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775B1 -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775B1
KR100931775B1 KR1020040003122A KR20040003122A KR100931775B1 KR 100931775 B1 KR100931775 B1 KR 100931775B1 KR 1020040003122 A KR1020040003122 A KR 1020040003122A KR 20040003122 A KR20040003122 A KR 20040003122A KR 100931775 B1 KR100931775 B1 KR 100931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egory
web page
webpage
identifier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9108A (ko
Inventor
이승현
최기정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40003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775B1/ko
Publication of KR20040099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A01K11/008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incorporating G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1Electronic trai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ogs or ca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ird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종 다양한 정보가 위치하는 인터넷 상에서 소정의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소정의 웹사이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식별자 및 상기 웹페이지 식별자에 대응하는 웹페이지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웹페이지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소정의 키워드와,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소정의 웹페이지의 제1 웹페이지 식별자가 기록되어 있는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소정의 카테고리와, 상기 카테고리에 속하는 소정의 웹페이지의 제2 웹페이지 식별자가 기록되어 있는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웹페이지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웹페이지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웹페이지 식별자와 상기 제2 웹페이지 식별자를 연산하여 제3 웹페이지 식별자를 얻는 단계; 상기 웹페이지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웹사이트 식별자 중 상기 제3 웹페이지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웹페이지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웹페이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검색 엔진, 웹사이트, 카테고리, 웹 문서 검색, 키워드

Description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A METHOD OF PROVIDING WEBSITE SEARCHING SERVICE AND A SYSTEM THEREOF}
도 1a 내지 도 1b는 종래의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른 검색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카테고리 웹 문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카테고리 웹 문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른 검색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하위 카테고리 포함 웹 문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6은 도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하위 카테고리 포함 웹 문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른 검색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서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01 :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
802 :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
803 : 웹페이지 정보 데이터베이스
820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830 : 검색 요청 수신부 840 : 검색 결과 제공부
850 : 인터페이스부 860 : 사용자 웹브라우저
본 발명은 다종 다양한 정보가 위치하는 인터넷 상에서 소정의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더욱 세밀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한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음(http://www.daum.net), 야후(http://www.yahoo.com) 등과 같은 통상의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통상 웹사이트 정보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류 및 저 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웹 상을 지속적으로 순회하면서 새로운 웹사이트 정보를 기계적으로 수집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검색 로봇, 수집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상기 검색 엔진을 이용하는 이용자로 하여금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 엔진 소프트웨어로 구성되고, 이를 통해 수집한 소정의 정보를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와 같이 검색 로봇을 이용하여 수집된 소정의 웹사이트 정보를 가공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 중의 하나가 웹사이트를 소정의 분류로 카테고리화하고, 상기 카테고리 내에서만 검색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검색 서비스보다는 정밀한 검색이 수행되도록 하는 이른바 "카테고리(디렉토리) 검색" 서비스이다.
