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617B1 - 전후 방향으로 의약품 보관이 가능한 의약품 보관 장치 - Google Patents

전후 방향으로 의약품 보관이 가능한 의약품 보관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617B1
KR100914617B1 KR1020090025564A KR20090025564A KR100914617B1 KR 100914617 B1 KR100914617 B1 KR 100914617B1 KR 1020090025564 A KR1020090025564 A KR 1020090025564A KR 20090025564 A KR20090025564 A KR 20090025564A KR 100914617 B1 KR100914617 B1 KR 100914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storage device
drug
shelf
drug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용찬
Original Assignee
(주)앤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앤엠코리아 filed Critical (주)앤엠코리아
Priority to KR1020090025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6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2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03Drawer slides being extractable on two or more sides of the cabin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6Glid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B60B33/0015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characterised by adaptations made to cast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s, e.g. cabinet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후 방향으로 의약품 보관이 가능한 의약품 보관 장치는, 전면부와 후면부 동시에 형성이 된 것으로서, 의약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서랍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의약품 수납부; 서랍 형태로 횡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선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반의 표면에는, 실린더 형태의 의약품을 임시 안착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 형성된 복수 개의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후 방향으로 의약품 보관이 가능한 의약품 보관 장치에 의하면, 전면부와 후면부 양 측에 복수 개의 서랍식 의약품 수납부를 형성하여 의약품을 보관할 수 있는 용도 확장을 추구하였고, 의약품 보관장치가 치료실 벽체의 일부로서 구성이 될 경우 2개의 치료실에서 하나의 의약품 보관장치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의약품 보관대의 구입비용 및 치료실 신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전후 방향으로 의약품 보관이 가능한 의약품 보관 장치{DEVICE FOR STORING MEDICAL SUPPLIES IN FRONT AND REAR SIDE}
본 발명은 전후 방향으로 의약품 보관이 가능한 의약품 보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책장 형태의 입체 형상을 가진 의약품 보관대에서 전면 및 후면 양 방향으로 의약품을 보관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수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선반을 마련하여 의약품 믹싱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저면에 캐스터가 형성되어 이동의 편리함을 가져줄 수 있는 의약품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약품 보관대라 함은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진 의약품을 용도 별로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의약품 보관대는 전통적으로 특허 제 463795호, 국내 특허출원 제 10-2000-0067453호와 같이 직육면체 형태의 책장 형식으로 이루어진 것에서부터 국내 특허출원 제 10-2006-0044930호와 같이 얇은 패널/파일 형태로 이루어져 벽에 걸 수 있는 것까지 다양한 형상으로 출시되었다.
특히 책장 형태로 이루어진 공지의 의약품 보관대는 벽에 밀착하여 의약품 보관대의 정면 부위에 복수 개의 서랍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서랍을 여닫는 방식에 의하여 의약품을 보관하거나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런데 전면부에서만 서랍이 설치된 형태를 가진 의약품 보관대는 차지하는 공간에 비하여 의약품을 보관할 수 있는 효율성에 한계가 따른다는 단점이 지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의약품 보관대가 치료의 신속성 및 편의성을 위하여 시술실 내지 치료실에 구비되어 있을 경우에, 만일 치료실이 복수 개의 방으로 이루어진 경우라면 이러한 전면부에만 서랍이 형성된 의약품 보관대 역시 치료실의 숫자에 상응하게 배치를 해야 하므로 의약품 보관대의 구입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따랐다.
