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722B1 - 교통정보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교통정보 측정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722B1
KR100919722B1 KR1020070092083A KR20070092083A KR100919722B1 KR 100919722 B1 KR100919722 B1 KR 100919722B1 KR 1020070092083 A KR1020070092083 A KR 1020070092083A KR 20070092083 A KR20070092083 A KR 20070092083A KR 100919722 B1 KR100919722 B1 KR 100919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geomagnetic
asphalt
traffic information
surfac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6968A (ko
Inventor
김민식
박경훈
이규완
Original Assignee
김민식
박경훈
이규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식, 박경훈, 이규완 filed Critical 김민식
Priority to KR1020070092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722B1/ko
Publication of KR20090026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7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treadles built into the ro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inductive or magnet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정보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표층과 중간층으로 구분되는 아스팔트에 매설되어 설치되는 교통정보 측정 장치로서, 상기 아스팔트 중간층 또는 이보다 깊은 위치에 매설되는 연결전선부와, 내부에 지자기 센서 수용 공간을 가지며 상기 아스팔트의 적어도 표층과 중간층에 걸쳐서 매설되고 표층으로 노출되는 케이스 덮개를 구비하는 지자기 케이스 및 상기 지자기 케이스에 실장되는 지자기 센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측정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교통정보 측정 장치{TRAFFIC MONITO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지자기센서를 이용한 교통정보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에서 주행중인 차량에 의하여 왜곡되는 지구자기장을 감지하여 교통량, 차량유무, 차량의 속도, 점유율 및 차종구분 등 도로의 교통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강성포장인 콘크리트와 연성포장인 아스팔트 포장일 경우, 주기적으로 시행되는 포장의 덧씌우기 및 절삭 후 재포장시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아 도로 포장의 유지관리가 매우 편리한 교통정보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를 통과하는 차량의 정보를 감지하기 위해서 기존에 루프감지기를 비롯하여 영상감지기, 초음파감지기, 초단파감지기, 레이저감지기 등 다양한 차량감지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루프감지기는 기존에 가장 폭넓게 사용되는 감지장치로서, 도로 표면에 매입한 루프코일에 발진신호를 인가하고 노면에 금속성 물체가 있을 경우 자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차량의 점유 여부를 감지한다. 루프검지기는 초음파, 영상 등의 방식에 비하여 도로공사시 절단에 취약하다는 단점 외에 가격이 매우 저렴하여 환경조건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성능을 가지므로 차량 점유 센서로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다. 루프 검지기는 차선 당 한 개 또는 한 쌍을 설치하며, 근접한 루프코일에 유도되는 자장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의 발진 파향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루프검지기는 기타 방식의 감지기에 비하여 검지정보의 신뢰성이 양호하고 설치가 저렴하기 때문에 국내의 경우 대부분 이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 루프검지기는 도로의 포장상태와 사용되는 자재에 따라서 인덕턴스 변화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시공상의 부실 유무와 검지기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현저한 성능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시공의 부주의로 인해 루프검지기에 습기가 차거나 단선 등으로 인해 오자료 수집 및 자료수집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이 발견되고 있다.
- 설치시 교통흐름의 통제가 필요하다.
- 도로파손에 의한 검지기의 성능저하 및 포장상태 변형에 따른 검지기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현재 시장에서 현장설치가 가장 많은 검지 방식이나, 종합적인 검증이 이루어진 바는 없다.
- 일반국도의 경우 루프검지기의 고장현황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1999년 48개소, 2000년 49개소, 2001년 127개소, 2002년 140개소로 매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고장 원인으로는 도로파손 및 단선에 의한 고장이 매우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도로 확포장 공사로 인한 가동중지의 경우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 고속도로의 경우, 한 개의 루프 검지기에 1년에 1회 정도 파손 및 장애검지기에 대해 보수를 위한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루프감지기의 용역발주에서 보수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유지보수 업체선정 및 도로차단에 따른 경찰협의 등 약 2~3주가 소요되며, 루프검지기의 파손 및 장애는 대부분 차로별로 발생되는데, 검지기 파손으로 인해 교통정보가 수집되지 않는 차로에 대해서는 인접차로의 정보를 참조하여 교통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 도로면에 매설됨으로써 차량에 의한 손상 또는 자연적인 부식 등 시간 경과에 따른 고장 발생(루프 단선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루프 센서 내구연한 약 2년)
- 경찰청 무인단속 장비 운영 내부 자료에 의하면, 연간 약 2회 센서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이로 인한 단속 정보의 수집 오류율은 약 20~30%로 예상됨.
