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444B1 -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444B1
KR100931444B1 KR1020090056443A KR20090056443A KR100931444B1 KR 100931444 B1 KR100931444 B1 KR 100931444B1 KR 1020090056443 A KR1020090056443 A KR 1020090056443A KR 20090056443 A KR20090056443 A KR 20090056443A KR 100931444 B1 KR100931444 B1 KR 100931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rotary shaft
guide
movab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호
Original Assignee
김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호 filed Critical 김인호
Priority to KR1020090056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4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00Rotary drilling
    • E21B3/02Surface drives for rotary dr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의 기초를 보강하기 위하여 앵커부재 또는 분할판을 사용할 때 코어 홀의 내벽에 수평 홀 또는 수평 홈을 형성하여 바닥판의 두께에 관계없이 앵커부재 또는 분할판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바퀴(11)와 지지용 아우트리거(12)를 구비한 이동대차(10)와; 이동대차의 상부에 위치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받침대(13)와; 상부에 엔진(20)이 설치되며 제1받침대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받침대(14)와; 제2받침대에 연결 설치되며 수직 방향의 가이드 홈(16)이 형성되고 내부에 엔진(20)에 의해 회전되는 가이드 회전축(22)을 구비한 가이드 부재(15)와; 가이드 회전축에 연동하여 회전되고 가이드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승강되며, 코어 홀(55)의 내벽에 반경 방향의 수평 홀(56) 또는 수평 홈(56')을 형성하는 절삭부재가 하단에 결합된 가동 회전축(23)과;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홈을 따라 승강하며 내부의 기어를 이용하여 가이드 회전축과 가동 회전축을 연동시키는 기어 박스(25)와; 기어 박스(25)의 하단에 설치되어 가이드 회전축(22)을 지지하는 축 지지부재(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코어 홀에 형성된 수평 홀에 L자형 환봉 형태의 앵커부재를 고정할 수 있으며, 구조물의 바닥판 저부가 아닌 바닥판 자체에 형성된 수평 홀에 앵커부재를 고정할 수 있어 바닥판 두께에 관계없이 반력체를 이용하여 강관을 압입하거나 바닥판을 인상함으로써 구조물의 기초를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코어 홀, 앵커부재, 분할판, 기초보강, 수평 홀, 수평 홈, 가이드, 수평날

Description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Horizontal Boring Machine for Reinforcing of Structure Base}
본 발명은 구조물의 기초를 보강하기 위하여 앵커부재 또는 분할판을 사용할 때 이들을 정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닥판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코어 홀의 내벽에 수평 홀 또는 수평 홈을 형성함으로써 바닥판의 두께에 관계없이 앵커부재 또는 분할판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 시공된 구조물에 침하가 발생하여 기초를 보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지반에 시멘트액이나 모르타르 등을 주입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방법은 시공품질의 확보가 곤란하고 추가 침해를 억제하는 정도에 불과하여 기초 보강의 효과가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구조물의 바닥판을 관통하는 수직구멍을 지반에까지 이어지도록 뚫은 후, 여기에 강관이나 마이크로 파일 등을 설치하고 그 주위를 시멘트 모르타르로 충전하여 그라우팅함으로써, 구조물의 기초를 확실하게 보강 및 보수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신설되는 구조물에 침하가 우려되는 경우에는 기초에 파일을 시공함으로써 지반의 지내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구조물의 기초 보강방법으로는, 충전강관 파일 방식, 마이크로 파일 방식, 앵커정착식 마이크로 파일 방식, 분할판 정착식 마이크로 파일 방식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구조물의 기초 보강 방법은, 앵커부재 또는 분할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바닥판의 저면에 앵커부재의 지압판 또는 분할판의 일부가 삽입되어 정착되는 부위를 형성해야 하므로, 이 정착 부위를 형성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바닥판 하부에 앵커부재의 지압판 또는 분할판을 설치하기가 매우 어려울 뿐 아니라 바닥판의 두께가 일정 이상이면 시공 자체가 곤란다.
