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376B1 - 댓글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의 구현을 위한 시스템 및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댓글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의 구현을 위한 시스템 및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376B1
KR100925376B1 KR1020070092821A KR20070092821A KR100925376B1 KR 100925376 B1 KR100925376 B1 KR 100925376B1 KR 1020070092821 A KR1020070092821 A KR 1020070092821A KR 20070092821 A KR20070092821 A KR 20070092821A KR 100925376 B1 KR100925376 B1 KR 100925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ent
user
display
controlling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7534A (ko
Inventor
엄미숙
문현정
박성준
김양지
박선영
신수련
이정상
정지운
강국진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70092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376B1/ko
Priority to US12/186,951 priority patent/US8051074B2/en
Priority to JP2008235706A priority patent/JP2009070388A/ja
Publication of KR20090027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69Annotation, e.g. comment data or footno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뉴스 기사와 같이 인터넷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자적으로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부여된 댓글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과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제공되는 댓글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댓글의 작성자와 연관된 제1 전자적 파라미터, 및 상기 사용자에 특정되어 저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댓글의 표시의 허부에 관한 제2 전자적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적 파라미터들을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댓글의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제공되는 댓글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에 특정되어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댓글의 표시의 허부에 관한 전자적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적 파라미터를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댓글의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댓글 데이터베이스, 댓글 작성자의 댓글 작성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의 댓글 표시에 관한 설정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하여, 사용자의 연산 장치에 댓글이 포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댓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댓글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댓글 정보 추출부,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댓글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표시를 제한하기 위한 댓글 표시 제한부, 및 상기 적어도 일부의 표시가 제한된 적어도 하나의 댓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상기 연산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댓글, 클린지수, 블라인드, 히스토리 데이터

Description

댓글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의 구현을 위한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REPLIES, AN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MPLEMENTING SAME METHOD}
본 발명은 인터넷 뉴스 기사와 같이 인터넷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자적으로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부여된 댓글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과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클린지수에 따라 해당 사용자가 인터넷 컨텐츠에 대하여 생성한 댓글의 표시를 제어함으로써, 인터넷 상에서 생성되는 댓글로 인해 발생되는 역기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과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배포, 공유하여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많은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서 도서, 사전, 지역, 뉴스, 쇼핑 등에 관하여 문자, 동영상, 이미지 등의 포맷으로 된 정보를 활발하게 제공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들은 이러한 정보에 대하여 활발하게 댓글을 생성하는 문화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인터넷 뉴스 제공 서비스에 있어서는, 단순히 각 언론사의 뉴 스 기사만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사에 대한 다른 사용자들의 댓글과 같은 사용자 피드백 정보 역시 제공되고 있다. 여기서, '댓글'이란, 사용자가 인터넷 컨텐츠에 대하여 생성하는 모든 종류의 덧붙임 정보를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댓글은 문자화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이미지나 동영상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댓글의 가장 큰 기능은 인터넷 뉴스 기사와 같은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평가, 감상, 의견 등의 정보가 사용자들 간에 용이하게 공유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컨텐츠 제공자에게 사용자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댓글은 특정 컨텐츠(주로, 상품에 대한 설명 등 상업적인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체로서 경제적인 가치를 갖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댓글에는 위와 같은 순기능뿐만 아니라 역기능도 존재한다. 특히, 인터넷 사용의 익명성으로 인하여 댓글을 통하여 무책임하고도 근거 없는 욕설과 비방[소위, '악플'(惡 + 리플라이의 '플')이라고 한다]을 습관적으로 남기는 사용자(소위, '악플러'라고 한다)가 증가하게 되었다. 심지어는, 이러한 악플로 인하여 명예 훼손 등의 사유로 민형사상의 분쟁마저 빈번하게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댓글의 역기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시도가 행해져 왔다.
우선, 현재 널리 알려져 있는 로그인(log-in) 강제 제도를 들 수 있다. 로그인 강제 제도는 사용자가 성명, 주민등록번호 등을 비롯한 간략한 신상명세를 기 입한 후 인터넷 포털 사이트로부터 부여 받은 로그인 ID 및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로그인한 사용자만이 댓글을 남길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상기 제도의 도입에 따라 로그인 없이도 댓글이 기재될 수 있었던 경우보다는 악플이 다소 줄어 들기는 하였으나, 이 경우에도 악플러의 본명이 쉽게 드러나지 않는 까닭에 그로 인한 악플 감소 효과는 미흡하였다.
