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389B1 - Method for improving power factor control - Google Patents

Method for improving power factor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389B1
KR100914389B1 KR1020080096813A KR20080096813A KR100914389B1 KR 100914389 B1 KR100914389 B1 KR 100914389B1 KR 1020080096813 A KR1020080096813 A KR 1020080096813A KR 20080096813 A KR20080096813 A KR 20080096813A KR 100914389 B1 KR100914389 B1 KR 100914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factor
state information
voltage
current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8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섭
Original Assignee
이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섭 filed Critical 이영섭
Priority to KR1020080096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38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3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 H02J3/1821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hunt compensators
    • H02J3/182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hunt compensators with stepwise control, the possibility of switching in or out the entire compensating arrangement not being considered as stepwise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22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s [FACTS] or power factor or reactive power compensating or correcting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A method for improving a power factor control is provided to control a power factor by changing capacitance of a condenser bank based on a selection signal of user. A voltage detection component(205) detects a voltage corresponding to a distribution line. A current detection component(207) detects 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distribution line. A reactive power detection component(203) detects a reactive power corresponding to the distribution line. An output component outputs at least one among state information about the voltage, state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and state information about the power factor. An input component(211) includes C1 to C6 keypads. The keypads correspond to six phase advance condensers. A control component(201) changes capacitance of a condenser bank by switching a circuit breaker based on a selection signal of user about the keypads.

Description

역률 제어 개선 방법{METHOD FOR IMPROVING POWER FACTOR CONTROL}How to improve power factor control {METHOD FOR IMPROVING POWER FACTOR CONTROL}

본 발명은 역률 제어 장치를 이용한 역률 제어 개선 방법, 특히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태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한 입력 신호를 바탕으로 역률 제어를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mproving power factor control using a power factor control apparatus, in particular, to provide status information to a user through a user interface, and to improve power factor control based on an input signal by a user.

일반적으로 교류 회로에서 피상 전력을 Pa, 유효 전력을 P, 무효 전력을 Pr, 전압을 V, 전류를 I라 했을 때, 전력 및 역률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In general, when the apparent power is Pa, the active power P, the reactive power Pr, the voltage V, and the current I in the AC circuit,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power factor is as follows.

Figure 112008069160464-pat00001
,
Figure 112008069160464-pat00002
Figure 112008069160464-pat00001
,
Figure 112008069160464-pat00002

Figure 112008069160464-pat00003
,
Figure 112008069160464-pat00004
Figure 112008069160464-pat00003
,
Figure 112008069160464-pat00004

Figure 112008069160464-pat00005
Figure 112008069160464-pat00005

교류 회로에서 무효 전력(Reactive Power, Pr)은 리액턴스(유도성 성분)를 포함하는 부하에 교류 전압을 가할 경우, 어떠한 일도 하지 않으면서 전원과 부하 사이에 순환하는 전력을 의미한다. 교류 회로에서 유도성 부하가 있을 경우에, 교류 전원이 유도성 부하를 통과할 때 지상 전류가 발생하여 역률이 낮아진다. 낮아진 역률에 상응하여 무효 전력이 증가하며, 이에 따라서 전력선, 주상 변압기 등에 고부하에 따른 전력 손실이 증가하며, 전원 설비의 이용 효과가 낮아지는 등의 여러 가지 단점이 발생한다. In an AC circuit, reactive power (Pr) means power circulating between a power supply and a load without doing anything when an AC voltage is applied to a load including a reactance (inductive component). In the case of an inductive load in an alternating current circuit, when the alternating current passes through the inductive load, a ground current is generated to lower the power factor. Reactive power increases corresponding to the lowered power factor, which causes various disadvantages such as increased power loss due to high load on power lines, pole transformers, and the like, and the use effect of power equipment is reduced.

낮은 역률에 따라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역률을 개선하는 방안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일반적인 역률 개선 방안으로서, 전압에 의한 제어 방식, 역률 계전기에 의한 제어 방식, 전류 검출에 의한 제어 방식, 시간에 따른 제어 방식, 동적 제어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동적 제어 방식은 콘덴서 뱅크를 이용하여, 부하의 성질에 따라서 콘덴서 뱅크의 커패시턴스를 변경하여 역률을 개선하는 방식이다.In order to overcome various problems caused by the low power factor, various methods for improving the power factor have been proposed. As a general method for improving power factor, a voltage control method, a power factor relay control method, a current detection control method, a time control method, a dynamic control method, and the like can be given. Among these, the dynamic control method uses a capacitor bank to improve the power factor by changing the capacitance of the capacitor bank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ad.