또한 일반 병원에서 치료실의 경계를 짓는 벽이 콘크리트 형태의 벽체일 수도 있으나 파티션 내지 간이 벽으로 이루어진 경우도 많은데, 치료실을 만들기 위하여 치료실의 경계 부위에 별도의 벽체를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건축비용 역시 증가한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더불어, 공지의 의약품 보관대는 단순히 소형 형태의 의약품만을 보관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링거 병이나 기타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진 의약품을 보관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치료실을 설계할 경우에서 치료실의 경계를 설정함과 동시에 전면부는 물론 후면부에도 의약품을 보관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수납부를 설계하여 2개의 치료실에서 하나의 의약품 보관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양한 수납공간을 마련하여 여러 종류와 형태를 가진 의약품 및 휴지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하고 진보된 의약품 보관 장치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면부와 후면부의 중간 지점에 벽체를 설정하고 이 벽체를 기준으로 전면부와 후면부에 의약품을 수납할 수 있는 서랍식 의약품 수납부를 동시에 형성하도록 하여, 의약품 보관대의 양 방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의약품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면부와 후면부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크기의 서랍 내지 개폐 도어를 구비하여 사용상의 특성을 자유로운 설계에 의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선반을 마련함과 동시에 선반에 앰플 형태의 의약품 믹싱 작업을 할 때 임시적으로 앰플 형태의 의약품을 고정할 수 있는 리세스를 선반 표면에 복수 개로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저면부위에 캐스터를 형성하여 이동의 편리함을 추구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개폐 도어 내측의 스페이스에 다양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대를 선반 내지 철망 형태로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의약품 수납부를 개폐 처리할 수 있는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후 방향으로 의약품 보관이 가능한 의약품 보관 장치는, 전면부와 후면부 동시에 형성이 된 것으로서, 의약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서랍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의약품 수납부; 서랍 형태로 횡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선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반의 표면에는, 실린더 형태의 의약품을 임시 안착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 형성된 복수 개의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 중 어느 한 부위에는, 내부에 형성된 스페이스를 개폐 처리하는 개폐 도어;가 구비되되, 상기 개폐 도어 내의 스페이스에는, 링거를 수용할 수 있는 링거 보관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의약품 수납부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가 상기 의약품 수납부의 정면 부위에 형성되되, 상기 커버는 자바라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의약품 수납부의 상측 내에 형성된 롤링부에 의하여 감김 처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후 방향으로 의약품 보관이 가능한 의약품 보관 장치에 의하면,
1) 전면부와 후면부 양 측에 복수 개의 서랍식 의약품 수납부를 형성하여 의약품을 보관할 수 있는 용도 확장을 추구하였고,
2) 의약품 보관장치가 치료실 벽체의 일부로서 구성이 될 경우 2개의 치료실에서 하나의 의약품 보관장치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의약품 보관대의 구입비용 및 치료실 신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3) 전면부 내지 후면부에 개폐 도어 또는 서랍을 형성하여 각 면 부위의 특수성을 추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설계 변경 형태를 이룰 수 있음과 동시에,
4) 개폐 도어 내측에 형성된 스페이스에 휴지통 보관대, 링거 보관대와 같이 다양한 물품을 보관,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 용도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5) 이동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의약품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의 전면부를 중심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의 후면부를 중심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보관장치의 전면부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보관장치의 후면부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보관장치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 발명에 따른 장치 70: 서랍
20: 전면부 71: 선반식 보관대
25: 후면부 72: 휴지통 보관대
30: 의약품 수납부 80: 안내문 부착부
40: 선반 90: 바(bar)
45: 리세스 100: 고리
50: 개폐 도어 150: 커버
51: 힌지 151: 고정 홈
60: 스페이스 152: 고정 돌부
61: 링거 보관대 155: 롤링부
