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2003B1 - 히스테리시스 범위 결정 방법 및 핸드오버 트리거링 방법,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이동국 - Google Patents

히스테리시스 범위 결정 방법 및 핸드오버 트리거링 방법,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이동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2003B1
KR100922003B1 KR1020070103012A KR20070103012A KR100922003B1 KR 100922003 B1 KR100922003 B1 KR 100922003B1 KR 1020070103012 A KR1020070103012 A KR 1020070103012A KR 20070103012 A KR20070103012 A KR 20070103012A KR 100922003 B1 KR100922003 B1 KR 100922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trength
cell
hysteresis range
slope
hand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7609A (ko
Inventor
김원익
백승권
김형섭
신연승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03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2003B1/ko
Priority to AT08158997T priority patent/ATE472914T1/de
Priority to DE602008001645T priority patent/DE602008001645D1/de
Priority to EP08158997A priority patent/EP2048907B1/en
Publication of KR20090037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스테리시스 범위 결정 방법 및 핸드오버 트리거링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이동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동국은 일정기간 동안 수집된 신호세기 값들을 이용하여 서빙 셀 및 인접 셀 각각 해당하는 선형화된 신호세기의 기울기를 도출하고, 도출된 신호세기 기울기들을 이용하여 각 인접 셀에 해당하는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결정한다. 또한, 결정된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핸드오버 리포팅 이벤트 공식에 대입하여 핸드오버 트리거링 여부를 결정하고, 그에 따른 타겟 셀을 결정한다.
핸드오버, 히스테리시스 범위, 신호세기 기울기, 핸드오버 리포팅 이벤트

Description

히스테리시스 범위 결정 방법 및 핸드오버 트리거링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이동국{Method for hysteresis margin determinating and handover triggering method, and mobile station}
본 발명은 히스테리시스 범위 결정 방법 및 핸드오버 트리거링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이동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신성장동력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5-S-404-23, 과제명: 3G Evolution 액세스 시스템 개발].
핸드오버(handover)의 기본 목적은 이동 중인 사용자에게도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항상 최고의 신호 품질을 제공하는 기지국에 이동국을 연결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동국을 항상 최고의 신호 품질을 제공하는 기지국과 연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핸드오버 방법이 제안되었다.
우선, 부가적인 기준(criteria)없이 최고 신호세기를 제공하는 셀로 이동국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이동국이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불필요한 핸드오버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특히, 불규칙한 무선 환경에서는 갑작스럽게 급등하거나 급락하는 신호세기 패턴이 나타날 수 있는데 그때마다 핸드오버를 수행한다면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핑퐁 효과를 유발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고정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적용 핸드오버 방법을 제안하였다.
고정 히스테리시스 적용 핸드오버 방법은 고정된 히스테리시스 범위(FH)와 타이머를 적용하여 서빙 셀의 신호세기를 인접 셀들의 신호세기와 비교함으로써 서빙 셀의 신호세기보다 인접 셀의 신호세기가 월등히 높을 때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이동국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커버리지 영역 내에 인접 셀로부터 신호세기 레벨이 가장 큰 인접 셀의 신호세기(RSS Neigh )를 탐지하면, 그 값이 서빙 셀로부터 측정된 신호세기(RSS serv )에 고정된 히스테리시스 범위(FH)를 더한 값보다 큰지 확인하고, 더 크다면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다음의 수학식 1은 이러한 고정 히스테리시스 적용 핸드오버에 대응하는 핸드오버 리포팅 이벤트(Reporting Event) 공식을 나타낸다.
