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2370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 선택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 선택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370B1
KR100932370B1 KR1020070099163A KR20070099163A KR100932370B1 KR 100932370 B1 KR100932370 B1 KR 100932370B1 KR 1020070099163 A KR1020070099163 A KR 1020070099163A KR 20070099163 A KR20070099163 A KR 20070099163A KR 100932370 B1 KR100932370 B1 KR 100932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masking value
mobile communication
1xev
rev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4029A (ko
Inventor
한상진
조성호
이재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9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2370B1/ko
Publication of KR20090034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조 주파수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내 채널 리스트 정보를 디코딩하여 추가 채널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추가 채널 정보가 존재하면, 추가 채널 수 및 추가 채널 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채널 리스트 정보에 채널별 마스킹 값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채널별 마스킹 값이 존재하면, 채널별 마스킹 값을 추출하여 미리 저장된 공통 마스킹 값과 비트카운트를 수행하여 동조 주파수를 선택하는 것으로서, 1xEV-DO Rev. 0 시스템과 1xEV-DO Rev. A 시스템이 오버레이되어 운용되고,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상의 채널리스트에 1xEV-DO Rev. A 채널과 1xEV-DO Rev. 0 채널이 혼용된 경우, 1xEV-DO Rev. A 단말기가 언제나 1xEV-DO Rev. A 채널을 우선적으로 동조하여 서비스 받을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주파수, 채널, 섹터파라미터 메시지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 선택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frequency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 선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동기망 시스템은 CDMA2000 1X, 1xEV-DO Rev. 0, 1xEV-DO Rev. A 시스템 등 점진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동기망 시스템은 유사한 기술을 배경으로 초기 하나의 시스템에서 이를 지원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왔다.
가장 먼저 구현된 CDMA2000 1X 시스템을 기본으로 하여 1xEV-DO Rev. 0는 하드웨어적으로 PHY, MAC 을 처리하는 채널카드만을 추가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왔다. 또한 새로운 규격인 1xEV-DO Rev. A도 마찬가지로 새로운 채널카드를 추가 함으로서 새로운 FA에서 Rev. A 서비스가 가능하다.
1xEV-DO Rev. 0 시스템 및 1xEV-DO Rev. A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진화 규격상에서 발전하고 있고 1xEV-DO Rev. A 규격은 1xEV-DO Rev. 0에 대한 Backward Compatibility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시스템 관점에서 1xEV-DO Rev. A 시스템은 1xEV-DO Rev. A 또는 1xEV-DO Rev. 0 단말기를 수용할 수 있고, 1xEV-DO Rev. 0 시스템도 1xEV-DO Rev. A단말기와 1xEV-DO Rev. 0단말기를 수용할 수 있다.
그러나 1xEV-DO Rev. A 시스템에서는 1xEV-DO Rev. 0 단말기에 대해 1xEV-DO Rev. 0으로, 1xEV-DO Rev. A 단말기에 대해 1xEV-DO Rev. A로 서비스 해주고 있어 아무 문제가 없어 보이나, 실제 시스템 관점에서는 1xEV-DO Rev. A 시스템에 1xEV-DO Rev. 0 단말기를 수용함으로써 규격적인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성능의 차이로 전체적인 시스템 성능이 저하되게 된다.
