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132B1 - Shoes with leveling instrument - Google Patents

Shoes with leveling instru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5132B1
KR100935132B1 KR1020070118689A KR20070118689A KR100935132B1 KR 100935132 B1 KR100935132 B1 KR 100935132B1 KR 1020070118689 A KR1020070118689 A KR 1020070118689A KR 20070118689 A KR20070118689 A KR 20070118689A KR 100935132 B1 KR100935132 B1 KR 100935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pirit level
sole
level
leve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6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52131A (en
Inventor
윤지혜
Original Assignee
윤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지혜 filed Critical 윤지혜
Priority to KR1020070118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5132B1/en
Publication of KR20090052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21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1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에 X방향 수준기와 Y방향 수준기를 설치하여서,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발을 디디고 있는 지면에 대한 전후좌우 방향의 고저, 경사도를 한번에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한 수준기가 구비된 신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e equipped with a spirit level that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height, inclination, inclination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ground of the foot while wearing the shoes by installing the X-direction spirit level and the Y-direction spirit level on the shoes. It is to.

본 발명의 수준기가 구비된 신발은, 신발의 앞부분에 X방향 수준기를 설치하고, 상기 신발의 옆부분에 Y방향 수준기를 설치하여서 된다.Shoes having a spirit level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X-direction spirit level in the front of the shoe, and the Y-direction spirit level on the side of the shoe.

그리고, X방향 수준기는 신발의 앞부분 쪽에서 Y방향 수준기는 옆부분 쪽에서 바닥창 또는 갑피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고정되게 설치하여서 된다. 또, X방향 수준기는 신발의 앞부분 쪽에서 Y방향 수준기는 신발의 옆부분 쪽에서 바닥창 또는 갑피 중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여서 된다.And, the X-direction spirit level in the front side of the shoe, the Y-direction spirit level is to be installed integrally fixed to any one of the sole or the upper side. In addition, the X-direction spirit level at the front side of the shoe, the Y-direction spirit level is to be installed detachably to any one of the sole or upper at the side of the shoe.

아울러, 본 발명의 수준기가 구비된 신발은 신발의 앞부분 쪽 바닥창 테두리에 X방향 수준기를 설치하고, 신발의 옆부분 쪽 바닥창 테두리에 Y방향 수준기를 설치하여서 된다.In addition, the shoe is equipped with a spirit lev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X-direction spirit level on the front sole side rim of the shoe, and to install the Y-direction spirit level on the side sole rim of the shoe.

또, 본 발명의 수준기가 구비된 신발에서 X방향 수준기와 Y방향 수준기는 기울기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울기조절수단이 구비된다.In addition, in the shoe provided with a spirit leve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X-direction level and Y-direction level is provided with a tilt control means to enable the adjustment of the tilt.

신발, 수준기, 골프, 등산, 워킹, 검측 Shoes, Spirit Level, Golf, Climbing

Description

수준기가 구비된 신발{SHOES WITH LEVELING INSTRUMENT}SHOES WITH LEVELING INSTRUMENT}

본 발명은 신발에 X방향 수준기와 Y방향 수준기를 설치하여서,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발을 디디고 있는 지면에 대한 전후좌우 방향의 고저, 경사도를 한번에 정확히 측정할 수 있게 한 수준기가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shoes X-level and Y-direction spirit level, shoes equipped with a spirit level that can accurately measure the height, inclination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ground of the foot while wearing the shoes at once It is about.

수준기가 구비된 신발과 관련된 기술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4593(2000.06.01. 공고)호에는 수평계가 부착된 골프화가 게재되어 있다.As a technology related to shoes equipped with a spirit level, Korean Utility Model Model Publication No. 20-0184593 (August 1, 2000.) discloses a golf shoe with a level gauge.

이 수평계가 부착된 골프화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화(1)의 앞 상단 부분에 부착된 수평계(2)와, 상기 수평계(2)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수평계 하단에 수평 유지 고정장치(3)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 1, the golf shoe with the horizontal gauge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golf shoe 1, and the level holder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gauge so that the horizontal gauge 2 can be kept horizontal. It consists of (3).

이와 같은 종래고안은 골프화(1)의 앞 상단에 고정장치(3)로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계(2)가 부착되어 있어 골퍼가 필드나 그린의 고저, 경사도 등을 파악한 후, 어프로치 자세와 골프공 타격방향 및 타격강도를 결정하여 샷 또는 퍼팅할 수 있게 되므로, 골퍼의 샷 또는 퍼팅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This conventional design has a horizontal gauge (2) is attached to the upper front of the golf shoe (1) to maintain the level with the fixing device (3), so that the golfer grasps the height of the field, the green, the slope, etc. Since the hitting direction and the hitting strength can be determined and shot or putt, it is true that the golfer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shot or putting ability of the golfer.

그러나, 이러한 종래고안은 첫째 골프화(1)의 앞 상단 부분에 방향성이 결여된 원형의 수평계(2)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골퍼가 발을 디딘 지점의 필드나 그린의 수평 상태를 파악하기에는 용이하지만, 필드나 그린이 어느 방향으로 고저를 이루고 경사져 있는지를 파악하기 어려워 골퍼가 어프로치 자세와 골프공 타격 방향 및 타격강도를 잘못 결정하여 샷 또는 퍼팅을 실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is conventional design is easy to determine the level of the field or green at the point where the golfer stepped because the circular level 2 lacking the direction is attached to the front upper part of the first golf shoe (1).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in which direction the field or the green is inclined and inclined, so that the golfer may make a mistake in the shot or the putting by incorrectly determining the approach posture, the golf ball hitting direction and the hitting strength.

둘째, 골퍼가 발에 착용한 상태에서 구부려지고 펴지는 작용을 반복하게 되는 골프화(1)의 앞 상단 부분에 수평계(2)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골퍼가 이동하거나 샷 또는 퍼팅 동작시 발이 구부려지는 움직임을 방해받게 되어서 불편할 뿐만 아니라, 발이 구부려지는 움직임에 의해 작용력을 받게 되는 수평계(2)가 고정장치(3)로부터 쉽게 탈착되어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Second, because the golf club is attached to the front upper part of the golf shoe (1) that repeats the bending and unfolding action worn on the foot, because the golfer moves, or the foot is bent when the shot or putting operation Not only is it uncomfortable to be disturb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horizontal system 2, which is subjected to the action force by the movement of the foot bend,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fixing device 3 and cannot be used.

