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008B1 - Gis를 이용한 습지위치 탐색방법 - Google Patents

Gis를 이용한 습지위치 탐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008B1
KR100918008B1 KR1020070043215A KR20070043215A KR100918008B1 KR 100918008 B1 KR100918008 B1 KR 100918008B1 KR 1020070043215 A KR1020070043215 A KR 1020070043215A KR 20070043215 A KR20070043215 A KR 20070043215A KR 100918008 B1 KR100918008 B1 KR 100918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land
gis
map
loca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1614A (ko
Inventor
박광우
최경
강동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70043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008B1/ko
Publication of KR20090001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2Glob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the whole pattern, e.g. using frequency domain transformations or autocorre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습지위치 탐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GIS 전처리를 통하여 습지를 조사하고자 하는 지역에 대한 다수의 GIS 주제도를 도출하는 제1단계; 상기 GIS 주제도를 이용하여 상기 지역에 대한 수분지수도(IMI)를 도출하는 제2단계; 상기 도출된 수분지수도(IMI) 및 상기 다수의 GIS 주제도를 이용하여 습지의 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필터링하여 예비습지를 추출하는 제3단계; 상기 추출된 예비습지 내의 단위 지역별로 습지 가능성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를 이용하여 습지예상지를 선별하는 제4단계; 상기 습지예상지의 면적 및 밀집도를 근거로 습지영역을 선별하는 제5단계; 상기 습지영역의 중심지점을 도출하여 위치측정시스템(GPS)에 입력하여 해당 습지의 조사지점을 추출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추출된 습지 조사지점을 위성영상의 지도상에 대응시켜 습지위치에 대한 예측분포도를 생성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며, 이로써 인력, 시간 및 예산을 현저히 줄이면서 과학적인 방법으로 습지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습지, 지리정보시스템(GIS), 국가지리정보시스템(NGIS), 산림지리정보시스템(FGIS), 토지피복도, 수분지수도, 지형만곡도, 수문집적도, 경사도, 생태자연도

Description

GIS를 이용한 습지위치 탐색방법{Method for Searching Wet Land position based on GI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GIS를 나타낸 일부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GIS를 이용한 습지위치 탐색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분지수도(IMI)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습지위치의 예측분포도 생성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습지(wet land) 위치 탐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리정보시스템(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이용하여 습지의 위치를 탐색하고 이를 계량화하여 습지 예측분포도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GIS를 이용한 습지위치 탐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습지는 과습한 조건에서 잘 자라는 초본이나 선태류 또는 관목으로 덮여 있는 토지를 말한다. 이러한 습지의 생태계는 인간 사회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삼림/습원, 어업, 농업 또는 관광 자원으로서도 인간 사회에 각종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주고 있다. 이에 따라 습지현황을 파악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규모, 환경, 상태 등 종합적인 조사가 필요하게 되고, 이를 위하여 저비용의 효율적인 습지위치 탐색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최근에 각종 지리적 분포의 특성을 가진 모든 공간적 형상의 지리정보를 처리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지도상에 기입함으로써 지리적인 정보를 관리하는 지리정보시스템(이하, GIS라 함)의 구축에 따라 국가 지리정보를 구축하는 시스템인 국가지리정보시스템(NGIS: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뿐만 아니라 전국 산림지역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구축하는 시스템인 산림정보시스템(FGIS:Forest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이 구축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GIS(101)는 공간정보(Spatial Data)와 속성정보(Attribute Data)를 입력, 수정, 처리, 출력할 뿐만 아니라 분석 등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자료시스템으로서, 이러한 GIS(101)에서 처리하는 대상은 분포의 특성을 가진 공간적 형상의 지리정보이고, GIS(101)는 이러한 각종 지리정보가 지도(102) 상에 기입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지리정보는 부호(103)로 표시되고, 완벽한 지리정보가 되기 위해서는 도엽(104)별로 구분되는 공간정보와 다수 개의 레이어로 형성되는 속성정보가 함께 정의되어야 한다. 상기 공간정보는 각종 지리의 위치와 형상 및 사상 간의 공간상 상대적 위치관계를 표현한 것으로서, 지도상에는 점, 선, 면을 사용하여 표시되며, 이에 따른 속성정보는 점, 선, 면으로 표시된 각종 좌표 상의 지리적 사항의 특성을 표현한 것이다.
