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722B1 - 홍합본드를 이용한 인공치아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홍합본드를 이용한 인공치아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722B1
KR100916722B1 KR1020070103293A KR20070103293A KR100916722B1 KR 100916722 B1 KR100916722 B1 KR 100916722B1 KR 1020070103293 A KR1020070103293 A KR 1020070103293A KR 20070103293 A KR20070103293 A KR 20070103293A KR 100916722 B1 KR100916722 B1 KR 100916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tooth
mussel
crown
bone cement
w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7775A (ko
Inventor
민병호
Original Assignee
민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호 filed Critical 민병호
Priority to KR1020070103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722B1/ko
Publication of KR20090037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4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4/06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polymer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005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4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4/12Ionomer cements, e.g. glass-ionomer 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002/2835Bone graft implants for filling a bony defect or an endoprosthesis cavity, e.g. by synthetic material or biological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nt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ard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합본드를 이용한 인공치아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치한 후에 생체접합성이 우수한 홍합본드를 도포하고, 홍합본드가 혼합된 본시멘트를 이용하여 심지가 형성된 인공치근을 형성한 후, 상기 심지에 크라운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한 인공치아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치하여 생긴 공간부에 홍합본드를 바르는 접착제도포단계와; 상기 도포된 홍합본드 위에 겔상태의 골시멘트조성물을 쌓으면서 상단이 돌출된 심지가 삽입되도록 형성하는 인공치근생성단계와; 상기 인공치근이 형성된 후에 본을 떠서 크라운을 형성하고, 상기 크라운을 심지에 일반 치과용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완성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인공치아 형성방법에 의하면 인공치근을 삽입하기 위해서 하악골이나 상악골에 구멍을 내지 않고, 인공치아를 형성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아서 환자의 고통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주변의 치아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효과가 발생한다.
본시멘트, 틀니, 인공치아, 인공치근, 홍합본드.

Description

홍합본드를 이용한 인공치아 형성방법{ARTIFICIAL TOOTH OPERATING METHOD USING MUSSEL BOND }
본 발명은 홍합본드를 이용한 인공치아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치한 후에 생체접합성이 우수한 홍합본드를 하악골 또는 상악골에 도포하고, 홍합본드가 혼합된 본시멘트나 콤파지트 레진을 이용하여 심지가 형성된 인공치근을 형성한 후, 상기 심지에 크라운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한 인공치아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인공치아를 시술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러한 추세에 맞춰서 인공치아, 인공치근 및 이러한 시술방법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공치아는 하악골 또는 상악골 속에 삽입되는 인공치근과, 상기 인공치근 내에 마련된 소정 형상의 고정용 홈내에 삽입되는 상부구조물과; 상기 상부구조물의 상단에 형성되는 크라운으로 형성된다.
또한, 최근에는 접착제로 사용될 수 있고, 생체접합성이 매우 뛰어난 홍합본드가 발견되고, 이러한 홍합본드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길을 열었는데, 상기 홍합 본드는 최근 "사이언스" 나 "네이처"지에 잇달아 소개된 생체모방공학 분야 과학자들이 홍합의 유전자를 대장균 DNA에 삽입해 대량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홍합본드는 홍합의 접착패드에 있는‘다이하이드록시 페닐알라닌(DOPA)가 접착력의 근원으로 밝혀져 있고, 상기 DOPA는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하나인 ‘티로신’이 변형된 물질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홍합본드를 이용한 발명을 함에 있어서, 이미 '홍합본드를 이용한 인모부착방법'을 대한민국특허청에 출원번호 제10-2006-0102353호로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습니다.
이러한 종래의 인공치아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공개번호 특1999-001004호로 공개되는 등 많은 기술이 존재하고 있다.
종래의 인공치아를 형성하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인공치근을 삽입하기 위해서 하악골이나 상악골에 구멍을 내고 인공치근을 삽입해야한다.
(2) 인공치아를 형성하는 시간이 매우 길어서 환자의 고통이 크다.
(3) 주변의 치아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치하여 생긴 공간부에 홍합본드를 바르는 접착제도포단계와; 상기 도포된 홍합본드 위에 겔상태의 골시멘트조성물을 쌓으면서 상단이 돌출된 심지가 삽입되도록 형성하는 인공치근생성단계와; 상기 인공치근이 형성된 후에 본을 떠서 크라운을 형성하고, 상기 크라운을 심지에 일반 치과용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완성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인공치아 형성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인공치근을 삽입하기 위해서 하악골이나 상악골에 구멍을 내지 않는다.
