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255B1 - 듀얼모드 단말기의 메시지 센터 접속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모드 단말기의 메시지 센터 접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255B1
KR100928255B1 KR1020020078920A KR20020078920A KR100928255B1 KR 100928255 B1 KR100928255 B1 KR 100928255B1 KR 1020020078920 A KR1020020078920 A KR 1020020078920A KR 20020078920 A KR20020078920 A KR 20020078920A KR 100928255 B1 KR100928255 B1 KR 100928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terminal
gsm
sms message
ac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1082A (ko
Inventor
소현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8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255B1/ko
Publication of KR20040051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25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DMA/IMT-2000 또는 CDMA/GSM 및 GSM/WCDMA 와 같은 2가지 이상의 듀얼밴드 듀얼모드(DBDM)를 사용하는 겸용 단말기에서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편리하게 액세스하기 위한 듀얼밴드 듀얼모드에서 단문메시지 액세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드에 상관없이 네트워크 정보를 바탕으로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하기 위한 식별번호가 입력되면 단말기 모드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모드를 체크한 결과 CDMA 모드이면 CDMA 식별번호에 의해 CDMA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모드를 체크한 결과 GSM/WCDMA 모드이면 GSM/WCDMA 식별번호에 의해 GSM/WCDMA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단말기 키패드상의 식별번호나 또는 단말기 메뉴상의 식별메뉴를 단말기 모드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선택을 해도 소정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해준다.

이동통신 단말기, CDMA, GSM, DBDM

Description

듀얼모드 단말기의 메시지 센터 접속 방법{Method for access the short message center in the dual mod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 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본 발명은 듀얼모드 단말기의 메시지 센터 접속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CDMA/IMT-2000 또는 CDMA/GSM 및 GSM/WCDMA 와 같은 2가지 이상의 듀얼밴드 듀얼모드(DBDM)를 사용하는 겸용 단말기에서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통일하여 액세스하기 위한 듀얼모드 단말기의 메시지 센터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서 무선 이동통신 기술은 음성통화를 위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동기방식의 시스템으로 부터 시작되었다.
그 후 이동통신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요구 및 기술적인 발전으로 동일 시스템을 사용하여 음성통화 외에 9.6 kbps 또는 14.4 kbps 의 대역폭을 이용한 데 이타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 후 거듭되는 기술적인 발전에 의하여 64.4 kbps 급의 데이타 통신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최근에는 144 kbps 급의 데이타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음성통화 위주의 무선통신을 144 kbps 급의 데이타 통신까지 가능하도록 한 것은 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표준규격 CDMA2000 1x 기술이다.
하지만, 상기한 CDMA2000 1x 기술로는 더 높은 데이타 방송(Broadcasting) 또는 더 높은 전송 속도를 원하는 고급 데이타 서비스 사용자를 만족시키지 못하여 데이타 서비스만을 위한 새로운 규격 CDMA2000 1x EVDO(EVolution Data Only 또는 EVolution Data Optimized)를 만들었다.
상기 CDMA2000 1x EVDO 기술을 동기방식에서 발전시킨 차세대(3G) 기술을 IMT-2000 시스템이라고 한다.
상기 규격 CDMA2000 1x EVDO는 CDMA2000 1x의 데이타 서비스 대역폭 보다 훨씬 넓은 대역폭을 지원한다.
순방향으로는 최대 2.4 Mbps 의 데이타 속도를 지원하며, 역방향으로는 최대 153.6 Mbps 의 데이타 속도를 지원한다.
상기 규격 CDMA2000 1x EVDO는 CDMA2000 1x 규격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과 대역폭을 지원하며, 동일한 지역에서 CDMA2000 1x 규격을 지원하는 시스템과 독립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기 위하여 두 시스템의 서비스를 모두 제공받는 영역에서 음성통화는 CDMA2000 1x 시스템을 이용하고, 데이타 서비스는 CDMA2000 1x 시스 템 및 EVDO 시스템을 이용하는 이중모드 무선 단말기가 출현 하였다.
