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037B1 -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data on write once disc, and the write once disc thereof - Google Patent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data on write once disc, and the write once disc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037B1
KR100936037B1 KR1020080006687A KR20080006687A KR100936037B1 KR 100936037 B1 KR100936037 B1 KR 100936037B1 KR 1020080006687 A KR1020080006687 A KR 1020080006687A KR 20080006687 A KR20080006687 A KR 20080006687A KR 100936037 B1 KR100936037 B1 KR 100936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information
recorded
recording
temporary de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6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16905A (en
Inventor
황성희
고정완
이경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6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037B1/en
Publication of KR20080016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9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0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36Auxiliary data, e.g. lead-in, lead-out, Power Calibration Area [PCA], Burst Cutting Area [BCA], control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83Methods for assignment of alternate areas for defective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45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98Overwriting or replacing recorded data
    • G11B2020/10907Overwriting or replacing recorded data using pseudo-overwriting, i.e. virtually or logically overwriting data on WORM media by remapping recorded blocks to alternate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75Calibration data, e.g. specific training patterns for adjusting equalizer settings or other recording or playback parame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78Physical format specifications of the record carrier, e.g. compliance with a specific standard, recording density, number of layers, start of data zone or lead-ou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20/1873Temporary defect structures for write-once discs, e.g. TDDS, TDMA or TDF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 및 이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Disclosed are a write once disc an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data on the write once disc.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을 가지는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는, 기록 조건 테스트를 위한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조건 영역; 임시 결함 정보 및 임시 결함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임시 결함 관리 영역으로서, 상기 임시 결함 관리 정보는 상기 임시결함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제1포인터 및 상기 기록 조건 테스트를 위한 데이터가 다음번 기록될 영역을 나타내는 제2포인터를 포함하는, 임시 결함 관리 영역; 및 업데이트된 소정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에 관한 위치 정보가 기록되는 접근 정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임시 결함 정보가 기록된 상기 영역의 어드레스와, 상기 기록 조건 테스트를 위한 데이터가 다음번에 기록될 영역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소정 정보가 업데이트되어 새로운 위치에 기록되는 한번 기록 디스크의 경우 업데이트된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접근 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다.A write once disk having at least one recording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cording condition area in which data for recording condition test is recorded;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in which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nd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 recorded, where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es a first pointer indicating an area in which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is recorded and an area in which data for the recording condition test is to be recorded next.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including a second pointer indicating; And an access information area in which location information about an area in which updated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recorded is recorded, 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s an address of the area in which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is recorded and data for the recording condition test next. And an address of an area to be recorded. This makes it possible to further shorten the access time for reading the updated information in the case of the recording disc once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updated and recorded in the new position.

Description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 방법 및 그 한번 기록 디스크{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data on write once disc, and the write once disc thereof}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data on write once disc, and the write once disc etc.

본 발명은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번 기록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 장치, 그 접근 시간 단축 방법 및 그 디스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recording information on a write once disc or reproducing the recorded information. More particularly, the method, apparatus, method for shortening the access time thereof, and the disc for recording the information onto the write disc It is about.

한번 기록 디스크는 재기록 가능(rewritable) 디스크의 경우처럼 이미 정보가 기록된 부분에 덮어서 기록할 수 없기 때문에, 다시 말해 정보를 한번 기록하면 다시 지우고 쓸 수 없기 때문에 이미 기록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위치를 할당하여 기록해야 한다.Once a write-once disc cannot be written over an area where information has already been recorded, as in the case of a rewritable disc, that is, once the information has been written, it cannot be erased and written again. Should be assigned and recorded.

실제로, 업데이트되는 정보는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만이 유의미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기록 장치 또는 재생 장치는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해 해당 영역을 스캐닝해가면서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를 찾아낸다. 업데이트해야 할 정보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최신 정보를 얻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은 점점 더 늘어나게 된다. 왜냐하면 한번 기록 디스크의 경우 최신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는 재기록 가능 디스크와 달리 업데이트될 때마다 달라지기 때문이다. 스캐닝하는 수고를 덜기 위해 그 영역의 크기를 줄인다면 보다 정보를 빨리 찾을 수 있으나, 업데이트할 수 있는 횟수는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In practice, the updated information is most often the only information that is finally updated. Therefore, the recording device or the reproduction device searches for the last updated information while scanning the corresponding area to read the last updated information. The more information you need to update, the longer it takes to get the latest information.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a write-once disc, the location where the latest information is stored is different each time it is updated, unlike a rewritable disc. If you reduce the size of the area to save scanning effort, you can find the information faster, but the number of updates you can make decreases.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한번 기록 디스크의 경우 업데이트된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접근 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로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 및 그 디스크에 관한 것이다.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recording information in a data structure that can shorten the access time for reading updated information in the case of a recording disc and a disc.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순서대로 배치된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며,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가 기록되는 적어도 하나의 업데이트 영역; 및 상기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업데이트 영역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가 소정 주기로 기록되는 접근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that the lead-in area, the data area and the lead-in area, the data area and the lead-out area are arranged in this order in a single recording layer write once dis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update area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out areas, in which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be updated is recorded; And an access information area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and the lead-out area, the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location where the information last updated in the update area is recorded at a predetermined period. Is achieved by.

또한,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순서대로 배치된 제1 기록층과, 바깥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순서대로 배치된 제2 기록층을 구비하는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리드-아웃 영역 및 바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소정 정보가 업데이트되어 순차적으로 기록되는 적어도 하나의 업데이트 영역; 및 상기 리드-인 영역, 리드-아웃 영역 및 바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업데이트 영 역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가 소정 주기로 기록되는 접근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에 의해서도 달성된다.In addition, the write once includes a first recording layer in which the lead-in area, the data area and the lead-out area are arranged in order, and a second recording layer in which the outer area, the data area and the lead-out area are arranged in this order. write once) a disk, comprising: at least one update area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data area, lead-out area, and outer area so that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updated and recorded sequentially; And an access information area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the lead-out area, and the outer area, wherein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location at which information was last updated in the update area is recor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t is also achieved by a disk characterized in that.

또는,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순서대로 배치된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리드-인 영역, ,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며, 소정 정보가 업데이트되어 순차적으로 기록되는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 및 상기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업데이트 영역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가 소정 주기로 기록되는 접근 정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업데이트 영역 중 어느 하나에는 나머지 업데이트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에 의해서도 달성된다.Or a single recording layer write once disc having a lead-in area, a data area, and a lead-out area arranged in this orde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a data area, and a lead-out area are provided. A plurality of update areas provided in advance and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updated and recorded sequentially; And an access information area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and the lead-out area, wherein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location at which information was last updated in the update area is recor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t is also achieved by the disc characterized in that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ve of the position at which the last updated information is recorded is recorded in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update areas.

또는,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순서대로 배치된 제1 기록층과, 바깥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순서대로 배치된 제2 기록층을 구비하는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리드-아웃 영역 및 바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며, 소정 정보가 업데이트되어 순차적으로 기록되는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 및 상기 리드-인 영역, 리드-아웃 영역 및 바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업데이트 영역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가 소정 주기로 기록되는 접근 정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업데이트 영역 중 어느 하나에는 나 머지 업데이트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에 의해서도 달성된다.Alternatively, write once including a first recording layer in which the lead-in area, the data area and the lead-out area are arranged in order, and a second recording layer in which the outer area, the data area and the lead-out area are arranged in this order. write once) A disk comprising: a plurality of update area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data area, lead-out area, and outer area, wherein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updated and sequentially recorded; And an access information area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the lead-out area, and the outer area, wherein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location at which information was last updated in the update area is recor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t least one of the update areas is recorded with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update areas in which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position at which the last updated information is recorded is recorded.

상기 접근 정보 영역의 위치 정보는 소정 횟수의 레코딩 오퍼레이션이 종료될 때마다 기록되거나 상기 업데이트 영역의 소정 갯수의 블럭에 정보가 채워질 때마다 기록되거나 복수 회 반복하여 기록됨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업데이트 영역 중 어느 하나가 소정 횟수의 레코딩 오퍼레이션이 수행되면 기록되거나, 상기 업데이트 영역에 소정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횟수의 합이 소정 수이면 기록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information area is recorded every time a predetermined number of recording operations are completed, or each time information is filled in a predetermined number of blocks of the update area, or repeatedly recorded. Alternatively, it is preferable that any one of the update areas is recorded when a predetermined number of recording operations are performed, or when the sum of the number of times that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updated in the update area is a predetermined number.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기술적 과제는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순서대로 배치된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에의 접근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디스크의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업데이트 영역에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를 각각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단계; 및 (c) 상기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접근 정보 영역에 상기 업데이트 영역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를 소정 주기마다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problem is directed to a method for shortening the access time to a single write layer write once disk in which the lead-in area, the data area and the lead-out area are arranged in this order. (A) sequentially record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updated in at least one update area provided in at least one of a lead-in area, a data area and a lead-out area of the disc; And (c) recording, at predetermined intervals,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position at which the information last updated in the update area is recorded in an access information area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and the lead-out area. It is also achieved by a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순서대로 배치된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에의 접근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에 있어 서, (a) 상기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에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를 각각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단계; (b) 상기 업데이트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나머지 업데이트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및 (c) 상기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접근 정보 영역에 상기 업데이트 영역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를 소정 주기로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Further, in the method of shortening the access time to a single recording layer write once disc in which the lead-in area, the data area and the lead-out area are arranged in order, (a) the lead-in area, Sequentially record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updated in the plurality of update area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data area and the lead-out area; (b) recording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location in which at least one piece of updated information is recorded in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update areas in one of the update areas; And (c) recording, at predetermined intervals,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position at which the information last updated in the update area is recorded in an access information area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and the lead-out area. It is also achieved by th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순서대로 배치된 제1 기록층과, 바깥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순서대로 배치된 제2 기록층을 구비하는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에의 접근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리드-아웃 영역 및 바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업데이트 영역에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를 각각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단계; 및 (c) 상기 리드-인 영역, 리드-아웃 영역 및 바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접근 정보 영역에 상기 업데이트 영역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를 소정 주기로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n addition, the write once includes a first recording layer in which the lead-in area, the data area and the lead-out area are arranged in order, and a second recording layer in which the outer area, the data area and the lead-out area are arranged in this order. write once) A method for shortening the access time to a disc, comprising: (a) writ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updated in at least one update area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data area, lead-out area, and outer area; Recording each sequentially; And (c) recording, at predetermined intervals,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position at which the information last updated in the update area is recorded in an access information area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the lead-out area, and the outer area. Method comprising a.

