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806B1 - Bottle - Google Patents

Bott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806B1
KR100916806B1 KR1020080007889A KR20080007889A KR100916806B1 KR 100916806 B1 KR100916806 B1 KR 100916806B1 KR 1020080007889 A KR1020080007889 A KR 1020080007889A KR 20080007889 A KR20080007889 A KR 20080007889A KR 100916806 B1 KR100916806 B1 KR 100916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eight
center line
contents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8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81811A (en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김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철 filed Critical 김상철
Priority to KR1020080007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806B1/en
Publication of KR20090081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8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8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이 주출됨에 따라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또는 기울어진 상태에서 바로 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의를 환기시킴과 동시에 다양한 놀이거리나 재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ttle that can draw attention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 variety of amusements and fun by allowing the contents to be inclined to one side or stand in an inclined state as the contents are ejected.

본 발명에 따른 병은, 상측에는 뚜껑이 결합되고 내용물이 주출되는 주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주출구를 통해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은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의 수용체적이 더 크게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곡면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 중 상기 본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작은 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중량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하부 중 상기 본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큰 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중량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곡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가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안전지지돌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p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is formed, and an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inside the accommodating outlet, and the accommodating space has a container side at one side based on the center line. A larger body, a curved portion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first weight body integrally formed on a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at has a smaller acceptority relative to the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es a second weight body integrally formed on the side of the large acceptor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is formed in the curved portion to support the main body does not fall It is preferable that the safety support projection further comprises.

병, 본체, 수용공간, 주출구, 뚜껑, 곡면부, 제 1 중량부, 제 2 중량부, 안전지지돌기 Bottle, main body, storage space, spout, lid, curved surface, first weight part, second weight part, safety support protrusion

Description

병{BOTTLE}Bottle {BOTTLE}

본 발명은 그 내부에 술이나 음료 등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ttle in which contents such as alcohol or beverage are accommodated therein.

일반적으로 병은 술이나 음료 등의 액체를 담기 위해 사용되는 용기로서, 주로 유리나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병은 비교적 길쭉한 몸체에 주출구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 주출구에 개폐를 위한 마개가 결합되는 형상을 가진다.Generally, a bottle is a container used to contain a liquid such as alcohol or beverage, and is mainly made of glass or synthetic resin. The bottle has a shape in which a spout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in a relatively elongated body, and a cap for opening and closing is coupled to the spout.

종래의 병은 전체적으로 수직방향으로 길쭉한 형상을 가지는 바, 안정성을 위해 그 바닥면은 대부분 편평하게 형성됨에 따라 그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주출구를 통해 외부로 주출되더라도 병은 최초에 놓여진 형상은 그대로 유지될 수 밖에 없다.Conventional bottles have an elongated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 whole, and the bottom surface is mostly flat for stability, so that the bottle is initially kept in shape even if the contents contained therein are ej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out. It must be.

보통 술이나 음료를 마시면서 주변 사람들과 어울리는 자리에서는 다양한 놀이나 재미를 선호하게 되는데, 종래의 병의 경우에는 이를 이용한 놀이거리나 재미를 찾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Ordinary drink or drink while hanging out with people around you will prefer a variety of play or fun,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bottle was difficult to find the amusement or fun using i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용물이 주출됨에 따라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또는 기울어진 상태에서 바로 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의를 환기시킴과 동시에 다양한 놀이거리나 재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병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ttle that can draw attention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 variety of amusements and fun by allowing the contents to be inclined to one side or stand in an inclined state.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측에는 뚜껑이 결합되는 주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주출구를 통해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은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의 수용체적이 더 크게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곡면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 중 상기 본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작은 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중량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병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upper side is formed with a spout is coupled to the spout is form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contents through the spout and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with a larger acceptor side of the one side relative to the center line Providing a bottle including a main body, a curved portion integrally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first weight body integrally formed on a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with a small acceptor side relative to the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Is achieved by.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중량체는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내에 내용물이 충전된 상태에서 직립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중량을 가진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weight has a weight such that the upright state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where the contents are fill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main body.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하부 중 상기 본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큰 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중량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 more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comprise a second weight body formed integrally on the larger side of the acceptor relative to the centerline of the body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2 중량체는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내에 내용물이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가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큰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중량을 가진다.According to a more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second weight has a weight such that the main body is inclined toward the larger side of the acceptor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in the state that the contents are fill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main body.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곡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가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안전지지돌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ven more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made further comprising a safety support protrusion formed on the curved portion to support the main body does not fall.