이러한 종래의 카테고리 검색 서비스 화면의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1b는 종래의 웹페이지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른 검색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네이버 홈>스포츠>야구>프로야구> 선수>해외리그>김병현"이라는 카테고리에 속하는 웹사이트 정보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 따른 카테고리 검색은 상기 카테고리에 속하는 다수의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함에 있어서, 검색 로봇을 통하여 수집된 상기 웹사이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의 정보를 기초로 하는 것이 아니라, 검색 서비스 제공자 측의 전문 서퍼(surfer)가 입력한 상기 웹사이트에 대한 소정의 사이트 설명 정보에 근거하여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도 1a에 도시된 검색 화면에서 검색창에 "애리조나"를 입력하고, 카테고리 검색을 수행한 결과 화면이 도 1b에 도시되어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도 1a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웹사이트에 대해서 검색어로서 "애리조나"를 입력한 경우, 상기 웹사이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중에서 "애리조나"를 포함하는 웹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 서퍼 등이 입력한 소정의 웹사이트 설명 정보에서 "애리조나"가 포함된 검색 결과만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색 범위가 협소하다는 점은 카테고리 검색이 갖고 있는 "제한적 검색을 통한 양질의 정보 수집"이라는 측면에서 어느 정도 그 효용이 인정될 수 있는 반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다양한 정보의 검색"이라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카테고리 검색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특정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웹사이트의 정보는 검색할 수 있지만,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된 하위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는 해당 하위 카테고리로 이동하여야만 검색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검색에 능숙하지 못한 사용자가 자신이 찾고자 하는 정보가 위치한 카테고리가 아닌 상위 또는 하위 카테고리에서 소정의 정보에 대한 검색을 하는 경우 검색의 정확도가 떨어지게 된다는 또 다른 문제점이 대두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카테고리 검색 등의 정밀한 검색은 물론, 통상의 웹 문서 검색과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의 정보를 적절하게 제공할 수 있는 검색 서 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면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가 극대화될 수 있음은 물론, 검색 서비스의 활용도도 크게 제고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검색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카테고리 검색 서비스를 보강하여 보다 많은 정보의 검색을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종래의 카테고리 검색 서비스에서 검색 범위가 해당 카테고리 영역 내라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해당 카테고리의 하위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은 검색 서비스 사용자에게 더욱 폭넓은 검색 범위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검색 능력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볍 및 그 시스템은 소정의 카테고리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하위 카테고리에 대한 웹페이지 검색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검색 서비스 제공자의 검색 서비스 제공 범위를 더 넓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소정의 웹사이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식별자 및 상기 웹페이지 식별자에 대응하는 웹페이지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웹페이지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소정의 키워드와,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소정의 웹페이지의 제1 웹페이지 식별자가 기록되어 있는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소정의 카테고리와, 상기 카테고리에 속하는 소정의 웹페이지의 제2 웹페이지 식별자가 기록되어 있는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키워드 또는 카테고리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웹페이지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웹페이지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웹페이지 식별자와 상기 제2 웹페이지 식별자를 연산하여 제3 웹페이지 식별자를 얻는 단계; 상기 웹페이지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웹사이트 식별자 중 상기 제3 웹페이지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웹페이지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웹페이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시스템은, 검색 엔진;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검색 입력을 수신하고, 소정의 검색 결과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소정의 웹사이트에 포함된 웹페이지 식별자 및 상기 웹페이지 식별자에 대응하는 웹페이지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웹페이지 정보 데이터 베이스; 소정의 키워드와,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소정의 웹페이지의 웹페이지 식별자가 기록되어 있는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 소정의 카테고리와,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소정의 웹페이지의 웹페이지 식별자가 기록되어 있는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웹페이지 식별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웹페이지 식별자를 연산하여 상기 검색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검색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대하여 상술한다.
<데이터베이스 구축>
본 발명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서는 검색 로봇이 수집한 다양한 데이터를 다양한 필드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도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내 웹페이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소정의 데이터가 필드 별로 분류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웹사이트 내 웹페이지 데이터베이스는 "사이트 식별자(ID)", "사이트 범용 리소스 로케이터(URL)", "사이트 제목(title)", "사이트 설명(description)", 사이트가 속하는 "카테고리 식별자(ID)", 상기 사이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의 "웹페이지 식별자(ID)", "웹페이지 범용 리소스 로케이터(URL)", 및 상기 "웹페이지에 포함된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TML) 데이터"의 필드로 분류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사이트 식별자(ID), 카테고리 식별자(ID), 웹페이지 식별자(ID) 등은 본 발명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임의로 부여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이트 식별자(ID)는 다수의 사이트 중 하나의 사이트에만 대응되는, 상기 사이트를 식별할 수 있는 유일한 식별자라는 조건을 만족시키기만 하면 어떠한 형태의 코드라도 무방하다. 또한, 카테고리 식별자(I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웹페이지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카테고리 분류 하나에 대응하는 유일한 식별자이고, 웹페이지 식별자(ID) 또한 웹사이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각각에 대응하는 각 웹페이지에 대해 유일한 식별자라는 조건을 만족시키기만 하면 어떠한 형태의 코드라도 무방하다.
