단된 이벤트 정보를 저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어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접속 통계 정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접속 통계 정보는 접속자의 식별 정보(510), 웹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가 접속자 단말의 브라우저에 로딩된 시간의 정보(520), 웹 페이지가 언로딩된 시간의 정보(530) 및 웹 페이지의 로딩 또는 언로딩의 원인이 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540)를 포함한다.
웹 페이지의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접속 통계 서버로부터 수신한 접속 통계 정보를 제공 받아 웹 페이지의 관리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자별 접속 통계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자별 접속 통계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자별 접속 통계 정보 제공 방법에서 접속자 단말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를 판단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자별 접속 통계 정보 제공 방법에서 접속 유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자별 접속 통계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접속 통계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어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접속 통계 정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

Claims (17)

  1. 접속 통계 서버가 접속자별 접속 통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접속자 단말로부터 관리 대상 웹 페이지에 대한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현재 수신한 접속 정보와 이전에 수신한 접속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접속자 단말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판단된 발생 이벤트 유형을 이용하여 접속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접속 정보는 이전 URL 정보 및 현재 URL 정보 중 하나 이상과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통계 정보는 접속자 단말별로 생성되고, 상기 발생 이벤트 유형은 새로 고침, 새 창 열기 및 페이지 이동을 포함하되,
    상기 (b) 단계는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현재 수신한 이전 URL 정보와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이전에 수신한 이전 URL 정보가 일치하거나,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현재 수신한 현재 URL 정보와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이전에 수신한 현재 URL 정보가 일치하고,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현재 수신한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와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이전에 수신한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발생 이벤트 유형을 새로 고침으로 판단하는 것인 접속 통계 정보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d) 상기 수신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대상 웹 페이지의 로딩 시간 및 언로딩 시간을 기록하는 단계 및
    (e) 상기 기록된 로딩 시간과 언로딩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접속자 단말의 접속 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접속 통계 정보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기록된 로딩 시간이 상기 기록된 언로딩 시간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인 경우, 상기 접속자 단말이 상기 관리 대상 웹 페이지에 접속을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접속 통계 정보 제공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기록된 로딩 시간이 상기 기록된 언로딩 시간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접속자 단말이 상기 관리 대상 웹 페이지에 접속을 종료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접속 통계 정보 제공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3)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현재 수신한 이전 URL 정보와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이전에 수신한 이전 URL 정보가 일치하고,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현재 수신한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와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이전에 수신한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발생 이벤트 유형을 새 창 열기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접속 통계 정보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4)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현재 수신한 현재 URL 정보와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이전에 수신한 현재 URL 정보가 일치하고,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현재 수신한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와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이전에 수신한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발생 이벤트 유형을 새 창 열기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접속 통계 정보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5)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현재 수신한 이전 URL 정보와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이전에 수신한 이전 URL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발생 이벤트 유형을 페이지 이동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접속 통계 정보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6)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현재 수신한 현재 URL 정보와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이전에 수신한 현재 URL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발생 이벤트 유형을 페이지 이동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접속 통계 정보 제공 방법.
  11. 접속자별 접속 통계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접속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접속 정보를 분석하여 관리 대상 웹 페이지에 대한 접속자 단말의 접속 유지 여부를 판단하는 접속 유지 판단부,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접속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접속자 단말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유형을 판단하는 접속 정보 관리부,
    상기 접속 정보, 상기 접속 유지 여부 및 상기 발생 이벤트 유형을 이용하여 접속자 단말별로 접속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접속 통계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접속 정보를 접속자 단말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정보는 이전 URL 정보 및 현재 URL 정보 중 하나 이상과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정보 관리부는 상기 접속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접속 정보를 이전에 수신한 접속 정보와 비교하여 발생 이벤트 유형을 판단하되, 상기 수신한 접속 정보에 포함된 이전 URL 정보와 상기 이전에 수신한 접속 정보에 포함된 이전 URL 정보가 일치하거나 상기 수신한 접속 정보에 포함된 현재 URL 정보와 상기 이전에 수신한 접속 정보에 포함된 현재 URL 정보가 일치하고, 상기 수신한 접속 정보에 포함된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와 상기 이전에 수신한 접속 정보에 포함된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접속자 단말에서 동일한 웹 페이지가 언로딩 후 다시 로딩되는 '새로 고침'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접속 통계 정보 제공 시스템.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 관리부는, 상기 수신한 접속 정보에 포함된 이전 URL 정보와 상기 이전에 수신한 접속 정보에 포함된 이전 URL 정보가 일치하거나 상기 수신한 접속 정보에 포함된 현재 URL 정보와 상기 이전에 수신한 접속 정보에 포함된 현재 URL 정보가 일치하고, 상기 수신한 접속 정보에 포함된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와 상기 이전에 수신한 접속 정보에 포함된 페이지 이동 횟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접속자 단말에서 동일한 웹 페이지가 새로운 브라우저에서 로딩되는 '새 창 열기'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접속 통계 정보 제공 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 관리부는, 상기 수신한 접속 정보에 포함된 이전 URL 정보와 상기 이전에 수신한 접속 정보에 포함된 이전 URL 정보가 일치하지 않거나 상기 수신한 접속 정보에 포함된 현재 URL 정보와 상기 이전에 수신한 접속 정보에 포함된 현재 URL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접속자 단말에서 상기 관리 대상 웹 페이지에 포함되는 웹 페이지 간의 이동이 수행되는 '페이지 이동'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접속 통계 정보 제공 시스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관리 대상 웹 페이지의 로딩 시간 또는 언로딩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로딩 시간 및 언로딩 시간을 저장하며,
    상기 접속 유지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언로딩 시간 및 로딩 시간을 비교하여 접속 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접속 통계 정보 제공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유지 판단부는 상기 저장된 언로딩 시간 이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로딩 시간이 기록된 경우, 상기 접속자 단말이 상기 관리 대상 웹 페이지에 접속을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접속 통계 정보 제공 시스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유지 판단부는 상기 저장된 언로딩 시간 이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로딩 시간이 기록된 경우, 상기 접속자 단말이 상기 관리 대상 웹 페이지에 접속을 종료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접속 통계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080135397A 2008-12-29 2008-12-29 접속자별 접속 통계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938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397A KR100938816B1 (ko) 2008-12-29 2008-12-29 접속자별 접속 통계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397A KR100938816B1 (ko) 2008-12-29 2008-12-29 접속자별 접속 통계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8816B1 true KR100938816B1 (ko) 2010-01-26