이러한 GIS를 이용한 국가지리정보시스템(NGIS) 및 산림정보시스템(FGIS)의 구축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습지의 지리적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탐색할 수 있는 시스템은 구축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종래의 통상적인 습지위치 탐색방법으로는 일정 간격으로 습지 조사 대상지를 선정하고 그 선정된 조사 대상지의 주변 식생을 조사하는 방식으로서 습지위치의 조사지점을 선정하였다. 이 경우 습지나 주변의 사전 정보 없이 획일적인 방식에 조사지점을 선정하고 그 조사 대상지 선정의 명확한 기준이 없어 조사 대상지 선정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위성영상을 활용한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지표의 수분 상태를 추출하여 습지의 위치를 탐색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위성영상의 취득시기별 특징에 의해 그 탐색결과가 변하기 때문에 단순히 지표의 수분 상태를 나타내는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습지를 추출하여 조사하기에는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GIS 전처리를 통해 얻어진 다수의 주제도를 바탕으로 적은 비용으로 습지분포지를 정확하게 탐색하고 이에 따라 습지위치에 따른 습지분포도를 생성시켜 실시간으로 습지위 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GIS를 이용한 습지위치 탐색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GIS를 이용한 습지위치 탐색방법은,
GIS 전처리를 통하여 습지를 조사하고자 하는 지역에 대한 다수의 GIS 주제도를 도출하는 제1단계; 상기 GIS 주제도를 이용하여 상기 지역에 대한 수분지수도(IMI)를 도출하는 제2단계; 상기 도출된 수분지수도(IMI) 및 상기 다수의 GIS 주제도를 이용하여 습지의 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필터링하여 예비습지를 추출하는 제3단계; 상기 추출된 예비습지 내의 단위 지역별로 습지 가능성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를 이용하여 습지예상지를 선별하는 제4단계; 상기 습지예상지의 면적 및 밀집도를 근거로 습지영역을 선별하는 제5단계; 상기 습지영역의 중심지점을 도출하여 위치측정시스템(GPS)에 입력하여 해당 습지의 조사지점을 추출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추출된 습지 조사지점을 위성영상의 지도상에 대응시켜 습지위치에 대한 예측분포도를 생성하는 제7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GIS 전처리를 통해 도출되는 GIS 주제도는 경사도, 지형만곡도, 수문집적도, 능선음지도, 토양보습도, 도로접근도, 토지피복도, 생태자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단계에서의 수분지수도(IMI)는 하기 수식1와 같이 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식1]
수분지수도(IMI) = (h×0.4)+(f×0.3)+(t×0.2)+(c×0.1)
(여기서, h:능선음지, f:수문집적, t:토양보습력, c:지형만곡)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GIS 전처리를 통해 도출된 경사도, 지형만곡도, 수문집적도, 도로접근도, 토지피복도, 생태자연도 및 수분지수도별로 습지의 가능성이 있는 필터링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지역을 예비습지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습지 가능성이 있는 필터링 조건은 상기 경사도는 0~10도, 수문집적도는 1~50, 지형만곡도는 -1.5~0, 도로접근성은 도로로부터 30m 이상, 토지피복도는 개발지 제외, 생태자연도는 1~3 등급 범위, 토양배수도는 불량 또는 보통, 수분지수도는 20~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개발지는 주거지역, 공업지역, 상업지역, 위락시설지역, 교통지역, 공공시설지역, 논, 밭, 하우스 재배지 지역, 과수원지역, 골프장, 기타 나지 또는 채광지역 중 적어도 하나의 지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추출된 예비습지의 각 단위지역별로 경사도, 지형만곡도 및 생태자연도 정보를 100점 기준으로 환산하여 습지가능성이 큰 단위지역일수록 큰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GIS 주제도별 가중치 환산은 하기 수식2와 같이 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식2]