또한,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순서대로 배치된 제1 기록층과, 바깥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순서대로 배치된 제2 기록층을 구비하는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에의 접근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에 있 어서, (a) 상기 리드-인 영역, 리드-아웃 영역 및 바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에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를 각각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단계; (b) 상기 업데이트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나머지 업데이트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및 (c) 상기 리드-인 영역, 리드-아웃 영역 및 바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접근 정보 영역에 상기 업데이트 영역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를 소정 주기로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In addition, the write once includes a first recording layer in which the lead-in area, the data area and the lead-out area are arranged in order, and a second recording layer in which the outer area, the data area and the lead-out area are arranged in this order. write once) A method of shortening the access time to a disc, comprising: (a) sequentially updat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updated in a plurality of update area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the lead-out area, and the outer area, respectively; Recording; (b) recording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location in which at least one piece of updated information is recorded in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update areas in one of the update areas; And (c) recording, at predetermined intervals,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position at which the information last updated in the update area is recorded in an access information area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the lead-out area, and the outer area. It is also achieved by a method comprising a.

상기 (c)단계는 소정 횟수의 레코딩 오퍼레이션이 종료될 때마다 실행되거나, 상기 업데이트 영역의 소정 갯수의 블럭이 채워질 때마다 실행되거나, 상기 접근 정보 영역에 상기 위치 정보를 복수 회 반복하여 기록하는 단계임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c)단계는 상기 업데이트 영역 중 어느 하나가 소정 횟수의 레코딩 오퍼레이션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업데이트 영역에 소정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횟수의 합이 소정 수이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The step (c) is executed every time a predetermined number of recording operations are finished, or each time a predetermined number of blocks of the update area is filled, or repeatedly recording the position information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a plurality of times. Is preferred. Alternatively, step (c) may be performed when any one of the update areas has a predetermined number of recording operations or the sum of the number of times that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updated in the update area is a predetermined number.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기술적 과제는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순서대로 배치된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독출하는 기록/독출부; 및 상기 디스크의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업데이트 영역에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를 각각 순차적으로 기록하고, 상기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 도 하나에 마련된 접근 정보 영역에 상기 업데이트 영역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를 소정 주기마다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problem is an apparatus for recording information on a single write layer write once disk in which the lead-in area, the data area and the lead-out area are arranged in order. A recording / reading unit for recording or reading information on the disc; And sequentially record predetermined information in at least one update area provided in at least one of a lead-in area, a data area, and a lead-out area of the disc, and write dow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and the lead-out area.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recording / reading unit to record, at predetermined intervals,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position at which the information last updated in the update area is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provided in FIG. 1. Is achieved.

또는,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순서대로 배치된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독출하는 기록/독출부; 및 상기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에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를 각각 순차적으로 기록하고, 상기 업데이트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나머지 업데이트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를 기록하며, 상기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접근 정보 영역에 상기 업데이트 영역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를 소정 주기로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Or an apparatus for recording information on a single recording layer write once disk having a lead-in area, a data area and a lead-out area arranged in sequence, the apparatus for recording or reading information on the disk; Reading unit; And sequentially write predetermined information updated in a plurality of update area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the data area, and the lead-out area, respectively, and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update areas in one of the update areas. Record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position at which the updated information is recorded, and write a position where the information last updated in the update area is recorded in an access information area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and the lead-out area. It is also achieved by an apparatus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cording / reading unit to record informing position inform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또는,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순서대로 배치된 제1 기록층과, 바깥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순서대로 배치된 제2 기록층을 구비하는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독출하는 기록/독출부; 및 상기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리드-아웃 영역 및 바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의 업데이트 영역에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를 각각 순차적으로 기록하고, 상기 리드-인 영역, 리드-아웃 영역 및 바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접근 정보 영역에 상기 업데이트 영역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를 소정 주기로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Alternatively, write once including a first recording layer in which the lead-in area, the data area and the lead-out area are arranged in order, and a second recording layer in which the outer area, the data area and the lead-out area are arranged in this order. write once) an apparatus for recording information on a disk, comprising: a recording / reading unit for recording or reading information on the disk; And sequentially write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be updated in at least one update area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data area, lead-out area, and outer area, and respectively write the lead-in area, lead-out area,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cording / reading unit to record, at predetermined intervals,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location at which information last updated in the update area is recorded in an access information area provided in at least one of an outer area. It is also achieved by

또는,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순서대로 배치된 제1 기록층과, 바깥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순서대로 배치된 제2 기록층을 구비하는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독출하는 기록/독출부; 및 상기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리드-아웃 영역 및 바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에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를 각각 순차적으로 기록하고, 상기 업데이트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나머지 업데이트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를 기록하며, 상기 리드-인 영역, 리드-아웃 영역 및 바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접근 정보 영역에 상기 업데이트 영역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를 소정 주기로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Alternatively, write once including a first recording layer in which the lead-in area, the data area and the lead-out area are arranged in order, and a second recording layer in which the outer area, the data area and the lead-out area are arranged in this order. write once) an apparatus for recording information on a disk, comprising: a recording / reading unit for recording or reading information on the disk; And sequentially record predetermined information updated in a plurality of update area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data area, lead-out area, and outer area, and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update areas in any one of the update areas.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position at which the last updated information is recorded in one is recorded, and updated in the update area in an access information area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the lead-out area and the outer area; It is also achieved by an apparatus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cording / reading unit to record the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at which the information is recorded, at a predetermined period.

상기 제어부는 소정 횟수의 레코딩 오퍼레이션이 종료될 때마다 상기 접근 정보 영역에 상기 위치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업데이트 영역의 소정 갯수의 블럭이 채워질 때마다 상기 접근 정보 영역에 상기 위치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거나, 레코딩 오퍼레이션마다 상기 업데이트 영역에 업데이트된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업데이트 영역 중 어느 하나가 소정 횟수의 레코딩 오퍼레이션이 이루어지면 상기 접근 정보 영역에 상기 위치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거나, 상기 업데이트 영역에 소정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횟수의 합이 소정 수이면 상기 접근 정보 영역에 상기 위치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ecording / reading unit to record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every time a predetermined number of recording operations are terminated, or the predetermined amount of blocks in the update area is fill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Preferably, the recording / reading unit is controlled to record position information, or the recording / reading unit is controlled to record updated information in the update area for each recording operation.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ecording / reading unit to record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when any one of the update areas has been record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the number of times that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updated in the update area. If the sum is a predetermined number,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recording / reading unit to record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정보가 업데이트되어 새로운 위치에 기록되는 한번 기록 디스크의 경우 업데이트된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접근 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로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 및 그 디스크가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recording information in a data structure that can shorten the access time for reading updated information in the case of a recording disc in which a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updated and recorded in a new location, and the disc Is provi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기록 장치는 기록/독출부(1), 제어부(2) 및 메모리부(3)를 포함한다. 기록/독출부(1)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저장매체인 디스크(10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검증하기 위해 데이터를 독출한다. 제어부(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구조로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기록/독출부(1)를 제어한 다. 즉, 디스크(100)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업데이트 영역에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를 순차적으로 기록하고, 디스크(100)에 마련된 접근 정보 영역에 업데이트 영역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를 소정 주기로 기록하도록 기록/독출부(1)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업데이트 영역에 기록되는 정보는 후술하는 레코딩 오퍼레이션마다 기록되며,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되는 위치 정보는 소정 횟수의 레코딩 오퍼레이션이 종료될 때마다 기록되거나 업데이트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마련된 소정 갯수의 논리 또는 물리 블럭이 채워질 때마다 기록된다. 또는 복수개의 업데이트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업데이트 영역이 소정 횟수만큼 업데이트되거나 복수개의 업데이트 영역에 업데이트되는 횟수의 합이 소정 수가 되면 기록된다. 나아가, 제어부(2)는 디스크(100)에 업데이트 영역이 복수 개의 존재하는 경우 업데이트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나머지 업데이트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를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한다. 파이널라이징시, 제어부(2)는 업데이트 영역에 마지막으로 기록된 소정 정보의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를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한다.Referring to FIG. 1, the recording apparatus includes a recording / reading section 1, a control section 2, and a memory section 3. The recording / reading section 1 records data on the disk 100, which is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reads data to verify the recorded data. The control unit 2 controls the recording / reading unit 1 to record data in the data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 position in which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be updated is sequentially recorded in at least one update area provided in the disc 100, and the position where the last updated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update area is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provided in the disc 100. The recording / reading section 1 is controlled to record the inform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update area is recorded for each recording operation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is recorded every time a predetermined number of recording operations are completed or is provided to record the information in the update area. Each time a number of logical or physical blocks are filled, they are written. Or, if the sum of the number of times the at least one update area of the plurality of update areas is upda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the plurality of update areas is a predetermined number is recorded. Furthermor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update areas on the disc 100, the controller 2 accesses the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where the information last updated in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update areas is recorded in any one of the update areas. Write in the area. At the time of finalizing, the control unit 2 records the positional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last recorded in the update area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레코딩 오퍼레이션이란 사용자의 의사, 수행하고자 하는 기록 작업 등에 의해 결정되는 작업 단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100)가 기록 장치에 로딩되어 소정 정보의 기록 작업이 수행된 다음 디스크(100)가 꺼내질 때까지를 가리킨다. 사용자가 소정 정보의 기록 작업을 완료한 다음 디스크(100)를 꺼내기 위해 기록 장치에 마련된 이젝트(eject) 버튼(도시되지 않음)을 누르면 제어부(2)는 일 레코 딩 오퍼레이션이 종료됨을 알게 된다.The recording operation is a unit of work determined by a user's intention, a recording operation to be performed, and the like. In this embodiment, the disc 100 is loaded into a recording device to perform recording of predetermined information, and then the disc 100 is ejected. Until point. After the user completes the recording of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and then presses an eject button (not shown) provided in the recording apparatus to eject the disc 100, the control unit 2 knows that the recording operation is finished.