상기와 같이 루프검지기는 상당히 넓은 지면에 걸쳐 루프코일을 매설하므로 설치 및 유지보수가 어렵고, 파손의 빈도가 높으며, 저속차량감지가 어렵다. 특히 아스팔트가 대부분인 우리 나라의 도로 사정상 온도변화에 따른 러팅(도로 요철)이 발생하여 파손율이 높고, 도로의 재포장시에도 쉽게 파손되므로 재설치를 요한다.
영상감지기는 검지할 영역의 화소 값들의 분포를 미리 인식하고 차량이 진입할 때 화소 값들의 변화에 의하여 차량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이다. 영삼검지기의 경우 비매설형으로 루프검지기와 같은 매설형이 갖는 설치 작업의 불편함과 유지관리의 어려움에 대한 상대적인 장점이 있어 최근 적용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타 검지기와는 달리 관리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분해능 등의 성능 향상이 뒷받침 된다면 향후 발전 가능성이 기대되는 방법이다. 그러나 영상검지기 분석결과는 우천시와 일몰시에 광량의 급격한 변화로 판별 성능이 저하되는 등의 기후 조건 및 환경의 변화에 매우 민감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렌즈를 세척해야하므로 주기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며, 1개소 설치 비용이 상대적으로 매우 고가인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초음파감지기는 기후와 주변환경에 민감하고 감지영역이 원추형이라서 방향성이 없으며, 고속차량감지가 부정확하여 정확도가 떨어진다. 초단파감지기는 차량의 속도정보를 얻는데 주로 사용되나, 설치비가 많이 들고, 유지보수시 전문인이 필요하다. 레이저감지기는 오실레이터 튜닝등을 위해 주기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하고,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고가의 장비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 지자기센서와 무선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시스템이 개발된 바 있으며, 이는 비교적 정확한 차량감지로 신뢰도 높은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간편하게 제공하고, 태양열 또는 건전지에 의한 시스템 작동과 무선에 의한 데이터 통신으로 별도의 케이블 설치작업이 필요없어, 차량감지장치의 설치 및 유지보수,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된 사례가 있다(출원번호 10-2001-0012151). 그러나 태양열을 이용한 시스템은 장기적으로 운용시 분진 등 이물질에 의하여 에너지 효율이 급격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습기 문제 등으로 실제 시스템 운영을 위해서는 주기적인 유지보수를 해 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건전지를 이용한 방식은 주기적으로 건전지를 교체해 주어야 할 뿐만 아니라, 온도에 따라서 고온 또는 저온시 건전지는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 지자기센서를 이용한 교통정보 측정 장치는 현장에 도입되지 못하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자기센서를 이용한 교통정보 측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 일정 깊이 이상으로 매설하여 도로포장시 덧씌우기 및 절삭 후 재포장시에도 영향이 없도록 하여 도로포장시 유지관리가 매우 편리함을 특징으로 하며; 일정깊이 이상으로 매설되는 전원 케이블과 데이터 전송 케이블은 보호관 내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스프링 모양으로 꼬여서 설치됨으로써, 포장체의 인장압축응력, 피로균열, 소성변형에 의해서 포장체 또는 보호관이 파손되더라도 스프링 모양으로 꼬인 만큼의 여유길이를 확보함으로써, 케이블의 단선에 의한 손상이 방지됨을 특징으로 하며; 루프검지기는 센서 파손시 차량통제 및 교체를 위한 복잡한 센서의 재설치 공정이 필요한 반면, 본 발명은 포장체에 고정된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지자기센서와 시그널 컨디셔너를 고정된 볼트 몇 개를 풀고 교체 설치함으로써 최소한의 교통 통제와 설치공정이 매우 간편하여 유지관리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교통정보 수집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강성포장인 콘크리트에는 바로 적용이 가능하며, 연성포장인 아스팔트 포장의 경우에는, 적어도 표층과 중간층으로 구분되는 아스팔트에 매설되어 설치되는 교통정보 측정 장치로서, 상기 아스팔트 중간층 또는 