본 발명의 구체적인 목적은 자동으로 역률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상태 정보를 제공한 후 사용자가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선택한 입력 신호에 따라서 역률을 제어할 수 있는 역률 제어 개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 specific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factor control improving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power factor not only automatically controlling a power factor but also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to a user and then selecting a power factor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selected by the user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역률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보면서 실시간으로 역률을 제어하도록 하여, 비전문가도 용이하게 역률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역률 제어 개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factor control improving apparatus for allowing a user to control the power factor in real time while viewing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power factor, so that even an expert can easily control the power fact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밀한 역률 제어를 할 수 있는 역률 제어 개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factor control improving apparatus that enables a user to make various selections, thereby enabling more precise power factor contro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바탕으로 역률을 제어함으로써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는 역률 제어 개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factor control improving apparatus which can be produced at low cost by controlling the power factor based on a user's selection signal.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하에 병렬로 연결되며 각각 개폐기가 연결되어 설치되는 6개의 진상 콘덴서를 포함하는 콘덴서 뱅크 및 배전선에 연결되며 상기 배전선에 상응하는 전압, 전류 및 역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검출하며, 검출된 상기 상태 정보를 출력하며, 사용자가 출력된 상기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입력한 선택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콘덴서 뱅크의 커패시턴스를 변화시켜 역률을 제어하는 역률 제어부를 포함하는 역률 제어 장치에서 수행하는 역률 제어 개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역률 제어부에 포함되는 전압 검출 컴포넌트가 상기 배전선에 상응하는 상기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역률 제어부에 포함되는 전류 검출 컴포넌트가 상기 배전선에 상응하는 상기 전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역률 제어부에 포함되는 무효 전력 컴포넌트가 상기 배전선에 상응하는 무효 전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역률 제어부에 포함되는 출력 컴포넌트가 상기 전압에 관한 상태 정보, 상기 전류에 관한 상태 정보 및 상기 역률에 관한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역률 제어부에 포함되며, 일측에 전압 키패드, 전류 키패드 및 역률 키패드가 형성되며, 하부 일측에 상기 6개의 진상 콘덴서에 상응하는 6개의 C1 내지 C6 키패드가 형성되는 입력 컴포넌트가 사용자가 상기 출력 컴포넌트에 출력된 상기 전압에 관한 상태 정보, 상기 전류에 관한 상태 정보 및 상기 역률에 관한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상기 입력 컴포넌트의 상기 6개의 C1 내지 C6 키패드를 선택하면, 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역률 제어부에 포함되는 제어 컴포넌트가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6개의 C1 내지 C6 키패드에 대한 선택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콘덴서 뱅크에 포함된 상기 6개의 진상 콘덴서 각각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개폐기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콘덴서 뱅크의 커패시턴스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률 제어 개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 컴포넌트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압 키패드, 상기 전류 키패드 및 상기 역률 키패드를 선택하면,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전압에 관한 상태 정보, 상기 전류에 관한 상태 정보 및 상기 역률에 관한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oltage bank and a current connected to a capacitor bank and a distribution line including six phase condensers connected in parallel to a load and each connected with a switch are installed. And detecting the stat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power factor, outputting the detected state information, and changing the capacitance of the capacitor bank based on a selection signal input by the user based on the output state information. A power factor control improvement method performed by a power factor control apparatus including a power factor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ethod comprising: detecting, by a voltage detection component included in the power factor controller, the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power distribution line, current detection included in the power factor controller; A component detects the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distribution line And detecting reactive power corresponding to the power distribution line by a reactive power component included in the power factor controller, wherein an output component included in the power factor controller includes status information regarding the voltage, status information regarding the current, and power factor related to the power factor. Outputting at least one of the status information, which is included in the power factor controller, a voltage keypad, a current keypad and a power factor keypad are formed on one side, and six C1 to C6 keypads corresponding to the six fastening capacitor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power factor controller; The input componen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six C1 to C6 keypads of the input component based on at least one of state information about the voltage, state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and state information about the power factor output to the output component. If selected, the step of receiving the input and the second included in the power factor controller Changing a capacitance of the capacitor bank by opening and closing a switch connected to each of the six phase condenser included in the capacitor bank based on a selection signal for the six C1 to C6 keypads by the user; It can provide a power factor control improvement method comprising a.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output component, in response to the user selecting the voltage keypad, the current keypad and the power factor keypad, in response thereto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voltage,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and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power factor.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본 발명에 의하여, 자동으로 역률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상태 정보를 제공한 후 사용자가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선택한 입력 신호에 따라서 역률을 제어할 수 있는 역률 제어 개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wer factor control improv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power factor and controlling power factor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selected by the user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afte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가 역률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보면서 실시간으로 역률을 제어하도록 하여, 비전문가도 용이하게 역률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역률 제어 개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control the power factor in real time while viewing the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power facto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wer factor control improvement apparatus that enables the non-expert to easily control the power factor.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밀한 역률 제어를 할 수 있는 역률 제어 개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wer factor control improving apparatus that allows a user to make a variety of selection, which allows more accurate power factor control.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바탕으로 역률을 제어함으로써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는 역률 제어 개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wer factor control improved apparatus that can be produced at low cost by controlling the power factor based on a user's selection signa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 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designat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역률 제어 개선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including a power factor control improv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역률 제어부(101)는 변압기(105) 및/또는 계기용 변압기(107)를 통하여 배전선과 연결되며, 임의의 복수 콘덴서를 포함하는 콘덴서 뱅크(103)의 커패시턴스를 변화시켜 역률을 제어한다. 역률 제어부(101)는 변압기(105) 및/또는 계기용 변압기(107)를 통하여 연결된 배전선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며, 검출된 상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태 정보는 배전선의 전압, 전류, 무효 전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된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콘덴서 뱅크(103)의 커패시턴스를 변화시키기 위한 선택 신호를 입력하며, 역률 제어부(101)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선택 신호를 바탕으로 콘덴서 뱅크(103)의 커패시턴스를 변화시켜 역률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역률 제어부(101)는 배전선의 상태 정보를 검출한 후, 검출된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자동으로 콘덴서 뱅크(103)의 커패시턴스를 변화시켜 역률을 제어할 수도 있다. 역률 제어부(101)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power factor controller 101 is connected to a power distribution line through a transformer 105 and / or an instrument transformer 107 and changes the capacitance of the capacitor bank 103 including any plurality of capacitors to change the power factor. To control. The power factor controller 101 detects state information of a distribution line connected through the transformer 105 and / or the instrument transformer 107, and outputs the detected state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The state information may include voltage, current, reactive power, and the like of the distribution line. The user inputs a selection signal for changing the capacitance of the capacitor bank 103 based on the output state information, and the power factor controller 101 adjusts the capacitance of the capacitor bank 103 based on the selection signal input by the user. To control the power factor.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factor control unit 101 may control the power factor by detect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power distribution line and automatically changing the capacitance of the capacitor bank 103 based on the detected state information. The power factor controller 10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콘덴서 뱅크(103)는 복수의 진상 콘덴서를 포함하며 부하(109)에 병렬로 연결된다. 콘덴서 뱅크(103)에 포함되는 복수의 진상 콘덴서 각각은 역률 제어 부(101)의 제어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즉 콘덴서 뱅크(103)에 있어서, 역률 제어부(101)의 제어에 의하여 복수의 진상 콘덴서 각각이 개폐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콘덴서 뱅크(103)의 커패시턴스가 변화되어 역률이 제어될 수 있다. 콘덴서 뱅크(103)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The condenser bank 103 includes a plurality of phase condensers and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load 109. Each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capacitors included in the condenser bank 103 may be opened and closed under the control of the power factor controller 101. That is, in the condenser bank 103, each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condensers may be opened and closed under the control of the power factor controller 101, and thus, the capacitance of the condenser bank 103 may be changed to control the power factor. The capacitor bank 10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역률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wer factor control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역률 제어부(101)는 제어 컴포넌트(201), 전압 검출 컴포넌트(205), 전류 검출 컴포넌트(207), 무효 전력 검출 컴포넌트(203), 표시 컴포넌트(209) 및 입력 컴포넌트(211)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power factor controller 101 includes a control component 201, a voltage detection component 205, a current detection component 207, a reactive power detection component 203, a display component 209 and an input component 211. ).