또한, 1xEV-DO Rev. 0 시스템은 1xEV-DO Rev. 0 단말기에 대해서는 1xEV-DO Rev. 0 서비스를 제공하여 문제가 없으나, 1xEV-DO Rev. A 단말기가 들어오게 되면 1xEV-DO Rev. 0 서비스 밖에 지원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1xEV-DO Rev.0 시스템과 1xEV-DO Rev. A 시스템을 동일한 장비에 다른 하드웨어를 통하여 오버레이(Overlay) 형태로 구현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1xEV-DO Rev. 0 및 1xEV-DO Rev. A 시스템이 오버레이되어 있고, 1xEV-DO Rev. A 시스템의 커버리지가 다른 경우에는 1xEV-DO Rev. 0 주파수와 1xEV-DO Rev. A 주파수가 동일한 Sector Parameter Message내에서 전송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는 어느 주파수가 1xEV-DO Rev. 0 주파수인지, 1xEV-DO Rev. A 주파수인지 알 수 없어서, 1xEV-DO Rev. A 단말기는 (1xEV-DO Rev. A 주파수 총합)/(Sector parameter Message내의 채널 전체 수)의 확률로 1xEV-DO Rev. A 주파수를 동조하게 되는데, 1xEV-DO Rev. A 단말기가 Hashing 이후 1xEV-DO Rev. A 주파수에 동조한 채로 남아있도록 하기가 확률적으로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1xEV-DO Rev. 0 시스템과 1xEV-DO Rev. A 시스템이 오버레이되어 운용되고,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상의 채널리스트에 1xEV-DO Rev. A 채널과 1xEV-DO Rev. 0 채널이 혼용된 경우, 1xEV-DO Rev. A 단말기가 언제나 1xEV-DO Rev. A 채널을 우선적으로 동조하여 서비스 받을 수 있게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 선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xEV-DO Rev. A 단말기가 해슁(Hashing) 이후 1xEV-DO Rev. A 주파수에 동조한 채로 남아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 선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조 주파수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내 채널 리스트 정보를 디코딩하여 추가 채널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추가 채널 정보가 존재하면, 추가 채널 수 및 추가 채널 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채널 리스트 정보에 채널별 마스킹 값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채널별 마스킹 값이 존재하면, 채널별 마스킹 값을 추출하여 미리 저장된 공통 마스킹 값과 비트카운트를 수행하여 동조 주파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 선택 방법이 제공 된다.
상기 공통 채널 정보는 공통 채널 개수 필드(ChannelCount), 공통 채널 번호필드(Channel)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 채널 정보는 추가 채널 존재 여부를 알려주는 ExtendedChannelIncluded 필드, 추가 채널 수를 알려주는 ExtendedChannelCount필드, 추가 채널 번호를 알려주는 ExtendedChannel필드를 포함하는 추가 채널 리스트 정보 영역과 해슁을 위한 마스킹값 존재 여부를 알려주는 AccessHanshingChannelMaskInclude 필드, 해슁 마스킹 값의 크기를 나타내는 AccessHanshingChannelMaskLength 필드, 마스킹 값의 이전 값과의 동일 여부 판단을 위한 AccessHanshingChannelMaskSameAsPrevious 필드, 채널별로 할당된 마스킹값을 나타낸 AccessHanshingChannelMask 필드를 포함하는 채널별 마스킹 값 정보 영역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통 마스킹 값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간 초기 세션 협상 시 설정되는 값이다.
상기 채널별 마스킹 값을 추출하여 미리 저장된 공통 마스킹 값과 비트카운트를 수행하여 동조 주파수를 선택하는 것은 상기 채널 리스트 정보에서 채널별 마스킹 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채널별 마스킹 값을 공통 마스킹 값과 각각 비트 카운트를 수행하고, 상기 비트 카운트를 수행한 값 중 최대 값을 가지는 채널을 동조 주파수로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무선 통신부, 입력부, 출력부가 구비되어 동조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리스트 정보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채널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추가 채널 정보와 채널별 마스킹 값을 이용하여 동조 주파수를 선택하는 주파수 선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주파수 선택 모듈은 상기 수신된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내 채널 리스트 정보를 디코딩하여 공통 채널 정보 또는 추가 채널 정보를 추출하는 채널 리스트 정보 확인부, 상기 채널 리스트 정보 확인부에서 추출된 각 채널에 대하여 채널별로 할당된 마스킹 값을 추출하는 마스킹 값 추출부, 상기 마스킹 값 추출부에서 추출된 채널별 마스킹값과 미리 저장된 공통 마스킹값에 대해 비트카운트를 수행하는 해슁부 및 상기 해슁부에서 수행된 비트 카운트 값중에서 최대 값을 가지는 주파수를 동조 주파수로 선택하는 주파수 선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운용자로부터 채널별 마스킹 값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기지국 관리 서버, 상기 기지국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채널별 마스킹 값을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기지국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리스트 정보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채널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공통 채널 정보 또는 추가 채널 정보와 채널별 마스킹 값을 이용하여 동조 주파수를 선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 선택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공통 채널과 추가 채널에 대한 각 마스킹 값과 미리 저장 된 공통 마스킹 값에 대해 비트 카운트를 수행하여 동조 주파수를 선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1xEV-DO Rev. 0 시스템과 1xEV-DO Rev. A 시스템이 오버레이되어 운용되고,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상의 채널리스트에 1xEV-DO Rev. A 채널과 1xEV-DO Rev. 0 채널이 혼용된 