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030B1 - Electric stov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Electric stov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030B1
KR100930030B1 KR1020070129935A KR20070129935A KR100930030B1 KR 100930030 B1 KR100930030 B1 KR 100930030B1 KR 1020070129935 A KR1020070129935 A KR 1020070129935A KR 20070129935 A KR20070129935 A KR 20070129935A KR 100930030 B1 KR100930030 B1 KR 100930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level
input
supply unit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9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62588A (en
Inventor
이상범
Original Assignee
이상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범 filed Critical 이상범
Priority to KR1020070129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030B1/en
Publication of KR20090062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5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0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1Conductive ceramics, e.g. metal oxides, metal carbides, barium titanate, ferrites, zirconia, vitrous compou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sto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58For cook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19Circuit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온 발열체를 이용하는 전기 스토브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 스토브는 이규화몰리브덴으로 제조되는 초고온 발열체; 권선수가 상이한 다수의 입력단을 갖는 1차 코일 및 상기 초고온 발열체에 출력전압을 제공하는 2차 코일을 갖는 변압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을 상기 1차 코일의 다수의 입력단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를 스위칭 제어하여 상기 초고온 발열체에 공급되는 상기 2차 코일의 출력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최적의 예열 동작을 통해 소음이 대폭 감소되고, 이를 최소의 부피 및 비용으로 구현한 전기 스토브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stove using an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electric stov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body made of molybdenum disilicide; A transformer having a primary coil having a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having different numbers of windings and a secondary coil for providing an output voltage to the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A switch for selectively connecting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to one of a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of the primary coil;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agnitude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ary coil supplied to the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by switching control of the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ic stov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noises are largely reduced through optimum preheating operation, and the stove is implemented with minimum volume and cost.

전기 스토브, 이규화몰리브덴, 초고온 발열체 Electric stove, molybdenum oxide,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Description

전기 스토브 및 그 제어방법{ELECTRIC STOVE AND CONTROL METHOD THEREOF}ELECTRIC STOV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전기 스토브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이규화몰리브덴(MoSi2) 초고온 발열체를 이용하는 전기 스토브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stov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stove using a molybdenum (MoSi 2 )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초고온 발열체로 이용되는 이규화몰리브덴(MoSi2)의 상용 모델 중 하나인 U자 형태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A U-shape, which is one of the commercial models of molybdenum (MoSi 2 ) used as an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is shown in FIG.

이규화몰리브덴은 단자 접점부를 통해 약 250A의 전류가 제공되면, 직경(D1,D2)을 달리하는 냉열부와 발열부간의 저항차에 의해 높은 온도(1700~1900℃)로 발열한다. 발열 온도는 냉열부와 발열부 각각의 길이(L1,L2) 및 직경(D1,D2)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Dielectric molybdenum generates heat at a high temperature (1700 ~ 1900 ℃) due to the difference in resistance between the cold part and the heat part, which have different diameters (D1, D2), when a current of about 250A is supplied through the terminal contact part. The exothermic temperature can be adjusted by the lengths (L1, L2) and the diameters (D1, D2) of each of the cold heat portion and the heat generating portion.

이러한 초고온 발열체는 니켈, 비금속 발열체 등에 비해 400~600℃ 더 높은 온도로 발열하기 때문에, 초고온 전기로, 세라믹 소성로, 분위기로, 소결로, 초고 온 용해로, 연구 및 실험로 등에 주로 이용되어 왔고, 최근 전기 스토브에 이용되기에 이르렀다.Since such an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generates heat at a temperature higher by 400 to 600 DEG C than nickel or a non-metallic heating element, it has been mainly used in an ultra-high temperature electric furnace, ceramic firing furnace, atmosphere furnace, sintering furnace, ultra high temperature furnace furnace, It has been used in electric stoves.

도2는 초고온 발열체를 이용한 종래 전기 스토브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이다. 2 is a schematic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electric stove using an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도2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기 스토브는 초고온 발열체(100) 외에 전원공급부(110), 변압기(120), 사용자 입력부(130), 메모리(140), 온도감지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 a conventional electric stove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0, a transformer 120, a user input unit 130, a memory 140, a temperature sensing unit 150, and a controller 160 in addition to the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100. .

전원공급부(110)는 계통으로부터 입력되는 상용전압 예컨대, AC 220V를 입력받아 정류 등을 통해 필요한 전압레벨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특히, 스토브의 기동시에 서서히 선형 또는 단조 증가하는 전압을 초고온 발열체(100) 측으로 출력한다.The power supply unit 110 converts a commercial voltage, for example, AC 220 V, input from the system into a required voltage level through rectification, and supplies the converted voltage. In particular, a voltage gradually increasing linearly or monotonously as the stove is started is output to the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100 side.

변압기(120)는 1차측 코일이 전원공급부(110)에 연결되고, 2차측 코일이 초고온 발열체(100)의 단자에 연결되어 변환된 전압을 초고온 발열체(100)로 제공한다.The transformer 120 has a primary coil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10 and a secondary coil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body 100 to provide the converted voltage to the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body 100.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스토브의 턴온/오프, 기동(start-up) 또는 설정 온도를 지시받기 위한 것이며, 메모리(140)는 지시된 설정 온도 등의 정보 저장소로 이용된다. 온도감지부(150)는 사용자의 설정 온도와 비교를 위해 측정되는 주변 온도를 감지하여 제공한다.The user input unit 130 is used to turn on / off the stove, start-up or set temperature of the stove from the user, and the memory 140 is used as an information storage for the indicated set temperature.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50 senses and provides the measured ambient temperature for comparison with the user's preset temperature.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부(130)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스토브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60 gener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tove according to a command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130.