전압 검출 컴포넌트(205)는 계기용 변압기(107)를 통하여 연결되는 배전선의 전압을 검출한다. 전류 검출 컴포넌트(207)는 변압기(105)를 통하여 연결되는 배전선의 전류를 검출한다. 무효 전력 검출 컴포넌트(203)는 검출된 전압과 전류를 바탕으로 무효 전력을 검출한다. 검출된 전압, 전류, 무효 전력 등을 포함하는 배전선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는 제어 컴포넌트(201)에 의하여 표시 컴포넌트(209)로 출력되며, 사용자는 표시 컴포넌트(209)에 출력되는 검출된 전압, 전류, 무효 전력 등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입력 컴포넌트(211)를 이용하여 콘덴서 뱅크(103)에 포함되는 복수의 진상 콘덴서 각각의 개폐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The voltage detection component 205 detects the voltage of the power distribution line connected via the instrument transformer 107. The current detection component 207 detects the current of the distribution line connected through the transformer 105. The reactive power detection component 203 detects reactive power based on the detected voltage and current. Statu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tribution line including the detected voltage, current, reactive power, and the like is output by the control component 201 to the display component 209, and the user outputs the detected voltage and current to the display component 209. And state information including reactive power, and the like. The user may input a selection signal for opening and closing each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capacitors included in the capacitor bank 103 using the input component 211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제어 컴포넌트(201)는 검출된 전압, 전류, 무효 전력 등을 포함하는 배전선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를 표시 컴포넌트(209)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 컴포넌트(201)는 입력 컴포넌트(211)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바탕으로 콘덴서 뱅크(103)의 커패시턴스를 변화시켜 역률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 컴포넌트(201)는 전압 검출 컴포넌트(205), 전류 검출 컴포넌트(207), 무효 전력 검출 컴포넌트(203)에 의하여 검출된 전압, 전류, 무효 전력 등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자동으로 콘덴서 뱅크(103)의 커패시턴스를 변화시켜 역률을 제어할 수도 있다.The control component 201 controls the display component 209 to output statu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tribution line including the detected voltage, current, reactive power, and the like. The control component 201 also controls the power factor by varying the capacitance of the capacitor bank 103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component 211.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component 201 includes a voltage detection component 205, a current detection component 207, a voltage, current, reactive power, etc. detected by the reactive power detection component 203. The power factor may be controlled by automatically changing the capacitance of the capacitor bank 103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표시 컴포넌트(209)는 제어 컴포넌트(201)의 제어에 의하여, 전압 검출 컴포넌트(205), 전류 검출 컴포넌트(207), 무효 전력 검출 컴포넌트(203)에 의하여 검출된 전압, 전류, 무효 전력 등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입력 컴포넌트(211)는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콘덴서 뱅크(103)에 포함되는 복수의 진상 콘덴서 각각의 개폐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제어 컴포넌트(201)로 입력한다. 표시 컴포넌트(209) 및 입력 컴포넌트(211)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The display component 209 includes the voltage, current, reactive power, etc. detected by the voltage detection component 205, the current detection component 207, the reactive power detection component 203,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component 201. Outputs status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The input component 211 also inputs, to the control component 201, a user's selection signal for opening and closing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hase condensers included in the capacitor bank 103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The display component 209 and the input component 21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덴서 뱅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pacitor ban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덴서 뱅크(103)는 부하에 병렬로 연결되며, 복수의 진상 콘덴서(301)를 포함한다. 복수의 진상 콘덴서(301) 각각은 별도로 개폐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역률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진상 콘덴서(301)는 6개(C1-C6)인 것으로 하나, 진상 콘덴서(301)의 개수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복수의 진상 콘덴서(301) 각각은 개폐기(303)가 연결된다. 또한 진상 콘덴서(301)와 개폐기(303) 사이에는 방전 리액터(305)가 구비되어 진상 콘덴서(301)가 닫힐 때 고속으로 방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어 컴포넌트(201)의 제어에 의하여, 복수의 진상 콘덴서(301) 각각에 상응하는 개폐기(303)가 개별적으로 개폐되며, 이로 인하여 콘덴서 뱅크(103)의 커패시턴스가 변화되어 역률이 제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capacitor bank 10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in parallel to a load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capacitors 301. Each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capacitors 301 may be opened and closed separately, thereby improving the power factor.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fastening capacitors 301 is six (C1-C6), but the number of fastening capacitors 301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Each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capacitors 301 is connected to the switch 303. In addition, a discharge reactor 305 is provided between the fastening capacitor 301 and the switch 303 to prevent discharge at a high speed when the fastening capacitor 301 is closed. By control of the control component 201, the switchgear 303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capacitors 301 is individually opened and closed, thereby changing the capacitance of the capacitor bank 103 so that the power factor can be controlled.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컴포넌트 및 입력 컴포넌트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component and an input compon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컴포넌트(209)는 제어 컴포넌트의 제어에 의하여, 전압 검출 컴포넌트, 전류 검출 컴포넌트, 무효 전력 검출 컴포넌트에 의하여 검출된 전압, 전류, 무효 전력 등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출력하며, LCD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표시 컴포넌트(209)에 출력된 상태 정보를 인지하여, 실시간으로 역률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태 정보 중 특정 항목(예를 들어, 검출된 역률)을 선택하면, 이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가 표시 컴포넌트(209)에 출력된다.Referring to FIG. 4, the display component 209 outputs state information including voltage, current, reactive power, and the like detected by the voltage detecting component, the current detecting component, and the reactive power detecting compon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component. LCD is preferr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user may recognize the state information output to the display component 209 and control the power factor in real time. When the user selects a particular item of status information (eg, detected power factor), corresponding status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display component 209.

