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949B1 - Method for structuring and providing database of earquake - Google Patents

Method for structuring and providing database of earquak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949B1
KR100923949B1 KR1020070078740A KR20070078740A KR100923949B1 KR 100923949 B1 KR100923949 B1 KR 100923949B1 KR 1020070078740 A KR1020070078740 A KR 1020070078740A KR 20070078740 A KR20070078740 A KR 20070078740A KR 100923949 B1 KR100923949 B1 KR 100923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arthquake
different
classified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7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14651A (en
Inventor
모타데리 마수드 자데
박태현
Original Assignee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8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949B1/en
Publication of KR20090014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6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9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4Recording seismic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for interpretation or for event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토목 구조물의 설계에 필요한 재현 주기별 발생지진의규모를 예측하는데 필요한 지진 이력의 제공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a) 여러 기관에 의한 지진 데이터를 동일 시간대로 분류하는 단계와; b) 상기 동일 시간대로 분류된 상기 여러 기관의 상기 지진 데이터가 서로 상이한지 판단하는 단계와; 그리고, c) 서로 상이한 경우, 각 데이터에 대한 가중치를 통해 상기 상이한 데이터를 단일화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정확한 지진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provision of an earthquake history required to predict the magnitude of the earthquake generated by the reproduction cycle required for the design of the building / civil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classifying seismic data by various agencies in the same time zone; b) determining whether the earthquake data of the various engines classified in the same time zon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c) if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provides a method of databaseting earthquake data,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the step of unifying the database of the different data through the weight for each data.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accurate earthquake data through the database stored as described above.

Description

지진 이력의 데이터베이스화 및 제공 방법{METHOD FOR STRUCTURING AND PROVIDING DATABASE OF EARQUAKE}How to database and provide earthquake history {METHOD FOR STRUCTURING AND PROVIDING DATABASE OF EARQUAKE}

본 발명은 건축/토목 구조물의 설계 및 유지관리에 관한 데이터의 제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건축/토목 구조물의 설계시 사용하는 재현주기별(발생 빈도별) 지진의 규모를 제시하기 위해 필요한 지진 이력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provision of data relating to the design and maintenance of building /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and more particularly, the earthquake required for presenting the magnitude of the earthquak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occurrence (by frequency of occurrence) used in the design of construction /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It is about providing a history.

일반적으로 건축/토목 구조물은 자체의 하중을 포함한 내/외부로부터 구조물에 전해지는 하중에 대해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다.In general, building /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are designed to withstand loads transmitted to the structure from inside / outside, including its own load.

그러나, 도 1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건축/토목 구조물일지라도, 지진이 발생되면 지각 일부의 급격한 변화로 지반이 상하좌우로 진동하면서 그 진동이 사방으로 퍼지게 되어, 지표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상기 건축/토목 구조물은 그 지진의 파장이 지표면에 도달하면 비틀림 모멘트를 받게 되는데, 이때 전달되는 힘이 설계시에 고려된 값보다 큰경우, 붕괴될 수 있다. 특히, 현재 지구상에는 많은 지진대가 있으며, 이들 지진대와 근접된 지역에서는 상기와 같은 건축/토목 구조물들이 붕괴될 가능성이 있고, 이로 인해 많은 재산상의 피해뿐만 아니라, 인명피해도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ure 1, even if the building / civil structure designed to withstand the loa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arthquake occurs, the ground vibrates up, down, left and right due to a sudden change in the part of the earth's crust. Spreading, the building / civil engineering structure, erected perpendicular to the earth's surface, undergoes a torsional moment when the earthquake's wavelength reaches the earth's surface, which can collapse if the transmitted force is greater than the value considered in the design.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earthquake zones on the earth,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uch construction / civil structures are collapsed in areas close to these earthquake zones, and this causes not only a lot of property damage but also a loss of life. .

따라서, 건축/토목 구조물은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소정 강도의 지진이 발생시에도 붕괴되지 않도록 설계 및 시공되어야 한다. Therefore, the building / civil engineering structure should be designed and constructed so that it does not collapse even when an external impact or an earthquake of a certain strength occurs.