셋째, 골프화(1)의 앞 상단 부분에 수평계(2)가 돌출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골프화(1)의 외관이 불량해지는 원인을 제공하여 거부감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ird, because the horizontal system (2) is attached to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golf shoe (1) protruding there was a problem that causes the appearance of the golf shoe (1) is poor, causing a rejection.

한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0026(2000.10.16. 공고)호에는 도 2에서와 같이, 골프화(4)의 뒷굽(5)의 내측면(5a)에 수평계(6)를 부착 고정한 골프화가 게재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domestic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00026 (announced on October 16, 2000), as shown in Figure 2, golf shoes with a fixed level 6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5a) of the heel 5 of the golf shoes (4) Is published.

또, 이 골프화는 도 3a에서와 같이 수평계(6)를 받친 보호판(7)과 골프화(4)의 뒷굽(5)에 부설된 수평연결대(8)를 경첩(9)으로 연결하여 절첩식으로 수평계를 부착하거나, 도 3b에서와 같이 수평계(6)를 받친 보호판(7)에 형성시킨 연결핀(7a)을 골프화(4)의 뒷굽(5)에 형성한 연결홈(5b)에 끼워 맞춰 착탈식으로 수평계를 부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golf shoes are folded horizontally by connecting the protective plate 7 supporting the horizontal system 6 and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8 attached to the heel 5 of the golf shoe 4 with a hinge 9 as shown in FIG. 3A. 3B or a connecting pin 7a formed on the protection plate 7 supporting the horizontal system 6 as shown in FIG. 3B, and fits into the connecting groove 5b formed on the heel 5 of the golf shoe 4. It has a structure with a level gauge attached.

이와 같은 종래고안은 골프화(4)의 뒷굽(5)의 내측면(5a)에 수평계(6)가 부착되어 있어, 골퍼가 필드나 그린의 고저, 경사도 등을 파악한 후 어프로치 자세와 골프공 타격방향 및 타격강도를 결정하여 샷 또는 퍼팅할 수 있게 되므로, 골퍼의 샷 또는 퍼팅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In the conventional design, the level 6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5a of the heel 5 of the golf shoe 4, and after the golfer grasps the height of the field or the green, the inclination and the like, the approach posture and the golf ball hitting direction And since the hitting strength can be determined by shot or put, it is true that the golfer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shot or putting ability.

그러나, 이러한 종래고안은 첫째 골프화(4)의 뒷굽(5) 내측면(5a)에 수평계(6)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골퍼가 해당 지점에 발을 디디면 바지 자락에 의해 수평계(6)가 가려지는 현상이 발생되어서, 골퍼가 수평계(6)를 관측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is conventional design is because the level 6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5a of the heel 5 of the first golf shoe 4, so that when the golfer steps on the point, the level 6 is removed by the hem of the pants. Occurrence of the phenomenon occurred, the golfer had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observe the level gauge (6).

둘째 골프화(4)의 뒷굽(5)에 절첩식으로 부착된 수평계(6)의 경우에 골퍼가 이동할 때에는 수평계(6)를 접고, 골퍼가 샷 또는 퍼팅 동작할 때에는 수평계(6)를 펼쳐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을 감수하게 되고, 골프화(4)의 뒷굽(5)에 착탈식으로 부착된 수평계(6)의 경우에 골퍼가 이동하거나 샷 또는 퍼팅 동작할 때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작은 충격에도 수평계(6)가 쉽게 이탈하여 망실될 염려가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Second, in the case of the level gauge (6) attached to the heel (5) of the golf shoes (4) folds the level (6) when the golfer moves, and the level (6) should be unfolded when the golfer is shot or putting In the case of the level (6) detachably attached to the heel (5) of the golf shoe (4) is not only obstructed when the golfer moves, shots or putt, but also a small impact level (6) There was a problem that there is a fear that the) easily escaped and lost.

셋째 골프화(4)에 절첩식 또는 착탈식으로 수평계(6)를 부착시키기 위해서 구조가 복잡해진 만큼 관리대상의 구성부품과 제작비용이 증가되므로, 생산원가가 상승되어서 고가로 제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ird, because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to attach the horizontal gauge 6 to the golf shoe 4 in a folding or detachable manner, the component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object to be managed are increased, resulting in a high cost of production.

이밖에 수준기가 구비된 등산화, 수준기가 구비된 작업화, 수준기가 구비된 다른 신발 종류는 안출된 바가 없었다.In addition, hiking boots equipped with spirit level, work shoes equipped with spirit level, and other types of shoes equipped with spirit level were not conceived.

본 발명은 골프, 작업, 등산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신발에 X방향 수준기와 Y방향 수준기가 구비되게 하여서, 신발의 용도에 맞추어 지면 또는 지형의 상태를 한번에 정확히 측정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X-direction spirit level and Y-direction spirit level in the shoes used for golf, work, mountaineering, etc., so tha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measure the state of the ground or terrain according to the use of the shoes at once.

또한, 본 발명은 구두나 운동화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신발에 X방향 수준기와 Y방향 수준기가 구비되게 하여서, 보행 자세를 교정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correct the walking posture by providing the X-direction spirit level and the Y-direction spirit level in the shoes used for the purpose of shoes or sneakers.

또한, 본 발명은 구성부품수를 최소화한 단순구조로 신발에 X방향 수준기와 Y방향 수준기가 구비되게 하여서, 제품의 생산성 및 경계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with an X-direction spirit level and a Y-direction spirit level in a simple structure with a minimum number of components,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boundary of the product.