경우, 1xEV-DO Rev. A 단말기가 언제나 1xEV-DO Rev. A 채널을 우선적으로 동조하여 서비스 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 선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1xEV-DO Rev. A 단말기가 해슁이후 1xEV-DO Rev. A 주파수에 동조한 채로 남아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 선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1xEV-DO Rev.0 및 1xEV-DO Rev. A 시스템의 오버레이 환경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 선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1xEV-DO Rev.0 및 1xEV-DO Rev. A 시스템의 오버레이 환경에서 1xEV-DO Rev. A 단말기가 1xEV-DO Rev. A 주파수로 동조하도록 하는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무선 접속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110), 상기 기지국(110)의 무선 링크 및 유선 링크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통화의 지속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핸드오프를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120),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와 연결되며, 상기 기지국(110) 및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의 운용, 유지보수기능을 수행하는 기지국 관리(BSM, Base Station Manager)서버(130), 호 접속을 제어하는 교환기(14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1xEV-DO Rev. A 단말기 또는 1xEV-DO Rev. 0 단말기일 수 있다. 즉, 상기 기지국(110)으로부터 전송된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를 디코딩하여 채널 리스트 정보를 확인한 결과 추가 채널 정보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1xEV-DO Rev. A 단말기이고, 추가 채널 정보 존재 여부를 판단하지 못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1xEV-DO Rev. 0 단말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1xEV-DO Rev. 0단말기이면, 상기 1xEV-DO Rev. 0단말기는 1xEV-DO Rev. A 시스템에서 1xEV-DO Rev. 0 주파수로 동조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1xEV-DO Rev. A 단말기이면, 상기 1xEV-DO Rev. A단말기는 1xEV-DO Rev. A 시스템에서 1xEV-DO Rev. A 주파수로 동조하고, 만약, 1xEV-DO Rev. A 주파수에 문제가 있다면, 상기 1xEV-DO Rev. A 단말기는 1xEV-DO Rev. 0 주파수로 동조한다.
즉, 상기 1xEV-DO Rev. A 단말기는 1xEV-DO Rev. 0 시스템과 1xEV-DO Rev. A 시스템이 오버레이되어 운용되고,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상의 채널리스트에 1xEV-DO Rev. A 채널과 1xEV-DO Rev. 0 채널이 혼용되어 내려오는 경우에 언제나 1xEV-DO Rev. A 채널을 우선적으로 동조한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상기 기지국(11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채널 리스트 정보가 포함된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 관리 서버(130)는 운용자에 의해 설정된 각 채널에 대한 마스킹 값을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송되도록 한다.
즉, 상기 기지국 관리 서버(130)는 운용자로부터 기지국별로 할당된 각 채널에 대한 마스킹 값을 입력 받아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에 포함시켜 각 기지국(110)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한다.
즉, 상기 채널별 마스킹 값은 운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가능하고, 기지국별로 설정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1xEV-DO Rev. 0 주파수인 363, 316은 0x0000, 1xEV-DO Rev. A 주파수인 404는 0xFFFF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1xEV-DO Rev.0 및 1xEV-DO Rev. A 시스템의 오버레이 환경에서 동조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파수 선택 모듈을 상세히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1xEV-DO Rev.0 및 1xEV-DO Rev. A 시스템의 오버레이 환경에서 1xEV-DO Rev. A 주파수로 동조 주파수를 선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200),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210),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20),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230), 동조 주파수를 선택하는 주파수 선택 모듈(240),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상태나 사용자가 요청한 이벤트 처리 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200), 입력부(210), 제어부(220), 저장부(230), 출력부(250)는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주파수 선택 모듈(240)은 상기 무선 통신부(200)를 통해 수신된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리스트 정보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채널 리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1xEV-DO Rev. 0 주파수 또는 1xEV-DO Rev. A 주파수를 선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주파수 선택 모듈(240)은 상기 디코딩된 채널 리스트 정보에 추가 채널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추가 채널 정보가 존재하면, 각 채널별 마스킹 값을 이용하여 동조 주파수를 선택한다.
여기서, 추가 채널 정보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1xEV-DO Rev. A 단말기이고, 추가 채널 정보 존재 여부를 판단하지 못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1xEV-DO Rev. 0 단말기일 수 있다.