구체적으로 제어부(160)의 동작을 살펴보면,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부(130)로부터 소정의 목표 온도가 설정되면 해당 온도를 메모리(140)에 저장하고, 사용자 입력부(130)로부터 스타트 정보가 입력되면 전원공급부(110)가 변압기(120) 및 초고온 발열체(100)측으로 전원 공급을 시작하도록 제어한다. 운전 중에는, 온도감지부(150)로부터 측정된 주변 온도와 메모리(140)에 저장된 설정 온도를 비교하고, 주변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60)는 전원공급부(110)로부터의 전원 제공이 중단되도록 전원공급부(110)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60 stores the temperature in the memory 140 when the predetermined target temperature is set from the user input unit 130 and inputs start information from the user input unit 130 The power supply unit 110 controls the transformer 120 and the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100 to start supplying power. The controller 160 compares the ambient temperature measured from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50 with the preset temperature stored in the memory 14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mbient temperature has reached the preset temperature, The power supply unit 110 is controlled such that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unit 110 is stopped.

지금까지 이규화몰리브덴을 이용한 종래 전기 스토브의 구성 및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제 사용에는 다소 불편함이 있었는데 주된 사항이 소음이었다. Although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electric stove using the molybdenum disilicide have been described, the use of the molybdenum molybdenum has been somewhat inconvenient, but the main issue is noise.

이하에서는, 소음 발생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noise gene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2에서, 스타트 업 동작에 따라 전원공급부(110)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시작되면, 전원공급부(110)는 영 볼트로부터 서서히 출력 전압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즉, 전원공급부(110)는 10초에 걸쳐 단조 증가 방식으로, 선형 증가 방식으로 또는 계단 형태의 증가방식으로 0[V]에서 220[V]로 전압을 증가시키고, 변압기(120)는 입력 전압에 대응하여 증가하는 출력 전압을 초고온 발열체(100)로 제공한다.2, when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0 is started in accordance with the start-up operation, the power supply unit 110 operates in a manner of gradually increasing the output voltage from the zero volt. That is, the power supply unit 110 increases the voltage from 0 [V] to 220 [V] in a monotone increase method, a linear increase method, or a stepwise increase method over 10 seconds, and the transformer 120 increases the input voltage And supplies the increased output voltage to the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100. [

이때, 전압을 서서히 증가시켜 초고온 발열체(100)로 제공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이 일상생활을 누리는데 어려움을 줄 정도의 소음인 약 85dB 이상의 소음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며, 제품의 품질 및 신뢰도를 저하하는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At this time, despite the fact that the voltage is gradually increased and supplied to the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body 100, noise of about 85 dB or more, which is a noise that is difficult for consumers to enjoy everyday life, is generated, and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duct are lowered It is becoming the main cause.

또한, 운전 중 주변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된 후에는 절전 모드로서 동작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전원공급부(110)의 공급 전압을 0[V]로 즉, 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어 왔다. 스토브의 작동이 중단되어 주변 온도가 하락하면 일정 온도에서 스토브가 재가동되는데, 이때에도 스타트-업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정상 운전 상태에서 절전 모드로, 다시 절전 모드에서 정상 운전 상태로의 회귀를 반복하면서 턴온-턴오프 동작이 반복되고, 스타트-업 동작이 반복적으로 일어나 일상 생활에 곤란한 소음을 반복적으로 경험할 수밖에 없다.Further, after the ambient temperature reaches the target temperature during operation, it operates as a power saving mode. Specifically, the power supply unit 110 has been opera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upply voltage is 0 [V], that is, the power supply is stopped. If the operation of the stove is stopped and the ambient temperature drops, the stove is restarted at a certain temperature. At this time, the start-up operation is also performed. As a result, the turn-on-turn-off operation is repeated while repeating the regeneration from the normal operation state to the power-saving mode and again from the power-saving mode to the normal operation state, and the start-up operation repeatedly occurs to repeatedly experience troublesome noise in daily life There is no other choice.

따라서, 본 발명은 운전 개시될 때 또는 절전 모드로 동작할 때 소음이 비교적 작게 발생하는 전기 스토브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적절한 예열 동작을 제공하여 소음이 작게 일어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stov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noise is relatively small when starting operation or in a power saving mod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providing adequate preheating operation so that the noise is small.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예열 동작을 위해 하나 이상의 중간 전압을 초고온 발열체에 제공하고자 많은 실험을 거쳤다.Therefore,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conducted many experiments to provide at least one intermediate voltage to the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for the preheating operation.

이규화몰리브덴이 약 250[A]의 많은 전류를 소비하여, 상응하는 용량의 변압기를 마련해야 하므로, 토로이달 코어 및 2차측 코일의 코일 직경도 커질 수밖에 없었고, 이로 인해 다수의 출력 탭을 2차측 코일에 마련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았다. 그렇다고, 다수의 레벨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수의 변압기를 마련하는 것도 제품의 용적 및 제조 단가를 고려하면 효율적인 해결 방안이 되지 못하였다.Since the molybdenum molybdenum consumes a large amount of current of about 250 A and a transformer of a corresponding capacity has to be provided, the coil diameter of the toroidal core and the secondary coil must be increased. This causes a large number of output taps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ary coil It was not easy to prepare. However, the provision of a large number of transformers to provide a large number of levels has not been an efficient solution considering the product volume and manufacturing cost.

