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026B1 -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 유리수 측정 및 제거방법 및 그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 유리수 측정 및 제거방법 및 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026B1
KR100934026B1 KR1020070136285A KR20070136285A KR100934026B1 KR 100934026 B1 KR100934026 B1 KR 100934026B1 KR 1020070136285 A KR1020070136285 A KR 1020070136285A KR 20070136285 A KR20070136285 A KR 20070136285A KR 100934026 B1 KR100934026 B1 KR 100934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e water
package
radioactive waste
circulating air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8601A (ko
Inventor
임성팔
이호진
안병길
정환성
안국훈
임인철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36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026B1/ko
Publication of KR20090068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8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 G21F9/06Processing
    • G21F9/12Processing by absorption; by adsorption; by ion-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내 유리수 측정 및 제거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를 순환한 공기의 상대습도를 측정함으로써 포장물 내의 유리수 유무를 판단하고 그 후, 상기 공기에서 응축 및 흡착에 의하여 유리수를 제거하고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의 유리수 존재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고, 그 양을 과학적으로 제거 및 정량할 수 있으므로,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에서 방사성폐기물 포장물의 건전성을 판단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유리수, 상대습도, 노점, 응축기, 흡착탑

Description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 유리수 측정 및 제거방법 및 그 장치{A method and the equipment for measuring and removing free water in the radioactive waste package}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 연구용 원자로, 원자력 연구시설 및 동위원소 사용시설 등에서 발생하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포장물의 건전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의 유리수를 측정하고 제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 연구용 원자로, 원자력 연구기관, 동위원소 사용 시설에서는 필연적으로 많은 양의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이 발생한다.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은 주로 액체 또는 고체 형태로 발생한다. 쉽게 분산이 가능한 액체나 폐수지 등은 분산이 가능하지 않은 상태 즉 고화(또는 고형)체로 만들어야만 최종 처분이 가능하다. 고화체는 방사성 폐수 또는 액체 상태의 방사성폐기물이나 폐수지 등에 적합한 고화매질을 넣어 일정한 모양과 기계적 강도를 갖도록 제조한 물질이다. 고체 폐기물 또는 고화체는 드럼 또는 적합한 용기에 넣어져 포장물로서 최종 처분하게 된다. 이때 포장물이란 처분을 위한 폐기물을 담고 있는 용기와 그 안에 들어 있는 폐기물을 포함한 내용물 전체를 말한다.
상기 포장물은 최종 처분을 위하여 법이나 처분장이 자체적으로 정한 인도 또는 수용 기준을 만족하는 특정 성질을 갖추어야만 한다. 처분장을 갖추고 있는 선진 각국의 경우는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이를 법적으로 명시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과학기술부고시 제2005-18호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인도규정”에서 처분요건에 따라 폐기물이 갖추어야 하는 특성 등을 규정하고 있다. 이 가운데 “제3장 포장물의 구조적 안전성” 조항을 살펴보면 포장물의 구조적 안전성의 조건으로 “제13조 유리수” 항목이 있는데, 여기서 “포장물 내의 유리수는 최대한 제한되어야 하며, 폐기물 부피의 0.5%를 초과해서는 아니 된다. 다만, 고건전성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폐기물 부피의 1% 이상 초과해서는 아니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에도 10 CFR 61에는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의 유리수(free standing water)의 양을 용기 부피의 0.5% 이내로 제한하는 규정이 있다.
