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286B1 - 다중 수동형 광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수동형 광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286B1
KR100938286B1 KR1020070091722A KR20070091722A KR100938286B1 KR 100938286 B1 KR100938286 B1 KR 100938286B1 KR 1020070091722 A KR1020070091722 A KR 1020070091722A KR 20070091722 A KR20070091722 A KR 20070091722A KR 100938286 B1 KR100938286 B1 KR 100938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network
thin film
line terminal
film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6626A (ko
Inventor
김종덕
윤빈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91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286B1/ko
Priority to PCT/KR2008/002857 priority patent/WO2009035202A1/en
Priority to US12/677,226 priority patent/US20100322626A1/en
Publication of KR20090026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1Multimod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78WDM optical network architectures
    • H04J14/0282WDM tree archite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9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 G02B6/29346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operating by wave or beam interference
    • G02B6/29361Interference filters, e.g. multilayer coatings, thin film filters, dichroic splitters or mirrors based on multilayers, WDM filters
    • G02B6/2937In line lens-filtering-lens devices, i.e. elements arranged along a line and mountable in a cylindrical package for compactness, e.g. 3- port device with GRIN lenses sandwiching a single filter operating at normal incidence in a tubular pack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7Arrangements for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04J14/0228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all, e.g. broadcasting wavelengths
    • H04J14/023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all, e.g. broadcasting wavelengths in WDM passive optical networks [WDM-PON]
    • H04J14/0232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all, e.g. broadcasting wavelengths in WDM passive optical networks [WDM-PON] for downstream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04J14/0241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 H04J14/0242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 H04J14/0245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for downstream transmission, e.g. optical line terminal [OLT] to ONU
    • H04J14/0246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for downstream transmission, e.g. optical line terminal [OLT] to ONU using one wavelength per ON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04J14/0241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 H04J14/0242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 H04J14/0245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for downstream transmission, e.g. optical line terminal [OLT] to ONU
    • H04J14/0247Sharing one wavelength for at least a group of O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04J14/0241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 H04J14/0242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 H04J14/0249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for upstream transmission, e.g. ONU-to-OLT or ONU-to-ONU
    • H04J14/025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for upstream transmission, e.g. ONU-to-OLT or ONU-to-ONU using one wavelength per ONU, e.g. for transmissions from-ONU-to-OLT or from-ONU-to-ON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04J14/0241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 H04J14/0242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 H04J14/0249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for upstream transmission, e.g. ONU-to-OLT or ONU-to-ONU
    • H04J14/0252Sharing one wavelength for at least a group of ONUs, e.g. for transmissions from-ONU-to-OLT or from-ONU-to-ON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다중 수동형 광 네트워크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파장 분리/결합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중 수동형 광 네트워크 장치는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Passive Optical Network, PON); 및 제1수동형 광네트워크와 다른 속도 및 용량의 서비스를 지원하되, 상기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 자원의 일부를 공유하는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서로 다른 속도/용량을 서비스하는 네트워크들 중 가입자가 원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수동형 광 네트워크 시스템{Multiple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광네트워크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동형 광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광가입자망을 구축하는 기술에 관련된 것이다.
오늘날 가정에까지 차세대 IP-TV 서비스가 가능한 광가입자망(Fiber To The Home, FTTH)의 보급이 본격화되고 있다. 광가입자망을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수동형 광네트워크(Passive Optical Network, PON) 기술 중에서 초기 구축비용이 적게 드는 이더넷 수동형 광네트워크(Ethernet PON, EPON) 및 기가비트 수동형 광네트워크(Gigabit-capable PON) 방식이 각각 일본과 미국을 중심으로 상업망에 확산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채널당(가정당) 기가급 이상의 데이터 용량을 지원할 수 있는 10G EPON/GPON 기술과 파장분할다중화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WDM-PON) 기술이 차세대 광가입자망 기술로써 개발되고 있다.
시분할다중방식 수동형 광네트워크(TDMA-PON) 기술인 EPON/GPON의 일반적인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중앙기지국(또는 전화국)에 송수신기능 및 데이터 처리를 담당하는 광 회선 단말장치(Optical Line Termination, OLT) 시스템이 구현되고, 가입자단(사무소 혹은 집)에 송수신기능 및 데이터 처리를 담당하는 광 네트워크 유닛(Optical Network Unit, ONU)이 구현된다. 여기서 OLT와 ONU는 광 분배기(Optical Splitter)를 통하여 광섬유로 연결되어 상향 및 하향 광신호를 상호 송수신한다. 참고로 ONU는 ONT(Optical Network Terminal)로도 불리운다.
EPON/GPON을 위한 표준화 규격은 IEEE 802.3 및 ITU-T G.984에 정의되어 있다. 단일 광섬유를 통한 양방향 송수신을 위하여 상향 1310nm, 하향 1490nm의 파장대역을 표준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아울러 비디오 오버레이(video overlay)를 위한 별도의 파장을 사용하여 기존의 위성방송 및 CATV 방송 서비스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비디오 오버레이를 위한 하향파장대역은 아직 표준화 문서에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잠정적으로 1550nm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편화되어 있다. 차세대 광가입자망 기술로는 현재 가장 먼저 10G EPON을 위한 표준화가 IEEE 802.3av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10G GPON 및 WDM-PON을 위한 표준화는 FSAN(Full Service Access Network) 포럼에서 검토 및 논의중인 상태이다.
도 1은 전술한 일반적인 시분할(TDM) 방식의 수동형 광네트워크(Passive Optical Network, PON) 구성도이다.
ONU(10a)(10b)에서 생성된 상향 전송신호파장들(λ1, 1310nm)은 각각 광섬유를 통하여 광분배기(11a)(11b)에서 각 광섬유(20a)(20b)로 결합되어 중앙기지국(CO)에 위치한 OLT(30a)(30b)로 전달된다. 그리고 각각의 OLT(30a)(30b)에서 하향전송신호로써 생성된 디지털데이터파장(λ2, 1490nm)과 비디오 오버레이(video overlay)를 위한 아날로그데이터파장(λ3, 1550nm)은 각각의 광섬유(20a)(20b)를 통하여 광분배기(11a)(11b)에서 n의 수만큼 광세기의 분기를 거쳐서 각각의 광섬유 에 연결된 ONU(10a)(10b)에 전달된다.
하나의 OLT에 대하여 광분배기의 분기수 n은 일반적으로 16, 32, 64의 수와 같으며, OLT와 ONU 사이의 전송거리는 일반적으로 10km 또는 20km 정도이다. 일반적으로 중앙기지국에서 가입자지역까지 광섬유 묶음(20)과 같은 형태로 광섬유가 포설되고, 가입자와 근접한 지역에 다수의 가입자들로 광분기를 위한 구성인 원격노드인 광분배기(11a, 11b)가 구비되며, 원격노드로부터 각 가입자로 광섬유가 설치된다.