상기 주파수 선택 모듈(240)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주파수 선택 모듈(240)은 채널 리스트 정보 확인부(242), 마스킹 값 추출부(244), 해슁부(246), 주파수 선택부(248)를 포함한다.
상기 채널 리스트 정보 확인부(242)는 상기 무선 통신부(200)를 통해 수신된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리스트 정보를 디코딩하여 추가 채널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추가 채널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채널 리스트 정보 확인부(242)는 공통 채널 번호와 추가 채널 번호를 추출한다.
기본적으로 1xEV-DO Rev. 0 단말기는 추가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부분을 디코딩할 수 없으므로 채널 리스트 정보에 추가 채널 정보가 존재하는지 알 수 없고, 1xEV-DO Rev. A 단말기는 추가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부분을 디코딩할 수 있으므로 채널 리스트 정보에 추가 채널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알 수 있다.
상기 마스킹 값 추출부(244)는 상기 채널 리스트 정보 확인부(242)에서 추출된 각 채널에 대하여 각 채널별로 할당된 마스킹 값을 추출한다.
즉, 상기 마스킹 값 추출부(244)는 상기 채널 리스트 정보 확인부(242)에서 추출된 각 채널에 대하여 마스킹 값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마스킹 값이 존재하면, 각 채널별로 할당된 마스킹 값을 추출한다.
상기 해슁부(246)는 상기 마스킹 값 추출부(244)에서 추출된 채널별 마스킹 값과 미리 저장된 공통 마스킹 값에 대해 비트카운트를 수행한다. 상기 공통 마스킹 값(AccessHashingClassMask)은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기간 초기 Session 협상 시 설정되는 값일 수 있다. 즉, 상기 공통 마스킹 값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워 온(power on), 기지국 이동 등에 따른 초기 세션 설정 시 기지국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락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값일 수 있다.
상기 주파수 선택부(248)는 상기 해슁부(246)에서 수행된 비트 카운트 값 중에서 최대 값을 가지는 주파수를 동조 주파수로 선택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조 주파수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1xEV-DO Rev. A 규격에 포함된 채널 리스트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가 수신되면(S400), 상기 수신된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리스트 정보를 디코딩한다(S402).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1xEV-DO Rev.0 단말기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5에 도시된 추가 채널 정보 영역(550)을 디코딩할 수 없고, 1xEV-DO Rev. A 단말기인 경우에는 추가 채널 정보 영역(550)을 디코딩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1xEV-DO Rev. A 단말기인 경우, 상기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리스트 정보를 디코딩하면, 도 5와 같은 채널 리스트 정보(500)가 생성된다.
상기 채널 리스트 정보(500)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면, 채널 리스트 정보(500)에는 공통 채널(Common channel) 정보 영역(510), 추가 채널(Extended channel)정보 영역(550)이 존재한다.
상기 공통 채널 정보 영역(510)에는 1xEV-DO Rev.0 채널 정보 즉, 공통 채널 개수 필드(ChannelCount), 공통 채널 번호필드(Channel)가 존재한다.
상기 추가 채널 정보 영역(550)은 1xEV-DO Rev. A 규격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서, 추가 채널 리스트 정보 영역(560), 추가 채널별 마스킹 값 정보 영역(570)이 존재한다.
상기 추가 채널 리스트 정보 영역(560)에는 추가 채널의 존재 여부를 알려주는 ExtendedChannelIncluded필드(562), 추가 채널 수를 알려주는 ExtendedChannelCount필드(564), 추가 채널 번호를 알려주는 ExtendedChannel필드(566)를 포함한다.
또한, ExtendedChannelCount필드값을 이용하여 추가되는 채널 수를 확인하고, ExtendedChannel필드(566)를 이용하여 추가되는 채널 번호를 확인한다.
상기 ExtendedChannel필드(566)는 24bit로 구성된다.
상기 채널별 마스킹 값 정보 영역(570)에는 해슁을 위한 마스킹값 존재 여부를 알려주는 AccessHanshingChannelMaskInclude 필드(572), 해슁 마스킹값의 크기를 나타내는 AccessHanshingChannelMaskLength 필드(574), 마스킹 값의 이전값과의 동일 여부 판단을 위한 AccessHanshingChannelMaskSameAsPrevious 필드(576), 채널별로 할당된 마스킹 값을 나타낸 AccessHanshingChannelMask 필드(578)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AccessHanshingChannelMaskInclude 필드값을 이용하여 해슁을 위한 마스킹 값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마스킹 값이 존재하면, AccessHanshingChannelMaskSameAsPrevious 필드(576)를 이용하여 각 채널에 대한 마스킹값이 이전값과 상응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이전의 마스킹 값과 상응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전 값을 그대로 사용하고 상응하지 않으면, AccessHanshingChannelMask필드(578)에 등록된 각 채널별 마스킹 값을 추출한다.