따라서, 본 발명자는 최소의 부피 및 비용으로 소음을 최소로 하는 스타트-업 동작이 가능한 전기 스토브 및 제어방법을 고안하였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하나의 토로이달 변압기를 개량하여 최소의 부피 및 비용으로 최소의 소음을 발생시키는 효과적인 예열 동작을 수행하는 전기 스토브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다른 목적으로 삼고 있다.Thus, the inventor has devised an electric stove and control method capable of a start-up operation that minimizes noise with minimum volume and cost,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n improved toroidal transformer for minimizing the volume and cost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stove and a control method for performing an effective preheating operation that generates minimum nois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전기 스토브에 있어서, 이규화몰리브덴으로 제조되는 초고온 발열체; 권선수가 상이한 다수의 입력단을 갖는 1차 코일 및 상기 초고온 발열체에 출력전압을 제공하는 2차 코일을 갖는 변압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을 상기 1차 코일의 다수의 입력단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를 스위칭 제어하여 상기 초고온 발열체에 공급되는 상기 2차 코일의 출력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토브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an electric stov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n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body made of molybdenum disilicide; A transformer having a primary coil having a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having different numbers of windings and a secondary coil for providing an output voltage to the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A switch for selectively connecting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to one of a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of the primary coi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of the switch to control the magnitude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ary coil supplied to the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상기 전기 스토브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기동 명령이 입력될 때, 1) 상기 다수의 입력단 중 미리 결정된 제1 입력단을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에 연결하고, 2)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제1 입력단보다 적은 권선수를 갖는 제2 입력단이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스위칭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제1 입력단보다 적은 권선수를 갖는 제2 입력단에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이 연결되면, 2차 코일로부터 출력 전압의 크기가 증가한다. 즉, 예열 동작을 거치고, 더 큰 전압이 점층적으로 초고온 발열체에 공급되게 된다.Wherein the electric stove further includes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mmand from a user, 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1) input a predetermined first input of the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2) switching the switch so that a second input terminal having a smaller number of turns than the first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Here, wh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having a smaller number of turns than the first input terminal, the magnitude of the output voltage from the secondary coil increases. That is, a preheat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a larger voltage is supplied to the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in a stepwise manner.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입력단과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이 연결된 때,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전압이 소정의 제1 레벨에서 소정의 제2 레벨로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입력단과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이 연결된 때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전압이 소정의 제3 레벨에서 소정의 제4 레벨로 증가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전압이 상기 제2 레벨로 증가된 후 일정시간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예열을 더욱 확실히 하는데 효과적이다. 실험에 의하면 약 1분 정도의 시간이 적절하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voltage of the power supply unit to increase from a predetermined first level to a predetermined second level when the first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are connected, And controls the output voltage of the power supply unit to increase from a predetermined third level to a predetermined fourth level when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is connected. Here, it is effective that the control unit keeps the output voltage of the power supply unit increased to the second level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further ensure the preheating. According to the experiment, about 1 minute is appropriate.

또한, 상기 제3 레벨은 상기 제2 레벨보다 낮은 레벨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제3 레벨은 0 볼트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level is lower than the second level, and more preferably, the third level is 0 volt.

나아가, 상기 전기 스토브는 주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목표 온도를 입력받는데 이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 온도와 상기 주변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주변 온도가 상기 목표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단보다 많은 권선수를 갖는 입력단이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이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에 이르렀을 때 절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주변 온도가 상기 목표 온도로부터 소정의 허용 범위 이하로 측정된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단보다 적은 권선수를 갖는 입력단이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한다. 이는, 본 발명이 제어 모드에서 정상적인 운전 모드로 회귀하는 하는 과정을 나타낸다.Further, the electric stove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ing unit for measuring an ambient temperature, wherein the user input unit is used to receive a target temperature from a user, and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target temperature with the ambient temperature,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switch such that an input terminal having more number of windings than the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This allows the present invention to operate in a power saving mode when the user reaches a desired temperature.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measured from the target temperature to a predetermined allowable range or less, the switch is controlled so that an input terminal having a smaller number of turns than the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do. This shows a proces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returns from the control mode to the normal operation mode.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상기 전기 스토브를 기동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기동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기동 명령에 따라 상기 다수의 입력단 중 미리 결정된 제1 입력단을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에 연결하는 단계; 소정의 제1 시간 동안 소정의 제1 레벨에서 소정의 제2 레벨로 증가시키면서 예열 전압을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제1 입력단으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예열 전압이 상기 제2 레벨을 일정 시간 유지되면서 상기 제1 입력단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단보다 적은 권선수를 갖는 제2 입력단이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스위칭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 전압 레벨을 상기 제2 레벨에서 소정의 제3 레벨로 낮춘 후 소정의 제4 레벨로 증가시키면서 상기 제2 입력단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토브 제어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레벨 및 상기 제3 레벨은 모두 0인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for starting the electric stove, comprising: receiving a start command from a user; Connecting a predetermined first inpu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start command; Providing a preheating voltage from the power supply to the first input while increasing from a predetermined first level to a predetermined second level for a predetermined first time; Providing the preheat voltage to the first input while maintaining the second level for a period of time; Switching control of the switch so that a second input terminal having a smaller number of turns than the first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supplying the second input terminal while increasing the output voltage level of the power supply unit from the second level to a predetermined third level and then increasing the output voltage level to a predetermined fourth level . Here, it is preferable that both the first level and the third level are zero.