200: 캐스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의 전면부를 중심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의 후면부를 중심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10)는 공지의 의약품 보관대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서랍을 구비한 직육면체의 입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공지의 의약품 보관대와 가장 차별되는 특성으로 전면부(20) 및 후면부(25) 양 방향에 의약품을 보관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서랍 형식의 의약품 수납부(30)를 구비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10)는 중앙 부위에 횡 방향으로 연장된 경계벽(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경계벽을 기준으로 그 전면 부위를 전면부(20), 그 후면 부위를 후면부(25)로 구분되고, 이러한 전면부(20)와 후면부(25) 양 측에 비치된 여러 공간을 통하여 다양한 크기를 가진 의약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이러한 의약품 보관장치(10)는 복수 개의 치료실이 구비된 치료 공간에서 치료실 간의 벽체 내지 파티션의 일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여 치료실에서 치료를 받는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2개의 치료실에서 하나의 의약품 보관 장치를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어 의약품 보관대의 설치 및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더불어, 이동의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보관장치의 저면 부위에는 캐스터(caster)(200)가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보관장치(10)의 전면부(20)와 후면부(25)에는 의약품 수납부(30), 선반(40)이 공통적으로 구비됨과 동시에 전면부(20)와 후면부(25)에 각기 다른 부가 구성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보관장치의 전면부에 대한 구성을 예시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전면부(20)에는 의약품 수납부(30)와 선반(40), 개폐 도어(50), 스페이스(6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의약품 수납부(30), 선반(40)은 전면부(20)는 물론 후면부(25)에도 공통으로 구성되는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면부(20), 후면부(25)의 용도 및 특성에 따라 각각의 의약품 수납부(30) 등의 크기 내지 체적을 달리하여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수납부(30)는 일정 행렬 구조를 가지며 복수 개로 전면부(20)(후면부)의 상측 공간에 형성된 것으로서, 서랍식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각 의약품 수납부(30)의 전방 부위에는 보관 중인 의약품을 표시할 수 있는 라벨이 부착될 수 있으며, 라벨 교체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일 측이 개방된 라벨 수용부가 구성되어 이에 라벨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의약품 수납부(30)는 전면부(20), 후면부(25) 각각에서도 각기 다른 크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의약품 수납부(30)의 크기와 배치는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구현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의약품 보관장치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선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반(40)은 의약품 수납부(30)와 마찬가지로 전면부(20)와 후면부(25)에 동시 구비가 가능한 구성으로서, 상기 의약품 수납부(30)의 하측 부위에서 횡 방향을 따라 연장 구성이 되어 서랍식으로 개폐가 가능한바, 이를 위해 선반(40)의 하면에는 롤러가 구성되고 롤러에 접촉하는 지점에는 가이드레일이 장착되어 있어 선반(40)의 슬라이딩 이동성을 보장한다.
선반(40)은 의약품 수납부(30)에서 추출한 의약품을 조제, 믹싱(mixing) 처리하거나 링거 등을 사후 처리하기 위하여 임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선반(40)의 표면에는 복수 개의 리세스(recess)(45)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 개의 리세스(45)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도록 함입 형성이 가능하며, 의약품 중 특히 유리로 이루어진 실린더(cylinder)형 앰플을 임시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의약품 수납부(30)에서 추출한 앰플을 선반(40)의 리세스(45)에 꽂아 임시적으로 보관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선반(40)에서 앰플이 굴러다니거나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보관장치의 정면부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의약품 보관장치(10)의 전면부(20)에서 선반(40)의 하측 부위에는 개폐 도어(50)가 형성되어 있고 개폐 도어(50)의 내측으로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스페이스(60)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 도어(50)는 측부의 힌지(51)에 의하여 회동되면서 스페이스(60)를 개방 및 폐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개폐 도어(50)를 개방한 상태에서 노출이 되는 스페이스(60)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링거 보관대(61)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링거 보관대(61)는 링거 병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일정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입체 형상을 가지는 망(web)체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링거 보관대(61)는 링거 병 이외에 기타 다양한 의약품을 보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보관장치의 후면부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보관장치(10)의 후면부(25)에는, 도 1, 4에 도시된 전면부(20)와 마찬가지로 의약품 수납부(30), 선반(40)이 형성되어 있으나, 하부 부위에 복수 개의 서랍(70)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서 차이를 가진다.
