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460B1 - 관정세정장치 - Google Patents

관정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460B1
KR100936460B1 KR1020090067209A KR20090067209A KR100936460B1 KR 100936460 B1 KR100936460 B1 KR 100936460B1 KR 1020090067209 A KR1020090067209 A KR 1020090067209A KR 20090067209 A KR20090067209 A KR 20090067209A KR 100936460 B1 KR100936460 B1 KR 100936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l
unit
installation
position retainer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세영
김무진
한석종
이상용
정재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제이지반기술
이상용
정재열
한석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제이지반기술, 이상용, 정재열, 한석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제이지반기술
Priority to KR1020090067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4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9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having self-contained propell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devices along the pipes, i.e. self-prope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07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explo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46Inspecting cleaned containers for cleanli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Abstract

본 발명은 폭발력으로 수평 또는 수직 관정의 세정이 가능하도록 한 관정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관정세정장치(100)는, 선택적으로 폭발력을 발생하는 도폭부(110)와, 상기 도폭부(110)가 관정(T) 내부에서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위치유지체(120)와, 상기 위치유지체(120)가 내장되어 관정 내부를 운행하고, 상기 위치유지체(120)를 선택적으로 배출하여 설치하는 설치유닛(130)과, 상기 관정(T) 외부에서 설치유닛(1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14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관정의 세정이 보다 용이하고 세정력이 월등히 향상되며 환경 오염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폭발, 관정, 세정, 수평, 수직

Description

관정세정장치 {A well washing device}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관정세정장치의 수평 관정에서의 사용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관정세정장치에서 몸체의 내부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관정세정장치에서 몸체의 내부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관정세정장치에서 요부 구성인 위치유지체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관정세정장치에서 요부 구성인 위치유지체가 신장된 모습을 보인 개략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관정세정장치의 수직 관정에서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관정세정장치 102. 몸체
104. 컨트롤박스 110. 도폭부
112. 비전기뇌관 120. 위치유지체
122. 지지부 124. 고정부
126. 구속부 128. 탄성부재
130. 설치유닛 140. 제어유닛
150. 가이드부 160. 운행부
162. 운행모터 164. 프로펠러
170. 설치부 172. 설치모터
174. 이젝트 176. 동력전달부
180. 자료수집유닛 H . 지반공극
T . 관정
본 발명은 폭발력으로 수평 또는 수직 관정의 세정이 가능하도록 한 관정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용수,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 온천수의 목적으로 지하수 취수시설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하수 취수시설은 통상 관정을 굴착하고, 관정 내부에 집수된 지하수를 수중 모터펌프를 통해 관정 외부로 토출하게 됨으로써 지하수를 취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통상 관정은 개발된 후 5년 내지 10년이 경과하게 되면 지하수가 풍성하게 잔존 매장되어 있더라도 관정 내부로 지하수가 유입되는 수로인 지반공극이 지하수와 함께 유입되는 토사 슬러지 등에 의해 점차 막히게 되어, 관정 내부의 집수량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므로 사용을 중지하거나 결국 폐공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관정 내부에 공기를 강하게 주입하여 관정 내부의 지하수를 외부 로 토출시킴으로써 관정 내부가 세정되도록 하는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공기 압력만으로 지하수를 토출하는데에는 토출압이 약해서 관정 내부의 지하수를 외부로 분출하기 위한 것일 뿐, 관정 내부의 벽면이나 유입공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스케일과 이물질은 관정의 바닥면에 쌓이게 되어 지하수의 수질을 악화시킴은 물론 수중 모터펌프의 손상도 야기하게 되므로 유지 및 보수 차원에서 볼 때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5-88781호에는 압축공기를 관정 내벽에 분사하여 부착된 스케일 등의 이물을 제거한 다음 지하수와 함께 관외로 배출시킴으로써 지하수의 오염을 막을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하수공 청소장치는 고압의 공기만을 분사하여 부착된 스케일 등의 이물질을 떼어내는 것으로 견고하게 부착된 스케일 등의 이물질을 떼어내는 데 많은 시간이 소모되며, 지반공극에 쌓여 있는 스케일의 제거는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 또는 수직 관정 내부에서 