본 발명에 따른 병에 의하면,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구면부와, 본체의 상측 외주연에 형성되는 제 1 중량체와본체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중량체의 조합에 의해 내용물이 주출됨에 따라 본체가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또는 기울어진 상태에서 본체가 바로 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람들의 주의를 환기시킴과 동시에 다양한 놀이거리나 재미를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s are ejected by a combination of a spherical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 first weight form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and a first weight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As the main body is inclined to one side or inclined state, the main body can stand upright, thereby attracting people's attention and providing various amusements or fun.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tended to describe in detail enough to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is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병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병의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병의 작동도가 도시되고, 도 4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병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병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도가 도시된다.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bott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 2 shows a sectional view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 3 shows an operation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FIG. 4 according to the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bottle is shown and FIG. 5 shows an ope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병(1)은 내용물(3)이 주출됨에 따라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또는 기울어진 상태에서 바로 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의를 환기시킴과 동시에 다양한 놀이거리나 재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측에는 뚜껑(13)이 결합되는 주출구(1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주출구(11)를 통해 내용물(3)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5)이 형성되며 수용공간(15)은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의 수용체적이 더 크게 형성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바닥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곡면부(20)와, 본체(10)의 상부 중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작은 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중량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Bott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inclined to one side or straight in the inclined state as the contents (3) is ejected to draw attention and to provide a variety of amusements and fun at the same time 1 to 3, the upper side is formed with a spout 11 is coupled to the cap 13 and the receiving space 15 is accommodated in the contents 3 through the spout 11 therein The receiving space 15 is formed with a main body 10 having a larger acceptor volume on one side of the center line, a curved portion 20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main body 10. It comprises a first weight 30 is formed integrally on the side of the acceptor small relative to the center line of the body 10 of the upper portion of the.

여기서, 본체(10)는 본 발명에 따른 병(1)의 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측에는 뚜껑(13)이 결합되는 주출구(1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주출구(11)를 통해 내용물(3)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5)이 형성되도록 유리 또는 합성수지로 제조된다.Here, the main body 10 is to form a body of the bott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ide is formed with a spout 11 is coupled to the cap 13 and the contents (through the spout 11) inside ( 3) is made of glass or synthetic resin so that the receiving space 15 is formed.

주출구(11)는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3)을 컵 등과 같은 용기 내로 주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그 내부로 내용물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체(10)의 상부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뚜껑(13)은 주출구(11)를 개폐하는 것으로, 주출구(11)에 나사결합된다.The spout 11 allows the contents 3 contained therein to be ejected into a container such as a cup and to fill the contents therein, and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The lid 13 opens and closes the spout 11 and is screwed to the spout 11.

본체(10)의 내부에는 주출구(11)와 연통되는 수용공간(15)이 형성되는데, 이 수용공간(15)은 주출구(11)를 통해 충전되는 내용물(3)이 수용되는 공간으로서, 내 용물(3)의 주출에 따라 본체(1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공간(15)이 비대칭적으로, 다시 말해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의 수용체적이 타측의 수용체적 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An accommodation space 15 is formed in the main body 10 to communicate with the spout 11, which is a space in which the contents 3 filled through the spout 11 are accommodated. The receiving space 15 is a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main body 10 can be rotated as the contents 3 are ejected. The acceptor group of is formed larger than the acceptor group on the other side.

수용공간(15)이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되어야 내용물(3)의 주출시 양측에서 경감되는 내용물(3)의 체적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체적 차이는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내용물(3)의 주출에 따라 경감되는 중량의 차이를 야기시켜 본체(10)가 일측으로 회동되도록 한다.When the receiving space 15 is formed a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10, the volume difference of the contents 3 reduced on both sides occurs when the contents 3 are ejected, and the volume difference is the main body 10. The main body 10 rotates to one side by causing a difference in weight which is reduced according to the ejection of the contents 3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center.