도 2a에 도시된 웹사이트 내 웹페이지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이트 식별자로서 "sIDxxxxxx"이 배정되어 있고, 상기 사이트의 범용 리소스 로케이터는 "www.naver.com"이며, 사이트 제목은 "네이버", 사이트에 대한 설명은 "검색 사이트", 카테고리 식별자는 "cIDyyyyyy"이다. 또한 상기 사이트에는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웹페이지 각각에 대하여 유일한 식별자로서 웹페이지 식별자를 부여한다. 도 2a에는 웹페이지 식별자의 일예로 "pIDzzzzzz_1"이, 상기 웹페이지 식별자에 대응하는 웹페이지 범용 리소스 로케이터는 www.naver.com/xxx가, 상기 웹페이지에 포함된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 데이터는 "<title="naver">……"가 각각 기록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된 웹사이트 내 웹페이지 데이터베이스는 검색 로봇이 각 웹사이트를 순회하면서 기계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각 웹사이트 별로 분류하는 작업을 통해 구축될 수 있다. 먼저 특정 웹사이트에 대하여 상기 웹사이트에 포함된 웹페이지의 모든 정보를 다 수집하고, 상기 웹사이트에 대하여 사이트 식별자를 부여하여 상기 웹사이트 내 웹페이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상기 웹사이트의 범용 리소스 로케이터, 제목, 설명, 상기 웹사이트가 속하는 카테고리에 대한 카테고리 식별자를 각각 기록한다. 또한, 상기 웹사이트에 포함된 웹페이지 각각에 대하여 소정의 웹페이지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웹페이지 식별자로 식별되는 웹페이지에 대한 각종 정보를 상기 웹사이트 내 웹페이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함으로써 상기 웹사이트 내 웹페이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b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소정의 데이터가 필드별로 분류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는 소정의 "키워드" 필드와,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웹페이지의 "웹페이지 식별자" 필드로 분류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에는 키워드로서 "특허"가, "특허"라는 키워드가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 데이터 내에 포함된 웹페이지의 웹페이지 식별자(pIDxxxxxx_3, pIDxxxxxx_7 등)가 각각 기록되어 있다.
도 2b에 도시된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는 소정의 키워드를 선정하여 키워 드 필드에 기록하고, 검색 로봇이 수집한 다수의 웹페이지의 HTML 소스를 분석하여 상기 키워드가 포함된 웹페이지의 웹페이지 식별자를 페이지 식별자 필드에 기록함으로써 구축될 수도 있고, 상기 웹사이트 내 웹페이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페이지 HTML" 필드에 있는 HTML 데이터를 분석하고,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웹페이지 식별자를 추출하여 상기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페이지 식별자 필드에 기록함으로써 구축될 수도 있다. 또한,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의 또 다른 일예로서, 검색 로봇이 수집한 웹페이지의 HTML 데이터를 분석하여 형태소 분석(morphological analysis)을 수행하고, 소정의 키워드(일예로 명사 또는 고유 명사 등)를 추출하여 추출된 키워드를 상기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며, 상기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웹페이지의 웹페이지 ID를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상기 방법의 경우, 키워드가 1회 추출될 때 마다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키워드가 소정 회수 이상 추출될 때 상기 키워드를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검색 엔진에서 이미 구축되어 있는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c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소정의 데이터가 필드별로 분류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는 소정의 "카테고리 식별자(ID)" 필드와, 상기 카테고리의 하위 카테고리에 대한 "하위 카테고리(Sub-category) 식별자" 필드와, 상기 카테고리 및/또는 상기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웹페이지 식별자" 필드로 분류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에는 카테고리 식별자로서 "cIDxxxxxx"가, "cIDxxxxxx"로 식별되는 카테고리의 하위 카테고리 식별자로서 "cIDyyyyyy"가, 상기 카테고리와 상기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웹페이지의 웹페이지 식별자로서 "pIDxxxxxx_1, pIDxxxxxx_2 등"이 각각 기록되어 있다.