한편, 현재 유럽에서 사용하고 있는 또다른 이동통신 시스템은 동기 방식을 사용하는 우리와는 달리 비동기 방식인 2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상용 서비스중인 GSM(Global Systems for Mobile communication)과 2.5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상용 서비스중인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의 경우 사용자 인증 및 암호화 절차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 및 암호화 절차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온 될때마다 단말기는 무조건 네트워크에 단말기를 이제부터 사용하겠다는 사용자의 의사표현인 등록절차를 필히 받아야만 한다.
상기 등록절차에는 부가(Attach) 등록절차와 위치 지역 업데이트(Location Area Update) 등록절차 및 경로 지역 업데이트(Routing Area Update) 등록절차 등이 있다.
상기한 등록절차들을 거치면서 그 과정중에 네트워크에서 필료시 사용자 인증 및 암호화 과정을 거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 인증 및 암호화 과정을 네트워크에서 실행함으로써 단말기(MS:Mobile Station)는 네트워크에 등록을 요청하게 되면 네트워크에서는 해당 단말기가 인증된 단말기 인지를 확인하는 인증절차(Authentication)와, 단말기와 네트워크간 전송되는 데이타를 암호화 할 지를 결정하는 암호화 절차(Ciphering)를 거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인증절차 및 암호화 절차는 전송되는 무선 음성이나 무선 데이타를 타 인에 의해 도청 및 악용되는 사례를 방지하기 위한 절차라고 할 수 있다.
만약 단말기와 네트워크간에 서로 암호화 절차를 통해 암호화가 결정되게 되면 서로간에 전송되는 데이타는 서로의 약속에 의해 암호화 되어진 상태로 전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비동기 방식의 GSM 이동통신 기술을 발전시킨 시스템을 비동기 방식의 차세대(3G) 기술인 WCDMA(wid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이라고 한다.
문제는 상기한 여러가지의 이동통신 기술들이 서로 다르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서로 호환성이 없다.
이와같이 서로 호환성이 없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2가지 이상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단말기를 DBDM(dual band dual mode) 단말기라고 한다.
상기한 CDMA 단말기나 또는 GSM 단말기에서 하부 레이어는 그 사양(spec)이 완전히 다르지만 상부 레이어는 그 사양이 유사하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라디오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서로 다르지만 SMS 메시지를 처리하는 등의 상부 레이어 기능은 서로 유사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한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동기방식의 CDMA 단말기에서는 음성사서함을 액세스하기 위하여 단말기 키패드상의 "* 88" 을 가압하여 사용하고 있고, 유럽에서 사용하고 있는 비동기방식의 GSM 단말기에서는 음성사서함을 액세스하기 위하여 단말기 키패드상의 "* 23" 등을 가압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상기 GSM 단말기에서는 SMS 메시지 확인용 전화번호를 사업자가 할당하여 USIM(UMTS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에 저장해 놓고 이를 액세스해서 사용한다.
유럽에서 상기 "* 88" 을 사용할 때는 SS 스팩(Supplementary Service spec)상에서 사용하고있다.
상기와 같이 2가지 이상의 방식을 사용하는 DBDM 단말기에서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접속하기 위하여 음성사서함을 액세스할 때 단말기 사용자는 서로다른 액세스번호를 사용함으로써 혼란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CDMA/IMT-2000 또는 CDMA/GSM 및 GSM/WCDMA와 같은 2가지 이상의 듀얼밴드 듀얼모드(DBDM)를 사용하는 겸용 단말기에서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편리하게 액세스하기 위한 듀얼밴드 듀얼모드에서 단문메시지 액세스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드에 상관없이 네트워크 정보를 바탕으로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하기 위한 식별번호가 입력되면 단말기 모드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모드를 체크한 결과 CDMA 모드이면 CDMA 식별번호에 의해 CDMA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모드를 체크한 결과 GSM/WCDMA 모드이면 GSM/WCDMA 식별번호에 의해 GSM/WCDMA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CDMA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하는 단계는 단말기의 키패드 입력동작 으로 "* 88" 식별번호에 의하여 동작되도록 하고,
상기 GSM/WCDMA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하는 단계는 USIM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번호를 읽은 다음,
상기 식별번호가 SMS 센터 번호와 서로 동일한지 판단하여 서로 동일하면 GSM/WCDMA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 하도록한다.
