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792B1 -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 정수기 - Google Patents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792B1
KR100921792B1 KR1020090020755A KR20090020755A KR100921792B1 KR 100921792 B1 KR100921792 B1 KR 100921792B1 KR 1020090020755 A KR1020090020755 A KR 1020090020755A KR 20090020755 A KR20090020755 A KR 20090020755A KR 100921792 B1 KR100921792 B1 KR 100921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cold
cold water
tank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필
Original Assignee
최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필 filed Critical 최상필
Priority to KR1020090020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7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3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수탱크가 저수탱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가능하여 냉수탱크의 내부 세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냉수탱크와 저수탱크의 결합부를 통한 누수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냉온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 정수기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와, 필터에 의해 정수된 물을 저수할 수 있는 저수탱크와, 저수탱크와 연결되어 각각 유입되는 물을 냉각 및 가열시킨 후 배출시키는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를 포함하는 냉온 정수기에 있어서, 저수탱크는 저수되는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면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가지며, 냉수탱크는 상측 개구부를 갖는 원통 또는 타원기둥 형상의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측 개구부가 저수탱크의 개구부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바닥면에 냉수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의 외측 테두리 상부를 감싸도록 고정되며 저수탱크에 탈착 결합 가능한 탈착부재와, 본체의 외측 테두리에 감겨져 내부에 저수되는 물을 냉각시키는 냉매관과, 냉매관 및 본체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온 정수기, 저수탱크, 냉수탱크, 탈착부재, 단열재

Description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 정수기{COLD AND HOT WATER PURIFIER HAVING COLD WATER TANK THAT IS CAN BE SEPARATED AND ASSEMBLED}
본 발명은 저수탱크에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 정수기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와, 필터에 의해 정수된 물을 저수하는 저수탱크와, 저수탱크와 연결되어 유입되는 물을 냉각 및 가열시킨 후 배출시키는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에는 저수탱크를 냉수탱크의 상부에 체결없이 올려놓거나 또는 저수탱크를 냉수탱크의 상부에서 억지 끼워지도록 가압하여 결합시켰는데, 단순히 체결없이 올려놓는 경우 저수탱크에 저수된 물이 냉수탱크로 유입되는 과정이나 저수탱크에 물이 저수된 상태에서 물이 새어나온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저수탱크와 냉수탱크를 억지 끼워지도록 하는 경우에도 그 결합력이 견고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누수의 문제점이 해결되지 못하였다.
그리고,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냉수탱크와 저수탱크 사이에 패킹을 개재한 것이 이용되고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저수탱크를 냉수탱크의 상부에 올 려놓거나 억지 끼워지도록 하는 방식으로는 누수를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억지 끼워지도록 하는 결합방식은 잦은 분리 및 조립이 있는 경우 결합력이 크게 저하된다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냉수탱크와 저수탱크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러한 경우에는 냉수탱크의 내부를 세척하는데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위생상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간접냉각방식의 경우, 원통형의 냉수탱크의 외면 하부에 냉매관을 감은 후 원통형의 단열재로 외부를 덮는 구조가 이용되어 왔지만, 원통형의 단열재와 냉매관이 구비된 냉수탱크를 조립하는 경우 냉수탱크 외부에 감겨진 냉매관으로 인해 냉수탱크의 상부와 단열재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게 되었고, 그러한 공간에 의해 외부공기가 유입됨으로써 결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냉수탱크의 외부에 냉매관이 돌출되어 있어, 일체로 된 원통형 단열재에 직접 끼움 조립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에, 2개의 반원통형 단열재를 이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냉수탱크가 저수탱크에 용이하게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며 그에 따라 냉수탱크의 내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수탱크로부터 냉수탱크로 물이 유입되는 과정이나 또는 냉수탱크에 저수된 물이 저수된 경우 저수탱크와 냉수탱크의 결합부 사이로 누수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냉온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수탱크에 단열재를 결합시키는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결합시 냉수탱크 및 단열재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아 결로가 방지될 수 있는 냉온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을 정수하는 필터와, 필터에 의해 정수된 물을 저수할 수 있는 저수탱크와, 저수탱크와 연결되어 각각 유입되는 물을 냉각 및 가열시킨 후 배출시키는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를 포함하는 냉온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는 저수되는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면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냉수탱크는, 