한편, 초고속 인터넷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에 있어 현재의 xDSL과 같은 기술이 EPON/GPON 방식의 광가입자망 기술로 대체되고 있는 것처럼, 향후에는 EPON/GPON 또한 차세대 광가입자망 기술인 WDM-PON이나 10G EPON/GPON으로 대체될 것이다. 그러나 초고속 인터넷망이 양질의 서비스가 가능한 광가입자망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보다 높은 대역폭에 대한 수요 증가율을 지금까지에 비하여서는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동일 지역에서 채널당(가정당) 저용량/저비용의 서비스와 고용량/고비용의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혼재될 것으로 예상되는바, 현세대 및 차세대용 혼합서비스가 가능한 다중 광가입자망의 기술이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저속/저용량의 서비스와 고속/고용량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중 수동형 광네트워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 수동형 광네트워크를 구현하는 데 필수적인 새로운 구조의 WDM 커플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Passive Optical Network, PON); 및 제1수동형 광네트워크와 다른 속도 및 용량의 서비스를 지원하되, 상기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 자원의 일부를 공유하는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다중 수동형 광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제1광 회선 단말장치(Optical Line Termination, OLT); 상기 제1광 회선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제1광 네트워크 유닛(Optical Network Unit, ONU)들; 및 상기 제1광 회선 단말장치로부터 전달된 하향전송파장을 상기 다수의 제1광 네트워크 유닛들로 분기하며, 상기 다수의 제1광 네트워크 유닛들로부터의 상향전송파장들을 상기 제1광 회선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제1원격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제2광 회선 단말장치; 상기 제2광 회선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제2광 네트워크 유닛들; 상기 제2광 회선 단 말장치로부터 전달된 하향전송파장을 상기 다수의 제2광 네트워크 유닛들로 분기하며, 상기 다수의 제2광 네트워크 유닛들로부터의 상향전송파장들을 상기 제1광 회선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제2원격노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1광 회선 단말장치와 그에 대응하는 다수의 제1광 네트워크 유닛들, 그리고 상기 제2광 회선 단말장치와 그에 대응하는 다수의 제2광 네트워크 유닛들은 적어도 일부 구간에 있어 광섬유를 공유하여 상하향전송파장을 송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는, 상기 공유된 광섬유를 통해 제1광 회선 단말장치로 송수신되는 상하향전송파장과 상기 제2광 회선 단말장치로 송수신되는 상하향전송파장을 분리 또는 결합하는 제1분리/결합부; 및 상기 공유된 광섬유를 통해 상기 제1광 네트워크 유닛들로 송수신되는 상하향전송파장과 상기 제2광 네트워크 유닛들로 송수신되는 상하향전송파장을 분리 또는 결합하는 제2분리/결합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전술한 기술적 과제는 파장에 따라 투과 혹은 반사하며 상호 대칭되게 놓이는 제1박막필터 및 상기 제1박막필터를 포함하는 이중필터; 상기 제1박막필터 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박막필터측 입출력 포트; 상기 제2박막필터 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박막필터측 입출력 포트;를 포함하되,
상기 이중필터가 상기 입출력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제1광 수동형 네트워크에 할당된 상하향전송파장과 상기 제1광 수동형 네트워크와는 상이한 제2광 수동형 네트워크에 할당된 상하향전송파장을 투과 또는 반사하여 해당 입출력 포트로 출력 함에 의해 파장을 분기 또는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분리/결합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은 저속/저용량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수동형 광네트워크에 고속/고용량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수동형 광네트워크를 접목시켜 선택적으로 가입자가 원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네트워크 자원의 일부를 상호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광가입자 인프라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수동형 광 네트워크의 할당 파장을 용이하게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수동형 광 네트워크들이 접목되어 구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수동형 광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다중 수동형 광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속도 및 용량의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와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는 저속 및 저용량의 서비스를 지원하 는 네트워크로, 이더넷 수동형 광 네트워크(Ethernet PON, EPON)이나 기가티브 수동형 광 네트워크(Gigabit-capable PON, GPON)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는 고속 및 고용량의 서비스를 지원하는 차세대 네트워크로, 10G EPON이나 10G GPON, 혹은 WDM-PON이 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에 대해 EPON 혹은 GPON으로 예시하였고,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차세대 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의미하는 N-PON으로 예시하였다. 여기서 N-PON은 10G EPON이나 10G GPON, 혹은 WDM-PON이 될 수 있다.
중앙기지국(CO)(100)은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용 광 회선 단말장치(OLT)(110a)(110b)와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용 광 회선 단말장치(OLT)(120a)(120b)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또한 가입자단(200)(300)은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용 광 네트워크 유닛(ONU)(210a)(310a)과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용 광 회선 단말장치(ONU)(210b)(310b)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OLT(110a)는 ONU(210a)들과 대응되어 상향전송신호파장(λ1), 하향송신호파장(λ2) 및 비디오 오버레이 파장(λ3)을 송수신하며, OLT(120a)는 ONU(210b)들과 상향전송신호파장(λ4) 및 하향전송신호파장(λ5)을 송수신한다. 또한 OLT(110b)는 ONU(310a)들과 대응되어 상향전송신호파장(λ1), 하향송신호파장(λ2) 및 비디오 오버레이 파장(λ3)을 송수신하며, OLT(120b)는 ONU(310b)들과 상향전송신호파장(λ4) 및 하향전송신호파장(λ5)을 송수신한다. 여기서 비디오 오버레이 파장(λ3)은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에서 이용되는 것으로 가정되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와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는 적어도 일부 자원을 공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와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는 전송매체인 광섬유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한다. 이하에서는 광섬유의 적어도 일부를 공유하기 위한 다중 수동형 광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중앙기지국(100)은 제1분리/결합부(130a)(130b)를 포함한다. 제1분리/결합부(130a)는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에 할당된 파장들(λ1,λ2,λ3)과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에 할당된 파장들(λ4,λ5)을 분리하거나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제1분리/결합부(130a)는 OLT(110a)로부터 전달된 하향전송파장(λ2)과 비디오 오버레이 파장(λ3)을 OLT(120a)로부터 전달된 하향전송파장(λ5)과 결합하여 광분포망(Optical distribution Network, ODN)의 광섬유다발(400)의 광섬유(410)를 통하여 제1가입자단(200)으로 전달하며, 제1가입자단(200)으로부터 광섬유(410)를 통하여 전달된 상향전송파장(λ1,λ4)을 분리하여 λ1을 OLT(110a)로 전달하고 λ4를 OLT(120a)로 전달한다. 제1분리/결합부(130b) 또한 그 위치 상에서 제1분리/결합부(130a)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제1가입자단(200)은 제2분리/결합부(240)를 포함한다. 제2분리/결합부(240) 또한 제1분리/결합부(130a)(130b)와 마찬가지로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에 할당된 파장들(λ1,λ2,λ3)과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에 할당된 파장들(λ4,λ5)을 분리하거나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제2분리/결합부(240)는 제1원격노드(220)로부터 전달된 상향전송파장(λ1)과 제2원격노드(230)로부터 전달된 상향전송파장(λ4)을 결합 하여 광섬유(410)를 통하여 중앙기지국(100)으로 전달하며, 광섬유(410)를 통해 전달된 파장(λ2,λ3,λ5)을 분리하여 λ2,λ3을 제1원격노드(220)로 전달하고 λ5를 제2원격노드(230)로 전달한다. 여기서 제2분리/결합부(240)는 WDM 커플러가 될 수 있다.