아울러, 본 발명은 X방향 수준기와 Y방향 수준기를 신발에 견고하게 설치하여서, 수준기가 임의로 탈락됨을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제공하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duct of excellent quality that can be firmly installed in the shoes, the X-direction spirit level and the Y-direction spirit level, to prevent the level is dropped off arbitrarily.

또한, 본 발명은 X방향 수준기와 Y방향 수준기를 신발에 탈착할 수 있게 설치하여서, 신발 착용시 착용감을 향상시키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X-direction spirit level and the Y-direction spirit level to be detachable to the shoes, to improve the wearing comfort when wearing shoes.

또한, 본 발명은 X방향 수준기와 Y방향 수준기를 신발에 기울기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서, X방향 수준기와 Y방향 수준기의 설치상태 변화에 구애됨이 없이 지면의 상태를 항상 정확히 측정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allow the adjustment of the inclination of the shoes in the X-direction level and Y-direction level, so that the state of the ground can always be accurately measured without being concerned with the change in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X-direction level and Y-direction spirit level. I wil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수준기가 구비된 신발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부의 바닥창과 상부의 갑피로 신발을 구성하며, 상기 신발의 앞부분에 X방향 수준기를 설치하고, 상기 신발의 옆부분에 Y방향 수준기를 설치하여서 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Shoes equipped with a spirit leve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shoe is composed of the upper sole of the lower sole and the upper, install the X-direction spirit level in the front of the shoe, the Y direction in the side of the shoe It is characterized by the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the level is installed.

또, X방향 수준기는 신발의 앞부분 쪽 바닥창 또는 갑피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고정되게 설치하고, Y방향 수준기는 신발의 옆부분 쪽 바닥창 또는 갑피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고정되게 설치한 것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X-direction spirit level is installed to be integrally fixed to any one of the sole or the upper side of the shoe, and the Y-direction spirit level is installed to be fixed to any one of the sole or upper side of the shoe It i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또, X방향 수준기는 신발의 앞부분 쪽 바닥창 또는 갑피 중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Y방향 수준기는 신발의 옆부분 쪽 바닥창 또는 갑피 중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한 것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X-direction spirit level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to any one of the front sole or upper of the shoe, and the Y-direction spirit level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to any one of the side sole or upper of the shoe Features of the jacket.

아울러, 본 발명의 수준기가 구비된 신발에서 하부의 바닥창과 상부의 갑피로 신발을 구성하며, 신발의 바닥창 상면 둘레에 바닥창 테두리를 갖게 하되, 상기 신발의 앞부분 쪽 바닥창 테두리에 X방향 수준기를 설치하고, 상기 신발의 옆부분 쪽 바닥창 테두리에 Y방향 수준기를 설치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hoe is equipped with a level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ower sole and the upper upper of the shoe, and the sole of the sole a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shoe soles, but in the X direction level on the front sole of the shoe border To install, and to install the Y-direction spirit level on the side sole side edge of the shoe is characterized in the technical configura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수준기가 구비된 신발에서 X방향 수준기와 Y방향 수준기는 기울기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울기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And, in the shoe equipped with a spirit leve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X-direction level and the Y-direction leve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chnical configuration is provided with a tilt control means to enable the adjustment of the tilt.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골프용, 작업용, 등산용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신발의 앞부분에 X방향 수준기를 설치하고 신발의 옆부분에 Y방향 수준기를 설치함으로써, 골프장에서 골프용 신발을 착용한 골퍼가 발을 디딘 필드나 그린에 대한 전후좌우 방향의 고저, 경사도를 한번에 정확히 측정할 수 있어 골프 실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공사 현장에서 작업용 신발을 착용한 건축, 토목 기술자가 작업장의 지면 상태를 용이하게 검측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켜 주게 되고, 산이나 야외에서 등산용 신발을 착용한 여행자가 야외의 지면이나 산의 지형 상태를 정확히 관측할 수 있어 주변 환경에 맞추어 안전하고 편리하게 등산이나 야외활동을 즐길 수 있게 하여 준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olfer wearing a golf shoe in a golf course by installing an X-direction spirit level on the front of the shoe used for golf, work, mountaineering, etc. and a Y-direction spirit level on the side of the sho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golf skills by accurately measuring the elevation, inclination, and inclination of the stepped field or the green at a time, and it is easy for the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 who wears work shoes at the construction site to facilitate the ground condition of the workplace. It is possible to detect and improve the work efficiency. Travelers wearing hiking shoes in the mountains or outdoors can accurately observe the outdoor ground and the topography of the mountains. Lets you enjoy.

또한, 구두나 운동화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신발에 X방향 수준기와 Y방향 수준기가 구비되게 함으로써, 구두나 운동화를 착용하고 보행할 때 지면에 발을 디디는 상태를 파악하여서 발을 디디는 상태가 불안정한 사람이나 모델 등의 보행 자세를 교정할 수 있게 하여 준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X-direction level and Y-direction level in the shoes used for shoes or sneakers, the person who is unstable to step on the foot by grasping the foot on the ground when walking or wearing shoes or sneakers It allows you to correct the walking posture of the model or model.

또한, 신발에 구성부품수를 최소화한 단순구조로서 보다 간단하게 X방향 수준기와 Y방향 수준기가 구비되게 함으로써, 단위 시간당 제품의 생산량을 증대시키고 생산원가는 절감할 수 있게 하여 준다.In addition, as a simple structure that minimizes the number of components in the shoe to be provided with a simpler X-direction level and Y-direction level,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the product per unit time and reduce the production cost.

아울러, 신발에 X방향 수준기와 Y방향 수준기를 견고하게 설치하여서, 수준기가 임의로 탈락되어 분실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하여 준다.In addition, by firmly installing the X-direction spirit level and Y-direction spirit level on the shoe, it prevents the level is lost and lost.

또한, 본 발명은 신발에 X방향 수준기와 Y방향 수준기를 탈착할 수 있게 설치하여서, 신발 착용자가 필요에 따라 X방향 수준기와 Y방향 수준기를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분리시켜서 보관할 수 있게 하여 준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o that the X-direction leveler and the Y-direction leveler on the shoe, so that the shoe wearer can be attached to the X-direction leveler and the Y-direction leveler as needed or stored separately.