상측 개구부를 갖는 원통 또는 타원기둥 형상의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측 개구부가 상기 저수탱크의 개구부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바닥면에 냉수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 테두리 상부를 감싸 도록 고정되며 상기 저수탱크에 탈착 결합 가능한 탈착부재와, 상기 본체의 외측 테두리에 감겨져 내부에 저수되는 물을 냉각시키는 냉매관과, 상기 냉매관 및 상기 본체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 정수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냉수탱크의 탈착부재는 강제압입 또는 인서트 사출성형으로 상기 본체와 일체화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냉수탱크의 탈착부재는 상기 저수탱크의 하면에 고정스크류에 의해 체결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탈착부재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고정스크류의 몸체부는 관통되고 헤드부는 관통되지 않는 직경을 갖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되 각각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전체적으로 원둘레를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저수탱크의 하면에는 상기 고정스크류의 몸체부가 체결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탈착부재의 상면 타측 및 상기 저수탱크의 개구부에 인접하는 하면 사이에 패킹이 개재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저수탱크의 개구부 내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냉수탱크의 탈착부재의 외측 테두리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냉수탱크의 탈착부재가 상기 저수탱크의 개구부에 나사결합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저수탱크의 개구부 내면에는 상기 나사홈 상측에 내주연을 따라 돌출되는 후크부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와 상기 냉수탱크의 탈착부재 사이에는 패킹이 개재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냉수탱크의 본체 상단부는 외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패킹에는 상기 절곡된 본체 상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고리형의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냉수탱크의 본체는 상기 탈착부재에 접촉되는 테두리 중 소정 면적의 테두리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탈착부재는 상기 걸림부에 대응되도록 내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홈을 갖는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저수탱크는 상기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로 공급되는 물이 분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저수부로 나누어지며, 상기 제1저수부의 하측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저수부의 하측에 상기 온수탱크가 연결관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온수탱크로부터 상기 저수탱크로의 온수역류가 방지되도록 상기 연결관에 역류방지기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온수탱크는, 상측 개구부를 갖는 원통형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가열수단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연결관의 일단이 결합되는 유입구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상측 개구부를 덮는 뚜껑과, 상기 뚜껑이 상기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재와, 상기 뚜껑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온수가 상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관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본체의 외측 테두리 상부를 감싸도록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며 외측 테두리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돌출부재와, 상기 뚜껑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도록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며 내면에 상기 제1돌출부재에 대응되는 나사홈이 형성되는 제2돌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돌출부재 및 제2돌출부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 정수기에 의하면, 냉수탱크의 외측에 강제압입 또는 인서트 사출성형으로 합성수지재의 탈착부재가 일체화됨으로써 냉수탱크가 저수탱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및 조립 가능하기 때문에, 냉수탱크의 세척을 위해 저수탱크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냉수탱크가 저수탱크에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함에 따라, 저수탱크와 냉수탱크를 2중 소재로, 예컨대 저수탱크에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를, 냉수탱크에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저수탱크를 사출성형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제작할 수 있어 작은 사이즈의 냉온 정수기에 적용하더라도 넓은 저수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냉수탱크와 저수탱크의 결합부에 실리콘패킹이 개재됨으로써 그 결합부를 통한 누수가 방지될 수 있으며, 아울러 저수탱크의 개구부 내측으로 후크부가 형성됨으로써 실리콘패킹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냉수탱크의 외면 하부에 냉매관이 감겨지기 때문에 냉수탱크의 내부에 별도의 돌출부가 없어서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냉매관이 감겨지는 부분의 직경이 축소형성됨으로써 일체로 된 원통형의 단열재에 끼움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냉수탱크와 단열재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아 결로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저수탱크와 온수탱크를 연결하는 연결관에 역류방지기가 마련됨으로써, 온수탱크로부터 저수탱크로 온수가 역류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우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 정수기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온 