제1원격노드(220)는 제2분리/결합부(240)에서 분리된 하향전송파장(λ2) 및 비디오 오버레이 파장(λ3)을 다수의 ONU(210a)들로 분기하며, 다수의 ONU(210a)들로부터 전달되는 상향전송파장(λ1)을 제2분리/결합부(240)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2원격노드(230)는 제2분리/결합부(240)에서 분리된 하향전송파장(λ5)을 다수의 ONU(210b)들로 분기하며, 다수의 ONU(210b)들로부터 전달되는 상향전송파장(λ4)을 제2분리/결합부(240)로 전달한다. 여기서 제1원격노드(220)는 광분배기(Power splitter)가 될 수 있으며, 제2원격노드(230)는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가 10G TDMA-PON(10G EPON 혹은 10G GPON)인 경우에는 광분배기(Power splitter)가 되며,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가 WDM-PON의 경우는 AWG(Arrayed waveguide grating)이 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가입자단(300)은 제1가입자단(200)과 다르게 구현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적인 양상에 따른 것이다. 제2가입자단(300)의 ONU(310a)들과 ONU(310b)들은 각각 중앙기지국(100)의 OLT(110b) 및 OLT(120b)와 대응되어 동작한다. 중앙기지국(100)의 제1분리/결합부(130b)는 그 역할상 앞서 설명한 제1분리/결합부(130a)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2가입자단(300)은 원격노드(320)와 제2분리/결합부(330)를 포함한다. 원 격노드(320)는 중앙기지국(100)으로부터 광섬유(420)를 통해 전달된 하향전송파장(λ2,λ5) 및 비디오 오버레이 파장(λ3)을 분기 출력하며, 분기된 위치의 ONU(310a)들 및 ONU(310b)들로부터 전달된 상향전송파장(λ1,λ4)들을 광섬유(420)를 통해 중앙기지국(100)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원격노드(320)는 광분배기(Power splitter)가 됨이 바람직하다.
제2분리/결합부(330)는 광분배기(320)에서 분기되는 각 지점에 위치하여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에 할당된 파장들(λ1,λ2,λ3)과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에 할당된 파장들(λ4,λ5)을 분리하거나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제2분리/결합부(330)는 분기된 하향전송파장(λ2,λ3,λ5)을 분리하여 λ2,λ3은 ONU(310a)로 전달하며, λ5는 ONU(310b)로 전달한다. 또한 ONU(310a)로부터 전달된 상향전송파장(λ1)과 ONU(310b)로부터 전달된 상향전송파장(λ4)을 결합하여 광분배기(320)로 전달한다.
제1가입자단(200)과 제2가입자단(300)을 비교하면, 제1가입자단(200)은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위한 제1원격노드(220) 앞에 설치된 WDM 커플러(240)에 의해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용 송수신 파장들(λ1,λ2,λ3)로부터 제2수동형 광네트워크를 위한 파장들(λ4,λ5)을 분리하는 방식이며, 제2가입자단(300)은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위한 원격노드(320)로부터 분기되는 가입자 방향의 각 지점에 설치된 WDM 커플러(330)들에 의해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용 파장들(λ1,λ2,λ3)과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용 파장들(λ4,λ5)을 분리하는 방식이다.
제1가입자단(200)은 광분배기(220)의 분기수가 비교적 크거나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 가입자 그룹이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 가입자 그룹과 지역적으로 분리되 어 있을 때 유용하다. 그리고 제2가입자단(300)은 원격노드(320)에서 가입자까지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위한 광섬유의 설치를 최소화하는 데 유용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다중 수동형 광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2와 다른 점은 중앙기지국(100)에 분기부(140)가 추가되었다는 점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분기부(140)는 광분배기(power splitter)이다. 분기부(140)는 하나의 OLT(120)의 하향전송파장(λ5)을 제1분리/결합부(130a)(130b)로 분기한다. 또한 제1분리/결합부(130a)(130b)로부터 분리된 상향전송파장(λ4)을 OLT(120)로 전달한다. 이는 차세대 수동형 광 네트워크인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의 OLT(120)의 가입자 수용능력이 큰 경우를 고려한 것으로,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의 성능에 따라 분기부(140)의 분기수가 결정될 것이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비디오 오버레이(video overlay) 기능은 보편적으로 EPON/GPON과 함께 결합되어 서비스 될 것이지만, 필요시 차세대 PON(N-PON)에 결합되어 서비스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파장대역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한 WDM 커플러들(130a)(130b)(240)(330)은 다중 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 구성으로써, 대략 0.7dB 이내의 삽입손실을 갖도록 제작이 가능하므로, EPON/GPON의 경우 상하향 광신호의 출력이 대략 1.5dB 이내의 삽입손실을 보완할 수 있음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수동형 광네트워크용 파장할당 예시도이다.
도 4는 앞에서 설명한 다중 수동형 광 네트워크에 적합한 N-PON을 위한 파장대역 할당방법 및 WDM 필터의 투과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λ1,λ2는 EPON/GPON을 위하여 정의된 양방향 송수신을 위한 표준 파장대역으로, 그 중심파장으로 표현하면 λ1=1310nm, λ2=1490nm에 해당한다. 비디오 오버레이를 위한 파장 λ3은 현재 EPON/GPON 표준문서에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보편적으로 1550nm로 인식되고 있다. WDM-PON을 포함한 차세대 PON(N-PON)을 위한 파장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현재 FSAN과 IEEE에서 몇몇 선택 가능성과 함께 최근 논의가 시작되고 있는 듯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표준화 논의와 무관하게 도 4와 같이 EPON/GPON을 위한 표준파장과 구별되는 N-PON의 파장대역을 제안한다.