그러나, 이와 같이 소정 강도의 지진이 발생시에도 붕괴되지 않도록 설계하기 위해서는, 상기 건축물이 시공되는 지역의 지진 발생 분포를 습득하고, 이를 통해 향후 발생가능한 지진을 예측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무한정한 크기의 지진에도 견딜 수 있도록 건축/토목 구조물을 설계한다면, 건축 시공비가 지나치게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design such that the earthquake does not collapse even when an earthquake of a predetermined intensity occurs, it is necessary to learn the distribution of the earthquake in the area where the building is constructed, and to predict a possible earthquake in the future. Otherwise, if the building / civil structure is designed to withstand an earthquake of indefinite siz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cost is excessively increas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토목 구조물을 시공하려는 지역의 역사적지진 이력 데이터를 정확하게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urately provide historical earthquake history data of an area where a building / civil engineering structure is to be construct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여러 기관에 의한 지진 데이터를 동일 발생시기로 분류하는 단계와; b) 상기 동일 발생 시기로 분류된 상기 여러 기관의 상기 지진 데이터가 서로 상이한지 판단하는 단계와; 그리고, c) 서로 상이한 경우, 각 데이터에 대한 가중치를 통해 상기 상이한 데이터를 단일화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이력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classifying seismic data by various engines into the same occurrence time; b) determining whether the earthquake data of the various engines classified as the same occurrence tim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c) if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method provides a method for the database of earthquake history,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the step of unifying the database of the different data through the weight for each data.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정확한 지진 이력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an accurate earthquake history through the database stored as described above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또한, 본 발명은 통신 모듈과; 저장장치와; 여러 기관에 의한 지진 데이터를 동일 시간대로 분류하고, 상기 동일 발생 시기로 분류된 상기 지진 데이터에서 본진과 여진을 구분한 후, 상기 본진에 대한 상기 여러 기관의 상기 지진 데이터가 서로 상이한 경우, 각 데이터에 대한 가중치를 통해 상기 상이한 데이터를 단일화하여 상기 저장장치에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특정 지역에 대한 지진 데이터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로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unication module; A storage device; When the earthquake data of the various engines are classified into the same time zone, the main and the aftershocks are distinguished from the earthquake data classified at the same time of occurrence, and the seismic data of the various engines for the main offic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each data And a processor for unifying the different data through weights for the data and storing the data as a database in the storage device, and querying the database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to provide earthquake data for a specific region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Provide a server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은 여러 기관의 상이한 지진 데이터를 가중치를 통하여 단일화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지진 이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보다 강화된 건축 구조물을 설계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more accurate seismic history by unifying different seismic data of various engines through weights. Thus, it is possible not only to design a more strengthened building structure, but also to reduce cost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한반도 내지 인근에서 발생되는 지진을 측정하는 여러 기관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여러 기관에서 측정한 지진의 카탈로그를 나타낸 테이블이다.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various engines for measuring earthquakes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FIG. 3 is a table showing catalogs of earthquakes measured by various engines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한반도 또는 한반도 인근에서 발생되는 지진을 측정하는 기관이 여러 곳이 있다. 즉, 국내, 일본, 중국, 또는 미국 등의 세계 각지에서 지진을 측정하고, 그 기록을 데이터베이스화고 있다.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ure 2 there are a number of institutions for measuring earthquakes occurring in the Korean peninsula or the vicinity of the Korean peninsula. That is, earthquakes are measured in various parts of the world, such as Japa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and the records are databased.

이와 같이 여러 기관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차, 부정확성 등의 이유로, 서로 상이한 기록, 예컨대 상이한 진앙지, 상이한 지진 강도, 상이한 발생 주기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KMA 기관은 1978년도부터 ~ 2005년까지 총 655개의 지진 기록을 측정 또는 다른 기관으로부터 획득하여 기록하고 있으나, KSI 기관은 서기 2년부터 2004년도 까지 총 3222개의 지진 기록을 측정 또는 다른 기관으로부터 획득하여 기록하고 있다. Such data measured at various institutions have different records, such as different epicenters, different seismic intensity, and different frequency of occurrence, for reasons of error, inaccuracy, etc. as shown in FIG.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KMA agency has recorded a total of 655 earthquake records from 1978 to 2005 and obtained from measurements or other agencies, while the KSI agency has a total of 2 years from 2004 to 2004. 3222 earthquake records have been obtained from measurements or other agencies.