폭발력을 발생하여 관정 내부 및 지반공극에 쌓여 있는 스케일을 분리시킴으로써 관정의 세정 효과가 월등히 향상되도록 한 관정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관정세정장치는, 선택적으로 폭발력을 발생하는 도폭부와, 상기 도폭부가 관정 내부에서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위치유지체와, 상기 위치유지체가 내장되어 관정 내부를 운행하고, 상기 위치유지체를 선택적으로 배출하여 설치하는 설치유닛과, 상기 관정 외부에서 설치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치유닛은,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 내부에서 회전동력을 발생하여 설치유닛의 운행 방향을 강제하는 운행부와, 선택적으로 길이가 가변하여 상기 위치유지체를 몸체 외부로 밀어내는 설치부와, 상기 몸체 내부에서 위치유지체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관정 내부의 다양한 정보를 상기 제어유닛으로 제공하는 자료수집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폭부 일측에는,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 따라 상기 도폭부가 선택적으로 폭발하도록 하는 비전기뇌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치부는,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설치모터와, 상기 설치모터로부터 제공된 회전동력으로 상기 가이드부 외측에서 직선 왕복운동하여 상기 몸체 내부에 내장된 위치유지체를 밀어내는 이젝트와, 상기 설치모터의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이젝트의 직선 왕복운동을 강제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유지체는, 상기 가이드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위치유지체의 직선 왕복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길이가 변화하여 도폭부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구속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의 외측 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관정의 내벽과 접촉하며, 상기 위치유지체가 관정 내부에서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속부와 고정부 일측에는, 상기 구속부와 고정부가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강제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라텍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료수집유닛은, 상기 몸체의 외측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관정 내부의 상황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장치가 적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관정의 세정이 보다 용이하고 세정력이 향상되며 환경 오염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관정세정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관정세정장치의 수평 관정에서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관정(T)은 수직으로 함몰형성된 직수정(1)과 직수정(1)의 하부에서 좌측 방향으로 함몰된 수평정(2) 등으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 의한 관정세정장치(100)는 관정(T) 내부에 투입되어 운행한 후 일정 구간 내에 도폭부(110)을 설치하여 관정(T) 외부로 철수하고, 작업자에 의해 도폭부(110)이 폭발됨으로써 관정(T) 내부의 스케일 및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도폭부(110)이 폭발시에 발생하는 폭발압력은 관정(T) 내부 에서 외측 즉, 지반공극(H)에도 전달되어 지반공극(H) 내부에 쌓여 있는 스케일 및 이물질도 외부로 밀어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관정세정장치(100)는, 선택적으로 폭발력을 발생하는 도폭부(110)와, 상기 도폭부(110)가 관정(T) 내부에서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위치유지체(120)와, 상기 위치유지체(120)가 내장되어 관정(T) 내부를 운행하고, 상기 위치유지체(120)를 선택적으로 배출하여 설치하는 설치유닛(130)과, 상기 관정(T) 외부에서 설치유닛(1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폭부(110)은 제어부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폭발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세정하고자 하는 관정(T)의 길이에 대응하여 일정 길이로 준비되며, 상기 관정(T)의 내경에 따라 폭발력 역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위치유지체(120)는 도폭부(110)이 관정(T) 내부 중앙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치유닛(130) 내부에 다수개가 내장되어 있다가 설치유닛(130) 외부로 밀려났을 때 상기 도폭부(110)을 구속한 상태로 외측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관정(T) 내부에서 움직임이 제한된다.
상기 제어유닛(140)은 도폭부(110)의 폭발 및 설치유닛(130)의 운행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자료수집유닛(도 2의 도면부호 180)을 통해 입수되는 관정(T) 내부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다양한 조작을 위한 다수 버튼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관정세정장치(100)의 세부 구성을 살 펴본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관정세정장치(100)에서 몸체의 내부 구성을 보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관정세정장치(100)에서 몸체의 내부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과 같이, 상기 관정세정장치(100)의 설치유닛(130) 내부에는 다수 부품이 내장되며, 상기 설치유닛(130)은 몸체(102)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102)는 내부가 좌/우 방향으로 관통된 관형상을 가지며, 상기 몸체(102) 내부에는 전술한 위치유지체(120) 및 도폭부(110)이 내장된다.