특히,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는 기록/독출부(1)의 레이저의 파워를 조정하기 위한 기록 조건을 테스트한 다음 테스트 결과를 기초로 정보를 기록하고, 결함 관리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이저의 파워를 조정하기 위해 제어부(2)는 레코딩 오퍼레이션마다 디스크(100)에 마련된 업데이트 영역의 하나인 기록 조건 테스트 영역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논리 또는 물리 블럭에 기록 조건을 테스트한다. 따라서, 다음에 기록 조건을 테스트할 수 있는 위치가 어디인지 알아둘 필요가 생긴다. 기록 조건 테스트 영역의 경우 업데이트되어 기록되는 정보는 테스트를 위해 기록되는 데이터라고 볼 수 있다. 또한, 결함 관리를 위해 제어부(2)는 소정 단위로 데이터를 기록한 다음 기록된 데이터를 검증함으로써 결함이 발생된 부분을 찾아내는 「기록 후 검증 (verify after write) 방식」에 따른다. 제어부(2)는 일 레코딩 오퍼레이션 단위로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한 다음 검증하여 결함 영역이 어디에 발생하였는지 검사하고, 검사 결과 밝혀진 결함 영역이 어디인지 알려주는 결함 정보를 생성한 다음, 생성된 결함 정보를 메모리부(3)에 저장해두었다가 소정 분량 모아서 임시 결함 정보로서 디스크(100)에 마련된 업데이트 영역, 즉 임시 결함 관리 영역에 기록하고 기록된 임시 결함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임시 결함 관리 정보를 임시 결함 관리 영역에 더 기록한다. 일 레코딩 오퍼레이션 동안 기록 후 검증 작업은 적어도 1 회, 통상 복수 회 수행된다. 기록 후 검증 작업의 수행 결과 얻어진 결함 정보는 메모리부(3)에 임시 결함 정보로서 일시 저장된다. 레코딩 오퍼레이션이 종료되면 제어부(2)는 메모리부(3)에 저장된 임시 결함 정보 를 읽어들여 기록/독출부(1)로 제공하고 이들 정보를 디스크(100)에 마련된 임시 결함 관리 영역에 기록할 것을 명령한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unit 2 tests the recording conditions for adjusting the power of the laser of the recording / reading unit 1, then records information based on the test result and performs defect management. More specifically, in order to adjust the power of the laser, the control unit 2 tests the recording conditions in one or more logical or physical blocks of the recording condition test area, which is one of the update areas provided in the disc 100 for each recording opera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know where to test the recording conditions next. In the case of the recording condition test area, the updated and recorded information may be regarded as data recorded for the test. In addition, for defect management, the control unit 2 writes data in predetermined units and then verifies the "verify after write method" in which the defective portion is found by verifying the recorded data. The control unit 2 records user data in units of one recording operation, and then verifies by checking where a defect area occurs, generates defect information indicating where the defect area is found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and then stores the generated defect information in the memory unit.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which is stored in (3) and collected for a predetermined amount, is recorded in the update area provided on the disk 100 as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that is,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and for managing the recorded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is added to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Record it. The verification operation after recording during one recording operation is performed at least once, usually a plurality of times. The defect information obtained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verification operation after recording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memory unit 3 as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When the recording operation is finished, the control unit 2 reads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3 and provides it to the recording / reading unit 1 and records the information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provided in the disc 100. Command

디스크(100)에 데이터 기록이 완료될 경우, 다시 말해 디스크(100)에 더 이상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파이널라이징할 경우) 제어부(2)는 임시 결함 관리 영역에 기록해둔 임시 결함 정보와 임시 결함 관리 정보를 디스크(100)에 마련된 결함 관리 영역에 기록한다.When data recording is completed on the disc 100, that is, when no further data is to be recorded on the disc 100 (finalizing), the control unit 2 records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recorded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And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 recorded in the defect management area provided in the disc 100.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100)의 구조를 보여준다.2 shows the structure of a disk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a)를 참조하면, 디스크(100)가 하나의 기록층 L0을 갖는 단일 기록층 디스크인 경우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으로 구성된 디스크 구조를 가진다. 리드-인 영역은 디스크(100)의 내주 측에 위치하고 리드-아웃 영역은 디스크(100)의 외주 측에 위치한다. 데이터 영역은 리드-인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의 사이에 위치한다. 데이터 영역은 스패어 영역과 사용자 데이터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다. 사용자 데이터 영역은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는 영역이고, 스패어 영역은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있어서 결함에 의한 기록 공간의 손실을 보충하기 위해 마련된 공간, 즉 결함 관리를 위해 마련된 공간으로서,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에 결함이 발생한 경우 결함이 발생된 부분을 새로이 기록하는 대체 공간으로 사용된다.Referring to FIG. 2A, when the disc 100 is a single recording layer disc having one recording layer L0, it has a disc structure composed of a lead-in area, a data area and a lead-out area. The lead-in area is loca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disk 100 and the lead-out area is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disk 100. The data area is located between the lead-in area and the lead-out area. The data area is divided into a spare area and a user data area. The user data area is an area where user data is recorded, and the spare area is a space provided to compensate for the loss of recording space due to a defect in the user data area, that is, a space provided for defect management, and is recorded in the user data area. If a defect occurs in the data, it is used as an alternative space for recording a new portion of the defect.

도 2의 (b)를 참조하면, 디스크(100)가 두 개의 기록층 L0, L1을 갖는 이중 기록층 디스크인 경우 기록층 L0에는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바깥 영역이 디스크(100)의 내주 측에서 외주 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기록층 L1에는 바깥 영 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디스크(100)의 외주 측에서 내주 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도 2의 (a)의 단일 기록층 디스크와 달리, 리드-아웃 영역 또한 디스크(100)의 내주 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경로는 기록층 L0의 리드-인 영역에서부터 기록층 L0의 바깥 영역으로, 이어서 기록층 L1의 바깥 영역에서 기록층 L1의 리드-아웃 영역으로 이어지는 OTP(Opposite Track Path)이다. 스패어 영역은 기록층 L0, L1에 각각 할당된다.Referring to FIG. 2B, when the disc 100 is a dual recording layer disc having two recording layers L0 and L1, the recording layer L0 includes a lead-in area, a data area, and an outer area of the disc 100. The outer peripheral side, the data area, and the lead-out area are sequentially arranged from the inner peripheral side to the outer peripheral side, and the recording area L1 is sequentially arranged from the outer peripheral side to the inner peripheral side of the disc 100. Unlike the single recording layer disc of FIG. 2A, the lead-out area is also arrang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disc 10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recording path for recording data is an OTP (Opposite Track Path) from the lead-in area of the recording layer L0 to the area outside of the recording layer L0, and then from the area outside of the recording layer L1 to the lead-out area of the recording layer L1. to be. Spare areas are allocated to recording layers L0 and L1,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서 스패어 영역은 사용자 데이터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 또는 바깥 영역 사이에만 존재하나 필요에 따라 사용자 영역을 분할하여 얻어진 별도의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리드-인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 사이에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pare area exists only between the user data area and the lead-out area or the outer area, but one between the lead-in area and the lead-out area by utilizing a separate space obtained by dividing the user area as necessary. It may be arranged abov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100)의 구조를 보여준다3 shows the structure of a disk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크(100)가 단일 기록층 디스크인 경우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디스크(100)가 이중 기록층 디스크인 경우 리드-인 영역, 리드-아웃 영역 및 바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접근 정보 영역이 마련된다. 접근 정보 영역은 정보의 강인성(robustness)를 위해 서로 다른 두 영역에 각각 배치하거나 동일한 영역에서도 그 위치를 달리하여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3, at least one of a lead-in area and a lead-out area when the disk 100 is a single recording layer disk, and a lead-in area and lead-out when the disk 100 is a dual recording layer disk. At least one of the region and the outer region is provided with an access information reg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access information areas may be provided in two different areas for the robustness of the information, or may be provided in different locations in different locations.

