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523B1 -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 및 이를 이용한 약재 좌훈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 및 이를 이용한 약재 좌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523B1
KR100920523B1 KR1020090050706A KR20090050706A KR100920523B1 KR 100920523 B1 KR100920523 B1 KR 100920523B1 KR 1020090050706 A KR1020090050706 A KR 1020090050706A KR 20090050706 A KR20090050706 A KR 20090050706A KR 100920523 B1 KR100920523 B1 KR 100920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water
medicinal
bucket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원
박병희
강한주
강호규
Original Assignee
유재원
박병희
강한주
강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원, 박병희, 강한주, 강호규 filed Critical 유재원
Priority to KR1020090050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5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523B1/ko
Priority to CN201010114572.4A priority patent/CN101797207B/zh
Priority to PCT/KR2010/003650 priority patent/WO2010143857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10Devices on tubs for 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6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4Appliances for sand, mud, wax or foam baths; Appliances for metal baths, e.g. using metal salt solutions
    • A61H2033/044Baths with herbs, e.g. inf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8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3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1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position, like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6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蒸氣)상의 약재성분을 피부를 통해 주입하는 좌훈기 및 이를 이용한 약재 좌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약재성분이 포함된 물이 담겨 있는 휴대용 물통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증상이나 취향에 따라 뜨거운 증기와 함께 약재성분을 피부에 분사함으로써 약재성분을 효과적으로 신체의 내부로 전달할 수 있는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 및 이를 이용한 약재 좌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좌훈기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되고 가운데에 개구부가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측판으로 이루어진 좌훈기본체와; 상기 상판의 상면에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판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좌훈공이 형성된 좌판과, 상기 상판에 형성된 개구부를 감싸도록 상판의 저면에 고정되어 좌훈 공간을 형성하는 좌훈통과, 상기 좌훈통의 바닥을 관통하여 좌훈 공간으로 증기를 분사하는 좌훈용 증기분사노즐로 이루어진 좌훈부재와; 상기 좌훈기본체의 측면에 노출되게 설치된 물통거치대와, 상기 물통거치대에 장착되며 사용자가 선택한 약재 통에 들어 있는 약재 농축액을 넣고 혼합하여 일정 농도의 약재성분이 포함된 물이 담겨 있는 휴대용 물통으로 이루어진 물공급부재와; 상기 물통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약재성분이 포함된 증기를 생성하는 증기발생기와, 상기 물통의 물을 증기발생기로 공급하는 물공급호스와, 상기 물공급호스에 설치되어 물통의 물을 상기 증 기발생기로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증기발생기의 수면에서 발생하는 약재성분이 포함된 증기를 상기 좌훈용 증기분사노즐을 통해 좌훈 공간으로 공급하는 증기공급호스로 이루어진 증기발생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좌훈, 농축액, 약용, 약재, 증기발생기, 물통, 페트병, 약재 통

Description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 및 이를 이용한 약재 좌훈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Fumigating Herb medicine liquid extract}
본 발명은 증기상 약재성분을 피부를 통해 전달하는 좌훈기 및 이를 이용한 약재 좌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약재성분이 포함된 물이 담겨 있는 휴대용 물통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증상이나 취향에 따라 뜨거운 증기와 함께 약재성분을 사용자의 피부에 분사함으로써 약재성분을 효과적으로 신체의 내부로 전달할 수 있는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 및 이를 이용한 약재 좌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좌훈(座薰)은 한의학의 훈증법(薰蒸法)의 일종으로 사람의 몸에 좋은 각종 약초와 허브를 물에 끓여서 나오는 증기(蒸氣)를 신체에 쏘이는 것을 말한다. 즉, 한약재를 끓여 자궁, 질 및 항문에 그 증기를 쏘이게 되면, 뜨거운 증기가 자궁, 질 및 항문으로 들어가 살균, 소염, 수축작용 및 영양공급을 하고, 자궁이나 그 부속기 그리고 항문주위의 혈액순환을 왕성하게 하여 하복부의 노폐물이나 지방질을 제거하여 비만 및 각종 여성 질환을 예방, 치료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좌훈과 유사한 것으로 좌욕(坐浴)이 있는데, 좌욕은 말 그대로 앉아서 허리 아래만을 물에 담그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둔부를 뜨거운 물속에 넣어 혈액순환을 좋게 함으로써 부인병, 항문병 따위의 질병을 치료하거나 통증을 완화하는 것이다. 즉, 좌훈은 약초 등을 끓여서 나온 증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생성되는 증기의 양이 비교적 적고 증기가 넓은 범위로 공급되기 때문에 약효가 떨어진다. 반면에 증기식 좌욕은 많은 양의 수증기를 신체의 하부에 집중적으로 공급하여 하체의 온도를 높여 혈액순환을 완성하게 하고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낮추며 땀을 통해 노폐물을 배출하여 몸 상태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좌훈과 좌욕은 혼용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특히 최근에는 물을 끓여서 만든 뜨거운 증기를 하체에 쏘이는 증기식 좌욕법이 널리 사용되어 좌훈과 좌욕의 구분이 거의 없어지게 되었다. 다만, 좌훈은 족욕과 달리 약초나 허브에서 추출된 약재성분을 증발시켜 사용하는 반면에 좌욕은 순수한 수증기만을 공급하는 것이 특징이다.
좌훈은 피부나 점막을 통해 인체에 유용한 약물을 전달하는 약물 전달 기술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약물 전달 기술로는 경구 투여 방법과 비 경구 주입 방법이 있는데, 경구 투여 방법은 입을 통해 약물을 제공하는 것이고 비 경구 주입 방법은 대표적으로 주사바늘과 같이 입을 통하지 않고 신체에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경구 투여 방법은 위장을 통과하지 못하거나 장 흡수가 원활하지 못한 약물에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주삿바늘은 환자에게 공포감과 통증을 주는 문제가 있어, 최근에는 사용자에게 부담이 없는 피부나 점막을 통해 약물을 전 달하는 경피 전달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경피 약물 전달 방법은 보통 피부에 바르거나 부착하는 방법으로 약물을 주입하는 것으로 공포감이나 통증을 유발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주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약재성분이 피부의 각질층을 통과하기 어렵기 때문에 약물 전달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피부에 화학적, 전기적, 기계적인 자극을 가하거나 미세구멍을 천공하여 약물이 각질층을 쉽게 통과하도록 하여 약물 전달 속도를 높이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환자의 피부와 점막에 다량의 증기를 쏘이는 동시에 약재성분이 포함된 증기를 공급하면, 단순히 증기상 약재성분을 공급하는 것에 비해서 약물 전달 속도가 높아질 것이다.
이러함 점에서 족욕은 피부에 열적 자극을 주어 약물 전달 효율을 높이는 약물 전달 증진 기술의 하나이다. 즉, 뜨거운 증기에 의한 열적 자극은 각질층 조직이 부드럽게 하거나 부분적으로 제거하고, 열기 및 습윤에 의해서 세포 간의 간격을 넓혀 주어 물질의 흡수 및 확산이 용이하게 하며, 온도차에 의해 혈액순환이 활발하게 되어 약물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좌훈을 통한 경피 약물 전달을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피부에 열적 자극을 주는 증기식 족욕 또는 증기식 좌훈을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뜨거운 증기와 함께 증기화된 약재성분을 신체의 일부에 공급하면 부인병이나 항문병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거나 완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좌훈 방법을 '약재 좌훈' 또는 '약용 좌훈'이라고 정의한다.
이러한 약재 좌훈을 위해서는 약초, 허브 등 좌훈용 약재와, 좌훈용 약재로 부터 약재성분을 추출하거나 희석하기 위한 물과, 이들을 가열하여 약재성분이 함유된 증기를 만들기 위한 좌훈기가 요구된다.