상기 AccessHanshingChannelMask(578)는 1xEV-DO Rev. A에서 제공하는 Enhanced Idle State Protocol에서 지원하고, 각 채널마다 설정하게 되어 있다.
1xEV-DO Rev. A단말기가 어떠한 경우라도 1xEV-DO Rev. A주파수로만 동조하도록하기 위해서 1xEV-DO Rev. 0의 주파수와 1xEV-DO Rev. A 의 주파수에 대한 AccessHashingChannelMask를 다르게 설정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02의 수행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디코딩된 채널 리스트 정보를 확인하여(S404), 추가 채널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406).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디코딩된 채널 리스트 정보의 ExtendedChannelIncluded필드값을 이용하여 추가 채널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ExtendedChannelIncluded필드값이 '0'이면, 추가 채널 정보가 존재하지 않고, '1'이면 추가 채널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단계 406의 판단결과 추가 채널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추가 채널 수와 추가 채널 번호를 추출한다(S408). 즉, 상기 판단결과 추가 채널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ExtendedChannelCount필드값을 이용하여 추가되는 채널 수를 확인하고, ExtendedChannel필드를 이용하여 추가되는 채널 번호를 추출한다.
단계 408의 수행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채널 리스트 정보에 해슁을 위한 마스킹 값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410).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AccessHanshingChannelMaskInclude 필드값을 이용하여 해슁을 위한 마스킹 값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단계 410의 판단결과 해슁을 위한 마스킹 값이 존재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각 채널에 대하여 마스킹 값을 추출한다(S412).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판단결과 마스킹 값이 존재하면, AccessHanshingChannelMaskSameAsPrevious 필드를 이용하여 각 채널에 대한 마스킹 값이 이전 값과 상응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이전의 마스킹 값과 상응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전 값을 그대로 사용하고 상응하지 않으면, AccessHanshingChannelMask필드에 등록된 각 채널별 마스킹 값을 추출한다.
이때, 상기 각 채널에 대한 마스킹 값은 공통 채널에 대한 마스킹 값과 추가 채널에 대한 마스킹 값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xEV-DO Rev. 0 주파수(공통 채널)인 363, 316의 마스킹 값은 0x0000, 1xEV-DO Rev. A 주파수(추가 채널)인 404의 마스킹 값은 0xFFFF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공통 채널 즉, 363, 316에 대한 마스킹 값 0x0000과 추가 채널 즉, 404에 대한 마스킹 값 0xFFF을 모두 추출한다.
단계 412의 수행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추출된 채널별 마스킹 값과 공통 마스킹 값(AccessHashingClassMask)에 대해 비트 카운트(bit count)를 수행한다(S414).
상기 공통 마스킹 값(AccessHashingClassMask)은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기간 초기 Session 협상 시 설정되는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 마스킹 값(AccessHashingClassMask)이 0xFFFF이고, 1xEV-DO Rev. 0 주파수인 363, 316의 마스킹 값은 0x0000, 1xEV-DO Rev. A 주파수인 404의 마스킹 값은 0xFFFF, 128의 마스킹 값은 0xFF00인 경우에 대하여 비트 카운트를 수행하면, 수학식 1과 같은 결과가 나온다. 이 경우는 1xEV-DO Rev. A 단말기가 404로만 동조하기를 원하여 설정된 마스킹 값일 수 있다.
316 : bitcount(AND(0xFFFF & 0x0000)) = 0
363 : bitcount(AND(0xFFFF & 0x0000)) = 0
404 : bitcount(AND(0xFFFF & 0xFFFF)) = 16
128 : bitcount(AND(0xFFFF & OxFF00)) = 8
단계 414가 수행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비트 카운트된 값 중에서 최대값을 가지는 채널을 동조 주파수로 선택한다(S416).
Hashing 채널 리스트는 bit count 값이 가장 큰 채널만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운용자가 원하는 404로만 동조하게 된다.
