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705B1 - 맞춤형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맞춤형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705B1
KR100926705B1 KR1020070078746A KR20070078746A KR100926705B1 KR 100926705 B1 KR100926705 B1 KR 100926705B1 KR 1020070078746 A KR1020070078746 A KR 1020070078746A KR 20070078746 A KR20070078746 A KR 20070078746A KR 100926705 B1 KR100926705 B1 KR 100926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information
user
terminal
custom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4655A (ko
Inventor
최염규
이종설
이석필
정종진
김경원
양창모
신사임
임태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Priority to KR1020070078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705B1/ko
Publication of KR20090014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 기술 정보 및 사용자 선호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맞춤형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송신되는 단말기 정보 및 사용자 선호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정보 수신부와, 상기 수신되는 사용자 선호 정보 및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별로 콘텐츠 요소 및 동영상 타입을 선별하는 단말기정보 관리부와, 상기 선별된 콘텐츠 요소를 기반으로 상기 광고 사업부를 통해 수신되는 광고 정보에서 해당 광고 콘텐츠를 추출하고, 동영상 타입으로 트랜스 코딩하여 사용자별 맞춤형광고를 생성하는 맞춤형광고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맞춤형 광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맞춤형광고 전송부를 포함하는 홈서버로 구성된다.
메타데이터, 맞춤형 광고, 단말기 정보, TV-Anytime

Description

맞춤형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ailored advertisement service}
본 발명은 맞춤형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정 내의 STB(Set-Top Box) 및 이와 연동되는 모바일 단말기 간에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제공되는 맞춤형 광고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방송 시스템은 디지털 방식이 적용되면서 방송채널의 다채널화, 방송용 수신 단말기의 다매체화, 방송사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의 영상과 음향의 고품질화를 특징으로 변모되고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시스템은 이동통신망과 연동됨으로써, 기존의 단방향 방송시대에서 복잡한 형태의 양방향 방송시대로 변모되고 있다. 즉, 상기 방송 시스템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대역내 채널(in band channel)과 데이터의 송수신 등에 사용되는 대역외 채널(out of band channel)이 제공됨으로써, 양방향 방송방식이 가능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방송 시스템이 변모됨에 따라, 사용자는 제한된 채널선택에 따라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수동적인 시청방식에서 벗어나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하거 나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능동적인 시청방식을 요구하고 있다. 즉, 방송 시스템은 복잡하고 다양하게 개인화된 방송환경의 형태인 맞춤형 방송 서비스로 진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맞춤형 방송 서비스의 일례로서, 민간 국제 표준인 티비-애니타임(TV-Anytime, 이하 “TV-Anytime"이라 함)은 콘텐츠의 기술(description) 정보를 표현하는 메타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선호(preference) 정보와 전술한 메타데이터를 매칭시킴으로써 원하는 콘텐츠를 저장하여 자유로운 시간에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애니타임(anytime)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표준 규격이다.