나아가, 디스크(100)가 단일 기록층 디스크인 경우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디스크(100)가 이중 기록층 디스크인 경우 리드-인 영역, 리드-아웃 영역 및 바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는 그 이상의 업데이트 영역이 마련된다. 도 3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업데이트 영역의 일 예로 2 개의 업데이트 영역 A, B가 도시되어 있다. 업데이트 영역 A, B에는 업데이트되는 정보가 각각 기록된다. 본 실시예에서 업데이트 영역 A, B에는 레코딩 오퍼레이션마다 소정 정보가 업데이트되어 기록된다. 다만, 업데이트되는 주기는 기록되는 정보의 특징 또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접근 정보 영역에는 업데이트 영역 A, B에 각각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가 소정 주기로 기록된다. 본 실시예에서 위치 정보는 미리 결정된 횟수의 레코딩 오퍼레이션마다 기록되거나, 업데이트 영역에 존재하는 소정 갯수의 논리 또는 물리 블럭에 정보가 모두 기록되어 채워질 때마다 기록된다. 필요에 따라, 접근 정보 영역에는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 전부가 아닌 일부에 업데이트되어 기록되는 정보의 기록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만이 기록될 수도 있다.Furthermore,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and the lead-out area when the disc 100 is a single recording layer disc, the lead-in area, the lead-out area and the outer area when the disc 100 is a dual recording layer disc. At least one of the more update areas is provided. 3 illustrates two update regions A and B as an example of one or more update regions. Information to be updated is recorded in the update areas A and B, respectively. In this embodiment,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updated and recorded in the update areas A and B for each recording operation. However, the updated perio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r needs of the recorded information.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at which the information last updated in the update areas A and B, respectively, is recor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al information is recorded every predetermined number of recording operations or each time the information is recorded and filled in a predetermined number of logical or physical blocks existing in the update area. If necessary, only the positional information indicating the recording position of the information to be updated and recorded in some, not all of the plurality of update regions may be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region.

업데이트 영역 A는 ECC 정정 단위가 되는 블럭의 크기가 다른 영역에 비해 비교적 작은 영역을 택하는 것이 억세스 시간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기록시, 업데이트 영역 A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업데이트 영역의 마지막으로 기록된 정보의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를 기록한다. 기록되는 데이터의 특성, 사용 환경 등에 따라 레코딩 오퍼레이션의 횟수가 비교적 많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에는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되는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주기를 비교적 짧게 설정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업데이트 주기를 비교적 길게 설정한다. 나아가,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되는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해야 할 시점을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The update area A is preferably selected in an area in which the size of the block serving as the ECC correction unit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other areas. At the time of recording, whenever the update area A is updated,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last recorded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ther update area is recorded. When it is predicted that the number of recording operations will not be relatively high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to be recorded and the usage environment, the period for upd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is set to be relatively short, otherwise the update period is set to be relatively long. do. Furthermore, the timing at which the location information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should be updated may be variably set.

재생시, 접근 정보 영역의 처음부터 스캐닝하여 마지막으로 기록된 위치 정보를 읽어들여 업데이트 영역들에 기록된 정보를 억세스하기 위한 정보를 얻는다. 한편, 파이널라이징할 경우에는 업데이트 영역들에 각각 마지막으로 기록된 정보들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한다.At the time of reproduction, scanning is performed from the beginning of the access information area to read the last recorded position information to obtain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update area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finalizing, location information on the last recorded information in the update areas is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본 실시예에서, 업데이트 영역은 리드-인 영역, 리드-아웃 영역 및 바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나, 경우에 따라 업데이트 영역은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도 존재할 수 있다. 즉, 업데이트 영역이란 소정 정보가 업데이트되어 기록되는 영역을 의미하며 배치되는 영역이 어디인지(리드-인 영역인지, 리드-아웃 영역인지, 바깥 영역인지 사용자 데이터 영역인지)에 상관없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date area is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the lead-out area, and the outer area, but in some cases, the update area may also exist in the user data area. That is, the update area means an area in which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updated and recorded, and it does not matter where the area is placed (lead-in area, lead-out area, outer area, or user data area).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크(100)에 정보가 기록되는 방법을 보여준다.4 shows how information is recorded on disc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업데이트 영역 A에는 소정 정보가 n번 업데이트되어 순차적으로 A #1, A #2,…, A #n으로 기록되고, 업데이트 영역 B에는 소정 정보가 n번 업데이트되어 순차적으로 B #1, B #2,…, B #n으로 기록된다. 다음으로, 접근 정보 영역에는 업데이트 영역 A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되어 기록된 정보 A #n과 업데이트 영역 B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되어 기록된 정보 B #n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정보, 예를 들면 물리적 주소나 논리적 주소가 포함된 위치 정보 AA #1가 기록된다. 다시, 업데이트 영역 A에 소정 정보가 n번 업데이트되어 순차적으로 A #n+1, A #n+2,…, A #2n으로 기록되고, 업데이트 영역 B에 소정 정보가 n번 업데이트되어 순차적으로 B #n+1, B #n+2,…, B #2n으로 기록되면 접근 정보 영역에 AA #2가 기록된다. 대안적으로,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되는 임의의 위치 정보 AA #i에는 업데이트 영역 A 및 B 중 어느 하나에 기록되는 최신 업데이트 정보에 대한 위치 정보만이 기록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updated n times in the update area A, so that A # 1, A # 2,. , A #n, and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updated n times in the update area B, so that B # 1, B # 2,... , B #n. Next, the access information area contains information A #n, which is updated and recorded in the update area A and information B #n, which is finally updated and recorded in the update area B, are recorded, for example, a physical address. Or location information AA # 1 containing the logical address. Again,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updated n times in the update area A and sequentially A # n + 1, A # n + 2,... , A # 2n,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updated n times in the update area B, and sequentially, B # n + 1, B # n + 2,... , B # 2n is recorded, AA # 2 is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Alternatively, in any positional information AA #i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only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latest update information recorded in either of the update areas A and B may be recorded.

나아가, 업데이트 영역 A와 업데이트 영역 B 중 어느 하나에 소정 정보가 먼저 n번 업데이트되면 나머지 업데이트 영역 A 또는 B의 업데이트되는 횟수에 상관없이 접근 정보 영역에 위치 정보를 기록하거나 업데이트 영역 A와 업데이트 영역 B의 업데이트 횟수의 합이 n이 되면 접근 정보 영역에 위치 정보를 기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Furthermore, if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first updated n times in either the update area A or the update area B,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or the update area A and the update area B are irrespective of the number of times the remaining update area A or B is updated. When the sum of the update counts of n is n,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된 위치 정보를 보여준다.5A to 5D show location information recorded in an access information area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참조하면, 접근 정보 영역에는 위치 정보가 반복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근 정보 영역의 처음에서부터, 즉 물리적 또는 논리적 주소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첫번째 위치 정보 AA #1가 기록되고 이어서 그 복사본 copy of AA #1이 기록되며, 두번째 위치 정보 AA #2가 기록된 다음 그 복사본 copy of AA #2이 기록된다. 두 번씩 기록함으로써 정보의 신뢰성과 강인성(robustness)이 향상된다. 두 번 이상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며 기록 위치 또한 인터리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location information is repeatedly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More specifically,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A # 1 is recorded from the beginning of the access information area,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physical or logical address increases, and then a copy of AA # 1 is recorded, and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A # 2 is recorded. Then a copy of AA # 2 is recorded. By recording twice, the reliability and robustness of the information is improved. It is possible to record more than once and the recording position can also be interleaved.

도 5b를 참조하면, 도 5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접근 정보 영역에는 위치 정보가 반복적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그 기록 방향이 서로 반대이다. 즉, 접근 정보 영역의 끝에서부터, 즉 물리적 또는 논리적 주소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첫번째 위치 정보 AA #1가 기록되고 이어서 그 복사본 copy of AA #1이 기록되며, 두번째 위치 정보 AA #2가 기록된 다음 그 복사본 copy of AA #2이 기록된다. 두번씩 기록함으로써 정보의 신뢰성과 강인성(robustness)이 향상된다. 마찬가지로, 두 번 이상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며 기록 위치 또한 인터리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similarly to the case of FIG. 5A, location information is repeatedly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but the recording directions thereof are opposite to each other. That is, from the end of the access information area, that is,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physical or logical address,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A # 1 is recorded, followed by a copy of AA # 1, and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A # 2 is recorded. A copy of AA # 2 is recorded. By recording twice, the reliability and robustness of the information is improved. Similarly, it is possible to record more than once and the recording position can also be interleaved.

도 5c를 참조하면, 접근 정보 영역은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두 개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되며, 첫번째 서브 영역에는 물리적 또는 논리적 주소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첫번째 위치 정보 AA #1와 두번째 위치 정보 AA #2가 순차적으로 기록되고, 두번째 서브 영역에는 첫번째 위치 정보의 복사본 copy of AA #1와 두번째 위치 정보의 복사본 copy of AA #2이 순차적으로 기록된다. 기록 순서로 보면, 첫번째 위치 정보 AA #1가 기록된 다음 첫번째 위치 정보의 복사본 copy of AA #1이 기록되고 두번째 위치 정보 AA #2가 기록된 다음 두번째 위치 정보의 복사본 copy of AA #2이 기록된다. 위치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을 구분함으로써 정보의 신뢰성과 강인성이 더욱 향상된다. 대안적으로, 접근 정보 영역은 세 개 이상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된 다음 위치 정보를 세 번 이상씩 반복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C, the access information area is physically or logically divided into two sub areas, and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A # 1 and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A # 2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hysical or logical address increases in the first sub area. In the second sub area, a copy copy of AA # 1 of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a copy copy of AA # 2 of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re sequentially recorded. In the recording order,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A # 1 is recorded, then a copy of AA # 1 is recorded,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A # 2 is recorded, and then a copy of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copy of AA # 2 is recorded. do. By dividing the area w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the reliability and robustness of the information is further improved. Alternatively, the access information area may be divided into three or more sub areas and then repeatedly record the location information three or more times.