후면부(25)에 형성된 서랍(70)은 각기 다른 크기로 형성되거나 같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한데, 도 2,5에서는 각기 다른 크기와 체적으로 형성된 예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후면부(25)의 하부에 형성된 서랍(70)을 개방하면 서랍(70)의 크기와 높이에 따라 선반식 보관대(71)를 수용할 수가 있고, 서랍(70)은 밀폐형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나 프레임만으로 이루어진 개방형 구조(도 2에 도시)를 가질 수도 있다. 특히 복수 개의 서랍(70) 중 어느 하나는 휴지통 보관대(72)를 구비하고 있다.
휴지통 보관대(72)는 휴지통을 수용할 수 있는 보관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휴지통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 주변에는 별도의 의약품을 수납할 수 있는 거치 공간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서랍식 구조로 형성이 된 의약품 수납부(30), 선반(40), 서랍(70)은 물론 개폐 도어(50)의 전방 부위에는 사용자의 편리함을 보장하기 위하여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그 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의약품 수납부(30)의 경우에는 돌출형식의 손잡이가 아닌 함입 형식의 파지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보관장치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의약품 수납부(30)가 형성된 부위를 밀폐 처리할 수 있는 커버(1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150)는 금속재 내지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자바라 형식으로 이루어져 굴곡 처리가 용이한바 의약품 수납부(30) 상측 부위에 형성된 롤링부(155)에서 와인딩(winding) 또는 리와인딩(rewinding)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롤링부(155)에는 스프링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스프링은 커버(150)의 단부와 연결이 되어 커버(150)를 탄성 지지하는바, 이 커버(150)를 잡아 당겼을 때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커버(150)가 원 상태로 감기려는 성질을 갖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커버(150)를 내려(롤링부에서 풀어) 의약품 수납부(30)의 전방 부위를 덮으려 할 때 다시 커버(150)가 감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커버(150) 일 측에 형성된 고정 홈(151)을 의약품 수납부(30)가 형성된 부위의 하부 일 측에 형성된 고정 돌부(152)에 끼워 커버(150)가 다시 감겨 올라가지 않도록 고정 처리할 수 있다. 고정 돌부(151)와 고정 홈(152)에는 시건장치가 결합되어 양자를 잠금 처리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커버(150)는 의약품 수납부(30)에 수용되어 있는 의약품의 도난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면, 측면 부위에는 횡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바(bar)(90)가 돌출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보관장치(10)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상기 바(90)를 붙잡고 작업자가 이동하기 편리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더불어, 의약품 보관장치(10)의 측면 일 측에는 안전사항, 주의사항 내지 의약품 수납부에 수용되어 있는 의약품의 용도, 조제 방법 등이 설명되어 있는 문구가 부착될 수 있는 안내문 부착부(80)가 형성되어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보관장치(10)의 폭넓은 활용성을 보장하도록 한다.
또한, 복수 개의 고리(100)가 측면 부위에 형성되어, 이 고리(100)에 여러 다양한 물품을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후 방향으로 의약품 보관이 가능한 의약품 보관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의약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입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의약품 보관 장치에 있어서,
    의약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서랍 형태로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의약품 수납부;
    의약품을 안착시킬 수 있는 표면을 구비한 상태로서, 상기 의약품 수납부의 하측 부위에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선반;을 포함하되,
    상기 의약품 수납부와 상기 선반은,
    의약품 보관장치의 전면부와 후면부 각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방향으로 의약품 보관이 가능한 의약품 보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표면에는,
    실린더 형태의 의약품을 임시 안착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 형성된 복수 개의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방향으로 의약품 보관이 가능한 의약품 보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의약품 보관 장치의 저면 부위에는 캐스터(caster)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방향으로 의약품 보관이 가능한 의약품 보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 중 어느 한 부위에는,
    내부에 형성된 스페이스를 개폐 처리하는 개폐 도어;가 구비되되, 상기 개폐 도어 내의 스페이스에는,
    링거를 수용할 수 있는 링거 보관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방향으로 의약품 보관이 가능한 의약품 보관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 중 어느 한 부위에는,
    복수 개의 서랍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복수 개의 서랍 중 어느 하나에는, 휴지통을 수용할 수 있는 휴지통 보관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방향으로 의약품 보관이 가능한 의약품 보관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 수납부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가 상기 의약품 수납부의 정면 부위에 형성되되,
    상기 커버는 자바라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의약품 수납부의 상측 내에 형성된 롤링부에 의하여 감김 처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방향으로 의약품 보관이 가능한 의약품 보관 장치.