λ4는 1510 ~ 1540nm 사이에서 선택되는 상향 또는 하향 전송을 위한 하나의 특정한 중심 파장을 의미하며, λ5는 λ3보다 큰 장파장영역에서 선택되는 상향 또는 하향전송을 위한 하나의 특정한 중심 파장을 의미한다. 설명의 편의상, 앞서 설명한 내용과 일치시키기 위해 λ4는 상향 전송을 위한 중심 파장을 의미하고, λ5는 하향 전송을 위한 중심 파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WDM-PON의 경우에는 다수의 파장채널을 위하여 도 4의 △λ와 같이 EPON/GPON을 위한 상하향파장(λ1,λ2)과 비디오 오버레이를 위한 파장(λ3)과 구별되는 넓은 파장대역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참고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파장할당은 다중 수동형 광 네트워크와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른 WDM 필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서 파장에 대한 투과율을 나타내는 실선(500)은 EPON/GPON을 위한 파장 λ1,λ2와 N-PON 및 비디오 오버레이를 위한 파장 λ3,λ4,λ5를 분리하기 위한 WDM 커플러의 투과특성을 나타낸다. 그리고 점선(600)은 EPON/GPON을 위한 가입자 에게 비디오 오버레이에 의한 CATV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를 위하여 실선(500)에 의해 분리된 파장 λ3,λ4,λ5로부터 비디오 오버레이 파장인 λ3을 분리하기 위한 WDM 커플러의 투과특성을 나타낸다. 광학 필터를 사용하는 WDM 커플러의 경우에 투과 및 반사 파장 경계의 파장폭을 약 10nm 이내의 수준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WDM 커플러는 그 조립방법에 있어서는 각기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도 5와 같은 파장 분할 및 결합 기능을 가진다. 입출력 포트(610)로 입력되는 파장 λ1,λ2는 이중광섬유페럴(dual fiber ferrule)(640)과 그린렌즈(650)로 구성된 이중광섬유 콜리메이터(dual fiber collimator)를 통하여 박막필터(660)에 의해 투과(λ1) 및 반사(λ2)되어 분리된다. 반사된 파장 λ2는 다시 그린렌즈(650) 및 이중광섬유페럴(640)을 지나 입출력 포트(620)를 통해 출력되고, 투과된 파장 λ1은 그린렌즈(670)와 단일광섬유페럴(680)로 구성된 광섬유 콜리메이터로 결합되어 입출력 포트(630)를 통해 출력된다.
역방향의 경우에도 같은 원리로 동작하므로, 동일파장에 대하여 양방향 전송이 가능하다. EPON/GPON이 비디오 오버레이 파장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적절한 투과 및 반사특성을 가진 광학박막필터와 함께 도 4와 같은 일반적인 구조를 갖는 WDM 커플러의 사용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WDM 커플러의 예시도이다.
주요구성부분을 설명하면, 이중광섬유페럴(dual-fiber ferrule)(760a), 그린렌즈(760b) 및 고정 튜브(770)로 구성된 좌측의 이중광섬유 콜리메이터(dual-fiber collimator), 투명재질의 양쪽 면에 각각 형성된 동일한 특성의 박막필터(750a)(750b)를 가진 이중박막필터(750), 좌측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 우측 이중광섬유 콜리메이터(dual-fiber collimator), 원통형의 옆면에 대칭형 구멍들을 가진 광정렬 조립튜브(780), 그리고 외부하우징(790)으로 구성된다. 조립순서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일체형으로 조립된 이중광섬유 콜리메이터들의 그린렌즈 표면에 적당량의 에폭시를 도포하고, 아래에서 위로 좌측 이중광섬유 콜리메이터 → 이중박막필터(750) → 조립튜브(780) → 우측 이중광섬유 콜리메이터 순서로 조립한 다음, 광섬유들 사이에 최적의 투과 및 반사 결합특성이 나오도록 동시에 광정렬한 상태에서 경화한다. 최종적으로 외부하우징(790)과 패키징하여 완전 경화한다. 여기서 조립 방식 자체는 본원발명의 주요요지와는 무관하다.
도 6에 도시된 WDM 커플러의 가장 큰 특징은 입출력 포트에 대하여 좌우 대칭구조를 가진다는 것과 투과되는 파장에 대하여 이중필터구조를 가진다는 것이다. 첫번째 특징으로 대칭구조에 따른 파장 입출력 특성을 설명하면, 입출력 포트(710)로 λ1,λ2,λ3,λ4,λ5의 파장 신호가 양방향 입력되는 경우에 λ3,λ4,λ5 파장은 박막필터(750a)에서 반사되어 입출력 포트(720)로 출력되고, λ1,λ2 파장은 이중필터(750)의 박막필터(750a)와 박막필터(750b)를 통하여 입출력 포트(730)로 출력된다. 만약 동일하게 λ1,λ2,λ3,λ4,λ5 파장이 입출력 포트(730)로 입력되는 경우라면, λ1,λ2 파장은 이중필터(750)를 투과하여 입출력 포트(710)로 출력되고, 파장 λ3,λ4,λ5는 박막필터(750b)에서 반사되어 입출력 포트(740)로 출력된다. 역방향의 경우에도 같은 원리로 동작한다.
위에서 λ1,λ2,λ3,λ4,λ5가 모두 동일 방향으로부터 입력되어 출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이해를 돕고자 한 것이다. 실제로는 하향전송신호파장(λ2,λ3,λ5)과 상향전송신호파장(λ1,λ4)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전송되므로 상호간에 입력과 출력이 반대가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WDM 커플러의 특징을 설명하는 데 있어 파장의 방향성은 중요치 않으므로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동일 입출력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며, 이는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로 한 설명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두번째 특징으로 이중필터구조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WDM 커플러를 통하여 각각의 광섬유로 분할되는 파장 λ1,λ2와 파장 λ3,λ4,λ5가 보다 확실한 차단(isolation) 특성을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즉, 반사된 파장 λ3,λ4,λ5가 박막필터(750a)로 입사되는 경우에 광세기의 대부분이 1차 반사되지만 미약하게나마 투과되는 신호가 박막필터(750b)에서 2차 반사됨으로써, 투과되는 파장 λ1,λ2가 파장 λ3,λ4,λ5로부터 보다 확실하게 차단(isolation)되므로 우수한 노이즈 특성을 가지게 된다.