또, 앵커부재의 지압판 또는 분할판을 위치시킨 후 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무수축 모르타르 그라우팅을 하게 되는데, 지반의 공극이 크거나 연약지반인 경우에는 무수축 모르타르의 수요가 많아지고 제대로 고정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앵커부재 또는 분할판을 바닥판의 저면이 아닌 바닥판에 직접 정착하는 방법을 고려하였으나, 수직하게 형성된 코어 홀 내부에 앵커부재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수평 방향의 구멍 또는 분할판의 외측부를 고정하기 위한 수평 홈을 형성하는 장치가 없어 이를 실행하기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물의 기초를 형성하는 바닥판에 연직 방향으로 천공된 코어 홀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승강하는 가동 회전축에 절삭부재를 설치한 후 이를 전후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수평 홀 또는 수평 홈과 같이 앵커부재의 하단이 고정될 수 있는 정착부를 코어 홀의 내벽에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가동 회전축에 디퍼렌셜을 개재하여 천공드릴을 설치함으로써 코어 홀의 내벽에 수평 홀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수평 홀의 직경을 변화시킴은 물론 수평 홀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동 회전축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는 수평날을 부착하여 코어 홀의 내벽에 수평 홈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조물의 기초를 형성하는 바닥판에 연직 방향으로 형성된 코어 홀에 앵커부재를 정착시킬 수 있는 정착부를 형성하는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에 있어서, 이동바퀴와 지지용 아우트리거를 구비한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의 상부에 위치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받침대와; 상부에 엔진이 설치되며 상기 제1받침대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받침대와; 상기 제2받침대에 연결 설치되며 수직 방향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엔진에 의해 회전되는 가이드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회전축에 연동하여 회전되고 상기 가이드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승강되며, 코어 홀의 내벽에 반경 방향의 수평 홀 또는 수평 홈을 형성하는 절삭부재가 하단에 결합된 가동 회전축과; 상기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홈을 따라 승강하며 내부의 기어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 회전축과 가동 회전축을 연동시키는 기어 박스와; 상기 기어 박스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 회전축을 지지하는 축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에 따르면, 상기 절삭부재는 상기 코어 홀의 내벽에 반경 방향의 수평 홀을 형성하는 1개 이상의 천공드릴이며, 상기 천공드릴은 상기 가동 회전축과의 사이에 회전 방향을 전환시키는 디퍼렌셜을 개재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에 따르면, 상기 천공드릴은 상기 디퍼렌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에 따르면, 상기 디퍼렌셜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며, 천공 위치에 따라 결합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에 따르면, 상기 절삭부재는, 상기 코어 홀의 내벽에 반경 방향의 수평 홈을 형성하는 수평날이 며, 상기 수평날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절삭팁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에 따르면, 상기 수평날은 상기 가동 회전축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에 따르면, 상기 가동 회전축 및 상기 축 지지부재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는, 천공드릴을 이용하여 코어 홀의 내벽에 수평 홀을 천공하여 L자형 환봉 형태의 앵커부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에 따르면, 코어 홀의 내벽에 L자형 환봉 형태의 앵커부재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의 바닥판 두께에 관계없이 반력체를 이용하여 강관을 압입하거나 바닥판을 인상함으로써 구조물의 기초를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에 따르면, 상하로 승강하는 가동 회전축의 하단에 수평날을 설치한 후 가이드 부재를 전후 좌우로 움직임으로써 코어 홀 내에 분할판이 정착될 수 있는 수평 홈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구조물의 바닥판 두께에 관계없이 분할판 정착식 마이크로 파일 방식의 기초 보강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수평 천공장치의 동력전달 과정을 나타낸 참고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동력전달 과정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그리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제1받침대 및 제2받침대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수평 홀 및 수평 홈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는, 이동바퀴(11)와 지지용 아우트리거(12)를 구비한 이동대차(10)와; 상기 이동대차(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받침대(13)와; 상부에 엔진(20)이 설치되며 상기 제1받침대(13)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받침대(14)와; 상기 제2받침대(14)에 연결 설치되며 수직 방향의 가이드 홈(16)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엔진(20)에 의해 회전되는 가이드 회전축(2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 부재(15)와; 상기 가이드 회전축(22)에 연동하여 회전되고 상기 가이드 회전축(22)의 축방향을 따라 승강되는 가동 회전축(23)과; 