도면 상에는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된 수용공간(15)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것으로, 수용공간(15)의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여러 비대칭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receiving space 15 is formed a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10 is shown in the figure, the shape of the receiving space 15 is not limited to this may be formed in various other asymmetrical shapes.

전술한 본체(10)의 바닥면에는 곡면부(20)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 곡면부(20)는 내용물(3)의 주출에 따라 발생되는 양측 체적감소의 차이로 인해 본체(10)가 중심선을 기준으로 적은 수용체적을 가지는 측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일정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된다.The curved surface 2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 described above, and the curved surface portion 20 is form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ume reductions at both sides caused by the ejection of the contents 3. It is induced to be rotated to the side having a small acceptor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it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having a certain curvature.

전술한 본체(10)의 상부에는 제 1 중량체(30)가 형성되는데, 이 제 1 중량체(30)는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작은 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용공간(15) 내에 내용물(3)이 충전된 경우에는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의 차이에 따른 측의 중량을 증가시켜 본체(10)로 하여금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내용물(3)의 주출에 의해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중량이 감소되는 정도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에 본체(10)가 본체(10)의 중심선을 기 준으로 수용체적이 작은 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중량은 본체(10)의 수용공간(15) 내에 내용물(3)이 충전된 상태에서 본체(10)의 직립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의 전체 중량의 차이에 해당하는 중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weight 3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 the first weight 3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side of the small acceptor relative to the center line of the body 10, the receiving space When the contents 3 are filled in the 15, the weight of the sid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receptor volume is increased based on the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main body 10 can maintain the upright state. When the difference occurs that the weight is reduc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10 due to the injection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main body 10 can be inclined toward the small side based on the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10. The weight is based on the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upright state of the main body 10 can be maintained while the contents 3 are filled in the receiving space 15 of the main body 10. It is desirable to have the weight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total weight of both sides It is right.

제 1 중량체(30)는 본체(10)의 제조시 금속재를 본체(10) 상에 삽입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0)가 유리로 제조될 경우 제 1 중량체(30)는 해당부분을 본체(10)와 동일한 재질로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weight body 30 is preferably formed by inserting a metal material on the body 10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body 10. In addition, when the main body 10 is made of glass, the first weight 30 may be formed by making the corresponding portion thicker than other portions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in body 10.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병(1)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 2 중량체(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제 2 중량체(40)는 본체(10)의 하부 중 본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큰 측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본체(10)의 수용공간(15) 내에 내용물(3)이 충전된 상태에서 본체(10)로 하여금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큰 측에 중량을 증가시켜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큰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제 1 중량체(30)와 마찬가지로 본체(10)의 제조시 금속재를 본체(10) 상에 삽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본체(10)가 유리로 제조될 경우 해당부분을 본체(10)와 동일한 재질로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ott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weight 40 formed under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S. 4 and 5. As the sieve 4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larger side of the acceptor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of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 the main body (with the contents 3 filled in the receiving space 15 of the main body 10) 10) to increase the weight on the larger side of the acceptor with respect to the centerline to incline to the larger side of the acceptor based on the centerline of the body 10, as in the first weight 30 to manufacture the body 10 It can be formed by inserting the metal material on the body 10,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when the body 10 is made of glass can be formed by thickening the corresponding portion with the same material as the body 10 than other parts. have.