전통적인 훈증기는 약쑥이나 한약재 등 좌훈용 약재가 충진된 훈증 그릇에 열을 가하여 약재성분을 증발시킨다. 그러나 전통적인 훈증기는 좌훈 도중에 훈증 그릇의 물이 소모되어 과열로 인하여 화재 발생의 위험이 있고,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주 물을 공급하여야 하므로 사용하기가 불편하다. 또한, 훈증 그릇에 넣기 위한 약재를 사용자가 직접 구해서 손질해야 하므로 준비절차가 번거롭다. 또한, 훈증 그릇에서 발생하는 증기량이 적어 약물 전달 효율이 떨어지고 발산면적이 넓어 환부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실용신안등록 180413호에 개시된 종래의 좌훈기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가열탱크와, 가열탱크의 바닥에 설치되어 가열탱크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수위조절센서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되어 가열탱크의 내부로 설정된 양의 물을 공급하는 개폐밸브와, 가열탱크 내부와 연결되어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공급관과, 가열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약재성분이 포함된 증기를 증기공급관으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팬과, 증기공급관에 설치되어 증기 공급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좌훈기는 비교적 큰 규모의 가열탱크 내부에 물과 좌훈용 약재를 충분히 넣고 끓여서 약재성분이 포함된 증기를 발생시키고, 이를 송풍팬을 통해 증기공급관으로 공급하는 구조이므로 약재성분이 함유된 증기를 대량으로 만들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가열탱크가 크기 때문에 작동 초기에 증기가 발생하는 시 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열탱크 내부에 좌훈용 약재를 직접 넣기 때문에 가열탱크 내부에 약재 잔재물이 남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청소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고, 아울러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사용할 경우 모두 동일한 약재성분을 적용할 수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열탱크에 좌훈용 약재를 직접 넣는 대신에 가열탱크에서 발생하는 뜨거운 증기를 이용하여 좌훈용 약재에서 약재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즉, 증기가 배출되는 통로 상에 좌훈용 약재저장통 만들고, 이 약재저장통에 좌훈용 약재를 넣어둠으로써 증기가 약재저장통을 통과하면서 약재를 증숙시켜 약재성분이 포함된 증기를 만드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별도로 약재저장통이 구비되므로 가열탱크가 오염되지 않고 약재저장통의 좌훈용 약재를 교체함으로써 사용자마다 자신의 증상이나 취향에 맞는 좌훈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좌훈기는 약재를 증숙할 때 결로현상으로 발생하는 액상물질이 약재저장통 내부에 고이거나 가열탱크로 유입되어 오염시키거나, 증숙과정에서 발생하는 점성 물질이 증기공급관을 막아서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약재저장통이 좌훈기 내부에 있기 때문에 좌훈용 약재를 교체할 때마다 좌훈기를 열어야 하기 때문에 여전히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한편, 좌훈용 약재를 직접 사용함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종래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좌훈기 내부에 좌훈용 약재를 넣는 대신에 약재 농축액 통을 넣고 약재 농축액을 희석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즉, 특허출원 10-2007-97108호에는 약용 훈증부를 구비한 양변기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약용 훈증부에는 다수 개의 약재 농축액 통과, 가열장치가 구비된 가열탱크가 구비된다. 그리고 가열탱크는 수도관 및 각 약재 농축액 통과 연결된다. 그리고 각 약재 농축액 통에는 약재 농축액을 가열탱크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고, 가열탱크에는 발생한 증기를 증기공급노즐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다. 이 수단들은 제어밸브와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의 약용 훈증부는 제어부의 제어작용으로 가열탱크의 내부에 적당량의 물과 적당량의 농축액을 주입한 후,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가열함으로써 약재성분이 포함된 증기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약용 훈증부은 약재 농축액을 물에 희석하여 약재성분이 포함된 증기를 발생시키므로 가열탱크에 약재 잔재물이 남거나 증기공급튜브가 막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 이상의 농축액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개별 사용자의 증상이나 취향에 맞는 좌훈을 즐길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약용 훈증부는 약재 농축액을 물에 희석하기 위해서 장치의 내부에 다수 개의 약재 농축액 병과 가열탱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가열탱크에 물과 하나 이상의 약재 농축액을 넣기 위한 제어밸브와 증기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밸브 등 여러 개의 제어밸브가 구비되고 제어부는 이들 제어밸브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약용 훈증부는 구성이 복잡하고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약재 농축액 통을 교체하기 위해서 장치를 열어야 하고, 약재 농축액의 사용량이나 물의 사용량을 확인할 수 없다. 특히, 여러 종류의 농축액 병을 구비하 고 그 중에서 일부를 선택하여 사용할 경우 어느 농축액은 다른 농축액보다 빨리 소모되기 때문에 그때마다 농축액 통을 교체하여야 하고, 또 어느 농축액은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아서 부패하거나 약효가 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가열탱크에 약재 농축액을 넣어 희석하는 동시에 증기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가열탱크 내부에 약재성분이 포함된 물이 잔류할 경우 약재성분이 바닥에 쌓이거나 말라붙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가열탱크를 청소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종래의 약용 훈증부는 약재 농축액의 제조 및 희석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편리한 점이 있기는 하나 사용자가 선택된 농축액의 종류와 희석된 농축액의 농도 등을 눈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구성이 복잡할수록 고장발생의 가능성이 증가하므로 종래의 약용 훈증부는 가격이나 비용에 비해서 신뢰성과 편리성이 떨어져 실제로 실용화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약재 농축액을 희석하여 약재 좌훈에 이용하되,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약재 농축액을 좌훈기 외부에 장착될 수 있는 휴대용 물통에 넣고 희석하여 사용함으로써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고, 장치 내부에 약재 농축액 통을 넣을 필요가 없고 물통을 청소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과 약재 농축액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밸브와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어밸브 등 값비싸고 복잡한 부품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제품가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 및 이를 이용한 약재 좌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 크기의 약재 통에 담겨 있는 농축액을 소정 크기의 휴대용 물통에 넣고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개인의 상태와 취향에 맞는 약재성분을 얻을 수 있고, 누구나 약재성분의 농도를 쉽고 정확하게 맞출 수 있는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 및 이를 이용한 약재 좌훈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좌훈과 족욕을 동시에 하거나 좌훈이나 족욕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좌훈통과 좌욕통이 모두 구비되고, 좌훈통의 좌훈 공간과 족욕통의 족욕 공간에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증기를 공급할 수 있는 증기발생기가 구비된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길쭉한 형태의 가열원통이 구비된 증기발생기에 약재성분이 포함된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하여 약재성분이 함유된 증기를 연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좌훈기본체의 수납공간에 전후로 이동하는 좌욕통을 보관함으로써 보관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좌훈기는 약재 농축액 병을 장치의 내부에 장착하지 않고, 농축액을 희석시킨 물이 들어 있는 휴대용 물통은 좌훈기 외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물과 약재 농축액의 공급을 용이하게 하고 약재 농축액의 선택과 물 사용량을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보면서 선택할 수 있으므로 신뢰성이 향상되며 소형 가열원통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증기를 발생시키므로 여러 사람이 연이어 사용하더라도 증기를 끊임없이 제공할 수 있는 좌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되고 가운데에 개구부가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측판으로 이루어진 좌훈기본체와;
상기 상판의 상면에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판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좌훈공이 형성된 좌판과, 상기 상판에 형성된 개구부를 감싸도록 상판의 저면에 고정되어 좌훈 공간을 형성하는 좌훈통과, 상기 좌훈통의 바닥을 관통하여 좌훈 공간으로 증기를 분사하는 좌훈용 증기분사노즐로 이루어진 좌훈부재와;
상기 좌훈기본체의 측면에 노출되게 설치된 물통거치대와, 상기 물통거치대에 장착되며 사용자가 선택한 약재 농축액을 넣고 혼합하여 일정 농도의 약재성분이 포함된 물이 담겨 있는 휴대용 물통으로 이루어진 물공급부재와;
상기 물통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약재성분이 포함된 증기를 생성하는 증기발생기와, 상기 물통의 물을 증기발생기로 공급하는 물공급호스와, 상기 물공급호스에 설치되어 물통의 물을 상기 증기발생기로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증기발생기의 수면에서 발생하는 약재성분이 포함된 증기를 상기 좌훈용 증기분사노즐을 통해 좌훈 공간으로 공급하는 증기공급호스로 이루어진 증기발생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좌훈기본체의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전후로 이동 가능한 서랍의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두 발이 들어가는 좌욕 공간을 형성하는 좌욕통과, 상기 증기발생기의 수면에서 발생하는 약재성분이 포함된 증기를 증기공급호스를 통해 상기 좌욕 공간으로 분사시키는 족욕용 증기분사노즐로 이루어진 좌욕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용 물통은 300㎖, 600㎖, 900㎖, 1500㎖로 규격화된 투명 페트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휴대용 물통에 넣을 수 있는 약재 농축액이 담겨 있는 약재 통은 25㎖, 30㎖로 규격화된 병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물통거치대는 상기 좌훈기본체의 일 측면에 일체로 고정된 거치대본체와 상기 거치대본체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용 물통이 거치되어 일정량의 물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물저장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물저장부의 저면에는 물공급호스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여과포가 설치되고, 일측에는 물저장부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센서가 설치된다.
상기 휴대용 물통에는 휴대용 물통의 주둥이에 나사 결합하는 삽입부와, 상기 휴대용 물통의 어깨 주변부가 밀착되어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삽입부에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휴대용 물통에서 배출되는 물을 단속하는 단속밸브로 이루어진 보조캡이 더 포함된다.