정수기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온 정수기의 요부를 분해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 정수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온 정수기는 필터(100), 저수탱크(200), 냉수탱크(300), 온수탱크(400), 냉동 컴프레셔(Compressor)(500), 방열 판(600), 콘덴서(700), 이들 모두를 수용하는 정수기몸체(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필터(100), 냉동 컴프레셔(500), 방열판(600), 콘덴서(700)는 일반적으로 냉온 정수기에 적용되는 것들로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바, 여기에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저수탱크(200), 냉수탱크(300), 온수탱크(400)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저수탱크(200)는 필터(100)에 의해 정수된 물을 저수한 후 냉수탱크(300)와 온수탱크(40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저수탱크(20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형상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등 여러가지 다양한 형상이 가능한데, 특히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원형이나 타원형에 비해 많은 저수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 저수탱크(200)는 물이 분리된 상태에서 냉수탱크(300)와 온수탱크(400)로 각각 공급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탱크(300)가 연결되는 제1저수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와 온수탱크(400)가 연결되는 제2저수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로 나누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저수탱크(200)의 하면 일측, 즉 제1저수부의 하측에는 개구부(210)가 형성되고, 저수탱크(200)의 하면 타측, 즉 제2저수부의 하측에는 배출구(230)가 형성되는데, 제1저수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개구부(210)에 냉수탱크(3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저수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배출구(230)에 연결관(250)이 결합되며 이 연결관(250)을 통해 저수탱크(200)와 온수탱크(400)가 연결된다.
냉수탱크(300)는 저수탱크(200)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저수하여 냉각시킨 후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10), 탈착부재(320), 냉매관(330), 단열재(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310)는 상측 개구부(312)를 갖는 원통 또는 타원기둥 형상의 스테인레스 재질이나 기타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저수탱크(200)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저수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고, 내부에서 냉각된 물이 배출될 수 있는 냉수배출구(316)가 바닥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310)는 하부면에 돌출형성되는 고정볼트(318)에 의해 정수기몸체(800)의 내부에 장착되는 지지프레임(810)의 상부에 고정되며, 이 경우 본체(310)의 상측 개구부(312)가 저수탱크(200)의 개구부(210)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고정된다.
탈착부재(320)는 본체(310)가 저수탱크(200)에 탈착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고리형의 형상을 가져 본체(310)의 외측 테두리 상부를 감싸도록 고정되며, 탈착부재(320) 자체가 저수탱크(200)에 탈착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 경우, 저수탱크(200)가 통상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탈착 결합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탈착부재(320)도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탈착부재(320)가 본체(310)에 고정되도록 하는 방법은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방식이나 억지 끼워지도록 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겠으나, 본체(310)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탈착부재(320)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감안할 때, 강제압입 또는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하는 것이 바람 직하며, 이러한 강제압입 또는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탈착부재(320)는 본체(310)와 일체가 되며, 이에 따라 탈착부재(320)가 저수탱크(200)에 탈착되면 본체(310)도 동시에 탈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탈착부재(320)가 저수탱크(200)에 탈착되도록 하는 결합방식은 고정스크류에 의한 체결방식이 이용될 수 있고, 또는 탈착부재(320)가 직접 저수탱크(200)에 나사결합되도록 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는데, 고정스크류에 의한 체결방식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고, 나사결합 방식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부재(320)는 저수탱크(200)의 하면(220)에 고정스크류(321)에 의해 체결고정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탈착부재(320)의 일측에는 고정스크류(321)의 몸체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는 관통되고 헤드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는 관통되지 않는 직경을 갖는 복수의 관통공(322)이 형성되되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전체적으로 원둘레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저수탱크(200)의 하면(220)에는 고정스크류(321)의 몸체부가 체결고정될 수 있도록 탈착부재(320)의 관통공(322)에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공(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따라서, 저수탱크(200)에 탈착부재(320)를 체결하고자 하는 경우 저수탱크(200)의 하면(220)에 형성된 나사공의 하부에 탈착부재(320)의 관통공(322)을 위치시키고, 고정스크류(321)를 관통공(322)에 삽입시킨 후 회전시켜 저수탱크(200)의 나사공에 체결고정시키면 된다.