(2) 인공치아를 형성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아 환자의 고통이 줄어든다.
(3) 주변의 치아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본 발명은 발치하여 생긴 공간부에 홍합본드를 바르는 접착제도포단계(100)와;
상기 도포된 홍합본드 위에 겔상태의 골시멘트조성물을 쌓으면서 상단이 돌출되는 심지(25)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인공치근생성단계(200)와;
상기 인공치근(20)이 형성된 후에 본을 떠서 크라운(10)을 형성하고, 상기 크라운(10)을 심지(25)에 일반 치과용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완성단계(300)로 구성된다.
상기 접착제도포단계(100)의 홍합본드(30)는 자연산 홍합에서 채취되는 자연산 홍합본드를 대장균에 이식하여 대량생산한 것으로, 생체접합성이 우수하여 생체 즉 피부, 뼈 등과 매우 잘 부착되는 물질이다.
상기 홍합본드(30)는 반드시 하악골(40) 또는 상악골(40)에 직접 도포될 수 있도록 부근의 잇몸을 제거한 후에 도포한다.
상기 인공치근생성단계(200)의 겔상태의 골시멘트조성물은 현재 사용되는 생체용 시멘트 중 치과용이 아닌 외과용 시멘트를 사용하는데, 상기 외과용 시멘트는 PMMA(polymethylemethacrylate)본시멘트, 생체활성 세라믹스 분말 Bis-GMA계 본시멘트, CaO-SiO2-P2O5계 유리 생체활성 본시멘트, 베타TCP계 본시멘트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PMMA본시멘트를 이용하되, PMMA본시멘트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액상 단위체(monomer)의 1상과 분말 중합체(polymer)의 2상을 혼합하여 형성할 때 전체 혼합물의 중량에 0.1~0.3 중량%에 해당하는 양의 홍합본드를 함께 혼합하 여 겔상태로 형성한다.
상기 골시멘트조성물을 겔상태로 형성할 때에는 온도를 60℃~80℃로 가열하면서 형성한다.
상기 골시멘트조성물은 치과용 콤파지트 레진(composite resin)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공치근생성단계(200)에서 골시멘트조성물을 이용하여 인공치근(20)을 생성할 때 상단이 돌출된 심지(25)가 삽입된다.
상기 심지(25)는 인체에 무해한 티타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고, 원형의 몸체의 외주연에 나사가 형성되어 골시멘트조성물과의 접착력을 높이고, 상단에 돌출된 심지(25)에는 크라운(10)의 하단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골시멘트조성물로 인공치근(20)을 생성할 때에는 홍합본드(30)가 도포되지 않은 부분에는 이형물질을 도포하여 골시멘트조성물의 일부가 잘못 형성되더라도 쉽게 잘못된 부분이 이탈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 인공치근생성단계(200) 후에는 인공치근(20)이 굳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보호틀니를 착용하도록 한다.
상기 인공치근생성단계(200) 후 3일 내지 10일 정도 경과한 후에는 인공치근(20)이 완전하게 굳고 홍합본드로 인해서 인공치근(20)이 하악골(40) 또는 상악골(40)에 완전하게 고정된 것을 확인하고, 본을 뜨고 크라운(10)을 제조한다.
상기 크라운(10)은 인공치근(20)의 심지(25)에 결합되는데, 일반 치과용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홍합본드를 이용한 인공치아 형성방법의 시술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홍합본드를 이용한 인공치아 형성방법으로 시술된 인공치아의 형성 단면도.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발치하여 생긴 공간부에 홍합본드를 바르는 접착제도포단계(100)와; 상기 도포된 홍합본드 위에 겔상태의 골시멘트조성물을 쌓으면서 상단이 돌출된 심지(25)가 형성되도록 하는 인공치근생성단계(200)와; 상기 인공치근(20)이 형성된 후에 본을 떠서 크라운(10)을 형성하고, 상기 크라운(10)을 심지(25)에 일반 치과용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완성단계(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합본드를 이용한 인공치아를 형성하는 방법에 사용되되,
    상기 인공치근생성단계에서 사용되는 골시멘트조성물은 PMMA본시멘트를 이용하되, PMMA본시멘트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액상 단위체(monomer)의 1상과 분말 중합체(polymer)의 2상을 혼합하여 형성할 때 전체 혼합물의 중량에 0.1~0.3 중량%에 해당하는 양의 홍합본드를 함께 혼합하여 겔상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시멘트조성물.