도 5d를 참조하면, 접근 정보 영역은 도 5c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두 개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되나 정보가 기록되는 순서가 서로 반대이다. 즉, 첫번째 서브 영역에도 물리적 또는 논리적 주소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첫번째 위치 정보 AA #1와 두번째 위치 정보 AA #2가 순차적으로 기록되고, 두번째 서브 영역에도 첫번째 위치 정보의 복사본 copy of AA #1와 두번째 위치 정보의 복사본 copy of AA #2이 물리적 또는 논리적 주소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기록된다. 기록 순서는 도 5d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첫번째 위치 정보 AA #1가 기록된 다음 첫번째 위치 정보의 복사본 copy of AA #1이 기록되고 두번째 위치 정보 AA #2가 기록된 다음 두번째 위치 정보의 복사본 copy of AA #2이 기록된다. 위치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을 구분함으로써 정보의 신뢰성과 강인성이 더욱 향상된다. 대안적으로, 접근 정보 영역은 세 개 이상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된 다음 위치 정보를 세 번 이상씩 반복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D, the access information area is divided into two sub areas physically or logically as in the case of FIG. 5C, but the order in which information is recorded is reversed. That is,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A # 1 and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A # 2 are sequentially record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hysical or logical address decreases in the first sub area, and a copy of AA # 1 and the second copy of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re also sequentially recorded in the second sub area. A copy of AA # 2 of lo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sequentially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physical or logical address. The recording order is the same as that of Fig. 5D, in which the first positional information AA # 1 is recorded, then a copy of the first positional information copy of AA # 1 is recorded and the second positional information AA # 2 is recorded, then a copy of the second positional information is copied. AA # 2 is recorded. By dividing the area w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the reliability and robustness of the information is further improved. Alternatively, the access information area may be divided into three or more sub areas and then repeatedly record the location information three or more times.

도 6은 도 4 및 도 5의 위치 정보 AA #i의 데이터 구조를 보여준다.6 illustrates a data structur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AA #i of FIGS. 4 and 5.

도 6을 참조하면, 위치 정보 AA #i는 식별자, 업데이트 영역 A의 접근 포인터 및 업데이트 영역 B의 접근 포인터를 포함한다. 업데이트 영역 A의 접근 포인터는 업데이트 영역 A에 기록된 소정 정보 중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되어 기록된 정보의 기록 위치를 포인팅하고, 업데이트 영역 B의 접근 포인터는 업데이트 영역 B에 기록된 소정 정보 중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되어 기록된 정보의 기록 위치를 포인팅한다. 가령, 접근 포인터는 맨 나중에 기록된 정보의 시작 주소를 가리킨다.Referring to FIG. 6, the location information AA #i includes an identifier, an access pointer of the update area A, and an access pointer of the update area B. FIG. The access pointer of the update area A points to the recording position of the most recently updated and recorded information among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recorded in the update area A, and the access pointer of the update area B is the most recent of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recorded in the update area B. Points to the recording position of the updated and recorded information. For example, the access pointer points to the start address of the last recorded informa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100)에 정보가 기록되는 방법을 보여준다.7 shows how information is recorded on disc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업데이트 영역 A에는 도 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소정 정보가 n번 업데이트되어 순차적으로 A #1, A #2,…, A #n으로 기록되고, 업데이트 영역 B에는 소정 정보가 n번 업데이트되어 순차적으로 B #1, B #2,…, B #n으로 기록된다. 다음으로, 접근 정보 영역에는 업데이트 영역 A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되어 기록된 정보 A #n과 업데이트 영역 B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되어 기록된 정 보 B #n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정보, 예를 들면 물리적 주소나 논리적 주소가 포함된 위치 정보 AA #1가 기록된다. 다시, 업데이트 영역 A에 소정 정보가 n번 업데이트되어 순차적으로 A #n+1, A #n+2,…, A #2n으로 기록되고, 업데이트 영역 B에 소정 정보가 n번 업데이트되어 순차적으로 B #n+1, B #n+2,…, B #2n으로 기록되면 접근 정보 영역에 AA #2가 기록된다. 대안적으로,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되는 임의의 위치 정보 AA #i에는 업데이트 영역 A 및 B 중 어느 하나에 기록되는 최신 업데이트 정보에 대한 위치 정보만이 기록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n the update area A, as in the case of FIG. 4,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updated n times and sequentially A # 1, A # 2,... , A #n, and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updated n times in the update area B, so that B # 1, B # 2,... , B #n. Next, the access information area includes information A #n, which is updated and recorded in the update area A and information B #n, which is recorded and updated in the update area B, are recorded. Location information AA # 1 containing the address or logical address is recorded. Again,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updated n times in the update area A and sequentially A # n + 1, A # n + 2,... , A # 2n,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updated n times in the update area B, and sequentially, B # n + 1, B # n + 2,... , B # 2n is recorded, AA # 2 is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Alternatively, in any positional information AA #i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only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latest update information recorded in either of the update areas A and B may be recorded.

나아가, 업데이트 영역 A에 기록된 정보 A #1, A #2,…, A #n, A #n+1,…, A #2n에는 업데이트 영역 B의 최신 업데이트 정보의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가 기록된다. 예를 들어, 업데이트 영역 A에 기록된 정보 A #n+1는 업데이트 영역 B의 대응하는 위치 정보 B #n+1가 기록된 위치를 포인팅한다. 따라서, 업데이트 영역 B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업데이트 영역 A는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즉, 업데이트 영역 A에 기록된 정보 A #1, A #2,…, A #n 중 업데이트 영역 A에 관한 소정 정보 자체는 업데이트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업데이트 영역 B가 업데이트되었기 때문에 업데이트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만약, 복수개의 업데이트 영역의 업데이트 시점이 각각 다르고 나머지 업데이트 영역이 업데이트될 때마다 최신 정보의 기록 위치가 업데이트 영역 A에 기록된다면 업데이트 영역 A의 크기는 최악의 경우 나머지 모든 업데이트 영역의 크기를 합친 크기와 같거나 커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가 발생되지 않도록 업데이트 영역 A에 최신 업데이트 정보의 위치 정보를 기록해두는 업데이트 영역들에 대해서는 그 업데이트 시점이 동일하도록 구현하여 업데 이트 영역 A의 크기를 가급적 최소화한다. 나아가, 나머지 업데이트 영역에 업데이트된 정보를 기록하고 난 후 업데이트 영역 A에 그 자신의 최신 업데이트 정보와 나머지 업데이트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최신 업데이트 정보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록한다. 이처럼 업데이트 영역 A에 정보를 업데이트 영역들 중 맨나중에 기록하는 이유는 나머지 업데이트 영역에 최신 업데이트 정보가 기록될 위치를 미리 정해두더라도 에러 발생 등을 통해 미리 정해둔 위치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가령, 업데이트 영역 B에 업데이트되어야 할 최신 정보의 위치를 미리 정해둔 다음 업데이트 영역 A에 업데이트 영역 B에 기록될 최신 정보의 위치 정보를 기록한 이후에 업데이트 영역 B를 업데이트하고 나서 ECC Error가 발생할 경우 영역 B의 최신 정보가 들어 있는 위치가 변할 수 있다.Further, the information A # 1, A # 2, ... recorded in the update area A is obtained. , A #n, A # n + 1,... , A # 2n, records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latest update information of the update area B. For example, the information A # n + 1 recorded in the update area A points to the position where the corresponding position information B # n + 1 of the update area B is recorded. Therefore, update area A must be updated whenever update area B is updated. Namely, the information A # 1, A # 2, ... recorded in the update area A; Although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itself of the update area A among the A #n is not updated, the update area B may be updated because the update area B is updated. If the update points of the plurality of update areas are different and the recording position of the latest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update area A each time the remaining update areas are updated, the size of the update area A is the size of the sum of all the remaining update areas in the worst case. Should be greater than or equal to In order to prevent this from happening, the update areas in whic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atest update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update area A are implemented to have the same update time point to minimize the size of the update area A as much as possible. Furthermore, after the updated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remaining update areas, the update area A records position information on its own latest update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update areas. The reason for recording the information in the update area A at the end of the update areas as described above is that even if the location where the latest update information is to be recorded in the remaining update areas is determined in advance, the predetermined location may be changed through an error or the like. For example, if the location of the latest information to be updated in the update area B is determined in advanc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atest information to be recorded in the update area B is recorded in the update area A, then the update area B is updated. The location of B's latest information may change.

도 8은 도 7의 업데이트 영역 A에 기록되는 임의의 정보 A #i의 데이터 구조를 보여준다.FIG. 8 shows the data structure of any information A #i recorded in the update area A of FIG.

도 8을 참조하면, 업데이트 정보 A #i에는 업데이트 영역 A를 위한 A #i 정보와 업데이트 영역 B의 대응하는 정보 B #i의 위치를 가리키는 B #i 포인터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the update information A #i includes A #i information for the update area A and a B #i pointe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B #i of the update area B.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100)의 구현예를 보여준다.9 shows an embodiment of a disk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예에서는 디스크(100)가 단일 기록층 디스크인 경우 리드-인 영역에는 접근 정보 영역, 결함 관리 영역, 임시 결함 관리 영역 및 기록조건 테스트 영역이 마련된다. 나아가, 리드-아웃 영역에도 접근 정보 영역, 결함 관리 영역, 임시 결함 관리 영역 및 기록조건 테스트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마련할 수 있다. 정리하면, 접근 정보 영역. 결함 관리 영역, 임시 결함 관리 영역 및 기록조건 테스트 영역은 각각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존재할 수 있다. 이중 기록층 디스크인 경우, 접근 정보 영역, 결함 관리 영역, 임시 결함 관리 영역 및 기록조건 테스트 영역은 디스크(100)의 내주 측에 위치한 리드-인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에 각각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이중 기록층 디스크인 경우, 접근 정보 영역, 결함 관리 영역, 임시 결함 관리 영역 및 기록조건 테스트 영역은 각각 리드-인 영역, 리드-아웃 영역 및 바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다.9, in this example, when the disc 100 is a single recording layer disc, an access information area, a defect management area,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and a recording condition test area are provided in the lead-in area. Furthermore, at least one of an access information area, a defect management area,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and a recording condition test area may be provided in the lead-out area. In summary, the access information area. The defect management area,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and the recording condition test area may exist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and the lead-out area, respectively. In the case of the dual recording layer disc, the access information area, the defect management area,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and the recording condition test area exist in the lead-in area and the lead-out area loca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disc 100, respectively. Similarly, in the case of a dual recording layer disc, the access information area, defect management are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and recording condition test area ar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the lead-out area and the outer area, respectively.