한편, 탈착부재(320) 및 본체(310)가 저수탱크(2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탈착부재(320)의 타측 상면과 저수탱크(200)의 하면, 더 상세하게는 저수탱크(200)의 개구부(210)에 인접하는 하면 사이에 패킹(350)이 개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패킹(350)은 고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저수탱크(200)의 개구부(210)를 형성하는 저수탱크(200)의 하면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소정의 후크 형상을 갖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 후크 형상의 절곡부로 인해 패킹(35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패킹(350)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실리콘패킹을 적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패킹(350)은 냉수탱크(300)의 본체(310)가 저수탱크(200)에 결합되기 전에 본체(310)의 상단에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패킹(350)이 탈착부재(320)의 상면과 저수탱크(200)의 하면 사이에 개재되는 경우에는, 고정스크류(321)로 탈착부재(320)를 저수탱크(200)의 하면에 체결할 때 그 결합력이 더욱 견고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수탱크(200)와 탈착부재(320)의 결합부분을 통해 물이 새어나오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탱크(200)의 개구부(210) 내면에는 나사홈(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탈착부재(320')의 외측 테두리에는 나사홈에 대응되는 나사산(328)이 형성되어, 탈착부재(320')가 저수탱크(200)의 개구부(21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나사결합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 경우에도 탈착부재(320')와 저수탱크(200) 사이에 실리콘패킹(350)이 개재될 수 있는데, 다만 전술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냉온 정수기의 경우와는 달리 탈착부재(320')가 저수탱크(200)의 개구부(210)에 직접 나사결합되는 것이므로, 저수탱크(200)의 내부에 실리콘패킹(350)을 지지할 수단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저수탱크(200)는 개구부(210) 내면에 형성되는 후크부(214)를 갖는데, 후크부(214)는 저수탱크(200)의 개구부(210) 내면에 형성되는 나사홈의 상측에 개구부(214)의 내주연을 따라 돌출되다가 끝단이 하방으로 절곡된다. 따라서, 후크부(214)의 하면과 탈착부재(320')의 상면 사이에 고리형의 실리콘패킹(350)이 개재될 수 있고 끝단 절곡부에 의해 실리콘패킹이 이탈될 염려도 없으며, 이러한 실리콘패킹(350)에 의해 탈착부재(320)와 저수탱크(200)의 결합력이 견고해짐과 동시에 그 결합부분을 통해 물이 새어나오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탱크(300)의 본체(310)는 상단부가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실리콘패킹(350)이 본체(310) 상단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 경우 실리콘패킹(350)에는 본체(310) 상단부의 절곡된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고리형의 홈(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따라서, 실리콘패킹(350)은 본체(310)의 상단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패킹(350)은 본체(310)가 저수탱크(200)에 결합되기 전에 본체(310)의 상단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실리콘패킹(350)이 본체(310)의 상단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탈착부재(320, 320')가 저수탱크(200)의 개구부에 나사결합됨으로써 본체(310)가 저수탱 크(200)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며, 실리콘패킹(350)이 삽입됨으로 인해 그 결합력이 더욱 견고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수현상도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탱크(300)의 본체(310)는 탈착부재(320)에 접촉되는 테두리 중 소정 면적의 테두리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걸림부(314)를 가질 수 있고, 탈착부재(320, 320')는 걸림부(314)에 대응되도록 내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홈(324)을 가질 수 있다.