상기 증기발생기는 소정 지름을 갖는 가열원통과, 상기 가열원통의 하단부 외주면에 밀착되게 감겨져서 상기 가열원통을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가열원통의 상단부 외주면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가열원통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기와, 상기 가열원통의 상단에 설치되어 가열원통의 수면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증기배출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훈용 증기분사노즐의 상단은, 상기 좌훈통의 바닥판을 관통하여 좌훈통의 좌훈 공간에 위치하고 하단은 좌훈통의 저면에 설치된 공기혼합통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원통형 노즐통과, 상기 노즐통의 상단을 밀폐하여 증기가 직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 하부의 노즐통에 형성된 다수 개의 분사공과, 상기 분사공을 통해 외측 방사방향으로 분사되는 증기를 다시 상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노즐통의 외측 둘레에 설치된 반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기혼합통은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형 용기로서, 그 바닥판에는 증기분사노즐의 노즐통 내부로 증기를 주입하는 증기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 기혼합통에는 노즐통의 하단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다수 개의 공기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기발생기는, 좌훈 공간으로 증기를 공급하는 좌훈용 증기발생기와 별도로 상기 족욕 공간으로 증기를 공급하는 족욕용 증기발생기를 더 설치하되, 상기 좌훈 공간으로 증기를 공급하는 좌훈용 증기발생기는 좌훈기본체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족욕 공간으로 증기를 공급하는 족욕용 증기발생기는 서랍에 고정되어 상기 서랍과 함께 전후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를 이용한 약재 좌훈 방법은,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 좌훈기본체와, 상기 좌훈기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좌훈통과 상기 좌훈통의 좌훈 공간으로 증기를 분사하는 좌훈용 증기분사노즐로 이루어진 좌훈부재와, 상기 좌훈기본체의 측면에 노출되게 설치된 물통거치대와, 상기 물통거치대에 장착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약재 농축액을 넣고 혼합한 일정 농도의 약재성분이 포함된 물이 담겨 있는 휴대용 물통과, 상기 물통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약재성분이 포함된 증기를 생성하는 증기발생기와, 상기 물통의 물을 증기발생기로 공급하는 물공급호스와, 상기 물공급호스에 설치되어 상기 휴대용 물통의 물을 상기 증기발생기로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증기발생기의 수면에서 발생하는 약재성분이 포함된 증기를 상기 좌훈용 증기분사노즐을 통해 좌훈 공간으로 공급하는 증기공급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를 이용한 좌훈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약재 통에 담겨 있는 약재 농축액을 휴대용 물통에 주입하여 혼합하 는 단계와; 상기 좌훈기의 물통거치대에 소정 농도의 약재성분이 포함된 물이 담겨 있는 휴대용 물통을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용 물통에 담겨 있는 약재성분이 포함된 물을 증기발생기로 공급하여 약재성분이 포함된 증기를 발생시켜 사용자의 피부로 공급하는 약재 좌훈단계와; 상기 좌훈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휴대용 물통을 물통거치대에서 제거하는 휴대용 물통 분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재 좌훈단계는, 상기 히터에 전원을 공급하여 가열원통 내부의 수면에서 약재성분이 함유된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단계와; 상기 가열원통의 온도가 최고 설정온도에 도달할 때 상기 가열원통의 수위가 최저 수위임을 인식하는 최저수위인식단계와; 상기 가열원통의 수위가 최저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휴대용 물통의 물을 상기 가열원통의 내부로 공급하는 물 공급단계와; 상기 펌프의 작동 시간이 제어부에 미리 저장된 작동시간을 초과할 경우 상기 가열원통의 수위가 최고 수위임을 인식하는 최고수위인식단계와; 상기 가열원통의 수위가 최고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펌프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물 공급중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재 통에 담겨 있는 약재 농축액은, 천궁, 박하, 인동, 포공영, 익모초, 지치, 애엽, 진피, 형개, 오가피, 두송목, 생지황, 당귀, 괴화, 구절초, 하수오, 측백엽, 지각, 금은화, 패장금, 황백, 홍화, 정량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약재 혼합물을 다려서 농축시키되, 상기 약재 농축액을 약재 통에 넣어 보관하거나 휴대용 물통에 넣고 혼합할 때 입자성 물질이나 침전물이 생기지 않 도록 하고, 물과 함께 증발되어 피부에 흡수될 수 있도록 여과과정을 포함하는 제조공정을 거쳐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재 농축액의 제조공정은, 천연 한방 약재를 물에 넣고 충분히 끓여서 약재성분이 함유된 증기를 발생시키고 발생되는 증기를 응축시켜서 약재성분이 포함된 응축수를 만드는 증류응축단계와; 상기 증류응축단계에서 얻어진 응축수를 필터나 스크린 망에 통과시켜 입자성 물질을 제거하는 여과단계와; 상기 여과단계를 거친 여과수를 일정 시간 동안 침전시켜 침강성 플럭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분리하는 침전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재 농축액은 광물질이나 암염의 분말을 곱게 분쇄한 후 정제수에 녹인 다음 상기 증기발생기에서 증기와 증발될 수 있도록 미세 필터를 통해 여과한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종 약재의 농축액이 희석된 휴대용 물통을 좌훈기의 외측면에 설치하고, 약재성분이 포함된 물을 주기적으로 증기발생기로 공급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며, 발생된 증기를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의 발이나 둔부에 쏘임으로써 피부를 통해 약재성분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소정 크기의 약재 통에 담겨져 있는 약재 농축액을 휴대용 물통에 주입하여 혼합함으로써 약재성분의 농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휴대용 물통을 교체함으로써 증기 발생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거나 약재성분의 종류를 쉽게 바꿀 수 있는 휴대용 물통 교체식 족욕 및 좌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증기 분사식 족욕 겸용 좌훈기에 따르면, 좌훈과 족욕을 동시에 하거나 좌훈이나 족욕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기를 좌훈기 또는 좌욕기와 완전히 분리시켜 설치함으로써 좌훈 중에 과열로 인한 화재나 뜨거운 증기에 의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고, 발생된 증기를 충분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좌훈 공간이나 족욕 공간으로 분사함으로써 좌훈이나 족욕의 효과를 높일 뿐만 아니라 하나의 증기발생기에서 생성된 고온의 증기를 좌훈통의 좌훈 공간과 좌욕통의 족욕 공간으로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기공급호스의 선단에 설치된 증기분사노즐을 이용하여 뜨거운 증기에 외부의 공기를 혼합하여 좌훈통의 좌훈 공간이나 족욕통의 족욕 공간으로 분사되는 증기의 온도를 적정 온도로 낮추어 사용자의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후로 이동하는 좌욕통을 좌훈통이 설치된 좌훈기본체의 수납공간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가열원통을 포함하는 증기발생기를 사용하여 물 사용량과 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 및 이를 이용한 약재 좌훈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약재 좌훈 방법을 위해서 필요한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이하 '좌훈기'라 함)(1)와, 소정 양의 물이 담겨 있는 휴대용 물통(2)과, 소정 양의 약재 농축액이 담겨 있는 약재 통(3)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훈기(1)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높이로 설치된 상판(12)과, 상기 상판(12)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프레임(14)과, 상기 상판(12) 위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16)와, 상기 프레임(14)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판(12)의 하부에 소정 크기의 수납공간(11)을 형성하는 측판(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13은 다리이고 15는 팔걸이이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물통(2)은 콜라나 주스 등의 음료가 충진될 수 있는 통상의 투명 페트병으로서, 300㎖, 600㎖, 900㎖, 1500㎖ 등의 크기를 갖는다. 예를 들어 300㎖는 1회 좌훈할 수 있는 물을 담을 수 있고, 600㎖의 휴대용 물통(2)은 2회 좌훈할 수 있는 물을 담을 수 있다. 또한, 900㎖나 1500㎖는 좌훈과 동시에 족욕을 하거나 여러 사람이 사용할 때 적합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상의 페트병에 80~90% 정도의 물을 채워서 휴대용 물통(2)을 준비할 수 있다.