여기서, 임시 결함 관리 영역과 기록조건 테스트 영역이 각각 업데이트 영역 A 및 업데이트 영역 B에 해당한다. 따라서, 접근 정보 영역에는 임시 결함 관리 영역에 기록되는 업데이트 정보인, 임시 관리 정보(임시 결함 정보 및 임시 결함 관리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와 기록조건 테스트 영역에 있어서 마지막으로 사용된 테스트 영역의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 예를 들면 다음 사용될 테스트 영역의 시작 주소가 기록된다. 접근 정보 영역에는 임시 결함 관리 영역 또는 기록조건 테스트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만이 선택적으로 기록될 수도 있다. 나아가, 임시 결함 관리 영역에는 기록조건 테스트 영역에 있어서 마지막으로 사용된 테스트 영역의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가 기록된다.Here,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and the recording condition test area correspond to the update area A and the update area B, respectively. Therefore,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the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where the temporary management information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nd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s recorded, which is updat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is used last in the recording condition test area.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test area is recorded, for example the start address of the next test area to be used. Only the pos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or the recording condition test area may be selectively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Further,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positional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test area last used in the recording condition test area is recorded.

본 실시예에서 기록 장치는 기록조건 테스트 영역을 사용하여 레코딩 오퍼레이션마다 기록조건을 테스트한 다음 그 결과를 바탕으로 디스크(100)에 정보를 기 록하고 레코딩 오퍼레이션이 종료될 때마다 임시 결함 관리 영역에 임시 관리 정보를 기록하므로 임시 결함 관리 영역과 기록조건 테스트 영역은 레코딩 오퍼레이션마다 업데이트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임시 결함 관리 영역에 임시 관리 정보를 기록할 때 기록조건 테스트 영역의 위치 정보를 함께 기록한다.In this embodiment, the recording apparatus uses the recording condition test area to test the recording condition for each recording operation, and then writes the information to the disc 100 based on the result, and writes to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every time the recording operation is completed. Since the temporary management information is recorded,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and the recording condition test area are updated for each recording oper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temporary management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recording condition test area is recorded together.

결함 관리 영역에는 일반적으로, 결함을 관리하기 위한 디스크의 구조, 결함관리 여부, 결함 정보의 위치, 결함 정보, 스패어 영역의 위치, 크기 등과 같이 디스크 전반에 영향을 주는 정보들이 기록된다.In the defect management area, generally, information that affects the entire disc is recorded, such as the structure of the disc for managing the defect, whether or not there is defect management, the position of the defect information, the defect information,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spare area.

통상, 기록 또는 재생 장치는 디스크가 장치에 로딩되면, 리드-인 영역 및/또는 리드-아웃 영역에 있는 정보들을 읽어들여 디스크를 어떻게 관리하고 어떻게 기록하거나 재생해야 하는지 파악한다. 리드-인 영역 및/또는 리드-아웃 영역에 기록된 정보의 양이 많으면 많아질수록 디스크를 로딩하고 난 다음 기록 또는 재생을 준비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임시 관리 정보의 개념을 도입하고 이들을 리드-인 영역 및/또는 리드-아웃 영역의 결함 관리 영역과 별개로 마련된 임시 결함 관리 영역에 기록해둔다. 파이널라이징시 지금까지 기록된 임시 관리 정보, 즉 임시 결함 정보 및 임시 결함 관리 정보를 최종적으로 결함 관리 영역에 기록한다. 이는, 디스크에 더 이상 데이터를 기록할 필요가 없는 경우(파이널라이징할 경우) 여러 번 갱신되어 기록된 임시 결함 정보 및 임시 결함 관리 정보 중 최종적으로 유의미한 정보만을 결함 관리 영역에 옮겨둠으로써 기록 또는 재생 장치가 향후 디스크로부터 결함 관리 정보를 읽어들일 경우 결함 관리 영역으로부터 최종적으로 유의미한 정보만을 읽어들이도 록 하여 보다 빠르게 초기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Typically, a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reads information in the lead-in area and / or the lead-out area when the disc is loaded into the device to determine how to manage the disc and how to record or reproduce it. The larger the amount of information recorded in the lead-in area and / or the lead-out area, the longer the time required for loading the disc and then preparing for recording or playback occurs.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cept of temporary management information is introduced and these are recorded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defect management area of the lead-in area and / or the lead-out area. In finalizing, temporary management information recorded so far, namely,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nd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s finally recorded in the defect management area. This means that when data is no longer needed to be recorded on the disc (when finalizing), only the last meaningful information, which is updated and recorded several times, is finally recorded in the defect management area. This is because when the device reads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from the disk in the future, it can be initialized more quickly by only reading meaningful information from the defect management area.

본 실시예에서, 결함 관리는 선형 치환 방식에 따르므로, 임시 결함 정보는 결함이 발생된 영역이 어디인지 알려주는 정보와 새로이 대체된 영역이 어디인지 알려주는 정보로 구성된다. 임시 결함 관리 정보는 임시 결함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로서, 임시 결함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정보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defect management is in accordance with the linear substitution scheme,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is composed of information indicating where the defect is generated and information indicating where the newly replaced region is.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nd includes information for indicating a location where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is recorded.

본 실시예에서, 임시 결함 정보 및 임시 결함 관리 정보는 레코딩 오퍼레이션이 종료될 때마다 기록된다. 임시 결함 관리 영역에는 레코딩 오퍼레이션 #1이 수행되는 동안 기록된 데이터에 발생된 결함에 관한 정보 및 대체 영역에 관한 정보가 임시 결함 정보 #1로 기록되고, 레코딩 오퍼레이션 #2가 수행되는 동안 기록된 데이터에 발생된 결함에 관한 정보 및 대체 영역에 관한 정보가 임시 결함 정보 #2로 기록된다. 나아가, 임시 결함 관리 영역에는 임시 결함 정보 #1, #2,‥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 즉 임시 결함 정보 #1, #2,‥가 기록된 위치를 각각 알려주는 정보가 임시 결함 관리 정보 #1, #2,‥ 에 기록된다.In this embodiment,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nd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 recorded each time the recording operation ends.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information on defects occurring in the data recorded during recording operation # 1 and information on the replacement area is recorded as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 1, and data recorded while recording operation # 2 is performed. The information on the defect and the information on the replacement area generated in " n " Further,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management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 1, # 2, ..., that is, information indicative of the position where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 1, # 2, ... is recorded, respectively is contained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 1, # 2, ... are recorded.

데이터 영역에 더 이상 데이터를 기록할 수 없거나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데이터 영역에 더 이상 데이터를 기록하고자 하지 않을 경우, 즉 파이널라이징할 경우 임시 결함 정보 영역에 기록되었던 결함 정보와 임시 결함 관리 정보 영역에 기록되었던 결함 관리 정보는 비로소 결함 관리 영역에 기록된다. 파이널라이징할 때에는 지금까지 기록된 임시 결함 정보 #1, #2,‥, #i에 기록된 결함 정보 중 유의미한 정보만을 읽어들여 다시 결함 관리 영역에 기록한다.If data can no longer be written to the data area or if you no longer want to write data to the data area, that is, when finalizing, the defect information that was recorded in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and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a will be deleted. The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that has been recorded is finally recorded in the defect management area. When finalizing, only meaningful information is read from the defect information recorded in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 1, # 2, ..., #i recorded so far and recorded again in the defect management area.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 영역 A과 스패어 영역 B 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FIG. 10 is a reference diagram for describing in more detail a process of writing data in a user data area A and a spare area 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위는 섹터 및 클러스터로 나눌 수 있다. 섹터는 컴퓨터의 파일 시스템이나 응용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최소한의 단위를 의미하며, 클러스터는 한꺼번에 물리적으로 디스크 상에 기록되어질 수 있는 최소한의 단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섹터가 하나의 클러스터를 구성한다.The unit for processing data may be divided into sectors and clusters. A sector is a minimal unit that can manage data in a computer's file system or application program. A cluster is a minimum unit that can be physically recorded on a disk at one time. Typically, one or more sectors make up a cluster.

섹터는 다시 물리 섹터와 논리 섹터로 나누어진다. 물리 섹터는 디스크 상에 한 섹터 분량의 데이터가 기록되어지기 위한 공간을 의미한다. 물리 섹터를 찾기 위한 주소를 물리 섹터 번호(Physical Sector Number: PSN)라고 한다. 논리 섹터는 파일 시스템이나 응용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섹터 단위를 말하며, 마찬가지로 논리 섹터 번호(Logical Sector Number: LSN)가 주어져 있다.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장치는 기록하거나 재생해야할 데이터의 디스크 상의 위치를 물리 섹터 번호를 사용하여 찾아가게 되고,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하기 위한 컴퓨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데이터 전체를 논리 섹터 단위로 관리를 하며, 데이터의 위치도 논리 섹터 번호로 찾아간다. 논리 섹터 번호와 물리 섹터 번호의 관계는 기록 또는 재생 장치의 제어부가 결함 여부와 기록 시작 위치 등을 사용하여 매핑하게 된다.Sectors are divided into physical sectors and logical sectors. The physical sector means space for recording one sector of data on the disk. The address for finding a physical sector is called a physical sector number (PSN). The logical sector refers to a sector unit for managing data in a file system or an application program. Similarly, a logical sector number (LSN) is given. A device that records and plays data on a disc finds a location on the disc of data to be recorded or reproduced using a physical sector number. A computer or application for recording or playing data manages the entire data in logical sector units. The data position is also found by the logical sector numb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gical sector number and the physical sector number is mapp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using a defect status and a recording start position.