비록, 탈착부재(320, 320')가 사출성형 등에 의해 본체(310)에 고정되기는 하지만, 오랜기간 사용시 그 고정력이 약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본체(310) 및 탈착부재(320)에 걸림부(314) 및 걸림홈(324)이 형성되면 탈착부재(320)가 본체(310)의 외측 테두리에 요철결합되어 탈착부재(320, 320')의 외측에서 도면상 하방으로 큰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걸림부(314) 및 걸림홈(324)에 의해 고정상태가 해제될 염려는 없다. 특히, 걸림부(314)와 걸림홈(324)은 탈착부재(320, 320')가 사출성형이 아닌 강제압입으로 본체(310)에 고정되는 경우에 그 실효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는 본체(310)에 걸림부(314)가 형성되고, 탈착부재(320, 320')에 걸림홈(324)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탈착부재(320, 320')에 걸림부가 형성되고 본체(310)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냉매관(330)은 본체(310)의 내부에 저수된 물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본체(310)의 외측 테두리에 복수회 감겨져 고정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간접냉각방식을 적용한 것이다. 이러한 간접냉각방식은 직접냉각방식에 비해 결빙의 염려가 적고 냉수탱크의 내부를 세척하는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단열재(340)는 냉매관(330) 및 본체(310)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열이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것을 막아 본체(310)의 냉각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원통 또는 타원기둥 형상의 형상을 갖되 본체(310)와 냉매관(33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가져 냉매관(330)이 외측에 감겨진 본체(310)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단열재(34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데, 단열재(340)가 냉매관(330)이 감겨진 본체(310)를 감싸는 경우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결로방지에 효율적이다. 이를 위해, 냉매관(330)이 감겨지는 본체(310)의 하부는 냉매관(330)이 감기지 않는 나머지 부분보다 그 직경이 축소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컨대 냉매관(330)의 직경만큼 축소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본체(310) 하부에 냉매관(330)이 감겨진 상태에서의 외직경이 냉매관(330)이 감기지 않은 나머지 부분의 직경보다 대략 1~2mm 작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는 냉매관(330) 보호 테이프가 부착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며, 냉매관(330)에 보호 테이프가 감김으로써, 본체(310)는 돌출되거나 함몰된 부분없이 전체적으로 동일한 직경의 외면을 갖게 된다.
따라서, 냉매관(330)이 본체(310)에 감겨진 경우에도 냉매관(330)이 본체(310)의 외측으로 돌출됨이 없고, 본체(310)에 냉매관(330)이 감겨진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이루게 되며, 원통형 단열재(340)를 본체(310)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가압하여 본체(310)가 단열재(340)의 내부에 끼워지도록 하더라도 본 체(310)와 단열재(340)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공간이 발생하는 종래의 냉수탱크에 비해 효율적인 결로방지가 가능하다. 아울러, 단열재(340)도 일체로 된 원통형을 이용할 수 있다.
온수탱크(4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10), 뚜껑(420), 결합부재(430), 배출관(440), 가열수단(4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저수탱크(200)의 제2저수부의 하측에 연결관(250)으로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다.
본체(410)는 상측 개구부(412)와 내부 저수공간을 갖는 원통형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히터 등의 가열수단(450)이 마련되는데, 이 가열수단(450)은 뚜껑(420)에 장착되어 뚜껑(420)이 본체(410)를 폐쇄하는 경우 본체(410) 내부에 위치하여 물을 가열시키게 된다.
뚜껑(420)은 본체(410)의 상측 개구부(412)를 개폐하는 것으로, 뚜껑(420)이 본체에 탈착 가능함에 따라 본체(410) 내부의 세척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뚜껑(420)은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유입구(422)를 갖는데, 이 유입구(422)에 연결관(250)이 연결되어 저수탱크(20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구(422)를 통해 본체(4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결합부재(430)는 뚜껑(420)이 본체(4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출부재(432), 제2돌출부재(43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돌출부재(432)는 본체(410)의 외측 테두리 상부를 감싸도록 고정 되어 일체를 이루며 외측 테두리에는 나사산(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돌출부재(434)는 뚜껑(420)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도록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며, 내면에는 제1돌출부재(432)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홈(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돌출부재(432)가 제2돌출부재(434)에 나사결합되며, 이에 따라 제1돌출부재(432) 및 제2돌출부재(434)와 각각 일체를 이루는 본체(410) 및 뚜껑(420)의 탈착결합가능한것이다.
한편, 결합부재(430)는 제1돌출부재(432)와 제2돌출부재(434)의 사이에 개재되는 고리형의 패킹(46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패킹(460)에 의해 제1돌출부재(432)와 제2돌출부재(434)의 결합력이 견고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부분 사이로 물이 새어나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배출관(440)은 온수탱크(400)의 본체(410) 내부에 저수되어 고온으로 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관으로서, 뚜껑(420)에 관통결합되어 본체(410)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며, 본체(410) 내부에서 가열수단(450)에 의해 가열된 물을 상방으로 배출시킨다.
