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2768B1 - 신호출력 발화제 케이스 - Google Patents

신호출력 발화제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2768B1
KR100922768B1 KR1020070117005A KR20070117005A KR100922768B1 KR 100922768 B1 KR100922768 B1 KR 100922768B1 KR 1020070117005 A KR1020070117005 A KR 1020070117005A KR 20070117005 A KR20070117005 A KR 20070117005A KR 100922768 B1 KR100922768 B1 KR 100922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er
heat
case
fire extinguishing
extinguish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0518A (ko
Inventor
효 식 조
Original Assignee
고려화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화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화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7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2768B1/ko
Publication of KR20090050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9Methods or equipment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2C99/0009 - A62C99/0081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출력 발화제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에 대한 작동 여부 확인용 신호출력 발화제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과,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의 전기작동방식에 대한 화재수신반에 설비되는 가스방출지시램프와 연계 운용에 부합되는 소화장치의 작동 여부 확인용 신호출력장치가 내장된 발화제 케이스의 개발과 제조의 기술이다.
본 발명은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의 전기작동방식에 대한 작동 여부 확인용 신호출력 발화제 케이스를 제공하므로, 소화장치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와, 소방검정공사의 신기술 신제품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전기작동방식에 대한 화재수신반 연계 가스방출지시램프 입출력신호체계의 시험항목 문제점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발화제, 발화컵, 발화제 조립체,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Description

신호출력 발화제 케이스{the case of production fire material}
본 발명은 신호출력 발화제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에 대한 작동 여부 확인용 신호출력 발화제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과,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의 전기작동방식에 대한 화재수신반에 설비되는 가스방출지시램프와 연계 운용에 부합되는 소화장치의 작동 여부 확인용 신호출력장치가 내장된 발화제 케이스의 개발과 제조의 기술이다.
본 발명은 화재발생 시에 사용되고 있는 할론 가스와 이산화탄소가스에 의한 오존층파괴 및 지구온난화에 영향이 확인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무공해 소화약제를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며 최근 일부 선진국 기술자에 의한 칼륨(화학기호 K)을 초미립자 상태에서 에어로졸로 방출시키면 화재가 산소공급이 차단되어 소화되는 원리를 발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칼륨 미립자를 이용한 친환경 무공해 소화장치를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로 분류하여 국내 소방방재청에서 신설 소화방식으로 채택하여 소방검정공사의 형식인증 시험절차에 제품의 기능과 화재진압능력을 검증받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의 작동방식에 전기식 작동방식으로 분류된 제품은 화재수신반과 연동으로 운용되며 화재감지기에 의한 화재수신반이 동작하고 소화장치 작동으로 전기식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여 동작하게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동작은, 화재수신반에는 전기식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의 작동 여부에 따른 확인용 가스방출램프 표시등이 있으며 소화장치가 작동되면 가스방출램프가 점등되며 이 기능을 소방검정공사 형식인증 시험항목에 규정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기적신호로 발화제 폭발과 함께 발화제조립체가 점화 발화하여 고체연소성 소화약제를 점화 연소하게 되며 이때 발화제케이스의 온도가 상온에서 고온으로 상승하므로 이 온도를 감지하는 세라믹바이메탈스위치를 장착하여 발생한 온도를 감지하고 온도상승 전 단락상태에서 온도상승 후에 도통 상태로 전환되어 출력 전압을 화재수신반 가스방출지시램프 입력단자에 신호로 출력되는 원리이다.
소방전기. 기계설비 중에서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분야에 속하며 2007년 7월에 소방방재청 개정안으로 고체에어로졸 전기작동방식에 분류되어 화재수신반 연계운용 입출력 신호처리에 대한 소화장치 작동 여부 확인용 가스방출지시램프 입력단자에 1가닥 전선과 발화제(1)용 전원선 2가닥이 필요하여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의 수량에 상관없이 화재수신반과 총 3가닥의 전선이면 된다.
소방전기. 기계설비 중에서 가스계 소화장치가 현재 사용되고 있으나 환경오염 문제를 유발하는 할론 가스와 이산화탄소가스의 화재시에 작동을 위한 화재수신반 연계운용에서 소화장치의 작동 여부 확인을 위하여 별도의 압력센서를 소화가스저장용기에 부착하고 신호용 전선을 화재수신반의 가스방출지시램프 입력단자에 별도 입력처리하게 되어 있다.