경사도 가중치 : {V×(-1)+10}×10
지형만곡도 가중치 : (V+1.5)×1000/15
생태자연도 가중치 : V×100/3
(여기서, 상기 V는 해당 주제도별 실제 지수값)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선별된 습지예상지의 면적이 크고 습지 밀집도가 높은 순으로 습지영역을 선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7단계는 상기 습지위치에 대한 예측분포도는 상기 추출된 습지 조사지점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의 영역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GIS를 이용한 습지위치 탐색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GIS를 이용한 습지위치 탐색방법은 GIS 전처리를 통하여 얻어지는 특정 지역의 지리적 공간정보(Spatial Data)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에 대한 다수의 GIS 주제도를 도출한다(S200). 상기 GIS 전처리는 국가지리정보시스템(NGIS) 사업의 성과물인 수치지도의 속성정보(Attribute Data)를 이용하여 표고, 방위, 경사, 접근성 등의 분포도를 재산출하는 수치지도 전처리 및 수치고도자료(DEM:Digital Elevation Model)의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지형의 기복, 고저, 형상 등의 분포도를 재산출하는 DEM 전처리와, 산림정보시스템(FGIS) 사업의 성과물인 산림입지도의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임상, 경급, 영급, 소밀도 등의 분포도를 재산출하는 산림입지도 전처리 및 생태자연도의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산, 하천, 습지, 호소, 농지, 도시 등의 분포도를 재산출하는 생태자연도 전처리를 포함한다.
상기 GIS 전처리는 먼저 다양한 주제의 정보들이 축척 1:25,000의 도엽들에 따른 레이어로 구분되어 있고, 주제별 분리가 가능한 GIS 원시자료의 속성정보를 통해 원하는 주제들 및 위치의 도엽별 레이어가 추출된다. 그 후 상기 추출된 다수의 도엽들이 도면과 연결되어 2차원의 형상으로 변환된 후 다시 벡터인 3차원 형상으로 변환된다. 이는 또 다시 3차원의 래스터(Raster) 유형으로 변환되어 새로운 주제를 갖는 3차원 래스터 형상의 지리분포도가 생성된다. 여기서, 산림입지도는 폴리곤(Polygon) 형태의 자료구조를 지닌 벡터유형에 속하고, 이러한 각각의 폴리곤마다 여러 가지의 속정정보를 지니므로 이를 단일한 속성별로 분리 및 추출하여 별도의 래스터 유형 자료로 변환한다.
상기 GIS 주제도는 지형의 경사를 나타낸 경사도, 한 지점을 주변 지형과 비교하여 지형이 오목하고 볼록한 상태를 나타낸 지형만곡도, 지형에 의해 물이 집적 되어 있는 정도를 나타낸 수문집적도, 지형의 향, 경사 등의 능선과 음지의 상태를 나타낸 능선음지도, 토양이 물을 함유하고 있는 정도를 나타낸 토양보습도, 도로에 대한 축소지도를 나타낸 도로접근도,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땅의 이용현황 및 피복 상태를 구분하여 나타낸 토지피복도 등의 지리적인 공간상의 상태정보를 나타낸 자료를 포함한다.
계속하여, 상기 도출된 다수의 GIS 주제도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에서의 수분지수도(IMI:Integrated Moisture Index)를 도출한다(S202). 상기 수분지수도(IMI)는 상기 능선음지도, 수문집적도, 지형만곡도 및 토양보습력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한 지역의 수분함유 정도를 계량화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분지수도(IMI)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분지수도(IMI)는 능선음지(hillshade)를 40%로 고려하고, 수문집적(flow accumulation)을 30%, 토양보습력(total available water)을 20%, 그리고 지형만곡(curvature)을 10%로 고려하여 나타낼 수 있으며, 하기 수학식1과 같이 계산된다.
수분지수도(IMI) = (h×0.4)+(f×0.3)+(t×0.2)+(c×0.1)
여기서, h:능선음지, f:수문집적, t:토양보습력, c:지형만곡.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GIS 전처리를 통해 해당 지역에 대한 GIS 주제도 및 수분지수를 도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습지 탐색을 수행한다.