이중필터구조로 인한 투과파장 λ1,λ2의 추가적인 삽입손실은 0.1dB 이내의 수준이지만, 차단(isolation) 특성은 단일필터에 비하여 30dB 이상 향상 가능하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WDM 커플러는 도 2 혹은 도 3과 같은 다중 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비디오 오버레이 파장(λ3)이 N-PON에 포함되어 사용되는 경우 혹은 비디오 오버레이 파장(λ3)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일반적인 WDM 커플러에 비하여 차단(isolation) 특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WDM 커플러의 또다른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2나 도 3에서와 같이 비디오 오버레이 파장(λ3, 1550nm)이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에 할당된 경우를 고려한 구조를 갖는 WDM 커플러의 예시도이다.
제1WDM 커플러는 도 6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하며 제1박막필터(850a)와 제2박막필터(850b)는 도 4에서 예시한 실선(500)과 같이 파장그룹 λ1,λ2와 파장그룹 λ3,λ4,λ5를 각각 투과 및 반사하는 특성을 가진다. 제2WDM 커플러는 투과되는 파장(λ3)만을 결합하기 위한 쪽에 단일 광섬유 콜리메이터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6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3박막필터(890a)와 제4박막필터(890b)는 도 3에서 예시한 점선(600)과 같이 λ4와 λ5 사이에 위치한 λ3만을 투과하는 특성을 갖는다.
혼합된 파장 λ1,λ2,λ3,λ4,λ5가 입출력 포트(810)로 입력되면, 장파장인 λ3,λ4,λ5는 제1박막필터(850a)에 의해 반사되어 입출력 포트(820)로 출력되고, 단파장 λ1,λ2는 투과되어 입출력 포트(830)로 출력된다. 제2WDM 커플러의 입출력 포트(860)를 통해 장파장 λ3,λ4,λ5가 입력되면, 제3박막필터(890a) 및 제4박막필터(890b)에 의해 비디오 오버레이 파장인 λ3만 투과되어 입출력 포트(880)를 통하여 제1WDM 커플러로 전달되고, λ4,λ5는 제3박막필터(890a)에서 반사되어 입출력 포트(870)로 출력된다. 입출력 포트(880)를 통하여 제1WDM 커플러의 입출력 포트(840)로 전달된 λ3은 제4박막필터(850b)에 의해 반사되어 EPON/GPON을 위한 파장 λ1,λ2와 함께 입출력 포트(830)로 출력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WDM 커플러의 또다른 예시도이다.
도 8은 비디오 오버레이 파장(λ3, 1550nm)이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에 할당된 경우를 고려한 다른 입출력 구조를 갖는 WDM 커플러의 예시도이다.
제1커플러의 제1박막필터(940a)와 제2박막필터(940b)는 도 4에서 예시한 실선(500)과 반대의 투과 특성을 가지며, 제2커플러의 제3박막필터(990a)와 제4박막필터(990b)는 도 4의 점선(600)과 같이 비디오 오버레이 파장(λ3)은 투과시키지만 나머지 파장들(λ1, λ2, λ4, λ5)은 모두 반사시킨다.
혼합된 파장 λ1,λ2,λ3,λ4,λ5가 입출력 포트(910)로 입력되면, 단파장 λ1,λ2는 제1박막필터(950a)에 의해 반사되어 입출력 포트(920)로 출력되고, 장파장인 λ3,λ4,λ5는 제1,2박막필터(950a, 950b)를 투과하여 입출력 포트(930)로 출력된다. 제2WDM커플러의 입출력 포트(960)을 통해 입력되는 파장 λ1,λ2는 제3박막필터(990a)에 의해 반사되어 입출력 포트(970)로 출력되고, 입출력 포트(940)를 통해 입력되는 장파장 λ3,λ4,λ5 중 비디오 오버레이 파장인 λ3은 제4,3박막피터(990b, 990a)를 투과하여 파장 λ1,λ2와 함께 입출력 포트(970)를 통해 출력되고, λ4,λ5는 제4박막필터필터(990b)에 의하여 반사되어 입출력 포트(980)로 출력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시분할(TDM) 방식의 수동형 광네트워크(Passive Optical Network, PON)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다중 수동형 광네트워크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수동형 광네트워크용 파장할당 예시도.
도 5는 파장 분리/결합 장치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리/결합 장치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파장 분리/결합 장치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파장 분리/결합 장치의 예시도.

Claims (17)

  1. 하나 이상의 제1광 회선 단말장치(Optical Line Termination, OLT), 상기 제1광 회선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제1광 네트워크 유닛(Optical Network Unit, ONU)들, 및 상기 제1광 회선 단말장치로부터 전달된 하향전송파장을 상기 다수의 제1광 네트워크 유닛들로 분기하며 상기 다수의 제1광 네트워크 유닛들로부터의 상향전송파장들을 상기 제1광 회선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제1원격노드를 포함하는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 및
    하나 이상의 제2광 회선 단말장치, 상기 제2광 회선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제2광 네트워크 유닛들, 및 상기 제2광 회선 단말장치로부터 전달된 하향전송파장을 상기 다수의 제2광 네트워크 유닛들로 분기하며 상기 다수의 제2광 네트워크 유닛들로부터의 상향전송파장들을 상기 제1광 회선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제2원격노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2광 회선 단말장치와 상기 다수의 제2광 네트워크 유닛들은 적어도 일부 구간에 있어 상기 제1광 회선 단말장치와 상기 다수의 제1광 네트워크 유닛들 간에 상하향전송파장을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광섬유를 공유하도록 구현되어 상기 제1수동형 광네트워크와 다른 속도 및 용량의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는 상기 공유된 광섬유를 통해 제1광 회선 단말장치로 송수신되는 상하향전송파장과 상기 제2광 회선 단말장치로 송수신되는 상하향전송파장을 분리 또는 결합하는 제1분리/결합부와, 상기 공유된 광섬유를 통해 상기 제1광 네트워크 유닛들로 송수신되는 상하향전송파장과 상기 제2광 네트워크 유닛들로 송수신되는 상하향전송파장을 분리 또는 결합하는 제2분리/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분리/결합부 및 상기 제2분리/결합부 각각은 파장에 따라 투과 혹은 반사하며 상호 대칭되게 놓이는 제1박막필터 및 제2박막필터를 포함하는 이중필터, 상기 제1박막필터 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제1박막필터측 입출력 포트, 및 상기 제2박막필터 측에 위치하는 2개의 상기 제2박막필터측 입출력 포트를 포함하되,
    상기 이중필터가 상기 입출력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1광 수동형 네트워크에 할당된 상하향전송파장과 상기 제2광 수동형 네트워크에 할당된 상하향전송파장을 투과 또는 반사하여 해당 입출력 포트로 출력함에 의해 분기 또는 결합하는 WDM 커플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수동형 광 네트워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는 저속 및 저용량의 서비스를 지원하며,