상기 약재 통(3)은 25㎖, 30㎖의 크기를 갖는 병으로, 좌훈용 한방 약재를 다려서 추출한 약재 농축액이 담겨 있다. 이 약재 통(3)은 통상의 유통경로를 통해 구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약국이나 대리점에서 약재 통(3)에 들어 있는 약재 농축액을 구입하면 되기 때문에 스스로 좌훈용 한방 약재나 약초를 구입할 필요 없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그리고 사용자는 약재 통(3)에 들어 있는 약재 농축액을 휴대용 물통(2)에 넣고 흔들어서 약재성분이 포함된 좌훈용 물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적용 농도의 약재성분을 얻기 위해서 시간과 노력을 들이 필요가 없다. 또한, 약재성분이 포함된 물이 들어 있는 휴대용 물통(2)을 좌훈기(1)의 측판(18)에 구비된 물통거치대(6)에 장착하면 약재좌훈을 위한 모든 준비가 완료되기 때문에 사용자에 부담없이 약재좌훈을 실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를 이용한 약재 좌훈 방법(이하 '약재 좌훈 방법’이라 함)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약재 좌훈 방법은, 약재 통(3)에 담겨 있는 약재 농축액을 휴대용 물통(2)에 주입하여 혼합하는 단계(S10)와; 상기 좌훈기(1)의 물통거치대(6)에 약재성분이 포함된 물이 담겨 있는 물통(3)을 장착하는 단계(S20)와; 상기 휴대용 물통(3)에 담겨 있는 약재성분이 포함된 물을 증기발생기의 가열원통으로 공급하여 약재성분이 포함된 증기를 발생시켜 사용자의 피부로 공급하는 좌훈단계(S30)와; 좌훈단계(S30)가 완료되면 상기 휴대용 물통(2)을 제거하는 물통 분리 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좌훈을 하고자 할 때는, 약재성분이 포함된 휴대용 물통(3)을 좌훈기(1)에 장착하고, 좌훈이 끝나면 휴대용 물통(3)을 좌훈기(1)에서 분리함으로써, 좌훈용 약재 및 물 공급을 매우 용이하게 하고, 좌훈기(1) 내부에 물통을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물통 관리를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약재 농축액을 사용자의 증상이나 취향에 따라 쉽게 혼합하고 적정 용량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1)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좌훈기(1)는 사용자가 앉을 수 크기와 구조를 갖는 좌훈기본체(10)와, 상기 좌훈기본체(10)의 상판 저면에 설치된 좌훈부재(100)와, 상기 좌훈기본체(10)의 내부 수납공간에 서랍식으로 수납되는 족욕부재(200)와, 상기 좌훈부재(100)와 족욕부재(200)에 약재성분이 함유된 증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좌훈기본체(10)의 수납공간에 설치된 증기발생부재(300)와, 상기 증기발생부재(300)에 약재성분이 포함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좌훈기본체(10)의 외측면에 설치된 물공급부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좌훈기본체(10)의 후면에는 문(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좌훈기본체(10)의 수납공간(11)에 설치된 증기발생부재(300)의 펌프(370), 증기발생기(350)(350a) 및 제어부(390) 등을 점검하거나 수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좌훈기본체(10)의 전면에는 전후로 이동 가능한 서랍(17)이 구비되고, 상기 서랍(17) 내부에는 족욕부재(200)가 설치된다. 상기 서랍(17)은 좌훈기본체(10)에 설치된 가이드부재(29)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서랍(17)의 측벽에는 가이드부재(29)에 대응하는 슬라이드부재(28)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좌훈기(1)는 사용자가 좌훈기본체(10)에 편안한 자세로 앉아 약재 좌훈을 즐길 수 있으며, 좌훈과 함께 족욕을 하고 싶은 경우에는 서랍(17)을 전방으로 인출시킨 상태에서 족욕부재(200)의 족욕통(212)에 발을 넣고 약재 족욕을 즐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부재(500)는 좌훈기본체(10)의 일 측면에 노출되게 설치 된 물통거치대(6)와, 상기 물통거치대(6)에 장착할 수 있는 휴대용 물통(2)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좌훈기(1)는 좌훈기본체(10)의 외부에 물통거치대(6)가 설치되고, 이 물통거치대(6)에 약재성분이 포함된 물이 들어 있는 휴대용 물통(2)을 장착함으로써 사용자가 물통(2)을 쉽게 교체할 수 있고 물 사용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좌훈기는 물통을 좌훈기 내부에 설치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물통을 교체하기 번거롭고 물 사용량을 파악할 수 없었다. 또한, 물통에 물을 채우기 위해서는 별도의 다른 용기를 이용해 물을 채워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좌훈기(1)는 착탈 가능한 휴대용 물통(2)을 사용함으로 물통 세척이 용이하다. 특히, 일회용 물통을 사용할 경우 물통 세척과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즉, 종래의 좌훈기는 물탱크나 가열탱크 또는 좌훈 그릇이 좌훈기 내부에 설치되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물통이나 그릇을 이용하여 물을 부어 넣고, 주기적으로 물탱크를 세척해야 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좌훈기(1)는 규격화된 물통을 사용함으로써 물 사용량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좌훈기는 물탱크나 좌훈 그릇이 장치 내부에 설치되어 보이지 않기 때문에 물 사용량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의 휴대용 물통(2)은 1회 또는 2회 정도 사용할 물을 담을 수 있고 좌훈기(1)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물 사용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좌훈기(1) 내부의 물탱크나 가열탱크에 물이 잔류하지 않기 때문에 언제나 깨끗한 물을 사용하여 좌훈할 수 있다.
상기 물통거치대(6)는 좌훈기본체(10)의 일 측면에 일체로 고정되는 거치대본체(66)와 상기 거치대본체(66)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용 물통(2)이 거치되고 일정량의 물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물저장부(65)로 이루어진다.
상기 물저장부(65)의 저면에는 물공급호스(342)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여과포(69)가 설치되고, 일측에는 물저장부(65)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센서(68)가 설치된다.
상기 휴대용 물통(2)에는 휴대용 물통의 주둥이에 나사 결합되는 삽입부와, 상기 휴대용 물통의 어깨 주변부가 밀착되어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삽입부에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휴대용 물통에서 배출되는 물을 단속하는 단속밸브로 이루어진 보조캡(67)이 더 포함된다.
한편, 상기 약재 통(3)에 채워지는 약재 농축액은, 천연 한방 약재를 다려서 우려낸 추출물이다. 예를 들어, 천궁, 박하, 인동, 포공영, 익모초, 지치, 애엽, 진피, 형개, 오가피, 두송목, 생지황, 당귀, 괴화, 구절초, 하수오, 측백엽, 지각, 금은화, 패장금, 황백, 홍화, 정량 등의 한방 약재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약재 혼합물을 다려서 농축한 것이다.
도 6은 상기 약재 농축액을 제조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공정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약재 농축액은 증기와 함께 증발되고 신체의 피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증류공정을 거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번호 71은 증류응축기, 72는 여과필터, 73은 침전조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약재 농축액을 제조하는 공정은, 천연 한방 약재를 물에 넣고 충분히 끓여서 약재성분이 함유된 증기를 발생시키고 그 증기를 다시 응축시켜서 약재성분이 포함된 응축수를 만드는 증류응축단계(S110)와, 상기 응축수를 필터나 스크린 망에 통과시켜 입자성 또는 부유성 물질을 제거하는 여과단계(S120), 상기 여과수를 일정 시간 동안 침전시켜 침강 플럭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분리하는 침전단계(S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여과단계(S120) 및 침전단계(S130)는 약재의 특성에 따라 다수 회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특히, 약재 통(2)에 담긴 약재 농축액이 보관과정에서 침전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침전단계(S130)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여러 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재 농축액은 다양한 종류가 있다. 예를 들어, 오가피, 두송목, 생지황, 당귀, 박하 혼합물에서 추출한 약재 농축액은 관절염, 생리통 등의 통증 완화에 효능이 있다. 천궁, 박하, 인동, 포공영, 익모초, 애엽, 진피, 형재 혼합물에서 추출한 약재 농축액은 냉의 습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다. 냉초, 당귀, 천궁, 익모초, 진피, 측백엽, 형개, 박하, 포공영, 구절초 혼합물에서 추출한 약재 농축액은 생리중 통증완화, 생리양조절, 질안 청결에 효과가 있으며 생리 중 신경성 예민 반응에 효능이 있다. 익모초, 형개, 괴화, 포공영 혼합물에서 추출한 약재 농축액은 혈액순환개선과 항균 각종 출혈 문제에 효력이 있다. 천궁, 진피, 애엽, 당귀, 구절초 혼합물에서 추출한 약재 농축액은 질 수축작용, 진통작용, 신경안정 및 요실금 치료에 효과가 있다. 지각, 당귀, 익모초, 구절초, 하수오 혼합물에서 추출한 약재 농 축액은 불면증 치료에 효과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증상이나 취향에 맞는 약재 농축액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약재 농축액은 광물질, 암염의 분말을 곱게 분쇄한 후 정제수에 녹인 다음 수증기와 함께 증발될 수 있도록 미세 스크린 망을 통해 여과한 용액이 될 수 있다.
또한 약재 농축액은 여성 질안의 청결유지에 효과가 좋고 질 질환의 어혈을 제거하고 질안 노폐물을 배출하며 질 수축에 탁월한 자무(Jamu) 용액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무 분말을 곱게 분쇄한 후 정제수에 녹인 다음 수증기와 함께 증발할 수 있도록 미세 스크린 망을 통해 여과한 용액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25㎖, 30㎖ 등 규격화된 약재 통(3)에 담겨 있는 약재 농축액을 구입하여, 300㎖, 600㎖, 900㎖, 1500㎖ 등 규격화된 휴대용 물통(2) 중에서 선택된 휴대용 물통(2)에 넣고 혼합하면 일정한 농도의 약재성분이 포함된 물을 쉽게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누구나 약재성분을 농도를 누구나 쉽게 맞출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이어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좌훈기의 증기발생부재(3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증기발생부재(300)는 물공급용 펌프(370)와 증기발생기(350)로 구성된다. 그리고 물공급부재(500)는 휴대용 물통(2)과 물통거치대(6)로 구성된다. 상기 물통거치대(6)는 좌훈기본체(10)의 일 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물저장부(67)의 바닥에는 입자성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여과포(69)가 구비된다.
