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059B1 -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059B1
KR100933059B1 KR1020090020459A KR20090020459A KR100933059B1 KR 100933059 B1 KR100933059 B1 KR 100933059B1 KR 1020090020459 A KR1020090020459 A KR 1020090020459A KR 20090020459 A KR20090020459 A KR 20090020459A KR 100933059 B1 KR100933059 B1 KR 100933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supply
resistor
output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헌
Original Assignee
김종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헌 filed Critical 김종헌
Priority to KR1020090020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공급장치를 직렬로 배열하고 하나의 전원공급장치에서 에이징 공정이 완료되면, 에이징이 완료된 전원공급장치의 전원이 다음에 배열된 전원공급장치의 전원으로 이용되어 에이징 공정이 이루어지록 하되, 전원공급장치 사이사이에 에너지 절약부를 배치시켜 전원공급장치의 에이징 공정에 따라 손실되는 전원을 보상해 주도록 함으로써 주전원으로부터 한번의 상용전원 인가를 통해 다수개의 전원공급장치들의 에이징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90020459
에이징, 전원공급장치, 상용전원, 에너지, 보상전원

Description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AGING PROCESS SYSTEM FOR ENERGY REDUCTION}
본 발명은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공급장치를 생산하는 산업현장에서 제품의 신뢰성 평가를 위해 제품의 실사용 상태를 약 3시간 유지하는 에이징공정이 필수적인데, 이때 직렬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공급장치 사이 사이에 에너지 절약부를 배치시켜 하나의 전원공급장치가 다른 전원공급장치의 전원으로 이용되게함으로써 에너지의 낭비를 최소되면서 에이징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전원공급장치의 에이징 공정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전원공급장치의 에이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전원공급장치(2)는 상용전원(1)을 주전원으로 입력받아 출력단과 연결된 부하저항(3)에 출력시켜줌으로써 에이징 공정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의 에이징 공정은 전원공급장치(2)에서 부하저항(3)으로 전원이 직접입력됨에 따라 전원의 에너지가 열로 발산하여 상당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원공급장치의 에이징 공정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공급장치를 직렬로 배열하고 전원공급장치 사이 사이에 에너지 절약부를 배치시켜 하나의 전원공급장치가 다른 전원공급장치의 전원으로 이용되게하는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첫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복수개의 전압출력모듈을 내장하고 있으며, 상기 주전원부로부터 상용전원을 인가받아 에이징 공정이 이루어지는 전원공급장치,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공급장치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주전원부에서 최초입력되는 상용전원과 동일한 조건으로 보상하여 다음에 연결된 또다른 전원공급장치에 공급하는 에너지 절약부, 상기 에너지 절약부와 연결되어 전원공급장치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주전원부에서 최초입력되는 상용전원과 동일한 조건으로 보상되도록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 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에 의하면, 직렬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공급장치 사이사이에 에너지 절약부를 배치시켜 하나의 전원공급장치가 다른 전원공급장치의 전원으로 이용되게함으로써 에너지의 손실이 없이 직렬로 연결된 모든 전원공급장치의 에이징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의 블락도 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은 에너지 절약부(100), 중앙 제어부(200), 표시부(300) 및 전원공급장치(400)를 포함한다.
에너지 절약부(100)는 전원공급장치(400) 사이사이에 배열되어, 전원공급장치(400)의 에이징 공정이 완료되어 출력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최초 주전원부(500) 에서 출력되는 상용전원과 동일한 상태의 전원으로 보상한 후 다음에 배열된 전원공급장치(400)로 공급하여 에이징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중앙 제어부(200)는 직렬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너지 절약부(100)와 연결되어, 전류나 전압상태에 대한 모든 정보를 수신하고, 전원공급장치(400)의 에이징 공정에서 발생한 전류와 전압의 손실이 기설정된 전류나 전압상태로 보상되도록 에너지 절약부(100)를 제어한다.
표시부(300)는 중앙 제어부(200)가 에너지 절약부(100)로부터 수신한 전류나 전압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보상된 전류나 전압상태 등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는 복수의 전압출력모듈(410)이 포함된 전원공급장치(400)는 전원을 필요로 하는 전자기기에 내장되며, 인가되는 교류의 상용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직류전원을 전자기기에 인가시킴으로써 전자기기가 구동되도록 하는 전원공급기이다.