    상기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는 고속 및 고용량의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수동형 광 네트워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는, 이더넷 수동형 광 네트워크(Ethernet PON, EPON) 또는 기가비트 수동형 광 네트워크(Gigabit-capable PON, GP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수동형 광 네트워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는, 10G EPON, 10G GPON, 파장분할 다중화 수동형 광 네트워크(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 Passive Optical Network, WDM-PON)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수동형 광 네트워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하나 이상의 제1광 회선 단말장치(Optical Line Termination, OLT), 상기 제1광 회선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제1광 네트워크 유닛(Optical Network Unit, ONU)들, 및 상기 제1광 회선 단말장치로부터 전달된 하향전송파장을 상기 다수의 제1광 네트워크 유닛들로 분기하며 상기 다수의 제1광 네트워크 유닛들로부터의 상향전송파장들을 상기 제1광 회선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제1원격노드를 포함하는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 및
    하나 이상의 제2광 회선 단말장치, 상기 제2광 회선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제2광 네트워크 유닛들, 및 상기 제2광 회선 단말장치로부터 전달된 하향전송파장을 상기 다수의 제2광 네트워크 유닛들로 분기하며 상기 다수의 제2광 네트워크 유닛들로부터의 상향전송파장들을 상기 제1광 회선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제2원격노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2광 회선 단말장치와 상기 다수의 제2광 네트워크 유닛들은 적어도 일부 구간에 있어 상기 제1광 회선 단말장치와 상기 다수의 제1광 네트워크 유닛들 간에 상하향전송파장을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광섬유를 공유하도록 구현되어 상기 제1수동형 광네트워크와 다른 속도 및 용량의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는 상기 공유된 광섬유를 통해 제1광 회선 단말장치로 송수신되는 상하향전송파장과 상기 제2광 회선 단말장치로 송수신되는 상하향전송파장을 분리 또는 결합하는 제1분리/결합부와, 상기 공유된 광섬유를 통해 상기 제1광 네트워크 유닛들로 송수신되는 상하향전송파장과 상기 제2광 네트워크 유닛들로 송수신되는 상하향전송파장을 분리 또는 결합하는 제2분리/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분리/결합부 및 상기 제2분리/결합부 각각은 파장에 따라 투과 혹은 반사하며 상호 대칭되게 놓이는 제1박막필터 및 제2박막필터를 포함하는 제1이중필터, 상기 제1박막필터 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제1박막필터측 입출력 포트, 및 상기 제2박막필터 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제2박막필터측입출력 포트를 포함하는 제1WDM 커플러; 및 파장에 따라 투과 혹은 반사하며 상호 대칭되게 놓이는 제3박막필터 및 제4박막필터를 포함하는 제2이중필터, 상기 제3박막필터 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제3박막필터측 입출력 포트, 및 상기 제4박막필터 측에 위치하는 1개의 제4박막필터측 입출력 포트를 포함하는 제2WDM 커플러;를 포함하되,
    상기 제1WDM 커플러의 입출력 포트와 상기 제2WDM 커플러의 입출력 포트 중 적어도 일부가 상호 연결되며, 상기 이중필터가 상기 입출력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1광 수동형 네트워크에 할당된 상하향전송파장과 상기 제2광 수동형 네트워크에 할당된 상하향전송파장 그리고 상기 제1광 수동형 네트워크와 상기 제2광 수동형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에 할당된 비디오 오버레이(video overlay) 파장을 투과 또는 반사하여 해당 입출력 포트로 출력함에 의해 분기 또는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수동형 광 네트워크 시스템.
  10. 하나 이상의 제1광 회선 단말장치(Optical Line Termination, OLT), 상기 제1광 회선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제1광 네트워크 유닛(Optical Network Unit, ONU)들, 및 상기 제1광 회선 단말장치로부터 전달된 하향전송파장을 상기 다수의 제1광 네트워크 유닛들로 분기하며 상기 다수의 제1광 네트워크 유닛들로부터의 상향전송파장들을 상기 제1광 회선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제1원격노드를 포함하는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 및
    하나 이상의 제2광 회선 단말장치, 상기 제2광 회선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제2광 네트워크 유닛들, 상기 제2광 회선 단말장치로부터 전달된 하향전송파장을 상기 다수의 제2광 네트워크 유닛들로 분기하며 상기 다수의 제2광 네트워크 유닛들로부터의 상향전송파장들을 상기 제1광 회선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제2원격노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2광 회선 단말장치와 상기 다수의 제2광 네트워크 유닛들은 적어도 일부 구간에 있어 상기 제1광 회선 단말장치와 상기 다수의 제1광 네트워크 유닛들 간에 상하향전송파장을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광섬유를 공유하도록 구현되어 상기 제1수동형 광네트워크와 다른 속도 및 용량의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는 상기 공유된 광섬유를 통해 제1광 회선 단말장치로 송수신되는 상하향전송파장과 상기 제2광 회선 단말장치로 송수신되는 상하향전송파장을 분리 또는 결합하는 제1분리/결합부, 상기 공유된 광섬유를 통해 상기 제1광 네트워크 유닛들로 송수신되는 상하향전송파장과 상기 제2광 네트워크 유닛들로 송수신되는 상하향전송파장을 분리 또는 결합하는 제2분리/결합부, 및 하향전송파장을 둘 이상의 상기 공유된 광섬유에 연결된 각각의 상기 제1분리/결합부로 분기하며 상기 각각의 제1분리/결합부로부터 분리된 상향전송파장을 상기 제2광 회선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분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수동형 광 네트워크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하나 이상의 제1광 회선 단말장치(Optical Line Termination, OLT) 상기 제1광 회선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제1광 네트워크 유닛(Optical Network Unit, ONU)들, 및 광 회선 단말장치로부터 전달된 하향전송파장을 다수의 광 네트워크 유닛들로 분기하며 다수의 광 네트워크 유닛들로부터의 상향전송파장들을 광 회선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원격노드를 포함하는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 및
    하나 이상의 제2광 회선 단말장치, 상기 제2광 회선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제2광 네트워크 유닛들, 상기 제1광 회선 단말장치로 송수신되는 상하향전송파장과 상기 제2광 회선 단말장치로 송수신되는 상하향전송파장을 분리/결합하는 제1분리/결합부, 및 상기 원격노드에서 분기된 하향전송파장들을 분리하여 상기 제1광 네트워크 유닛과 상기 제2광 네트워크 유닛 중 해당 유닛으로 각각 전달하며 상기 제1광 네트워크 유닛 및 상기 제2광 네트워크 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상향전송파장들을 결합하여 상기 원격노드로 전달하는 제2분리/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수동형 광네트워크와 다른 속도 및 용량의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분리/결합부 및 상기 제2분리/결합부 각각은 파장에 따라 투과 혹은 반사하며 상호 대칭되게 놓이는 제1박막필터 및 제2박막필터를 포함하는 이중필터, 상기 제1박막필터 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제1박막필터측 입출력 포트, 및 상기 제2박막필터 측에 위치하는 2개의 상기 제2박막필터측 입출력 포트를 포함하되,
    상기 이중필터가 상기 입출력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1광 수동형 네트워크에 할당된 상하향전송파장과 상기 제2광 수동형 네트워크에 할당된 상하향전송파장을 투과 또는 반사하여 해당 입출력 포트로 출력함에 의해 분기 또는 결합하는 WDM 커플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수동형 광 네트워크 시스템.