상기 가이드 부재(15)의 가이드 홈(16)을 따라 승강하며 내부의 기어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 회전축(22)과 가동 회전축(23)을 연동시키는 기어 박스(25)와; 상기 기어 박스(25)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 회전축(23)을 지지하는 축 지지부재(24)와; 상기 가동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코어 홀(55)의 내벽에 반경 방향의 수평 홀(56)을 형성하는 1개 이상의 천공드릴(40)과; 상기 축 지지부재(24)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가동 회전축(23)의 수직 방향 회전을 상기 천공드릴(40)의 수평 방향 회전으로 전환시키는 디퍼렌셜(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천공드릴(40)은 상기 디퍼렌셜(4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디퍼렌셜(45)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디퍼렌셜(45)의 양측에 각각 상기 천공드릴(40)이 설치되면, 상기 가이드 부재(15)를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도 서로 대향되는 수평 홀(56)을 한 번에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디퍼렌셜(45)에 하나의 천공드릴(40)만 장착하고 상기 축 지지부재(24)가 상기 코어 홀(55)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디퍼렌셜(45)에 설치할 수 있는 상기 천공드릴(40)의 길이를 길게 하여 상기 수평 홀(56)의 깊이를 깊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퍼렌셜(45)은 상기 축 지지부재(24)의 하단에 결합될 때, 천공 위치에 따라 결합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상기 천공드릴(40)이 상기 디퍼렌셜(45)의 전후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 부재(15)를 전후 왕복시켜 전후 방향의 수평 홀(56)을 쉽게 형성할 수 있으나, 좌우 방향의 수평 홀(56)은 형성할 수 없다. 이러한 좌우 방향의 수평 홀(56)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대차(10)를 90도 회전시키는 대신 상기 디퍼렌셜(45)을 90도 회전시켜 결합시키는 것이 훨씬 용이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는 바닥판에 형성된 코어 홀의 내벽에 수평 홀을 천공하게 된다.
이동바퀴(11)를 이용하여 이동대차(10)를 천공 위치로 이동시킨 후, 아우트리거(12)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대차(1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어 천공하고자 하는 깊이를 고려하여 가동 회전축(23) 및 축 지지부재(24)를 기어 박스(25)의 하부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동 회전축(23)에 의해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축 지지부재(24)의 하단에 디퍼렌셜(45)을 설치하고, 상기 디퍼렌셜(45)에 천공드릴(40)을 설치한다. 이때, 천공 위치에 따라 상기 가동 회전축(23) 및 축 지지부재(24)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천공드릴(4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가이드 부재(15)에 형성된 가이드 홈(16)을 따라 상기 기어 박스(25)를 하강시켜 상기 천공드릴(40)이 천공 위치에 이르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기어 박스(25) 내부에는 상기 가동 회전축(23)의 상단부에 결합된 고정기어(23')와 상기 가이드 회전축(22)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동기어(22b)가 치합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기어 박스(25)가 하강할 때 상기 가동기어(22b)가 상기 가이드 회전축(22)을 따라 승강하게 되어, 상기 기어 박스(25)가 상하로 승강하는 것에는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엔진(20)에 의해 구동축(21)이 회전되면, 상기 구동축(21)의 베벨기어(21')에 베벨기어(22a)로 연결된 가이드 회전축(22)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 회전축(22)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동기어(22b)에 맞물린 고정기어(23')가 설치된 상기 가동 회전축(23)이 회전된다. 상기 가동 회전축(23)이 회전되면 상기 디퍼렌셜(40)을 통해 상기 가동 회전축(23)에 연동되는 상기 천공드릴(40)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천공드릴(40)이 회전되고 있을 때, 전후 이동 핸들()을 조작하면 하단부의 랙크(13c)가 상기 전후 이동 핸들(13a)의 기어(13b)에 맞물린 제1받침대(13)가 상기 이동대차(10) 상에서 전후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후 이동 핸들(13b)의 조작을 통하여 전후 방향의 수평 홀(56)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좌우 방향의 수평 홀(56)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디퍼렌셜(45)을 상기 축 지지부재(24)로부터 분리한 후 90도 회전시켜 다시 상기 축 지지부재(24)에 결합시킨다. 그 결과 상기 천공드릴(40)은 상기 이동대차(10)의 좌우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21)을 회전시킴과 아울러 좌우 이동 핸들(14b)을 조작하면, 하단부의 랙크(14c)가 상기 좌우 이동 핸들(14b)의 기어(14a)에 맞물린 제2받침대(14)가 상기 제1받침대(13) 상에서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좌우 이동 핸들(14b)을 조작하면 상기 가이드 부재(15)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코어 홀(55)의 내벽에 좌우 방향의 수평 홀(56)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수평 홀(56)에 L자형 환봉 형태의 앵커부재를 정착시킴으로써 기존의 앵커 정착식 마이크로 파일 방식, 유압압입 방식 및 유압인상 방식 등의 다양한 보강방법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가동 회전축(23)에 천공드릴(40)을 설치하는 대신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수평날(30)을 직접 결합시킨 것이다.