한편, 저수탱크(200)와 온수탱크(400)를 연결하는 연결관(250)은 일단이 온수탱크(400)의 유입구(422)에 결합되고 타단이 저수탱크(200)의 제2저수부 하측에 형성되는 배출구(230)에 결합된다. 이 경우, 온수탱크(400) 내부에서 물이 가열되면 고온의 물이 저수탱크(200) 쪽으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처럼 온수가 역류하게 되면 저수탱크(200) 내부의 물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물론, 저수탱크(200)는 냉수탱크(300) 및 온수탱크(400)로 분리된 상태에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제1저수부 및 제2저수부로 나누어져 있기는 하지만, 저수탱크(200)의 물이 제1저수부와 제2저수부의 수위한계를 넘어 저수된 경우에는 물이 분리되지 않고 혼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온수탱크(400)로부터 온수가 역류하게 되면 저수탱크(200) 내부의 물이 전체적으로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물이 어느 정도 온도가 상승한 상태에서 냉수탱크(300)로 공급되기 때문에, 냉수탱크(300)에서 물을 냉각시키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온수탱크(400)로부터 저수탱크(200)로 온수가 역류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연결관(250)에는 역류방지기(25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 정수기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온 정수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온 정수기의 요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 정수기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 필터 200 : 저수탱크
210 : 개구부 214 : 후크부
250 : 연결관 300 : 냉수탱크
310 : 본체 314 : 걸림부
320 : 탈착부재 321 : 고정스크류
324 : 걸림홈 330 : 냉매관
340 : 단열재 350, 460 : 패킹
400 : 온수탱크 410 : 본체
420 : 뚜껑 430 : 결합부재
432, 434 : 돌출부재 440 : 배출관
450 : 가열수단 500 : 냉동 컴프레셔
800 : 정수기몸체 810 : 지지프레임

Claims (15)

  1. 물을 정수하는 필터와, 필터에 의해 정수된 물을 저수할 수 있는 저수탱크와, 저수탱크와 연결되어 각각 유입되는 물을 냉각 및 가열시킨 후 배출시키는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를 포함하는 냉온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는 저수되는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면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냉수탱크는, 상측 개구부를 갖는 원통 또는 타원기둥 형상의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측 개구부가 상기 저수탱크의 개구부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바닥면에 냉수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 테두리 상부를 감싸도록 고정되며 상기 저수탱크에 탈착 결합 가능한 탈착부재와, 상기 본체의 외측 테두리에 감겨져 내부에 저수되는 물을 냉각시키는 냉매관과, 상기 냉매관 및 상기 본체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저수탱크의 개구부 내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냉수탱크의 탈착부재의 외측 테두리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냉수탱크의 탈착부재가 상기 저수탱크의 개구부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 정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수탱크의 탈착부재는 강제압입 또는 인서트 사출성형으로 상기 본체와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 정수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의 개구부 내면에는 상기 나사홈 상측에 내주연을 따라 돌출되는 후크부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와 상기 냉수탱크의 탈착부재 사이에는 패킹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 정수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냉수탱크의 본체 상단부는 외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패킹에는 상기 절곡된 본체 상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고리형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 정수기.
  9. 청구항 1, 2, 7 및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탱크의 본체는 상기 탈착부재에 접촉되는 테두리 중 소정 면적의 테두리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탈착부재는 상기 걸림부에 대응되도록 내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 정수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수탱크 본체는 상기 냉매관이 감겨지는 부분의 직경이 상기 냉매관의 직경만큼 축소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 정수기.
  11. 청구항 1, 2, 7 및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는 상기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로 공급되는 물이 분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저수부로 나누어지며, 상기 제1저수부의 하측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저수부의 하측에 상기 온수탱크가 연결관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 정수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로부터 상기 저수탱크로의 온수역류가 방지되도록 상기 연결관에 역류방지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 정수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온수탱크는, 상측 개구부를 갖는 원통형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가열수단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연결관의 일단이 결합되는 유입구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상측 개구부를 덮는 뚜껑과, 상기 뚜껑이 상기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결 합되도록 하는 결합부재와, 상기 뚜껑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온수가 상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 정수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본체의 외측 테두리 상부를 감싸도록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며 외측 테두리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돌출부재와, 상기 뚜껑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도록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며 내면에 상기 제1돌출부재에 대응되는 나사홈이 형성되는 제2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 정수기.
