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311B1 - 칫솔 걸이구 - Google Patents

칫솔 걸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311B1
KR100917311B1 KR1020090040300A KR20090040300A KR100917311B1 KR 100917311 B1 KR100917311 B1 KR 100917311B1 KR 1020090040300 A KR1020090040300 A KR 1020090040300A KR 20090040300 A KR20090040300 A KR 20090040300A KR 100917311 B1 KR100917311 B1 KR 100917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outer case
toothbrush
pie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동준
Original Assignee
윤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동준 filed Critical 윤동준
Priority to KR1020090040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311B1/ko
Priority to PCT/KR2010/002877 priority patent/WO2010128805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8Accessories for toilet tables, e.g. glass plates, supports therefor
    • A47K1/09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 brushes, hair brush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rushe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칫솔을 보관하는 수납공간을 간편하게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구조를 채택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칫솔을 수납하는 칫솔걸이구에 관한 것으로, 벽에 부착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에 결합되는 물림판과, 상기 물림판에 결합하는 V 자 형상의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양단과 각각 회전가능하게 일단이 결합되고 서로의 타단이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링크를 포함하는 스냅힌지부; 상기 제2링크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2링크의 회전에 따라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는 칫솔 걸이구를 제공한다.
칫솔, 수납, 보관, 위생