도 2c에 도시된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는 소정의 카테고리를 선정하여 상기 카테고리를 식별하기 위한 카테고리 식별자를 기록하고, 상기 카테고리의 하위 카테고리를 선정하여 상기 하위 카테고리를 식별하기 위한 카테고리 식별자를 기록하며, 상기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된 웹페이지의 웹페이지 식별자를 각각 기록함으로써 구축될 수도 있고, 상술한 도 2a에 도시된 웹사이트 내 웹페이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카테고리 식별자와, 상기 카테고리 식별자에 속하는 웹페이지의 웹페이지 식별자를 각각 추출하여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함으로써 구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위 카테고리는 카테고리 명칭과 무관하게 하나의 하위 카테고리에는 하나의 카테고리 식별자가 부여된다. 즉, "스포츠>구기종목>축구"의 하위 카테고리로서의 "월드컵"이라는 카테고리는 "사회,문화>역사>스포츠>구기종목>축구"의 하위 카테고리로서의 "월드컵"이라는 카테고리와 상이한 카테고리이고, 각각의 카테고리 식별자는 상이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웹사이트 내 웹페이지 데이터베이스,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는 상술한 방법을 통하여 구축될 수 있고, 이와 같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는 이하 설명하는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그대로 채용될 수 있다.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카테고리 웹 문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웹페이지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한다(단계 301). 상기 웹페이지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술한 도 2a에 도시된 웹사이트 내 웹페이지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고, 웹사이트 내 웹페이지 데이터베이스의 필드 중에서 소정의 필드만을 따로 추출하여 기록한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웹페이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소정의 웹사이트에 포함된 웹페이지의 웹페이지 식별자와, 상기 웹페이지에 포함된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다.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한다(단계 302). 상기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는 상술한 도 2b에 도시된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에는 소정의 키워드와,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소정의 웹페이지의 웹페이지 식별자가 각각 기록될 수 있다.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한다(단계 303). 상기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는 상술한 도 2c에 도시된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에는 소정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카테 고리 식별자와, 상기 카테고리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된 웹페이지의 웹페이지 식별자가 기록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에는 하위 카테고리 식별자도 포함되어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카테고리 웹 문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는 하위 카테고리 식별자는 기록되지 아니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302 및 단계 303에서,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와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는 상술한 웹페이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파생된 데이터베이스로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와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수단으로 따로 유지되지 아니하고 상술한 웹페이지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검색 요청이 있을 경우 임시적으로 해당 필드를 추출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키워드를 입력 받고(단계 304),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대한 검색 조건으로서 소정의 카테고리 검색 요청을 수신한다(단계 305). 단계 304 및 단계 305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수행될 수도 있고, 하나의 입력창에서 카테고리 검색 요청 및 소정의 키워드를 함께 입력 받아 동시에 해당 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된 키워드에 따라, 상기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의 키워드 필드에 상기 입력된 키워드와 동일한 키워드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동일한 키워드에 대응하는 웹페이지 식별자(제1 웹페이지 식별자)를 추출한다(단계 306). 또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카테고리 검색 요청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 여 상기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의 카테고리 식별자 필드에 상기 수신된 카테고리 정보와 동일한 카테고리 식별자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동일한 카테고리 식별자에 대응하는 웹페이지 식별자(제2 웹페이지 식별자)를 추출한다. 추출된 제1 및 제2 웹페이지 식별자는 그 일부는 동일한 것이 있을 수 있고, 일부는 상이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추출된 제1 및 제2 웹페이지 식별자 중에서 공통된 웹페이지 식별자로 식별되는 웹페이지에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검색 대상으로 특정한 소정의 카테고리에도 속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웹페이지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웹페이지 식별자와 제2 웹페이지 식별자 중에서 동일한 웹페이지 식별자를 얻기 위하여, 상기 제1 웹페이지 식별자와 상기 제2 웹페이지 식별자를 연산한다(단계 308).