또한, 본 발명은 신발에 X방향 수준기와 Y방향 수준기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하여서, 기후 및 온도 변화에 의해 신발이 변형되어 X방향 수준기와 Y방향 수준기의 설치상태가 변화된 경우에, 그 X방향 수준기와 Y방향 수준기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수평을 정확히 맞출 수 있게 하여 주므로, 지면에 대한 전후좌우 방향의 고저, 경사도를 항상 정확히 측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shoe so that the inclination adjustment of the X-direction spirit level and Y-direction spirit level, when the shoe is deformed by the change of climate and temperature,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X-direction spirit level and Y-direction spirit level, the X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direction leveler and the Y-direction leveler,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level the level, so that it is possible to always accurately measure the elevation and inclination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grou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하, 본 발명의 수준기가 구비된 신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shoe provided with a spirit level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수준기가 구비된 신발은 하부의 바닥창(10)과 상부의 갑피(20)로 신발(1)을 구성하고, 이 신발(1)에는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를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Shoes equipped with the spirit leve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hoe (1) with a lower sole 10 and the upper upper 20, the shoe (1) has an X-direction spirit level 30 and a Y-direction spirit level (40) ) Is provided.

본 발명에서 신발(1)의 앞부분에 X방향 수준기(30)를 설치하고, 신발(1)의 옆부분에 Y방향 수준기(40)를 설치하여서, 지면에 대한 전후좌우 방향의 고저, 경사도를 한번에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X-direction leveler 30 in the front portion of the shoe 1, and the Y-direction leveler 40 in the side of the shoe 1, the elevation, the slope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the ground at a time It was possible to measure accurately.

여기에서, X방향 수준기(30)는 신발(1)의 앞부분 쪽 바닥창(10) 또는 갑피(20)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고정되게 설치하고, Y방향 수준기(40)는 신발(1)의 옆부분 쪽 바닥창(10) 또는 갑피(20)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고정되게 설치하여서, 신발(1)에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를 보다 간단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Here, the X-direction leveler 30 is installed to be integrally fixed to any one of the front sole 10 or upper 20 of the shoe (1), the Y-direction leveler (40) of the shoe (1) By installing the side sole 10 or the upper 20 to be integrally fixed, the X-direction spirit level 30 and the Y-direction spirit level 40 can be installed more simply and firmly in the shoe 1. It was made.

또, X방향 수준기(30)는 신발(1)의 앞부분 쪽 바닥창(10) 또는 갑피(20) 중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Y방향 수준기(40)는 신발(1)의 옆부분 쪽 바닥창(10) 또는 갑피(20) 중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하여서, 신발(1)에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를 필요에 따라 부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X-direction leveler 30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to any one of the front sole 10 or upper 20 of the shoe 1, the Y-direction leveler 40 is the side of the shoe (1) Either side sole 10 or upper 20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so that the X-direction spirit level 30 and the Y-direction spirit level 40 can be attached or detached to the shoe 1 as necessary. .

아울러, 본 발명에서 신발(1)의 바닥창(10) 상면 둘레에 바닥창 테두리(10a)를 갖게 하되, 신발(1)의 앞부분 쪽 바닥창 테두리(10a)에 X방향 수준기(30)를 설치하고, 신발(1)의 옆부분 쪽 바닥창 테두리(10a)에 Y방향 수준기(40)를 설치하여서, 신발(1)의 바닥창(10)에 갖추어진 바닥창 테두리(10a)를 통해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를 더욱 간단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having a sole 10a around the top surface of the sole 10 of the shoe 1, install the X-direction spirit level 30 in the front sole outsole 10a of the shoe (1) And, by installing the Y-direction spirit level 40 on the side sole side edge (10a) of the shoe (1), X direction through the sole frame 10a provided on the sole 10 of the shoe (1) The leveler 30 and the Y-direction leveler 40 can be installed more simply and firmly.

또한, 본 발명의 수준기가 구비된 신발에서 상기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는 기울기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울기조절수단(11)이 구비되어서, 지면에 대한 전후좌우 방향의 고저, 경사도를 항상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도록 하였다.In addition, in the shoe provided with a spirit leve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X-direction leveler 30 and the Y-direction leveler 40 are provided with a tilt control means 11 to enable the adjustment of the inclinatio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ground The conditions to measure the elevation and inclination are always accurate.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수준기가 구비된 신발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details of the shoe provided with a spirit level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실시예 1> X방향 수준기와 Y방향 수준기가 일체로 고정되게 한 신발<Example 1> Shoes in which the X-direction spirit level and the Y-direction spirit level are integrally fixed

도 4에는 X방향 수준기(30)를 신발(1)의 앞부분 쪽 바닥창(10) 또는 갑피(20) 중 선택된 하나에 일체로 고정되게 설치하고, Y방향 수준기(40)를 신발(1)의 옆부분 쪽 바닥창(10) 또는 갑피(20) 중 선택된 하나에 일체로 고정되게 설치한 것이 예시되어 있다.In FIG. 4, the X-direction leveler 30 is integrally fixed to a selected one of the front sole 10 or the upper 20 of the shoe 1, and the Y-direction leveler 40 is installed on the shoe 1. It is illustrated to be integrally fixed to the selected one of the side sole 10 or the upper 20.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를 각각 바닥창(10) 또는 갑피(20)와 일체로 고정되게 설치하기 위해 채택할 수 있는 것으로는, 바닥창(10) 또는 갑피(20) 성형시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를 바닥창(10) 또는 갑피(20)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틀에 투입한 액상의 수지가 충분히 냉각되기 전에 정해진 각자의 위치에 삽입 경화시키는 방법이 있고, 바닥창(10) 또는 갑피(20)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틀에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를 정해진 각자의 위치에 미리 삽설시킨 상태에서 바닥창(10) 또는 갑피(20)의 성형을 위한 수지를 성형틀에 투입한 후 경화시키는 방법이 있다.As can be adopted to install the X-direction spirit level 30 and the Y-direction spirit level 40 integrally fixed to the sole 10 or upper 20, respectively, the sole 10 or upper 20 When molding, the X-level spirit level 30 and the Y-direction spirit level 40 are inserted and cur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fore the liquid resin injected into the molding mold for forming the sole 10 or the upper 20 is sufficiently cooled. There is a method to, and the sole 10 in the state in which the X-direction leveler 30 and the Y-direction leveler 40 is pre-installed in their respective positions in the mold for forming the sole 10 or upper 20. ) Or a resin for molding the upper 20 into a molding mold and then cured.