RSS serv < RSS Neigh - FH
한편, 이러한 고정 히스테리시스 적용 핸드오버 방법은 신호품질 상에서 히스테리시스 범위보다 더 낮은 값을 가지고 행해지는 잠재적인 불필요한 핸드오버를 어느 정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현 서빙 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신 호세기(RSS serv )가 충분히 높은 경우나 인접 셀의 신호세기가 월등히 높은 경우에도(RSS serv < RSS Neigh - FH 가 여전히 유효할 때) 불필요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서빙 셀의 신호세기가 매우 낮은 경우나 인접 셀의 신호세기가 핸드오버 리포팅 이벤트 공식(RSS serv < RSS Neigh - FH)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신속한 핸드오버 트리거링을 하지 못하여 핸드오버 실패 확률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고정 히스테리시스 적용 핸드오버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종래에는 가변 히스테리시스 적용 핸드오버 방법이 제안 되었다. 가변 히스테리시스 적용 핸드오버 방법은 서빙 셀의 신호세기가 높은 경우에는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증가시켜 핸드오버 확률을 줄이고, 신호세기가 낮을 경우에는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감소시켜 핸드오버 확률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서빙 셀의 신호세기에 따른 가변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변 히스테리시스 적용 핸드오버에 대응하는 핸드오버 리포팅 이벤트 공식은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RSS serv < RSS Neigh - VH
VH = RSS serv -
Figure 112007073292420-pat00001
위 수학식 2를 보면, 가변 히스테리시스 범위(VH)는 현재 서빙 셀의 신호세 기(RSS serv )와 고정된 핸드오버 기대치(
Figure 112007073292420-pat00002
)의 차액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서빙 셀의 신호세기(RSS serv )가 증가하면 가변 히스테리시스 범위(VH)도 증가하게 되고, 서빙 셀의 신호세기(RSS serv )가 감소하면 가변 히스테리시스 범위(VH)도 감소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가변 히스테리시스 적용 핸드오버 방법은 서빙 셀의 신호세기가 높을 경우 히스테리시스 범위가 커지기 때문에 불필요한 핸드오버의 확률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고, 서빙 셀의 신호세기가 낮은 경우에는 히스테리시스 범위가 낮아지기 때문에 신속한 핸드오버가 가능하다. 그러나 현 서빙 셀 내에서 주어진 신호세기에 대한 핸드오버 수행 확률은 핸드오버 기대치(
Figure 112007073292420-pat00003
) 값의 선택에 따라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서빙 셀의 신호세기가 낮거나 인접 셀의 신호세기가 낮은 경우에는 가변 히스테리시스 범위가 매우 낮아지기 때문에 불필요한 핸드오버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불필요한 핸드오버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국의 히스테리시스 범위 결정 방법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핸드오버 트리거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핸드오버 트리거링을 위한 이동국의 히스테리시스 범위 결정 방법은,
수집구간 동안 서빙 셀 및 인접 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신호세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서빙 셀 및 인접 셀 각각에 해당하는 선형화된 신호세기의 기울기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기울기를 이용하여 상기 인접 셀에 해당하는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이동국의 핸드오버 트리거링 방법은,
수집구간 동안 서빙 셀 및 적어도 하나의 인접 셀을 포함하는 복수의 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신호세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셀 각각에 해당하는 선형화된 신호세기의 기울기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셀 각각에 해당하는 기울기와 상기 서빙 셀에 해당하는 기울기의 차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셀 각각에 해당하는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이용하여 핸드오버 트리거링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핸드오버 트리거링이 결정되면,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타겟 셀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서빙 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이동국은,
서빙 셀 및 적어도 하나의 인접 셀을 포함하는 복수의 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신호세기를 수집구간 동안 획득하는 신호 수집부; 상기 수집구간 동안 획득한 상기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셀에 대한 선형 근사화된 신호세기와 상기 선형 근사화된 신호세기의 기울기를 도출하는 신호세기 패턴 분석부; 및 상기 기울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셀 각각에 해당하는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결정하며, 상기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이용하여 타겟 셀을 선택하고 핸드오버 트리거링 유무를 결정하는 핸드오버 트리거링 결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국이 인접 셀들의 선형화된 신호세기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결정하는 경우, 이동국이 인접 셀들 중 향후 신호 품질이 가장 빨리 좋아질 것으로 판단되는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확률이 높아지므로 불필요한 핸드오버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 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동국(Mobile Station, MS)은 단말(terminal),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eN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범위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핸드오버 트리거링(handover triggering)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이동국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을 도시한 구조도로서, 이동국 내 핸드오버 블록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국은 안테나부(101), 물리(PHY) 계층부(102), 매체접속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부(103), 파일럿 신호 수집부(104), 로컬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105), 신호세기 패턴 분석부(106), 핸드오버 제어부(107), 핸드오버 트리거 결정부(108) 및 측정정보 전송부(109)를 포함한다.