댓글의 역기능을 해소하기 위한 또 다른 시도로서, 게시판에 댓글을 작성할 때에 욕설, 비방어 등을 금칙어로 지정하여 입력할 수 없도록 차단하는 방식이나, 다른 사용자의 신고에 의해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관리자가 문제의 댓글을 삭제하거나 해당 악플러의 이용을 제한하는 방식이 시도된 바 있다. 그러나, 금칙어로 지정하여 차단하는 방식은 악플러가 우회적인 방법으로 얼마든지 회피가 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고, 또한, 다른 사용자의 신고에 의해 악플러를 제재하는 방식은 이미 선의의 사용자가 정신적인 피해를 본 후에 행해지는 조치로서 사후 처리에 불과한 것이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출원인이 운영하는 저명 인터넷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www.naver.com)에서 집계된 자료에 의하면, 최근 각종 인터넷 뉴스 기사에 대한 모든 댓글 중에서 악플로 판명되어 삭제된 댓글은 전체 댓글의 무려 4% 이상에 달한다. 신고가 들어오지 않은 악플의 수가 더 많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제로는 악플로 인한 선의의 사용자의 피해가 굉장히 심각한 상태라는 추정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종래의 악플 제어 방법에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정보 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 보호 등 에 관한 법률 제44조의 5(게시판 이용자의 본인 확인)에서 정한 '제한적 본인 확인제'가 2007년 7월 27일부터 시행되기에 이르렀다. 제한적 본인 확인제는 특정 개인이 작성한 글이 다른 사용자에게 공개되는 경우, 1회에 한하여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치도록 하는 제도이다. 제한적 본인 확인제의 취지는 사용자가 공개된 인터넷 공간에서 댓글 등을 작성할 때 보다 큰 책임 의식을 갖도록 하자는 데에 있는데, 이는 사실 악플 감소를 위한 근본 대책이 될 수 없다. 실제로, 실명제로 운영되는 웹 사이트에서조차도 악플에 해당하는 댓글이 여전히 범람하고 있다. 또한, 최근 인터넷 포털 사이트인 디씨인사이드(www.dcinside.com)가 지난 2007년 7월 27일부터 2007년 8월 5일까지 '제한적 본인확인제가 악플 근절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주제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 총 5,027명 중 3,217명(64%)이 '별 효과 없을 것 같다'라고 대답한 바 있고, '훨씬 줄어들 것 같다'라고 대답한 네티즌은 1,568명(31.2%)에 그쳤다는 사실은 제한적 본인 확인제로는 악플 제어에 한계가 있다는 해석이 가능케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댓글 표시 제어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댓글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여러 부정적인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클린지수 또는 다른 정보를 바탕으로 한 설정을 이용하여 인터넷 공간에서 건전한 댓글 문화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제공되는 댓글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댓글의 작성자와 연관된 제1 전자적 파라미터, 및 상기 사용자에 특정되어 저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댓글의 표시의 허부에 관한 제2 전자적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적 파라미터들을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댓글의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제공되는 댓글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에 특정되어 저장되는, 적어 도 하나의 댓글의 표시의 허부에 관한 전자적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적 파라미터를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댓글의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댓글 데이터베이스, 댓글 작성자의 댓글 작성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의 댓글 표시에 관한 설정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하여, 사용자의 연산 장치에 댓글이 포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댓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댓글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댓글 정보 추출부,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댓글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표시를 제한하기 위한 댓글 표시 제한부, 및 상기 적어도 일부의 표시가 제한된 적어도 하나의 댓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상기 연산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클린지수 또는 다른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정한 사용자 설정을 이용하여 본인이 수용 가능할 만한 건전한 댓글만을 선별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악플러의 악플 생성 의욕을 저감시켜 실질적인 악플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이나 판단에 따라 다른 사용자의 댓글을 선별적으로 볼 수 있게 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관련 분야의 평균적인 기술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로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사이버 게시판의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전체 시스템의 구성 및 블라인드 기능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는 다양한 디지털 기기가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장 보편적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인 퍼스널 컴퓨터, 휴대폰뿐만 아니라, PDA, PMP 등 유무선으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모든 디지털 기기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상에서의 입력 조작을 통하여 댓글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이는 서버(200)로 전송되어 댓글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다. 