여기에서, 바닥창(10) 또는 갑피(20)에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가 각각 일체로 고정되면, 그 바닥창(10)과 갑피(20)를 서로 접합시켜서 신발(1)을 완성하게 된다.Here, when the X-direction leveler 30 and the Y-direction leveler 40 are fixed to the sole 10 or the upper 20, respectively, the sole 10 and the upper 20 are bonded to each other to shoes You will complete (1).

삭제delete

이 외에도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를 각각 바닥창(10) 또는 갑피(20)에 일체로 고정되게 설치하기 위해서 공지된 다양한 성형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X-direction leveler 30 and the Y-direction leveler 40 can be adopted a variety of known molding methods to be fixed to the sole 10 or upper 20, respectively.

이때, 바닥창(10) 또는 갑피(20)와 일체화되는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는 외부에서 수준기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그 상면이 바닥창(10) 상 부에 이르거나 바닥창(10) 상부보다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X-direction leveler 30 and the Y-direction leveler 40 integrated with the sole 10 or the upper 20 have an upper surfac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ole 10 so that the state of the level can be identified from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o form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outsole 10.

한편, 바닥창(10)의 저면은 가급적 편평하게 형성하여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가 지면에 대한 전후좌우 방향의 고저, 경사도를 오차없이 표시하기 위한 기준면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of the sole 10 is formed to be as flat as possible so that the X-direction leveler 30 and the Y-direction leveler 40 is a reference surface for displaying the elevation, inclination, inclination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ground without error. desirable.

갑피(20)는 유연성의 피혁을 소재로 하여 발등 및 발뒤꿈치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가공하여 바닥창(10)의 상부에 부착하되 그 후방 상측에 발을 끼우거나 빼낼 수 있도록 개구부(21)가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20 is made of a flexible leather material and process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tep and the heel to be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ole 10, the opening 21 is formed so that the foot can be inserted or removed on the rear upper side It is.

그리고, 갑피(20)의 개구부(21) 전방에는 절개된 양측에 배열 형성되는 끼움구멍(22)들을 통하여 끈(23)을 꿰어 발에 갑피(20)를 조여 밀착시키거나 풀어서 느슨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front of the opening 21 of the upper 20, the strap 23 is sewn through the fitting holes 22 formed at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20 to tighten the upper 20 to the foot, or close the upper 20 to loosen it.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의 구성은 도 4 내지 도 6b에서와 같이 각각 길이방향의 중간에 일정한 폭으로 표시된 수평표시용 눈금(A1)을 중심으로 양측에 경사표시용 눈금(A2)들이 표시된 유연성 튜브(A) 내에 기포(C)가 형성되도록 액상물(B)을 주입 밀봉하여서, 유연성 튜브(A) 내에서 움직이는 기포(C)를 통하여 지면에 대한 전후좌우 방향의 고저, 경사도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X-direction leveler 30 and the Y-direction leveler 40 is inclined display graduations on both sides centering on the horizontal display graduations A1, each of which has a constant width in the middl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4 to 6B. The liquid B is injected and sealed so that the bubbles C are formed in the flexible tube A in which A2 are marked, and the height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rough the bubble C moving in the flexible tube A. It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inclination.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의 구성은 상기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수준기를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할 것이다.The configuration of the X-direction leveler 30 and the Y-direction leveler 40 is not limited by the above drawings, it can be used by adopting a variety of known levels.

이러한 X방향 수준기(30)는 도 7a 및 도 7b에서와 같이, 신발을 착용한 발을 지면에 디디면, 해당 지점의 지면 상태에 따라 수평을 유지하거나 좌우로 기울어지는 바닥창(10)에 의하여 유연성 튜브(A) 내에서 기포(C)가 움직여 좌우 방향의 고저, 경사도를 표시하게 되고, Y방향 수준기(40)는 도 8a 및 도 8b에서와 같이, 신발을 착용한 발을 지면에 디디면, 해당 지점의 지면 상태에 따라 수평을 유지하거나 전후로 기울어지는 바닥창(10)에 의하여 유연성 튜브(A) 내에서 기포(C)가 움직여서 전후 방향의 고저, 경사도를 표시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X-direction leveler 30 is provided by the sole 10 which is horizontally inclined or tilted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ground state of the corresponding point when the foot wearing the shoe is placed on the ground. In the flexible tube A, the bubble C moves to display the elevation and the inclina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Y-direction level 40 shows the foot wearing the shoe on the ground as shown in FIGS. 8A and 8B. In addition, the bubble C is moved in the flexible tube A by the sole 10 which is horizontal or inclined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ground state of the corresponding point, thereby displaying the elevation and the slope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이때,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는 유연성 튜브(A) 내에 바닥창(10)과 대비되는 색상을 갖는 컬러 액상물(B)을 주입하여 골퍼가 육안으로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를 더욱 용이하게 관측할 수 있게 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At this time, the X-direction leveler 30 and the Y-direction leveler 40 injects the color liquid (B) having a color contrasting with the sole 10 in the flexible tube (A) by the golfer visually X ( 30) and the Y-direction level 40 can be observed more easily.

아울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의 단면은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 볼록한 형태, 경사진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평면 형태 역시 다양한 형태로 형성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 the cross-sections of the X-direction leveler 30 and the Y-direction leveler 4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concave shape, convex shape, and inclined shape inward, and the planar shape may also be various. It will be possible to form in the form.