파일럿 신호 수집부(104)는 안테나부(101)가 신호를 수신하면, PHY 계층부(102) 및 MAC 계층부(103)를 통해 이를 전달 받은 뒤, 수신된 신호의 신호세기를 측정한다. 또한, 타이머가 종료될 때까지 측정된 수신 신호의 신호세기를 로컬 DB(105)에 저장한다. 여기서, 신호세기는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파일럿 신호의 신호세기를 의미한다. 또한, 타이머는 신호세기 패턴 분석을 위한 수신 신호의 신호세기 수집 구간에 대응되는 값으로서, 서빙 셀로부터 수신된 측정제어 메시지를 이용해 핸드오버 제어부(107)가 설정하는 값 또는 시스템 설계 시 미리 결정된 고정 값을 이용한다.
타이머가 종료되면, 신호세기 패턴 분석부(106)는 타이머 값 동안 수집된 신호세기들을 이용하여 서빙 셀 및 인접 셀 각각에 대한 선형 근사화된 신호세기와 이를 이용한 신호세기 기울기를 도출한다. 여기서, 선형 근사화된 신호세기는 최소자승법(Least-Square Method)을 이용하여 도출하며, 이는 널리 알려진 방법으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핸드오버 트리거 결정부(108)는 신호세기 패턴 분석부(106)에서 도출된 기울 기들을 이용하여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결정한다. 그리고, 결정된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핸드오버 리포팅 이벤트 공식에 대응시켜 가장 최적의 타겟 셀을 결정하고, 그에 따른 핸드오버 트리거링 유무를 판단한다. 여기서, 핸드오버 트리거 결정부(108)는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상대적 히스테리시스 범위 결정 방법을 이용하며, 상대적 히스테리시스 범위 결정 방법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하게 설명한다.
측정정보 전송부(109)는 핸드오버 트리거 결정부(108)에서 핸드오버 트리거링이 결정되면, 핸드오버의 수행을 요청하기 위한 측정정보 메시지에 타겟 셀의 정보를 포함시켜 MAC 계층부(103)로 전달한다. 이는 다시 PHY 계층부(102) 및 안테나부(101)를 통해 서빙 셀로 전송되어 타겟 셀로의 핸드오버를 요청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드오버 트리거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대적 히스테리시스 범위 결정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서빙 셀(셀 #0)과 인접 셀(셀 #1 내지 셀 #3)의 선형화된 신호세기 기울기,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도출한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국은 서빙 셀로부터 측정제어(Measurement Control) 메시지를 수신하면(S101), 선형 근사화된 신호세기 패턴을 탐색하기 위한 수집구간에 해당하는 타이머를 설정한다(S102). 여기서, 이동국은 측정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변수들을 이용하여 타이머를 설정할 수도 있으며, 고정된 타이머 값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이동국이 고정된 타이머 값을 이용하는 경우 S102 단계는 생략이 가능하다.
타이머가 설정되면, 이동국은 타이머가 종료될 때까지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세기들을 로컬 DB(105)에 저장한다(S103).
이후, 타이머가 종료되면(S104), 이동국은 수집구간 동안 수집된 신호세기 들을 기초로 서빙 셀 및 인접 셀에 해당하는 선형 근사화된 신호세기의 기울기를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도출한다(S105). 또한, 이동국은 각 인접 셀들의 기울기를 바탕으로 각 인접 셀들에 해당하는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결정한다(S106).
여기서, 이동국은 상대적 히스테리시스 범위 결정 방법을 이용하여 각 인접 셀에 해당하는 히스테리시스 범위(RH n )를 결정하며, 상대적 히스테리시스 범위 결정 방법은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7073292420-pat00004
여기서, H Max 는 히스테리시스 범위의 최대값, H Min 은 히스테리시스 범위의 최소값, θ Serv 는 서빙 셀에 대응하는 선형 근사화된 신호세기의 기울기(라디언으로 표현된 각도), θ n 는 n번째 인접 셀에 대응하는 선형 근사화된 신호세기의 기울기(라디언으로 표현된 각도), 는 인접 셀과 서빙 셀의 기울기 차가 히스테리시스 범위에 끼지는 영향을 결정하는 가중치 변수로서, 1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위 수학식 3을 보면, 상대적 히스테리시스 범위(RH n )는 H Max H Min 범위 내에서 결정되며, 인접 셀과 서빙 셀 간의 신호세기 기울기의 차(θ n - θ Serv )에 하이퍼볼릭 탄젠트(hyperbolic tangent)를 적용하여 산출된다. 따라서, 인접 셀과 서빙 셀 간의 신호세기 기울기의 차(θ n - θ Serv )로부터 인접 셀마다 적용되는 히스테리시스 범위가 결정되며, 서빙 셀과의 신호세기 기울기의 차(θ n - θ Serv )가 큰 인접 셀 즉, 신호세기의 증가 폭이 큰 인접 셀 즉, 향후 신호 품질이 가장 빨리 좋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인접 셀에 해당하는 히스테리시스 범위가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된다.