이보다 깊은 위치에 매설되는 연결전선부와, 내부에 지자기 센서 수용 공간을 가지며 상기 아스팔트의 적어도 표층과 중간층에 걸쳐서 매설되고 표층으로 노출되는 케이스 덮개를 구비하는 지자기 케이스 및 상기 지자기 케이스에 실장되는 지자기 센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측정 장치에 의해서 달성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전선부는 내부가 관통 형상을 갖는 보호관과, 상기 보호관 내부에 삽입되는 도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선은 스프링 형태로 나선식으로 감겨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자기 케이스는 외벽에 박리층을 구비하며, 상기 아스팔트와 박리층 사이에 충진재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바람직하며, 상기 케이스 덮개는 지자기 케이스와 분리 가능한 것이 좋다. 분리 가능하게 구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대표적으로 나사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로포장의 유지관리 편리성을 고려한 교통정보 측정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설치시 조건 및 포장체의 상태에 따라서 신뢰성이 루프검지에 비하여, 설치조건 및 외부환경에 상관없이 일관성 있고 신뢰성 높은 교통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루프검지기는 포장체의 상태에 따라서 단선 등에 의하여 쉽게 손상이 발생되는데 반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포장체의 상태와 상관없이 내구성 높은 시스템 운영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교통정보 측정 장치와 상관없이 커팅(절삭) 및 재포장이 매우 자유로우며, 시스템 고장 발생시 신호획득부를 케이스를 분리하여 쉽게 교체함으로써 최소의 교통통제와 사회적 비용으로 시스템 재가동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아스팔트 구조 단면도.
도 2는 아스팔트 포장의 일반적인 손상유형으로 소성변형과 피로균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 측정 장치의 일 실시예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교통정보 측정 장치를 시공하는 일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의 교통정보 측정 장치에 덧씌우기층이 추가로 설치되는 상황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지자기 센서만을 사용하는 교통정보 측정 장치의 일 실시예도.
도 9는 도 8의 장치에 차축 센서로서 피에조 라인이 추가된 교통정보 측정 장치의 일 실시예도.
도 1은 아스팔트 구조 단면도이고, 도 2는 아스팔트 포장의 일반적인 손상유형으로 소성변형과 피로균열을 나타낸 것이다. 아스팔트는 AP 표층(301), AP 중간층(302), AP 기층(303) 및 보조 기층(304)로 구성된다. 국내에서 가장 많아 사용되고 있는 루프검지기의 경우에는 센서의 양호한 응답을 위하여 도 1의 아스팔트 표층(301)에 일반적으로 설치되는데, 도 2의 소성변형(311) 및 피로균열(312) 등의 일반적인 포장체의 파손에 의하여 루프검지기는 단선 등에 의하여 쉽게 손상이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AP 표층(301)은 포장의 최상부층으로 교통하중을 분산하여 AP 기층(303)으로 전달하는 역학적인 기능을 가지는 동시에 쾌적한 주행성을 확보해야 하는 목적으로 시공된다. 아스팔트 포장의 경우에는 마모층(Wearing Coarse)의 개념으로 내구연한에 따라 일반적으로 2년에 한 번씩 절삭 후 덧씌우기 개념으로 교체될 수 있다. 따라서, AP 표층에 설치된 루프검지기의 경우에는 쉽게 단선 등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덧씌우기 또는 재포장을 위한 도로포장의 유지관리시 방해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도로포장 및 시스템 운영의 유지관리 편리성을 고려한 교통정보 측정시스템은, AP 중간층 이하의 깊이에 매설되는 연결전선부(230)와, 내부에 지자기 센서 수용 공간을 가지며 아스팔트에 매설되고 표층으로 노출되는 케이스 덮개를 구비하는 지자기 케이스(200) 및 지자기 케이스(200)에 실장되는 지자기 센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전선부(230)는 AP 중간층 또는 그 보다 깊은 위치에 매설되어 AP 표층(301)의 재포장 시에도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였다. 