폐기물 포장물 내의 유리수를 측정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포장물을 개봉하고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포장물 하부에 구멍을 내고 중력에 의하여 흘러나오는 유리수의 무게나 부피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의 경우, 유 리수의 육안 측정은 개인차가 심할 뿐 아니라 육안으로는 포장물 내의 유리수를 확인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일일이 포장물을 개봉하여야하는 불편이 따른다. 또한 포장물 하부에 구멍을 내고 중력에 의하여 흘러나오는 유리수의 무게나 부피를 측정하는 방법 역시 포장물 내의 폐기물의 성상, 적재 상태에 따라 유리수가 용이하게 흘러나오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정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미국 EPRI(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1991년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의 유리수를 비파괴적인 방법으로 측정하기 위한 잠재적인 기술을 조사한 바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방법, 초음파 방법, 중성자-감마선 역회절법 등을 잠재적인 개발 가능성이 있는 기술로 제시하였으나 각 기술이 가지고 있는 제약, 여러 가지 기술적 문제점 및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아직까지도 신뢰성 있는 유리수 측정 기술은 개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방사성폐기물 포장물의 건전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과학적으로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의 유리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정량 및 제거하는 방법을 연구하던 중, 상기 포장물 내로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공기의 상대습도 및 노점으로부터 상기 포장물 내의 유리수 존부를 판단하고, 상기 공기에서 유리수를 응축 및 흡착하여 유리수를 제거 및 정량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의 유리수 존부를 측정하고, 이를 제거 및 정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를 순환한 공기의 상대습도 및 노점을 측정하고 상기 공기에서 응축 및 흡착을 통하여 유리수를 제거 및 정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하여 공기순환펌프, 습도측정기, 응축기 및 흡착탑을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사성폐기물 포장물을 개방하지 않고 포장물 내의 유리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유리수를 과학적으로 제거 및 정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리수 측정 및 제거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포장물의 건전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온도를 항온조에 의하여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단계(단계 1);
상기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 포장물 내의 공기를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순환시키는 단계(단계 2);
상기 공기순환펌프에 의하여 순환된 공기의 상대습도 및 노점을 측정하여 상기 포장물 내의 유리수의 존재를 판단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단계 3에서 측정된 순환공기의 상대습도에 따라, 순환공기를 상기 포장물 내로 재순환시키거나, 상기 순환공기를 응축 및 흡착시켜 유리수를 제거 및 정량하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 유리수 제거 및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 1은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단계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포장물 내의 상대습도 및 노점 측정을 위하여 항온조에 의하여 상기 포장물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1에 있어서, 상기 항온조의 온도는 특정온도로 특정될 필요는 없으나, 이후 단계에서 상대습도 및 노점을 측정하기 위하여 적어도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 2는 본 발명의 장치와 유로를 통하여 연결된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의 공기를 공기순환펌프를 통하여 순환시키는 단계로, 하기 단계 4와 같은 조건 하에 순환공기의 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공기를 상기 포장물 내로 재순환시키거나 응축기 및 흡착탑으로 유동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 3은 상기 포장물 내의 유리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계 1에서 항온조에 의하여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 포장물 내 공기를 공기순환펌프에 의하여 순환시키면서 습도측정기로 상대습도 및 노점을 측정하여 유리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대습도 측정을 통하여 상기 공기의 상대습도가 100% 미만일 경우, 이는 항온조에 의하여 설정된 온도에서 상기 포장물 내부에 유리수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하고 함께 측정된 노점에 의하여 특정 온도에서 유리수가 존재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상대습도 측정을 통하여 상기 공기의 상대습도가 100%일 경우, 이는 항온조 에 의하여 설정된 온도에서 상기 포장물 내부에 유리수가 존재함을 의미하고, 이를 통하여 종래의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포장물 내부의 유리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 4는 상기 공기를 상기 포장물 내로 재순환하거나, 상기 포장물 내 유리수를 제거 및 정량하는 단계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계 3에서 습도측정기로 순환공기의 상대습도를 측정하여, 상기 상대습도가 100% 미만이면 상기 공기를 상기 포장물 내로 재순환시키고, 100%일 경우, 상기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기 및 흡착탑을 통하여 제거하고 이를 정량하는 단계이다.