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산 과정은 상기 제1 웹페이지 식별자와 상기 제2 웹페이지 식별자를 AND 연산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 웹페이지 식별자와 상기 제2 웹페이지 식별자를 각각의 조합으로 AND 연산하는 경우, 상기 제1 웹페이지 식별자와 상기 제2 웹페이지 식별자 중에서 공통되는 웹페이지 식별자(제3 웹페이지 식별자)가 추출될 수 있다. 이러한 AND 연산에 있어서는 다양한 구현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웹페이지 식별자를 2진(binary) 데이터로 변환하여 양 2진 데이터를 AND 연산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단계 308에서 상기 제3 웹페이지 식별자가 얻어지면, 상기 웹페이지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웹페이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웹페이지 식별자 필드에 기록된 웹페이지 식별자 중 제3 웹페이지 식별자와 동일한 웹페이지 식별자를 검색하고, 상기 웹페이지 식별자에 대응하는 웹페이지 정보를 추출한다(단계 309). 단계 309에서 추출된 웹페이지 정보(웹페이지에 포함된 HTML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재구성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단계 310).
도 4a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카테고리 웹 문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른 검색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카테고리 웹 문서 검색 서비스 제공 초기 화면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검색창 아래에 "카테고리 내 웹 문서 검색하기"라는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10)가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10) 중에서 첫 번째 항목은 "전체 카테고리에 등록된 사이트 내에서"이고, 이 항목은 소정의 키워드에 대한 검색을 수행함에 있어서 전체 카테고리에 속하는 웹사이트에 포함된 웹페이지 중에서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웹페이지를 검색하기 위한 것이다. 두 번째 항목은 "현재 카테고리에 등록된 사이트 내에서"이고, 이 항목은 소정의 키워드에 대한 검색을 수행함에 있어서 현재 카테고리(네이버 홈>지역정보>일본>사회, 문화)에 속하는 웹사이트에 포함된 웹페이지 중에서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웹페이지를 검색하기 위한 것이다. 세 번째 항목은 "현재 카테고리 이하에 등록된 사이트 내에서"이고, 이 항목에 대한 설명은 이하 도 5 및 도 6에 대한 설명과 함께 상술한다. 도 4a의 우측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카테고리 내 웹 문서 검색이란?"이라는 소정의 버튼(420)을 구비하 여, 사용자가 상기 버튼(420)을 클릭하는 경우 팝업(pop-up) 창 등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테고리 내 웹 문서 검색에 대한 설명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b에는 상술한 도 4a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10) 중 첫 번째 항목인 "전체 카테고리에 등록된 사이트 내에서"를 카테고리 검색 요청으로서 선택하고, 소정의 키워드로 "일본영화"를 입력한 경우의 검색 결과 화면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검색창 하단 부분에 "전체 카테고리 내의 사이트에서 "일본영화" 웹문서 검색결과입니다"라는 안내 문구(430)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전체 카테고리 내에서 "일본영화"라는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모든 웹페이지에 대한 정보(435)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도 4c에는 상술한 도 4a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10) 중 두 번째 항목인 "현재 카테고리에 등록된 사이트 내에서"를 카테고리 검색 요청으로서 선택하고, 소정의 키워드로 "일본영화"를 입력한 경우의 검색 결과 화면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검색창 하단 부분에 "네이버 홈>지역정보>일본>사회, 문화 카테고리 내의 사이트에서 "일본영화" 웹문서 검색결과입니다"라는 안내 문구(450)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의 현재 카테고리 내에서 "일본영화"라는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웹페이지에 대한 정보(455)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하위 카테고리 포함 웹 문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하위 카테고리 포함 웹 문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웹페이지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한다(단계 501). 단계 501은 상술한 도 3의 단계 301과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웹페이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소정의 웹사이트에 포함된 웹페이지의 웹페이지 식별자와, 상기 웹페이지에 포함된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다.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한다(단계 502). 단계 502는 상술한 도 3의 단계 302와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에는 소정의 키워드와,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소정의 웹페이지의 웹페이지 식별자가 각각 기록될 수 있다.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한다(단계 503). 단계 503은 상술한 단계 도 3의 단계 303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방법에서, 상기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에는 소정의 카테고리 식별자와, 상기 카테고리 식별자로 식별되는 카테고리의 하위 카테고리에 대한 카테고리 식별자, 상기 카테고리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된 웹페이지의 식별자가 기록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502 및 단계 503에서,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와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는 상술한 웹페이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파생된 데이터베이스로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와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수단으로 따로 유지되지 아니하고 상술한 웹페이지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검색 요청이 있을 경우 임시적으로 해당 필드를 추출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키워드를 입력 받고(단계 504),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키워드에 대한 검색 조건으로서 소정의 카테고리 이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수신한다(단계 505). 