KR1020070103293A 2007-10-13 2007-10-13 홍합본드를 이용한 인공치아 형성방법 KR100916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293A KR100916722B1 (ko) 2007-10-13 2007-10-13 홍합본드를 이용한 인공치아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293A KR100916722B1 (ko) 2007-10-13 2007-10-13 홍합본드를 이용한 인공치아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775A KR20090037775A (ko) 2009-04-16
KR100916722B1 true KR100916722B1 (ko) 2009-09-14

Family

ID=40762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293A KR100916722B1 (ko) 2007-10-13 2007-10-13 홍합본드를 이용한 인공치아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7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4187B1 (en) * 1999-02-23 2001-09-25 Osteotech, Inc. Load-bearing osteoimplant, method for its manufacture and method of repairing bone using same
JP2002136589A (ja) 2000-10-30 2002-05-14 Nakashima Propeller Co Ltd 医療用インプラント材
KR20060134111A (ko) 2004-03-26 2006-12-27 주식회사 포스코 홍합 바이오접착제
KR100678616B1 (ko) * 2005-11-21 2007-02-07 주은만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4187B1 (en) * 1999-02-23 2001-09-25 Osteotech, Inc. Load-bearing osteoimplant, method for its manufacture and method of repairing bone using same
JP2002136589A (ja) 2000-10-30 2002-05-14 Nakashima Propeller Co Ltd 医療用インプラント材
KR20060134111A (ko) 2004-03-26 2006-12-27 주식회사 포스코 홍합 바이오접착제
KR100678616B1 (ko) * 2005-11-21 2007-02-07 주은만 임플란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775A (ko) 200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andhi et al. Shear bond strength of stainless steel orthodontic brackets with a moisture-insensitive primer
SK13302000A3 (sk) Predimpregnovaný laminát
Anchieta et al. Bonding all-ceramic restorations with two resins cement techniques: a clinical report of three-year follow-up
Bergamo et al. Retention of zirconia crowns to Ti-base abutments: effect of luting protocol, abutment treatment and autoclave sterilization.
Goel et al. Restoring Esthetics after Anterior Tooth Loss for a Five‐Year‐Old Child: Natural Tooth Pontic Fiber Reinforced Prosthesis
US9554936B2 (en) Singer-Domanski resin MMF/reimplantation device
Blatz et al. Cementation and bonding of zirconia restorations
KR100916722B1 (ko) 홍합본드를 이용한 인공치아 형성방법
US20040044164A1 (en) Adhesive silicon filling and fixing materials
US10070944B2 (en) Singer-domanski resin MMF/reimplantation device
Helvey Creating super dentin: using flowable composites as luting agents to help prevent secondary caries
Gaikwad Reinforcing esthetic with fiber post
Lee Advances in Biomedical Adhesives and Sealants
Croll et al. Simplified adhesion of compomers in pediatric dentistry.
Yadav et al. Basis of orthodontics-bonding–a review
Purushothaman et al. Bond with the best
Džaferović et al. Soft lining of immediate complete dentures: Case report
Meeran An efficient technique of bonding orthodontic attachments to surgically exposed impacted teeth
Dimaczek et al. Long-term provisional rehabilitation of function and esthetics using an extracted tooth with the immediate bonding technique.
Ayesha et al. An In Vitro Comparison and Analysis of Different Restorative Materials and Techniques Used for Fragment Reattachment of Fractured Anterior Teeth
Holt Osseointegrated implants in oro-dental and facial prosthetic rehabilitation
Gerdolle et al. The multi-luting concept: a new approach to facilitate the adhesive luting of multiple indirect restorations
Shannon Clinical guidelines for indirect resin restorations
Abdul-Hussian et al. Hind Nihad Jihad3 1Department of Prosthetic Dentistry, Al Baladyat Specialized Dental Center, Baghdad, Iraq. 2Department of Prosthetic Dentistry, BabAlmoadum Specialized Dental Center, Baghdad, Iraq. 3Department of periodontology, Rusafa health department, Baghdad, Iraq.
EYERER et al. Cement-Clinical Practice, Producer's Advice,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