상기 증기발생기(350)는 소정 지름을 갖는 가열원통(351)과, 상기 가열원 통(351)의 하단부 외주면에 밀착되게 감겨져서 가열원통(351)을 가열하는 히터(352)와, 상기 가열원통(351)의 상단부 외주면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가열원통(351)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기(357)와, 상기 가열원통(351)의 상단에 설치되어 가열원통(351)의 수면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증기배출포트(3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증기배출포트(354)에는 증기공급관(340)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증기발생기(350)는 온도측정기(357)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펌프(370)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제어부(390)와, 상기 펌프(370)의 작동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390)와 연결된 타이머(39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히터(352), 펌프(370) 및 제어부(39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구비된다.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열원통(351)은 얇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원통으로, 그 높이가 지름의 2~10배 정도로 긴 길쭉한 형태를 갖는다. 상기 가열원통(351)의 외주면 하단부에 설치된 히터(352)는 와이어나 박판 형태의 열선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히터(352)는 전기에너지를 열로 변환시켜 가열원통(351)을 가열한다. 그리고 히터(352)의 외주면은 도시되지 않은 절연재 또는 단열재로 감싸여져 보호된다.
상기 가열원통(351)의 외주면 상단부에 설치된 온도측정기(357)는 가열원통(351)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감겨서 가열원통(351)의 열을 전달하는 열전도밴드(362)와, 열전도밴드(362)의 일 측 표면에 부착되어 가열원통(351)의 온도에 대 응하는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온도센서(363)로 구성된다. 상기 온도센서(363)는 서로 다른 2종의 금속을 접합하여 기전력의 차이로 온도를 측정하는 열전대(써머커플)로 이루어진다.
상기 온도센서(363)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전압)는 제어부(390)로 제공되어 펌프(370)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온도측정기(357)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는 히터(352)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을 단속한다. 예를 들어, 가열원통(351)이 최고 한계 온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히터(352)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하여 화재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90)는 히터(352)로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를 조절하여 증기 발생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가열원통(351)의 상단에 설치된 증기배출포트(354)는 가열원통(351)의 지름에 비해 작은 크기의 지름을 갖는 증기배출공(364)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가열원통(351)의 수면에서 발생하는 증기는 일정 압력으로 가압되어 외부로 분사된다. 또한, 가열원통(351)의 수면은 증기배출공(364)으로부터 항상 일정 거리 떨어지게 유지되도록 제어되어 뜨거운 물이 외부로 분출되지 않도록 한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증기배출포트(354)는 가열원통(351)의 상단을 밀폐하는 상부원판(365)과, 상기 상부원판(365)을 가열원통(351)에 고정하기 위한 탄성고정부재(368)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고정부재(368)는 상부원판(365)을 가열원통(351)의 상단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가열원통(351)의 외주면 상단부에 억지 끼워지는 소정 길이의 원통형 탄성튜브(367)와, 상기 탄성튜브(367)의 내주면 상단부에 삽입된 상부원판(365)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철사(369)로 이루어진다. 그 리고 상부원판(365)의 외주면에는 고정철사(369)를 안착시키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상기한 탄성고정부재(368)은 탄성튜브(367)를 이용하여 상부원판(365)과 가열원통(351)을 연결함으로써 유연성이 우수하고 별도의 실링수단이 필요 없게 된다.
한편, 상기 가열원통(351)의 하단에는 상술한 증기배출포트(354)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물주입포트(3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주입포트(353)는 가열원통(351)의 하단을 밀폐하되 일정 지름의 물주입공(374)이 형성되며 물공급호스(342)를 연결하기 위한 물주입구(376)가 돌출된 하부원판(37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원판(375)은 가열원통(351)의 하단에 용접하거나 가열원통(351)의 내주면과 하부원판(375)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가열원통(351)의 물주입포트(353)와 물통거치대(6) 사이에는 물공급호스(342)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호스(342) 상에는 펌프(370)를 설치된다. 상기 펌프(370)는 상기 제어부(390)의 제어를 받아서 휴대용 물통(2)의 물을 상기 가열원통(351)의 내부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증기발생부재 수위조절방법 또는 약재 좌훈방법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증기발생단계(S310), 최저수위인식단계(S320), 물공급단계(S330), 최고수위인식단계(S340), 물공급중지단계(S3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증기발생단계(S310)는 히터(352)에 전원을 공급하여 가열원통(351) 내부의 수면에서 약재성분이 함유된 증기를 발생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히터(352)는 가열원통(351)의 외주면에 하단부에 설치되어 가열원통(351)의 하단부를 가열한다. 그리고 발생된 증기는 가열원통(351) 내부의 압력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증기배출포트(354)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증기가 발생하는 동안 가열원통(351)의 수위는 점차 낮아지고 이에 비례하여 가열열통(351)의 온도는 점차 상승한다.
이어, 상기 최저수위인식단계(S320)는 가열원통(351)의 온도가 최고 설정온도에 도달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이다. 즉, 가열원통(351)의 수위가 히터(352)의 상단 아래로 떨어지게 되면 가열원통(351)의 온도는 급격하게 상승하여 최고 설정온도에 도달한다. 상기 최고 설정온도는 실험값으로 정해지면 제어부(390)의 메모리에 입력된다. 상기 가열원통(351)의 온도가 최고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가열원통(351)의 상단에 설치된 온도측정기(357)가 가열원통(351)의 온도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제어부(390)로 보내어 최저수위에 도달하였음을 인식한다.
이어서, 상기 물공급단계(S330)는 제어부(390)가 펌프(370)를 작동시켜 가열원통(351)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단계이다. 즉, 펌프(370)는 가열원통(351)이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때마다 작동되어 가열원통(351)의 수위가 설정된 최저수위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막는다. 이때 상기 펌프(370)는 일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으나 상기 가열원통(351)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단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을 단속적으로 공급하면서 히터(352)에도 전원을 계속 공급하면 연속적으로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최고수위인식단계(S340)는 상기 펌프(370)의 작동 시간을 측정해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가열원통(351)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더라도 가열원통(351)의 온도는 공급되는 물의 양에 비례하여 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가열원통(351)의 온 도를 기준으로 펌프(370)의 작동을 제어하면, 가열원통(351)의 수위가 너무 올라가서 뜨거운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타이머(391)를 이용하여 가열원통(351)의 최고 수위를 인식한다.
이어 물공급중지단계(S350)은 펌프(370)의 작동 시간을 계산하여 설정된 작동 시간을 초과하면 펌프(370)의 작동을 중지시킴으로써 가열원통(351)의 수면이 최고 수위를 넘지 않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때, 설정 시간은 가열원통(351)의 단면적과 펌프(370)의 펌핑 용량 및 상기 히터(352)로 공급되는 전압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90)는 타이머(391)에 의해서 측정된 펌프(370) 작동시간과 메모리에 저장된 설정 시간을 비교하여 펌프(37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열원통(351)의 외부에 설치된 온도측정기(357)와, 타이머(390) 그리고 펌프(370)를 이용하여 가열원통(351)의 수위를 조절하기 때문에 가열원통(351) 내부에 수위측정기나 온도센서를 설치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가열원통(351)의 내부에 수위측정기와 온도센서를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가열원통(351)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고 그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소형 가열원통(351)에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하여 증기를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므로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경우에도 끊어짐 없이 연속적으로 좌훈을 즐길 수 있다. 특히 소형 가열원통(351)을 사용하기 때문에 초기 증기발생 시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사용자가 기다리지 않고 바로 좌훈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펌프(370) 작동만으로 물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물 공급을 위한 제어밸브가 생략된다. 또, 히터(352)로 공급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증기 발생량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증기량 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밸브가 생략된다.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좌훈기본체(10)에 적용된 좌훈부재(100)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훈부재(100)는 상판(12)의 상면에 구비된 좌판(101)과, 상기 상판(12)의 저면에 구비되는 좌훈통(110)과, 상기 좌훈통(110)의 내부 공간으로 증기를 공급하는 좌훈용 증기발생기(3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판(101)에는 상판(12)에 형성된 개구부(19)와 대응하는 위치에 그것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좌훈공(10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좌훈통(110) 내부로 공급되는 증기는 개구부(19)와 좌훈공(103)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둔부로 분사된다. 이때, 상기 좌판(101)은 상판(12)으로부터 일정 높이(H)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좌판(101)과 상판(12) 사이에 다수 개의 스페이서(105)가 설치된다. 상기 좌판(101)과 상판(12) 사이의 간극은 사용자의 둔부에 부딪혀 반사되는 증기를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좌훈 공간(131) 내에 압력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증기가 사용자의 둔부 쪽으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좌판(101)의 상면에는 쿠션 부재를 설치하고, 뒤쪽에는 경첩을 설치하여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한다.