도 10을 참조하면, A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의미하고, B는 스패어 영역을 의미한다. 사용자 데이터 영역 및 스패어 영역에는 물리적 섹터 번호가 순차적으로 할당된 복수개의 물리 섹터(도시하지 않음)가 존재한다. 논리 섹터 번호는 적 어도 하나의 물리 섹터 단위로 부여된다. 다만, 논리 섹터 번호는 결함이 발생된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발생된 결함 영역을 제외하고 스패어 영역의 대체 영역을 포함시켜 부여되므로, 물리 섹터와 논리 섹터의 크기가 같다고 가정하더라도 결함 영역이 발생하게 되면 물리 섹터 번호와 논리 섹터 번호가 일치하지 않게 된다.Referring to FIG. 10, A means a user data area and B means a spare area. In the user data area and the spare area, there are a plurality of physical sectors (not shown) to which physical sector numbers are sequentially assigned. The logical sector number is given in at least one physical sector unit. However, since the logical sector number is assigned to include the spare area except the defective area generated in the user data area where the defect has occurred, even if the physical sector and the logical sector have the same size, the defective area occurs. The physical sector number and logical sector number do not match.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식은 연속 기록 모드(continuous recording mode) 또는 랜덤 기록 모드(random recording mode)에 의한다. 연속 기록 모드는 사용자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기록하는 것이고, 랜덤 기록 모드는 반드시 연속적으로 기록하지 않고 랜덤하게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① 내지 ⑦은 각각 기록 후 검증 작업이 수행되는 단위를 가리킨다.The method of recording the user data in the user data area is by a continuous recording mode or a random recording mode. In the continuous recording mode, the user data is sequentially recorded in succession, and the random recording mode is not necessarily continuous but in random recording. ① to ⑦ respectively indicate a unit in which a verification operation is performed after recording.

기록 장치는 디스크(100)가 로딩되면 기록조건 테스트 영역에 기록조건을 테스트한 다음 그 결과를 바탕으로 레이저의 파워를 조절하여 디스크(100)에 정보를 기록한다. 기록조건 테스트 영역에 기록조건이 처음 테스트되면 그 영역은 다시 사용될 수 없고 새로운 영역이 테스트를 위해 사용되어야 하므로 업데이트 영역 B에 소정 정보가 기록된 것으로 간주하면 전술한 설명에 합치된다.When the recording apparatus 100 is loaded, the recording apparatus tests the recording conditions in the recording condition test area, and then records information on the disk 100 by adjusting the power of the laser based on the result. When the recording condition is first tested in the recording condition test area, the area cannot be used again and a new area must be used for the test, so that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update area B,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above description.

기록 장치는 사용자 데이터를 구간 ① 만큼 기록한 다음 구간 ①의 첫 부분으로 되돌아와서 데이터가 제대로 기록되었는지, 아니면 결함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결함이 발생된 부분이 발견되면 그 부분을 결함 영역으로 지정한다. 이에, 결함 영역인 결함 #1이 지정된다. 또한, 기록 장치는 결함 #1에 기록되었던 데이터를 스패어 영역에 다시 기록한다. 결함 #1에 기록된 데이터가 재기록된 부분은 대체 #1이라고 부른다. 다음으로, 기록 장치는 구간 ② 만큼 사용자 데이터 를 기록한 다음 다시 구간 ②의 첫 부분으로 되돌아와서 데이터가 제대로 기록되었는지, 아니면 결함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결함이 발생된 부분이 발견되면 그 부분은 결함 #2로 지정된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결함 #2에 대응하는 대체 #2가 생성된다. 또한, 구간 ③에서 결함 영역인 결함 #3과 대체 #3이 생성된다. 구간 ④에서는 결함이 발생된 부분이 발견되지 않아 결함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The recording device records the user data by the interval ① and then returns to the first part of the interval ① to check whether the data is recorded correctly or whether a defect has occurred. If a part where a defect occurs is found, the part is designated as a defect area. Thus, defect # 1, which is a defect area, is designated. The recording apparatus also records the data recorded in the defect # 1 again in the spare area. The part where the data recorded in the defect # 1 is rewritten is called replacement # 1. Next, the recording device records the user data for the interval ② and then returns to the first part of the interval ② to check whether the data is properly recorded or whether a defect has occurred. If a defective part is found, that part is designated as defect # 2. In a similar manner, replacement # 2 corresponding to defect # 2 is generated. In addition, defect # 3 and replacement # 3, which are defective areas, are generated in the section ③. In section ④, no part where a defect occurred is found and there is no defect area.

구간 ④까지 기록하고 검증한 다음 레코딩 오퍼레이션 #1의 종료가 예측되면(사용자가 이젝트 버튼을 누르거나 레코딩 오퍼레이션에 할당된 사용자 데이터 기록이 완료되면) 기록 장치는 임시 결함 정보 #1로서 구간 ① 내지 ④까지에서 발생된 결함 영역인 결함 #1, #2, #3에 관한 정보를 임시 결함 관리 영역에 기록한다. 또한, 임시 결함 정보 #1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를 임시 결함 관리 정보 #1로 임시 결함 관리 영역에 기록한다. 한편, 기록조건 테스트 영역의 다음 테스트가 수행되기 위해 할당된 부분을 알려주는 위치 정보가 기록된다.After recording and verifying up to section ④, and when the end of recording operation # 1 is predicted (when the user presses the eject button or the recording of the user data assigned to the record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recording device is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 1 as the sections ① to ④. Information about defects # 1, # 2, and # 3, which are defect areas generated in the above, is recorded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In addition, management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 1 is recorded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as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 1. On the other hand, positional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rtion allocated for the next test in the recording condition test area is recorded.

다시 디스크(100)가 로딩되면 레코딩 오퍼레이션 #2가 시작되고, 기록조건 테스트 영역에 기록 조건을 테스트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데이터가 기록된다. 즉, 레코딩 오퍼레이션 #2에서는 구간 ⑤ 내지 ⑦까지 전술한 레코딩 오퍼레이션 #1의 경우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데이터가 기록되고 결함 #4, #5 및 대체 #4, #5가 생성된다. 레코딩 오퍼레이션 #2이 종료되면 기록 장치는 임시 결함 정보 #2로서, 결함 #4 및 #5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다. 또한, 임시 결함 정보 #2를 관리하기 위한 결함 관리 정보 #2로 임시 결함 관리 영역에 기록한다. 한편, 기록조건 테스 트 영역의 다음 테스트가 수행되기 위해 할당된 부분을 알려주는 위치 정보가 기록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소정 횟수 이상 레코딩 오퍼레이션이 수행되면, 접근 정보 영역에는 임시 결함 관리 영역에 기록된 마지막 임시 관리 정보, 즉 결함 정보의 위치 및 결함 관리 정보의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가 기록되고 기록조건 테스트 영역의 다음 테스트가 수행되기 위해 할당된 부분을 알려주는 위치 정보가 기록된다.When the disc 100 is loaded again, recording operation # 2 is started, the recording condition is tested in the recording condition test area, and data is recorded based on the result. That is, in the recording operation # 2, data is record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the recording operation # 1 described above until the sections ⑤ to ⑦, and defects # 4, # 5 and replacements # 4, # 5 are generated. When the recording operation # 2 ends, the recording apparatus records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defects # 4 and # 5 as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 2. Furthermore, the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 2 for managing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 2 is recorded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On the other hand,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rtion allocated for the next test of the recording condition test area is recorded. When the recording operation is perform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n this manner, the last temporary management information recorded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that is, the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defect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and the recording condition is recorded.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rtion allocated for the next test in the test area is recorded.

본 발명에 따라 디스크(100)에의 접근 시간의 개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improvement of the access time to the dis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ECC 정정이 블록 단위로 수행되고 한 블럭의 재생 시간을 '1'이라 할 때. 기록은 ECC 정정 단위인 블럭 단위로 이루어진다. 만일 업데이트 영역 A, 업데이트 영역 B, 업데이트 영역 C, 즉 세 개의 업데이트 영역에 일 레코딩 오퍼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업데이트해야 할 정보의 양이 한 블럭을 초과한다면 접근 정보 영역의 효과는 더욱 커진다. 왜냐하면, 업데이트해야 할 정보의 양이 항상 한 블럭 이내에 기록된다면 레코딩 오퍼레이션의 수행 횟수와 사용된 블럭의 갯수가 동일해지기 때문에 업데이트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예측해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 레코딩 오퍼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업데이트해야 하는 정보의 양이 한 블록 이내이고 각 업데이트 영역의 크기는 다음과 같고 다음과 같은 횟수의 레코딩 오퍼레이션이 수행될 때마다 업데이트된다고 한다.When ECC correction is performed in units of blocks and the reproduction time of one block is called '1'. Recording is done in blocks that are ECC correction units. If the amount of information to be updated exceeds one block as a result of performing one recording operation on the update area A, update area B, update area C, that is, three update areas, the effect of the access information area is further increased. This is because if the amount of information to be updated is always recorded within one block, the number of times of performing the recording operation and the number of used blocks become the same, so that the location where the update information is recorded can be predicted. Therefore, as a result of performing one recording operation, the amount of information to be updated is within one block, and the size of each update area is as follows, and is updated each time the following number of recording operations are performed.

- 업데이트 영역 A: 1000블럭, 업데이트되는 레코딩 오퍼레이션의 횟수 = a,Update area A: 1000 blocks, the number of recording operations being updated = a,

- 업데이트 영역 B: 1000블럭, 업데이트되는 레코딩 오퍼레이션의 횟수 = b,Update area B: 1000 blocks, the number of updated recording operations = b,

- 업데이트 영역 C: 1000블럭, 업데이트되는 레코딩 오퍼레이션의 횟수 = c,Update area C: 1000 blocks, the number of recording operations updated = c,

- 접근 정보 영역의 업데이트 시점: a + b + c = 30.Update time of access information area: a + b + c = 30.