메타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에 대한 기술 정보로서, TV-Anytime 에서는 MPEG-7에서 정의된 내용기반(content-based)의 기술과 EPG(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용이하게 탐색 및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메타데이터 표준은 2개의 파트로 구성되며, 파트 A는 메타데이터를 기술하기 위한 포맷, 즉 스키마(schema)를 정의한 것으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기반의 MPEG-7 DDL(Description Definition Language)(ISO/IEC 15938-2)을 활용한다. 파트 B는 메타데이터 전송에 관한 것으로서, 이진포맷[MPEG-7 BiM(Binary Format for MPEG-7)](ISO/IEC 15938-1), 단편화(fragmentation) 모델, 캡슐화(encapsulation) 및 색인(indexing) 기법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맞춤형 방송 서비스에서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광고사업 모델과 같은 광고 서비스는 아날로그 방송 방식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즉, 상기 광고 서비스에서 사용자는 방송사에서 제공되는 메인 콘텐츠 사이의 광고 콘 텐츠를 시청하여 상품명이나 회사정보 등을 기억하였다가 별도의 통신채널이나 인터넷 또는 매장에서 상품을 구입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광고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다음과 같이 제공된다. 즉, 광고주(상품판매자)는 광고제작자에게 광고제작비를 지불하여 상품의 광고제작을 요청한다. 상기 광고주(상품판매자)는 제작된 상기 광고를 방송채널을 통해 방영될 수 있도록 방송사업자에게 광고비를 지급하고 방송채널 슬롯(slot)을 할당받는다. 상기 방송사업자는 메인 콘텐츠 사이의 슬롯에 상기 광고를 방송함으로써, 해당 상품의 광고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는 해당 광고 서비스를 할당된 하나의 채널에서만 시청 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정보를 제한적으로 제공받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짧은 시간동안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광고상품을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는 수신 단말기에 저장장치를 부착하여 다른 채널의 광고 콘텐츠를 녹화한 후 재시청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 방식은 사용자가 꼭 필요로 하는 광고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 수신 단말기에 부착된 저장장치는 다양한 광고 콘텐츠를 저장하여 다양한 상품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매우 큰 저장용량을 필요로 하고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저장장치의 크기가 커져야 한다. 그러나 한정된 크기의 수신 단말기를 감안할 때 저장장치의 크기에 한계가 있으므로 저장용량을 늘리는데 그 한계가 있다.
이처럼, 맞춤형 방송 서비스는 디지털 방송 방식을 적용하여 부가 데이터 방 송 서비스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욱 다양한 메인 콘텐츠와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으나, 광고사업 모델은 아직도 사용자의 선택과는 무관하게 발송되어 지는 아날로그 방송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서 맞춤형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광고 기술 정보 및 사용자 선호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맞춤형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홈서버(PC, STB 등)와 사용자 단말기간의 송수신을 통해 Response Format에서 추천된 메타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광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맞춤형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의 특징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단말기 정보 및 사용자 선호 정보를 기반으로 광고 사업부에서 송신되는 광고 정보를 이용하여 맞춤형 광고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홈서버를 포함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홈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송신되는 단말기 정보 및 사용자 선호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정보 수신부와, 상기 수신되는 사용자 선호 정 보 및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별로 콘텐츠 요소 및 동영상 타입을 선별하는 단말기정보 관리부와, 상기 선별된 콘텐츠 요소를 기반으로 상기 광고 사업부를 통해 수신되는 광고 정보에서 해당 광고 콘텐츠를 추출하고, 동영상 타입으로 트랜스 코딩하여 사용자별 맞춤형광고를 생성하는 맞춤형광고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맞춤형 광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맞춤형광고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의 특징은 (A)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단말기 및 사용자 정보와, 광고 사업부에서 수신되는 광고 기술 정보 및 광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콘텐츠 요소를 선별하는 단계와, (C) 상기 선별된 콘텐츠 요소를 기반으로 광고 정보에서 해당 광고 콘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수신되는 단말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 가능한 동영상 타입으로 트랜스 코딩하여 사용자별 맞춤형 광고를 생성하는 단계와, (D) 상기 생성된 맞춤형 광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는 광고 사업부에서 수신되는 광고 기술 정보 및 광고 정보를 수신하여 광고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단말기 정보, 사용자 선호 정보 및 사용자 콘텐츠 사용 기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응답되어 입력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단말기 정보, 사용자 선호 정보 및 사용자 콘텐츠 사용 기록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선호 정보 및 사용자 콘텐츠 사용 기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맞춤형 광고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는 다양한 광고 사업부에서 제공되는 광고정보를 자신의 광고 선호 성향에 따라 제공받을 수 있고, 아울러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제품에 대한 정보를 얻는 효과가 있다.