상기 좌훈부재(100)는 상판(12)에 형성된 개구부(19)를 감싸도록 상판(12)의 저면에 고정되어 좌훈 공간(131)을 형성하는 원통형 좌훈통(130)과, 상기 좌훈통(131)의 바닥판(132)을 관통하여 좌훈 공간(131)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어 증기를 분사하는 좌훈용 증기분사노즐(150)과, 상기 좌훈통(130)의 바닥판(132) 저면에 설 치되어 좌훈용 증기분사노즐(150)의 하단으로 증기와 공기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공기혼합통(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훈통(130)은 소정 크기의 좌욕 공간(131)을 형성하는 원통형 용기로 플라스틱이나 금속 또는 도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훈통(130)의 상단에는 좌훈통(130)을 상판(12)에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133)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좌욕통(130)은 상판(12)의 저면에 상기 플랜지(133)를 고정시키거나 상판(12)의 개구부(19)로 좌욕통(130)을 관통시켜 상기 플랜지(133)가 상판(12)의 개구부(19) 테두리에 걸쳐지도록 한다.
상기 좌훈용 증기분사노즐(150)은 원통형 노즐통(153), 차단판(155), 분사공(157) 및 반사판(15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형 노즐통(153)은 좌훈통(130)의 바닥판(132) 중앙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그 상단은 좌훈 공간(131)에 위치하고 그 하단은 공기혼합통(160)의 내부 공간(161)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노즐통(153)의 상단에는 차단판(155)이 설치되어 하부에서 공급되는 증기가 직상승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노즐통(153)에는 다수 개의 분사공(157)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통(153)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분사공(157)을 통해 외측으로 분사되는 증기를 반사시켜 상방향으로 안내하는 소정 곡률의 반사판(159)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노즐통(153)은 좌훈통(130)의 바닥판(132)을 관통하여 아래로 일정 길이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어서, 상기한 공기혼합통(160)은 좌훈통(130)의 바닥판(132)을 관통하여 아래로 돌출된 노즐통(153)을 감싸도록 좌훈통(130)의 바닥판(132) 저면에 일체로 설치되어 소정의 크기의 내부 공간(161)을 형성한다.
상기 공기혼합통(160)은 원통형 용기로서, 그 바닥판(163)에는 노즐통(153) 내부로 증기를 주입하는 증기 주입구(164)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혼합통(160)의 상단에는 다수 개의 공기구멍(165)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구멍(165)는 노즐통(153)의 하단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구멍(165)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노즐통(153)의 하단을 통해 유입된다. 또한, 상기 공기혼합통(160)의 상단에는 좌훈통(130)의 저면에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가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혼합통(160)의 증기 주입구(164)를 통해 주입되는 증기는 증기분사노즐(150)의 노즐통(153) 내부로 주입되어 상승하다가 노즐통(153)의 상단에 설치된 차단판(155)에 부딪쳐서 노즐통(153)의 외주면에 형성된 분사공(157)을 통해 외측 방사방향으로 분사된 후, 포물선형의 반사판(159)에서 다시 반사되어 상 방향으로 분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좌훈통(130)은 좌훈용 증기발생기(350)에서 생성된 증기를 사용자의 둔부에 집중적으로 공급하도록 좌훈통(130)의 내부에 좌훈용 증기분사노즐(150)을 돌출되게 설치하되, 고온의 증기가 사용자의 둔부로 직접 분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노즐통(153)의 상단에 차단판(155)을 설치함으로써 고온의 증기에 의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증기 주입구(164)에서 주입되는 고온의 증기가 증기분사노즐(150)의 노즐통(153)의 하단으로 주입될 때, 노즐통(153)으로 주입되는 증기의 유속에 의해 생성되는 부압이 발생하여, 공기혼합통(16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공기구멍(165)을 통해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고온의 증기와 상온의 외부 공기를 혼합하여 증기의 온도를 적정하게 낮출 뿐만 아니라 증기 양을 풍부하게 한다.
이어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서랍(17)에 설치되는 좌욕부재(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족욕부재(200)는 서랍(17) 내부에 안착되고 사용자의 두 발이 들어갈 수 있는 족욕 공간(201)을 형성하는 족욕통(203)과, 상기 족욕통(203)의 바닥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두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판(220)과, 상기 족욕 공간(201)으로 증기를 공급하는 족욕용 증기발생장치(302)와, 상기 족욕용 증기발생장치(302)에서 공급되는 증기를 족욕 공간(201)으로 분사하는 족욕용 증기분사노즐(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족욕부재(200)는 족욕통(203) 내부에 물을 채우거나 물을 분사하는 방식이 아니라 증기를 분사하는 방식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족욕부재(200)는 휴대용 물통(2)에서 공급되는 약재성분이 포함된 물을 증발시켜 분사하므로 발 건강이나 필요회복에 유용하다. 예를 들어, 살균력이 있는 약재 농축액을 사용할 경우, 무좀 등의 발 질환을 치료할 수 있고, 탈취 및 방향 성분이 포함된 약재 농축액을 사용할 경우 발 냄새나 족욕통(203)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족욕부재(200)는 좌훈기본체(10)의 수납공간으로 수납되기 때문에 별도의 보관 장소가 필요 없고 좌훈과 동시에 족욕을 실시함으로써 그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물과 전기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욕부재(200)는 상기 족욕통(203)의 내부 공간으로 증기를 공급하는 족욕용 증기발생기(350a)를 더 구비한다. 상기 족욕용 증기발생 기(350a)는 좌훈용 증기발생기(350)와 별도로 구비되되, 상기 서랍(17)의 후면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서랍(17)과 함께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족욕용 증기발생기(350a)를 족욕통(203)과 함께 이동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약재성분이 포함된 증기가 족욕 공간(201)으로 공급되기 전에 응축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족욕통(203)은 상부가 개방된 통 체로서, 바닥판(214)과 측벽(212)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족욕 공간(201)을 형성한다. 상기 족욕통(203)의 높이는 좌훈기본체(10)의 수납공간(11)의 높이로 한정된다. 또한, 상기 족욕통(203)의 높이는 족욕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각탕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따라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족욕통(203)의 개방된 상부에는 족욕 공간(201)을 확대하고 족욕 공간(201)으로 주입된 증기가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커버(205)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커버(205)에는 사용자의 다리가 관통하는 개구부(209)가 형성된다.
족욕통(203)의 바닥판(214)에는 사용자의 두 발을 올려놓기 위한 호형의 발판(220)이 설치되는데, 상기 발판(220)은 바닥판(214)과의 사이에 하부 공간(22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발판(220)의 저면에는 다수 개의 받침돌기(224)를 설치하여 발판(220)의 가장자리와 족욕통(203)의 바닥판(214) 사이에 증기가 분출되는 간격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 발판(220)의 상면에는 다수 개의 지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발판(220)의 하부 공간(221)에는 족욕 공간(201)으로 증기를 분사하기 위한 족욕용 증기공급호스(334)와 증기분사노즐(240)이 설치된다. 상기 족욕용 증기공급호스(334)의 선단에 설치된 족욕용 증기분사노즐(240)은 금속이나 내열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족욕용 증기공급호스(334)보다 작은 직경의 분사공이 형성된다.