연결전선부(230)는 PVC 등의 내부식성 재질로 구성되는 보호관(231) 내부에 스프링식으로 감겨진 스프링 전선(232)로 구성된다. 지자기 케이스(20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201)과 케이스 덮개(203)를 구비하며, 지자기 센서부는 지자기 센서 및 이를 구동하는 회로부로 구성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스(202)의 설치를 위한 원형홀과 케이블 설치를 위한 줄눈 커팅만으로 쉽게 설치가 가능하여 최소의 교통통제와 인력이 소요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전원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케이블을 표층 아래인 중간층에 설치함으로써, 주기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덧씌우기 및 재포장을 위한 커팅(절삭), 일반적으로 5cm 정도의 표층만 절삭 후 재포장을 실시함, 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전원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케이블은 외부자극에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1차적으로는 보호관(231)에 설치되며, 이렇게 보호되더라도 지속적인 차량하중에 의한 소성변형 및 피로균열에 의하여 보호관은 손상될 수 있는데, 보호관에 손상이 발생되더라도, 케이블은 스프링 모양으로 꼬여서 설치됨으로서 충분한 여유길이를 확보하여, 케이블의 단선에 의한 손상이 방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지자기 센서부(100)는 지자기센서(101)와 회로부(102)로서, 포장체에 형성된 원형홀 내부에 설치된 케이스(200)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외부자극 및 습기, 분진 등의 이물질에 의한 영향을 배제할 수 있으며, 고장 시 케이스 덮개 고정나사(203)를 분리 후, 지자기 센서부(100)를 일체로 교체함으로써 최소한의 교통 통제로 조속한 시스템의 정상작동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케이스 본체(202)는 초속경 시멘트, 에폭시, 폴리우레탄 등의 충진제(251)와 케이스 본체 고정나사(205)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데, 케이스 본체(202)와 충진제(251) 사이에는 그리스 또는 비닐 또는 종이 등의 얇은 박리층(252)이 설치되어 있어, 커팅(절삭) 후 재포장시와 같이 케이스 본체(202)의 철거가 필요한 경우에는, 케이스 본체 고정나사(205)를 풀고 케이스 본체(202)를 들어올림으로써 쉽게 해체가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측정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지자기 센서부(100)는 케이스 내부에 별도의 거취대를 형성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케이스 덮개(201)의 밑변에 나사 고정 또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 내부에 실장되는 어떠한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측정시스템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스팔트를 일직선 형태로 개복하여 연결전선부(230)를 AP 기층(302) 또는 그 보다 더 깊은 위치에 매설하고, 원기둥 형태의 홀을 형성한 후 케이스 본체(202)를 매설한다. 이때 케이스 본체(202)의 상부에는 원기둥 형태의 홀에 지지되게 하기 위한 임시 거취대(400)가 형성되며, 케이스 본체(202) 외부에는 그리스 등의 박리층(252)이 부착된다. 이때 연결전선부(230)의 하나의 도선은 케이스 본체(202)의 측면 또는 하부에 형성된 관통홀(미도시)를 통하여 케이스 본체(202) 내부로 연결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202) 상부의 임시 거취대(400)에 형성된 주입홀(401) 또는 아스팔트와 임시 거취대(400)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하여 충진재를 주입시키고, 임시 거취대(400)를 제거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 고정나사(205)를 이용하여 케이스를 아스팔트와 단단히 고정시키고, 내부에 지자기 센서부(100)을 실장시키고, 케이스 덮개(201)를 케이스 본체(202)의 상부와 케이스 덮개 고정 나사(203)와 고정 나사홈(204)과 고정시키면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는 교통정보 측정 장치의 설치가 완료된다.