상기 식별번호가 SMS 센터 번호와 서로 동일한지 판단하여 서로 동일하지 않으면 SS 서비스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한 결과 SS 서비스이면 GSM/WCDMA SS 서비스를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드에 상관없이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하기 위한 식별메뉴가 선택되면 단말기 모드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모드를 체크한 결과 CDMA 모드이면 CDMA 메뉴선택에 의해 CDMA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모드를 체크한 결과 GSM/WCDMA 모드이면 GSM/WCDMA 메뉴선택에 의해 GSM/WCDMA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CDMA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하는 단계는 단말기의 내부적인 동작으로 "* 88" 식별번호에 의하여 동작되도록 하고,
상기 GSM/WCDMA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하는 단계는 단말기의 USIM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번호를 읽어서 처리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CDMA 모드를 사용하기도 하고, IMT-2000 모드를 사용하기도 하며, 또는 GSM 모드를 사용하거나 WCDMA 모드를 사용하는 등의 이외에도 다양한 모드를 사용한다.
동작이 시작되면 상기와 같이 서로다른 다양한 모드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이 SMS 메시지나 음성 메시지등을 이용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바탕으로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바탕으로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 접속을 위하여 단말기 사용자는 임의의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 접속 번호를 누르(101)게 된다.
이때의 접속번호는 단말기의 키패드상에서 "* 88" 번호나 또는 "* 23" 번호 이외에도 단말기의 모드에 따라 다양한 기타 접속번호(임의의 식별번호)를 누르게된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모드의 단말기 사용자가 어떤 접속번호를 누르던지에 상관없이 단말기는 입력된 접속번호에 따라 모드를 체크(102)한다.
상기 모드 체크(102)결과 CDMA 모드이면 단말기의 키패드상에서 실시예로서 "* 88" 번호가 눌러졌는지 판단(103) 하여 안눌러졌으면 단말기 사용자가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 접속할 의사가 없는 것이므로 동작을 종료하고, 상기 판단(103)결과 "* 88" 번호가 눌러졌다면 단말기 사용자가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 접속할 의사가 있는 것 이므로 CDMA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104) 해주고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모드 체크(102) 결과 GSM/WCDMA 모드이면 단말기의 USIM에 저장되어있는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액세스 번호를 읽(105)은 다음, 읽혀진 번호가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액세스 번호와 동일한지 판단(106) 하여 동일하면 GSM/WCDMA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107) 해주고 동작을 종료한다.
여기에서의 상기 USIM에 저장되어있는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액세스 번호는 실시예로서 "* 23" 번 이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식별번호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읽혀진 번호가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액세스 번호와 동일한지 판단(106)한 결과 동일하지 않으면 SS 서비스를 체크(108)한다.
상기 SS 서비스를 체크(108)한 결과 읽혀진 번호가 SS 서비스도 아니면 단말기 사용자가 메시지 서비스를 시도할 의사가 없는 것이므로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SS 서비스를 체크(108)한 결과 상기 읽혀진 번호가 SS 서비스이면 단말기 사용자가 SS 서비스를 받고자 원하는 것이므로 GSM/WCDMA의 SS 서비스를 동작 시켜주고 종료한다.
여기에서 상기 SS 서비스를 체크(108)하는 과정은 GSM/WCDMA 모드에서 "* 88" 번호가 CDMA 모드에서 "* 88" 번호와 서로다른 의미로 사용되므로 이를 확인하고 처리하기 위한 과정이다.