Description

칫솔 걸이구{A TOOTHBRUSH HANGER}
본 발명은 칫솔걸이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칫솔을 보관하는 수납공간을 간편하게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구조를 채택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칫솔을 수납하는 칫솔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사용되고 난 이후, 노출된 상태로 보관되거나, 또는 보관대의 걸이부에 칫솔모 부분이 수납되고 손잡이부분은 늘어뜨려진 상태로 보관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칫솔보관대는, 상기 칫솔은 외부에 노출됨으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상기 칫솔모에 달라붙는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상기 칫솔모가 수납되는 공간은 완전히 밀폐되는 공간이 아니어서 바퀴벌레 등의 해충 등에 의하여 노출되어 칫솔이 오염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위생적으로 칫솔을 보관하면서도 사용이 용이한 칫솔걸이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규격의 칫솔을 편리하게 보관하는 칫솔걸이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벽에 부착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에 결합되는 물림판과, 상기 물림판에 결합하는 V 자 형상의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양단과 각각 회전가능하게 일단이 결합되고 서로의 타단이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링크를 포함하는 스냅힌지부; 상기 제2링크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2링크의 회전에 따라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는 칫솔 걸이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링크는 유동성이 있는 탄성성질을 가지며, 상기 제1링크의 양단과 상기 제2링크의 일단은 회전 결합 되어, 상기 제2링크 사이의 결합부가 내측으로 이동하면 외부케이스는 폐쇄되고, 상기 제2링크 사이의 결합부가 외측으로 이동하면 외부케이스가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링크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 후측면에는 상기 걸림편이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링크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후, 90도로 절곡되는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의 측면부에는 상기 걸림편의 끝단이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편은, 일단이 상기 제2링크와 결합되며 타단에는 후크가 형성되는 탄성후크편과, 상기 탄성후크편과 이격되어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2링크와 결합되는 지지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케이스와 상기 제2링크는 고정핀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링크의 외측면부에는 링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역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 후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이 삽입되어 상기 외부케이스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케이스의 후측면 중앙부에는, 상기 외부케이스가 폐쇄 상태인 경우 상기 제2링크가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대의 후측면에 형성되어 용이하게 벽과 흡착하도록 하는 흡착판을 더 구비하며, 상기 고정대의 전측면에는 사다리꼴 형상 단면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물림판의 후측면에는 상기 장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편이 형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터치로 간편하게 칫솔을 수납하면서도 수납 시 밀폐된 수납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위생적으로 칫솔을 수납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칫솔을 수납하는 외부케이스를 변형하여 다양한 규격의 칫솔을 수납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걸이구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칫솔걸이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칫솔걸이구의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칫솔걸이구의 폐쇄 시 평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칫솔걸이구의 정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칫솔걸이구(100)는, 고정대(110), 스냅힌지부(120) 및 외부케이스(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대(110)는 벽에 부착되는 부분으로써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대(110)와 벽의 사이인 고정대 후면에는 다수개의 흡착판(111)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대(110)가 벽에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부착된다.
상기 고정대(110)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개방된 고정홈(112)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112)의 입구부는 내측공간보다 폭이 더 좁게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되어 후술할 물림판(121)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대(110)의 전방부에는 스냅힌지부(120)가 위치한다. 상기 스냅힌지부(120)는 물림판(121), 제1,2링크(122)(123)로 이루어진다.
상기 물림판(121)은 상기 고정대(110)의 전방부에 위치하며, 상기 물림판(121)은 상기 고정대(110)의 고정홈(112)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대(110)와 결합된다.
상기 물림판(121)의 전측에는 제1링크(122)가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122)의 전측에는 상기 제1링크(122)의 양단과 일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링크(123)가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2링크(123)의 전측 타단은 서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결합부(123a)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링크(123)의 결합부(123a)는 상기 제2링크(123)가 회전함에 따라 전후방 왕복운동한다.
한 쌍의 상기 외부케이스(130)는 1/4 구 형상으로 각각 이루어지며, 상기 제2링크(123)의 외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2링크(123)가 회전함에 따라 칫솔모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선택적으로 형성한다. 상기 외부케이스(130)의 하부에는 칫솔대가 관통하여 하향 연장하는 수납홀(134)이 형성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122)의 양단과 상기 제2링크(123)의 일단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 되어, 상기 제2링크(123)가 회동하며 결합부(123a)가 내측으로 이동하면 외부케이스(130)는 폐쇄되고, 상기 제2링크(123) 가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며 제2링크(123)의 결합부(123a)가 외측으로 이동하면 외부케이스(130)가 개방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링크(123)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걸림편(124)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편(124)은 탄성후크편(124a) 및 지지편(124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후크편(124a)은 상기 제2링크(123)와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에는 후크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편(124b)은 상기 제2링크(123)의 전방부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후크편(124a)과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외부케이스(130)의 내측면을 지지한다.
한편, 상기 외부케이스(130) 후측면에는 상기 걸림편(124)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홀(13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편(124)은 상기 걸림홀(13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130)의 후측면 중앙부에는 제2링크(123)의 폭보다 폭이 더 넓은 장공(133)이 형성된다.
상기 장공(133)은 상기 외부케이스(130)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제2링크(123)의 일부분(123b)이 삽입되도록 하여, 외부케이스(130)가 상기 제2링크(123)에 간섭되지 아니하고 원활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칫솔걸이구(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사용자가 칫솔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칫솔의 칫솔모 부분을 상기 외부 케이스(130) 내부로 전진시키며 상기 제2링크(123)의 결합부(123a)를 눌러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링크(123)는 제2링크(123) 사이의 결합부(123a) 및 제1링크(122)의 양단(122b)(122c)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상기 제2링크(123)의 결합부(123a)가 내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링크(122)의 양단 사이의 거리(d)는 멀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링크(122)는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 제2링크(123)의 결합부(123a)가 상기 제1링크(122)의 양단의 연장선(l)을 지나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링크(123)가 상기 제1링크(122)의 양단을 지지하는 힘이 약해지면서, 상기 제1링크는 복원력으로 상기 제2링크(123)의 결합부(123a)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링크(123)에 결합된 외부케이스(130)는 도 4에 도시된 폐쇄 상태로 되어 칫솔을 수납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칫솔을 꺼내어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칫솔을 사용자측으로 전방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칫솔은 상기 외부케이스(130)를 사용자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며, 이와 동시에 상기 외부케이스(130)는 벌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케이스(130)에 결합된 상기 제2링크(123)는 회전하고, 그 후 상기 제2링크(123)의 결합부(123a)는 전방으로 나오게 되어 상기 칫솔걸이구(100)는 개방상태로 변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칫솔걸이구의 평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칫솔걸이구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칫솔걸이구와 다른 구성은 동일하나, 상기 외부케이스(130)와 제2링크(123)의 고정방법이 상이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외부케이스(130)와 상기 제2링크(123)의 결합구조에 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칫솔케이스(130)의 상기 제2링크(123)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후 90도로 절곡되어 "ㄱ"자 형상을 형성하는 걸림편(1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편(124)에 대응하는 상기 외부케이스(130)의 측면부에는 상기 걸림편(124)의 끝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걸림홀(13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편(124)은 상기 걸림홀(131)에 삽입되어 상기 외부케이스(130)와 상기 제2링크(123)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상기 걸림편(124)은 외부케이스(130)의 측면에서 삽입되므로, 사용자가 외부케이스(130)를 분리하는 경우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칫솔걸이구의 평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상기 제2링크(123)와 상기 외부케이스(130)가 힌지 결합된다. 상기 외부케이스(130)는 고정핀(14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외부케이스(130)의 후측면에는 상기 고정핀(140)이 삽입관통되는 결합편(141)이 각각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결합편(141)의 양측에는 상기 제2링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140)이 삽입관통되는 위치고정편(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핀(140)은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링크(123)에 형성된 위치고정편 및 상기 외부케이스의 결합편(141)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130)가 제2링크(123)에 일정각도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핀(140)은 삽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므로, 외부케이스 세척 시 상기 고정핀(140)을 제거하여 상기 외부케이스(130)를 간편하게 떼어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130)가 일부 회전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큰 규격의 칫솔을 수납하는 경우에도, 외부케이스(130)가 유동하여 칫솔을 여유 있게 수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칫솔걸이구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B-B'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칫솔걸이구는 외부케이스(130) 및 제2링크(123)의 결합구조에 있어서만 다른 실시예의 칫솔걸이구와 상이할 뿐 그 외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호 동일하므로, 본 제4실시예에 있어서도 외부케이스 및 제2링크 사이의 관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칫솔걸이구의 상기 제2링크(123)의 외측면부에는 링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레일(125)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25)은 역사다리꼴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링크(123)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25)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케이스(130) 후측면에는 장홈형상인 가이드홈(13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25)은 상기 가이드홈(132)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도 8의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가이드레일(12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상기 한 쌍의 외부케이스(130)는 서로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칫솔을 수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칫솔걸이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칫솔걸이구의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칫솔걸이구의 폐쇄 시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칫솔걸이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칫솔걸이구의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칫솔걸이구의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칫솔걸이구의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B'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 칫솔걸이구 110 : 고정대
120 : 스냅 힌지부 121 : 물림판
122 : 제1링크 123 : 제2링크
124 : 걸림편 130 : 외부케이스
140 : 고정핀