또한 도로변에는 지자기 센서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500)가 설치된다. 포장체에 원형천공에 의하여 설치되며, 신호획득부를 외부자극 및 이물질로부터 보호함을 목적으로 설치되며, 충진제와 격리되는 얇은 박리층이 형성되어 필요시 제거가 매우 용이한 케이스(200)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지자기센서와 회로부에 의하여 신호를 획득하는 지자기 센서부(100)와, 줄눈 커팅에 의하여 쉽게 설치되며, 표층이 아닌 중간층에 설치되어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커팅(절삭) 및 재포장시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외부자극에 대하여 케이블을 보호하며, 소성변형 및 피로균열이 발생되어 보호관이 손상되더라도, 스프링 모양으로 설치된 케이블에 의히여 충분한 여유길이를 확보하여 쉽게 단선이 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관에 내장된 스프링 형상의 연결전선부(230)와, 적어도 1개소 이상의 지자기센서부(1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500)로 구성된다.
신호처리부(500)의 일례로는 적어도 하나의 지자기 센서부(100)에 연결하기 위한 터미널 연결부(510)와, 아나로그 입력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A/D 컨버터(104)와, 상기의 입력신호를 신호처리에 의하여 다양한 교통정보를 산출할 수 있는 신호처리부(10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케이스(200)는 추가적인 덧씌우기층(305)의 설치시, 추가적인 덧씌우기용 케이스 중간 연결부(206)를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노력없이 기존에 설치된 센서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지자기 센서만을 사용하는 교통정보 측정 장치의 일 실시예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도로는 통상 중앙선(401)과, 차선 분리선(402)로 이루어진다. 각 차선마다 일정 거리를 이격하여 두 개의 지자기 센서부(100)가 설치되며, 지자기 센서부(100)는 연결전선부(230)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장치에 차축 센서로서 피에조 라인이 추가된 교통정보 측정 장치의 일 실시예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전선부(230)에 의해서 데이터 처리부(500) 및 지자기 센서부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각 차선마다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피에조 라인(110)이 구비됨을 알 수 있다.
도 9의 경우에는 적어도 두 개의 피에조 라인(110)과 한 개의 지자기 센서 또는 한 개의 피에조 라인과 두 개의 지자기 센서(미도시)를 사용함으로써 도 8의 실시예에 비하여 차축 측정에 의한 차종 구분 등을 포함하는 보다 폭 넓은 교통 정보의 수집이 가능하여, 측정응답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적어도 표층과 중간층으로 구분되는 아스팔트에 매설되어 설치되는 교통정보 측정 장치로서,
    상기 아스팔트 중간층 또는 이보다 깊은 위치에 매설되는 연결전선부;
    내부에 지자기 센서 수용 공간을 가지며 상기 아스팔트의 적어도 표층과 중간층에 걸쳐서 매설되고 표층으로 노출되는 케이스 덮개를 구비하는 지자기 케이스; 및
    상기 지자기 케이스에 실장되는 지자기 센서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전선부는 내부가 관통 형상을 갖는 보호관과, 상기 보호관 내부에 삽입되는 도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선은 스프링 형태로 나선식으로 감겨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측정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자기 케이스는 외벽에 박리층을 구비하며, 상기 아스팔트와 박리층 사이에 충진재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측정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덮개는 지자기 케이스와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측정 장치.
  6. 적어도 표층과 중간층으로 구분되는 아스팔트에 매설되어 설치되는 교통정보 측정 장치로서,
    상기 아스팔트 중간층 또는 이보다 깊은 위치에 매설되는 연결전선부;
    내부에 지자기 센서 수용 공간을 가지며 상기 아스팔트의 적어도 표층과 중간층에 걸쳐서 매설되고 표층으로 노출되는 케이스 덮개를 구비하는 지자기 케이스; 및
    상기 지자기 케이스에 실장되는 지자기 센서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전선부는 내부가 관통 형상을 갖는 보호관과, 상기 보호관 내부에 삽입되는 도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스팔트에 매설되는 피에조 라인과,
    상기 피에조 라인에 의해 발생되는 전하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충전기와,
    상기 충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피에조 라인 상을 지나는 차량의 무게에 의해 발생되는 전하를 축적하고, 축전된 전하를 상기 지자기 센서부에 공급하는 축전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측정 장치.