이와 같이, 한반도 내지 인근에서 발생되는 지진에 대한 데이터가 여러 기관 마다 서로 상이하게 때문에, 건축/토목 구조물을 설계하는 데에는 어느 기관의 데이터를 선택하여야 할지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어느 하나의 기관의 데이터만 선택하고 다른 기관의 데이터를 무시한다고 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선택한 기관의 데이터에 대한 정확성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이 여러 기관의 상이한 데이터를 통일된 기준을 통해 취합하고, 이를 통해 정확한 데이터를 건축/토목 구조물의 설계시에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출원서는 도 4에 도시된 방법을 제시한다.As such, since data on earthquakes occurring on or near the Korean Peninsula are different from one institution to another, it is difficult to designate which organization's data to select in designing a building / civil engineering structure. In particular, even if only the data of one agency is selected and the data of another organization is ignored, questions about the accuracy of the data of the selected agency are inevitably raised. Thus, it is necessary to collect such different data of various institutions through a unified standard, thereby providing accurate data in the design of the building / civil structure. To this end, this application presents the method shown in FIG. 4.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여러 기관의 지진 데이터를 획득하고, 각 데이터별 가중치를 제공하여, 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ure 4,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ismic data of the various engines are obtained, the weight for each data is provided and integrated.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먼저, 여러 기관에 의한 지진 데이터를 획득한다(S101). 그리고, 상기 여러 기관에 의한 지진 데이터를 동일한 발생시기로 각각 분류한다(S102). First, seismic data by various institutions is obtained (S101). Then, the seismic data by the various engines are classified into the same occurrence time (S102).

상기와 같이 동일한 발생시기로 분류된 지진 데이터를 본진과 여진으로 분류하고, 여진 기록을 제거한다(S103). 이때, 본진과 여진은 발생시기가 서로 다르고, 강도가 서로 다르므로 상기 여진의 기록은 제거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ismic data classified at the same occurrence time are classified into main and aftershocks, and the aftershock record is removed (S103). At this time, since the main and the aftershocks have different generation times and different strengths, the recording of the aftershocks can be removed.

다음으로, 상기 여러 기관에 의한 지진 데이터가 각각의 본진에 대해 서로 상이한지 판단한다(S104). 즉, 상기 여러 기관에 의한 지진 데이터가 서로 상이한 진앙지를 기록하거나, 또는 상이한 지진 강도를 기록하고 있는지 판단한다.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ismic data by the various engin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104).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ismic data by the various engines record different epicenters or record different earthquake intensity.

만약, 서로 상이하다면, 상기 여러 기관에 의한 지진 데이터에 대한 가중치를 계산하고, 상기 가중치를 통해 단일화한다(S105).If different from each other, weights for the seismic data by the various engines are calculated and unified through the weights (S105).

마지막으로, 상기 단일화된 데이터를 통해 여러 기관에 의한 지진 데이터를 통합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S106).Finally, through the unified data, seismic data by various organizations is integrated and databased (S106).

이와 같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는 도 5에 도시된 장치, 즉 서버 또는 워크스테이션에 저장될 수 있으며, 요청에 따라 특정 지역의 지진 이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database thus constructed may be stored in the device shown in FIG. 5, i. Specifically,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 즉 서버 또는 워크스테이션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 기관의 지진 데이터를 획득하고, 각 데이터 별 가중치를 통해, 통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장치(100)는 요청에 따라 특정 지역의 지진 이력을 자신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또는 외부 클라이언트(200)로 제공할 수 있다.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ure 5, th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server or workstation as described above to obtain the seismic data of the various institutions,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weight for each data, consolidate the database And, the device 100 can display the earthquake history of a specific region on its own display or provide it to the external client 200 as requested.

이러한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장치(100)는 통신 모듈(101)과, 프로세서(102)와, 저장장치(103)를 포함한다.The device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101, a processor 102, and a storage device 103.

상기 통신 모듈(101)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지진을 관측하는 여러 기관과 연결되어 지진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 모듈(101)은 외부 클라이언트(200)로부터 특정 지역에 대한 지진 데이터의 조회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01 is connected to various agencies for observing an earthquake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to receive earthquake data.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101 may receive an inquiry request for seismic data for a specific region from the external client 200.