본 발명에 의해, 최적의 예열 동작을 통해 소음이 대폭 감소되고, 이를 최소의 부피 및 비용으로 구현한 전기 스토브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ic stov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noises are largely reduced through optimum preheating operation, and the stove is implemented with minimum volume and cost.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토브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이다.3 is a schematic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ctric st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기 스토브는 초고온 발열체(1), 사용자 입력부(2), 메모리(3), 온도감지부(4), 전원공급부(5), 토로이달 변압기(6), 스위치(7) 및 제어부(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종래에 이용되던 전기 스토브의 일부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고, 이와 구별되는 구성 및 동작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3, the electric stov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body 1, a user input unit 2, a memory 3, a temperature sensing unit 4, a power supply unit 5, a toroidal transformer 6, (7) and a control unit (8).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 detailed description of a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electric stove which has been used in the past will be omitted, and the structure and operation different from the above will be mainly described.

초고온 발열체(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규화몰리브덴(MoSi2)으로 구성되고, 도1의 U자 형태의 이규화몰리브덴 이외에도, I, W 형태의 상용 모델이 이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1 is made of molybdenum disilicide (MoSi 2 ). In addition to the U-shaped molybdenum disilicide of FIG. 1, commercial models of I and W types can be used.

사용자 입력부(2)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것으로, 흔히 이용되는 버튼이 마련된 제어 패널 및 리모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지시 내용을 예컨대, 허용된 메뉴 버튼을 누름으로써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된 명령 예컨대, 스타트 업 명령, 온도 설정 명령 및 설정 온도, 턴오프 명령 등은 후술하는 제어부(8)에 입력되어 적절히 처리된다.The user input unit 2 is for interface with a user, and can be realized by a control panel and a remote controller provided with commonly used buttons. For example, the input command, such as the start-up command, the temperature setting command, the set temperature, the turn-off command, and the like, are input to the control unit 8 to be described later It is properly handled.

메모리(3)는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소로서, 특히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온도를 저장한다. The memory 3 is a data storage for stor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operation, in particular, stores a target temperature set by the user.

온도감지부(4)는 전기 스토브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측정된 온도를 후술하는 제어부(8)에 제공한다.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4 is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around the electric stove, and provides the measured temperature to the control unit 8 to be described later.

전원공급부(5)는 계통으로부터 입력되는 AC 220[V]를 프로세서 구동에 필요한 DC 전압 레벨 등으로 변환하여 전기 스토브 각 부품에 제공한다. 특히, 초고온 발열체(1)에 대해서는 종래의 전기 스토브에 이용된 바와 같이, 전압을 단조 증가하는 방식으로 즉, 선형적으로 혹은 계단 방식으로 증가하는 전압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power supply unit 5 converts the AC 220 [V] input from the system into a DC voltage level or the like required for driving the processor, and provides the converted AC 220 [V] to each component of the electric stove. In particular, the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1 is configured to provide a voltage increasing in a monotonically increasing manner, that is, linearly or stepwise, as used in a conventional electric stove.

토로이달 변압기(6)는 1차 코일의 입력단이 2개로 형성되고, 2차 코일의 출력단은 하나로 형성되어 있음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1 입력단(IN1)에서 기준전위에 대해 갖는 1차 코일의 권선수는, 제2 입력단(IN2)에서 기준 전위에 대해 갖는 1차 코일의 권선수와 상이하다. 이에 의해, 입력 전압이 제1 입력단(IN1)으로 입력될 때와 제2 입력단(IN2)으로 입력될 때 2차 코일의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레벨이 다르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oroidal transformer 6 has two input terminals of the primary coil and on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ary coil. Therefore, the winding of the primary coil at the first input IN1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tential is different from the winding of the primary coil at the second input IN2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tential. Thereby, the level of the voltage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ary coil is different when the input voltage is input to the first input IN1 and when input to the second input IN2.

즉, 토로이달 변압기(6)는 2차 코일의 부하의 용량으로 인해 2차 코일의 출력단을 증가시키는 것이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여, 1차 코일에 다수의 입력단을 두고 선택적으로 입력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출력 전압의 레벨을 조정한 것이다.That i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output stage of the secondary coil due to the capacity of the load of the secondary coil, the toroidal transformer 6 has a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in the primary coil, The voltage level is adjusted.

따라서, 전원공급부(5)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을 제1 입력단(IN1)과 제2 입력단(IN2) 사이에 선택적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스위치(7)가 사이게 개재되어 있다. 제어부(8)는 스위치(7) 제어를 통해 전원공급부(5)의 입력 전압을 제1 입력단(IN1) 또는 제2 입력단(IN2)으로 선택적으로 제공되도록 한다.Therefore, a switch 7 for intermittently inputting a voltage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5 between the first input IN1 and the second input IN2 is interposed. The control unit 8 selectively supplies the input voltage of the power supply unit 5 to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or the second input terminal IN2 through the control of the switch 7.

이 밖에도, 제어부(8)는 사용자 입력부(2)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미리 결정된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스타트 업 명령이 입력되면 전원공급부(5)의 전원 공급이 시작되도록 제어하고, 목표 전압이 입력되면 메모리(3)에 입력하는 등 전반적인 전기 스토브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8 performs a predetermined operation in response to a command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2. [ For example, when the start-up command is input, the power supply unit 5 is controlled to start supplying power, and when a target voltage is input, the control unit 3 performs an overall control operation of the electric stove.