단계 504 및 단계 505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수행될 수도 있고, 하나의 입력창에서 카테고리 검색 요청 및 소정의 키워드를 함께 입력 받아 동시에 해당 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된 키워드에 따라, 상기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의 키워드 필드에 상기 입력된 키워드와 동일한 키워드가하는 경우, 상기 제1 웹페이지 식별자와 상기 제2 웹페이지 식별자 중에서 공통되는 웹페이지 식별자(제4 웹페이지 식별자)가 추출될 수 있다. 동일하게, 상기 제1 웹페이지 식별자와 상기 제3 웹페이지 식별자 중에서 공통되는 웹페이지 식별자(제5 웹페이지 식별자)가 추출될 수 있다.
단계 509 내지 단계 510에서 상기 제4 및 상기 제5 웹페이지 식별자가 얻어지면, 상기 웹페이지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웹페이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웹페이지 식별자 필드에 기록된 웹페이지 식별자 중 제4 또는 제5 웹페이지 식별자와 동일한 웹페이지 식별자를 검색하고, 상기 웹페이지 식별자에 대응하는 웹페이지 정보를 추출한다(단계 511). 단계 511에서 추출된 웹페이지 정보(웹페이지에 포함된 HTML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재구성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단계 512). 단계 512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재구성하는 단계는 현재 카테고리에서 검색된 웹페이지 정보를 우선 순위를 두어 표시하고, 현재 카테고리의 하위 카테고리에서 검색된 웹페이지 정보를 후 순위로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6은 도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하위 카테고리 포함 웹 문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른 검색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검색 화면은 상술한 도 4a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410) 중 세 번째 항목인 "현재 카테고리 이하에 등록된 사이트 내에서"를 카테고리 검색 요청으로서 선택하고, 소정의 키워드로 "일본영화"를 입력한 경우의 검색 결과 화면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검색창 하단 부분에 "네이버 홈>지역정보>일본>사회, 문화 이하의 카테고리 내의 사이트에서 "일본영화" 웹 문서 검색 결과입니다"라는 안내 문구(610)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의 현재 카테고리 이하의 카테고리 내에서 "일본영화"라는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웹페이지에 대한 정보(620)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웹페이지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인터페이스부(750), 검색 요청 수신부(730), 검색 결과 제공부(740),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701),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702), 웹페이지 정보 데이터베이스(703), 및 데이터베이 스 관리 시스템(DBMS)(72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부(750),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720)은 물리적으로 하나의 서버 수단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701)는 소정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식별자와, 상기 카테고리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된 웹페이지의 웹페이지 식별자를 각 필드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701)는 상기 카테고리의 하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하위 카테고리 식별자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키워드 색인 데이터베이스(702)는 소정의 키워드와,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웹페이지의 웹페이지 식별자를 각 필드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웹페이지 정보 데이터베이스(703)는 소정의 웹사이트에 대응하는 사이트 식별자와, 상기 웹사이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의 웹페이지 식별자를 각 필드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술한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701), 및 웹페이지 정보 데이터베이스(703)는 도 2a에서 상술한 웹사이트 내 웹페이지 데이터베이스에 하나로 통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웹사이트 내 웹페이지 데이터베이스에는 카테고리 색인 데이터베이스(701), 및 웹페이지 정보 데이터베이스(703)에 포함된 필드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웹사이트 내 웹페이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소정의 필드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를 정렬(sorting)함으로써, 상기의 데이터베이스(701, 703)가 수행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주지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데이터베이스(701 내지 703)는 단순히 논리적 또는 기능적인 관점에서 분류된 것일 뿐, 상기 데이터베이스(701 내지 703)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서버 내에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720)은 데이터베이스(701 내지 703)를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720)은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다.