  14. 하나 이상의 제1광 회선 단말장치(Optical Line Termination, OLT) 상기 제1광 회선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제1광 네트워크 유닛(Optical Network Unit, ONU)들, 및 광 회선 단말장치로부터 전달된 하향전송파장을 다수의 광 네트워크 유닛들로 분기하며 다수의 광 네트워크 유닛들로부터의 상향전송파장들을 광 회선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원격노드를 포함하는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 및
    하나 이상의 제2광 회선 단말장치, 상기 제2광 회선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제2광 네트워크 유닛들, 상기 제1광 회선 단말장치로 송수신되는 상하향전송파장과 상기 제2광 회선 단말장치로 송수신되는 상하향전송파장을 분리/결합하는 제1분리/결합부, 및 상기 원격노드에서 분기된 하향전송파장들을 분리하여 상기 제1광 네트워크 유닛과 상기 제2광 네트워크 유닛 중 해당 유닛으로 각각 전달하며 상기 제1광 네트워크 유닛 및 상기 제2광 네트워크 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상향전송파장들을 결합하여 상기 원격노드로 전달하는 제2분리/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수동형 광네트워크와 다른 속도 및 용량의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분리/결합부 및 상기 제2분리/결합부 각각은 파장에 따라 투과 혹은 반사하며 상호 대칭되게 놓이는 제1박막필터 및 제2박막필터를 포함하는 제1이중필터, 상기 제1박막필터 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제1박막필터측 입출력 포트, 및 상기 제2박막필터 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제2박막필터측입출력 포트를 포함하는 제1WDM 커플러; 및 파장에 따라 투과 혹은 반사하며 상호 대칭되게 놓이는 제3박막필터 및 제4박막필터를 포함하는 제2이중필터, 상기 제3박막필터 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제3박막필터측 입출력 포트, 및 상기 제4박막필터 측에 위치하는 1개의 제4박막필터측 입출력 포트를 포함하는 제2WDM 커플러;를 포함하되,
    상기 제1WDM 커플러의 입출력 포트와 상기 제2WDM 커플러의 입출력 포트 중 적어도 일부가 상호 연결되며, 상기 이중필터가 상기 입출력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1광 수동형 네트워크에 할당된 상하향전송파장과 상기 제2광 수동형 네트워크에 할당된 상하향전송파장 그리고 상기 제1광 수동형 네트워크와 상기 제2광 수동형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에 할당된 비디오 오버레이(video overlay) 파장을 투과 또는 반사하여 해당 입출력 포트로 출력함에 의해 분기 또는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수동형 광 네트워크 시스템.
  15. 하나 이상의 제1광 회선 단말장치(Optical Line Termination, OLT) 상기 제1광 회선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제1광 네트워크 유닛(Optical Network Unit, ONU)들, 및 광 회선 단말장치로부터 전달된 하향전송파장을 다수의 광 네트워크 유닛들로 분기하며 다수의 광 네트워크 유닛들로부터의 상향전송파장들을 광 회선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원격노드를 포함하는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 및
    하나 이상의 제2광 회선 단말장치, 상기 제2광 회선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제2광 네트워크 유닛들, 상기 제1광 회선 단말장치로 송수신되는 상하향전송파장과 상기 제2광 회선 단말장치로 송수신되는 상하향전송파장을 분리/결합하는 제1분리/결합부, 상기 원격노드에서 분기된 하향전송파장들을 분리하여 상기 제1광 네트워크 유닛과 상기 제2광 네트워크 유닛 중 해당 유닛으로 각각 전달하며 상기 제1광 네트워크 유닛 및 상기 제2광 네트워크 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상향전송파장들을 결합하여 상기 원격노드로 전달하는 제2분리/결합부, 및 하향전송파장을 상기 제1수동형 광 네트워크와 공유하는 광섬유에 연결된 상기 제1분리/결합부로 분기하며 상기 제1분리/결합부로부터 분리된 상향전송파장을 상기 제2광 회선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분기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수동형 광네트워크와 다른 속도 및 용량의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2수동형 광 네트워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수동형 광 네트워크 시스템.
  16. 파장에 따라 투과 혹은 반사하며 상호 대칭되게 놓이는 제1박막필터 및 상기 제1박막필터를 포함하는 이중필터;
    상기 제1박막필터 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박막필터측 입출력 포트;
    제2박막필터 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박막필터측 입출력 포트;를 포함하되,
    상기 이중필터가 상기 입출력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제1광 수동형 네트워크에 할당된 상하향전송파장과 상기 제1광 수동형 네트워크와는 상이한 제2광 수동형 네트워크에 할당된 상하향전송파장을 투과 또는 반사하여 해당 입출력 포트로 출력함에 의해 파장을 분기 또는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분리/결합 장치.
  17. 파장에 따라 투과 혹은 반사하며 상호 대칭되게 놓이는 제1박막필터 및 제2박막필터를 포함하는 제1이중필터, 상기 제1박막필터 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박막필터측 입출력 포트, 및 상기 제2박막필터 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박막필터측입출력 포트를 포함하는 제1WDM 커플러;
    파장에 따라 투과 혹은 반사하며 상호 대칭되게 놓이는 제3박막필터 및 제4박막필터를 포함하는 제2이중필터, 상기 제3박막필터 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박막필터측 입출력 포트, 및 상기 제4박막필터 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4박막필터측 입출력 포트를 포함하는 제2WDM 커플러;를 포함하되,
    상기 제1WDM 커플러의 입출력 포트와 상기 제2WDM 커플러의 입출력 포트 중 적어도 일부가 상호 연결되며, 상기 이중필터가 상기 입출력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제1광 수동형 네트워크에 할당된 상하향전송파장과 상기 제1광 수동형 네트워크와는 상이한 제2광 수동형 네트워크에 할당된 상하향전송파장 그리고 상기 제1광 수동형 네트워크와 상기 제2광 수동형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에 할당된 비디오 오버레이(video overlay) 파장을 투과 또는 반사하여 해당 입출력 포트로 출력함에 의해 파장을 분기 또는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분리/결합 장치.