입력 컴포넌트(211)는 사용자가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콘덴서 뱅크에 포함되는 복수의 진상 콘덴서 각각의 개폐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제어 컴포넌트로 입력한다. 입력 컴포넌트(211)는 키패드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콘덴서 뱅크가 6개의 진상 콘덴서를 포함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C1 내지 C6의 키패드를 선택할 수 있다(즉, 22가지의 경우 의 수). 입력 컴포넌트(211)에 의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는 제어 컴포넌트로 입력되며, 제어 컴포넌트는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바탕으로 콘덴서 뱅크의 복수의 진상 콘덴서에 상응하는 개폐기를 개폐하여 커패시턴스를 변화시킴으로써 역률을 제어할 수 있다.The input component 211 inputs a user's selection signal for opening and closing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dvanced capacitors included in the capacitor bank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to the control component. The input component 211 is preferably a keypad,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where the condenser bank includes six ascending capacitors, the user can select the keypad of C1 to C6 (ie, the number of 22 cases). The user's selection signal by the input component 211 is input to the control component, the control component to control the power factor by changing the capacitance by opening and closing the switch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advanced capacitors in the capacitor bank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signal. Can b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역률 제어 개선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including a power factor control impr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역률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wer factor control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덴서 뱅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pacitor ban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컴포넌트 및 입력 컴포넌트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4 illustrates a display component and an input compon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4)