즉, 상기 GSM/WCDMA 모드에서 "* 88" 번호는 SS 서비스 스팩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번호이므로 해당 스팩에 맞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체크하는 과정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 우차트이다.
도 2 에서 상기 도 1 에서와 마찬가지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CDMA 모드를 사용하기도 하고, IMT-2000 모드를 사용하기도 하며, 또는 GSM 모드를 사용하거나 WCDMA 모드를 사용하는 등의 이외에도 다양한 모드를 사용한다.
동작이 시작되면 상기와 같이 서로다른 다양한 모드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이 SMS 메시지나 음성 메시지등을 이용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바탕으로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 접속을 시도하게된다.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바탕으로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 접속을 위하여 단말기 사용자는 단말기 메뉴 상에서 임의의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하기 위한 접속 메뉴를 선택(201)하게 된다.
도 2 가 상기 도 1 과 다른점은 도 1 에서는 단말기 사용자가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 접속을 위하여 단말기 키패드상에 있는 접속번호를 눌러서 이용하였지만, 도 2 에서는 단말기 사용자가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 접속을 위하여 단말기 메뉴상에 있는 접속메뉴를 선택하여 이용하는 것이 다르다.
상기 접속메뉴 선택도 단말기 모드에 따라 서로다른 접속메뉴를 가지고 있으므로 우선 모드를 체크(202)한다.
상기 모드를 체크(202)한 결과 CDMA 모드이면 단말기 내부적인 동작으로는 "* 88"로 동작(203)하여 CDMA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204) 해주고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모드를 체크(202)한 결과 GSM/WCDMA 모드이면 단말기 내부적인 동작으로는 USIM에 저장되어있는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 하기위한 번호를 읽(205)은 다음 이 번호에 따라 GSM/WCDMA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206) 해주고 동작을 종료한다.
여기에서의 상기 USIM에 저장되어있는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액세스 번호는 실시예로서 "* 23" 번 이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식별번호가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통하여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 해주면 단말기 사용자는 본인이 원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CDMA/IMT-2000 또는 CDMA/GSM 및 GSM/WCDMA 와 같은 2가지 이상의 듀얼밴드 듀얼모드(DBDM)를 사용하는 겸용 단말기 사용자들에게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하기 위한 단말기 키패드상의 식별번호나 또는 단말기 메뉴상의 식별메뉴를 모드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선택을 해도 소정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해준다.

Claims (9)

  1. 듀얼모드 단말기의 메시지 센터 접속 방법에 있어서,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하기 위한 임의의 식별번호가 입력되면, 단말기의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모드 확인 결과 상기 듀얼모드 중 CDMA 모드이면, CDMA 식별번호에 의해 CDMA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드 확인 결과 상기 듀얼모드 중 GSM/WCDMA 모드이면, GSM/WCDMA 식별번호에 의해 GSM/WCDMA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에서 단문메시지 액세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DMA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하는 단계는 단말기의 키패드 입력동작으로 "* 88" 식별번호에 의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메시지 센터 접속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GSM/WCDMA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하는 단계는 USIM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번호를 추출 후,
    상기 식별번호가 SMS 센터 번호와 동일한지 판단하여 동일하면, GSM/WCDMA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메시지 센터 접속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USIM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번호는 "* 23"번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메시지 센터 접속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번호가 SMS 센터 번호와 서로 동일한지 판단하여 서로 동일하지 않으면 SS 서비스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SS 서비스이면, GSM/WCDMA SS 서비스를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메시지 센터 접속 방법.