서버(200)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 및/또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관리자에게 댓글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댓글에 대한 조회, 검색, 삭제 등의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댓글 데이터베이스(300)에는 댓글이 속하는 인터넷 컨텐츠의 ID, 댓글 자체의 ID가 따로 있는 경우에는 그 ID, 댓글을 생성한 사용자의 ID, 댓글에 대한 독립적인 URL이 있는 경우에는 그 URL, 댓글이 생성되거나 수정된 날짜 및 시각, 및 댓글의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서버(200)는 이와 같은 댓글 데이터베이스(300) 내의 정보에 기초하여 댓글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에서는 서버(200)와 댓글 데이터베이스(300)가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필요에 따라, 서버(200)는 댓글 데이터베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서버(200)는 바람직하게는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에 대응되어 저장된, 사용자의 댓글 작성에 관한 히스토리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소정 댓글과 관련하여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운영자로부터 경고, 댓글 작성 제한, 로그인 제한 등의 징계 조치를 받은 경우, 그와 관련된 정보가 히스토리 데이터로서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운영자의 조치는 다른 사용자의 신고에 근거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남긴 댓글로 인해 아래에서 상술할 클린지수의 감산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그와 관계된 정보가 히스토리 데이터로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히스토리 데이터는 클린지수의 가산 과 관계된 것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400)에는 후술할 사용자의 클린지수도 함께 연산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서버(200)와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400)가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필요에 따라, 서버(200)는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사용자 설정 데이터베이스(500)를 참조할 수 있다. 사용자 설정 데이터베이스(500)는 사용자가 인터넷 컨텐츠에 대한 댓글의 표시 허용 기준을 설정한 것을 저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특정 사용자가 남긴 댓글에 대하여는 무조건적으로 표시를 제한할 수도 있고, 반대로 다른 특정 사용자가 남긴 댓글에 대하여는 항상 하일라이트(highlight)를 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른 사용자의 댓글의 표시가 항상 차단되도록 하거나 하일라이트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즉, 사용자가 인터넷 포털 사이트를 이용하는 도중에, 다른 사용자의 ID 컴포넌트 위에 마우스 커서를 위치시키거나 사용자 ID 컴포넌트를 클릭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사용자가 작성한 댓글을 항상 차단하거나 그 사용자의 댓글을 항상 하일라이트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에게 표시될 댓글을 남긴 다른 사용자들의 클린지수에 따라 일부 댓글만이 자신에게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이는 '블라인드' 기능으로 명명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설정 데이터베이스(500)에는 사용자 ID, 댓글 표시 차단 대상이 되는 다른 사용자 ID, 댓글 하일라이트 표시 대상이 되는 다른 사용자 ID 등과 함께 사용자가 설정해 둔, 댓글 표시를 위한 기준 클린지수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클린지수가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디폴트 값인 기준 클린지수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데이터베이스와 마찬가지로, 도 1에서의 도시와는 달리, 필요에 따라, 서버(200)는 사용자 설정 데이터베이스(50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댓글 데이터베이스(300),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400), 및 사용자 설정 데이터베이스(500)는 각각 순서대로 댓글 정보, 히스토리 데이터, 및 댓글 표시에 관한 사용자 설정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소정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한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데이터베이스도 포함하여 지칭하며, 단순한 로그(log)의 집합이라도 이를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 말하는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다. 또한,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400)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후술할 클린지수를 연산하여 저장하기 위한 클린지수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이용할 수도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서버(200)의 블라인드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서버(200)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댓글 데이터베이스(300),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400), 및 사용자 설정 데이터베이스(500)와 같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와 물리적으로 혹은 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댓글이 포함된 웹 페이지에 대한 전송 요청이 수신되었을 때에 댓글 데이터베이스(300)를 조회하여 해당 웹 페이지에 포함될 수 있는 댓글을 추출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200)의 하나의 프로그램 모듈을 댓글 정보 추출부(미도시됨)라고 명명할 수 있다. 