상기 상대습도가 100%일 경우, 포장물 내부의 포화공기는 응축기(500)와 흡착탑(600)을 통과하면서 제거되고 건조된 공기는 포장물 내로 들어가 유리수에 의하여 포화된 후 다시 응축기(500)와 흡착탑(600)으로 순환되면서 포장물 내의 유리수를 연속으로 제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항온조(100)의 온도를 상승시키면 순환공기의 포화수증기량이 증가하여 유리수 제거에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 단계 4에서, 순환공기의 유리수를 응축기 및 흡착탑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상기 제거된 수분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종래의 중력에 의하여 유리수를 제거하는 방법보다 용이하고, 과학적이며 더욱 효율적으로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의 유리수를 제거 및 정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3의 순환을 반복한 후, 습도측정 기(400)에 의하여 유리수가 제거되었다고 판단되면, 응축기(500)에 의하여 제거된 수분의 양과 흡착탑에 흡착된 수분의 무게를 측정하여 포장물 내 유리수의 함량을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의 유리수 측정 및 제거를 위하여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의 공기를 포장물 일면에 연결된 유로를 통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공기순환펌프;
상기 공기순환펌프로부터 유로를 통하여 유동하는 순환공기의 상대습도 및 노점을 측정하기 위한 습도측정기;
상기 습도측정기에 의하여 상대습도가 측정된 순환공기의 유동 방향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밸브 1;
상기 밸브 1에 의하여 유동방향이 제어된 유리수를 포함하는 순환공기로부터 유리수를 제거하기 위한 응축기;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공기로부터 여분의 유리수를 흡착시키기 위한 흡착탑; 및
상기 흡착탑을 통과한 공기가 포장물 내부로 회귀하는 유로 상에 구비되는 밸브 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 유리수 측정 및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 유리수 측정 및 제거장 치의 개락도로서 상기 장치는 항온조(100) 내부에 방사성폐기물 포장물이 위치하고, 항온조(100) 상단에는 상기 포장물 상단에 구멍을 뚫는 천공기(200)가 구비된다. 상기 포장물과 유로를 통하여 연결된 공기순환펌프(300)와 상기 공기순환펌프(300)와 유로를 통하여 연결되는 밸브 1(350)이 구비되고, 상기 공기순환펌프(300) 및 밸브 1(350)을 연결하는 유로 중간에 유로를 통하여 연결되는 습도측정기(400)가 구비된다. 밸브 1(350)은 상기 습도측정기(400)에 의하여 측정되는 상대습도 및 노점에 따라 순환공기의 유동방향을 포장물 내로 또는 응축기(500)로 유동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밸브 1(350)과 유로를 통하여 연결되는 응축기(500) 및 상기 응축기(500)와 유로를 통하여 연결되는 흡착탑(600)이 구비된다. 상기 흡착탑(600)에서 뻗어나오는 유로는 밸브 2(360)과 연결되며 상기 밸브 2는 밸브 1(350)과 마찬가지로 순환공기의 유동방향을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 유리수 측정 및 제거장치의 작동과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의 공기는 유로를 통하여 연결된 공기순환펌프(300)에 의하여 습도측정기(400)로 유동한다. 상기 습도측정기(400)를 통하여 측정된 순환공기는 측정된 상대습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2가지 경로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 유리수 측정 및 제거장치 내에서 순환된다.
먼저 도 2는 순환공기의 상대습도가 100% 미만일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 유리수 측정 및 제거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다. 상대습도가 100% 미만일 경우, 상기 공기가 응축기(500) 및 흡착탑(600)을 거치지 않고 상기 포장물로 재순환되도록 밸브 1(350)을 조절하여 상기 응축기(500) 및 흡착탑(600) 방향의 유로를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밸브 1(350)의 포장물 방향 유로를 개방하고, 방사성폐기물 내로 재순환되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밸브 2(360)를 폐쇄한다.
도 3은 순환공기의 상대습도가 100%일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 유리수 측정 및 제거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다. 상대습도가 100%일 경우 상기 밸브 1(350)을 조절하여 상기 응축기(500) 및 흡착탑(600) 방향의 유로를 개방함과 동시에, 밸브 1(350)의 포장물 방향의 유로를 폐쇄한다. 상기 방법으로 상기 순환공기가 응축기(500) 및 흡착탑(600)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공기 내의 수분을 제거 및 정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응축 및 흡착이 완료된 공기는 밸브 2(360)를 개방하여 다시 유로를 통하여 상기 포장물 내부로 유동되도록 한다.