도 3을 예로 들면, 셀 #1의 신호세기(202)의 기울기(θ 1 )와 서빙 셀인 셀 #0의 신호세기(201)의 기울기(θ Serv )의 차가 셀 #2의 신호세기(203)의 기울기(θ 2 ) 및 셀 #3의 신호세기(204)의 기울기(θ 3 )와 서빙 셀인 셀 #0의 선형화된 신호세기의 기울기(θ Serv )의 차보다 크므로(θ 1 - θ Serv > θ 2 - θ Serv > θ 3 - θ Serv ), 셀 #1에 대응되는 히스테리시스 범위(RH 1)는 셀 #2 및 셀 #3에 대응되는 히스테리시스 범위(RH 2, RH 3)보다 작게 산출된다(RH 1 > RH 2 > RH 3).
한편, 전술한 수학식 3에서 가중치 는 인접 셀과 서빙 셀의 기울기의 차(θ n - θ Serv )에 따른 히스테리시스 범위(RH n )의 변동폭을 결정하는 중요 변수이다. 예를 들어, 가중치()가 1인 경우, n번째 인접 셀의 신호세기 기울기(θ n )가
Figure 112007073292420-pat00005
이고 서빙 셀의 신호세기 기울기(θ Serv )가
Figure 112007073292420-pat00006
이면 그 차(θ n - θ Serv )는 π이므로, 상대적 히스테리시스 범위(RH n )는 H Max 가 되고, n번째 인접 셀의 신호세기 기울기(θ n )가
Figure 112007073292420-pat00007
이고 서빙 셀의 신호세기 기울기(θ Serv )가
Figure 112007073292420-pat00008
이면 그 차(θ n - θ Serv )는 -π이므로, 상대적 히스테리시스 범위(RH n )는 H Min 가 된다. 반면에, 가중치() 값이 1보다 큰 값을 갖는 경우에는, n번째 인접 셀의 신호세기 기울기(θ n )가
Figure 112007073292420-pat00009
이고 서빙 셀의 신호세기 기울기(θ Serv )가
Figure 112007073292420-pat00010
이면 상대적 히스테리시스 범위(RH n )는 H Max 값보다는 작고, n번째 인접 셀의 기울기(θ n )가
Figure 112007073292420-pat00011
이고 서빙 셀의 기울기(θ Serv )가
Figure 112007073292420-pat00012
이면 상대적 히스테리시스 범위(RH n )는 H Min 값보다는 큰 값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대적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가중치()는, 인접 셀과 서빙 셀간의 신호세기 기울기의 차(θ n - θ Serv )에 따른 상대적 히스테리시스 범위(RH n )에 대한 최적 값을 나타내도록 실제 무선 환경에 대응하여 설정한다.
각 인접 셀에 해당하는 히스테리시스 범위가 결정되면, 이동국은 결정된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핸드오버 리포팅 이벤트 공식에 대응시켜 가장 최적의 타겟 셀을 결정하고, 그에 따른 핸드오버 트리거링 유무를 판단한다(S107). 또한, 핸드오버 트리거링이 결정되면, 이동국은 핸드오버를 요청하기 위해 타겟 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측정보고 메시지를 서빙 셀로 송신함으로써 핸드오버 트리거링을 수행한다(S108).
여기서, 이동국은 핸드오버 트리거링을 결정하기 위해 핸드오버 리포팅 이벤트 공식을 사용하며, 핸드오버 리포팅 이벤트 공식은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RSS Serv < RSS n - RH n
여기서, RSS Serv 는 서빙 셀의 현재 신호세기를 의미하고, RSS n 은 n번째 인접 셀의 현재 신호세기를 의미한다. 또한, RH n 은 n번째 인접 셀에 해당하는 히스테리시스 범위로서, 전술한 수학식 3과 같이 상대적 히스테리시스 범위 결정 방법을 통해 도출할 수 있다.