부하에 병렬로 연결되며 각각 개폐기가 연결되어 설치되는 6개의 진상 콘덴서를 포함하는 콘덴서 뱅크 및 배전선에 연결되며 상기 배전선에 상응하는 전압, 전류 및 역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검출하며, 검출된 상기 상태 정보를 출력하며, 사용자가 출력된 상기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입력한 선택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콘덴서 뱅크의 커패시턴스를 변화시켜 역률을 제어하는 역률 제어부를 포함하는 역률 제어 장치에서 수행하는 역률 제어 개선 방법에 있어서,Detects and detects stat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voltage, current and power factor corresponding to the distribution line, connected to a capacitor bank and a distribution line including six phase condensers, each connected in parallel to a load and installed with a switch connected to the load. A power factor control unit including a power factor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state information and controlling a power factor by changing a capacitance of the capacitor bank based on a selection signal input by the user based on the output state information; In the improvement method, 상기 역률 제어부에 포함되는 전압 검출 컴포넌트가 상기 배전선에 상응하는 상기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Detecting, by a voltage detection component included in the power factor controller, the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power distribution line; 상기 역률 제어부에 포함되는 전류 검출 컴포넌트가 상기 배전선에 상응하는 상기 전류를 검출하는 단계;Detecting, by a current detection component included in the power factor controller, the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power distribution line; 상기 역률 제어부에 포함되는 무효 전력 컴포넌트가 상기 배전선에 상응하는 무효 전력을 검출하는 단계;Detecting a reactive power corresponding to the power distribution line by a reactive power component included in the power factor controller; 상기 역률 제어부에 포함되는 출력 컴포넌트가 상기 전압에 관한 상태 정보, 상기 전류에 관한 상태 정보 및 상기 역률에 관한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Outputting, by an output component included in the power factor controller, at least one of state information about the voltage, state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and state information about the power factor; 상기 역률 제어부에 포함되며, 일측에 전압 키패드, 전류 키패드 및 역률 키패드가 형성되며, 하부 일측에 상기 6개의 진상 콘덴서에 상응하는 6개의 C1 내지 C6 키패드가 형성되는 입력 컴포넌트가 사용자가 상기 출력 컴포넌트에 출력된 상기 전압에 관한 상태 정보, 상기 전류에 관한 상태 정보 및 상기 역률에 관한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상기 입력 컴포넌트의 상기 6개의 C1 내지 C6 키패드를 선택하면, 이를 입력받는 단계; 및An input component included in the power factor controller, wherein a voltage keypad, a current keypad, and a power factor keypad are formed on one side, and six C1 to C6 keypads corresponding to the six fastening capacitor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power factor. Selecting the six C1 to C6 keypads of the input componen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output state information on the voltage, the state information on the current, and the state information on the power factor; And 상기 역률 제어부에 포함되는 제어 컴포넌트가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6개의 C1 내지 C6 키패드에 대한 선택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콘덴서 뱅크에 포함된 상기 6개의 진상 콘덴서 각각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개폐기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콘덴서 뱅크의 커패시턴스를 변화시키는 단계The condenser by opening and closing a control component included in the power factor controller connected to each of the six phase condenser included in the condenser bank based on selection signals of the six C1 to C6 keypads by the user. Varying the capacitance of the bank 를 포함하는 역률 제어 개선 방법.Power factor control improvement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출력 컴포넌트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압 키패드, 상기 전류 키패드 및 상기 역률 키패드를 선택하면,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전압에 관한 상태 정보, 상기 전류에 관한 상태 정보 및 상기 역률에 관한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 제어 개선 방법.The output component outputs state information about the voltage, state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and state information about the power factor in response to the user selecting the voltage keypad, the current keypad, and the power factor keypad. A method for improving power factor contro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80096813A 2008-10-01 2008-10-01 Method for improving power factor control KR1009143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813A KR100914389B1 (en) 2008-10-01 2008-10-01 Method for improving power factor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813A KR100914389B1 (en) 2008-10-01 2008-10-01 Method for improving power factor contr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4389B1 true KR100914389B1 (en) 2009-08-28