  15. 청구항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돌출부재 및 제2돌출부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 정수기.
KR1020090020755A 2009-03-11 2009-03-11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 정수기 KR100921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755A KR100921792B1 (ko) 2009-03-11 2009-03-11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755A KR100921792B1 (ko) 2009-03-11 2009-03-11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1792B1 true KR100921792B1 (ko) 2009-10-15

Family

ID=41561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755A KR100921792B1 (ko) 2009-03-11 2009-03-11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79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683B1 (ko) 2011-07-08 2013-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362581B1 (ko) * 2011-03-03 201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363289B1 (ko) 2012-09-04 2014-02-17 주식회사 비.엘.아이 냉온수용 정수기
KR101510701B1 (ko) 2010-12-27 2015-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50144405A (ko) * 2014-06-16 2015-12-28 코웨이 주식회사 물저장탱크
US9249038B2 (en) 2011-03-03 2016-02-02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9663A (ja) * 1991-11-27 1993-06-15 Toshiba Corp 冷水機
KR200202525Y1 (ko) 2000-06-07 2000-11-15 구자명 냉온정수기의 저수물통 고정장치
KR200265662Y1 (ko) 2001-11-10 2002-02-25 정석동 정수기 및 냉온수기의 저장 탱크의 구조
KR200278961Y1 (ko) 2002-03-23 2002-06-21 구자명 정수기의 수통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9663A (ja) * 1991-11-27 1993-06-15 Toshiba Corp 冷水機
KR200202525Y1 (ko) 2000-06-07 2000-11-15 구자명 냉온정수기의 저수물통 고정장치
KR200265662Y1 (ko) 2001-11-10 2002-02-25 정석동 정수기 및 냉온수기의 저장 탱크의 구조
KR200278961Y1 (ko) 2002-03-23 2002-06-21 구자명 정수기의 수통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701B1 (ko) 2010-12-27 2015-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362581B1 (ko) * 2011-03-03 201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US9249038B2 (en) 2011-03-03 2016-02-02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KR101304683B1 (ko) 2011-07-08 2013-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363289B1 (ko) 2012-09-04 2014-02-17 주식회사 비.엘.아이 냉온수용 정수기
KR20150144405A (ko) * 2014-06-16 2015-12-28 코웨이 주식회사 물저장탱크
KR102222068B1 (ko) * 2014-06-16 2021-03-05 코웨이 주식회사 물저장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792B1 (ko) 분리 및 조립 가능한 냉수탱크를 갖는 냉온 정수기
CN103221767B (zh) 用于将电气器件与壳体壁附连的支持件
TWI401053B (zh) 飲品裝置及其容器
KR101006860B1 (ko) 냉온 정수기
KR101019262B1 (ko) 싱크대 배수 유닛의 호스 연결 구조
KR200332576Y1 (ko) 냉온수기용 개폐형 온수통
KR200325625Y1 (ko) 정수기의 물 냉각장치
KR200177518Y1 (ko) 용접공해가 없는 냉.온정수기용 물탱크
KR200311805Y1 (ko) 정수기의 냉·온수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
CN211833946U (zh) 一种液体加热容器
KR101480076B1 (ko) 온수 역류방지 기능을 가지는 냉온수기
KR102354221B1 (ko) 냉수탱크
RU2024103099A (ru) Холодильник
KR20110128635A (ko) 압력제어수단이 구비된 역류방지장치
KR200177157Y1 (ko) 개방형 전기온수식 기화기
KR200381799Y1 (ko) 정수기용 냉수탱크
WO2021248864A1 (zh) 保温集水盒及带有该集水盒的饮水机
KR200328372Y1 (ko) 분리가능한 저수통을 구비한 물통식 물분배기
KR100476437B1 (ko) 냉온수기의 냉수통 누설방지구조
KR20090005244U (ko) 냉온정수기용 온수탱크
KR20090001801U (ko) 싱크대에 설치되는 세정용기
KR102004253B1 (ko) 수동 주유기
KR200260114Y1 (ko) 연수기 설치대
US6450252B1 (en) Oil changing unit having heat exchanger
KR200206595Y1 (ko) 생맥주 냉각기의 콕크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