둘째, 맞춤형 광고 서비스를 통해 광고 사업자가 제공하는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미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제품의 구입을 촉진하여 전자 상거래를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셋째, 맞춤형 광고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다양한 광고정보를 모두 시청하거나 원하는 광고정보를 찾기 위한 노력을 줄이면서 선호하는 광고정보를 먼저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같이, 맞춤형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는 방송채널 슬롯을 할당하여 광고 기술 정보 및 제작된 광고를 방송채널을 통해 송신하는 광고 사업부(100)와, 단말기 정보 및 사용자 선호 정보를 제공하고 홈서버(200)에서 수신되는 광고 정보를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기(30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수신되는 단말기 정보 및 사용자 선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송신되는 광고 정보로 맞춤형 광고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홈서버(2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TV, 핸드폰, PMP, PDA 등 영상/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재생 가능한 모든 유무선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홈서버(200)는 도 2와 같이 상기 광고 사업부(100)를 통해 송신되는 광고 기술 정보 및 광고 정보를 수신하는 광고 수신부(210)와, 상기 광고 수신부(210)에서 수신되는 광고 기술 정보 및 광고 정보를 저장하는 광고 저장부(22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송신되는 단말기 정보 및 사용자 선호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정보 수신부(230)와, 상기 단말기정보 수신부(230)에서 수신되는 사용자 선호 정보 및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별로 콘텐츠 요소 및 동영상 타입을 선별하는 단말기정보 관리부(240)와, 상기 단말기정보 관리부(240) 에서 선별된 콘텐츠 요소 및 동영상 타입을 기반으로 상기 광고 저장부(220)에 저장된 광고 기술 정보 및 광고 정보에서 해당 광고 콘텐츠를 추출하고 동영상 타입으로 트랜스 코딩하여 사용자별 맞춤형광고를 생성하는 맞춤형광고 생성부(250)와, 상기 맞춤형광고 생성부(250)에서 생성된 맞춤형 광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 송신하는 맞춤형광고 전송부(26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단말기정보 관리부(240)에서 선별되는 사용자별 동영상 타입은 통신정보, 코덱/포맷 정보, 화면 사이즈 및 해상도 등을 포함하며, 또한 사용자별 콘텐츠 요소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타이틀, 채널, 장르, 배우 등을 포함한다.
참고로 상기 홈서버(200)는 이와 같은 구성수단을 포함하는 가정 내에 구비된 개인용 PC 또는 모바일 IPTV(Internet Protocol TV) STB(Set-Top Box)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광고 사업부(100)에서 수신되는 광고 기술 정보 및 광고 정보를 수신하여 광고 저장부(220)에 저장한다(S10). 이때, 광고 기술 정보는 크게 광고 메타데이터, 전자카탈로그 정보, 제 3 사업자(3rd Party) 광고 정보로 나뉜다.
광고 메타데이터는 TV-Anytime 등과 같은 메타데이터 표준을 따르는 광고 표현 방법으로서, 여기서는 일차적으로 TV-Anytime 메타데이터 표준을 따른다. 그리고 전자카탈로그 정보는 GDAS. KS X 6722-1, G2B 정보 표준 등과 같이 전자상거래를 위해 정의된 기업 및 상품의 식별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제 3 사업자 광고 정보는 기타 표준을 따르지 않고 폐쇄된(closed) 환경에서 제공 가능한 광고정보를 나타낸다.
다음에서 나타낸 표 1은 KS X 6722-1 및 GDAS 등에서 표현하고 있는 기업 상품 정보 구조 내용이다.
Figure 112007057079571-pat00001
위의 표 1과 같이 광고 콘텐츠의 기술 정보는 상품에 대한 상거래 측면의 내용이 전자상거래를 위해 제정된 표준을 따르며, TV-Anytime 메타데이터 기술정보를 이용하여 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홈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 요청 포맷(request format)을 통해 Send_DeviceInfo() 오퍼레이션으로 단말기 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300)와 홈서버(200) 간의 송수신 방법은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을 따르며, 이를 위해 다음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 요청 포맷(request format)을 통해 Send_DeviceInfo() 오퍼레이션으로 단말기 정보를 요청한다.