KR1020070092083A 2007-09-11 2007-09-11 교통정보 측정 장치 KR100919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083A KR100919722B1 (ko) 2007-09-11 2007-09-11 교통정보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083A KR100919722B1 (ko) 2007-09-11 2007-09-11 교통정보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968A KR20090026968A (ko) 2009-03-16
KR100919722B1 true KR100919722B1 (ko) 2009-09-29

Family

ID=40694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083A KR100919722B1 (ko) 2007-09-11 2007-09-11 교통정보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7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696B1 (ko) * 2013-04-11 2015-05-19 황규학 Its 도로교통 정보환경 구축을 위한 매설형 블럭
JP2022159731A (ja) * 2021-04-05 2022-10-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磁気マーカ、磁気マーカの埋設治具、及び磁気マーカの埋設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3760A (ko) * 1996-08-02 1998-05-15 김인두,김동철 답판(Treadle)
KR200315443Y1 (ko) * 2003-03-13 2003-06-02 하이테콤시스템(주) 루프 검지 레벨을 실시간 디지털 데이터로 전송하는 루프검지기
WO2006005208A1 (fr) * 2004-07-08 2006-01-19 Iem Sa Borne de detection et methode pour surveiller une place de stationnement a l’aide d’une telle bor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3760A (ko) * 1996-08-02 1998-05-15 김인두,김동철 답판(Treadle)
KR200315443Y1 (ko) * 2003-03-13 2003-06-02 하이테콤시스템(주) 루프 검지 레벨을 실시간 디지털 데이터로 전송하는 루프검지기
WO2006005208A1 (fr) * 2004-07-08 2006-01-19 Iem Sa Borne de detection et methode pour surveiller une place de stationnement a l’aide d’une telle bor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968A (ko) 2009-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46392A (ko) 지자기 센서를 이용한 매립형 교통정보 측정 장치
US202103022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hydrogeological risk
KR101457649B1 (ko)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
CN105973344A (zh) 用于填充速率检测的多导体燃料中水分传感器
CN210533428U (zh) 一种基于多传感器融合的路面结构监测系统
CN203838856U (zh) 一种铁路路基设备监控预警系统
JP5369027B2 (ja) 土留構造物の安全性評価方法
CN111981967A (zh) 一种滑坡深部位移远程可视化监测系统
KR100919722B1 (ko) 교통정보 측정 장치
WO2017222271A1 (ko) 지반함몰 신속탐지 시스템 및 방법
JP2017181054A (ja) 水位計測装置
CN103743316A (zh) 弯坡桥墩梁位移实时自动监测系统
CN103712586A (zh) 弯坡桥墩梁位移实时自动监测系统
KR100986139B1 (ko) 선로 궤도의 변형 감지 장치
CN211262170U (zh) 监测桩及边坡地表位移监测装置
KR20090030915A (ko) 지자기센서를 이용한 차량 감지장치
CN102369561B (zh) 监控交通的装置和方法
JP2001304822A (ja) 光ファイバセンサおよび監視システム
WO2013114151A2 (en) Automated electronic method for periodical control of snowpack conditions
CN205827581U (zh) 电力电缆通道的防破坏预警装置
CN107907166A (zh) 一种地下管廊安全监控系统
CN208476230U (zh) 一种土质滑坡的浅层形变监测装置
Mittal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instrumentation network for landslide monitoring and issue an early warning
JP5300303B2 (ja) 損傷未然検知システム、及び傾斜検出装置
CN206312338U (zh) 输电杆塔边坡和地基监测预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