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034B1 - 이종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종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034B1
KR100928034B1 KR1020090020334A KR20090020334A KR100928034B1 KR 100928034 B1 KR100928034 B1 KR 100928034B1 KR 1020090020334 A KR1020090020334 A KR 1020090020334A KR 20090020334 A KR20090020334 A KR 20090020334A KR 100928034 B1 KR100928034 B1 KR 100928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creen
image
image content
content
compr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의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트로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트로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트로피테크
Priority to KR1020090020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5Adapting incoming signals to the display format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6Colour space trans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시스템의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유선 시스템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의 평판 패널로 구현된 표시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이종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을 이용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1시스템이 제1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1표시 화면으로 표시하고, 상기 영상 컨텐츠를 압축한 후 시변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전송 데이터로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2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2시스템이 상기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처리하여 제2표시 화면을 통해 상기 영상 컨텐츠를 표시한다.

Description

이종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Method for transmitting data and system for using thereof in heterogeneous system}
본 발명은 이종(heterogeneous)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시스템의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유선 시스템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의 평판 패널 등으로 구현된 표시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이종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을 이용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선 시스템으로 영상 표시 시스템은 LCD 패널 또는 PDP 등의 평판 패널로 구현된 표시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동영상, 그림, 문자 등을 표시한다. 또한, 현재의 영상 표시 시스템은, 다양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디지털 영상 신호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도록 하거나, 또는 컨텐츠 영상(예컨대 동영상, 그림 등)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컨텐츠 영상을 표시 화면을 통해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의 표시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LCD 패널 또는 PDP 등의 평판 패널에 의해 구현됨에 따라 대형화되며, 사용자는 영상 표시 시스템의 대형 표시 화면을 통해 다양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상기 대형 표시 화면은 TV, PC, 빔 프로젝터 등의 표시 화면이 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무선 시스템은 단말기의 표시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또는 컨텐츠 영상 등의 다양한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의 표시 화면이 소형의 LCD 패널로 구현됨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기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디지털 방송 또는 컨텐츠 영상을 시청한다. 상기 소형 표시 화면은 휴대 단말기(wireless terminal)로 휴대 전화기(mobile phone), 휴대용 컴퓨터(note-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표시 화면이 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무선 시스템 또는 유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영상을 다른 시스템을 통해 시청, 예컨대 무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영상을 유선 시스템을 통해 시청, 또는 유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영상을 무선 시스템을 통해 시청하고자 한다. 특히, 사용자는 무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시청하는 영상을 영상 표시 시스템의 대형 표시 화면을 통해 시청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을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시청하고자 할 경우, 예컨대 디지털 방송 공동 시청, 화상 회의, 회의 참고 영상 공동 시청 등의 경우, 단말기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한 공동 시청은 매우 어려움으로 대형 표시 화면을 통한 시청이 필요하다.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단말기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를 영상 표시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며, 특히 상기 영상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단말기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를 상기 단말기에서 영상 표시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구체적인 방안이 존재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영상 컨텐츠에 해당하는 데이터는 대용량을 가지며, 이러한 대용량의 데이터를 이종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구체적인 방안이 없다.