<xs:complexType name="Send_DeviceInfoType"> <xs:sequence> <xs:element name="DeviceInfoData" type="DeviceInfoType"/> </xs:sequence> </xs:complexType> <xs:element name="Send_DeviceInfo" type="Send_DeviceInfoType"/>
위의 표 2와 같은 Send_DeviceInfo() 오퍼레이션으로 홈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단말기 정보, 광고의 재생 이력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요청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 단말기(300)는 홈서버(200)에서 요청되는 Send_DeviceInfo() 오퍼레이션을 입력받으면, 응답 포맷(response format)을 통해 추천된 광고 리스트, 단말기 정보 및 사용자 선호 정보를 전송한다.
다음 표 3은 추천된 광고 리스트를 전송한 실시예이다.
<xs:complexType name="CMListType"> <xs:sequence> <xs:element name="MetadataDescription" /> <xs:element name="Location"/> <xs:element name="E-cataloginfo"/> </xs:sequence> <xs:attribute name="ServerCMID" type= "xs:string" use="required"/> </xs:complexType> <xs:element name="Send_DeviceInfo_Result" type="Send_DeviceInfo_ResultType"/> <xs:complexType name="Send_DeviceInfo_ResultType"> <xs:sequence> <xs:element name="CMList" type="CMList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xs:sequence> <xs:attribute name="date" use="required"/> </xs:complexType>
위의 표 3과 같이, 하나의 광고 리스트는 홈서버(200)에서의 광고에 대한 식별자인 ServerCMID, 광고에 대한 기술 정보를 나타내는 MetadataDescription, 홈서버 상의 트랜스 코딩된 광고 스트림의 위치를 나타내는 Location, 그리고 GDAS 등에서 추출된 기업 상품 정보 메타데이터(E-cataloginfo)를 포함한다.
그리고 다음 표 4는 사용자 선호 정보 및 단말기 정보의 구조를 전송한 실시예이다. 참고로 상기 사용자 선호 정보 및 사용자 콘텐츠 사용 기록은 TV-Anytime 메타데이터 정의를 따른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xs:schema xmlns:xs="http://www.w3.org/2001/XMLSchema" elementFormDefault="qualified" attributeFormDefault="unqualified"> <xs:complexType name="TerminalinfoType"> <xs:sequence> <xs:element name="DisaplySize" /> <xs:element name="DisaplyResolution" maxOccurs="unbounded"/> <xs:element name="NetworkInfo" minOccurs="0"/> <xs:element name="CPUInfo"/> <xs:element name="MEMInfo"/> <xs:element name="Codec"/> </xs:sequence> </xs:complexType> <xs:complexType name="CMUsageHistoryInfoListType"> <xs:sequence> <xs:element name="ServerCMID" type="xs:string" minOccurs="1" maxOccurs="1"/> <xs:element name="UsageDate" minOccurs="1" maxOccurs="1"/> </xs:sequence> </xs:complexType> <xs:complexType name="CMUsageHistoryInfoType"> <xs:sequence> <xs:element name="CMUsageHistoryInfoList" type="CMUsageHistoryInfoList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xs:sequence> </xs:complexType> <xs:complexType name="DeviceInfoType"> <xs:sequence> <xs:element name="TerminalInfo" type="TerminalinfoType" minOccurs="0"/> <xs:element name="Aepginfo" type="AepginfoType" minOccurs="0"/> <xs:element name="CMUsageHistoryInfo" type="CMUsageHistoryInfoType" minOccurs="0"/> <xs:element name="UserPreferenceInfo" minOccurs="0"/> <xs:element name="UsageHistoryInfo" minOccurs="0"/> </xs:sequence> <xs:attribute name="DeviceId" type= "xs:string" use="required"/> </xs:complexType> <xs:element name="DeviceInfo" type="DeviceInfoType"/>
위의 표 4와 같이 단말기의 정보는 TerminalInfo, CMUsageHistoryInfo, UserPreferenceInfo, UsageHistoryInfo를 갖는다. 상기 TerminalInfo는 "DeviceID", "DisaplyResolution", "NetworkInfo", "CPUInfo", “MEMInfo", "Codec" 등의 정보를 갖는다. 이때, 상기 DeviceInfo 전송시 CMUsageHistoryInfo의 전송이 가능하다. 참고로 CMUsageHistoryInfo는 홈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광고를 단말기에서 재생한 사용자 콘텐츠 사용 기록의 이력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사용자 콘텐츠 사용 기록에 따른 내용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다음의 표 5는 단말기 정보 구조를 바탕으로 생성된 디바이스 정보 xml 파일 실시예이다.