전반적인 전기 스토브의 동작 방법을, 도4의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4는 특정 제어 동작에 따른 시간의 흐름에 따라 2차 코일에서 초고온 발열체(1)로 공급되는 전압 레벨의 흐름을 도시한 그래프이다.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lectric st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ample of Fig. 4 is a graph showing a flow of a voltage level supplied to the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1 in the secondary coil according to a time flow according to a specific control operation.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출 후 귀가하여 전기 스토브를 가동시키는 경우를 가정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입력부(2)를 통해 전기 스토브의 스타트 업 명령을 입력 하면, 제어부(8)는 해당 명령을 해석하여 전원공급부(5)가 변압기(6) 측으로 전원 공급을 시작하도록 제어하고, 스위치(7)가 전원공급부(5)의 출력단을 제1 입력단(IN1)에 연결되도록 스위칭 제어한다.For example, assume that the user goes home after going out to start the electric stove. When the user inputs a start-up command of the electric stove through the input unit 2, the control unit 8 analyzes the command to control the power supply unit 5 to start supplying power to the transformer 6 side, Controls switching so th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5 is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전원공급부(5)의 전압이 0~t1의 시간 동안 0에서 220[V]로 서서히 증가하면서 제1 입력단(IN1)을 통해 1차 코일로 입력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코일의 출력 전압(Vout)은 0~10[V]로 선형적으로 증가하면서 초고온 발열체(1)로 입력된다. When the voltage of the power supply unit 5 is gradually increased from 0 to 220 [V] for 0 to t1 and input to the primary coil through the first input IN1, as shown in Fig. 4, The output voltage Vout of the heater 1 is linearly increased from 0 to 10 [V].

다음, 초고온 발열체(1)의 예열을 위해 2차 코일의 출력 전압(Vout)을 10[V]로 일정 시간(t1~t2) 유지한다. 즉, 1차 코일의 제1 입력단(IN1) 및 기준전위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 t1~t2 동안 220[V]로 유지되도록, 제어부(8)는 전원공급부(5)의 출력 전압을 제어한다.Next, the output voltage Vout of the secondary coil is maintained at 10 [V] for a predetermined time (t1 to t2) for preheating the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1. [ That is, the control unit 8 controls the output voltage of the power supply unit 5 such that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input IN1 of the primary coil and the voltage across the reference potential is maintained at 220 V during t1 to t2.

t2의 시간이 되면, 제어부(8)는 전원공급부(5)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고, 스위치(7)가 전원공급부(5)의 출력단을 제2 입력단(IN2)에 연결되도록 스위칭 제어한다. At time t2, the control unit 8 stops supplying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5 and controls the switch 7 to switch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5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IN2.

다음, 제어부(8)는 전원공급부(5)의 출력 전압이 t2~t3 동안 0[V]에서 220[V]로 서서히 증가하도록 전원공급부(5)를 제어하여, 2차 코일의 출력 전압(Vout)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2~t3 구간 동안 선형적으로 증가하도록 한다. Next, the control unit 8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5 so that the output voltage of the power supply unit 5 gradually increases from 0 [V] to 220 [V] during t2 to t3 so that the output voltage Vout ) Increases linearly during the period from t2 to t3 as shown in Fig.

t3에서, 전원공급부(5)로부터 1차 코일의 제2 입력단(IN2)에 공급되는 전압이 220[V]가 되어 2차 코일로부터 초고온 발열체(1)로 제공되는 전압이 20[V]가 되면, 전압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At t3, when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5 to the second input IN2 of the primary coil becomes 220 [V] and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secondary coil to the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1 becomes 20 [V] , So that the voltage state is kept constant.

따라서, 0~t3 구간 동안의 제어부(8)의 제어 동작을 스타트-업 모드라고 한다면, t3 이후 20[V]가 정상적으로 유지되는 정상 운전 모드라고 할 수 있다. Therefore, if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8 during the period from 0 to t3 is the start-up mode, it can be said that the normal operation mode in which 20 [V] is normally maintained after t3.

한편, 사용자는 난방을 위해 원하는 온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설정 시점도, 주지의 난방 장치와 같이, 스토브의 운전 전/후를 불문하고 어느 때든지 설정하거나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freely set the desired temperature for heating. It is possible to set or change the setting time at any time, either before or after the operation of the stove, such as a well-known heating device.

본 실시예에서는, 정산 운전 모드 중에,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2)를 통해 목표 온도를 25℃로 설정했다고 가정한다. 이에, 제어부(8)는 사용자 입력부(2)로부터 입력되는 목표 전압을 메모리(3)에 저장하고, 주변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될 때 절전 모드로 전환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user sets the target temperature to 25 占 폚 through the user input unit 2 during the settling operation mode. The control unit 8 stores the target voltage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2 in the memory 3 and switches to the power saving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mbient temperature has reached the target temperature.