검색 요청 수신부(730)는 사용자 웹브라우저(760)를 통해 입력된 키워드 또는 검색 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입력된 키워드 또는 검색 요청 유형을 추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검색 결과 제공부(74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웹페이지 식별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웹페이지 식별자를 연산하여 소정의 검색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며, 소정의 방식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 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서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시스템은 램(RAM: Random Access Memory)(860)과 롬(ROM: Read Only Memory)(87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84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84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87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램(86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램(860) 및 롬(87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810)는 양방 향성으로 프로세서(84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81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82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84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83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84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5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종래의 검색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카테고리 검색 서비스를 보강하여 보다 많은 정보의 검색을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다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종래의 카테고리 검색 서비스에서 검색 범위가 해당 카테고리 영역 내라는 문 제점을 해결하고, 해당 카테고리의 하위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검색 서비스 사용자에게 더욱 폭넓은 검색 범위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검색 능력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볍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소정의 카테고리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하위 카테고리에 대한 웹페이지 검색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검색 서비스 제공자의 검색 서비스 제공 범위를 더 넓힐 수 있다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키워드에 대한 검색 요청 및 상기 키워드에 대한 검색 조건으로 웹페이지의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웹 페이지의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 요청은 디렉토리 형태의 현재 카테고리 내에서의 검색 요청 또는 상기 현재 카테고리의 하위 카테고리 내에서의 검색 요청을 포함함-; 및
    상기 카테고리에 속하는 웹페이지 및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웹페이지 각각에 대응하는 웹페이지 식별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웹페이지 식별자들을 연산하여 검색 요청에 대한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 요청이 현재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 요청인 경우, 상기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1) 상기 키워드에 대한 검색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웹페이지에 대응하는 제1 웹페이지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2) 상기 현재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현재 카테고리에 속하는 웹페이지에 대응하는 제2 웹페이지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제1 웹페이지 식별자와 상기 제2 웹페이지 식별자에 대해 공통된 제3 웹페이지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및
    (4) 상기 제3 웹페이지 식별자에 대응하는 웹페이지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 요청이 현재 카테고리의 하위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 요청인 경우, 상기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1) 상기 키워드에 대한 검색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웹페이지에 대응하는 제1 웹페이지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2) 상기 현재 카테고리의 하위 카테고리 내에서의 검색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현재 카테고리의 하위 카테고리에 속하는 웹페이지에 대응하는 제4 웹페이지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제1 웹페이지 식별자와 상기 제4 웹페이지 식별자에 대해 공통된 제5 웹페이지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및
    (4) 상기 제5 웹페이지 식별자에 대응하는 웹페이지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키워드에 대한 검색 요청 및 상기 키워드에 대한 검색 조건으로 웹페이지의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검색 요청 수신부 -상기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 요청은 디렉토리 형태의 현재 카테고리 또는 상기 현재 카테고리의 하위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 요청 중 어느 하나의 검색 요청임-; 및
    상기 카테고리에 속하는 웹페이지 및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웹페이지 각각에 대응하는 웹페이지 식별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웹페이지 식별자들을 연산하여 검색 요청에 대한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검색 결과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 요청이 현재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 요청인 경우, 상기 검색 결과 제공부는,