또한, 에너지 절약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에너지 절약저항(110)과 상용전원 변환부(120)를 포함하고 있다.
참고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의 전원공급장치(400)와 에너지 절약부(100)의 내부 구성도 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의 에너지 절약부(100)가 포함하는 에너지 절약저항(110) 내부의 상세한 블락도 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장치(400)의 전압출력모듈(410)과 연결된 에너지 절약저항(110)은 전압 검출부(111), 전류 검출부(112), A/D 컨버터(113) D/A 컨버터(114), DC/DC 컨버터(115) 및 보상 전원부(116)를 포함한다.
전압 검출부(111)는 전원공급장치(400)의 전압출력모듈(410)로부터 직류전압을 입력받고, 입력된 직류전압으로부터 전압을 검출한 후, 입력받아던 전압을 후술되는 DC/DC 컨버터(115)로 전달한다.
전류 검출부(112)는 전원공급장치(400)의 전압출력모듈(410)로부터 직류전압을 입력받고, 입력된 직류전압으로부터 전류을 검출한다.
A/D 컨버터(113)는 전압 검출부(111)와 전류 검출부(112)가 검출한 전압과 전류를 전달받아 수치화된 데이터로 분석하고, 분석된 전압과 전류 데이터를 중앙 제어부(200)에 전달한다.
D/A 컨버터(114)는 A/D 컨버터(113)로부터 전달되는 전류 데이터를 중앙 제어부(200)로부터 전달되는 기설정된 전류 데이터와 비교한 후, 출력전압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D/A 컨버터(114)는 A/D 컨버터(113)으로부터 전달되는 전류 데이터와 중앙 제어부(200)로부터 전달되는 기설정된 전류 데이터를 비교하여 에이징 공정을 통해 손실되거나 증폭된 전압을 보상하기 위한 출력전압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주로, 전압이 에이징 공정을 통해 손실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D/A 컨버터(114)는 손실된 전압을 보상하기 위한 출력전압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고 보아야 할것이다.
DC/DC 컨버터(115)는 전압출력모듈(410)로부터 출력되어 전류 검출부(112)를 경유하는 출력전압을 입력받고, 동시에 D/A 컨버터(114)로부터 전달되는 출력전압 제어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때, DC/DC 컨버터(115)는 출력전압 제어신호의 제어를 받아 보상 전원부(116)를 제어함으로써, 설정전류보다 많은 전류가 흐르면 전류전압관계에서 비례관계에 있는 출력전압을 낮추고, 설정전류보다 적은 전류가 흐르면 출력전압을 높여 설정된 전압이 상용전원 변환부(120)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보상 전원부(116)는 DC/DC 컨버터(115)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상용전원 변환부(120)로 출력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출력전압의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에너지 절약저항(110)이 포함하는 전류 검출부(112), DC/DC 컨버터(115) 및 보상 전원부(116)에 대하여 도 7의 회로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전류 검출부, DC/DC 컨버터 및 보상 전원부의 내부회로도 이다.
도 7에 도시된 회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DC 컨버터(115)는 제1 커넥터(CN1), 제1 저항(R1), 제2 저항(R2), 제3 저항(R3), 제4 저항(R4), 제5 저항(R5), 제1 변압기(T1), 제1 다이오드(D1), 제1 커패시터(C1), 제1 트랜지스터(Q1), 제1 펄스폭 변조 부(PWM1) , 브릿지 다이오드(BR) 및 제1 피드백 회로(FB1)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CN1)가 전원공급장치(400)로부터 공급된 직류전압을 인가받으면, 제1 저항(R1)과 제2 저항(R2)은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정밀저항으로서, 인가받 은 직류전압을 전압분배 한다.
상기 제1 저항(R1)과 제2 저항(R2)에 의해 분배된 전압은 포트1(PORT1)을 통해 A/D 컨버터(113)로 전달되고, 분배된 나머지 전압은 브릿지 다이오드(BR)에 전달된다.
브릿지 다이오드(BR)는 제1 커넥터(CN1)에 직류전압이 인가될 때, 전압이 역극성으로 입력될 경우 회로가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직류전압이 제1 변압기(T1)를 경유하여 승압된 후, 제1 트랜지스터(Q1)에 승압된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에서 펄스폭 변조 스위칭이 이루어져 제 1트랜지스터(Q1)에 다시 펄스폭 변조 신호가 입력되면 승압된 전압이 제1 다이오드(D1)를 통과하여 제1 커패시터(C1)에 충전된다.