일단 추출된 댓글은 사용자가 요청한 웹 페이지에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컨텐츠 전송부(미도시됨)를 통하여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전송하기에 앞서, 추출된 각 댓글의 작성자 ID를 바탕으로 하여 각 댓글 작성자들의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400) 기록을 참조한다. 이때에, 참조된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400)에는 각 댓글 작성자들의 클린지수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 다음에, 서버(200)는 사용자 설정 데이터베이스(500)를 참조한다. 사용자 설정 데이터베이스(500)에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웹 페이지를 요청하고 있는 사용자의 댓글 표시 허용 기준에 관한 정보(즉, 댓글 표시의 허용 기준이 되는 클린지수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데, 서버(200)는 댓글 표시 제한부(미도시됨)에서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400)에 포함되어 있는 각 댓글 작성자들의 클린지수와 사용자 설정 데이터베이스(500)에 포함되어 있는 댓글 표시 허용 기준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표시 허용 기준에 미달하는 댓글이 웹 페이지에서 표시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제한은 바람직하게는 웹 페이지를 구성하 는 댓글의 표시 컴포넌트를 다른 종류의 안내 표시 컴포넌트(예를 들면, "이 사용자의 댓글은 그 표시가 차단되었습니다"와 같은 안내 문구를 표시하는 컴포넌트)로 대체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서버(200)에 포함되는 것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200)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서버(200)에 포함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는 여러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서버(200)와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클린지수의 연산 및 이용
위에서 언급된 바 있는 클린지수(Clean Index)란 댓글로부터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하여 댓글 작성자에게 주어지는 가감될 수 있는 지수를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긍정적인 영향의 원인으로는 인터넷 공간에서 법률적, 도덕적, 상업적 문제 등을 야기하지 않는 활발한 댓글 활동이나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많은 호응을 얻은 댓글 활동을 들 수 있다. 또한, 부정적인 영향의 원인은 주로 다른 사용자로부터 악플이라는 이유로 인해 신고되었거나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관리자에 의해 제재된 댓글 활동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클린지수 연산 원칙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의 클린지수의 범위는 기본점수 100점을 기준으로 0~200점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클린지수는 다음의 경우에 가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클린지수의 감산의 원인이 되는 어떠한 악성 행위도 적발되지 아니한 채 일주일 동안 10개 이상의 댓글을 남긴 경우, 해당 사용자의 클린지수는 기준이 되는 일주일이 경과된 후에 예를 들면 3점 가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가산은 사용자의 댓글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의 추천이 행하여지는 경우에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후자의 경우 클린지수의 가산은 실시간으로 일어날 수도 있다.
또한, 클린지수의 감산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사용자에 대하여 인터넷 포털 사이트 관리자의 징계 조치가 있었던 경우 그 사용자의 클린지수는 감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회 징계당 10점의 감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사용자의 신고, 비추천 등으로 인하여 특정 사용자의 클린지수에 대한 감산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의 지수 감산의 폭은 징계 조치가 있었던 경우보다는 적은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광고성 댓글을 남기는 사용자에게도 공지의 스팸 필터링 로직을 사용하여 그에 상응하는 클린지수의 감산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광고성 댓글을 남기는 사용자는 클린지수의 잦은 감산으로 인해 곧 원래 의도하였던 부적절한 광고 행위의 효용을 잃게 될 수 있다.
위에서 예시한 모든 종류의 클린지수 가산 원인 또는 감산 원인이 되는 행위에 관한 정보는 서버(200)의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되어 클린지수의 연산 및 지속적인 사용자의 댓글 히스토리 관리에 이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클린지수는 상기 설명된 블라인드 기능과 연계되어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네티즌 의견 인터페이스 우상단에 블라인드 설정(302)이라는 메뉴가 마련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사용자는 댓글이 포함되어 있는 웹 페이지를 살펴보다가 자신이 너무 많은 불필요한 댓글에 노출되어 있어 오히려 관심이 가는 다른 댓글을 놓치고 있음을 깨달을 때에 블라인드 설정 메뉴를 선택하여 자신이 댓글 표시의 허용을 위해 설정한 기준 클린지수를 상향 조정할 수 있다. 이때에, 30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뉴스 기사의 담당 기자의 의견과 같이 주목도가 높은 댓글의 경우에는 따로 최상단에 표시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댓글 표시 차단의 대상이 되지 않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는 댓글 표시를 위한 기준 클린지수를 낮추어 자칫 놓칠 수 있는 흥미로운 댓글을 더 볼 수도 있다.