또한, Y방향 수준기(40)는 신발(1)의 옆부분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Y방향 수준기(40)는 신발(1)을 기준으로 안쪽의 옆부분과 바깥쪽의 옆부분에 각각 설치하거나, 신발(1)을 기준으로 안쪽의 옆부분 또는 바깥쪽의 옆부분 중 어느 한 쪽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Y-direction spirit level 4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hoe (1). At this time, the Y-level level 40 i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respectively, based on the shoe (1), or the inner side or the outer side of the side of the shoe (1) It can optionally be installed on either side.

<실시예 2> X방향 수준기와 Y방향 수준기가 탈착되게 한 신발<Example 2> Shoes in which the X-direction spirit level and the Y-direction spirit level were detached

도 9a에는 신발(1)의 앞부분 쪽 바닥창(10)의 측벽면에 X방향 수준기(30)가 설치되고, 신발(1)의 옆부분 쪽 바닥창(10)의 측벽면에 Y방향 수준기(40)가 설치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때, 바닥창(10)에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가 설치되면, 그 바닥창(10)과 갑피(20)를 서로 접합시켜서 신발(1)을 완성하거나, 바닥창(10)과 갑피(20)를 서로 접합시켜서 신발(1)을 완성한 상태에서 바닥창(10)에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를 설치하게 된다.9A, the X-direction leveler 30 is installed on the sidewall surface of the front sole 10 of the shoe 1, and the Y-direction leveler 30 is mounted on the sidewall surface of the side sole 10 of the shoe 1. It is illustrated that 40 is installed. At this time, when the X-direction leveler 30 and the Y-direction leveler 40 is installed on the sole 10, the sole 10 and the upper 20 are bonded to each other to complete the shoe 1, or the sole The 10 and the upper 20 are bonded to each other to install the X-direction spirit level 30 and the Y-direction spirit level 40 in the sole 10 in the state of completing the shoe (1).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의 구성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다양한 수준기를 설치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X-direction leveler 30 and the Y-direction leveler 40 can be installed a variety of levels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를 바닥창(10)에 탈부착하는 방법은 간단한 구조의 볼트나 피스, 밸크로테이프, 단추, 끈 등을 적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The method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X-direction leveler 30 and the Y-direction leveler 40 to the sole 10 can be installed by applying a bolt or piece, a Velcro tape, a button, a string, etc. of a simple structure.

또는,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의 일측에 볼트체를 일체로 형성하여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 고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bolt body may be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X-direction leveler 30 and the Y-direction leveler 40 so as to be fixed without a separate connecting member.

그런데, 이처럼 바닥창(10)의 측벽면에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를 설치할 경우 워킹이나 러닝 중에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가 지면과 충돌하거나 장애물과 부딪혀 파손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However, when the X-direction leveler 30 and the Y-direction leveler 40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sole 10 as described above, the X-direction leveler 30 and the Y-direction leveler 40 collide with the ground during walking or running. It is not possible to completely rule out the possibility of breaking into an obstacle.

이러한 위험성을 다소 해소하고자 한 것으로 도 9b에는 신발(1)의 앞부분 쪽 바닥창(10)의 상면에 X방향 수준기(30)가 설치되고, 신발(1)의 옆부분 쪽 바닥창(10)의 상면에 Y방향 수준기(40)가 설치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In order to alleviate this risk somewhat, FIG. 9B is provided with an X-direction spirit level 3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sole 10 of the shoe 1, and the side sole 10 of the shoe 1 is provided. It is illustrated that the Y-direction leveler 4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이때,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를 바닥창(10)에 탈착시키기 위해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볼트, 피스, 단추, 밸크로테이프, 끈,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와 일체화된 볼트체 등 다양한 구성요소를 이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o detach the X-direction leveler 30 and the Y-direction leveler 40 to the sole 10, bolts, pieces, buttons, velcro tape, string, X-direction leveler 30 and Y-direction Various components such as a bolt body integrated with the level 40 may be used.

이처럼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를 바닥창(10)에 탈착하도록 구성함으로 인해 일반 신발에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를 자유롭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Since the X-direction spirit level 30 and the Y-direction spirit level 40 is configured to be detached from the sole 10, the X-direction spirit level 30 and the Y-direction spirit level 40 can be freely attached to general shoes.

즉, 신발(1)을 착용한 때에는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를 바닥창(10)에 부착하여 지면에 대한 전후좌우 방향의 고저, 경사도를 측정할 수 있고, 신발(1)을 벗은 때에는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를 바닥창(10)에서 분리시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shoes 1 are worn, the X-direction spirit level 30 and the Y-direction spirit level 40 may be attached to the sole 10 to measure the elevation and the inclination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the shoes ( 1) When taken off, the X-direction leveler 30 and the Y-direction leveler 40 can be safely separated from the sole 10.

<실시예 3> X방향 수준기와 Y방향 수준기의 기울기가 조절되게 한 신발<Example 3> Shoes in which the inclination of the X-direction spirit level and the Y-direction spirit level was adjusted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바닥창(10)이 사용상의 변형, 온도 변화에 의한 변형이 발생할 경우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의 기포(C)가 정 중앙에 위치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한다.When the outsole 10 made of synthetic resin is deformed due to deformation in use and temperature change, bubbles (C) of the X-direction leveler 30 and the Y-direction leveler 40 may not be located at the center. do.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 10a 내지 도 11b에는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신발의 단면 예가 도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FIGS. 10A to 11B illustrate cross-sectional examples of shoes that can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X-direction spirit level 30 and the Y-direction spirit level 40.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의 구성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다양한 수준기를 설치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X-direction leveler 30 and the Y-direction leveler 40 can be installed a variety of levels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도면을 보면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는 양측에 볼트체가 설치되어 있고, 바닥창(10)에 이 볼트체가 삽입되는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In the figure, it can be seen that the X-direction leveler 30 and the Y-direction leveler 40 are provided with bolts on both sides, and bolt holes into which the bolt body is inserted are formed in the bottom window 10.