Claims (10)

  1. 벽에 부착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에 결합되는 물림판과, 상기 물림판에 결합하는 V 자 형상의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양단과 각각 회전가능하게 일단이 결합되고 서로의 타단이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링크를 포함하는 스냅힌지부;
    상기 제2링크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2링크의 회전에 따라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는 칫솔 걸이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는 유동성이 있는 탄성성질을 가지며, 상기 제1링크의 양단과 상기 제2링크의 일단은 회전 결합 되어, 상기 제2링크 사이의 결합부가 내측으로 이동하면 외부케이스는 폐쇄되고, 상기 제2링크 사이의 결합부가 외측으로 이동하면 외부케이스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걸이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 후측면에는 상기 걸림편이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칫솔 걸이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후, 90도로 절곡되는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의 측면부에는 상기 걸림편의 끝단이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칫솔걸이구.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일단이 상기 제2링크와 결합되며 타단에는 후크가 형성되는 탄성후크편과, 상기 탄성후크편과 이격되어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2링크와 결합되는 지지편으로 이루어지는 칫솔걸이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와 상기 제2링크는 고정핀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걸이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의 외측면부에는 링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역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 후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이 삽입되어 상기 외부케이스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걸이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후측면 중앙부에는, 상기 외부케이스가 폐쇄 상태인 경우 상기 제2링크가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걸이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의 후측면에 형성되어 용이하게 벽과 흡착하도록 하는 흡착판을 더 구비하는 칫솔걸이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의 전측면에는 사다리꼴 형상 단면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물림판의 후측면에는 상기 장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걸이구.
KR1020090040300A 2009-05-08 2009-05-08 칫솔 걸이구 KR100917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300A KR100917311B1 (ko) 2009-05-08 2009-05-08 칫솔 걸이구
PCT/KR2010/002877 WO2010128805A2 (ko) 2009-05-08 2010-05-06 칫솔 걸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300A KR100917311B1 (ko) 2009-05-08 2009-05-08 칫솔 걸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7311B1 true KR100917311B1 (ko) 2009-09-14