즉, 상기 코어 홀(55)의 내벽에 반경 방향의 수평 홈(56')을 형성하는 수평날(30)을 상기 가동 회전축(23)에 직접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때, 수평날(30)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절삭팁(35)이 부착되는 것은 당연하다. 또, 상기 수평날(30)은 상기 가동 회전축(23)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절삭팁(35)의 두께가 상이한 다른 수평날(30)로 교체함으로써 상기 수평 홈(56')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마이크로 파일에 구비된 분할판의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 홈(56')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수평날(30)을 교체하지 않고 상기 제1받침대(13)를 전후 이동시키고 상기 제2받침대(14)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도 7의 (b)와 같이 상기 코어 홀(55)의 전후 좌우에 각각 수평 홈(56')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날(30)과 상기 가동 회전축(23) 사이의 결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이는 도 7의 (c)와 같이 상기 코어 홀(55) 전체에 걸쳐 수평 홈(56')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수평날(30)의 결합각도를 조금씩 변화시키면서 상기 가이드 지지부(15)를 전후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코어 홀(55) 전체에 걸쳐 이어진 원주형 수평 홈(56")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수평 홈(56') 또는 원주형 수평 홈(56")은 분할판식 마이크로 파일의 두부를 형성하는 분할판의 외측 부분이 삽입 고정되는 부분이 된다. 특히, 상기 원주형 수평 홈(56")의 경우에는 상기 분할판식 마이크로 파일을 설치할 때 분할판의 위치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 마이크로 파일의 두부정착을 더욱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단순히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국,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평 천공장치의 동력전달 과정을 나타낸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동력전달 과정을 나타낸 참고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제1받침대 및 제2받침대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수평 홀 및 수평 홈을 나타낸 참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이동대차 11: 이동바퀴
12: 아우트리거 13: 제1받침부
14: 제2받침부 15: 가이드 부재
20: 엔진 21: 구동축
22: 가이드 회전축 23: 가동 회전축
24: 축 지지부재 25: 기어 박스
30: 회전축 35: 절삭팁
40: 천공드릴 45: 디퍼렌셜
50: 바닥판 55: 코어 홀
56: 수평 홀 56': 수평 홈

Claims (6)

  1. 구조물의 기초를 형성하는 바닥판(50)에 연직 방향으로 형성된 코어 홀(55)에 앵커부재를 정착시킬 수 있는 정착부를 형성하는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에 있어서,
    이동바퀴(11)와 지지용 아우트리거(12)를 구비한 이동대차(10)와;
    상기 이동대차(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받침대(13)와;
    상부에 엔진(20)이 설치되며 상기 제1받침대(13)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받침대(14)와;
    상기 제2받침대(14)에 연결 설치되며 수직 방향의 가이드 홈(16)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엔진(20)에 의해 회전되는 가이드 회전축(22)을 구비한 가이드 부재(15)와;
    상기 가이드 회전축(22)에 연동하여 회전되고 상기 가이드 회전축(22)의 축방향을 따라 승강되며, 코어 홀(55)의 내벽에 반경 방향의 수평 홀(56) 또는 수평 홈(56')을 형성하는 절삭부재가 하단에 결합된 가동 회전축(23)과;
    상기 가이드 부재(15)의 가이드 홈(16)을 따라 승강하며 내부의 기어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 회전축(22)과 가동 회전축(23)을 연동시키는 기어 박스(25)와;
    상기 기어 박스(25)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 회전축(23)을 지지하는 축 지지부재(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재는 상기 코어 홀(55)의 내벽에 반경 방향의 수평 홀(56)을 형성하는 1개 이상의 천공드릴(40)이며,
    상기 천공드릴(40)은 상기 가동 회전축(23)과의 사이에 회전 방향을 전환시키는 디퍼렌셜(45)을 개재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퍼렌셜(45)은 상기 축 지지부재(24)의 하단에 결합되며,