상기 응축기(500)는 습도측정기(400)를 통과한 포장물 내의 공기 중 유리수를 냉각수 또는 냉각용 용매에 의하여 응축시켜 회수하며 상기 공기 중 수분을 건조공기 1 L당 5 mg까지 제거할 수 있으나, 이는 흡착탑의 성능에 의존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흡착탑(600)은 상기 응축기(500)와 유로를 통하여 연 결되어 있으며, 수분 흡착제가 충전되어 있다. 상기 수분 흡착제로는 실리카겔,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계열의 제올라이트계 몰리큘라 시이브(molecular sieve), 알루미나 또는 무수황산칼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중 수분을 건조공기 1 L당 0.1 mg까지 제거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1. 유리수 유무의 판단
모의 포장물로서 5 L 철제 용기에 하기의 표와 같이 유리수를 각각 넣고 마개를 닫은 후 시료채취용 구멍을 천공하고 도 1과 같이 연결하였다. 용기를 항온조(100)에 넣고 25 ℃로 유지하였다. 용기 내의 온도가 25 ℃에 도달하여 일정하게 유지된 후, 도 2와 같이, 유량 1 L/min인 공기순환펌프(300)와 밸브(350) 및 밸브(360)을 사용하여 상기 용기 내의 공기를 습도측정기로 통과시킨 후 다시 용기 내로 순환시켰다. 상기의 순환을 5 분간 지속시킨 후 상대습도 및 노점을 측정하였고 상기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대습도 및 노점 측정의 결과
용기 내 주입 수분량 (g) 상대습도 (%) 노점 (℃)
- 45 11.5
0.02 62 16.8
0.05 88 22.8
0.06 98 24.5
0.08 100 27.4
0.1 100 30.0
0.5 100 56.3
1 100 71.6
2 100 89.2
상기 측정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용기 내부에 0.08 g 이상의 수분을 주입할 경우 상대습도가 100%가 되며 이때 증발되지 않고 용기 내부에 남아있는 유리수가 육안으로도 관찰되었다. 0.08 g 미만의 수분을 주입할 경우 상대습도가 100% 미만이었고 이 경우 용기 내부에 유리수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실시예와 관련하여 미국 10 CFR 61에서 규정하고 있는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 유리수 기준(용기 부피의 0.5%)을 적용하면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기(5 L)에 허용되는 유리수량은 25 g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약 0.02 g의 유리수 즉, 허용기준의 약 0.1%가 존재하여도 온도 몇 도에서 유리수가 존재할 수 있는지 예측이 가능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포장 용기 기준이 아닌 용기 내 폐기물 기준이기 때문에 용기 안의 폐기물 부피에 따라 허용 유리수량이 결정되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용기 안에 폐기물을 약 80% 정도 채우기 때문에 우리나라 기준을 적용하더라도 허용 유리수량의 약 0.2% 이상 존재하는 유리수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용이하게 확인이 가능하다.