Family

ID=41355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300A KR100917311B1 (ko) 2009-05-08 2009-05-08 칫솔 걸이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17311B1 (ko)
WO (1) WO2010128805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0579A1 (ko) * 2013-10-23 2015-04-30 양경수 수납용기
KR20150047080A (ko) * 2013-10-23 2015-05-04 양경수 수납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553B1 (ko) * 2020-11-19 2023-09-13 주식회사 헬로우미스터리 살균 및 건조기능이 구비된 칫솔살균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4544U (ko) 1974-09-27 1976-04-01
KR930007201Y1 (ko) * 1991-09-16 1993-10-13 길용진 쥐 덫
KR200141309Y1 (ko) 1995-08-21 1999-05-15 박성대 분전반 베이스의 철근 고정용 후크
KR100375754B1 (ko) 1999-09-22 2003-03-15 오르카 이노베이션 에스디엔. 비에이취디. 치솔, 나이프, 포크 및 스푼 등의 수납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615Y1 (ko) * 2002-06-05 2002-08-22 주식회사 라온이엔피 전개식 개폐구조를 갖는 칫솔걸이
KR200431400Y1 (ko) * 2006-08-11 2006-11-23 한우동 원터치 칫솔걸이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4544U (ko) 1974-09-27 1976-04-01
KR930007201Y1 (ko) * 1991-09-16 1993-10-13 길용진 쥐 덫
KR200141309Y1 (ko) 1995-08-21 1999-05-15 박성대 분전반 베이스의 철근 고정용 후크
KR100375754B1 (ko) 1999-09-22 2003-03-15 오르카 이노베이션 에스디엔. 비에이취디. 치솔, 나이프, 포크 및 스푼 등의 수납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0579A1 (ko) * 2013-10-23 2015-04-30 양경수 수납용기
KR20150047080A (ko) * 2013-10-23 2015-05-04 양경수 수납용기
KR101589086B1 (ko) * 2013-10-23 2016-01-28 양경수 수납용기
CN105682522A (zh) * 2013-10-23 2016-06-15 杨京修 收纳容器
US10004362B2 (en) 2013-10-23 2018-06-26 Kyung su YANG Storage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28805A2 (ko) 2010-11-11
WO2010128805A3 (ko) 201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00280B (zh) 自清洁发刷
KR100917311B1 (ko) 칫솔 걸이구
RU2644104C2 (ru) Держатель для зубной щетки
KR101589086B1 (ko) 수납용기
KR20110065640A (ko) 세면도구 보관케이스
US11206955B2 (en) Upright standing travel soap dish
CN211942716U (zh) 一种法律文件整理工具
CN211380232U (zh) 一种便于调节的档案架
KR200444097Y1 (ko) 변기 청소구 조립체
KR200286615Y1 (ko) 전개식 개폐구조를 갖는 칫솔걸이
KR200229599Y1 (ko) 칫솔걸이
CN215016574U (zh) 一种储物盒
US10918200B2 (en) Toothbrush with built-in stand
KR20120004358U (ko) 칫솔
US20180070714A1 (en) Rotary head toothbrush
CN211155010U (zh) 一种带筷子架的组合便携筷子
CN217743606U (zh) 洗衣机柜
KR20100004894U (ko) 칫솔 일체형 케이스
CN211674646U (zh) 一种易安卸、易清洗、易吹干的牙套钳及其收纳盒
KR20090002126U (ko) 나이프 홀더
CN213638564U (zh) 一种用于通用微控制器的调试器
KR101281282B1 (ko) 칫솔
KR200466630Y1 (ko) 수건걸이
KR20020083546A (ko) 다용도 치간칫솔
TWM551053U (zh) 牙刷置放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