    (1) 상기 키워드에 대한 검색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웹페이지에 대응하는 제1 웹페이지 식별자를 추출하고,
    (2) 상기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현재 카테고리에 속하는 웹페이지에 대응하는 제2 웹페이지 식별자를 추출하며,
    (3)상기 제1 웹페이지 식별자와 상기 제2 웹페이지 식별자에 대해 공통된 제3 웹페이지 식별자를 추출하고,
    (4)상기 추출된 제 3 웹페이지에 대응하는 웹페이지 정보를 검색결과로 제공하고,
    상기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 요청이 현재 카테고리의 하위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 요청인 경우, 상기 검색 결과 제공부는
    (1)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웹페이지에 대응하는 제1 웹페이지 식별자를 추출하고,
    (2)상기 현재 카테고리 및 상기 현재 카테고리의 하위 카테고리 각각에 속하는 웹페이지에 대응하는 제2 웹페이지 식별자 및 제3 웹페이지 식별자를 추출하며,
    (3)상기 제1 웹페이지 식별자와 상기 제2 웹페이지 식별자에 대해 공통된 제4 웹페이지 식별자를 추출하고,
    (4)상기 제1 웹페이지 식별자와 상기 제3 웹페이지 식별자에 대해 공통된 제5 웹페이지 식별자를 추출하며,
    (5)상기 추출된 제4 웹페이지 및 상기 제5 웹페이지 각각에 대응하는 웹페이지 정보를 검색결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삭제
  7. 삭제
KR1020040003122A 2004-01-15 2004-01-15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31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122A KR100931775B1 (ko) 2004-01-15 2004-01-15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122A KR100931775B1 (ko) 2004-01-15 2004-01-15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203A Division KR20040098889A (ko) 2003-05-16 2003-05-16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108A KR20040099108A (ko) 2004-11-26
KR100931775B1 true KR100931775B1 (ko) 2009-12-14

Family

ID=37376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122A KR100931775B1 (ko) 2004-01-15 2004-01-15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7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9620A (ja) * 2000-08-04 2002-02-15 Sakura Maneki:Kk リレーション型サーチエンジン
KR20020015100A (ko) * 2000-08-21 2002-02-27 전영권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정보 검색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9620A (ja) * 2000-08-04 2002-02-15 Sakura Maneki:Kk リレーション型サーチエンジン
KR20020015100A (ko) * 2000-08-21 2002-02-27 전영권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정보 검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108A (ko) 2004-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6818B2 (en) Method of managing websites registered in search engine and a system thereof
KR100544514B1 (ko) 검색 쿼리 연관성 판단 방법 및 시스템
CN111008265B (zh) 企业信息搜索方法及装置
US8812493B2 (en) Search results ranking using editing distance and document information
US20070022085A1 (en) Techniques for unsupervised web content discovery and automated query generation for crawling the hidden web
US852748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construction of information organization structure for related information browsing
KR100892842B1 (ko) 사용자 중심 정보탐색 방법 및 시스템
US201601038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performance index of websites
KR100974064B1 (ko) 사용자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85321B1 (ko)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US2016010391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alculating a degree of linkage for webpages
US20150302090A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Structural Analysis of Websites
KR100557874B1 (ko) 과학기술 정보분석 방법 및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20040098889A (ko)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67917B1 (ko)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31772B1 (ko)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42902B1 (ko) 웹페이지 검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943625B1 (ko) 지역 정보와 웹사이트 정보의 통합 관리를 위한 통합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및 시스템과 그에 의해 생성된통합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검색 결과 제공 방법
KR100931775B1 (ko) 웹사이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Hienert et al. Term-mouse-fixations as an additional indicator for topical user interests in domain-specific search
KR100458458B1 (ko)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KR101048590B1 (ko)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Wu et al. A quality analysis of keyword searching in different search engines projects
Alli Result Page Generation for Web Searching: Emerging Research and Opportunities: Emerging Research and Opportunities
KR20040103763A (ko)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