위와 같은 조건 하에서, 업데이트 영역 A, 업데이트 영역 B, 업데이트 영역 C 각각의 최신 정보를 얻는데 필요한 시간을 접근 정보 영역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Under the above conditions, the time required to obtain the latest information of each of the update area A, update area B, and update area C i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access information area is present or not.

- 접근 정보 영역이 있는 경우: (a+b+c)/30 + (a+b+c)%30.(여기서 %는 modular 연산을 의미한다)If there is an access information field: (a + b + c) / 30 + (a + b + c)% 30. (Where% means modular operation)

- 접근 정보 영역이 없는 경우: a+b+c.If there is no access information field: a + b + c.

결론적으로 접근 정보 영역을 둘 경우 레코딩 오퍼레이션이 30 회 수행될 때까지는 같지만, 레코딩 오퍼레이션이 30 회를 초과할 경우에는 레코딩 오퍼레이션이 30 번씩 추가될 때마다 29 블럭을 재생할 수 있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어떤 업데이트 영역에 진행된 레코딩 오퍼레이션이 299 라면 9*29-1 = 260 블럭을 재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만큼을 줄일 수 있다. 즉, 접근 정보 영역이 없는 경우는 업데이트 영역에 접근하여 새로운 정보를 스캐닝하여 얻기까지 299 블럭을 재생하는 시간이 필요하나 접근 정보 영역이 있는 경우는 39 블럭을 재생하는 시간만이 필요할 뿐이다. 그만큼 빨리 최신 정보를 얻을 수 있다. In conclusion, whe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is provided, the same time until the recording operation is performed 30 times, but when the recording operation exceeds 30 time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to play 29 blocks every 30 additional recording operations. If the recording operation performed on an update area is 299, the time required to reproduce 9 * 29-1 = 260 blocks can be reduced. That is, when there is no access information area, it takes time to play 299 blocks until accessing the update area and scanning and obtaining new information. However, when there is an access information area, only time for playing 39 blocks is needed. You can get the latest information as quickly a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100)의 구조도,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disk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100)의 구조도,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disk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크(100)에 정보가 기록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참고도,4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how information is recorded on the disc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된 위치 정보를 보여주는 참고도,5A to 5D are reference diagrams showing position information recorded in an access information area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4 및 도 5의 위치 정보 AA #i의 데이터 구조도,6 is a data structure diagram of the location information AA #i of FIGS. 4 and 5;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100)에 정보가 기록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참고도,7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method of recording information on the disc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업데이트 영역 A에 기록되는 임의의 정보 A #i의 데이터 구조도,FIG. 8 is a data structure diagram of any information A #i recorded in the update area A of FIG. 7;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100)의 구현예,9 shows an embodiment of a disk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 영역 A과 스패어 영역 B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FIG. 10 is a reference diagram for describing in more detail a process of writing data in a user data area A and a spare area 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을 가지는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에 있어서,A write once disc having at least one recording layer, 기록 조건 테스트를 위한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조건 영역; A recording condition area in which data for recording condition test is recorded; 임시 결함 정보 및 임시 결함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임시 결함 관리 영역으로서, 상기 임시 결함 관리 정보는 상기 임시결함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제1포인터 및 상기 기록 조건 테스트를 위한 데이터가 다음번 기록될 영역을 나타내는 제2포인터를 포함하는, 임시 결함 관리 영역; 및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in which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nd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 recorded, where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es a first pointer indicating an area in which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is recorded and an area in which data for the recording condition test is to be recorded next.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including a second pointer indicating; And 업데이트된 소정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에 관한 위치 정보가 기록되는 접근 정보 영역을 포함하고,An access information area in which location information about an area in which updated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recorded is recorded;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임시 결함 정보가 기록된 상기 영역의 어드레스와, 상기 기록 조건 테스트를 위한 데이터가 다음번에 기록될 영역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번 기록 디스크.And the positional information includes an address of the area where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is recorded and an address of an area where data for the recording condition test is to be recorded nex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접근 정보 영역에 여러번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번 기록 디스크. And the positional information is recorded several times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업데이트된 소정 정보가 상기 영역에 기록된 회수가 소정 수가 될 때,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번 기록 디스크. And when the number of times the updated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area becomes a predetermined number, the position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을 가지는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로서, 상기 한번 기록 디스크는, 기록 조건 테스트를 위한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조건 영역과, 임시 결함 정보 및 임시 결함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임시 결함 관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임시 결함 관리 정보는, 상기 임시결함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제1포인터 및 상기 기록 조건 테스트를 위한 데이터가 다음번 기록될 영역을 나타내는 제2포인터를 포함하는, 한 번 기록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에 있어서,A write once disc having at least one recording layer, wherein the write once disc includes a recording condition area in which data for recording condition test is recorded, and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 which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nd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 recorded. And an area, where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es a first pointer indicating an area in which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is recorded and a second pointer indicating an area in which data for the recording condition test is to be recorded next. An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a disc, 상기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상기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독출하는 기록/독출부와, A recording / reading section for recording data on or reading data from the recording disk once; 업데이트된 소정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에 관한 위치 정보를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cording / reading unit to record the pos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area in which the updated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임시 결함 정보가 기록된 상기 영역의 어드레스와, 상기 기록 조건 테스트를 위한 데이터가 다음번에 기록될 영역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includes an address of the area in which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is recorded and an address of an area in which data for the recording condition test is to be recorded next.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접근 정보 영역에 여러번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기록 장치.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several times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업데이트된 소정 정보가 상기 영역에 기록된 회수가 소정 수가 될 때,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when the number of times the updated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area becomes a predetermined number.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을 가지는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로서, 상기 한번 기록 디스크는, 기록 조건 테스트를 위한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조건 영역과, 임시 결함 정보 및 임시 결함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임시 결함 관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임시 결함 관리 정보는, 상기 임시결함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제1포인터 및 상기 기록 조건 테스트를 위한 데이터가 다음번 기록될 영역을 나타내는 제2포인터를 포함하는, 한 번 기록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A write once disc having at least one recording layer, wherein the write once disc includes a recording condition area in which data for recording condition test is recorded, and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 which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nd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 recorded. And an area, where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es a first pointer indicating an area in which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is recorded and a second pointer indicating an area in which data for the recording condition test is to be recorded next. In the method of recording data on a disc, 업데이트된 소정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에 관한 위치 정보를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Recording loca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area in which the updated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임시 결함 정보가 기록된 상기 영역의 어드레스와, 상기 기록 조건 테스트를 위한 데이터가 다음번에 기록될 영역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And the positional information includes an address of the area in which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is recorded and an address of an area in which data for the recording condition test is to be recorded next.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접근 정보 영역에 여러번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several times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업데이트된 소정 정보가 상기 영역에 기록된 회수가 소정 수가 될 때,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when the number of times the updated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area becomes a predetermined number.
KR1020080006687A 2008-01-22 2008-01-22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data on write once disc, and the write once disc thereof KR1009360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687A KR100936037B1 (en) 2008-01-22 2008-01-22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data on write once disc, and the write once disc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687A KR100936037B1 (en) 2008-01-22 2008-01-22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data on write once disc, and the write once disc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952A Division KR100936025B1 (en) 2003-02-28 2003-03-03 Recording apparatus for write once disc, method for reducing access time to write once disc and disc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905A KR20080016905A (en) 2008-02-22
KR100936037B1 true KR100936037B1 (en) 2010-01-11

Family

ID=39384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687A KR100936037B1 (en) 2008-01-22 2008-01-22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data on write once disc, and the write once disc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03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6280A (en) * 1987-08-12 1989-02-20 Dainippon Printing Co Ltd Methods for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for optical car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6280A (en) * 1987-08-12 1989-02-20 Dainippon Printing Co Ltd Methods for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for optical c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905A (en) 2008-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77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using temporary DFL and temporary DDS, and disc thereof
JP4824123B2 (en) How to shorten the approach time to write-once discs
KR100739673B1 (en) Method for managing defect using temporary DFL and temporary DDS
KR20090042337A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recording apparatus, reproduction apparatus, integrated circuit and computer program allowing for updating of a defect list
KR100936027B1 (en) Method for managing defect considering compatability with a rewritable disc, a disc drive and a write once disc thereof
KR100950526B1 (en) Method for managing defect considered compatability with rewritable disc, disc drive and a write once disc thereof
KR100930239B1 (en) Fault management method using updatable defect management area, device and disk thereof
KR100936036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data on write once disc, and the write once disc thereof
KR100936037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data on write once disc, and the write once disc thereof
KR100667750B1 (en) Recording apparatus for write once disc, method for reducing access time to write once disc and disc thereof
KR100936025B1 (en) Recording apparatus for write once disc, method for reducing access time to write once disc and disc thereof
KR1006771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using temporary DFL and temporary DDS including Drive ? DIsc Information and disc thereof
KR20080016906A (en) A method for recording data on write once disc
KR20080016907A (en) A method for recording data on write once disc
KR100667747B1 (en) Disc with temporary DDS and temporary DFL, and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1008966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using updatable DMA, and disc thereof
KR1009360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using temporary DFL and temporary DDS including recording prevention information, and disc thereof
KR100728044B1 (en) Recording apparatus and disc thereof
KR100888601B1 (en) Disc and defect management apparatus
KR100958587B1 (en) Defect management method
KR100896687B1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disc
KR100900976B1 (en) Recording apparatus performing defect management and disc thereof
KR200400650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using temporary DMA, and a disc thereof
KR200400154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using temporary DFL and temporary DDS, and disc thereof
KR20040089966A (en) Method for managing defect for compatability, disc drive and a write once disc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