제 2 중량체(40)는 본체(10)의 수용공간(15) 내에 내용물(3)이 충전된 상태에서 본체(10)가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큰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내용물(3)의 주출에 따라 양측에 감소되는 중량의 차이로 인해 본체(10)가 직립상 태로 회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weight body 40 is inclined toward the side with a larger acceptivity relative to the center line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tent 3 is fi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5 of the body 10, thereby reducing the content of the content 3.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weight to be reduced on both sides with the injection, the main body 10 serves to rotate in an upright state.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병(1)은 또한 전술한 곡면부(20)에 형성되는 안전지지돌기(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안전지지돌기(50)는 곡면부(20)의 일지점 외에 또 다른 지지점을 형성함에 따라 본체(10)의 회동시 본체(10)가 일측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체(10)의 제조시 본체(10)와 동일한 재질로 바닥면인 곡면부(2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The bott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safety support protrusion 50 formed on the above-described curved portion 20, which is a safety support protrusion 50 of the curved portion 20. By forming another support point in addition to one point serves to support the main body 10 does not fall to one side during the rotation of the main body 10, the bottom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in body 10 during the manufacturing of the main body 10 It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urved surface portion 20 that is a surface.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제 1 중량체(30)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병(1)의 작동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bottle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 the first weight 30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내용물(3)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5)의 수용체적이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내용물(3)이 수용공간(15) 내에 충전될 경우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중량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경우에는 제 1 중량체(30)가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작은 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양측의 중량차를 제거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10)는 직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s the recepto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5 in which the contents 3 are accommodated is formed a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line of the body 10, when the contents 3 are fi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5, The difference in weight is generat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lin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weight 3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side of the acceptor with a small acceptor weight based on the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10 to remove the weight difference on both sides. As shown in FIG. 2, the main body 10 maintains an upright state.

이 상태에서 내용물(3)을 음용을 위해 주출하게 되면,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큰 측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음료가 주출되고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작은 측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음료가 주출됨에 따라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작은 측, 다시 말해서 제 1 중량체(30)가 설치된 측의 중량이 더 커짐에 따라, 본체(10)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 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작은 측으로 기울어지면서 다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내용물이 또 주출되면 전술한 작동을 반복하면서 본체(10)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작은 측으로 점점 기울어지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content 3 is dispensed for drinking,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beverage is dispensed from the side with a large acceptority based on the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10 and relatively from the side with a small acceptability based on the centerline of the main body 10. As less beverage is dispensed, as the weight of the acceptor is smaller relative to the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10, that is, the side on which the first weight 30 is installed, the main body 10 is shown in FIG. 3. As described above, the receptor is inclined toward the small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and the horizontal state is maintained again. When the contents are dispensed again, the body 10 is gradually inclined toward the smalle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while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이로한 본체(10)의 회동(기울어짐)은 본체(10)의 바닥면에 형성된 곡면부(20)로 인해 가능해지며, 다량의 내용물(3)이 주출됨에 따라 본체(10)가 과도하게 회동될 경우에는 안전지지돌기(50)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본체(10)가 넘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is rotation of the main body 10 is possible due to the curved portion 2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e main body 10 is excessively rotated as a large amount of the content (3) is dispensed In this case, the main body 10 may be prevented from falling as supported by the safety support protrusion 50.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 1 중량체(30) 및 제 2 중량체(40)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병(1)의 작동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bottle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 the first weight 30 and the second weight 40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내용물(3)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5)의 수용체적이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내용물(3)이 수용공간(15) 내에 충전될 경우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중량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경우에는 제 1 중량체(30)에 의해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의 중량차가 제거되기는 하지만, 제 2 중량체(40)로 인해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큰 측에 중량이 부가됨에 따라,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10)는 그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큰 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s the recepto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5 in which the contents 3 are accommodated is formed a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line of the body 10, when the contents 3 are fi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5, The difference in weight occurs on both sides based on the center lin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difference on both sides is removed by the first weight 30 based on the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10, but the second weight 40 As the weight is added to the larger side of the acceptor with respect to the centerline of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ure 4, the main body 10 maintains the inclined state toward the larger side of the acceptor relative to the centerline .

이 상태에서 내용물(3)을 음용을 위해 주출하게 되면,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큰 측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음료가 주출되고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작은 측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음료가 주출됨에 따라 본체(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큰 측의 중량감소가 더 커짐에 따라, 본체(10)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작은 측으로 회동되면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내용물이 또 주출되면 전술한 작동을 반복하면서 본체(10)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작은 측으로 점점 회동되어 직립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content 3 is dispensed for drinking,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beverage is dispensed from the side with a large acceptority based on the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10 and relatively from the side with a small acceptability based on the centerline of the main body 10. As less drink is dispensed, as the weight decrease of the larger acceptor side is greater based on the centerline of the main body 10, the main body 10 is rotated to the smaller acceptor side based on the centerline, thereby maintaining a horizontal state. When the contents are dispensed again, the main body 10 is rotated to the side with the smaller acceptority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while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병의 작동도.3 is an operation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병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4 is a 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병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도.5 is an ope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본 발명에 따른 병1: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 내용물3: contents