따라서, 영상 컨텐츠에 해당하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이종 시스템 간에 전송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며, 특히 무선 시스템의 단말기에서 영상 컨텐츠를 유선 시스템의 영상 표시 시스템으로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아울러,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으로 실시간으로 전송한 영상 컨텐츠를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에서 저장 및 편집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종 시스템에서 대용량의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을 이용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종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시스템의 표시 화면들을 통해 다양한 영상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을 이용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종 시스템에서 무선 시스템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를 영상 표시 시스템의 대형 표시 화면으로 동시에 표시하도록 영상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을 이용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 시스템인 제1시스템과,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PDP(Plasma Display Panel) 및 스크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현된 표시 화면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인 제2시스템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시스템이 제1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제1표시 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모바일 미들웨어 플랫폼상의 모바일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제1표시 화면을 타일, 셀, 픽셀 단위로 정규화하여 캡쳐하는 단계; 상기 캡쳐를 통해 획득한 RGB 방식의 영상 컨텐츠를 YUV 방식의 영상 컨텐츠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YUV 방식의 영상 컨텐츠에서 Y 성분, U 성분, V 성분의 각 데이터 비트에서 1/2 비트들을 '0'으로 변환하여 영상 컨텐츠를 압축 편집하는 단계; 상기 제2시스템으로 이전 프레임에서 전송한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와 현재 프레임에서 전송할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비교하여, 상기 이전 프레임을 구성하는 타일에서 상기 현재 프레임을 구성하는 타일 간의 변화된 타일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전송할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에서 상기 전송한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와 공통된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변화된 타일들만으로 최적화된 전송 프레임을 구성하여, 구성된 상기 전송 프레임을 상기 제2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시스템이 상기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YUV 방식의 영상 컨텐츠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YUV 방식의 영상 컨텐츠를 RGB 방식의 영상 컨텐츠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RGB 방식의 영상 컨텐츠로 변환된 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1표시 화면으로 표시되는 상기 영상 컨텐츠와 동시에 상기 제2시스템이 제공하는 제2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 시스템으로서, 제1표시 화면을 통해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영상 컨텐츠를 제2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1시스템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PDP(Plasma Display Panel) 및 스크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현된 표시 화면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2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상기 제2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이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시스템은; 상기 제1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할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제1표시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1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모바일 미들웨어 플랫폼상의 모바일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타일, 셀, 픽셀 단위로 정규화하여 캡쳐하고, 상기 캡쳐를 통해 획득한 RGB 방식의 영상 컨텐츠를 YUV 방식의 영상 컨텐츠로 변환하여, 상기 YUV 방식의 영상 컨텐츠에서 Y 성분, U 성분, V 성분의 각 데이터 비트에서 1/2 비트들을 '0'으로 변환하여 상기 YUV방식의 영상 컨텐츠를 압축 편집하며, 상기 제2시스템으로 이전 프레임에서 전송한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와 현재 프레임에서 전송할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비교하여, 상기 이전 프레임을 구성하는 타일에서 상기 현재 프레임을 구성하는 타일 간의 변화된 타일을 검색하고, 상기 전송할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에서 상기 전송한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와 공통된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변화된 타일들만으로 최적화된 전송프레임을 구성하여 상기 제2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2시스템은; 상기 제1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여 YUV 방식의 영상 컨텐츠로 변환하고, 상기 YUV 방식의 영상 컨텐츠를 RGB 방식의 영상 컨텐츠로 변환하여, 상기 RGB 방식의 영상 컨텐츠로 변환된 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1표시 화면으로 표시되는 상기 영상 컨텐츠와 동시에 상기 제2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종 시스템에서 무선 시스템의 소형 표시 화면, 예컨대 단말기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를 