즉, 온도감지부(4)는 주변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제어부(8)로 지속적으로 혹은 주기적으로 제공한다. That is,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4 measures the ambient temperature and provides the measurement result to the control unit 8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이에, 제어부(8)는 온도감지부(4)로부터 측정된 주변 온도와 목표 온도(25℃)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정상 운전 모드 또는 절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8 compares the measured ambient temperature with the target temperature (25 캜) from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4, and controls the normal operation mode or the power saving mod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첫번째 경우로서, 주변 온도가 목표 온도 25℃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제어부(8)는 정상적인 운전 모드가 유지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전원공급부(5)의 출력 전압이 220[V]의 일정한 크기로 1차 코일의 제2 입력단(IN2)으로 입력되도록 제어하고, 이에 도4의 t3~t4 구간에서와 같이 일정한 20[V] 전압이 초고온 발열체(1)로 출력된다.In the first case,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does not reach the target temperature of 25 占 폚, the controller 8 keeps the normal operation mode. Specifically, the output voltage of the power supply unit 5 is controlled to be input to the second input IN2 of the primary coil at a constant magnitude of 220 [V], and as shown in the period from t3 to t4 in FIG. 4, V] voltage is output to the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1.

두번째 경우로서, 주변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거나 초과한 경우, 절전 모드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8)는 전원공급부(5)의 출력 전압이 220[V]의 일정한 크기로 1차 코일의 제1 입력단(IN1)으로 입력되도록 스위칭 제어하고, 이에 도4의 t4~t5 구간에서와 같이 10[V] 전압이 초고온 발열체(1)로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전기 스토브는 원하는 온도까지 급속하게 난방을 한 후,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절전 모드로 전환하여 절전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In the second case,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reaches or exceeds the target temperature, it enters the power saving mod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8 performs switching control so that the output voltage of the power supply unit 5 is input to the first input IN1 of the primary coil at a constant magnitude of 220 [V] A voltage of 10 [V] is supplied to the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1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electric stove quickly heats up to a desired temperature, and then switches to a power saving mode that operates at a low power, thereby achieving a power saving effect.

절전 모드로 동작 중 사용자가 원했던 목표 온도보다 주변 온도가 일정 허용 범위 이하로 떨어지면, 제어부(8)는 절전 모드에서 정상 운전 모드로 회귀한다. 즉, 절전 모드에서 1차 코일의 제1 입력단(IN1)에 연결되어 있던 전원공급부(5)의 출력단을 1차 코일의 제2 입력단(IN2)에 연결되도록 스위칭 제어하여, 도4의 t5에서와 같이, 초고온 발열체(1)에 공급되는 전압을 20[V]로 증가시킨다.When the ambient temperature falls below a predetermined allowable range from the target temperature desired by the user during operation in the power saving mode, the control unit 8 returns from the power saving mode to the normal operation mode. That is, in the power saving mode,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5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IN1 of the primary coil is switched and controll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IN2 of the primary coil, Likewise, the voltage supplied to the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1 is increased to 20 [V].

본 실시예는 주변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할 때 스토브의 동작을 완전 중단시키는 것을 대신하여, 일정량의 열량을 지속적으로 발열하도록 하여 전반적인 열효율을 좋게 하고, 반복적인 스타트-업 동작에 기인한 소음 발생을 회피한다.The present embodiment is advantageous in that instead of completel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stove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reaches the set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heat the fixed amount of heat continuously to improve the overall thermal efficiency and to generate noise caused by the repeated start- .

본 실시예에서 1차 코일의 입력단이 2개 있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의할 것은, 각각의 입력단이 형성되는 지점은 2차 코일과 1차 코일간의 권선비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고, 이는 또다시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전압비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are two input terminals of the primary coi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oint at which each input stage is formed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urns ratio between the secondary coil and the primary coil, which is again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input voltage and the voltage ratio of the output voltage.

즉, 1차 코일의 입력 전압을 V1, 1차 코일의 권선수를 N1이라 하고, 2차 코일의 출력 전압(Vout)을 V2, 2차 코일의 권선수를 N2라 할 때,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That is, when the input voltage of the primary coil is V1, the winding of the primary coil is N1, the output voltage Vout of the secondary coil is V2, and the winding of the secondary coil is N2, the following relationship It is known that:

Figure 112007089693297-pat00001
Figure 112007089693297-pat00001

상기 식은, 다수의 입력단은 기준 전위에 대해 서로 다른 권선수(N1)를 가지므로 동일한 입력 전압(V1)이 인가되더라도, 각각의 입력단에 대한 2차 코일의 출력단을 통한 출력 전압(V2)은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Since the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have different winding points N1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tential, the output voltage V2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ary coil to each input terminal is changed even if the same input voltage V1 is applied .

그러므로, 도3에 도시된 변압기(6)에서, 1차 코일 전체(제1 입력단~기준전위)의 권선과 2차 코일의 권선비는, 220[V]의 입력 전압이 제1 입력단(IN1)에 인가될 때 10[V]가 출력되는 권선비로 선택된 것이다. 또한, 제2 입력단(IN2)에 대해서는 220[V]의 입력 전압이 제2 입력단(IN2)에 인가될 때 20[V]의 전압이 2차 코일에서 출력되도록 제2 입력단(IN2)의 탭의 위치 즉, 대응하는 권선수가 결정된 것이다.Therefore, in the transformer 6 shown in FIG. 3, the turns ratio of the windings of the primary coil (the first input terminal to the reference potential) and the secondary coil is such that the input voltage of 220 [V] is applied to the first input terminal IN1 When it is applied, 10 [V] is selected as the winding ratio. The second input IN2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IN2 so that a voltage of 20 [V] is output from the secondary coil when an input voltage of 220 [V] is applied to the second input IN2. That is, the number of corresponding windings is determined.