이러한 구성은 일측 또는 타측 볼트의 조임에 따라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의 일측 또는 타측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된 것이다.This configuration is to raise or lower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X-direction leveler 30 and the Y-direction leveler 40 according to the tightening of one side or the other side bolt.

즉, 사용자가 신발을 평평한 바닥에 내려놓은 상태에서 기포(C)가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의 정중앙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에, 일측 또는 타측의 볼트체를 조절함으로써 기포(C)를 정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user puts the shoe on a flat floor and the bubble C is not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X-direction leveler 30 and the Y-direction leveler 40, the bubble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bolt body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C) can be located in the center.

또,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X방향 수준기(30) 또는 Y방향 수준기(40) 일측을 감아 링 형태로 구성하고, 내측에 볼트체가 이동가능하도록 홀을 형성하여 볼트체의 이동에 따라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된 기울기조절수단(11)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12A and 12B, one side of the X-direction leveler 30 or the Y-direction leveler 40 is wound in a ring shape, and a hole is formed inside the bolt body to move the bolt body. An example of inclination adjustment means 11 adapted to adjust the inclination is shown.

이처럼 기울기조절수단(11)을 이용하여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하는 구성은 도시된 볼트체 외에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높이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할 것이다.As such, the configuration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X-direction leveler 30 and the Y-direction leveler 40 using the inclination adjustment means 11 can be applied using various height adjustment devices known in addition to the illustrated bolt body. something to do.

아울러, 실시예 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볼트체 등의 탈착 수단을 기울기 조절을 위한 수단으로 적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In addition, as described in Example 2, it may be carried out by applying a detachment means such as a bolt body as a means for adjusting the tilt.

<실시예 4> X방향 수준기와 Y방향 수준기를 바닥창 테두리에 설치한 신발<Example 4> Shoes in which the X-direction spirit level and the Y-direction spirit level are installed in the edge of the outsole

도 14는 신발(1)의 바닥창(10) 상면 둘레에 바닥창 테두리(10a)를 갖게 하되, 신발(1)의 앞부분 쪽 바닥창 테두리(10a)에 X방향 수준기(30)를 설치하고, 신발(1)의 옆부분 쪽 바닥창 테두리(10a)에 Y방향 수준기(40)를 설치한 것이 예시되어 있다.14 shows the sole 10a a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sole 10 of the shoe 1, but installs the X-direction leveler 30 on the front sole 10a of the shoe 1, It is illustrated that the Y-level spirit level 40 is installed at the side sole edge 10a of the shoe 1.

이때, 바닥창 테두리(10a)와 바닥창(10)의 결합은 본딩, 볼팅, 박음질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In this case, the coupling of the sole 10a and the sole 10 may be performed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bonding, bolting, and stitching.

이와 같은 실시예는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이 매립 설치된 상태의 바닥창 테두리(10a)를 바닥창(10)의 상면 둘레에 부착함으로써, 신발(1)에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를 보다 간편히 설치할 수 있게 된다.Such an embodiment is attached to the shoe sole 1 in the X-direction spirit level by attaching the sole frame 10a a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sole 10 when the X-direction spirit level 30 and the Y-direction spirit level 40 are embedded. 30 and the Y-direction leveler 40 can be more easily install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준기가 구비된 신발은 골프용 신발에 적용된 것으로만 예시되어 있다.Shoes provided with a spirit level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only illustrated as being applied to golf shoes.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을 건축이나 토목 기술자들이 공사 현장에서 착용하는 작업용 신발에 적용하면, 공사 현장과 같이 수시로 지면의 상태 검측을 수행하게 되는 장소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work shoes worn by construction or civil engineers at construction sites, it can be usefully used in places where the condition of the ground is frequently performed, such as construction sites.

삭제delete

또, 본 발명을 등산 및 야외용 신발에 적용하면, 산이나 야외에서 주변 환경에 맞추어 안전하고 편리하게 산행이나 야외활동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mountain climbing and outdoor shoes, it is possible to safely and conveniently hiking or outdoor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the mountains or outdoors.

또한, 본 발명을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하면, 오다리나 안장다리, 발목이 꺾인 채 보행하는 사람과 같이 발 디디는 상태가 불안정한 사람 또는 모델 등의 보행자세를 교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shoes or sneakers,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gait of people or models whose feet are unstable, such as those who walk with their legs, saddles, and ankles bent.

삭제delete

이상과 같이 X방향 수준기와 Y방향 수준기가 구비된 신발은 골프용 신발, 등산용 및 야외용 신발, 구두, 운동화 등에 적용하여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shoes provided with the X-direction spirit level and the Y-direction spirit level may be usefully applied to golf shoes, mountaineering and outdoor shoes, shoes, sneakers, and the like, and may have high industrial applicability.

삭제delete

도 1은 종래 신발의 일측면도.1 is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shoe.

도 2는 또다른 종래 신발의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another conventional shoe.

도 3a 및 도 3b는 또 다른 종래 신발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Figures 3a and 3b is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other conventional shoe.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1의 신발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1의 신발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ho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는 실시예1의 신발을 나타낸 부분 평면도.6A and 6B are partial plan views showing the shoes of Example 1;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 신발의 X방향 수준기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Figure 7a and 7b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X-direction spirit level of th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 신발의 Y방향 수준기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8a and 8b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Y-direction spirit level of th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 실시예2의 신발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9a and Figure 9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 실시예3의 신발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Figure 10a and Figure 10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ho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서 X방향 수준기 및 Y방향 수준기에 기울기조절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Figure 11a and Figure 11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clination adjustment means are installed in the X-direction leveler and Y-direction level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서 또다른 형태의 기울기조절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및 사시도.12a and 12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other form of inclination adjusting means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서 수준기의 단면 형태의 예를 나타낸 개략도.Figure 1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pirit level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4의 신발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0 : 바닥창 10a : 바닥창 테두리10: sole 10a: sole border

11 : 기울기조절수단 20 : 갑피11: tilt control means 20: upper

21 : 개구부 22 : 끼움구멍21: opening 22: fitting hole

23 : 끈 30 : X방향 수준기23: string 30: X-direction level

40 : Y방향 수준기 A : 유연성 튜브40: Y-direction spirit level A: Flexible tube

A1 : 수평표시용 눈금 A2 : 경사표시용 눈금A1: Scale for horizontal display A2: Scale for tilt display