  6.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하기 위한 접속메뉴가 선택되면 단말기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모드를 체크한 결과 현재 모드가 CDMA 모드이면 CDMA 메뉴선택에 의해 CDMA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모드를 체크한 결과 현재 모드가 GSM/WCDMA 모드이면 GSM/WCDMA 메뉴선택에 의해 GSM/WCDMA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메시지 센터 접속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CDMA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하는 단계는 단말기의 내부적인 동작으로 "* 88" 식별번호에 의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메시지 센터 접속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GSM/WCDMA SMS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액세스하는 단계는 단말기의 USIM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번호를 읽어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메시지 센터 접속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USIM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번호는 "* 23"번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메시지 센터 접속 방법.
KR1020020078920A 2002-12-11 2002-12-11 듀얼모드 단말기의 메시지 센터 접속 방법 KR100928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920A KR100928255B1 (ko) 2002-12-11 2002-12-11 듀얼모드 단말기의 메시지 센터 접속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920A KR100928255B1 (ko) 2002-12-11 2002-12-11 듀얼모드 단말기의 메시지 센터 접속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082A KR20040051082A (ko) 2004-06-18
KR100928255B1 true KR100928255B1 (ko) 2009-11-24

Family

ID=37345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920A KR100928255B1 (ko) 2002-12-11 2002-12-11 듀얼모드 단말기의 메시지 센터 접속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2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270B1 (ko) * 2006-12-21 201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모드 단말기 및 그의 모니터링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2642A (ko) * 1996-02-16 1999-11-25 도날드 디. 먼둘 Sim 카드를 포함하는 듀얼 모드/대역 설비를 이용하여로밍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00042820A (ko) * 1998-12-26 2000-07-15 이계철 서로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단문서비스 제공방법
WO2001060088A1 (en) * 2000-02-11 2001-08-1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torage control
KR20020037564A (ko) * 2000-11-14 2002-05-22 조정남 동기 시스템과 비동기 시스템간의 핸드오프 방법
KR20030014031A (ko) * 2001-08-10 2003-02-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망간 연동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2세대 망에서발신된 단문 메시지의 착신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2642A (ko) * 1996-02-16 1999-11-25 도날드 디. 먼둘 Sim 카드를 포함하는 듀얼 모드/대역 설비를 이용하여로밍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00042820A (ko) * 1998-12-26 2000-07-15 이계철 서로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단문서비스 제공방법
WO2001060088A1 (en) * 2000-02-11 2001-08-1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torage control
KR20020037564A (ko) * 2000-11-14 2002-05-22 조정남 동기 시스템과 비동기 시스템간의 핸드오프 방법
KR20030014031A (ko) * 2001-08-10 2003-02-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망간 연동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2세대 망에서발신된 단문 메시지의 착신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082A (ko) 200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97341B (zh) 傳送行動台發起請求的方法
TWI552566B (zh) 通信裝置及其人機界面顯示方法
US6714799B1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SIM card in CDMA service area
JP4537409B2 (ja) 移動端末の使用法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JP3995027B2 (ja) セルラ電話ネットワーク内の短メッセージサービスメッセージの流れ制御
US798370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initialization procedure
KR20050039834A (ko) 다중-모드 네트워크 환경에서 호출 발신을 위한 시스템 및기술
JP4988348B2 (ja) 自動呼発生の操作方法及びマルチ−ネットワークモバイル装置上のシステム決定
US200301334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CDMA mobile with GSM core infrastructure
JP2006121334A (ja) 情報通信端末及び通信管理システム
US20070105532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e-saving personal data for a subscriber to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7197311B2 (en) Data routing in 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CN102695244B (zh) 根据服务通信类型选择基站收发机系统的方法和设备
KR100928255B1 (ko) 듀얼모드 단말기의 메시지 센터 접속 방법
CA262368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e equipment depersonalization
KR100559599B1 (ko) 로밍 히스토리를 이용한 사용자 선호 망 리스트 설정방법
US7403776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ssion of electronic mail in a digital mode
CA254546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 mode selection during an evdo traffic state
KR2004006728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프로비져닝을수행하는 프로비져닝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