이와 같은 방식으로, 2차 코일에 다수의 출력단을 두지 않고, 1차 코일에 다수의 입력단을 두고 전압이 입력될 입력단을 선택적으로 스위칭 연결하여, 원하는 전압 레벨을 선택적으로 2차 코일로부터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manner, a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are connected to the primary coil and a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to which a voltage is to be input are selectively switched and connected so that a desired voltage level is selectively output from the secondary coil .

또한, 본 실시예에서 주목할 것은 스타트-업 모드에서 초고온 발열체(1)로 제공되는 전압이 0[V]에서 선형적으로 증가하여 10[V]에 이른 후(0~t1), 다시 0[V]에서 선형적으로 증가하여 20[V]에 이르도록 제어된다(t2~t3)는 것이다. 10[V]로 일정시간 유지한 후, 다시 연속적으로 20[V]로 증가시킬 때보다 다시 0[V]로 감압 후 선형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소음을 줄이는데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이 실험적으 로 확인되었음을 밝힌다.It should be noted in this embodiment that the voltage provided to the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1 in the start-up mode linearly increases from 0 [V] to 10 [V] (0 to t1) ] To 20 [V] (t2 to t3). It is experimentally confirmed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decrease the noise by decreasing the pressure to 0 [V] and then linearly increasing it to 20 [V] than maintaining it for 10 [V]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설명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these are only illustrative explanation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는 단순한 발열 기능을 갖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송풍 기능을 갖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최선의 선택은 아닐지라도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방식, 단조 증가하는 방식, 계단형 증가 방식 또는 일정 구간에서 감소하나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등을 사용하거나 이들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For example, although the above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a simple heat generating function, it may be modified to have a blowing func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combination of a linearly increasing method, a monotonic increasing method, a stepwise increasing method, or a decreasing but overall increase in a certain section, etc., although not the best choice.

또다른 변압기(6)의 예로서, 상기 실시예는 2차 코일에 하나의 출력단을 갖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가능하다면, 수개의 출력단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용량 및 제품 크기에 기인하여 2차 코일로부터 출력 탭을 다수 형성할 수 없는 경우에 특히 유용한 것이긴 하지만, 반드시 하나의 출력단이 있는 경우에 한정하여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an example of another transformer 6, although the above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one output stage in the secondary coil, it is also possible, if possible, to form several output stages and is not beyo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case where there is only one output terminal, although it is particularly useful when a large number of output taps can not be formed from the secondary coil due to capacity and product size.

또다른 전원공급부(5)의 예로서, 상기 실시예는 전원공급부(5)의 전원이 0[V]에서 220[V]까지 증가하면서 제공되는 경우를 특정하고 있으나, 구간별로 선형 증가되는 최대 레벨을 달리하여 다양한 크기의 전압이 최종적으로 초고온 발열체(1)로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power supply unit 5 is provided with the power increased from 0 [V] to 220 [V]. However, the power supply unit 5 may be provided with a maximum level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oltages of various sizes may ultimately be provided to the ultrahigh temperature exothermic body 1.

본 발명은 이하의 청구항에서 정의되며, 그 균등한 범위 내에서 효력이 있음 을 주의해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nd is effective within the equivalents thereof.

도1은 일반적인 초고온 발열체로 이용되는 이규화몰리브덴(MoSi2)의 상용 모델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FIG. 1 is a view showing one of commercial models of molybdenum disilicide (MoSi 2 ) used as a general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도2는 초고온 발열체를 이용한 종래 전기 스토브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2 is a schematic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electric stove using an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토브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Figure 3 is a schematic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st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특정 제어 동작에 따른 시간의 흐름에 따라 2차 코일에서 초고온 발열체로 공급되는 전압 레벨의 흐름을 도시한 그래프이다.4 is a graph showing a flow of a voltage level supplied from the secondary coil to the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a time flow according to a specific control opera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초고온 발열체 2:사용자 입력부1: superheated heater 2: user input

3:메모리 4:온도감지부3: memory 4: temperature sensing unit

5:전원공급부 6:트로이달 변압기5: Power supply 6: Trolymal transformer

7:스위치 8:제어부7: Switch 8:

Claims (9)