<DeviceInfo> <terminalInfo> <DisplaySize> 단말기의 모니터 사이즈 </DisplaySize> <DisaplyResolution> 단말기의 해상도 </DisaplyResolution> <DeviceID> 제품 기종 </DeviceID> <NetworkInfo> 네트워크 상태 </NetworkInfo> <CPUInfo> CPU 정보 </CPUInfo> <MEMInfo> 메모리 정보 </MEMInfo> <Codec> 코덱 정보 </Codec> </terminalInfo> <UserPreferenceInfo> 사용자 선호 정보 </UserPreferenceInfo> <UsageHistoryInfo> 사용자 콘텐츠 사용 기록 </UsageHistoryInfo> ,</DeviceInfo>
위의 표 5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300)는 단말기의 모니터 사이즈, 단말기의 해상도, 제품 기종, 네트워크 상태, CPU 정보, 메모리 정보 및 코덱 정보 등을 포함하는 단말기 정보와, 사용자가 선호하는 타이틀, 채널, 장르, 배우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선호 정보 및 사용자 콘텐츠 사용 기록 등을 홈서버(200)로 전송한다.
이어 홈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수신되는 단말기 정보 및 사용자 선호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S20). 이처럼 홈서버(10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단말기 정보 및 사용자 선호 정보와, 광고 사업부에서 수신되는 광고 기술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며, 아울러 상기 광고 사업부(100)에서 지상파 전송망을 통해 수신되는 광고 정보는 계속해서 녹화하거나, 양방향 전송망을 통해 광고를 다운로드 받는다.
그리고 단말기정보 관리부(240)는 수신되는 사용자 선호 정보 및 콘텐츠 사용 기록을 바탕으로 상기 광고 사업부(100)를 통해 수신되어 녹화되거나 다운로드 받은 광고 정보 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콘텐츠 요소를 선별한다(S30). 이때, 상기 선별된 콘텐츠 요소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타이틀, 채널, 장르, 배우 등이며, 이를 바탕으로 기 저장된 광고 기술 정보에서 해당 광고를 검색한다.
그리고 맞춤형광고 생성부(250)는 단말기 정보의 <terminalInfo>를 고려하여 선별된 콘텐츠 요소 및 동영상 타입을 기반으로 광고 저장부(220)에 저장된 광고 기술 정보 및 광고 정보에서 해당 광고 콘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300)가 재생 가능한 동영상 타입으로 트랜스 코딩하여 사용자별 맞춤형 광고를 생성한다(S40).
이렇게 생성된 맞춤형 광고는 사용자 단말기(300)와 홈서버(200) 간의 전송망을 통해 표 6의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되어지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에는 해당 광고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50).