먼저, 상기 해당 지역에 대하여 경사도, 지형만곡도, 수문집적도, 수분지수도, 도로접근도, 토지피복도, 생태자연도별로 미리 설정된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지역을 필터링하여 예비습지를 추출한다(S204). 여기서, 상기 예비습지라 함은 상기 다수의 GIS 주제도로부터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필터링하여 도출한 습지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말한다. 이를 바꾸어 말하면 습지가 될 수 없는 조건을 가진 지역을 1차적으로 제거한 후 남은 지역을 예비습지로 결정하는 것이다.
상기 S204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해당 지역에 대하여 습지가 존재할 확률이 높은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지역만을 필터링함으로써 습지가 존재할 지역을 우선적으로 추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각 GIS 주제도별 필터링 조건의 일례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1은 예비습지 추출을 위한 각 GIS 주제도별 필터링 조건에 대한 일례이며 이러한 필터링 조건은 추출하고자 하는 예비습지의 정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GIS 주제도 예비습지 추출을 위한 필터링 조건
경사도 0 ~ 10
지형만곡도 -1.5 ~ 0
수문집적도 1 ~ 50
수분지수도 20 ~ 40
도로접근도 30 m 이상
토지피복도 개발지 제외
생태자연도 1 ~ 3 등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도로접근성은 예를 들어 1:25,000 수치지도로부터 추출해 낸 도로를 바탕으로 30m의 버퍼를 주어 계산하여 만든 주제도이고, 상기 토지피복도는 5m 해상도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땅의 이용현황과 피복 상태를 구분하여 나타낸 주제도이고, 상기 생태자연도는 환경적으로 보존의 필요성이 높은 지역을 표시하여 나타낸 주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S204 단계는 상기 GIS 주제도에서 탐색하고자 하는 해당 지역에 대하여 습지와 연관성이 적은 특정 지역을 필터링함으로써 그 특정 지역을 예비습지에서 제외시킨다. 예를 들어, 도로접근도를 이용하여 도로로부터 30m 이내에는 습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도로로부터 30m 이내에 있는 지역은 필터링하여 예비습지에서 제외시키고, 또한 토지피복도를 이용하여 습지와 관련이 적은 주거지역, 공업지역, 상업지역, 위락시설지역, 교통지역, 공공시설지역, 논, 밭, 하우스 재배지 지역, 과수원지역, 골프장, 기타 나지지역 또는 채광지역 등을 필터링하여 예비습지에서 제외시킨다. 나아가 생태자연도를 이용하여 습지와 관련이 없는 1~3등급 이외의 등급을 필터링하여 예비습지에서 제외시킨다. 이와 같이 습지와 관련이 적은 특정 지역을 예비습지에서 제외시킴으로써 높은 확률로 예비습지를 추출할 수 있다.
계속하여, 상기 추출된 예비습지에 대한 중요도 구별을 위해 경사도, 지형만곡도 및 생태자연도의 3가지 GIS 주제도를 사용하여 각 GIS 주제도별로 가중치를 부여한다(S206). 즉, 상기 각 GIS 주제도에서 각 단위 지역별로 경사도, 지형만곡도 및 생태자연도의 지수를 가중치로 계산한다. 이러한 가중치는 100점을 기준으로 상기 해당 지수를 환산하도록 한다. 이러한 100점 환산법은 하기 표2와 같다.
GIS 주제도 100점 환산법 환산점수 범위
경사도 {V×(-1)+10}×10 100 ~ 0
지형만곡도 (V+1.5)×1000/15 0 ~ 100
생태자연도 V×100/3 0 ~ 100
상기 표2에서 V는 한 지점에서 해당 주제도의 값이다. 즉, 경사도에서의 V는 경사값이고, 지형만곡도에서의 V는 지형만곡도값이고, 생태자연도에서의 V는 생태자연도의 등급값이다.