    천공 위치에 따라 결합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재는, 상기 코어 홀(55)의 내벽에 반경 방향의 수평 홈(56')을 형성하는 수평날(30)이며, 상기 수평날(30)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절삭팁(35)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날(30)은 상기 가동 회전축(23)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회전축(23) 및 상기 축 지지부재(24)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
KR1020090056443A 2009-06-24 2009-06-24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 KR100931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443A KR100931444B1 (ko) 2009-06-24 2009-06-24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443A KR100931444B1 (ko) 2009-06-24 2009-06-24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1444B1 true KR100931444B1 (ko) 2009-12-11

Family

ID=41684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443A KR100931444B1 (ko) 2009-06-24 2009-06-24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4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573B1 (ko) * 2014-03-21 2015-03-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확공기의 운용조건 결정 장치 및 그 방법
CN114396070A (zh) * 2021-12-30 2022-04-26 重庆市科源能源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电力输送塔安装基座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496U (ko) 1980-06-04 1982-01-11
JPS61198389U (ko) 1985-06-03 1986-12-11
JPH07207656A (ja) * 1994-01-18 1995-08-08 Mitsubishi Materials Corp 地盤改良機
WO2003031764A1 (en) 2001-10-09 2003-04-17 Claude Macdonald Multi-functional drilling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496U (ko) 1980-06-04 1982-01-11
JPS61198389U (ko) 1985-06-03 1986-12-11
JPH07207656A (ja) * 1994-01-18 1995-08-08 Mitsubishi Materials Corp 地盤改良機
WO2003031764A1 (en) 2001-10-09 2003-04-17 Claude Macdonald Multi-functional drilling veh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573B1 (ko) * 2014-03-21 2015-03-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확공기의 운용조건 결정 장치 및 그 방법
CN114396070A (zh) * 2021-12-30 2022-04-26 重庆市科源能源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电力输送塔安装基座
CN114396070B (zh) * 2021-12-30 2023-11-21 重庆市科源能源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电力输送塔安装基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444B1 (ko)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수평 천공장치
CN105821870A (zh) 插接t形桩墙制造机具
CN105735302A (zh) 插接十字桩墙
CN105821865A (zh) 扣接t形桩墙制造机具
CN212175773U (zh) 一种地基打桩机
CN105649029A (zh) L桩与矩形桩矩形锁扣设备
CN105421410A (zh) T桩与矩形桩v形插扣设备
CN105442557A (zh) T桩与矩形桩圆弧锁扣设备
CN105442558A (zh) T桩与矩形桩圆弧锁扣设备
CN105756050A (zh) 一种t形插接桩
CN105649033A (zh) T桩与矩形桩圆弧插扣设备
CN105442555A (zh) L桩与矩形桩圆弧插扣设备
CN105568984A (zh) T桩与矩形桩v形插扣设备
CN105421420A (zh) π桩与矩形桩圆弧插接设备
CN105672300A (zh) 八边形桩与t桩锁扣装置
CN105507282A (zh) L桩与矩形桩圆弧插接设备
CN105442561A (zh) T桩与矩形桩圆弧插扣设备
CN105421413A (zh) T桩与矩形桩梯形锁扣设备
CN106013124A (zh) 双插接桩墙制造机具
CN105649030A (zh) L桩与矩形桩梯形锁扣设备
CN105507284A (zh) T桩与矩形桩矩形插扣设备
CN105507291A (zh) T桩与矩形桩半圆插接设备
CN105442554A (zh) L桩与矩形桩圆弧插扣设备
CN105951804A (zh) 双扣合桩墙制造机具
CN105625354A (zh) T桩与矩形桩半圆插扣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