압축함으로써, 상기 영상 컨텐츠를 영상 표시 시스템으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며, 그에 따라 단말기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를 영상 표시 시스템의 대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단말기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를 영상 표시 시스템의 대형 표시 화면으로 다수의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이종 시스템에서 영상 컨텐츠를 이종 시스템의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을 이용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이종 시스템은 제1시스템, 예컨대 무선 시스템과 제2시스템, 예컨대 유선 시스템으로 영상 표시 시스템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의 평판 패널로 구현된 표시 화면을 통해 영상, 그림, 문자 등을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를 영상 표시 시스템의 대형 표시 화면을 통해 동시에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을 이용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의 표시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LCD 패널 또는 PDP 등의 평판 패널에 의해 구현된 대형 표시 화면으로 예컨대 TV, PC, 빔 프로젝트 등의 표시 화면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표시 화면은 은 소형의 LCD 패널로 구현된 표시화면으로 예컨대 휴대 단말기(wireless terminal)로 휴대 전화기(mobile phone), 휴대용 컴퓨터(note-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표시 화면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컨텐츠는 단순한 영상, 그림, 문자 등에 해당하는 소용량 영상 컨텐츠 또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 영상(예컨대 동영상, 멀티미디어 영상) 등 에 해당하는 대용량 영상 컨텐츠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 컨텐츠는 컨텐츠 서버에서 생성되며, 상기 무선 시스템의 단말기는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또는 무선 시스템 또는 이종 시스템을 제어 및 관리하는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시스템에서는, 단말기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압축 편집한 후 영상 표시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그에 따라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의 대형 표시 화면을 통해 동시에 영상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은 단말기로부터 압축 편집되어 전송된 영상 컨텐츠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시스템은, 단말기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을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시청하고자 할 경우, 예컨대 디지털 방송 공동 시청, 화상 회의, 회의 참고 영상 공동 시청 등의 경우, 단말기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을 영상 표시 시스템의 대형 표시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하며, 그에 따라 단말기의 영상 컨텐츠를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시청할 수 있다. 그러면 여기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시스템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은 이종 시스템에서 제1시스템은 무선 시스템으로 가정하고, 제2시스템은 영상 표시 시스템으로 가정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종 시스템은, 단말기(112)를 포함하는 무선 시스 템(110), 및 본체(122)와 모니터(124)로 구성된 PC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1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112)는 소형 LCD 패널로 구현된 소형 표시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LCD 패널, PDP, 또는 스크린 등으로 구현된 대형 표시 화면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 시스템(110)은 컨텐츠 서버 또는 관리 서버로부터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컨텐츠를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를 압축 편집하고, 상기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실시간 및 고속으로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120)은 상기 무선 시스템(110)으로부터 수신한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복호하여 대형 표시 화면을 통해 영상 컨텐츠를 상기 무선 시스템(110)의 소형 표시 화면과 동시에 표시한다. 그러면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시스템에서 무선 시스템(11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시스템에서 제1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2는 제1시스템으로 무선 시스템(11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시스템(110)은, 컨텐츠 서버 또는 관리 서버로부터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210), 상기 수신부(210)가 수신한 영상 컨텐츠를 표시 화면으로 표시하고 음향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영상 컨텐츠를 복호하는 복호부(220), 상기 복호된 영상 컨 텐츠를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표시부(230), 상기 복호된 음향을 출력하는 출력부(240), 상기 수신한 영상 컨텐츠 및 복호된 영상 컨텐츠를 압축 편집하는 편집부(250), 상기 수신한 영상 컨텐츠 및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260), 상기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영상 표시 시스템(120)으로 전송하는 송신부(270), 및 상기 무선 시스템(110)의 모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8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수신부(210)가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면, 상기 복호부(220)는 상기 영상 컨텐츠를 복호하여 소형 표시 화면을 구비한 표시부(230)를 통해 상기 영상 컨텐츠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편집부(250)는 상기 수신한 영상 컨텐츠를 압축 편집하거나, 상기 복호된 영상 컨텐츠를 압축 편집하거나, 또는 상기 표시부(230)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를 압축 편집한다. 