사용자에 따른 댓글 표시의 관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클린지수는 블라인드 기능이 아닌 다른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 본인의 댓글 표시 상태의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4를 살펴보면, Amhappy7이라는 ID를 갖는 사용자의 클린지수가 168에 달하며 이 사용자가 최근에 생성한 순서대로 댓글의 목록이 제공됨을 알 수 있 다. 사용자는 이러한 댓글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삭제하고 싶은 댓글을 용이하게 발견하여 스스로 삭제할 수도 있고 해당 댓글에 대하여 부가되어 있는 다른 사용자의 댓글도 용이하게 찾아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 예시된 인터페이스에 따르면, Amhappy7이라는 ID의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해 둔 댓글 표시 차단을 위한 기준 클린지수를 변경할 수도 있고 댓글 보기를 차단하고픈 다른 사용자의 ID나 댓글에 대하여 하일라이트 표시를 하고 싶은 다른 사용자의 ID를 등록, 삭제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는 다른 사용자의 댓글 표시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5의 인터페이스를 살펴보면, 다른 사용자가 Amhappy7이라는 ID를 갖는 사용자의 클린지수를 확인하고, 해당 사용자의 댓글 목록을 살펴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다른 사용자 입장에서 Amhappy7 ID의 사용자의 댓글을 항상 표시되지 않도록 차단하거나 하일라이트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이 구비되어 있어, 다른 사용자가 비교적 용이하게 Amhappy7 ID의 사용자의 댓글이 자신에게 표시되는 상태를 관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른 사용자의 댓글의 표시가 항상 차단되도록 하거나 하일라이트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댓글이 표시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사용자 본인의 댓글 표시 상태의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5는 다른 사용자의 댓글 표시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사용자 단말 장치
200: 서버
300: 댓글 데이터베이스
400: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
500: 사용자 설정 데이터베이스

Claims (17)

  1.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제공되는 댓글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댓글의 작성자와 연관된 클린지수를 참조하는 단계,
    사용자 설정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 특정되어 저장되는, 상기 댓글의 표시의 허부에 관한 기준 클린지수를 참조하는 단계, 및
    상기 클린지수 및 기준 클린지수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댓글의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린지수 및 기준 클린지수 중 적어도 하나는 가감될 수 있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린지수는 상기 댓글의 작성자의 댓글 작성에 관한 히스토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감될 수 있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는 상기 서버의 운영자에 의한 조치 기록에 기초하여 기록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는 소정 기간 동안 상기 서버의 운영자에 의한 조치 기록이 없는 경우에 기록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는 상기 댓글에 대하여 제공된 사용자 피드백에 기초하여 기록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피드백은 상기 댓글에 대한 추천 또는 비추천인 방법.
  8. 제3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는 상기 댓글의 작성자가 광고성 댓글을 작성한 경우에 기록되는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클린지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가감될 수 있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댓글의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댓글이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댓글의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댓글이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제공되는 댓글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 설정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 특정되어 저장되는, 댓글의 표시의 허부에 관한 기준 클린지수를 참조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클린지수를 소정의 임계치로서 사용하여 상기 댓글의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클린지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댓글의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댓글이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댓글의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댓글이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7. 댓글 데이터베이스, 댓글 작성자의 댓글 작성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의 댓글 표시에 관한 설정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하여, 사용자의 연산 장치에 댓글이 포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댓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댓글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댓글 정보 추출부,
    상기 추출된 댓글 정보의 표시를 제한하기 위한 댓글 표시 제한부, 및
    상기 표시가 제한된 댓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상기 연산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컨텐츠 전송부
    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070092821A 2007-09-12 2007-09-12 댓글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의 구현을 위한 시스템 및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925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821A KR100925376B1 (ko) 2007-09-12 2007-09-12 댓글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의 구현을 위한 시스템 및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2/186,951 US8051074B2 (en) 2007-09-12 2008-08-06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of comments
JP2008235706A JP2009070388A (ja) 2007-09-12 2008-09-12 コメント表示制御方法、その方法を実行させるためのコメント表示制御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821A KR100925376B1 (ko) 2007-09-12 2007-09-12 댓글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의 구현을 위한 시스템 및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534A KR20090027534A (ko) 2009-03-17