Family

ID=41810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397A KR100938816B1 (ko) 2008-12-29 2008-12-29 접속자별 접속 통계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8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866B1 (ko) * 2010-02-05 2011-06-09 주식회사 로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서버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263A (ko) * 2003-04-07 2003-05-22 주식회사 드림나우 인터넷 홈페이지 이용자의 행태 정보 획득 방법 및 그 장치
KR100755468B1 (ko) * 2007-05-29 2007-09-04 (주)이즈포유 웹 페이지 구조 분석을 통한 웹 사이트의 정보 파악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263A (ko) * 2003-04-07 2003-05-22 주식회사 드림나우 인터넷 홈페이지 이용자의 행태 정보 획득 방법 및 그 장치
KR100755468B1 (ko) * 2007-05-29 2007-09-04 (주)이즈포유 웹 페이지 구조 분석을 통한 웹 사이트의 정보 파악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866B1 (ko) * 2010-02-05 2011-06-09 주식회사 로그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서버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1121B2 (en) Aggregation platform portal
US11411928B2 (en) Mobile device identification using second entity matching
US8341711B1 (en) Automated login session extender for use in security analysis systems
US9306927B2 (en) Single login procedure for accessing social network information across multiple external systems
US7484012B2 (en) User enrollment in an e-community
CN109587133A (zh) 一种单点登录系统及方法
CN103930897A (zh) 移动应用、单点登录管理
CN108108973A (zh) 业务风险控制方法及装置
WO2004036351A2 (en) Cross-site timed out authentication management
US20170325089A1 (en) Method and system of user authentication and end to end encryption using device synchronization
US106144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lead verification
CN107197330A (zh) 自动标识多频道媒体分布者用于认证或授权的减少的可用性
US10803164B2 (en) Validating sign-out implementation for identity federation
CN103560884B (zh) 用户身份信息的注销方法、系统、认证服务器及客户端
KR100938816B1 (ko) 접속자별 접속 통계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0154052B1 (en) Tracer cookies to detect web session compromise by insiders
US20160014041A1 (en) Resource reference classification
US11973779B2 (en) Detecting data exfiltration and compromised user accounts in a computing network
CN114265642A (zh)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722998B1 (en) Authenticating a cookie with distinctive signals
CN107172114A (zh) 基于显式代理环境中访问ftp资源的方法及代理服务器
KR101039866B1 (ko) 실시간 접속자 목록 제공 서버 및 방법
WO2011087171A1 (ko) 접속자 단말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유형을 판단하는 방법
CN117201605A (zh) 一种基于h5的小程序客户端用户会话实现方法及系统
CN112751844A (zh) 一种Portal认证方法、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10906

Effective date: 20120222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1100002148;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10906

Effective date: 2012022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906

Effective date: 20120302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110000214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906

Effective date: 2012030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200002562;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403

Effective date: 2012090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200002562;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403

Effective date: 2012090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