제 1 커패시터(C1)에 충전된 전압은 오차를 최소화 하는 정밀저항에 해당하는 제4 저항(R4)과 제5 저항(R5)에 의해 분압되어 제1 피드백 회로(FB1)에 입력된다.
제1 피드백 회로(FB1)는 제1 펄스폭 변조부(PWM1)를 제어하여 DC/DC 컨버터(115)에서 출력되는 출력전압을 정전압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출력 전압을 28V로 하려면, 제4 저항(R4)과 제5 저항(R5)은 28V가 DC/DC 컨버터(115)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피드백 전압을 분압하여 인가한다.
한편, 전류 검출부(112)는 제1 집적회로(IC1), 제2 집적회로(IC2), 제6 저항(R6) 및 제 9저항(R9)을 포함하여, 중앙 제어부(200)로부터 설정된 전류값이 포트2(PORT2)에 인가되면 설정된 전류를 유지하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DC/DC 컨버터(115)에 전류가 흐르면, 제3 저항(R3)에 전류가 흐르고 동시에 제3 저항(R3)에 전압이 발생한다.
발생된 전압은 제 1집적회로(IC1)의 `+`단자와 제2 집적회로(IC2)의 `-`단자에 인가되어 중앙 제어부(200)로부터 포트2(PORT2)에 인가되는 설정된 전압과 비교되게 된다.
즉, 제3 저항(R3)에 흐르는 전류가 설정된 전류보다 높으면 제6 저항(R6)을 통하여 제1 피드백 회로(FB1)에 전류가 흘러, DC/DC 컨버터(115)의 출력전압을 낮춘다.
하지만, 제3 저항(R3)에 흐르는 전류가 설정된 전류보다 낮으면 제9 저항(R9)을 통하여 후술되는 보상 전원부(116)에 포함된 제2 피드백 회로(FB2)에 전류가 흘러, DC/DC 컨버터(115)의 출력전압을 높인다.
DC/DC 컨버터(115)는 다음의 전원공급장치(400)의 에이징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전원을 만들기 위하여 전압을 승압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전력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회로가 보상 전원부(116)인데, 보상 전원부(116)는 제2 커넥터(CN2), 제2 변압기(T2), 제2 트랜지스터(Q2), 제4 다이오드(D4), 제2 커패시터(C2), 제7 저항(R7), 제8 저항(R8), 제2 펄스폭 변조부(PWM2) 및 제2 피드백 회로(FB2)를 포함한다.
먼저, 제2 커넥터(CN2)를 통해 직류전압이 보상 전원부(116)에 입력되면, 상기 직류전압은 제2 변압기(T2)를 경유하여 승압된 후, 제2 트랜지스터(Q2)에 승압 된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에서 펄스폭 변조 스위칭이 이루어져 제 2트랜지스터(Q2)에 다시 펄스폭 변조 신호가 입력되어 승압된 전압이 제3 다이오드(D3)를 통과하여 제2 커패시터(C2)에 충전된다.
제2 커패시터(C2)에 충전된 전압은 오차를 최소화 하는 정밀저항인 제7 저항(R7)과 제8 저항(R8)에 의해 분압되어 제2 피드백 회로(FB2)에 입력된다.
제2 피드백 회로(FB2)는 제1 펄스폭 변조부(PWM2)를 제어하여 DC/DC 컨버터(115)에서 출력되는 출력전압을 정전압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DC/DC 컨버터(115)의 제3 저항(R3)에 흐르는 전류가 설정된 전류보다 낮은 경우, 제9 저항(R9)을 통과하여 전류를 함께 전달받게 된다.
제2 피드백 회로(FB2)가 제2 펄스폭 변조부(PWM2)를 제어함으로써 보상 전원부(116)는 DC/DC 컨버터(115)에 부족한 전압을 보상하게 된다.
한편, 상세히 상술한 바와 같이 DC/DC컨버터(115)로부터 출력전압을 전달받은 상용전원 변환부(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압 컨버터(121)와 D/A 인버터(122)를 포함한다.