<Send_DeviceInfo_Result> <CMList ServerCMID="1"> <MetadataDescription>광고 기술 관련 메타데이터</MetadataDescription> <Location>홈 서버상의 광고의 저장 위치</Location> <E-cataloginfo>기업 상품 정보</E-cataloginfo> </CMList> <CMList ServerCMID="2"> <MetadataDescription>광고 기술 관련 메타데이터</MetadataDescription> <Location>홈 서버상의 광고의 저장 위치</Location> <E-cataloginfo>기업 상품 정보</E-cataloginfo> </CMList> <CMList ServerCMID="3"> <MetadataDescription>광고 기술 관련 메타데이터</MetadataDescription> <Location>홈 서버상의 광고의 저장 위치</Location> <E-cataloginfo>기업 상품 정보</E-cataloginfo> </CMList> </Send_DeviceInfo_Result>
한편, 홈서버(200)로 전송받은 CMList를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재생 완료하게 되면 표 5에 기재된 Send_DeviceInfo를 통해 사용자 콘텐츠 사용 기록을 표 7의 실시예와 같이 홈서버(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홈서버(200)는 전송망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 콘텐츠 사용 기록을 활용하여 특정 사용자에게 적합한 광고 콘텐츠를 추출하는데 사용되게 된다.
<Send_DeviceInfo> <DeviceInfoData DeviceId="String"> <CMUsageHistoryInfo> <CMUsageHistoryInfoList> <ServerCMID>1</ServerCMID> <UsageDate>2006-03-20:20:30</UsageDate> </CMUsageHistoryInfoList> <CMUsageHistoryInfoList> <ServerCMID>2</ServerCMID> <UsageDate>2006-03-20:20:30</UsageDate> </CMUsageHistoryInfoList> <CMUsageHistoryInfoList> <ServerCMID>3</ServerCMID> <UsageDate>2006-03-20:20:30</UsageDate> </CMUsageHistoryInfoList> </CMUsageHistoryInfo> </DeviceInfoData> </Send_DeviceInfo>
이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에게 전달되는 광고 및 콘텐츠의 시청을 통해 콘텐츠를 소비하는 정보를 홈서버(200)에 전송하고, 홈서버(200)는 전송망을 통해 수신된 광고 기술 정보를 활용하여 특정 사용자에게 적합한 광고 콘텐츠를 추출함으로서, 맞춤형 광고가 가능하다.
이처럼 맞춤형광고는 광고비용의 감소 및 광고에 대한 시청자들의 반응을 피드백 정보를 바탕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메타데이터 기반 맞춤형 광고에서는 각 시간대별 광고 효과, 콘텐츠에 따른 광고 효과, 채널 이동, 광고주별, 브랜드별, 광고 분류 유형별 분류, 최대효과 광고 시간대 분석, 광고별 주 사용자 분석, 업체별 비교 분석 등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도 1의 홈서버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광고 사업부 200 : 홈서버
210 : 광고 수신부 220 : 광고 저장부
230 : 단말기정보 수신부 240 : 단말기정보 관리부
250 : 맞춤형광고 생성부 260 : 맞춤형광고 전송부
300 : 사용자 단말기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사용자 단말기가 송신한 단말기 정보 및 사용자 선호 정보와, 광고 사업부가 송신한 광고 기술 정보 및 광고 정보를 이용하여 맞춤형 광고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홈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홈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송신되는 단말기 정보 및 사용자 선호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정보 수신부와, 상기 수신되는 사용자 선호 정보 및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별로 콘텐츠 요소 및 동영상 타입을 선별하는 단말기정보 관리부와, 상기 선별된 콘텐츠 요소를 기반으로 상기 광고 사업부를 통해 수신되는 광고 기술 정보 및 광고 정보에서 해당 광고 콘텐츠를 추출하고, 동영상 타입으로 트랜스 코딩하여 사용자별 맞춤형광고를 생성하는 맞춤형광고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맞춤형 광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맞춤형광고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요소는 사용자별 선호하는 타이틀, 채널, 장르, 배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70078746A 2007-08-06 2007-08-06 맞춤형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926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746A KR100926705B1 (ko) 2007-08-06 2007-08-06 맞춤형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746A KR100926705B1 (ko) 2007-08-06 2007-08-06 맞춤형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655A KR20090014655A (ko) 2009-02-11
KR100926705B1 true KR100926705B1 (ko) 2009-11-17

Family

ID=40684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746A KR100926705B1 (ko) 2007-08-06 2007-08-06 맞춤형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7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935B1 (ko) * 2011-12-30 2013-10-01 (주) 씨제이오쇼핑 디지털 액자를 이용한 광고 방법