그리고, 상기 편집부(250)는 상기 압축 편집한 영상 컨텐츠를 송신부(270)를 통해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120)으로 실시간 및 고속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260)는 송신부(270)가 전송한 영상 컨텐츠를 저장하며, 송신부(270)는 이전 프레임에서 저장된 영상 컨텐츠와 현재 프레임에서 전송할 영상 컨텐츠를 비교하고, 상기 전송할 영상 컨텐츠에서 상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와 상이한 부분의 영상 컨텐츠만을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120)으로 전송하여 영상 컨텐츠의 실시간 및 고속 전송을 보다 향상시킨다. 이때, 상기 저장부(260)는 이전 프레임에서 저장된 영상 컨텐츠와 현재 프레임에서 전송할 영상 컨텐츠를 비교하기 위해 영상 컨텐츠를 저장하는 버퍼를 2개 이상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여기 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무선 시스템(110)에서의 영상 컨텐츠의 압축 편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시스템에서 데이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무선 시스템(110)이 전송하는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에 해당하는 데이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시스템에서 제1시스템의 데이터 압축 편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상기 무선 시스템(110)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압축 편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무선 시스템(110)이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를 압축 편집하는 경우, 다시 말해 상기 무선 시스템(110)의 편집부(250)가 상기 수신부(210)가 수신한 영상 컨텐츠, 상기 복호부(220)가 복호한 영상 컨텐츠, 상기 표시부(230)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 중에서 상기 표시부(230)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를 압축 편집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표시부(230)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를 압축 편집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전술한 경우들(즉, 상기 수신부(210)가 수신한 영상 컨텐츠를 압축 편집하거나, 상기 복호부(220)가 복호한 영상 컨텐츠를 압축 편집하는 경우) 및 다른 경우들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상기 무선 시스템(110)의 편집부(250)는 모바일 미들웨어 플랫폼 상의 모바일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230)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의 영상 및 이미지를 화면 캡쳐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230)의 소형 표시 화면은 일반적으로 240×320의 해상도를 가짐으로 240×320 픽셀(pixl) 구조를 갖는다. 이때, 각 픽셀의 데이터가 24비트임으로 1프레임의 전송 데이터 양은 230K바이트(byte)가 되며, 상기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재생되는 영상은 5~10 프레임 정도임으로 영상 표시 시스템(120)이 상기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재생되는 영상을 정상적으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상기 영상이 3~5 프레임 정도가 되어야 한다. 그에 따라, 상기 편집부(250)는 모바일 미들웨어 플랫폼 상의 모바일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화면 캡쳐한 후, 상기 캡쳐한 화면 데이터, 즉 상기 표시부(230)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를 1/4로 압축 편집하여 영상 표시 시스템(120)으로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편집부(250)는, 상기 240×320 픽셀을 갖는 하나의 소형 표시 화면을 15×20의 타일(tile)로 정규화하고, 하나의 타일을 4×4의 셀(cell)로 정규화하며, 하나의 셀을 4×4의 픽셀로 정규화한다. 여기서, 상기 편집부(250)가 캡쳐한 화면의 데이터, 즉 영상 컨텐츠는 프레임(410)으로 전송된다. 각 프레임(410)은, 프레임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 컨텐츠에 해당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header)(412)와 영상 컨텐츠에 해당하는 실제 데이터가 전송되는 페이로드(payload)(4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헤더(412)는 2바이트의 프레임(410) 식별자(ID), 2바이트의 디버그(debug), 및 상기 프레임(410)을 통해 전송되는 타일 개수를 지시하는 2바이트의 타일 개수를 포함하며, 상기 페이로드(414)는 각각 192바이트의 n개의 타일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 타일(420)은 2바이트의 타일 번호 및 각각 12바이트의 16개의 셀을 포함하고, 각 셀(430)은 3바이트를 갖는 16개의 픽셀을 포함하며, 1 셀(440)은 4개의 픽셀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상기 편집부(250)가 캡쳐한 영상 화면, 즉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가 RGB(Red, Green, Bule) 방식의 데이터임으로, 상기 편집부(250)는 12바이트를 갖는 RGB 데이터(510), 즉 원 데이터를 YUV 변환하여 6바이트를 갖는 YUV 데이터(520)로 압축 편집한다. 그리고, 상기 편집부(250)는 4개의 픽셀을 갖는 셀(440) 데이터로 변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편집부(250)는 Y, U, V 성분 별로 1바이트를 갖는 YUV 데이터(520)에서, 1바이트의 Y, U, V 성분 별 데이터가 8비트를 가짐으로 상기 8비트에서 4비트에 해당하는 값을 '0'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편집부(250)는 4개의 Y 성분과 1개씩의 U, V 성분에서 8비트 중 4개의 비트가 각각 '0'으로 변환됨에 따라 두개의 비트를 각각 결합하며, 이러한 변환 방식을 이용하여 편집부(250)는 6바이트를 갖는 YUV 데이터(520)를 3바이트를 갖는 압축 데이터(530)로 압축 편집한다. 여기서, 상기 편집부(250)가 상기 8비트에서 4비트에 해당하는 값을 '0'으로 변환할 경우,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색상에 작은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나 전체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에서는 변화의 영향이 미비하다.