승압 컨버터(121)는 에너지 절약저항(110)의 최종단에 위치한 DC/DC 컨버터(115)로부터 입력받은 전압을 중앙 제어부(200)에 설정된 기준 데이터에 따라 200V 또는 400V로 승압하여 D/A 인버터(122)에 인가한다.
D/A 인버터(122)는 승압 컨버터(121)에 의해 200V 또는 400V로 승압된 전압을 인가받고 중앙 제어부(200)에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용전원인 AC200V 또는 AC100V의 정현파 전압으로 변환한다.
이때, D/A 인버터(122)는 중앙 제어부(200)의 제어를 받아 100V 또는 200V의 전압을 주파수 50HZ 또는 60HZ를 가진 전압으로 설정하기도 하며, 또는 전원공급장치(400)의 정격에 따라 주파수를 설정한다.
상용전원 변환부(120)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는 상용전원은 다음에 직렬로 연결된 또 다른 전원공급장치(400)에 인가되어 에이징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공급장치(400)의 최종단에는 에너지 절약부(100)가 아닌 부하저항(600)이 연결되어 있는데, 해당 부하저항(600)은 최초 입력된 전원을 마지막으로 입력받아 열 등으로 완전이 소비시킴으로써 에이징 작업을 완료 시킨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공급장치(400)의 최종단에 부하저항(600)대신 에너지 절약부(100)를 추가시키면, 에너지 절약부(100)는 전원공급장치(400)에서 손실되거나 변형된 전원을 최초 주전원부(50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으로 보상하여, 주전원부(500)에 재입력시킴으로써 에이징공정에 사용된 전원이 손실되지 않고 보존되도록 한다.
즉, 에너지 절약부(100)는 에이징 공정에 사용됨에 따라 위상, 주파수, 전압 등, 변형된 전기적 특성을 최초 주전원부(500)에서 입력되는 전기적 특성으로 초기화하여 다시 주전원부(500)에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에이징 공정에 사용된 전원이 버려지지 않고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들로 이루어진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과 종래의 에이징 공정 시스템에 의해서 전원공급장치의 에이징 공정이 이루어질 때 소비되는 전력량을 비교한다.
에이징 공정을 거쳐야할 전원공급장치가 N개 있어 개별로 부하저항를 이용하는 종래의 에이징 공정이 이루어진다면, 전체 사용 전력량은 'N×사용전력×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으로 에이징 공정이 이루어진다면, 전체 사용 전력량은 '전원공급장치 한개의 전력량+(보상전력×N)×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2인치 TV용 전원공급장치의 경우 사용전력이 200W로 가정하고 일일 생산량을 일만대로 가정하면, 종래의 방법으로 에이징 공정을 실시하였을 때, 소비되는 전력량은 200W×10,000×3HR=6,000kWh가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으로 에이징 공정을 실시하였을 때, 직류전압을 승압하거나 상용전원으로 만드는 인버터의 효율이 저하됨으로 인해 약 15%의 낭비가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른 보상전력이 200×0.15=30W 이므로 소비되는 전력량은 200+30×10,000×3=900.2kWh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은 종래와 비교해 전원공급장치의 에이징 공정에 있어 85%의 전력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에이징 공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의 블락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의 또 다른 블락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의 전원공급장치와 에너지 절약부의 상세한 내부 블락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약부의 에너지 절약저항의 상세한 내부 블락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약부의 상용전원 변환부의 상세한 내부 블락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에 포함된 절약저항의 내부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에너지 절약부 200 : 중앙 제어부
300 : 표시부 400 : 전원공급장치
500 : 주전원부 600 : 부하저항
110 : 에너지 절약저항 120 : 상용전원 변환부
410 : 전압출력모듈 111 : 전압 검출부
112 : 전류 검출부 113 : A/D 컨버터
114 : D/A 컨버터 115 : DC/DC 컨버터
116 : 보상 전원부 121 : 승압 컨버터
122 : D/A 인버터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부(500);
    하나 이상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복수개의 전압출력모듈(410)을 내장하고 있으며, 상기 주전원부(500)로부터 상용전원을 인가받아 에이징 공정이 이루어지는 전원공급장치(400);
    직렬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전원공급장치(400)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공급장치(400)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주전원부(500)에서 최초입력되는 상용전원으로 보상하여 다음에 연결된 또다른 전원공급장치(400)에 공급하는 에너지 절약부(100);
    상기 에너지 절약부(100)와 연결되어 전원공급장치(400)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주전원부(500)에서 최초입력되는 상용전원으로 보상되도록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에너지 절약부(100)가