상기 경사도에 대하여 100점 환산법을 통해 가중치를 부여하는 일례를 하기 표3 및 표4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표3은 3m × 3m인 지역의 경사도 분포를 나타내고, 표4는 이러한 경사도를 상기 100점 환산법을 이용하여 해당 지역별로 부여된 가중치를 나타낸다.
5 3 5
6 6 7
2 5 3
50 70 50
40 40 30
80 50 70
상기 표3에서와 같이 3m ×3m 인 지역에서 1평방미터의 평균 경사도에서 1행 1열의 경사도는 5이고, 그 지점에서 가중치를 100점 환산법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표4의 1행 1열과 같이 가중치는 50(={5×(-1)+10}×10)이 되고, 1행 2열의 경사도는 3이고 그 지점의 가중치를 100점 환산법을 통해 계산하면 70 (={3×(-1)+10}×10)이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체 면적을 계산하면 표5와 같은 결과를 얻게 된다. 여기서 각 경사도에 -1을 곱해주는 이유는 경사도가 낮을수록 습지가 존재할 가능성이 더 커지는 음의 상관관계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GIS 공간정보 범위 점수 100점 환산법
수분지수도 20~40
지형만곡도 -1.5~0 1~100 (V+1.5)×1000/15
수문집적도 1~50
경사도 0~10 100~1 {V×(-1)+10}×10
생태자연도 1~4 등급 1~100 V×100/3
상기 지형만곡도의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로 0에 가까울수록 습지 가능성이 높으며 -1.5와 0의 값 사이에 분포하기 때문에 0~100 값이 되도록 평준화시켜준 것이다. 또한 생태자연도의 경우는 1~3 사이의 값을 가지기 때문에 그 사이의 값을 0~100 까지의 값으로 정규화시켜 가중치를 부여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각 GIS 주제도에서 해당 지역에서의 V값을 100점 환산법을 통해 부여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습지예상지를 선별한다(S208). 즉 가중치가 큰 지역은 습지예상지일 확률이 높고 반대로 가중치가 낮은 지역은 습지예상영역일 확률이 낮으므로, 상기 해당 지역별 가중치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지역을 습지예상지로 선별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습지예상지라 함은 상기 추출된 예비습지 내에서 보다 더 습지일 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말하는 것으로서, 상기 습지일 가능성이 높은 순으로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습지로 예상되는 지역을 2차적으로 선별하여 습지예상지로 선별한다.
계속하여, 상기 선별된 습지예상지의 면적 및 밀집도를 바탕으로 습지영역을 추출한다(S210). 이는 상기 선별된 습지예상지 중에서도 실제 습지일 확률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선별된 습지예상지의 면적이 크고 습지 밀집도가 높은 순으로 습지영역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상기 선별된 습지예상지의 주변 250m 이내에서 습지 가능지의 분포가 많은 지역을 습지영역으로 추출한다. 여기서, 습지영역이라 함은 상기 선별된 습지예상지에서 습지를 포함하는 그 주변 일대의 영역을 말하는 것으로서, 상기 습지예상지의 면적 및 밀집도에 따라 추출한다.
상기와 같이 추출된 습지영역의 중심지점을 도출하고 그 중심지점을 위치측정시스템(GPS:Global Position System)에 입력하여 해당 습지영역의 조사지점을 추출한다(S212). 이는 상기 선별된 습지영역의 중심지점에 대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GPS 시스템에 상기 선별된 습지 예상영역의 중심지점을 입력하여 그 지점에 대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위치를 해당 습지의 조사지점으로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서, 상기 추출된 습지 조사지점을 상기 위성영상의 지도상에 대응시켜 습지위치에 대한 예측분포도를 생성한다(S214). 상기 습지위치에 대한 예측분포도는 상기 추출된 습지 조사지점을 중심으로 예를 들어 50m 반경 이내의 영역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습지 예측분포도라 함은 습지가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지를 예측하여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습지 예측분포도에는 지리적 데이터를 비롯하여 습지에 대한 각종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습지위치의 예측분포도 생성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선별된 습지영역의 중심지점을 도출하여 위치측정시스템(GPS)에 입력하여 해당 습지조사지점을 추출하고, 상기 습지조사지점을 위성영상의 지도상에 대응시켜 습지위치에 대한 예측분포도를 생성한다. 이때 위성영상(401)은 습지 예상영역의 위치 확인을 위하여 지역을 표시하는 폴리콘(Polygon)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습지 예상영역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상기 위성영상(401)에 대응되는 지도인 그리드(Grid)지도(402)를 중첩하여 상기 해당 습지의 위치에 대한 예측분포도를 생성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습지위치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해당 위치의 속성정보도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 구축된 GIS 자료를 이용하여 습지의 위치를 정확하게 탐색하기 때문에 현지 조사를 위한 인력 및 예산에 투입되는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조사자가 직접 현지 조사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습지의 요건을 환경특성 정보에 따라 계량할 수 있는 체계의 한 기반이 될 수 있다.