이렇게 편집부(250)는 표시부(230)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를 1/4의 사이즈로 압축 편집하고, 상기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 즉 압축 데이터(530)를 송신부(27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부(270)는 상기 편집 부(270)로부터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 즉 압축 데이터(530)를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12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230)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영상 컨텐츠가 1/4의 사이즈로 압축 편집된 후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120)으로 실시간 및 고속으로 전송됨에 따라, 상기 무선 시스템(110)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가 영상 표시 시스템(120)의 대형 표시 화면을 통해 동시에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이때, 상기 저장부(260)는 송신부(270)가 전송하는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저장하며, 상기 송신부(270)는, 상기 저장부(260)에 저장된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와 편집부(250)로부터 수신한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비교한다. 다시 말해, 상기 송신부(270)는 이전 프레임에서 송신부(270)가 전송한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즉, 상기 저장부(260)에 저장된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와 현재 프레임에서 전송할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즉, 편집부(250)로부터 수신한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부(270)는, 현재 프레임에서 전송할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에서, 이전 프레임에서 전송한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와 공통된 부분을 제외하고 변화된 타일, 다시 말해 공통 부분을 제외한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영상 표시 시스템(120)으로 전송한다. 즉, 두 영상 컨텐츠에 해당하는 프레임에서 변화된 타일을 검색하고, 전송을 위해 검색된 타일만으로 최적화된 전송 프레임을 구성한 후, 상기 최적화된 전송 프레임을 전송하여 영상 컨텐츠를 고속으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상기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는 보다 실시간 및 고속으로 영상 표시 시스템(120)으로 전송된다. 그러면 여기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시스템에서 영상 표시 시스템(12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시스템에서 제2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2는 이종 시스템에서 제2시스템은 영상 표시 시스템으로 가정하고, 제1시스템은 무선 시스템으로 가정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120)은, 무선 시스템(110)으로부터 상기 무선 시스템(110)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310), 상기 수신부(310)가 수신한 영상 컨텐츠를 복호하는 복호부(320), 상기 수신부(310)가 수신한 영상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330), 상기 복호부(320)가 복호한 복호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340), 상기 복호부(320)가 복호한 음향을 출력하는 출력부(350), 및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120)의 모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부(310)가 수신한 영상 컨텐츠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시스템(110)이 자신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를 압축 편집하여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120)으로 실시간 및 고속으로 전송한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120)의 복호부(320)는 상기 수신부(310)가 상기 무선 시스템(110)으로부터 수신한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복호하고, 상기 복호된 영상 컨텐츠가 표시부(340)의 대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복호부(320)는, 상기 무선 시스템(110)의 편집부(250)가 수행한 동작을 역수행, 즉 상기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로 압축 데이 터(530)를 수신하면, 상기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의 압축을 해제하여 YUV 방식의 영상 컨텐츠로 변환, 즉 상기 압축 데이터(530)를 YUV 데이터(520)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복호부(250)는, 상기 YUV 방식의 영상 컨텐츠, 즉 YUV 데이터(520)를 RGB 방식의 영상 컨텐츠로 변환, 즉 RGB 데이터(510)로 변환한다.