소화가스저장용기의 수량 및 저장소별로 압력센서가 설치되고 신호를 위한 전선이 필요하게 되므로 많은 전선 가닥 수와 화재수신반의 입력단자가 필요하게 되어 있다.
압력센서의 수량과 전선의 가닥 수와 입력단자의 수량이 많을수록 화재수신반 불안정한 외부 오동작 요인이 발생하고 오동작으로 인한 소화가스가 방출되는 사고가 자주 있는 실정이며 환경오염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할론 가스는 수입중지 및 판매중지로 현재 가스계 소화장치의 운용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어 친환경 무공해 소화장치로 대체운용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발화제 케이스 내부에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의 봉입 고정의 기술과, 발화제 조립체의 순간 발화에 발생하는 화염의 차단 단열기술과, 화재수신반 가스방출지시램프와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의 신호연계 기술과, 방열판과 상부마개의 커넥터와 고온 차단의 기술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호출력 발화제 케이스의 구성을, 발화제의 발화제 공통접지용 내열전선은 공통접지 단자에 연결되고, 점발화제의 발화제 직류전원용 내열전선은, 직류전원 단자에 연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신호출력 발화제 케이스는,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의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 접점출력용 내열전선은 출력신호 단자에 연결되고,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의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 직류전원용 내열전선은 직류전원 단자에 연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신호출력 발화제 케이스는,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의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 접점출력용 내열전선은, 화재수신반의 가스방출 지시램프의 신호입력단자에 연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의 전기작동방식에 대한 작동 여부 확인용 신호출력 발화제 케이스를 제공하므로, 소화장치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소방검정공사의 신기술 신제품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전기작동방식에 대한 화재수신반 연계 가스방출지시램프 입출력신호체계의 시험항목 문제점 해결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발화제(1)와 발화제 고정용 발화컵(2)이 발화제조립체(3)에 삽입되어 발화제 케이스(8)에 봉입되어 지고, 발화제케이스(8)의 내부는 발화제(1)에 발화제 직류전원용 내열전선(7)과 발화제 공통접지용 내열전선(6)이 연결되어 있으며, 공통접지 단자(14)에는 발화제 공통접지용 내열전선(6)이 납땜으로 고정되어 지고 직류전원 단자(13)에는 발화제 직류전원용 내열전선(7)이 납땜으로 고정되어 지고 발화제(1) 후단부에는 단열재(5)가 발화제 케이스(8) 내부에 채워진다.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9)는 발화제 케이스(8) 내부에 설치하되 단열재(5)의 후단부에 넣은 후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 접점출력용 내열전선(10)을 출력신호 단자(12)에 납땜 고정하고,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 직류전원용 내열전선(11)을 직류전원 단자(13)에 납땜 고정한다.
직류전원 단자(13)에는 발화제 직류전원용 내열전선(7)과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 직류전원용 내열전선(11)이 공통으로 납땜한다.
발화제 케이스(8)는 발화제(1)의 전기신호에 의한 작동으로 발화제 조립체(3)가 점화되고 연소하며, 연소 시에 높은 온도의 열을 방출하게 된다.
이때 발생한 열의 방출을 흡수하기 위한 방열판(19)이 발화제 케이스(8)와 조립되어지고 상부마개(18)와 결합한다.
발화제 케이스(8)의 내부에 출력신호 단자(12)와 직류전원 단자(13)와 공통접지 단자(14)는 커넥터(15)와 연결 결속되고 상부 마개(18)와 커넥터(15)의 사이에는 불연재 패킹(16)이 삽입되고 나사(17)로 커넥터(15)와 상부 마개(18)를 고정 결속한다.
발화제 케이스(8)의 내부구성 부품이 조립 완성되면 발화제 케이스 마개(4)로 덮어서 밀봉시킨다
본 발명의 작동을 살펴보면, 화재수신반의 연기감지기 또는 열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하게 되면 화재수신반 출력신호 단자에서 직류 24볼트의 전압과 전류가 흐르게 되고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의 발화제 케이스(8)의 커넥터(15)에 구성되어 있는 직류전원단자(13)와 공통접지단자(14)에 전기가 도통 되어 발화제(1)가 폭발화면서 발화제 조립체(3)를 점화시켜 연소하게 하며 발화제(1)의 폭발은 발화제 케이스마개(4)를 파열시키고 점화된 발화제 조립체(3)의 화염이 발화제 케이스(8)외부로 방출되며 고체연소성소화약제를 점화시켜 소화성 가스를 발생하게 한다.