Claims (10)

  1. GIS 전처리를 통하여 습지를 조사하고자 하는 지역에 대한 다수의 GIS 주제도를 도출하는 제1단계;
    상기 GIS 주제도를 이용하여 상기 지역에 대한 수분지수도(IMI)를 도출하는 제2단계;
    상기 도출된 수분지수도(IMI) 및 상기 다수의 GIS 주제도를 이용하여 습지의 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필터링하여 예비습지를 추출하는 제3단계;
    상기 추출된 예비습지 내의 단위 지역별로 습지 가능성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되, 상기 가중치는 상기 추출된 예비습지의 각 단위지역별로 경사도, 지형만곡도 및 생태자연도의 정보를 100점 기준으로 환산하여 습지가능성이 큰 단위지역일수록 큰 가중치를 부여하며, 상기 가중치를 이용하여 습지예상지를 선별하는 제4단계;
    상기 습지예상지의 면적 및 밀집도를 근거로 습지영역을 선별하는 제5단계;
    상기 습지영역의 중심지점을 도출하여 위치측정시스템(GPS)에 입력하여 해당 습지의 조사지점을 추출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추출된 습지 조사지점을 위성영상의 지도상에 대응시켜 습지위치에 대한 예측분포도를 생성하는 제7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습지위치 탐색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IS 전처리를 통해 도출되는 GIS 주제도는 경사도, 지형만곡도, 수문집적도, 능선음지도, 토양보습도, 도로접근도, 토지피복도 및 생태자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습지위치 탐색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의 수분지수도(IMI)는 하기 수식1와 같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습지위치 탐색방법.
    [수식1]
    수분지수도(IMI) = (h×0.4)+(f×0.3)+(t×0.2)+(c×0.1)
    (여기서, h:능선음지, f:수문집적, t:토양보습력, c:지형만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GIS 전처리를 통해 도출된 경사도, 지형만곡도, 수문집적도, 도로접근도, 토지피복도, 생태자연도 및 수분지수도별로 습지의 가능성이 있는 필터링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지역을 예비습지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습지위치 탐색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습지 가능성이 있는 필터링 조건은,
    상기 경사도는 0~10도, 수문집적도는 1~50, 지형만곡도는 -1.5~0, 도로접근성은 도로로부터 30m 이상, 토지피복도는 개발지 제외, 생태자연도는 1~3 등급 범위, 토양배수도는 불량 또는 보통, 수분지수도는 2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습지위치 탐색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발지는,
    주거지역, 공업지역, 상업지역, 위락시설지역, 교통지역, 공공시설지역, 논, 밭, 하우스 재배지 지역, 과수원지역, 골프장, 기타 나지 또는 채광지역 중 적어도 하나의 지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습지위치 탐색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IS 주제도별 가중치 환산은 하기 수식2와 같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습지위치 탐색방법.
    [수식2]
    경사도 가중치 : {V×(-1)+10}×10
    지형만곡도 가중치 : (V×1.5)×1000/15
    생태자연도 가중치 : V×100/3
    (여기서, 상기 V는 해당 주제도별 실제 지수값)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7단계는,
    상기 습지위치에 대한 예측분포도는 상기 추출된 습지 조사지점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의 영역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습지위치 탐색방법.