Family

ID=41210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813A KR100914389B1 (en) 2008-10-01 2008-10-01 Method for improving power factor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38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652A (en) * 2001-06-05 2004-01-24 윌리암 디. 맥다니엘 Automatic power factor correction system
KR200354200Y1 (en) 2004-04-02 2004-06-24 (주)세빅코리아 Apparatus for automatic power factor modulation of power reducing type
KR200383034Y1 (en) * 2005-02-07 2005-04-28 주식회사 태경전기산업 Automatic power factor correc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652A (en) * 2001-06-05 2004-01-24 윌리암 디. 맥다니엘 Automatic power factor correction system
KR200354200Y1 (en) 2004-04-02 2004-06-24 (주)세빅코리아 Apparatus for automatic power factor modulation of power reducing type
KR200383034Y1 (en) * 2005-02-07 2005-04-28 주식회사 태경전기산업 Automatic power factor correctio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8786B1 (en) Cabinet panel built-in zero-phase harmonic filter
US77329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neutral line current using load switching method
JP2008527952A (en) Automatic power factor corrector
AU2015416888B2 (en) Microgrid segmentation
CN102918619A (en) Magnetizing inrush current suppression device
US71733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verter
KR101529889B1 (en) Switchgear capable of power factor correction
KR20100111645A (en) Zero-phase harmonic reduction apparatus has overload protection and method thereof
US7663850B2 (en) Earth fault protection of a frequency converter
CN106471703A (en) The electrical system of general charging station
KR20110068223A (en) Automatic load transfer switch
KR102053850B1 (en) Distribution board smart compensation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power-factor of leading phase and lagging phase current
KR102053848B1 (en) Smart compensation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power-factor of leading phase and lagging phase current
KR100914389B1 (en) Method for improving power factor control
CN105337329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ree-phase current of charging station
KR101670080B1 (en) Distribution board capable of power factor compensation
JP2019082462A (en) OCR tester
CA2847065A1 (en) Bypass switch for a boost device
JP2007335109A (en) Powe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Morin et al. 765 kV power transformer losses upon energizations: A comparison between field test measurements and EMTP-RV simulations
JP2016125935A (en) Phase discrimination support device of ac three phase electric path, and phase discrimination device, and method
Coury et al. Transient analysis concerning capacitor bank switching in a distribution system
KR102594678B1 (en) Operation apparatus for substation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US10097107B2 (en) Method for operating and inverter, inverter, and photovoltaic system
Aghazadeh et al. Combined operation of dynamic voltage restorer with distributed generation in custom power pa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