상기 몸체(102) 내부 우측에는 컨트롤박스(104)가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박스(104)는 제어유닛(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유닛(140)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이다.
상기 몸체(102)의 내부 중앙에는 관형상의 가이드부(150)가 좌/우로 길게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50)는 내부에 도폭부(110)가 내장되며, 외측에는 위치유지체(120)가 구비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150) 내부에는 요구되는 길이만큼의 도폭부(110)가 내장되며, 상기 도폭부(110)와 위치유지체(120)를 서로 이격시킨 상태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150)는 다수의 위치유지체(120)에 둘러쌓인 상태로 도폭부(110)를 관정(T) 아래로 옮길 수 있게 되며, 상기 도폭부(110)는 가이드부(150) 외부로 빠져나올 때 위치유지체(12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폭부(110)의 일측에는 비전기뇌관(112)이 구비된다. 상기 비전기뇌 관(112)은 제어유닛(140)으로부터 폭발신호가 조작되었을 때 이러한 신호를 수신하여 도폭부(110)를 폭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설치유닛(130) 내부에는, 상기 몸체(102) 내부에서 회전동력을 발생하여 설치유닛(130)의 운행 방향을 강제하는 운행부(160)와, 선택적으로 길이가 가변하여 상기 위치유지체(120)를 몸체(102) 외부로 밀어내는 설치부(170)와, 상기 몸체(102) 내부에서 위치유지체(12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부(150)와, 상기 관정(T) 내부의 다양한 정보를 상기 제어유닛(140)으로 제공하는 자료수집유닛(180)이 구비된다.
상기 운행부(160)는 회전동력으로 추진하여 관정(T) 내부에서 상기 설치유닛(130)이 운행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몸체(102) 내부에서 상/하측에 각각 구비되며, 운행모터(162)와 프로펠러(1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운행모터(162)의 동작에 의해 프로펠러(164)의 회전 방향으로 제어하게 되면, 상기 설치유닛(130)은 전/후진 및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운행부(160) 사이에는 설치부(170)가 구비된다. 상기 설치부(170)는 몸체(102) 내부에 내장된 위치유지체(120)를 선택적으로 밀어내기 위한 구성으로,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설치모터(172)와, 상기 설치모터(172)로부터 제공된 회전동력을 상기 가이드부(150) 외측에서 직선 왕복운동하여 상기 몸체(102) 내부에 내장된 위치유지체(120)를 밀어내는 이젝트(174)와, 상기 설치모터(172)의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이젝트(174)의 직선 왕복운동을 강제하는 동력전달부(1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설치모터(172)는 정/역방향 회전동력 발생이 가능하며, 전술한 운행모터(162)와 함께 방수모터가 적용된다.