KR1020070043215A 2007-05-03 2007-05-03 Gis를 이용한 습지위치 탐색방법 KR100918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215A KR100918008B1 (ko) 2007-05-03 2007-05-03 Gis를 이용한 습지위치 탐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215A KR100918008B1 (ko) 2007-05-03 2007-05-03 Gis를 이용한 습지위치 탐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614A KR20090001614A (ko) 2009-01-09
KR100918008B1 true KR100918008B1 (ko) 2009-09-24

Family

ID=40484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215A KR100918008B1 (ko) 2007-05-03 2007-05-03 Gis를 이용한 습지위치 탐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0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64897B (zh) * 2012-12-14 2016-06-29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gis系统的地理实体信息加载方法和系统
KR102487666B1 (ko) * 2020-10-06 2023-01-12 대한민국 위성영상자료와 인공지능기법을 이용한 엽면습윤기간 예측 방법
KR102648844B1 (ko) * 2023-08-24 2024-03-18 (주) 지오씨엔아이 시계열 위성영상과 gis 데이터를 활용한 습지 구성요소 변화 지역 탐지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614A (ko) 200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dica et al. Abandonment of traditional terraced landscape: A change detection approach (a case study in Costa Viola, Calabria, Italy)
Ren et al. Developing a rapid method for 3-dimensional urban morphology extraction using open-source data
CN105205330B (zh) 一种基于渔网模型的生态安全评价方法
Al-Kouri et al. Geospatial modeling for sinkholes hazard map based on GIS & RS data
CN111210142A (zh) 一种景观综合管理单元划分方法
Hladnik Spatial structure of disturbed landscapes in Slovenia
Ardahanlıoğlu et al. GIS-based approach to determine suitable settlement areas compatible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KR100918008B1 (ko) Gis를 이용한 습지위치 탐색방법
Bayat et al. Carbon stock of European beech forest; a case at M. Pizzalto, Italy
Alanís-Anaya et al. Susceptibility to gravitational processes due to land cover change in the Río Chiquito-Barranca del Muerto subbasin (Pico De Orizaba Volcano, México)
Busho et al. Quantifying spatial patterns of urbanization: growth types, rates, and changes in Addis Ababa City from 1990 to 2020
Jonah et al. Production of a topographic map and the creation of a six-laye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for a fifteen square-kilometre (15 km2) areal extent of the Gidan Kwano Campus of the Federal University of Technology, Minna, Niger State, Nigeria
Tomar et al. Natural resource database generation for parts of Raebareli, districts of UP
Shukla et al. Land Use/land cover change detection of Indira Sagar Canal command area using integrated remote sensing and GIS tools
Kadam et al. Assessment of groundwater potential zones using GIS technique: a case study of Shivganga River basin Pune Maharashtra India
CN109900242A (zh) 一种跨国流域生态监测方法及系统
Olang et al. A spatial database of hydrological and water resources Information for the Nyangores watershed of Kenya
Shaviraachin Flood simulation: a case study in the lower Limpopo valley, Mozambique using the SOBEK flood model
CĂLINA et al. STUDY ON THE PREPARATION OF TECHNICAL DOCUMENTATION NECESSARY FOR THE REHABILITATION AND MODERNIZATION OF ROAD INFRASTRUCTURE IN THE AGRITOURISTIC AREA, GIUBEGA-BĂILEȘTI
CN116644809B (zh) 一种集成地理大数据和机器学习的城镇开发边界划定方法
Reba et al. Determination of sustainable land potential based on priority ranking: multi-criteria analysis (MCA) technique
CIALDEA SPATIAL EVOLUTIONS BETWEEN IDENTITY VALUES AND SETTLEMENTS CHANGES
Sidiq et al. Land Use Change Analysis to Springs Conditions in Gunungpati Sub-District, Semarang City
Park et al. Object-based Land Cover Change Detection and Landscape Structure Analysis of Demilitarized Zone in Korea.
Khikmah et al. Evaluation of spatial and regional planning map using remote sensing and GIS in East Lombok Indones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