만약 운용자가 404채널에는 1xEV-DO Rev. 0 단말기가 동조하지 않도록 하기 를 원한다면, 404 채널을 공통 채널 정보에 포함시키지 않고, 추가 채널 정보에 포함시킨 후 해슁을 수행하면 운용자가 원하는 주파수에 1xEV-DO Rev. A 단말기와 1xEV-DO Rev. 0 단말기가 동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만약, 단계 406의 판단결과 상기 채널 리스트 정보에 추가 채널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공통 채널 정보만을 이용하여 동조 주파수를 선택하게 된다(S418).
즉, 상기 채널 리스트 정보에 추가 채널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공통 채널 수와 공통 채널 번호를 이용하여 동조 주파수를 선택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1xEV-DO Rev. 0 채널을 통해 서비스를 받게 된다.
만약, 단계 410의 판단결과 상기 채널 리스트 정보에 채널별 마스킹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계 408에서 추출된 추가 채널과 공통 채널을 이용하여 해슁을 돌려 동조 주파수를 선택한다(S420).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 선택 방법 및 시스템은 오버레이 망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최신 버전의 주파수로 동조하도록 하여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1xEV-DO Rev.0 및 1xEV-DO Rev. A 시스템의 오버레이 환경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 선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1xEV-DO Rev.0 및 1xEV-DO Rev. A 시스템의 오버레이 환경에서 동조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파수 선택 모듈을 상세히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조 주파수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1xEV-DO Rev. A 규격에 포함된 채널 리스트 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기지국
120 : 기지국 제어기 130 : 기지국 관리 서버
140 : 교환기 200 : 무선 통신부
210 : 입력부 220 : 제어부
230 : 저장부 240 : 주파수 선택 모듈
250 : 출력부 242 : 채널 리스트 정보 확인부
244 : 마스킹 값 추출부 246 : 해슁부
248 : 주파수 선택부

Claims (15)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조 주파수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내 채널 리스트 정보를 디코딩하여 추가 채널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추가 채널 정보가 존재하면, 추가 채널 수 및 추가 채널 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채널 리스트 정보에 채널별 마스킹 값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및
    상기 판단결과 채널별 마스킹 값이 존재하면, 채널별 마스킹 값을 추출하여 미리 저장된 공통 마스킹 값과 비트카운트를 수행하여 동조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 선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리스트 정보는 공통 채널 정보 또는 추가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 선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채널 정보는 공통 채널 개수 필드(ChannelCount), 공통 채널 번호 필드(Channe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 선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채널 정보는 추가 채널 존재 여부를 알려주는 ExtendedChannelIncluded 필드, 추가 채널 수를 알려주는 ExtendedChannelCount필드, 추가 채널 번호를 알려주는 ExtendedChannel필드를 포함하는 추가 채널 리스트 정보 영역과 해슁을 위한 마스킹 값 존재 여부를 알려주는 AccessHanshingChannelMaskInclude 필드, 해슁 마스킹 값의 크기를 나타내는 AccessHanshingChannelMaskLength 필드, 마스킹 값의 이전 값과의 동일 여부 판단을 위한 AccessHanshingChannelMaskSameAsPrevious 필드, 채널별로 할당된 마스킹 값을 나타낸 AccessHanshingChannelMask 필드를 포함하는 채널별 마스킹 값 정보 영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 선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채널 리스트 정보에 추가 채널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공통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동조 주파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 선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별 마스킹 값은 운용자에 의해 설정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 선택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별 마스킹 값을 추출하여 미리 저장된 공통 마스킹 값과 비트카운트를 수행하여 동조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 리스트 정보에서 채널별 마스킹 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채널별 마스킹 값을 공통 마스킹 값과 각각 비트 카운트를 수행하는 단계;및
    상기 비트 카운트를 수행한 값 중 최대 값을 가지는 채널을 동조 주파수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 선택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마스킹 값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간 초기 세션 협상 시 설정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 선택 방법.