위 수학식 4에 따르면, n번째 인접 셀의 현재 신호세기(RSS n )가 서빙 셀의 현재 신호세기(RSS Serv )보다 상대적 히스테리시스 범위(RH n )이상 차이를 보이는 시점에서 핸드오버 트리거링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동국은 히스테리시스 범위가 작은 셀을 타겟 셀로 결정할 확률이 높아진다. 즉, 이동국은 향후 신호 품질이 가장 빨리 좋아질 것으로 판단되는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확률이 높아진다.
도 3을 예로 들면, 셀 #1의 경우 205 지점, 셀 #2의 경우 206 지점, 그리고 셀 #3의 경우 203 지점에서 핸드오버 리포팅 이벤트 공식에 의한 핸드오버 트리거링이 발생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이동국이 신호세기의 기울기가 가장 급격히 상승하는 셀 #1으로 핸드오버 할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인접 셀들의 선형화된 신호세기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결정하는 경우, 이동국은 인접 셀들 중 향후 신호 품질이 가장 빨리 좋아질 것으로 판단되는 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확률이 높아지므로 이동국이 다른 셀로 핸드오버 할 확률은 줄어들게 되고, 그에 따라 불필요한 핸드오버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을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드오버 트리거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대적 히스테리시스 범위 결정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9)

  1. 핸드오버 트리거링을 위한 이동국의 히스테리시스 범위 결정 방법에 있어서,
    수집구간 동안 서빙 셀 및 인접 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신호세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서빙 셀 및 인접 셀 각각에 해당하는 선형화된 신호세기의 기울기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인접 셀에 해당하는 선형화된 신호세기의 기울기와 상기 서빙 셀에 해당하는 선형화된 신호세기의 기울기의 차를 토대로 상기 인접 셀에 해당하는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히스테리시스 범위 결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구간에 대응하는 타이머를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타이머가 종료되기 전까지의 상기 수신되는 신호의 신호세기를 획득하는 단계인 히스테리시스 범위 결정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셀로부터 측정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이머는 상기 측정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변수를 이용하여 설정하는 히스테리시스 범위 결정 방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테리시스 범위는 상기 인접 셀의 기울기가 클수록 큰 히스테리시스 범위 결정 방법.
  6. 이동국의 핸드오버 트리거링 방법에 있어서,
    수집구간 동안 서빙 셀 및 적어도 하나의 인접 셀을 포함하는 복수의 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신호세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셀 각각에 해당하는 선형화된 신호세기의 기울기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셀 각각에 해당하는 기울기와 상기 서빙 셀에 해당 하는 기울기의 차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셀 각각에 해당하는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이용하여 핸드오버 트리거링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핸드오버 트리거링이 결정되면, 핸드오버 대상이 되는 타겟 셀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서빙 셀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트리거링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셀 각각에 해당하는 기울기와 상기 서빙 셀에 해당하는 기울기의 차에 하이퍼볼릭 탄젠트를 적용하여 상기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인 핸드오버 트리거링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트리거링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셀에 해당하는 현재 신호세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현재 신호세기가 상기 서빙 셀의 현재 신호세기보다 대응하는 히스테리시스 범위이상 크면 상기 핸드오버 트리거링을 결정하는 단계인 핸드오버 트리거링 방법.
  9. 서빙 셀 및 적어도 하나의 인접 셀을 포함하는 복수의 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신호세기를 수집구간 동안 획득하는 신호 수집부;
    상기 수집구간 동안 획득한 상기 신호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셀에 대한 선형 근사화된 신호세기와 상기 선형 근사화된 신호세기의 기울기를 도출하는 신호세기 패턴 분석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셀 각각에 해당하는 상기 선형 근사화된 신호세기의 기울기와 상기 서빙 셀에 해당하는 상기 선형 근사화된 신호세기의 기울기의 차를 토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셀 각각에 해당하는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결정하며, 상기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이용하여 타겟 셀을 선택하고 핸드오버 트리거링 유무를 결정하는 핸드오버 트리거링 결정부
    를 포함하는 이동국.