상기 RGB 방식의 영상 컨텐츠로 변환한 복호부(320)는 상기 영상 컨텐츠를 표시부(340)로 전송하여 표시부(340)의 대형 표시 화면을 통해 상기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330)는 상기 영상 컨텐를 저장 관리한다. 이렇게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120)의 대형 표시 화면을 통해 상기 영상 컨텐츠가 표시됨에 따라, 무선 시스템(110)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가 실시간으로 동시에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120)의 대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된다. 그러면 여기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시스템에서 무선 시스템(110)의 동작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시스템에서 제1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6은 이종 시스템에서 제1시스템이 무선 시스템(110)인 것으로 가정하여 상기 무선 시스템(11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610단계에서 상기 무선 시스템(110)은 자신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 컨텐츠를 컨텐츠 서버 또는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그런 다음, S620단계에서 상기 무선 시스템(110)은 수신한 영상 컨텐츠를 자신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를 압축 편집 한다. 이때, 상기 무선 시스템(110)은 상기 컨텐츠 서버 또는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영상 컨텐츠를 압축 편집하거나, 소형 표시 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해 복호된 영상 컨텐츠를 복호하거나, 또는 상기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캡쳐하여 압축 편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시스템(110)은 RGB 방식의 영상 컨텐츠를 YUV 방식의 영상 컨텐츠로 변환하여 압축 편집하고, 상기 YUV 방식의 영상 컨텐츠의 데이터 비트에서 일부 데이터 비트를 '0'으로 변환 결합하여, 상기 RGB 방식의 영상 컨텐츠를 1/4의 사이즈로 압축 편집한다. 상기 무선 시스템(110)의 영상 컨텐츠의 압축 편집 동작에 대해서는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음으로, 여기서는 그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S630단계에서 상기 무선 시스템(110)은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영상 표시 시스템(120)으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무선 시스템(110)은 이전 프레임에서 전송한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와 현재 프레임에서 전송할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비교하고, 현재 프레임에서 전송할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에서 이전 프레임에서 전송한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와 공통된 부분을 제외하여 전송한다. 상기 무선 시스템(110)의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의 전송 동작에 대해서는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음으로, 여기서는 그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렇게 무선 시스템(110)이 자신의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를 압축 편집하고, 상기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이전 프레임에서 전송한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와 비교한 후, 상기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전송함에 따라, 영상 표시 시스템(120)으로 소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를 실시간 및 고속으로 전송하며, 그 결과 영상 컨텐츠를 무선 시스템(110)의 소형 표시 화면과 영상 표시 시스템(120)의 대형 표시 화면을 통해 동시에 표시한다. 그러면 여기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시스템에서 영상 표시 시스템(120)의 동작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시스템에서 제2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7은 이종 시스템에서 제2시스템이 영상 표시 시스템(120)인 것으로 가정하여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12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710단계에서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120)은 자신의 대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하고자 하는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상기 무선 시스템(110)으로부터 수신한다. 그런 다음, S720단계에서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120)은 수신한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자신의 대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하기 위해, 상기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처리(processing), 즉 압축 해제 편집한다. 이때,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120)은 상기 무선 시스템(110)의 압축 편집 동작을 역수행, 즉 상기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상기 YUV 방식의 영상 컨텐츠로 변환하고, 상기 YUV 방식의 영상 컨텐츠를 RGB 방식의 영상 컨텐츠로 변환한다.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120)의 영상 컨텐츠의 압축 편집 역동작에 대해서는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음으로, 여기서는 그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S730단계에서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120)은 RGB 방식의 영상 컨텐츠를 자신의 대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한다. 이때, 자신의 대형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RGB 방식의 영상 컨텐츠를 저장한다.
이렇게 영상 표시 시스템(120)이 무선 시스템(110)으로부터 전송된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RGB 방식의 영상 컨텐츠로 변환함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무선 시스템(110)의 소형 표시 화면과 영상 표시 시스템(120)의 대형 표시 화면을 통해 동시에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시스템 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통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시스템에서 제1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시스템에서 제2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시스템에서 데이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시스템에서 제1시스템의 데이터 압축 편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시스템에서 제1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시스템에서 제2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Claims (24)

  1.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 시스템인 제1시스템과,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PDP(Plasma Display Panel) 및 스크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현된 표시 화면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인 제2시스템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시스템이 제1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제1표시 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모바일 미들웨어 플랫폼상의 모바일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제1표시 화면을 타일, 셀, 픽셀 단위로 정규화하여 캡쳐하는 단계;
    상기 캡쳐를 통해 획득한 RGB 방식의 영상 컨텐츠를 YUV 방식의 영상 컨텐츠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YUV 방식의 영상 컨텐츠에서 Y 성분, U 성분, V 성분의 각 데이터 비트에서 1/2 비트들을 '0'으로 변환하여 영상 컨텐츠를 압축 편집하는 단계;