상기 족욕용 증기분사노즐(240)은 발판(220)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구(225)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구(225)는 사용자의 두 발 사이에 위치하도록 발판(220)의 가운데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구(225)는 족욕용 증기분사노즐(240)을 억지 끼워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족욕용 증기분사노즐(240)에서 분사되는 증기는 족욕통(203)의 전방 측벽(212)의 내측 면으로 분사된다. 상기 족욕용 증기발생장치(302)에서 생성되는 증기는 온도가 매우 높기(일반적으로 90~95℃) 때문에 고온의 증기를 바로 사용자의 다리가 위치하는 족욕 공간(201)으로 분사할 경우 화상을 입힐 수가 있다. 따라서 고온의 증기는 족욕 공간(201)으로 직접 분사하지 않고 측벽(212)의 내측면(215)에 부딪힌 후 족욕 공간(201)으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족욕통(203)의 전방 측벽(212)은 족욕용 증기분사노즐(240)에서 분사되는 증기의 흐름을 상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소정 곡률의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족욕용 증기분사노즐(240)도 족욕통(203)의 측벽(212)에서 반사된 증기가 상 방향의 흐름을 갖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판(220)의 전면에는 족욕용 증기분사노즐(240)에서 분사되는 증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개구부(226)가 형성된다. 그리고 족욕용 증기분사노즐(240)과 개구부(226) 사이에는 증기의 진행방향을 사용자가 임의로 바꿀 수 있는 증기흐름전환부재(27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족욕용 증기분사노즐(240)에서 분사된 증기가 부딪히는 족욕통(203)의 측벽(212)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구멍(250)이 형성된다. 이 공기구멍(250)은 증기가 부딪히는 측벽(212)의 내측 면(215) 하단부에 설치되어 전방 측벽(212)에 부딪힌 후 상향류의 흐름을 갖는 증기에 의해서 형성되는 부압에 의해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공기구멍(250)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는 증기와 혼합되어 증기의 온도를 떨어뜨리는 동시에 증기의 양을 늘린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좌훈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약재 좌훈뿐만 아니라 약재 족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를 이용한 약재 좌훈 방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를 보여주는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에 사용하는 약재 농축액의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의 증기발생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증기발생기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기의 수위조절 공정(약재 좌훈단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에 적용되는 좌훈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에 적용되는 족욕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족욕부재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좌훈기 2: 휴대용 물통
3: 약재 통 6: 물통거치대
10: 좌훈기본체 11: 수납공간
12: 상판 14: 프레임
16: 등받이 17: 서랍
65: 물저장부 66: 거치대본체
67: 보조 캡 69: 여과포
100: 좌훈부재 200: 족욕부재
212: 족욕통 300: 증기발생부재
350,350a: 증기발생기 351: 가열원통
352: 히터 354: 증기배출포트
357: 온도측정기 362: 열전도밴드
363: 온도센서 370: 펌프
390: 제어부 391: 타이머
500: 물공급부재

Claims (13)

  1.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되고 가운데에 개구부가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측판으로 이루어진 좌훈기본체와;
    상기 상판의 상면에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판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좌훈공이 형성된 좌판과, 상기 상판에 형성된 개구부를 감싸도록 상판의 저면에 고정되어 좌훈 공간을 형성하는 좌훈통과, 상기 좌훈통의 바닥을 관통하여 좌훈 공간으로 증기를 분사하는 좌훈용 증기분사노즐로 이루어진 좌훈부재와;
    상기 좌훈기본체의 측면에 노출되게 설치된 물통거치대와, 상기 물통거치대에 장착되며 사용자가 선택한 약재 농축액을 넣고 혼합하여 일정 농도의 약재성분이 포함된 물이 담겨 있는 휴대용 물통으로 이루어진 물공급부재와;
    상기 물통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약재성분이 포함된 증기를 생성하는 증기발생기와, 상기 물통의 물을 증기발생기로 공급하는 물공급호스와, 상기 물공급호스에 설치되어 물통의 물을 상기 증기발생기로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증기발생기의 수면에서 발생하는 약재성분이 포함된 증기를 상기 좌훈용 증기분사노즐을 통해 좌훈 공간으로 공급하는 증기공급호스로 이루어진 증기발생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훈기본체의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전후로 이동 가능한 서랍의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두 발이 들어가는 좌욕 공간을 형성하는 좌욕통과, 상기 증기발생기의 수면에서 발생하는 약재성분이 포함된 증기를 증기공급호스를 통해 상기 좌욕 공간으로 분사시키는 족욕용 증기분사노즐로 이루어진 좌욕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물통은 300㎖, 600㎖, 900㎖, 1500㎖로 규격화된 투명 페트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휴대용 물통에 넣을 수 있는 약재 농축액이 담겨 있는 약재 통은 250㎖, 30㎖로 규격화된 병으로 이루어져 약재성분의 농도를 쉽게 맞출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거치대는 상기 좌훈기본체의 일 측면에 일체로 고정된 거치대본체와 상기 거치대본체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용 물통이 거치되어 일정량의 물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물저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물저장부의 저면에는 물공급호스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여과포가 설치되며, 상기 휴대용 물통에는 휴대용 물통의 주둥이에 나사 결합되는 삽입부와, 상기 휴대용 물통의 어깨 주변부가 밀착되어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삽입부에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휴대용 물통에서 배출되는 물을 단속하는 단속밸브로 이루어진 보조캡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기는 소정 지름을 갖는 가열원통과, 상기 가열원통의 하단부 외주면에 밀착되게 감겨져서 상기 가열원통을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가열원통의 상단부 외주면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가열원통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기와, 상기 가열원통의 상단에 설치되어 가열원통의 수면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증기배출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좌훈용 증기분사노즐의 상단은 상기 좌훈통의 바닥판을 관통하여 좌훈통의 좌훈 공간에 위치하고 하단은 좌훈통의 저면에 설치된 공기혼합통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원통형 노즐통과, 상기 노즐통의 상단을 밀폐하여 증기가 직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 하부의 노즐통에 형성된 다수 개의 분사공과, 상기 분사공을 통해 외측 방사방향으로 분사되는 증기를 다시 상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노즐통의 외측 둘레에 설치된 반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혼합통은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형 용기로서, 그 바닥판에는 증기분사노즐의 노즐통 내부로 증기를 주입하는 증기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혼합통에는 노즐통의 하단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다수 개의 공기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기는, 좌훈 공간으로 증기를 공급하는 좌훈용 증기발생기와 별도로 상기 족욕 공간으로 증기를 공급하는 족욕용 증기발생기를 더 설치하되, 상기 좌훈 공간으로 증기를 공급하는 좌훈용 증기발생기는 좌훈기본체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족욕 공간으로 증기를 공급하는 족욕용 증기발생기는 서랍에 고정되어 상기 서랍과 함께 전후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
  9.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 좌훈기본체와, 상기 좌훈기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좌훈통과 상기 좌훈통의 좌훈 공간으로 증기를 분사하는 좌훈용 증기분사노즐로 이루어진 좌훈부재와, 상기 좌훈기본체의 측면에 노출되게 설치된 물통거치대와, 상기 물통거치대에 장착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약재 농축액을 넣고 혼합한 일정 농도의 약재성분이 포함된 물이 담겨 있는 휴대용 물통과, 상기 물통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약재성분이 포함된 증기를 생성하는 증기발생기와, 상기 물통의 물을 증기발생기로 공급하는 물공급호스와, 상기 물공급호스에 설치되어 상기 휴대용 물통의 물을 상기 증기발생기로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증기발생기의 수면에서 발생하는 약재성분이 포함된 증기를 상기 좌훈용 증기분사노즐을 통해 좌훈 공간으로 공급하는 증기공급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를 이용한 좌훈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약재 통에 담겨 있는 약재 농축액을 휴대용 물통에 주입하여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좌훈기의 물통거치대에 소정 농도의 약재성분이 포함된 물이 담겨 있는 휴대용 물통을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용 물통에 담겨 있는 약재성분이 포함된 물을 증기발생기로 공급하여 약재성분이 포함된 증기를 발생시켜 사용자의 피부로 공급하는 약재 좌훈단계와; 상기 좌훈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휴대용 물통을 물통거치대에서 제거하는 휴대용 물통 분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재 좌훈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약재 좌훈단계는, 상기 히터에 전원을 공급하여 가열원통 내부의 수면에서 약재성분이 함유된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단계와; 상기 가열원통의 온도가 최고 설정온도에 도달할 때 상기 가열원통의 수위가 최저 수위임을 인식하는 최저수위인식단계와; 상기 가열원통의 수위가 최저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휴대용 물통의 물을 상기 가열원통의 내부로 공급하는 물 공급단계와; 상기 펌프의 작동 시간이 제어부에 미리 저장된 작동시간을 초과할 경우 상기 가열원통의 수위가 최고 수위임을 인식하는 최고수위인식단계와; 상기 가열원통의 수위 가 최고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펌프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물 공급중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재 좌훈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약재 통에 담겨 있는 약재 농축액은, 천궁, 박하, 인동, 포공영, 익모초, 지치, 애엽, 진피, 형개, 오가피, 두송목, 생지황, 당귀, 괴화, 구절초, 하수오, 측백엽, 지각, 금은화, 패장금, 황백, 홍화, 정량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약재 혼합물을 다려서 농축시키되, 상기 약재 농축액을 약재 통에 넣어 보관하거나 휴대용 물통에 넣고 혼합할 때 입자성 물질이나 침전물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물과 함께 증발되어 피부에 흡수될 수 있도록 여과과정을 포함하는 제조공정을 거쳐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재 좌훈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약재 농축액은 천연 한방 약재를 물에 넣고 충분히 끓여서 약재성분이 함유된 증기를 발생시키고 발생되는 증기를 응축시켜서 약재성분이 포함된 응축수를 만드는 증류응축단계와; 상기 증류응축단계에서 얻어진 응축수를 필터나 스크린 망에 통과시켜 입자성 물질을 제거하는 여과단계와; 상기 여과단계를 거친 여과수를 일정 시간 동안 침전시켜 침강성 플럭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분리하는 침전단계를 거쳐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재 좌훈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약재 농축액은 광물질이나 암염의 분말을 곱게 분쇄한 후 정제수에 녹인 다음 상기 증기발생기에서 증기와 증발될 수 있도록 미세 필터를 통해 여과한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재 좌훈 방법.