US20150127675A1 (en) 2013-11-05 2015-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20061582A (ko) 2020-11-06 2022-05-13 박지연 웹 기반 활동에 따른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497B1 (ko) * 2012-12-17 2019-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고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101488A (ko) * 2014-02-26 2015-09-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물 인식에 기반한 광고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 사물 인식에 기반한 광고를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 사물 인식에 기반한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1870A (ja) * 2001-04-17 2002-10-25 Casio Comput Co Ltd 広告サービスシステム、広告サービ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40039262A (ko) * 2004-04-21 2004-05-10 박상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정보 제공방법 및 그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60104329A (ko) * 2005-03-30 2006-10-09 전자부품연구원 센서 네트워크 및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미디어 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070043372A (ko) * 2005-10-21 2007-04-25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홈단말에서 실시간 필터링된 방송 비디오 관리 시스템 및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1870A (ja) * 2001-04-17 2002-10-25 Casio Comput Co Ltd 広告サービスシステム、広告サービ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40039262A (ko) * 2004-04-21 2004-05-10 박상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정보 제공방법 및 그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60104329A (ko) * 2005-03-30 2006-10-09 전자부품연구원 센서 네트워크 및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미디어 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070043372A (ko) * 2005-10-21 2007-04-25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홈단말에서 실시간 필터링된 방송 비디오 관리 시스템 및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935B1 (ko) * 2011-12-30 2013-10-01 (주) 씨제이오쇼핑 디지털 액자를 이용한 광고 방법
US20150127675A1 (en) 2013-11-05 2015-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387508B2 (en) 2013-11-05 2019-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US11409817B2 (en) 2013-11-05 2022-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20061582A (ko) 2020-11-06 2022-05-13 박지연 웹 기반 활동에 따른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30110461A (ko) 2020-11-06 2023-07-24 박지연 웹 기반 활동에 따른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655A (ko)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8137B2 (en) Content item receiver module and method
US9451337B2 (en) Media synchronization within home network using set-top box as gateway
US8381253B2 (en) Content placeholder markers
US8488942B2 (en) Bookmark exchange
US200701928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elevison services using an aggregator
US20090070324A1 (en) Relate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related information transmission server, terminal apparatus and related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US9307272B2 (en) Purchase transaction method for IPTV product and IPTV receiver thereof
CN101217642A (zh) 发送预览内容的方法和接收预览内容的方法与装置
US20100017821A1 (en) Software based Internet/Television convergence methods and systems for organizing and displaying Internet media content on computers and Television sets
KR100926705B1 (ko) 맞춤형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653203B1 (ko) 티브이 애니타임에서의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서비스 방법
US20190037273A1 (en) Content delivery using location awareness
US20140007173A1 (en) Audience selection type augmented broadcast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00084115A (ko)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845145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리치 미디어 서비스를 연계한광고방법
KR20110024897A (ko) 사용자 별 선호 메뉴에 기반한 광고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Solla et al. TV-anytime: Paving the way for personalized TV
Räck et al. Featured media: nonlinear, clickable multimedia content for an interactive video experience
Yoon et al. TV-Anytime based personalized bi-directional metadata service system
KR100853123B1 (ko) 이동 단말기를 위한 향상된 epg 서비스 제공 장치 및방법
US20190098361A1 (en) Module and Method
KR20090014657A (ko) 선호 콘텐츠 자동녹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078704B1 (ko) 채널 프로그램 시청 순위 정보와 연계한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90014656A (ko) 액티브 광고 푸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Ning Development of Standard Based Personalization Schemes for Mobile Televi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