상기 이젝트(174)는 가이드부(150)의 외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이젝트(174)는 일단부가 상기 위치유지체(120) 일측과 간섭되도록 구성되어 직선 운동시에 상기 위치유지체(120)를 밀어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동력전달부(176)는 설치모터(172)의 축과 결합되어 설치모터(172)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게 되며, 이때 상기 동력전달부(176)는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젝트(174)는 동력전달부(176)와 기어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이젝트(174)를 직선 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부(176)와 이젝트(174)는 볼스크류(ball screw)를 구비하여 상기 설치모터(172)가 발생한 회전동력으로 가이드부(150)의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가이드부(150)의 좌측 내부에는 자료수집유닛(180)이 구비된다. 상기 자료수집유닛(180)은 관정(T) 외부에서 제어유닛(140)을 통해 설치유닛(130)을 조작하는 사용자가 관정(T) 내부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자료수집유닛(180)은 촬영장치가 적용된 것으로, 상기 몸체(102)의 내부 좌측 공간에서 좌측 방향 및 이에 직교하는 외주면 방향으로 촬영하도록 구성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다수 자료수집유닛(180)을 통해 전송되는 자료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로 확인한 후 운행부(160)의 회전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위치유지체(120)의 설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 위치유지체(120)의 상세 구성을 첨부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관정세정장치(100)에서 요부 구성인 위치유지체(120)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관정세정장치(100)에서 요부 구성인 위치유지체(120)가 신장된 모습을 보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과 같이, 상기 위치유지체(120)는 선택적으로 길이 변경이 가능하며, 상기 도폭부(110)을 선택적으로 구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유지체(120)는 몸체(102)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었을 때 도폭부(110)을 죄어 구속함과 동시에 상기 관정(T) 내주면과 단부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도폭부(110)이 관정(T)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을 위한 상기 위치유지체(120)는 상기 가이드부(150)를 내부에 수용하여 위치유지체(120)의 직선 왕복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지지부(122)와, 상기 지지부(122)의 일측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길이가 변화하여 도폭부(110)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구속부(126)와, 상기 지지부(122)의 일측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122)의 외측 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관정(T)의 내벽과 접촉하며, 상기 위치유지체(120)가 관정(T) 내부에서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122)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링(ring) 형상을 가지며, 방사상으로는 상기 고정부(124)와 구속부(126)가 교번하여 배치된다.
즉, 상기 고정부(124)와 구속부(126)는 각각 3개씩 구비되며, 3개의 고정부(124)와 구속부(126)는 120°의 각도를 갖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24)와 구속부(126) 및 지지부(122)는 천연 셀룰로오스로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부(124)와 구속부(126)와 지지부(122)가 천연 셀롤로오스로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도폭부(110)가 폭발시에 발생한 폭발력에 의해 고정부(124)와 구속부(126) 및 지지부(122)가 파쇄되어 배수시 이물질과 함께 배출됨으로써 지하수의 오염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24)와 구속부(126)는 대략 피스톤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며, 내부에는 탄성부재(128)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128)는 라텍스로 이루어져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고정부(124)와 구속부(126)의 길이가 선택적으로 신장할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고정부(124)는 외측에 위치한 부분이 지지부(122)의 중심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속부(126)는 내측에 위치한 부분이 지지부(122)의 중심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124)와 구속부(126)는 관정(T) 내부에서 위치유지체(120) 고정 및 도폭부(110)의 구속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위치유지체(120)는 도 4와 같은 상태로 몸체(102) 내부에 장입되고, 상기 몸체(102) 외부로 배출되었을 때 도 5와 같은 상태가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부(122)의 내측에 천공된 구멍 내부에 도폭부(110)가 장입되며, 이때 상기 구속부(126)는 가이드부(150)를 내부에 수용하여 길이가 짧아진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24)는 몸체(102) 내부에 장입되어 몸체(102)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만큼 축소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유지체(120)가 몸체(102) 외부로 배출되면서 가이드부(150)를 빠져나가게 되면, 상기 구속부(126)는 가이드부(150)와의 간섭이 해지되어 내측 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됨으로써 도폭부(110)를 죄게 되며, 상기 고정부(124)는 몸체(102) 내주면과의 접촉이 해지되어 길이가 신장됨으로써 상기 관정(T) 내벽과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관정세정장치(100)를 이용하여 관정(T)을 세정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세정하고자 하는 관정(T)의 길이 및 내경이 확인된 상태에서 상기 도폭부(110)의 길이 및 폭발력을 결정하게 된다.