상기 프로세서(10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여러 기관으로부터 지진 데이 터를 수신하면, 도 4의 방법을 수행하여 상기 저장장치(103)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0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저장장치(103)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 하여 제공한다.When the processor 102 receives the earthquake data from the various institutions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or 102 establishes a database in the storage device 103 by performing the method of FIG. 4. When the processor 102 receives a request from the external client 200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or 102 inquires and provides a database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103.

또는, 상기 프로세서(102)는 상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특정 지역에 대한 지진 데이터를 표시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processor 102 may display seismic data for a specific region on the display of the device 10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in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changed, or improved.

도 1은 건축 구조물에 대한 지진의 영향을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impact of an earthquake on a building structure.

도 2는 한반도 내지 인근에서 발생되는 지진을 측정하는 여러 기관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several institutions for measuring earthquakes occurring in the vicinity of the Korean peninsula.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여러 기관에서 측정한 지진의 카탈로그를 나타낸 테이블이다.3 is a table showing a catalog of earthquakes measured by various engines shown in FIG. 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호 설명 **** Description of the major signs in the drawings **

100: 본 발명에 따른 장치 101: 통신 모듈100: device 1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2: 프로세서 103: 저장장치102: processor 103: storage device

Claims (6)

a) 여러 기관에 의한 지진 데이터를 동일 발생시기 별로 분류하는 단계와;a) classifying seismic data by various agencies by the same time of occurrence; b) 상기 동일 발생 시기로 분류된 상기 여러 기관의 상기 지진 데이터가 서로 상이한지 판단하는 단계와; 그리고,b) determining whether the earthquake data of the various engines classified as the same occurrence tim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c) 서로 상이한 경우, 각 데이터에 대한 가중치를 통해 상기 상이한 데이터를 단일화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이력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방법.c) if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unifying the different data by means of a weight for each data to datab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a) 여러 기관에 의한 지진 데이터를 동일 발생 시기로 분류하는 단계와; Classifying seismic data by various organizations into the same time of occurrence; 상기 동일 발생 시기로 분류된 상기 지진 데이터에서 본진과 여진을 분류하는 단계와; 그리고Classifying a main and an aftershock from the earthquake data classified into the same occurrence time; And 상기 여진으로 분류된 지진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And deleting the earthquake data classified as the aftershock, 상기 b) 단계는 상기 본진에 대해서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이력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방법.And b) is performed only for the main st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b) 상기 동일 발생 시기로 분류된 상기 여러 기관의 상기 지진 데이터가 진앙지가 서로 상이한지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the earthquake data of the various engines classified as the same occurrence tim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지진 데이터가 강도가 서로 상이한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이력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방법.And determining whether the seismic data are different in strength from each other. a) 여러 기관에 의한 지진 데이터를 동일 발생 시기 별로 분류하는 단계와;a) classifying seismic data by various agencies by the same time of occurrence; b) 상기 동일 발생 시기로 분류된 상기 여러 기관의 상기 지진 데이터가 서로 상이한지 판단하는 단계와; 그리고,b) determining whether the earthquake data of the various engines classified as the same occurrence tim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c) 서로 상이한 경우, 각 데이터 별 가중치를 통해 단일화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와;c) if different from each other, unified by a database by weighting each data; d) 특정 지역에 대한 지진 데이터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특정 지역에 대한 지진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이력 제공 방법.and d) querying the database to provide seismic data for the specific region when there is an earthquake data request for the specific regio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step a) 여러 기관에 의한 지진 데이터를 동일 발생 시기 별로 분류하는 단계와; Classifying seismic data by various agencies for the same occurrence time; 상기 동일 발생 시기로 분류된 상기 지진 데이터에서 본진과 여진을 분류하는 단계와; 그리고Classifying a main and an aftershock from the earthquake data classified into the same occurrence time; And 상기 여진으로 분류된 지진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And deleting the earthquake data classified as the aftershock, 상기 b) 단계는 상기 본진에 대해서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데이터를 지진 이력 제공 방법.B) the earthquake history providing method of the earthquake data,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only for the main station. 통신 모듈과;A communication module; 저장장치와;A storage device; 여러 기관에 의한 지진 데이터를 동일 발생 시기 별로 분류하고, 상기 동일 발생 시기 별로 분류된 상기 지진 데이터에서 본진과 여진을 구분한 후, 상기 본진에 대한 상기 여러 기관의 상기 지진 데이터가 서로 상이한 경우, 각 데이터에 대한 가중치를 통해 상기 상이한 데이터를 단일화하여 상기 저장장치에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특정 지역에 대한 지진 데이터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로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When the earthquake data by the various engines are classified by the same occurrence time, the main earthquake and the aftershock are classified from the earthquake data classified by the same occurrence time, and when the earthquake data of the various engines for the main earth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each And a processor for unifying the different data through a weight for the data, storing the data in the storage device as a database, and inquiring the database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to provide earthquake data for a specific region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70078740A 2007-08-06 2007-08-06 Method for structuring and providing database of earquake KR1009239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740A KR100923949B1 (en) 2007-08-06 2007-08-06 Method for structuring and providing database of earquak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740A KR100923949B1 (en) 2007-08-06 2007-08-06 Method for structuring and providing database of earquak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651A KR20090014651A (en) 2009-02-11
KR100923949B1 true KR100923949B1 (en) 2009-10-29