이와 같은 신호출력 발화제 케이스(2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발화제(1)의 발화제 공통접지용 내열전선(6)은 공통접지 단자(14)에 연결되고, 발화제(1)의 발화제 직류전원용 내열전선(7)은, 직류전원 단자(13)에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서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9)의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 접점출력용 내열전선(10)은 출력신호 단자(12)에 연결되고,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9)의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 직류전원용 내열전선(11)은 직류전원 단자(13)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서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9)의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 접점출력용 내열전선(10)은, 화재수신반의 가스방출 지시램프의 신호입력단자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서 방열판(19)은, 발화제(1)와 발화제 조립체(3)의 작동시 발생하는 고온의 열을 흡수하기 위해 발화제 케이스(8)와 조립되어 지고, 커넥터(15)는 상부 마개(18)의 열을 차단하기 위한 불연재 패킹(16)을 조립하고, 커넥터(15)를 상부 마개(18)에 나사(17)로 고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각각의 구성을 설명하면, 발화제(1)는 전압과 전류가 흐르면 폭발하는 전기반응성 화약으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화컵(2)는 발화제의 충격방지용 완충소재로 발화제의 폭발에 동시 점화되어 연소되는 판상형태의 연소성 소재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화제 조립체(3)은, 적정 열에 반응하는 발화성 화약을 고체덩어리로 만든 연소성 화약으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화제 케이스 마개(4)는, 금속성 박판의 밀봉용 소재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단열재(5)는, 화염을 차단하는 불연특성을 가진 단열성 소재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화제 공통접지용 내열전선(6)은, 전기반응성 화약의 음극(-) 전원연결용 내열 피복 전선으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화제 직류전원용 내열전선(7)은, 전기반응성 화약의 양극(+) 전 원연결용 내열 피복 전선으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화제 케이스(8)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무 용접방식 배관 가공소재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9)는, 온도에 형태반응을 이용한 이종금속성 바이메탈 기술을 이용한 접점용 스위치로서 외부보호케이스가 세라믹 재질로 만든 부품으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 접점출력용 내열전선(10)은, 음극(-) 전원연결용 내열 피복 전선으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 직류전원용 내열전선(11)은, 양극(+) 전원연결용 내열 피복 전선으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출력신호 단자(12), 직류전원 단자(13), 공통접지 단자(14)는, 커넥터 연결을 위한 납땜처리용 동관단자 부품으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15)는, 전원 및 데이터 신호연결을 위한 금속성 부품으로 구성하며, 불연재 패킹(16)은 화염에 연소 되지 않는 소재로 만든 밀봉용 부품으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정수단으로 사용하는 나사(17)는 커넥터(15)를 스테인리스 재질의 상부 마개(18)에 고정하는 것이며, 상기의 상부 마개(18)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커넥터(15)의 결속 및 발화제 케이스(8)의 결속을 위한 금속판 가공 부품으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열판(19)은 스테인리스 발화제 케이스(8)의 결속을 위한 금속판 가공 부품으로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 분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발화제 2. 발화컵
3. 발화제 조립체 4. 발화제 케이스 마개
5. 단열재
6. 발화제 공통접지용 내열전선
7. 발화제 직류전원용 내열전선
8. 발화제 케이스
9.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
10.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 접점출력용 내열전선
11.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 직류전원용 내열전선
12. 출력신호 단자 13. 직류전원 단자
14. 공통접지 단자 15. 커넥터
16. 불연재 패킹 17. 나사
18. 상부 마개 19. 방열판
20. 신호출력 발화제 케이스

Claims (3)

  1. 발화제(1)와 발화제 고정용 발화제컵(2)을 발화제 조립체(3)에 삽입하여 봉인한 발화제 케이스(8) 내부로 발화제(1)에 발화제 직류전원용 내열전선(7)과 발화제 공통접지용 내열전선(6)을 연결하며, 공통접지 단자(14)에는 발화제 공통접지용 내열전선(6)이 납땜으로 고정되고, 직류전원 단자(13)에는 발화제 직류전원용 내열전선(7)이 납땜으로 고정되어 지고, 발화제(1) 후단부에는 단열재(5)가 발화제 케이스(8) 내부에 채워지는 것과,
    발화제 케이스(8) 내부에 설치하되 단열재(5)의 후단부에 넣은 후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 접점출력용 내열전선(10)을 출력신호 단자(12)에 납땜 고정한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9)와,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 직류전원용 내열전선(11)을 직류전원 단자(13)에 납땜 고정하는 것과,