이후 상기 도폭부(110)를 가이드부(150) 내부에 장입하고, 상기 위치유지체(120)를 가이드부(150) 외주면에 다수개 끼우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상기 관정(T) 내부에 설치유닛(130)을 넣어 운행하게 된다. 상기 설치유닛(130)의 운행은 자료수집유닛(180)으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어유닛(14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육안 확인함으로써, 상기 설치유닛(130)을 보다 안전하게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설치유닛(130)이 관정(T)의 좌측부까지 진입하게 되면, 사용자는 제어유닛(140)의 버튼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유지체(120)를 몸체(102)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즉, 상기 설치모터(172)에서 발생된 회전동력을 동력전달부(176)를 통해 이젝트(174)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위치유지체(120)를 좌측 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때, 상기 도폭부(110)의 좌측단은 상기 몸체(102) 내부에 내장된 다수 위치유지체(120) 중 맨 좌측에 위치한 위치유지체(120)와 견고하게 결합시킨 상태가 되어야 바람직하며, 상기 동력전달부(176)의 회전은 중지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2) 내부에서 외부로 위치유지체(120)가 배출되면 상기 고정부(124)는 길이가 신장되며, 상기 고정부(124)의 단부는 관정(T)의 내벽과 접촉하여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제어유닛(140)을 조작하여 설치유닛(13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와 같이 설치모터(172)를 회전시켜 이젝트(174)를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또 다른 위치유지체(120)를 몸체(102) 바깥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102) 바깥으로 밀어내어진 두 번째 위치유지체(120)의 구속부(126)는 내측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도폭부(110)의 외측을 죄게 되며, 이와 동시에 고정부(124)도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위치유지체(120)가 관정(T) 내부에서 일정 위치에 유지되도록 고정된다.
이러한 과정을 다수회 반복하게 되면, 도 1과 같이 위치유지체(120)는 도폭부(110)가 관정(T) 내부에서 늘어지지 않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다수 위치유지체(120)의 설치가 완료되면 설치유닛(130)을 관정(T) 외부로 끌어내게 된다.
이때 상기 관정(T) 내부에는 도폭부(110)와 비전기뇌관(112) 및 다수 위치유지체(120)만 남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제어유닛(140)을 조작하여 비전기뇌관(112)에 신호를 보내어 도폭부(110)를 폭발시키게 된다.
상기 도폭부(110)의 폭발로 인해 관정(T)의 내벽 및 지반공극(H)에 쌓여 있는 스케일 및 이물질은 제거된다.
이때 셀롤로오스로 형성된 지지부(122), 고정부(124) 및 구속부(126)와, 라텍스로 형성된 탄성부재(128)는 폭발에 의해 파쇄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평형 관정에서의 세정 작업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도 6과 같이 수직형 관정에서의 세정 작업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관정세정장치는, 수평 또는 수직 관정 내부에서 폭발력을 발생하여 관정의 세정 능력이 월등히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폭발력에 의해 관정 내부의 스케일 뿐만 아니라 지반공극 내부에 쌓여 있는 스케일의 제거도 가능하게 되므로 관정의 세정 능력이 월등히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설치유닛 내부에 구비된 설치부를 이용하여 위치유지체를 관정 내부에서 도폭부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도폭부의 시공 및 고정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도폭부가 폭발시에 위치유지체가 파쇄되어 배출되므로 수질 오염을 야기하지 않게 되어 바람직하다.

Claims (8)

  1. 선택적으로 폭발력을 발생하는 도폭부와,
    상기 도폭부가 관정 내부에서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위치유지체와,
    상기 위치유지체가 내장되어 관정 내부를 운행하고, 상기 위치유지체를 선택적으로 배출하여 설치하는 설치유닛과,
    상기 관정 외부에서 설치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정세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유닛은,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 내부에서 회전동력을 발생하여 설치유닛의 운행 방향을 강제하는 운행부와,
    선택적으로 길이가 가변하여 상기 위치유지체를 몸체 외부로 밀어내는 설치부와,
    상기 몸체 내부에서 위치유지체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관정 내부의 다양한 정보를 상기 제어유닛으로 제공하는 자료수집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정세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폭부 일측에는,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제공받은 무선 신호에 따라 상기 도폭부가 선택적으로 폭발하도록 하는 비전기뇌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정세정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설치모터와,
    상기 설치모터로부터 제공된 회전동력으로 상기 가이드부 외측에서 직선 왕복운동하여 상기 몸체 내부에 내장된 위치유지체를 밀어내는 이젝트와,
    상기 설치모터의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이젝트의 직선 왕복운동을 강제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정세정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유지체는,
    상기 가이드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위치유지체의 직선 왕복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길이가 변화하여 도폭부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구속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의 외측 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관정의 내벽과 접촉하며, 상기 위치유지체가 관정 내부에서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정세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와 고정부 일측에는,
    상기 구속부와 고정부가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강제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정세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라텍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정세정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료수집유닛은, 상기 몸체의 외측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관정 내부의 상황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장치가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정세정장치.