전기 스토브에 있어서,In an electric stove, 이규화몰리브덴으로 제조되는 초고온 발열체;Superheated heating element made of molybdenum oxide; 권선수가 상이한 다수의 입력단을 갖는 1차 코일 및 상기 초고온 발열체에 출력전압을 제공하는 2차 코일을 갖는 변압기;A transformer having a primary coil having a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having different numbers of windings and a secondary coil for providing an output voltage to the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을 상기 1차 코일의 다수의 입력단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A switch for selectively connecting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to one of a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of the primary coil;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및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mmand from a user; And 상기 스위치를 스위칭 제어하여 상기 초고온 발열체에 공급되는 상기 2차 코일의 출력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agnitude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ary coil supplied to the ultra-high temperature heating element by switching control of the switch,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기동 명령이 입력될 때, 1) 상기 다수의 입력단 중 미리 결정된 제1 입력단을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에 연결하고, 2)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제1 입력단보다 적은 권선수를 갖는 제2 입력단이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스위칭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토브.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1) connect a predetermined first input terminal out of the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2)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nd switches the switch so that a second input terminal having less number of windings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입력단과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이 연결된 때,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전압이 소정의 제1 레벨에서 소정의 제2 레벨로 증가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입력단과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이 연결된 때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전압이 소정의 제3 레벨에서 소정의 제4 레벨로 증가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토브.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such that the output voltage of the power supply unit increases from a predetermined first level to a predetermined second level when the first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are connected, And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such that the output voltage of the power supply unit increases from a predetermined third level to a predetermined fourth level wh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is connected.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전압이 상기 제2 레벨로 증가된 후 일정시간 유지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토브.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such that the output voltage of the power supply unit is increased to the second level and then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3 레벨은 상기 제2 레벨보다 낮은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토브.And the third level is lower than the second leve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주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temperature sensing portion for measuring an ambient temperature,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목표 온도를 입력받는데 이용되고,The user input unit is used to receive a target temperature from a us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 온도와 상기 주변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주변 온도가 상기 목표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단보다 많은 권선수를 갖는 입력단이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토브.Wherein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target temperature with the ambient temperature so that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target temperature, the input unit having more windings than the input unit connected to the output unit of the power supply un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unit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controls the switch.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주변 온도가 상기 목표 온도보다 허용치 이상 낮게 측정된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단보다 적은 권선수를 갖는 입력단이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토브.And controls the switch such that an input terminal having a smaller number of windings than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measured to be lower than the target temperature by an allowable value or less. Electric stove. 제1항의 전기 스토브를 기동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A control method for starting the electric stove of claim 1, 사용자로부터 기동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Receiving a start command from a user; 상기 기동 명령에 따라 상기 다수의 입력단 중 미리 결정된 제1 입력단을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에 연결하는 단계;Connecting a predetermined first input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start command;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 전압 레벨을 소정의 제1 시간 동안 소정의 제1 레벨에서 소정의 제2 레벨로 증가시키면서 예열 전압을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제1 입력단으로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a preheating voltage from the power supply to the first input while increasing an output voltage level of the power supply from a predetermined first level to a predetermined second level for a predetermined first time; 상기 예열 전압이 상기 제2 레벨을 일정 시간 유지되면서 상기 제1 입력단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단계;Providing the preheat voltage to the first input while maintaining the second level for a period of time; 상기 제1 입력단보다 적은 권선수를 갖는 제2 입력단이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스위칭 제어하는 단계;Switching control of the switch so that a second input terminal having a smaller number of turns than the first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 전압 레벨을 상기 제2 레벨에서 소정의 제3 레벨로 낮춘 후 소정의 제4 레벨로 증가시키면서 상기 제2 입력단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토브 제어 방법.Supplying the power supply to the second input while lowering the output voltage level of the power supply unit from the second level to a predetermined third level and then increasing the output voltage level to a predetermined fourth level. 제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1 레벨 및 상기 제3 레벨은 모두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토브 제어 방법.Wherein the first level and the third level are both zero.
KR1020070129935A 2007-12-13 2007-12-13 Electric stov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9300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935A KR100930030B1 (en) 2007-12-13 2007-12-13 Electric stov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935A KR100930030B1 (en) 2007-12-13 2007-12-13 Electric stov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588A KR20090062588A (en) 2009-06-17
KR100930030B1 true KR100930030B1 (en) 2009-12-07

Family

ID=40991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935A KR100930030B1 (en) 2007-12-13 2007-12-13 Electric stov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03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359B1 (en) 2011-04-04 2013-02-2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Instrument tranformer type wide range voltage divider and current divider, measuring device including the divider
KR101442976B1 (en) 2013-05-20 2014-09-25 이근홍 Apparatus for power saving in melting furnace/heat treating furna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317A (en) * 1993-10-12 1995-05-17 이해림 Electronic heater
KR19980010162U (en) * 1996-08-01 1998-05-15 김광호 Microwave oven
KR19980030874A (en) * 1996-10-30 1998-07-25 배순훈 Pseudo-resonant power supply of video output device
KR19990084168A (en) * 1999-09-21 1999-12-06 임재천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 cook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317A (en) * 1993-10-12 1995-05-17 이해림 Electronic heater
KR19980010162U (en) * 1996-08-01 1998-05-15 김광호 Microwave oven
KR19980030874A (en) * 1996-10-30 1998-07-25 배순훈 Pseudo-resonant power supply of video output device
KR19990084168A (en) * 1999-09-21 1999-12-06 임재천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 cook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359B1 (en) 2011-04-04 2013-02-2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Instrument tranformer type wide range voltage divider and current divider, measuring device including the divider
KR101442976B1 (en) 2013-05-20 2014-09-25 이근홍 Apparatus for power saving in melting furnace/heat treating furn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588A (en)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72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management
US20210127463A1 (en)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5369773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KR102255923B1 (en) Cleaning apparatus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0930030B1 (en) Electric stov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635096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 heat-up of a glass-ceramic cooktop
JP2007135373A (en) Converter system and its output control method
CN112448586B (en) LLC resonant power converter,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controller
US64770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audible acoustical noise in a power supply transformer by shaping the waveform of a primary side inductor current
JP5045143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JP2013222389A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CN102437721A (en) High-voltage starting method and power supply management device
KR100930031B1 (en) Electric stove and its control method
JP2009211876A (en) Induction heating cooker
JP6352733B2 (en) Power supply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9125494A (en) Toilet seat temperature control device
WO2024024170A1 (en) Toilet seat device
JP4285320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JP4234554B2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JP2004334623A (en) Temperature controller
JP2003031351A (en) Cooking device
JP2007124739A (en) Electrical equipment
JP2009131097A (en) Switching power supply
JP2007294344A (en) Induction heating device
JP2006040550A (en) Electric floor hea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3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