    상기 제2시스템으로 이전 프레임에서 전송한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와 현재 프레임에서 전송할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비교하여, 상기 이전 프레임을 구성하는 타일에서 상기 현재 프레임을 구성하는 타일 간의 변화된 타일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전송할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에서 상기 전송한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와 공통된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변화된 타일들만으로 최적화된 전송 프레임을 구성하여, 구성된 상기 전송 프레임을 상기 제2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시스템이 상기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YUV 방식의 영상 컨텐츠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YUV 방식의 영상 컨텐츠를 RGB 방식의 영상 컨텐츠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RGB 방식의 영상 컨텐츠로 변환된 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1표시 화면으로 표시되는 상기 영상 컨텐츠와 동시에 상기 제2시스템이 제공하는 제2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 시스템으로서, 제1표시 화면을 통해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영상 컨텐츠를 제2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1시스템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PDP(Plasma Display Panel) 및 스크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현된 표시 화면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2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상기 제2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이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시스템은;
    상기 제1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할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제1표시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1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모바일 미들웨어 플랫폼상의 모바일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타일, 셀, 픽셀 단위로 정규화하여 캡쳐하고,
    상기 캡쳐를 통해 획득한 RGB 방식의 영상 컨텐츠를 YUV 방식의 영상 컨텐츠로 변환하여,
    상기 YUV 방식의 영상 컨텐츠에서 Y 성분, U 성분, V 성분의 각 데이터 비트에서 1/2 비트들을 '0'으로 변환하여 상기 YUV방식의 영상 컨텐츠를 압축 편집하며,
    상기 제2시스템으로 이전 프레임에서 전송한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와 현재 프레임에서 전송할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비교하여, 상기 이전 프레임을 구성하는 타일에서 상기 현재 프레임을 구성하는 타일 간의 변화된 타일을 검색하고,
    상기 전송할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에서 상기 전송한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와 공통된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변화된 타일들만으로 최적화된 전송프레임을 구성하여 상기 제2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2시스템은;
    상기 제1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압축 편집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여 YUV 방식의 영상 컨텐츠로 변환하고,
    상기 YUV 방식의 영상 컨텐츠를 RGB 방식의 영상 컨텐츠로 변환하여,
    상기 RGB 방식의 영상 컨텐츠로 변환된 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1표시 화면으로 표시되는 상기 영상 컨텐츠와 동시에 상기 제2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090020334A 2009-03-10 2009-03-10 이종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KR100928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334A KR100928034B1 (ko) 2009-03-10 2009-03-10 이종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334A KR100928034B1 (ko) 2009-03-10 2009-03-10 이종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8034B1 true KR100928034B1 (ko) 2009-11-24

Family

ID=41605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334A KR100928034B1 (ko) 2009-03-10 2009-03-10 이종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0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2997A (ko) * 2004-12-24 2006-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텔레비전 출력 제어 장치
KR20080018396A (ko) * 2006-08-24 2008-02-28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및pc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2997A (ko) * 2004-12-24 2006-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텔레비전 출력 제어 장치
KR20080018396A (ko) * 2006-08-24 2008-02-28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및pc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0484B2 (en) Multi-video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US2004021454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television signal receiv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5892976B (zh) 实现多屏互动的方法及装置
US2008010145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ple format encoding
US20030017846A1 (en) Wireless display
US9161093B2 (en) Cordless multimedia system and image display system
US20070220581A1 (en) Network type television video recorder
US20130021430A1 (en) Method applied to endpoint of video conference system and associated endpoint
US7554563B2 (en) Video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video display control method
US20120008001A1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data in portable terminal
US20230300475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CN110187858B (zh) 图像显示方法及系统
US8875214B2 (en) Television
US20090244305A1 (en) Video Recording System and Imaging Apparatus
CN1957323B (zh) 显示装置和使用其的显示系统
CN1987632A (zh) 用于投影显示装置的无线传输装置、系统及其方法
KR100928034B1 (ko) 이종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CN113475091A (zh) 显示设备及其图像显示方法
US931789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rdware-accelerated key color extraction
KR20210065636A (ko)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화면의 실시간 송수신 시스템 및 장치
US20230300405A1 (en) Transmission device
CN112073801B (zh) 一种图像处理方法、电子设备及连接器
KR20050076939A (ko) Pc환경에서 재생가능한 멀티미디어의 수신 및 재생이가능한 셋탑박스
CN113901009A (zh) 多媒体文件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WO2012149685A1 (en) Wireless hd video streaming with intermediate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