    전원공급장치(400)에서 공급되는 전원에서 전류 및 전압을 검출하여 중앙 제어부에 기설정된 전류 및 전압과 비교하는 전원을 보상하는 에너지 절약저항(110); 및
    상기 에너지 절약저항(110)에서 보상되어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주전원부(500)에서 출력되는 상용전원으로 변환하는 상용전원 변환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지 공정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약저항(110)이
    상기 전원공급장치(400)의 전압출력모듈(410)로부터 직류전압을 입력받고, 입력된 직류전압으로부터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111);
    상기 전원공급장치(400)의 전압출력모듈(410)로부터 직류전압을 입력받고, 입력된 직류전압으로부터 전류을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112);
    상기 전압 검출부(111)와 전류 검출부(112)가 검출한 전압과 전류를 전달받아 수치화된 데이터로 분석하고, 분석된 전압과 전류 데이터를 중앙 제어부(200)에 전달하는 A/D 컨버터(113);
    상기 A/D 컨버터(113)로부터 전달되는 전류 데이터와 중앙 제어부(200)로부 터 전달되는 기설정된 전류 데이터를 비교한 후, 상기 전원공급장치(400)의 에이징 공정을 통해 손실된 전원을 보상하기 위한 출력전압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D/A 컨버터(114);
    전압출력모듈(410)로부터 출력되어 전류 검출부(112)를 경유하는 출력전압을 입력받고, 동시에 D/A 컨버터(114)로부터 전달되는 출력전압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출력전압의 보상이 필요한 경우 입력된 출력전압 제어신호로 출력전압의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DC/DC 컨버터(115); 및
    상기 DC/DC 컨버터(115)로부터 출력전압 제어신호를 전달받고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출력전압의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상 전원부(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115)는
    상기 전원공급장치(400)로부터 직류전압이 인가받는 제1 커넥터(CN1);
    상기 제1 커넥터(CN1)가 인가받은 전압을 전압분배하는 제1 저항(R1)과 제2 저항(R2);
    상기 제1 커넥터(CN1)에 직류전압이 인가될 때, 전압이 역극성으로 입력될 경우 회로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브릿지 다이오드(BR);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BR)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승압시키는 제1 변압기(T1);
    상기 제1 변압기(T1)에서 승압되어 출력되는 전압이 충전되는 제1 커패시터(C1);
    상기 제1 커패시터(C1)에 충전된 전압을 전압분배하는 제4 저항(R4)과 제5 저항(R5); 및
    상기 제4 저항(R4)과 제5 저항(R5)에 의해 분배되어 출력되는 전압을 인가받아 제1 펄스폭 변조부(PWM1)를 제어함으로써 출력전압이 정전압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1 피드백 회로(FB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검출부(112)는
    제1 집적회로(IC1), 제2 집적회로(IC2), 제6 저항(R6) 및 제 9저항(R9)으로 구성되고,
    DC/DC 컨버터(115)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상기 DC/DC 컨버터(115)의 제3 저항(R3)에서 발생되는 전압이 상기 제1 집적회로(IC1)의 `+`단자와 상기 제2 집적회로(IC2)의 `-`단자에 인가되어 중앙 제어부(200)와 연결된 포트2(PORT2)로 입력되는 설정전압과 비교하고, 상기 제3 저항(R3)에 흐르는 전류가 설정된 전류보다 높으면, 상기 제6 저항(R6)을 통하여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DC/DC 컨버터의 출력전압을 낮추어 설정된 전류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전원부(116)는
    직류전압을 입력받는 제2 커넥터(CN2);
    상기 제2 커넥터(CN2)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을 변압하는 제2 변압기(T2);
    상기 제2 변압기(T2)에서 변압되어 출력되는 전압이 충전되는 제2 커패시터(C2);
    상기 제2 커패시터(C2)에 충전된 전압을 전압분배시키기 위한 제7 저항(R7)과 제8 저항(R8);
    상기 제7 저항(R7)과 제8 저항(R8)에서 분압된 전압과, DC/DC 컨버터(115)의 제3 저항(R3)에 흐르는 전류가 설정된 전류보다 낮은 경우, 제9 저항(R9)을 통과하는 전류와 함께 전달받아 상기 제2 변압기(T2)에서의 변압을 제어하여 상기 DC/DC 컨버터(115)의 출력전압에 손실된 전압을 보상하는 제2 피드백 회로(FB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전원 변환부(120)가
    상기 에너지 절약저항(110)으로부터 보상되어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받아 중앙 제어부(200)에 설정된 기준 데이터에 따라 200V 또는 400V로 승압시키는 승압 컨버터(121); 및
    상기 승압 컨버터(121)에 의해 200V 또는 400V로 승압된 전압을 인가받고 중앙 제어부(200)에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용전원인 AC200V 또는 AC100V의 정현파 전압으로 변환하는 D/A 인버터(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D/A 인버터(122)는 중앙 제어부(200)의 제어를 받아 100V 또는 200V의 전압을 전원공급장치(400)의 정격에 따라 주파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약부(100)는 에이징 공정 과정에서 변형된 전기적 특성을 최초 주전원부(500)에서 입력되는 전기적 특성으로 초기화시켜 주전원부(500)에 재입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