10 : 본체10: main body

11 : 주출구11: outlet

13 : 뚜껑13: lid

15 : 수용공간15: accommodation space

20 : 곡면부20: curved portion

30 : 제 1 중량체30: first weight

40 : 제 2 중량체40: second weight

50 : 안전지지돌기50: safety support protrusion

Claims (5)

상측에는 뚜껑이 결합되는 주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주출구를 통해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은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의 수용체적이 더 크게 형성되는 본체;A main outlet is formed in the upper side is coupled to the cap and the inside is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contents through the outlet and the receiving space is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larger receptor on the one side relative to the center line;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곡면부; 및A curved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상기 본체의 상부 중 상기 본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작은 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중량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병.And a first weight body formed integrally with a small acceptor side based on a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among the upper parts of the main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 1 중량체는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내에 내용물이 충전된 상태에서 직립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중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The first weight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le has a weight to maintain the upright state in the state filled with the contents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main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본체의 하부 중 상기 본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큰 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중량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The bottle further comprises a second weight body formed integrally on the larger side of the acceptor relative to the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제 2 중량체는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내에 내용물이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가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용체적이 큰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중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The second weight body is a bottle,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in such a way that the main body is inclined toward the larger side of the acceptor relative to the center line in the state filled with the contents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main body.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곡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가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안전지지돌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And a safety support protrusion formed on the curved portion to support the main body so as not to fall.
KR1020080007889A 2008-01-25 2008-01-25 Bottle KR1009168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889A KR100916806B1 (en) 2008-01-25 2008-01-25 Bott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889A KR100916806B1 (en) 2008-01-25 2008-01-25 Bott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811A KR20090081811A (en) 2009-07-29
KR100916806B1 true KR100916806B1 (en) 2009-09-14

Family

ID=41293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889A KR100916806B1 (en) 2008-01-25 2008-01-25 Bott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80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6457U (en) 1974-02-08 1975-09-01
KR940020229U (en) * 1993-02-02 1994-09-15 이영희 A bottle of milk
KR19980024790U (en) * 1998-03-28 1998-07-25 양현중 Powdered milk bottle
JP2000079976A (en) 1998-07-10 2000-03-21 Kansai Polymer Kenkyusho:Kk Instantaneous adhesive container and instantaneous adhesive container k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6457U (en) 1974-02-08 1975-09-01
KR940020229U (en) * 1993-02-02 1994-09-15 이영희 A bottle of milk
KR19980024790U (en) * 1998-03-28 1998-07-25 양현중 Powdered milk bottle
JP2000079976A (en) 1998-07-10 2000-03-21 Kansai Polymer Kenkyusho:Kk Instantaneous adhesive container and instantaneous adhesive container k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811A (en) 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22841C2 (en) Beverage system (versions)
US7523840B2 (en) Plural chamber drinking cup
AU2018200805A1 (en) Combined wine glass and wine bottle package
JP2013533174A (en) Liquid container
JP5118478B2 (en) Plastic bottle
KR100916806B1 (en) Bottle
US20040256401A1 (en) Beverage container attachment
EP0833788B1 (en) Container for pressurized liquids with foam generating device
CN105793161A (en) Vacuum-resistant containers having offset horizontal ribs and panels
KR200461749Y1 (en) vessel for decreasing expose to the air
AU2017200845B2 (en) Control of bubble size in a carbonated liquid
KR200475233Y1 (en) Liquid receptacle
KR200452449Y1 (en) Beverage container for air bubble generation
KR101136131B1 (en) PET bottle
JP4264848B1 (en) Carbonated beverage bottle container
RU24674U1 (en) BOTTLE
KR20240028860A (en) Makgeolli container
RU69496U1 (en) BOTTLED BOTTLE BOTTLE
JP4746145B1 (en) Liquid container that does not drip
KR20100001540U (en) gas recharge PET bott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