    직류전원 단자(13)에는 발화제 직류전원용 내열전선(7)과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 직류전원용 내열전선(11)이 공통으로 납땜 고정하는 것과,
    발화제 케이스(8)는 발화제(1)의 전기신호에 의한 작동으로 발화제 조립체(3)가 점화되고 연소하며, 연소 시에 발생한 열의 방출을 흡수하기 위한 방열판(19)이 발화제 케이스(8)와 조립되고 상부 마개(18)와 결합하는 것과,
    발화제 케이스(8)의 내부에 출력신호 단자(12)와 직류전원 단자(13)와 공통접지 단자(14)는 커넥터(15)와 연결 결속되고, 상부 마개(18)와 커넥터(15)의 사이에는 불연재 패킹(16)이 삽입되고 나사(17)로 커넥터(15)와 상부 마개(18)를 고정 결속하는 것과,
    발화제 케이스(8)의 내부구성 부품이 조립 완성되면 발화제 케이스 마개(4)로 덮어서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출력 발화제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신호출력 발화제 케이스는,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의 전기작동방식에 대한 소화장치 작동 여부 확인용 세라믹 바이메탈 스위치(9)가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출력 발화제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신호출력 발화제 케이스는, 화재수신반 가스방출지시램프 입력단자와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의 커넥터(15)를 연결하여 직류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전기방식으로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출력 발화제 케이스.
KR1020070117005A 2007-11-16 2007-11-16 신호출력 발화제 케이스 KR100922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005A KR100922768B1 (ko) 2007-11-16 2007-11-16 신호출력 발화제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005A KR100922768B1 (ko) 2007-11-16 2007-11-16 신호출력 발화제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518A KR20090050518A (ko) 2009-05-20
KR100922768B1 true KR100922768B1 (ko) 2009-10-21

Family

ID=40858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005A KR100922768B1 (ko) 2007-11-16 2007-11-16 신호출력 발화제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27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0324A (ko) * 2020-12-22 2022-06-29 삼우산기 주식회사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용 기동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127A (ko) * 1998-02-04 1999-09-06 조재근 자동소화장치
JP2001286574A (ja) 2000-04-04 2001-10-16 Secom Co Ltd 消火システム
KR20010093143A (ko) * 1998-12-22 2001-10-27 추후기재 연무형의 휴대용 소방 보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127A (ko) * 1998-02-04 1999-09-06 조재근 자동소화장치
KR20010093143A (ko) * 1998-12-22 2001-10-27 추후기재 연무형의 휴대용 소방 보호 장치
JP2001286574A (ja) 2000-04-04 2001-10-16 Secom Co Ltd 消火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0324A (ko) * 2020-12-22 2022-06-29 삼우산기 주식회사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용 기동장치
KR102633337B1 (ko) * 2020-12-22 2024-02-06 삼우산기 주식회사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용 기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518A (ko)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097B1 (ko) 측면 방출구를 포함하는 전기작동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JP6103887B2 (ja) 電力貯蔵システム
JP6042734B2 (ja) 消火装置
KR100920900B1 (ko) 측면 방출구를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 자동 소화 장치
RU2383373C1 (ru) Модуль пожаротушения
KR100922768B1 (ko) 신호출력 발화제 케이스
US2766832A (en) Appliance for extinguishing fires and suppressing explosions
KR101212982B1 (ko) 새로운 소화기 점화약제 조성물을 갖는 소화기 발화작동 장치
CN113134194A (zh) 灭火贴
CN108771805B (zh) 用于电路板的微型气溶胶灭火装置
CN103036204B (zh) 光伏汇流箱双模式自动触发防火保护装置
CN110279960A (zh) 一种防火自灭火插座及插头
CN209933883U (zh) 一种动力电池系统及电动汽车
CN113509663A (zh) 非贮压全氟己酮灭火装置
CN212593631U (zh) 灭火贴
CN203620147U (zh) 防爆型自动干粉灭火装置
CN212416758U (zh) 灭火贴
CN212090623U (zh) 灭火贴
KR100932099B1 (ko) 측면 방출구를 포함하는 전기식 고체 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CN215309854U (zh) 非贮压全氟己酮灭火装置
CN212593632U (zh) 灭火贴
KR102470427B1 (ko) 퓨즈블링크형 고체 에어로졸 자동 소화장치
CN219662725U (zh) 一种热气溶胶灭火装置
CN216169602U (zh) 自动灭火加油机
CN212593633U (zh) 灭火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