  9. 무선 통신부, 입력부, 출력부가 구비되어 동조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리스트 정보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채널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공통 채널 정보, 추가 채널 정보, 채널별 마스킹 값을 이용하여 동조 주파수를 선택하는 주파수 선택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선택 모듈은 상기 수신된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내 채널 리스트 정보를 디코딩하여 공통 채널 정보와 추가 채널 정보를 추출하는 채널 리스트 정보 확인부;
    상기 채널 리스트 정보 확인부에서 추출된 각 채널에 대하여 채널별로 할당된 마스킹 값을 추출하는 마스킹 값 추출부;
    상기 마스킹 값 추출부에서 추출된 채널별 마스킹값과 미리 저장된 공통 마스킹 값에 대해 비트카운트를 수행하는 해슁부;및
    상기 해슁부에서 수행된 비트 카운트 값 중에서 최대 값을 가지는 주파수를 동조 주파수로 선택하는 주파수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리스트 정보 확인부는 공통 채널 수와 공통 채널번호를 포함하는 공통 채널 정보와 추가 채널 수와 추가 채널 번호를 포함하는 추가 채널 정보를 추 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 값 추출부는 마스킹 값 존재 여부를 알려주는 AccessHanshingChannelMaskInclude 필드를 검색하여 마스킹 값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마스킹 값이 존재하면, 채널별 마스킹 값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3.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운용자로부터 채널별 마스킹 값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기지국 관리 서버;
    상기 기지국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채널별 마스킹 값을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기지국;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리스트 정보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채널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공통 채널 정보, 추가 채널 정보, 채널별 마스킹 값을 이용하여 동조 주파수를 선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 선택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공통 채널과 추가 채널에 대한 각 마스킹 값과 미리 저장된 공통 마스킹 값에 대해 비트 카운트를 수행하여 동조 주파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 선택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추가 채널 정보와 채널별 마스킹 값을 추출하는 단말기는 1xEV-DO Rev. A 단말기이고, 추출하지 못하는 단말기는 1xEV-DO Rev. 0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 선택 시스템.
KR1020070099163A 2007-10-02 2007-10-02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 선택 방법 및 시스템 KR100932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163A KR100932370B1 (ko) 2007-10-02 2007-10-02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 선택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163A KR100932370B1 (ko) 2007-10-02 2007-10-02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 선택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029A KR20090034029A (ko) 2009-04-07
KR100932370B1 true KR100932370B1 (ko) 2009-12-16

Family

ID=40760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163A KR100932370B1 (ko) 2007-10-02 2007-10-02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 선택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23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034A (ko) * 2002-07-26 200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별 시스템 선택 방법
KR20040014857A (ko) * 2002-08-12 2004-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대가 다른 이동통신 망 운용방법
KR20050017560A (ko) * 2003-08-14 2005-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기종 망간의 부하 분산 방법
KR20070001019A (ko) * 2005-06-28 2007-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초기 동작 방법 및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034A (ko) * 2002-07-26 200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별 시스템 선택 방법
KR20040014857A (ko) * 2002-08-12 2004-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대가 다른 이동통신 망 운용방법
KR20050017560A (ko) * 2003-08-14 2005-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기종 망간의 부하 분산 방법
KR20070001019A (ko) * 2005-06-28 2007-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초기 동작 방법 및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029A (ko) 2009-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1441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機
US87808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US9264967B2 (en) Method for background scan in a mobile wireless system
EP2421302A1 (en) Core network selection in a shared radio access network
KR101049772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
US20140064198A1 (en) Method for a wireless target device to automatically connect to a target network, wireless network system with automatic network setting ability, and wireless target device thereof
US9071965B2 (en) Method for allocating data-transmission resources, and corresponding switching method, access point, terminal, computer program and signal
CN101185363A (zh) 提供高速下行分组接入(hsdpa)小区改变而无须rrc确认的方法、设备和计算机程序
CN112822756B (zh) 通信方法、系统以及基站、终端
KR20130055501A (ko) 액세스 포인트 선택 장치 및 방법
KR20080092381A (ko) 라디오 통신 시스템들에서의 접속 설정
JP2013009404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クセスクラス制限リストを用いるサービス状態提供装置及び方法
JP201118206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間協調通信制御方法
US7907949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djacent st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or this system, and management apparatus therefor
CN111630892A (zh) 用户装置以及基站装置
CN113632535A (zh) 用户装置及通信方法
KR20070078396A (ko) 이동 단말에서 시스템 결정 방법 및 장치
US10034303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20090268634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CN102695244B (zh) 根据服务通信类型选择基站收发机系统的方法和设备
KR10093237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조 주파수 선택 방법 및 시스템
EP19281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LE current sav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1297540A (zh) 用于网络感知应用的方法和系统
US20210153191A1 (en) Network device, user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02300233A (zh) 传输间隙样式序列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