2. 유리수의 제거 및 정량
상기 단계의 상대습도 측정에 의하여 용기 내에 유리수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이하의 방법으로 유리수를 제거하고 정량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유리수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5 L 부피의 모의 포장물에 대하여 도 3과 같이 장치의 공기 유동이 용기-공기순환펌프-습도측정기-응축기-흡착탑-용기 순으로 순환되도록 밸브(350) 및 밸브(360)를 조작하였다. 항온조(100)의 온도를 80 ℃로 유지하면서 유량 1 L/min인 공기순환펌프(300)을 사용하여 용기 내의 공기를 순환시켰다. 일정 시간 경과 후 순환공기가 15 ℃로 냉각되는 응축기(500)에서 회수된 수분의 양과 제올라이트계 몰리큘라 시이브(molecular sieve) 20 g이 충전된 흡착탑(600)에 흡착된 수분의 양을 합하여 용기 내 유리수의 양과 비교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유리수 측정 결과
용기 내 유리수량 (g) 응축기 회수량 (g) 흡착탑 회수량 (g) 전체 회수량 (g) 회수율 (%)
1.02 0.69 0.27 0.96 94
2.06 1.63 0.39 2.02 98
10.1 9.50 0.49 9.99 99
25.1 23.8 1.1 24.9 99
50.2 47.6 2.1 49.7 99
상기 표 2에서 전체 회수량은 응축기 회수량 및 흡착탑 회수량을 합한 값이며, 회수율은 전체 회수율을 용기 내 유리수량으로 나눈 값의 백분율 값이다.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용기 내 유리수의 양이 1 g 정도로 극히 적을 경우, 응축기에서 회수되는 양을 측정함에 있어 오차가 발생할 수 있어 회수율이 94% 정도로 약간 낮게 나타났지만, 용기 내 유리수의 양이 2 g 이상일 경우, 회수율이 98% 이상으로 유리수 제거 효율이 높고, 포장물 내 유리수량을 정확히 정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국 및 우리나라에서 요구하는 한계 유리수량(5 L 포장물의 경우 각각 약 25 g 및 약 20 g) 이상의 유리수를 포함하는 방사성폐기물 포장물에서 유리수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 유리수 측정 및 제거를 위한 장치의 전체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포장물 내 유리수 존재여부 판단을 위한 공기의 유동방향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포장물 내부에 유리수가 존재함을 확인한 후 상기 유리수를 제거 및 정량하기 위한 공기의 유동방향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항온조
200 : 천공기
300 : 공기순환펌프
350 : 밸브 1, 360 : 밸브 2
400 : 습도측정기
500 : 응축기
600 : 흡착탑

Claims (8)

  1.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온도를 항온조에 의하여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단계(단계 1);
    상기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 포장물 내의 공기를 공기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순환시키는 단계(단계 2);
    상기 공기순환펌프에 의하여 순환된 공기의 상대습도 및 노점을 측정하여 상기 포장물 내의 유리수의 존재를 판단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단계 3에서 측정된 순환공기의 상대습도에 따라, 순환공기를 상기 포장물 내로 재순환시키거나, 상기 순환공기를 응축 및 흡착시켜 유리수를 제거 및 정량하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 유리수 측정 및 제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는 상대습도측정기에 의하여 상기 순환공기의 상대습도 및 노점을 측정하여, 상기 상대습도가 100%이면 포장물 내에 유리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 유리수 측정 및 제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는 순환공기의 상대습도에 따라 공기의 유동방향을 제어하되, 상대습도가 100%로 측정된 순환공기는 응축 및 흡착시켜 유리수를 제거하고, 상기 제거된 유리수의 무게를 측정하여 상기 포장물 내의 유리수 양을 정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 유리수 측정 및 제거방법.
  4.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의 공기를 포장물 일면에 연결된 유로를 통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공기순환펌프;
    상기 공기순환펌프로부터 유로를 통하여 유동하는 순환공기의 상대습도 및 노점을 측정하기 위한 습도측정기;
    상기 습도측정기에 의하여 상대습도가 측정된 순환공기의 유동 방향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밸브 1;
    상기 밸브 1에 의하여 유동방향이 제어된 유리수를 포함하는 순환공기로부터 유리수를 제거하기 위한 응축기;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공기로부터 여분의 유리수를 흡착시키기 위한 흡착탑; 및
    상기 흡착탑을 통과한 공기가 포장물 내부로 회귀하는 유로 상에 구비되는 밸브 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 유리수 측정 및 제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1은 상기 순환공기의 상대습도가 100% 미만일 경우, 순환공기의 흐름이 포장물 내부로 재순환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 유리수 측정 및 제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물 내부로 순환공기가 재순환되는 경우, 상기 밸브 2는 순환공기가 흡착탑 방향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 유리수 측정 및 제거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1은 상기 순환공기의 상대습도가 100%일 경우, 순환공기가 상기 응축기 방향으로 흐르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 유리수 측정 및 제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공기가 응축기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상기 밸브 2는 흡착탑을 통과한 순환공기가 통과하도록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 유리수 측정 및 제거장치.