Family

ID=40684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740A KR100923949B1 (en) 2007-08-06 2007-08-06 Method for structuring and providing database of earquak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94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421B1 (en) * 2020-12-04 2021-04-20 (주)아이아이에스티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isast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1452A (en) 1998-10-22 2000-05-12 Taisei Corp Earthquake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KR20000037018A (en) * 2000-04-04 2000-07-05 한갑수 Seismic monitoring system on network-based
KR20050024970A (en) * 2003-09-05 2005-03-11 한국원자력연구소 Seismic Evaluation System[SES] for the safety and method of tha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1452A (en) 1998-10-22 2000-05-12 Taisei Corp Earthquake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KR20000037018A (en) * 2000-04-04 2000-07-05 한갑수 Seismic monitoring system on network-based
KR20050024970A (en) * 2003-09-05 2005-03-11 한국원자력연구소 Seismic Evaluation System[SES] for the safety and method of th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651A (en)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liveira et al. Minaret behavior under earthquake loading: The case of historical Istanbul
Amiri et al. Attenuation relationships for Iran
Trombetta et al. Nonlinear soil–foundation–structure and structure–soil–structure interaction: engineering demands
Cheng et al. Research on the influencing factors for residual displacements of RC bridge columns subjected to earthquake loading
Liu et al. Health monitoring system developed for Tianjin 117 high-rise building
Di Michele et al. Effects of the vertical seismic component on seismic performance of an unreinforced masonry structures
Douglas et al. Evaluation of seismic hazard for the assessment of historical elements at risk: description of input and selection of intensity measures
Christidis et al. Maximum seismic displacements evaluation of steel frames from their post-earthquake residual deformation
Padgett et al. Effects of liquefiable soil and bridge modelling parameters on the seismic reliability of critical structural components
Bazaez et al. Cyclic loading for RC bridge columns considering subduction megathrust earthquakes
Unobe et al. Multi-hazard analysis of a wind turbine concrete foundation under wind fatigue and seismic loadings
Cavalieri et al. Seismic fragility analysis of URM buildings founded on piles: influence of dynamic soil–structure interaction models
Sheil et al. Biaxial loading of offshore monopiles: numerical modeling
Mortezaei et al. Effectiveness of modified pushover analysis procedure for the estimation of seismic demands of buildings subjected to near‐fault earthquakes having forward directivity
Lestuzzi et al. Validation and improvement of Risk-UE LM2 capacity curves for URM buildings with stiff floors and RC shear walls buildings
Asgarian et al. Incremental dynamic analysis of high‐rise towers
Zhang et al. Seismic risk assessment of a 42-story reinforced concrete dual-system building considering mainshock and aftershock hazard
CN106323575A (en) Method for testing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frame structure of bottom concrete-filled steel-tubular column
Zhang et al. Damage-based yield point spectra for sequence-type ground motions
KR100923949B1 (en) Method for structuring and providing database of earquake
Caicedo et al. Fast mode identification technique for online monitoring
Jiang et al. Structural stiffness identification of traditional mortise-tenon joints based on statistical process control chart
JP4504767B2 (en) Seismic risk assessment system and building selection method
CN105160091B (en) Based on structure-integrated Aseismic Design system
Avcı et al. Probabilistic estimation of inelastic displacement demands in soil–structure interaction systems on cohesive soi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