KR1020090025564A 2009-03-25 2009-03-25 전후 방향으로 의약품 보관이 가능한 의약품 보관 장치 KR100914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564A KR100914617B1 (ko) 2009-03-25 2009-03-25 전후 방향으로 의약품 보관이 가능한 의약품 보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564A KR100914617B1 (ko) 2009-03-25 2009-03-25 전후 방향으로 의약품 보관이 가능한 의약품 보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4617B1 true KR100914617B1 (ko) 2009-09-02

Family

ID=41355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564A KR100914617B1 (ko) 2009-03-25 2009-03-25 전후 방향으로 의약품 보관이 가능한 의약품 보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61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859B1 (ko) 2010-01-21 2010-08-13 (주)유나 안전성이 우수한 시약 수납장
CN104188361A (zh) * 2014-07-31 2014-12-10 中国疾病预防控制中心 一种中毒事件现场处置便携式操作平台
CN107095479A (zh) * 2017-06-09 2017-08-29 苏州宝迪海斯医疗器械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智能药品储存管理柜
KR20200077071A (ko) 2018-12-20 2020-06-30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의약품 보관 관리 시스템
WO2022267238A1 (zh) * 2021-06-24 2022-12-29 海南道武生物医药技术有限公司 一种储药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709Y1 (ko) * 2005-04-14 2005-07-14 김동하 서랍에 슬라이드를 일체로 형성한 서랍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709Y1 (ko) * 2005-04-14 2005-07-14 김동하 서랍에 슬라이드를 일체로 형성한 서랍장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859B1 (ko) 2010-01-21 2010-08-13 (주)유나 안전성이 우수한 시약 수납장
CN104188361A (zh) * 2014-07-31 2014-12-10 中国疾病预防控制中心 一种中毒事件现场处置便携式操作平台
CN107095479A (zh) * 2017-06-09 2017-08-29 苏州宝迪海斯医疗器械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智能药品储存管理柜
KR20200077071A (ko) 2018-12-20 2020-06-30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의약품 보관 관리 시스템
WO2022267238A1 (zh) * 2021-06-24 2022-12-29 海南道武生物医药技术有限公司 一种储药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617B1 (ko) 전후 방향으로 의약품 보관이 가능한 의약품 보관 장치
RU2011141853A (ru) Система вертикального хранения медикаментов
WO2004102492A3 (en) Secured dispensing cabinet and methods
CN103784263A (zh) 一种医疗箱
JP2007061455A (ja) 執務システム
KR200480202Y1 (ko) 다기능 욕실장
CN203073709U (zh) 药柜
CN103156408A (zh) 药柜
CN215532800U (zh) 一种实验室用可抽拉的固体试剂存放柜
CN214317509U (zh) 一种可视窗口的收纳柜
CN216875792U (zh) 一种方便安装的装配式展示柜
CN203073708U (zh) 药柜
CN203073710U (zh) 药柜
CN214759996U (zh) 一种西药学用药架
CN216271191U (zh) 手术室用清扫车
CN210407701U (zh) 介入手术防护用具存放柜
KR101331715B1 (ko) 수납공간의 활용이 용이한 수납가구
KR200468658Y1 (ko) 측면개폐용 욕실수납장
CN217186439U (zh) 医用置物架
CN211673169U (zh) 一种化学药品储存柜
CN203693976U (zh) 治疗车物品分类放置架
US8047374B1 (en) Medication caddy system
CN203291040U (zh) 内窥镜储存柜
KR200475343Y1 (ko) 물품보관 및 장식장 겸용 가구
CN211459419U (zh) 用于外科洗手刷的壁挂收纳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