KR1020070136285A 2007-12-24 2007-12-24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 유리수 측정 및 제거방법 및 그장치 KR100934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285A KR100934026B1 (ko) 2007-12-24 2007-12-24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 유리수 측정 및 제거방법 및 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285A KR100934026B1 (ko) 2007-12-24 2007-12-24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 유리수 측정 및 제거방법 및 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601A KR20090068601A (ko) 2009-06-29
KR100934026B1 true KR100934026B1 (ko) 2009-12-28

Family

ID=40995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285A KR100934026B1 (ko) 2007-12-24 2007-12-24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 유리수 측정 및 제거방법 및 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0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621A (ko) *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액트알엠티 방사성폐기물드럼의 내부에 대한 저온건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9560A (en) 1977-03-28 1978-10-10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of treating radioactive waste
US4952339A (en) 1985-03-22 1990-08-28 Nuclear Packaging, Inc. Dewatering nuclear wastes
US6070465A (en) 1998-08-24 2000-06-06 Dresser Industries Free water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9560A (en) 1977-03-28 1978-10-10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of treating radioactive waste
US4952339A (en) 1985-03-22 1990-08-28 Nuclear Packaging, Inc. Dewatering nuclear wastes
US6070465A (en) 1998-08-24 2000-06-06 Dresser Industries Free water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621A (ko) *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액트알엠티 방사성폐기물드럼의 내부에 대한 저온건조장치
KR102286810B1 (ko) 2019-12-20 2021-08-06 주식회사 새빛이엔이 방사성폐기물드럼의 내부에 대한 저온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601A (ko) 2009-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87580C (zh) 多相流体测量系统
KR100934026B1 (ko) 방사성폐기물 포장물 내 유리수 측정 및 제거방법 및 그장치
Smith Bench-scale tests and modeling of adsorption of natural organic matter by activated carbon
CN85109072A (zh) 核燃料组件中包壳缺陷检测的方法和装置
US5723093A (en)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sampling and analysis of a liquid effluent
US5301536A (en) Apparatus for obtaining on-line gas samples for the measurement of crude oil content
US5257297A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radioactivity of liquid waste
Wu et al. Thickness swelling of oriented strandboard under long-term cyclic humidity exposure condition
Santagata et al. Modelling and experimental characterization of unsaturated flow in absorbent and swelling porous media
Orozco-López et al. High-resolution pore-scale water content measurement in a translucent soil profile from light transmission
Osei et al. Optimal grit removal and control in collection systems and at treatment plants
CN207263517U (zh) 危废处理氮气保护仓氧分析预处理样气水洗装置
Plana et al. Grit particle characterization: influence of sample pretreatment and sieving method
CN207763993U (zh) 一种原位取样器以及应用其的原位取样装置
PL182280B1 (pl) Nasadzane zamkniecie kolumny oraz sposób przygotowania i przeprowadzania badan kolumnowych na próbkach odwiertu z gruntu PL
KR102658971B1 (ko) 수중 방사능 계측 장치 및 방법
RU58698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расхода газосодержащей жидкости
CN211863914U (zh) 一种可用于腐蚀性蒸汽的饱和装置
KR102242839B1 (ko) 화학사고 후 안정성동위원소 분석을 통한 토양내 화학물질 저감 양상 모니터링을 위한 모의 실험 시스템
KR102265303B1 (ko) 자유용존상 소수성 유기오염물질 흡수장치
Stefani et al. Evaluation of Two Methods for Measuring Radon Flux from Earthen Radon Barriers
Moses et al. Un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of bagasse ash treated foundry sand
Galas et al. Freshwater suspended particles: An intercomparison of long-term integrating sampling systems used for environmental radioactivity monitoring
KR20220131048A (ko) 미세플라스틱 샘플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석 대상물 채취 방법
Murarka Detection Monitoring under the USEPA CCR regulations and Statistical Evaluation of the resulting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