KR1020090050706A 2009-06-08 2009-06-08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 및 이를 이용한 약재 좌훈 방법 KR100920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706A KR100920523B1 (ko) 2009-06-08 2009-06-08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 및 이를 이용한 약재 좌훈 방법
CN201010114572.4A CN101797207B (zh) 2009-06-08 2010-02-26 可安装便携式水筒的坐熏器及其药材坐熏方法
PCT/KR2010/003650 WO2010143857A2 (ko) 2009-06-08 2010-06-08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 및 이를 이용한 약재 좌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706A KR100920523B1 (ko) 2009-06-08 2009-06-08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 및 이를 이용한 약재 좌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0523B1 true KR100920523B1 (ko) 2009-10-09

Family

ID=41572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706A KR100920523B1 (ko) 2009-06-08 2009-06-08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 및 이를 이용한 약재 좌훈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20523B1 (ko)
CN (1) CN101797207B (ko)
WO (1) WO2010143857A2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98041A (zh) * 2010-03-26 2011-09-28 东莞市妙特塑料电子有限公司 一种蒸汽坐浴足浴器
EP2382957A1 (en) * 2010-04-28 2011-11-02 Hong Kong Girl Spa UK Ltd Foot bath assembly
CN102824266A (zh) * 2012-08-27 2012-12-19 林智勇 熏蒸按摩罩
KR200469534Y1 (ko) * 2011-11-28 2013-10-29 (주)뉴젠사우나 좌훈기
CN105125393A (zh) * 2014-05-26 2015-12-09 河南省洛阳正骨医院 智能化可折叠便携式熏蒸治疗床
KR20200128980A (ko) * 2019-05-07 2020-11-17 안정오 좌욕 겸용 족욕기
CN113208899A (zh) * 2021-03-17 2021-08-06 青岛大学附属医院 一种泌尿科术后消炎装置
CN117379314A (zh) * 2023-12-13 2024-01-12 包头市蒙医中医医院 一种中药蒸煮装置及坐浴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83770B (zh) * 2011-05-24 2012-10-31 河南中医学院 熏洗坐浴器
DE202011051738U1 (de) * 2011-10-24 2013-01-28 Wik Far East Ltd. Vaporisator zum Applizieren von Dampf an ein menschliches Körperteil
CN102836059B (zh) * 2012-08-28 2014-03-12 林智勇 关节炎熏蒸罩
CN106309109A (zh) * 2016-10-26 2017-01-11 左招霞 蒸汽浴装置
CN106420317A (zh) * 2016-10-26 2017-02-22 左招霞 桑拿机
CN106309110A (zh) * 2016-10-26 2017-01-11 左招霞 坐式桑拿炉
CN106511059A (zh) * 2016-12-07 2017-03-22 太仓市中医医院 一种坐浴熏洗装置
CN107007447A (zh) * 2017-04-24 2017-08-04 周选任 一种熏疗机及其使用方法
CN108186328B (zh) * 2017-12-29 2020-04-10 安徽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自动按摩的蒸汽式座椅
CN109567661A (zh) * 2018-12-28 2019-04-05 广东德郎时代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智能马桶结构
CN113995660B (zh) * 2021-11-17 2023-08-08 李佳 一种妇产科产后外阴熏蒸护理保健系统
CN115836968A (zh) * 2022-12-08 2023-03-24 湖南中医药大学 一种治疗关节病的中药熏蒸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839Y1 (ko) 2005-03-02 2005-05-19 이광교 좌식 찜질 및 족욕 겸용 장치
JP2005270566A (ja) 2004-03-26 2005-10-06 Baio Kuiin Kk サウナ型全身美容促進器具
KR200404317Y1 (ko) 2005-04-14 2005-12-21 정풍진 족욕 및 좌욕이 가능한 다기능 스팀기
KR100858285B1 (ko) 2007-03-08 2008-09-11 주식회사 씨엔텍 훈증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230Y1 (ko) * 2003-02-20 2003-05-22 김경식 초음파 가열 찜질기
KR200393809Y1 (ko) * 2005-05-26 2005-08-31 공병성 발지압 겸용 찜질기
CN200948231Y (zh) * 2006-09-21 2007-09-19 周军 一种熏蒸椅
CN200970337Y (zh) * 2006-11-16 2007-11-07 潘希文 一种熏蒸椅
KR100863609B1 (ko) * 2007-01-02 2008-10-15 이상학 스팀 반신욕 장치
CN201064551Y (zh) * 2007-07-06 2008-05-28 韩留常 多功能椅
CN201168174Y (zh) * 2008-02-20 2008-12-24 张华� 助消化中药熏疗椅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0566A (ja) 2004-03-26 2005-10-06 Baio Kuiin Kk サウナ型全身美容促進器具
KR200384839Y1 (ko) 2005-03-02 2005-05-19 이광교 좌식 찜질 및 족욕 겸용 장치
KR200404317Y1 (ko) 2005-04-14 2005-12-21 정풍진 족욕 및 좌욕이 가능한 다기능 스팀기
KR100858285B1 (ko) 2007-03-08 2008-09-11 주식회사 씨엔텍 훈증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98041A (zh) * 2010-03-26 2011-09-28 东莞市妙特塑料电子有限公司 一种蒸汽坐浴足浴器
EP2382957A1 (en) * 2010-04-28 2011-11-02 Hong Kong Girl Spa UK Ltd Foot bath assembly
KR200469534Y1 (ko) * 2011-11-28 2013-10-29 (주)뉴젠사우나 좌훈기
CN102824266A (zh) * 2012-08-27 2012-12-19 林智勇 熏蒸按摩罩
CN105125393A (zh) * 2014-05-26 2015-12-09 河南省洛阳正骨医院 智能化可折叠便携式熏蒸治疗床
KR20200128980A (ko) * 2019-05-07 2020-11-17 안정오 좌욕 겸용 족욕기
KR102182265B1 (ko) 2019-05-07 2020-11-24 안정오 좌욕 겸용 족욕기
CN113208899A (zh) * 2021-03-17 2021-08-06 青岛大学附属医院 一种泌尿科术后消炎装置
CN113208899B (zh) * 2021-03-17 2022-08-26 青岛大学附属医院 一种泌尿科术后消炎装置
CN117379314A (zh) * 2023-12-13 2024-01-12 包头市蒙医中医医院 一种中药蒸煮装置及坐浴器
CN117379314B (zh) * 2023-12-13 2024-02-20 包头市蒙医中医医院 一种中药蒸煮装置及坐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97207A (zh) 2010-08-11
WO2010143857A3 (ko) 2011-04-21
CN101797207B (zh) 2014-07-16
WO2010143857A2 (ko) 201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523B1 (ko) 휴대용 물통을 장착할 수 있는 좌훈기 및 이를 이용한 약재 좌훈 방법
KR100951968B1 (ko) 스팀 분사식 족욕 겸용 좌훈 장치
KR100951969B1 (ko) 착석식 스팀 족욕 겸용 좌훈 장치
KR20180078151A (ko) 비데장치
KR20130096512A (ko) 한방 증기좌욕설비
KR101389591B1 (ko) 한방 증기 전신욕 설비
CN101810535B (zh) 膝关节中药烫泡和熏蒸仪
CN102293711A (zh) 熏蒸足浴盆
CN204106529U (zh) 熏蒸治疗仪
JP5663724B2 (ja) 局部ミスト式健康椅子
KR101163326B1 (ko) 안면미용, 좌욕, 가습기능을 겸용으로 사용가능한 다기능 훈증기
KR100905156B1 (ko) 약재훈증장치
KR20100008851U (ko) 의자형 좌훈기
CN201533911U (zh) 坐便式熏洗器
CN201631910U (zh) 膝关节中药烫泡和熏蒸仪
KR101090020B1 (ko) 스팀분사노즐이 구비된 좌훈기
CN207119003U (zh) 一种泌尿科术后消炎护理装置
CN201361233Y (zh) 泌尿外科手术后多功能冲洗器
CN205459786U (zh) 一种家庭药浴装置
CN212940544U (zh) 一种自加温热熏药浴座浴盆
CN2780225Y (zh) 感冒气管炎防治器
CN108785838A (zh) 一种儿童型感冒综合防治系统
CN104013526B (zh) 一种中医药物治疗装置
KR101089352B1 (ko) 쌍방향 배출구를 구비한 좌훈기
CN108904249A (zh) 一种药浴升降温按摩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