KR100925376B1 true KR100925376B1 (ko) 2009-11-09

Family

ID=40433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821A KR100925376B1 (ko) 2007-09-12 2007-09-12 댓글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의 구현을 위한 시스템 및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51074B2 (ko)
JP (1) JP2009070388A (ko)
KR (1) KR1009253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090B1 (ko) * 2012-10-29 2014-11-04 한국과학기술원 온라인 게시판 서버, 온라인 게시판 시스템 및 온라인 게시판의 스팸 게시물 표시 방법
KR20180112375A (ko) 2017-04-03 2018-10-12 강창우 댓글 솔루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0674B1 (en) 2007-12-14 2018-06-05 Consumerinfo.Com, Inc. Card registry systems and methods
US20100138772A1 (en) * 2008-02-07 2010-06-03 G-Snap!,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Time Event Updates
US8312033B1 (en) 2008-06-26 2012-11-13 Experian Marketing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ntegrated identifier
US20100030621A1 (en) * 2008-07-29 2010-02-04 Inderpal Guglani Apparatus Configured to Host an Online Marketplace
US8060424B2 (en) 2008-11-05 2011-11-15 Consumerinfo.Com, Inc. On-line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reporting unused available credit
US20110041075A1 (en) * 2009-08-12 2011-02-17 Google Inc. Separating reputation of users in different roles
US8645363B2 (en) * 2009-08-12 2014-02-04 Google Inc. Spreading comments to other documents
US8150860B1 (en) * 2009-08-12 2012-04-03 Google Inc. Ranking authors and their content in the same framework
US8745067B2 (en) * 2009-08-12 2014-06-03 Google Inc. Presenting comments from various sources
US20110087737A1 (en) * 2009-10-14 2011-04-14 Cbs Interactiv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iving user reviews
US8478662B1 (en) * 2010-11-24 2013-07-02 Amazon Technologies, Inc. Customized electronic books with supplemental content
CN102694673A (zh) * 2011-03-25 2012-09-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网络言论监控方法、设备及系统
US8572165B2 (en) * 2011-07-08 2013-10-29 Sony Corporation Collaborative filtering of content
US9483606B1 (en) 2011-07-08 2016-11-01 Consumerinfo.Com, Inc. Lifescore
US9106691B1 (en) 2011-09-16 2015-08-11 Consumerinfo.Com, Inc. Systems and methods of identity protection and management
US8738516B1 (en) 2011-10-13 2014-05-27 Consumerinfo.Com, Inc. Debt services candidate locator
US9853959B1 (en) 2012-05-07 2017-12-26 Consumerinfo.Com, Inc. Storage and maintenance of personal data
US9606991B2 (en) * 2012-05-25 2017-03-28 Dwango Co., Ltd. Comment distribution system, and a method and a program for operating the comment distribution system
US9424612B1 (en) * 2012-08-02 2016-08-23 Faceboo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user reputations in social networking systems
US9654541B1 (en) 2012-11-12 2017-05-16 Consumerinfo.Com, Inc. Aggregating user web browsing data
US9208473B2 (en) * 2012-11-21 2015-12-08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Conditional disclosure of a response to content posted in a social network
US9916621B1 (en) 2012-11-30 2018-03-13 Consumerinfo.Com, Inc. Presentation of credit score factors
US9639841B2 (en) * 2012-11-30 2017-05-02 Stephen B. Heppe Promoting learned discourse in online media
US9277024B2 (en) * 2012-12-19 2016-03-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uppressing content of a social network
US10102570B1 (en) 2013-03-14 2018-10-16 Consumerinfo.Com, Inc. Account vulnerability alerts
US9406085B1 (en) 2013-03-14 2016-08-02 Consumerinfo.Com, Inc. System and methods for credit dispute processing, resolution, and reporting
US10685398B1 (en) 2013-04-23 2020-06-16 Consumerinfo.Com, Inc. Presenting credit score information
CN105408851A (zh) * 2013-07-31 2016-03-16 索尼公司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程序
US9477737B1 (en) 2013-11-20 2016-10-25 Consumerinfo.Com, Inc. Systems and user interfaces for dynamic access of multiple remote databases and synchronization of data based on user rules
US10007935B2 (en) 2014-02-28 2018-06-26 Rakuten, Inc.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CN106605220A (zh) * 2014-07-02 2017-04-26 道库门特公司Ip信托单位 用于选择性文档修订的方法及系统
US10599758B1 (en) * 2015-03-31 2020-03-24 Amazon Technologies, Inc. Generation and distribution of collaborative content associated with digital content
US10083160B1 (en) 2015-03-31 2018-09-25 Amazon Technologies, Inc. Distribution of user-generated annotations associated with digital content
US20180013706A1 (en) * 2016-07-06 2018-01-11 Karma Wiki Co. System and method for censoring of comments made on social media
US10574611B2 (en) * 2016-08-08 2020-02-25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teractive action log in a collaborative workspace