  11. 삭제
KR1020090020459A 2009-03-10 2009-03-10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 KR100933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459A KR100933059B1 (ko) 2009-03-10 2009-03-10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459A KR100933059B1 (ko) 2009-03-10 2009-03-10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3059B1 true KR100933059B1 (ko) 2009-12-21

Family

ID=41684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459A KR100933059B1 (ko) 2009-03-10 2009-03-10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0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0157A (ko) * 1996-07-30 1998-04-30 김광호 전자 렌지 에이징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JP2004064963A (ja) 2002-07-31 2004-02-26 Renesas Technology Corp 昇圧回路
KR20050014370A (ko) * 2003-07-31 2005-02-07 주식회사 엘리아테크 싱글 파워 스위칭을 적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에이징시스템
KR20050027379A (ko) * 2003-09-15 2005-03-21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아날로그 및 디지털 방식 엘씨디 겸용 에이징 점등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0157A (ko) * 1996-07-30 1998-04-30 김광호 전자 렌지 에이징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JP2004064963A (ja) 2002-07-31 2004-02-26 Renesas Technology Corp 昇圧回路
KR20050014370A (ko) * 2003-07-31 2005-02-07 주식회사 엘리아테크 싱글 파워 스위칭을 적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에이징시스템
KR20050027379A (ko) * 2003-09-15 2005-03-21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아날로그 및 디지털 방식 엘씨디 겸용 에이징 점등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4671B2 (en) Controller IC, DC-AC conversion apparatus, and parallel running system of DC-AC conversion apparatuses
CN102298907B (zh) 负荷驱动电路和采用该电路的发光装置及显示装置
US20180191261A1 (en) Dc link module for reducing dc link capacitance
CN104054226B (zh) 具有高功率系数的脉动抵消变换器
US9860946B2 (en) Circuit topology for driving high-voltage LED series connected strings
US8638169B2 (en) Power supply method and apparatus
CN103477295B (zh) 电流调节装置
US20100164403A1 (en) Circuit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LCD backlights
US20130009484A1 (en) Green Power Converter
JP2003153551A (ja) 電源装置とそれが用いるインバータ
GB2533897A (en)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LED backlight drive circu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20160066378A1 (en) Led driving circuit and method using single inductor
Ghosh et al. High gain DC-DC step-up converter with multilevel output voltage
US20150365001A1 (en) Gate Drive Power Supply for Inverter
CN107482890A (zh) Dc‑dc转换器
KR100773176B1 (ko) 냉음극 형광램프로의 전력공급을 위한 이중-종단 회로용조정기 및 구동기 구조
US7723924B2 (en) Backlight inver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US7609237B2 (en) Circuit apparatus with LED diodes
US8283871B2 (en) Method of driving light source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130135718A (ko) Led 백라이트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0933059B1 (ko)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이징 공정 시스템
CN102098833B (zh) 发光元件驱动电路与驱动发光元件的方法
US20120013269A1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an led lamp
US20080186741A1 (en) Method and system adapted to regenerate load energy in ac-to-dc and dc-to-ac power converter systems
TW201306642A (zh) 發光裝置及其驅動電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