KR1020090067209A 2009-07-23 2009-07-23 관정세정장치 KR100936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209A KR100936460B1 (ko) 2009-07-23 2009-07-23 관정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209A KR100936460B1 (ko) 2009-07-23 2009-07-23 관정세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6460B1 true KR100936460B1 (ko) 2010-01-18

Family

ID=41809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209A KR100936460B1 (ko) 2009-07-23 2009-07-23 관정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4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2564A (zh) * 2022-05-23 2022-08-19 中化地质矿山总局地质研究院 一种盐湖地区水平井退出式洗井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457A (ja) * 1991-09-25 1993-09-24 Sanyo Electric Co Ltd マイクロマシン
JPH06240971A (ja) * 1993-02-22 1994-08-30 Tone Chika Gijutsu Kk 温泉再生工法
KR20070022622A (ko) * 2006-12-16 2007-02-27 서효석 설치 배관 가공방법
KR100880401B1 (ko) 2008-03-21 2009-01-3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스트레이너의 클리닝장치 및 클리닝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457A (ja) * 1991-09-25 1993-09-24 Sanyo Electric Co Ltd マイクロマシン
JPH06240971A (ja) * 1993-02-22 1994-08-30 Tone Chika Gijutsu Kk 温泉再生工法
KR20070022622A (ko) * 2006-12-16 2007-02-27 서효석 설치 배관 가공방법
KR100880401B1 (ko) 2008-03-21 2009-01-3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스트레이너의 클리닝장치 및 클리닝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2564A (zh) * 2022-05-23 2022-08-19 中化地质矿山总局地质研究院 一种盐湖地区水平井退出式洗井工艺
CN114922564B (zh) * 2022-05-23 2023-01-20 中化地质矿山总局地质研究院 一种盐湖地区水平井退出式洗井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57811A1 (en) Auto cleaner for gun barrel
KR101755784B1 (ko) 포신 세척장치
KR100936460B1 (ko) 관정세정장치
CN101680277A (zh) 冲击工具
KR100848395B1 (ko) 지하수 심도 구간별 채수를 위한 내부 케이싱 절단 장치 및이를 이용한 지하수 심도 구간별 채수방법
WO201411025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formation fluid samples utilizing a sample clean-up device
US20190055864A1 (en) Engine Revision for Peristaltic Oil Change
US10947873B2 (en) Engine revision for peristaltic oil change
KR100651052B1 (ko) 지하수 관정 청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소공법
CN107882518A (zh) 水文孔清孔装置及使用方法
KR20160139703A (ko) 갯벌용 공극수 채취장치
KR100856846B1 (ko) 다중 분사형 가압식 그라우팅 장치
CN105289052A (zh) 沉淀池斜管污泥脉冲水流冲洗法
KR20160050140A (ko) 슬러지 제거 장치
KR100714431B1 (ko) 브러쉬와 세척수에 의한 지하수 심정 청소 장치 및 방법
CN207787162U (zh) 水下桥桩清洁装置
KR101770669B1 (ko) 밴드형 지하수 심정 카메라 조사장치
CN208829391U (zh) 油田污水处理装置
CN109569042A (zh) 一种便于清理的过滤水箱
CN109013609B (zh) 一种用于金属罐的内部清洗装置
KR101670070B1 (ko) 지하수 자원과 지열 공급을 위한 지중 관정 청소용 고압가스 순간 방사 장치
KR20110059936A (ko) 파워버블 에너지를 이용한 관정 세정장치 및 방법
KR101853357B1 (ko) 수평취수관정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한 이동장치
CN205217534U (zh) 一种矿用弯管清洗装置
WO2003033861A1 (fr) Procede de reparation souterraine d'un puits de production et pompe inseree destinee a sa mise en oeuv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