CN107153641B (zh) * 2017-05-08 2021-01-12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评论信息确定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KR101996468B1 (ko) * 2017-10-25 2019-07-04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라이브 방송 중 음성 피드백을 위한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8595530A (zh) * 2018-03-30 2018-09-28 武汉楚鼎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后台处理和存储用户消息的方法及系统装置
US10666695B2 (en) * 2018-07-25 2020-05-26 Eduard Weinwurm Group chat application with reputation scoring
US20200074541A1 (en) 2018-09-05 2020-03-05 Consumerinfo.Com, Inc. Generation of data structures based on categories of matched data items
US11315179B1 (en) 2018-11-16 2022-04-26 Consumerinfo.Com,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ustomized card recommendations
US11238656B1 (en) 2019-02-22 2022-02-01 Consumerinfo.Com, Inc. System and method for an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via an artificial intelligence bot
CN110619099B (zh) * 2019-05-21 2022-06-17 北京无限光场科技有限公司 一种评论内容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941065B1 (en) 2019-09-13 2024-03-26 Experian Information Solutions, Inc. Single identifier platform for storing entity data
KR102352517B1 (ko) * 2020-10-13 2022-01-18 네이버 주식회사 악성 댓글 대응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14666670B (zh) * 2022-02-24 2023-08-04 北京青藤文化股份有限公司 数据监控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918A (ko) * 2004-05-20 2005-11-24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디지털 아이템을 이용한 댓글에 대한 변형 및 복원방법
KR20070078668A (ko) * 2006-01-28 2007-08-01 김서남 가상 화폐를 이용한 게시물과 댓글에 대한 운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7203A (ja) 2000-11-21 2002-05-31 Benetsuse Corp:Kk 通信ネットワーク上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を活性化させる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の運営方法
AU2003290756A1 (en) * 2002-11-11 2004-06-03 Transparensee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of searching by correlating the query structure and the data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918A (ko) * 2004-05-20 2005-11-24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디지털 아이템을 이용한 댓글에 대한 변형 및 복원방법
KR20070078668A (ko) * 2006-01-28 2007-08-01 김서남 가상 화폐를 이용한 게시물과 댓글에 대한 운영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090B1 (ko) * 2012-10-29 2014-11-04 한국과학기술원 온라인 게시판 서버, 온라인 게시판 시스템 및 온라인 게시판의 스팸 게시물 표시 방법
KR20180112375A (ko) 2017-04-03 2018-10-12 강창우 댓글 솔루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51074B2 (en) 2011-11-01
KR20090027534A (ko) 2009-03-17
JP2009070388A (ja) 2009-04-02
US20090070376A1 (en) 200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376B1 (ko) 댓글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의 구현을 위한 시스템 및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90197477A1 (en) User generated content publishing system
US9832273B2 (en) Computer implemen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oup-related social network information
US20100082695A1 (en) Enterprise social graph and contextual information presentation
US20130024788A1 (en) Computer implemen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sentation of feed items in an information feed to be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JP5864720B2 (ja) 個人データの配布ルールを構成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Xu Online censorship and journalists' tactics: A Chinese perspective
Ong Online vigilante justice Chinese style and privacy in China
Elyashar et al. Guided socialbots: Infiltrating the social networks of specific organizations’ employees
Law Commission Abusive and offensive online communications: A scoping report
McPeak Disappearing data
Kelly et al. Identifying Dark Patterns in User Account Disabling Interfaces: Content Analysis Results
Hartzog Social Data
Wen et al. Key factors affecting user adoption of open-access data repositories in intelligence and security informatics: An affordance perspective
Fletcher et al. Practical web traffic analysis: standards, privacy, techniques, and results
Earl Private protest? Public and private engagement online
Knapp et al. Russian workers’ experiences with and perceptions of sexual harassment severity
Watters et al. Controlling information behaviour: the case for access control
Sisk Technical difficulties: Protecting privacy rights in the digital age
Hildén Am I my IP address's keeper? Revisiting the boundaries of information privacy
Jones et al. An overview of EU data protection rules on use of data collected online
KR100791552B1 (ko) 스팸 게시물 차단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Scheelen et al. The devil is in the details: Social Engineering by means of Social Media
US8180771B2 (en) Search activity eraser
Cramer From Liability to Accountability: The Ethics of Citing Section 230 to Avoid the Obligations of Running a Social Media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