B : 액상물 C : 기포B: Liquid C: Bubble

Claims (5)

하부의 바닥창(10)과 상부의 갑피(20)로 구성되며, 지면의 고저, 경사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준기를 구비한 신발(1)에 있어서,In the shoe (1) consisting of a lower sole 10 and the upper upper 20, provided with a level so as to check the elevation, the slope of the ground, 상기 신발(1)의 앞부분에 X방향 수준기(30)를 설치하고, 상기 신발(1)의 옆부분에 Y방향 수준기(40)를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가 구비된 신발.Shoes provided with a spirit level, characterized in that by installing the X-direction spirit level (30) in the front of the shoe (1), the Y-direction spirit level (40) on the side of the shoe (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X방향 수준기(30)는 신발(1)의 앞부분 쪽 바닥창(10) 또는 갑피(20)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기 Y방향 수준기(40)는 신발(1)의 옆부분 쪽 바닥창(10) 또는 갑피(20)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고정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가 구비된 신발.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X-direction spirit level 30 is installed to be integrally fixed to any one of the front sole 10 or upper 20 of the shoe (1), the Y-direction spirit level 40 Shoes having a spirit leve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is fixed to any one of the side sole 10 or upper 20 of the shoe (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X방향 수준기(30)는 신발(1)의 앞부분 쪽 바닥창(10) 또는 갑피(20) 중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Y방향 수준기(40)는 신발(1)의 옆부분 쪽 바닥창(10) 또는 갑피(20) 중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가 구비된 신발.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X-direction spirit level 30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to any one of the front sole 10 or upper 20 of the shoe (1), the Y-direction spirit level 40 is a shoe Shoes provided with a spirit leve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to any one of the side outsole (10) or upper (20) of the side. 하부의 바닥창(10)과 상부의 갑피(20)로 구성되며, 지면의 고저, 경사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준기를 구비한 신발(1)에 있어서,In the shoe (1) consisting of a lower sole 10 and the upper upper 20, provided with a level so as to check the elevation, the slope of the ground, 상기 신발(1)의 바닥창(10) 상면 둘레에 바닥창 테두리(10a)를 갖게 하되, 상기 신발(1)의 앞부분 쪽 바닥창 테두리(10a)에 X방향 수준기(30)를 설치하고, 상기 신발(1)의 옆부분 쪽 바닥창 테두리(10a)에 Y방향 수준기(40)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가 구비된 신발.Have a sole 10a around the top surface of the sole 10 of the shoe 1, install an X-direction leveler 30 on the front sole 10a of the shoe 1, and Shoes provided with a spirit level, characterized in that the Y-level spirit level 40 is installed on the side sole side border (10a) of the shoe (1).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X방향 수준기(30)와 Y방향 수준기(40)는 기울기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울기조절수단(1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기가 구비된 신발.[5] The leveler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rein the X-direction leveler 30 and the Y-direction leveler 40 are provided with a tilt adjusting means 11 to enable the adjustment of the tilt. shoes.
KR1020070118689A 2007-11-20 2007-11-20 Shoes with leveling instrument KR1009351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689A KR100935132B1 (en) 2007-11-20 2007-11-20 Shoes with leveling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689A KR100935132B1 (en) 2007-11-20 2007-11-20 Shoes with leveling instru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131A KR20090052131A (en) 2009-05-25
KR100935132B1 true KR100935132B1 (en) 2010-01-06

Family

ID=40860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689A KR100935132B1 (en) 2007-11-20 2007-11-20 Shoes with leveling instru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513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007B1 (en) 2009-08-17 2011-07-13 윤지혜 Shoes level
KR101224549B1 (en) * 2009-09-08 2013-01-24 윤지혜 Shoe level and its installation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6Y1 (en) * 2000-05-17 2000-10-16 송문호 Golf shoes installed with levleing instrument
JP2005296114A (en) * 2004-04-07 2005-10-27 Csk Plan:Kk Shoe with level gau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6Y1 (en) * 2000-05-17 2000-10-16 송문호 Golf shoes installed with levleing instrument
JP2005296114A (en) * 2004-04-07 2005-10-27 Csk Plan:Kk Shoe with level gau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131A (en) 200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5131B1 (en) Golf-shoes with leveling instrument
JP5341255B2 (en) Footwear level
JP7033104B2 (en) Customized footwear and how to design and manufacture it
JP6129141B2 (en) Competition or other athletic ability sensing system
KR20170129067A (en) Patterned three-dimensionally molded footwea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7226984B2 (en) Outsoles, golf training shoes, and balance correction equipment
KR100935132B1 (en) Shoes with leveling instrument
CN110573075A (en) Walking teaching system and walking teaching method
ITPD980271A1 (en) DEVICE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MOVEMENT WITH FOOTWEAR FOR THE PRACTICE OF TENNIS OR SIMILAR SPORTS.
KR100595895B1 (en) Golf shoes
PT2078467E (en) Shoe system, preferably for producing a complete shoe with a heel continued by a heel lift and shoe composed of same, particularly ladies shoe
WO2016037879A1 (en) Size-adjustable sensor shoes
KR101224549B1 (en) Shoe level and its installation method
JP2008220795A (en) Insole for sport shoe
KR101153561B1 (en) Golf-shoes with leveling instrument
KR100533707B1 (en) outsole of golf shoes
KR960014889B1 (en) Sole
KR200441327Y1 (en) Masai shoes with groove on sole
ES2886897T3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shoe, in particular a sports shoe
KR101345151B1 (en) Golf shoes with support rubber for helping golf swing
KR20160024327A (en) shoe
KR200366707Y1 (en) Hobnail for golf shoes
KR20120006715U (en) Shoes impact absorption pad
JP2018187114A (en) Foot contact part structure and footwear
KR20060057547A (en) Cover of shoes and trou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