KR1020070103012A 2007-10-12 2007-10-12 히스테리시스 범위 결정 방법 및 핸드오버 트리거링 방법,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이동국 KR100922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012A KR100922003B1 (ko) 2007-10-12 2007-10-12 히스테리시스 범위 결정 방법 및 핸드오버 트리거링 방법,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이동국
AT08158997T ATE472914T1 (de) 2007-10-12 2008-06-25 Verfahren zur bestimmung des hysteresebereichs, übergabeauslöseverfahren und mobile station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DE602008001645T DE602008001645D1 (de) 2007-10-12 2008-06-25 Verfahren zur Bestimmung des Hysteresebereichs, Übergabeauslöseverfahren und mobile Station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EP08158997A EP2048907B1 (en) 2007-10-12 2008-06-25 Method of determining hysteresis range, handover triggering method, and mobile station for perform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012A KR100922003B1 (ko) 2007-10-12 2007-10-12 히스테리시스 범위 결정 방법 및 핸드오버 트리거링 방법,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이동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609A KR20090037609A (ko) 2009-04-16
KR100922003B1 true KR100922003B1 (ko) 2009-10-14

Family

ID=40280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012A KR100922003B1 (ko) 2007-10-12 2007-10-12 히스테리시스 범위 결정 방법 및 핸드오버 트리거링 방법,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이동국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048907B1 (ko)
KR (1) KR100922003B1 (ko)
AT (1) ATE472914T1 (ko)
DE (1) DE60200800164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488B1 (ko) 2010-09-28 2017-02-03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 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기지국
EP2453699A1 (en) * 2010-11-15 2012-05-16 ST-Ericsson SA Enhanced handover procedure
CN112243278A (zh) * 2020-10-16 2021-01-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小区搜索方法、装置、芯片、移动终端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34634A1 (en) 1997-12-24 1999-07-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Variable handoff hysteresis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WO1999034633A1 (en) 1997-12-24 1999-07-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aptive handoff hysteresis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s
WO2005006780A2 (en) * 2003-06-25 2005-01-20 Arraycomm, Inc. Adaptive determination of hysteresis for facilitating base station selection, includ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5006781A2 (en) 2003-06-25 2005-01-20 Arraycomm, Inc. Criteria for base station selection, includ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45044A1 (en) * 1994-03-21 1995-09-22 Paul Crichton Method for determining handover in a multicellular environment
EP1091612A1 (en) * 1999-10-04 2001-04-11 Motorola, Inc. Method to reduce handovers in mobile radio system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34634A1 (en) 1997-12-24 1999-07-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Variable handoff hysteresis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WO1999034633A1 (en) 1997-12-24 1999-07-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aptive handoff hysteresis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s
WO2005006780A2 (en) * 2003-06-25 2005-01-20 Arraycomm, Inc. Adaptive determination of hysteresis for facilitating base station selection, includ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5006781A2 (en) 2003-06-25 2005-01-20 Arraycomm, Inc. Criteria for base station selection, includ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48907B1 (en) 2010-06-30
KR20090037609A (ko) 2009-04-16
EP2048907A1 (en) 2009-04-15
DE602008001645D1 (de) 2010-08-12
ATE472914T1 (de)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3720B2 (en)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EP2082603B1 (en) Transmission of special neighbor cell lists
KR10097571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결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US9439125B2 (en) Location-based, event triggered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handovers from a CDMA macrocell to a WCDMA femtocell
US8750876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adjusting resource management procedures in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s based on cell information
CN101610571B (zh) 基站以及移动通信方法
US11476957B2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beam quality measurement
US8326303B2 (en) Method of determining wireless hand off parameters
EP2453704B1 (en) Cell reselecting method and mobile station device
US20100124927A1 (en) Periodic reporting for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location-based handovers from a gsm macrocell to a wcdma femtocell
US20130331104A1 (en) Base station apparatus, user equipment, and method use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00113035A1 (en) Location-based handovers from a macrocell to a femtocell using event-triggered measurement reporting
US20120188884A1 (en) Method and a network node for determining an offset for selection of a cell of a first radio network node
KR101310485B1 (ko) Csg 셀들의 존재 하에서의 효율적 재선택
KR20060136277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결정 방법
US9826446B2 (en) Downlink power management
KR100922003B1 (ko) 히스테리시스 범위 결정 방법 및 핸드오버 트리거링 방법,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이동국
US20120165025A1 (en) Method of managing handover in a cellular wireless system
US8687598B1 (en) Method for managing handoff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4651479B (zh) 接入小区的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US100098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ighbor cell relation configuration
KR102086087B1 (ko) 네이버 리스트 생성 방법 및 단말
WO200903524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radio access technology (rat) for high-speed data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941038B1 (ko) 군용 분산형 기지국 및 그의 간섭인지 기반 적응적 전송 전력 제어 방법
KR20190062113A (ko) 간섭인지 기반 적응적 전송 전력 제어를 위한 군용 분산형 기지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