KR1020070091722A 2007-09-10 2007-09-10 다중 수동형 광 네트워크 시스템 KR100938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722A KR100938286B1 (ko) 2007-09-10 2007-09-10 다중 수동형 광 네트워크 시스템
PCT/KR2008/002857 WO2009035202A1 (en) 2007-09-10 2008-05-22 Multiple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US12/677,226 US20100322626A1 (en) 2007-09-10 2008-05-22 Multiple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722A KR100938286B1 (ko) 2007-09-10 2007-09-10 다중 수동형 광 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626A KR20090026626A (ko) 2009-03-13
KR100938286B1 true KR100938286B1 (ko) 2010-01-26

Family

ID=40452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722A KR100938286B1 (ko) 2007-09-10 2007-09-10 다중 수동형 광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322626A1 (ko)
KR (1) KR100938286B1 (ko)
WO (1) WO20090352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1092B2 (ja) * 2007-12-21 2012-12-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olt
WO2010096969A1 (zh) * 2009-02-27 2010-09-02 华为技术有限公司 无源光网络中发送上行传送帧的方法及设备
EP2290854B1 (en) 2009-08-24 2016-10-05 Alcatel Lucent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establishing a connection
US8346095B2 (en) * 2009-12-07 2013-01-01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provider telecommunications services over a passive optical network
US8442401B2 (en) * 2011-02-08 2013-05-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fiber access physical layer unbundling using multiple uplink cards
US8977127B2 (en) * 2012-08-15 2015-03-10 Futurewei Technologies, Inc. Inter-optical line terminal (OLT) communication in multiple-OLT passive optical networks (PONs)
KR101727779B1 (ko) * 2013-01-02 2017-04-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파장 가변 광 모듈 기반 수동형 광 망 거리 확장장치 및 그 방법
US9942413B2 (en) 2014-04-02 2018-04-10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Multi-network access gateway
US9559802B1 (en) * 2014-09-30 2017-01-31 Google Inc. Optical network remote node for G-PON and WDM-PON
US10566758B2 (en) * 2015-10-21 2020-02-18 Advanced Optowave Corporation Fiber laser oscillator having thin filter reflector
KR102033719B1 (ko) * 2016-07-04 2019-11-29 주식회사 케이티 Ftth 구간에서 대역폭의 확장 및 공존을 위한 광 액세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10447423B2 (en) * 2017-11-03 2019-10-15 The Boeing Company Bidirectional, multi-wavelength gigabit optical fiber networ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897B1 (ko) * 2006-11-07 2008-03-18 한국과학기술원 기존의 수동형 광가입자 망에서 파장분할다중방식 수동형광가입자 망 기반의 차세대 광가입자 망으로 진화하는 방법및 네트워크 구조
KR100813900B1 (ko) * 2006-11-07 2008-03-18 한국과학기술원 기존의 수동형 광가입자 망에서 시분할다중방식 수동형광가입자 망 기반의 차세대 수동형 광가입자 망으로진화하는 방법 및 네트워크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2211B1 (en) * 2001-03-15 2004-09-14 Tera Fiberoptics Compact optical wavelength add/drop multiplexer
KR100532307B1 (ko) * 2003-03-17 2005-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통신 융합이 가능한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의수동형 광 가입자망
KR100506201B1 (ko) * 2003-06-30 200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통신 융합을 위한 이더넷 수동형 광 가입자 망
US7130502B2 (en) * 2004-02-06 2006-10-31 Nippon Sheet Glass Co., Ltd.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optical coupler
WO2005124412A1 (en) * 2004-06-21 2005-12-29 Pirelli & C. S.P.A. Optical band splitter/combiner and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TWI244279B (en) * 2004-09-27 2005-11-21 Asia Optical Co Inc Wavelength-division multiplex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7706688B2 (en) * 2006-07-17 2010-04-27 University Of Ottawa Wavelength reconfigurable optical networ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897B1 (ko) * 2006-11-07 2008-03-18 한국과학기술원 기존의 수동형 광가입자 망에서 파장분할다중방식 수동형광가입자 망 기반의 차세대 광가입자 망으로 진화하는 방법및 네트워크 구조
KR100813900B1 (ko) * 2006-11-07 2008-03-18 한국과학기술원 기존의 수동형 광가입자 망에서 시분할다중방식 수동형광가입자 망 기반의 차세대 수동형 광가입자 망으로진화하는 방법 및 네트워크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626A (ko) 2009-03-13
WO2009035202A1 (en) 2009-03-19
US20100322626A1 (en) 201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286B1 (ko) 다중 수동형 광 네트워크 시스템
TWI625948B (zh) 具有延展範圍及容量之時間波長分割被動網路
EP1863204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traffic in a plurality of passive optical networks
US8554078B2 (en) Passive optical network with plural optical line terminals
US9014561B2 (en) Wavelength upgrade for passive optical networks
KR100630049B1 (ko)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네트웍 시스템
US76847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ffic distribution in an optical network
US8532489B2 (en) Multi-fiber ten gigabit passive optical network optical line terminal for optical distribution network coexistence with gigabit passive optical network
EP18632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n optical network
US7639946B2 (en) Distribution node for an optical network
US20050129404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broadcasting service through overlay structure in WDM-PON
KR100842290B1 (ko) Wdm 기반의 tdm-pon 시스템에서의 파장 변환장치와 이를 이용한 광전송 장치 및 방법
USH2075H1 (en) Restorable architectures for fiber-based broadband local access networks
US8050561B2 (en) Asymmetrical PON with multiple return channels
US200801380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n Optical Network
Ghoniemy Enhanced time and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passive optical network (TWDM-PON) for triple-play broadband service delivery in FTTx networks
Maier WDM passive optical networks and beyond: the road ahead
Giles et al. Access PON using downstream 1550-nm WDM routing and upstream 1300-nm SCMA combining through a fiber-grating router
KR100813900B1 (ko) 기존의 수동형 광가입자 망에서 시분할다중방식 수동형광가입자 망 기반의 차세대 수동형 광가입자 망으로진화하는 방법 및 네트워크 구조
CN102104814B (zh) 一种无源光网络
Prat et al. Demonstration and field trial of a scalable resilient hybrid ngPON
KR100972035B1 (ko) 광학 필터링 장치 및 광 통신 시스템
KR100596408B1 (ko) 파장분할다중 수동 광네트워크에서 오버레이 형태로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Bock et al. 10 CWDM for Fiber Access
KR20070019518A (ko) 광동축 혼합망과 광파장 다중화 전송망에서 광선로를공용하는 광전송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